KR20060070972A -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anaging contents - Google Patents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anaging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972A
KR20060070972A KR1020040109858A KR20040109858A KR20060070972A KR 20060070972 A KR20060070972 A KR 20060070972A KR 1020040109858 A KR1020040109858 A KR 1020040109858A KR 20040109858 A KR20040109858 A KR 20040109858A KR 20060070972 A KR20060070972 A KR 20060070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eletion
user
deletion notification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13001B1 (en
Inventor
이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001B1/en
Publication of KR2006007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0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설정한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되면 자동 삭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콘텐츠를 위해 메모리 영역이 할애되지 않게 함은 물론이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사용자가 삭제되길 원하지 않는 콘텐츠가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운로드받은 콘텐츠 및 각 콘텐츠에 대응되는 자동삭제 기간정보,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제어부 및 표시장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자동삭제 기간정보 및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게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소정 시간마다 자동삭제 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여, 상기 자동삭제 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존재하면, 해당 콘텐츠의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면, 해당 콘텐츠의 삭제알림 화면을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삭제알림 화면의 표시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삭제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콘텐츠를 위해 메모리 영역이 할애되지 않게 함은 물론이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사용자가 삭제되길 원하지 않는 콘텐츠가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letes the contents download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user-deleted automatic deletion period elapses, so that the memory area is not allocated for unnecessary contents, and the user does not want to be deleted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It is to provide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prevent content from being deleted automat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unit for storing downloaded content, automatic deletion peri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an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A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 user interface unit providing an interface with a user; And storing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information and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memory unit, checking whether there is content that has passed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every predetermined time, and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has elapsed. If the content is present,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read, and if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deletion notification, the deletion notification screen of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user is displayed after displaying the deletion notification screen. And a controller for deleting a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memory unit when a delete command is input through an interface uni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not only the memory area is allocated for the unnecessary content, but also the content that the user does not want to delete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is not automatically deleted.

이동통신 단말기, 콘텐츠 관리 Mobile terminal, content management

Description

콘텐츠 관리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ANAGING CONTENTS}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ANAGING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방법의 흐름도. 2, 6, and 7 are flowcharts of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예시도.3 to 5 and 8 are screen example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를 위한 정보의 구조도.9 is a structural diagram of information for content manage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제어부110: control unit

112 : 이동통신부112: mobile communication unit

114 : 메모리부114: memory section

116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6: user interface unit

118 : 표시장치 제어부118: display device control unit

120 : 표시장치120: display device

122 : 음성처리부122: voice processing unit

124 : 마이크124: microphone

126 : 스피커 126: Speak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운로드받은 콘텐츠를 자동으로 삭제하는 콘텐츠 관리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utomatically deleting downloaded content.

휴대 인터넷 서비스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다운로드받을 수 있게 되었다. Various contents can be downloa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mobile Internet service or a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상기한 콘텐츠의 데이터량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에 비해 매우 큰 편이므로, 상기 콘텐츠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Since the data amount of the content is very large compared to the SMS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manage the content.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SMS 메시지의 관리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A method of managing an SMS messag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briefly described.

대한민국 특허청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SMS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을 명칭으로 하여 특허 출원된 제10-2001-0066883호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SMS 메시지들 중 하나가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자동 삭제 시간을 설정할 지를 질의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삭제 시간 설정의 요구가 있으면 사용자로부터 해당 메시지에 대한 자동 삭제 시간을 입력받아 자동 삭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메시지의 자동 삭제 시간이 경과하는 지를 판단하여 상기 자동 삭제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상기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 자동 삭제 기술을 개시한다. Patent No. 10-2001-0066883 filed under the name of `` Method of Automatically Deleting SMS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by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indicates that when one of the SMS message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lected, the time is automatically deleted by the user. Querying whether to set up, receiving an automatic deletion time for a corresponding message from a user when a request for setting the automatic deletion time is set, setting an automatic deletion tim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utomatic deletion time of the corresponding message has elapsed. If the automatic deletion time has elapsed, an SMS message automatic deletion technique including deleting the message is disclosed.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에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에서 수신된 메시지 처리방법"을 명칭으로 하여 특허 출원된 제10-1999-0007534호는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메시지와 수신된 시각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가 수신된 시각에서 설정된 자동 삭제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In addition, Patent Application No. 10-1999-0007534 filed under the name of the "Message processing method received at the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o the Korean Patent Office, storing the message and the received time when the message is received, and the message And deleting the message after the set automatic deletion time has elapsed at the received time.

상기한 같이 종래 SMS 메시지 관리는 SMS 메시지를 수신시각을 기준으로 하여 자동 삭제 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SMS 메시지를 자동으로 삭제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SMS message management automatically deletes the SMS message when the automatic deletion time has elapsed based on the reception time of the SMS message.

일반적으로 상기 SMS 메시지는 재수신에 따른 비용이 소소하므로 필요에 따라 재수신 받을 수도 있으나, 콘텐츠의 재수신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재수신 받기가 매우 난감한 문제가 있었다. In general, the SMS message may be re-received as needed since the cost of re-receipt is small, but the re-receipt of content has a relatively difficult problem because it is relatively expensive.

이에 따라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은 물론이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콘텐츠가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efficiently managing content download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eventing content from being automatically deleted due to carelessness of a us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설정한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되면 자동 삭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콘텐츠를 위해 메모리 영역이 할애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utomatically deleting contents downloaded to a mobile terminal when the user-defined automatic deletion period elapses, so that memory areas are not allocated for unnecessary contents. d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사용자가 삭제되길 원하지 않는 콘텐츠가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콘텐츠 관리방법 및 이 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not automatically delete the content that the user does not want to be deleted due to user carelessnes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되지 않는 기간을 기준으로 자동삭제기간을 산정하여 콘텐츠를 삭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콘텐츠를 구별해낼 수 있는 콘텐츠 관리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distinguishing unnecessary contents by calculating an automatic deletion period based on an unused period and deleting the contents.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운로드받은 콘텐츠 및 각 콘텐츠에 대응되는 자동삭제 기간정보,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제어부 및 표시장치;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자동삭제 기간정보 및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게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소정 시간마다 자동삭제 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존재하는 지를 체크하여, 상기 자동삭제 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존재하면, 해당 콘텐츠의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면, 해당 콘텐츠의 삭제알림 화면을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삭제알림 화면의 표시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삭제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삭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s to store the downloaded content and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information,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A memory unit; A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 user interface unit providing an interface with a user; And storing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information and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in the memory unit, checking whether there is content that has passed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every predetermined time, and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has elapsed. If the content is present,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ntent is read, and if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deletion notification, the deletion notification screen of the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the user is displayed after displaying the deletion notification screen. And a controller for deleting a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memory unit when a delete command is input through an interface uni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함은 물론이며 본 발 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설정한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삭제하며, 상기 콘텐츠의 삭제시에는 삭제여부를 사용자에게 질의하는 안내화면을 표시장치(120)에 표시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자동삭제기간의 기산시기를 콘텐츠의 재생종료시기로 정함으로써 사용되지 않는 기간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삭제한다. The control unit 110 not only contro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whole, but also automatically deletes downloaded contents after an automatic deletion period set by a us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20 displays a guide screen for inquiring the user of whether to delete.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10 deletes the content on the basis of the unused period by setting the start time of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as the end time of playing the content.

이동통신부(112)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연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모리부(114)는 제어부(110)의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를 저장하고, 콘텐츠 재생종료 시마다 콘텐츠 재생종료시기를 저장하고, 콘텐츠별 자동삭제기간을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6)는 키패드 등으로, 사용자로부터의 각종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표시장치 제어부(118)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표시장치(120)를 통해 표시한다. 음성처리부(11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26)를 통해 출력하거나 마이크(124)로부터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112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nheren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mory unit 114 stores a variety of information including the control program of the control unit 110, in particular, the content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s the content playback end time for each content playback end, by content Save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The user interface 116 receives a variety of information or commands from a user by using a keypad or the like and provides the received information or command to the controller 110.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118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n the display device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voice processing unit 112 converts the audio data into an audio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and outputs the audio data through the speaker 126 or converts the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microphone 124 into audio data to the controller 110. to provide.

이제 상기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관리방법을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A conte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cable to the abov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9.

먼저 다운로드된 콘텐츠에 대한 자동삭제기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First, a process of setting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for the downloaded cont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2.

제어부(110)는 콘텐츠가 다운로드되는 지를 체크하고, 상기 콘텐츠가 다운로 드되면 이를 메모리부(114)에 저장한다(210,212단계).The controller 110 checks whether the content is downloaded, and if the content is downloaded, stores it in the memory unit 114 (steps 210 and 212).

상기한 과정을 거쳐 콘텐츠의 저장이 완료된 후,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6)를 통해 콘텐츠의 자동삭제 설정메뉴로의 진입을 명령하는 지를 체크한다(214단계). After the storage of the content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control unit 110 checks whether the user commands the entry of the automatic deletion setting menu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16 (step 214).

여기서, 상기 콘텐츠의 자동삭제 설정메뉴로의 진입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메뉴 화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메뉴 화면에는 자동삭제 설정항목(A)이 포함된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6)를 통해 상기 메뉴 화면의 자동삭제 설정항목(A)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자동삭제 설정메뉴로의 진입을 명령할 수 있다. Here, the entry of the automatic deletion setting menu may be made through a menu screen as shown in FIG. 3, and the automatic deletion setting item (A) is included in the menu screen. That is, the user may instruct the entry into the automatic deletion setting menu by selecting the automatic deletion setting item A of the menu scree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16.

상기 메뉴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자동삭제 설정메뉴로의 진입을 명령하면,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14)에 저장된 콘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함과 아울러, 표시된 콘텐츠 중 자동삭제 설정을 이행할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안내한다(216단계). When the user instructs the user to enter the automatic deletion setting menu through the menu screen, the controller 110 displays a list of contents stored in the memory unit 114 and selects contents to perform automatic deletion setting among the displayed contents. The user is guided to select (step 216).

여기서, 상기 콘텐츠 리스트 및 콘텐츠 선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화면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4에 구성된 안내화면에는 메모리부(114)에 저장된 콘텐츠의 식별정보들(B)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6)를 통해 상기 표시된 콘텐츠 식별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Here, the content list and the guide screen for guiding content selection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4. In the guide screen configured in FIG. 4,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B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memory unit 114 is displayed in the form of a list, and the user displays one of the displaye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16. You can choose.

상기 콘텐츠 리스트 및 콘텐츠 선택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화면의 표시후에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상기 안내화면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6)를 통해 자동삭제 설정을 이행할 콘텐츠를 선택하는 지를 체크한다(218단계).After displaying the content list and the guide screen for guiding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the controller 110 checks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to perform the automatic deletion setting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6 with reference to the guide screen ( Step 218).

상기 사용자가 자동삭제 설정을 이행할 콘텐츠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자동삭제기간 및 삭제알림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안내화면을 표시장치(120)에 표시한다(220단계). When the user selects the content to perform the automatic deletion setting, the controller 110 displays a guide screen for selecting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and whether to notify the deletion on the display device 120 (step 220).

상기 자동삭제기간 및 삭제알림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안내화면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 5에 구성된 안내화면에는 다양한 자동삭제기간, 즉 하루, 일주일, 한달, 일년 등의 자동삭제기간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C)과 삭제알림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D)이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선택버튼(C,D)를 통해 자동삭제기간 및 삭제알림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The guide screen for selecting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and the deletion notification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The guide screen configured in FIG. 5 includes a selection button C for selecting various automatic deletion periods, that is, one, one week, one month, one year, and the like, and a selection button D for selecting a deletion notification. In addition, the user may select whether or not to automatically delete period and deletion notification through the selection button (C, D).

상기 자동삭제기간 및 삭제알림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안내화면의 표시 후에,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상기 안내화면을 참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6)를 통해 자동삭제기간 및 삭제알림 여부를 선택하는 지를 체크한다(222단계). After displaying the guide screen for selecting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and whether to delete the notification,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and the deletion notific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16 with reference to the guide screen. Check (step 222).

상기 사용자가 자동삭제기간 및 삭제알림 여부를 선택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게 상기 선택된 자동삭제기간 및 삭제알림 여부를 메모리부(114)에 저장한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and the deletion notification, the controller 110 stores the selected automatic deletion period and the deletion notification in the memory unit 114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ent.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10)는 콘텐츠 삭제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마지막 콘텐츠 재생종료시기를 검출하기 위해 콘텐츠 재생종료시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playback end time to detect the last content playback end time to determine the content deletion time,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콘텐츠의 재생 시마다 제어부(110)는 콘텐츠의 재생종료시기를 체크한다(610단계). 상기 콘텐츠의 재생종료시기이면, 제어부(110)는 재생된 콘텐츠의 재생종료시기를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게 메모리부(114)에 저장한다(612단계).Each time the content is played, the controller 110 checks the end time of playing the content (step 610). If the content finishes playing, the controller 110 stores the playback end time of the reproduced content in the memory unit 114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step 612).

이로서 메모리부(114)에 저장된 콘텐츠들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으로 재생되었던 시점을 나타내는 재생종료시기, 자동삭제기간,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대응되게 저장된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 9, the contents of the memory unit 114 are stored correspondingly to the end of playback, automatic deletion period, an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time of the last playback.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콘텐츠를 삭제하는 방법을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 method of automatically deleting content by using the informa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7.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10)는 소정시간이 경과될 때마다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있는 지를 체크하며, 이를 위해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는 지를 체크한다(710단계).The controller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ecks whether there is content whose automatic deletion period has elapsed every time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check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tep 710).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14)에 저장된 콘텐츠 중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존재하는 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된 콘텐츠란 재생종료시기부터 현재시각까지의 시간이 자동삭제기간을 초과한 콘텐츠를 일컫는다.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ontroller 110 checks whether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114 has elapsed in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Here, the content of which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has elapsed refers to content whose time from the end of playback to the current time exceeds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제어부(110)는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존재하면,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다수인지를 체크한다. If there is content that has passed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the controller 110 checks whether a plurality of content that has passed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has passed.

상기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다수가 아니면, 제어부(110)는 삭제 대상 콘텐츠에 대응되게 저장된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메모리부(114)로부터 독출한다. If the content of which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has elapsed is not large, the controller 110 reads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114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deleted.

상기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독출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독출된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는 지를 체크한다(718단계).When the deletion notification status information is read, the controller 110 checks whether the rea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es a deletion notification (step 718).

상기 독출된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지 않으면, 제어부(110) 는 해당 콘텐츠를 삭제한다(724단계). 여기서, 삭제되는 콘텐츠에 대응되게 저장된 재생종료시기, 자동삭제기간, 삭제알림 여부정보도 함께 삭제된다.If the rea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indicate the deletion notification, the controller 110 deletes the corresponding content (step 724). Here, the playback end time, automatic deletion period, an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deleted are also deleted.

이와달리 상기 독출된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면, 제어부(110)는 해당 콘텐츠를 삭제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화면을 표시장치(120)에 표시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삭제를 사용자에게 안내한다(720단계). On the other hand, if the rea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deletion notification, the controller 110 displays a screen for asking whether to delete the corresponding content on the display device 120 to guide the user to the dele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720). step).

상기 질의화면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카이" 등과 같은 콘텐츠를 자동 삭제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화면으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6)를 통해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삭제 또는 삭제보류를 선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query screen includes a screen for querying whether to automatically delete content such as “sky” and the like, and a user may select deletion or deletion hold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6. .

상기 질의화면을 표시한 후에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상기 질의화면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삭제를 명령하는 지를 체크한다(722단계). After displaying the query screen, the controller 110 checks whether the user commands dele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query screen (step 722).

상기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의 삭제를 명령하면, 제어부(110)는 해당 콘텐츠를 메모리부(114)에서 삭제한다(724단계). 여기서, 삭제되는 콘텐츠에 대응되게 저장된 재생종료시기, 자동삭제기간, 삭제알림 여부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When the user instructs to delete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controller 110 deletes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memory unit 114 (step 724). Here, the playback end time, automatic deletion period, an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deleted are also deleted.

이와달리 상기 사용자가 삭제보류를 명령하면 제어부(110)는 해당 콘텐츠를 삭제하지 않고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commands the deletion hold, the controller 110 terminates the process without deleting the content.

한편, 상기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다수이면, 제어부(110)는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된 삭제대상 콘텐츠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독출한다(726단계).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large number of contents that have passed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the controller 110 reads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on any one of the contents to be deleted after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has passed (step 726).

상기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독출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독출된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는 지를 체크한다(728단계).When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s read, the controller 110 checks whether the rea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es a deletion notification (step 728).

상기 독출된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지 않으면, 제어부(110)는 해당 콘텐츠를 삭제한다(734단계). 여기서, 삭제되는 콘텐츠에 대응되게 저장된 재생종료시기, 자동삭제기간, 삭제알림 여부정보도 함께 삭제된다.If the rea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indicate the deletion notification, the controller 110 deletes the corresponding content (step 734). Here, the playback end time, automatic deletion period, an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deleted are also deleted.

이와달리 상기 독출된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면, 제어부(110)는 해당 콘텐츠를 삭제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화면을 표시장치(120)에 표시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삭제를 사용자에게 안내한다(730단계). On the other hand, if the read-out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es a deletion notification, the controller 110 displays a screen that asks whether to delete the corresponding content on the display device 120 to inform the user of the dele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730). step).

상기 질의화면을 표시한 후에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상기 질의화면에 따라 해당 콘텐츠의 삭제를 명령하는 지를 체크한다(732단계). After displaying the query screen, the controller 110 checks whether the user commands dele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according to the query screen (step 732).

상기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의 삭제를 명령하면, 제어부(110)는 해당 콘텐츠를 메모리부(114)에서 삭제한다(734단계). 여기서, 삭제되는 콘텐츠에 대응되게 저장된 재생종료시기, 자동삭제기간, 삭제알림 여부정보도 함께 삭제된다. When the user instructs to delete the corresponding content, the controller 110 deletes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memory unit 114 (step 734). Here, the playback end time, automatic deletion period, an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to be deleted are also deleted.

이와달리 상기 사용자가 삭제보류를 명령하면 제어부(110)는 해당 콘텐츠를 삭제하지 않고 736단계로 진입한다. On the contrary, if the user commands the deletion hold, the controller 110 proceeds to step 736 without dele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상기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지 않아 해당 콘텐츠를 삭제알림없이 삭제하였거나, 상기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어 해당 콘텐츠의 삭제알림을 이행한 후에 삭제하였거나 그 삭제가 보류된후, 제어부(110)는 모든 삭제대상 콘텐츠의 삭제가 완료되었는 지를 체크한다(736단계).After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indicate the deletion notification,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eleted without the deletion notification, or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deletion notification, and after the deletion not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eleted or the deletion is suspended, the controller ( 110 checks whether the deletion of all the content to be deleted is completed (step 736).

상기 모든 삭제대상 콘텐츠의 삭제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10)는 상기 726단계로 복귀하여 다음 삭제대상 콘텐츠의 삭제를 이행하고, 모든 삭제대상 콘텐츠의 삭제가 완료되었으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If the deletion of all the content to be deleted has not been completed, the controller 110 returns to step 726 to perform the deletion of the next content to be deleted and ends the process if the deletion of all the content to be deleted is completed.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의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uter-readable medium contain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on the media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y may be of the kind well-known and available to those having skill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The medium may also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n optical or metal wire, a waveguide, or the like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specify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상기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사용자가 설정한 자동삭제기간이 경과되면 자동 삭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콘텐츠를 위해 메모리 영역이 할애되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downloa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automatically deleted when the user-defined automatic deletion period elapses, thereby preventing the memory area from being allocated for unnecessary content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사용자가 삭제되길 원하지 않는 콘텐츠가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content that the user does not want to be deleted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user is not automatically deleted.

또한 본 발명은 사용되지 않는 기간을 기준으로 자동삭제기간을 산정하여 콘텐츠를 삭제함으로써 불필요한 콘텐츠를 구별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distinguishing unnecessary content by deleting the content by calculating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based on the unused perio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운로드받은 콘텐츠 및 각 콘텐츠에 대응되는 자동삭제 기간정보,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downloaded content, automatic deletion peri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ntent, and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제어부 및 표시장치;A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A user interface unit providing an interface with a user; And 상기 콘텐츠에 대한 자동삭제 기간정보 및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게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소정 시간마다 자동삭제 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상기 자동삭제 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존재하면, 해당 콘텐츠의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면, 해당 콘텐츠의 삭제알림 화면을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삭제알림 화면의 표시 후에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삭제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콘텐츠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삭제하는 제어부;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information and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re stored in the memory uni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and the content that has passed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is checked by checking whether there is any content that has passed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every predetermined time. If present,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read. If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deletion notification, the deletion notification scree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nd after displaying the deletion notification screen, the user interface unit is displayed. A control unit for deleting a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memory unit when a delete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memory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콘텐츠의 재생 종료시기에서부터 현재시각까지의 시간이 자동삭제 기간정보를 초과했는지 여부에 따라 자동삭제 시간의 경과여부를 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nd determining whether the automatic deletion time has elapsed depending on whether the time from the end of playback of the content to the current time exceeds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어느 한 콘텐츠에 대한 자동삭제 기간정보 및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게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information and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any content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관리방법에 있어서, In the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운로드받은 콘텐츠에 대한 자동삭제 기간정보 및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해당 콘텐츠에 대응되게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information and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ownloaded content in a memory uni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소정 시간마다 자동삭제 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Checking whether there is content whose automatic deletion period has elapsed every predetermined time; 상기 자동삭제 기간이 경과된 콘텐츠가 존재하면,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삭제알림 여부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Reading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ontent from the memory unit if the content of which the automatic deletion period has elapsed exists; 상기 삭제알림 여부정보가 삭제알림을 나타내면, 해당 콘텐츠의 삭제알림 화면을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If the deletion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es a deletion notification, displaying a deletion notification screen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on a display device; 상기 삭제알림 화면의 표시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삭제명령이 입력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및Checking whether a deletion command is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unit after displaying the deletion notification screen; And 상기 삭제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콘텐츠를 삭제하는 단계;Deleting the content when the delete command is inpu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콘텐츠 관리방법. Content managemen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4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판독가능한 기록매체.A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4 on a computer.
KR1020040109858A 2004-12-21 2004-12-21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anaging contents KR1006130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858A KR100613001B1 (en) 2004-12-21 2004-12-21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anag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858A KR100613001B1 (en) 2004-12-21 2004-12-21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anaging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972A true KR20060070972A (en) 2006-06-26
KR100613001B1 KR100613001B1 (en) 2006-08-16

Family

ID=3716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858A KR100613001B1 (en) 2004-12-21 2004-12-21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anaging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00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73B1 (en) * 2006-02-17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firming messages in wireless terminal
KR20180085505A (en) *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세연테크 System for learning based real time guidance through face recognition and the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73B1 (en) * 2006-02-17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firming messages in wireless terminal
KR20180085505A (en) * 2017-01-19 2018-07-27 주식회사 세연테크 System for learning based real time guidance through face recognition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3001B1 (en) 200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05012A1 (en) Processing a Message Received From a Mobile Cellular Network
KR101743192B1 (en) Recording method, playing method, device, terminal,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386012B1 (en) The method of editing playlist and the multimedia replaying apparatus thereof
CN10220213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of a mobile terminal
CN102710972A (en) User notification
EP2760190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all rejection function
US20070067277A1 (en) Method for searching for user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47790B1 (en) Create individual information including call log and how to use the individual information
JP4650037B2 (en) Data management apparatus, mobile phone, data management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KR100613001B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managing contents
KR100800820B1 (en) Method for deleting data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747444B1 (en) Moving picture transmiss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9020012A1 (en)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50020306A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JP3222704B2 (en) Answering machine
JP2001053868A (en) Automatic answering telephone set
EP2256732A1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KR20030035024A (en) Method for deleting sms messages automatically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6927B1 (en) Method for providing a Call Remind Service
JP5201575B2 (en) Scenario data editing apparatus, scenario data editing method and program
KR100622677B1 (en) Voice memo recording/reproducing system using mobile and recording server and method thereof
KR200419646Y1 (en) Cellular Phone capable of voice recording and direct sending and receiving recorded voice and Bilateral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the same
KR20040070968A (en) Method for realizing memo function in mobile terminal
US20050144564A1 (en) Device and method for adding header or footer to text message on a mobile terminal
JP2003153148A (en)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