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775A - 온라인 구매 시 분할 결제가 가능한 카드 결제 방법과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구매 시 분할 결제가 가능한 카드 결제 방법과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775A
KR20060069775A KR1020040108452A KR20040108452A KR20060069775A KR 20060069775 A KR20060069775 A KR 20060069775A KR 1020040108452 A KR1020040108452 A KR 1020040108452A KR 20040108452 A KR20040108452 A KR 20040108452A KR 20060069775 A KR20060069775 A KR 20060069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redit card
credit
payment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수
조준서
Original Assignee
최준수
조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수, 조준서 filed Critical 최준수
Priority to KR102004010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9775A/ko
Publication of KR20060069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1Virtual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인터넷이나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때, 하나의 구매에 대하여 여러 장의 카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분형 카드 결제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고객이 하나의 구매 거래를 다수의 카드로 분할하는 것을 허용하는 새로운 인프라구조인 가상 카드결제 인프라구조와 고객이 사용할 카드의 조합을 결정하는 복잡한 결정을 하는 데 지원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가상 카드결제 인프라구조는 기존 인프라 구조에서 세 가지의 부분적인 수정 즉, 가상 카드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기관을 설정하고, 이 기관에 가상카드 관리자(V-Card Manager: VCM)가 기능을 부가하여 각 신용카드 발행인들로부터의 가분형 카드 승인프로세서를 처리하도록 하는 것과 고객의 선호에 기초하여 맞춤형 가분형 카드를 발생시키는 가상카드 에이전트(V-card Agent: VA)를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기관에 갖추는 것에 의해 얻어진다.
맞춤형 카드, 가분형 카드, 전자결제, 결제 인프라구조, 온라인 구매, 최적화, 고객 선호도

Description

온라인 구매 시 분할 결제가 가능한 카드 결제 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ivisible Card Payments for Online Purchas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신용카드결제를 이용하여 온라인 구매를 할 수 있게 해주는 기존의 인프라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분형 카드결제를 지원하기 위한 바람직한 인프라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은 가상카드 에이전트(V-card Agent: VA)의 주요 기능들을 도시한다.
도 4는 고객이 VA에 로그인 했을 때 표시되는 VA의 메인메뉴 화면과 그 메인메뉴 화면에서 '나의 카드 리스트(My Card List)'를 클릭 했을 때 표시되는 카드 리스트의 표시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4에서 '새 카드 추가(Add a New Card)'를 클릭 하였을 때 표시되는 새로운 카드정보 캡처링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4에서 '나의 선호(My Preference)'를 클릭 하였을 때 표시되는 사용자 선호도 캡처링 화면 예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4에서 'V-카드 생성(Create a Virtual Card)'를 생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 예이다.
도 8은 도 7에서 '최적화 실행(Optimization)' 버튼을 눌렀을 때 표시되는 최적화의 결과를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서 'V-카드 생성'을 눌렀을 때 생성된 1회용 V-카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가상카드 결제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여러 가지 테이블의 구조를 예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분형 카드결제를 지원하기 위한 바람직한 인프라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 고객 단말기 114: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116: 결제 게이트웨이 118: 판매자계좌 개설기관 컴퓨터시스템
120: 가상카드 결제시스템 122: 카드 발행기관의 컴퓨터 시스템
130: 가상카드 에이전트(VA) 140: 가상카드 관리자(VCM)
본 발명은 인터넷이나 모바일 기기를 통한 온라인 구매에 관한 맞춤형 및 가분형 카드 지불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용카드는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결제수단이다. 전자상거래에 관한 여러 종 류의 새로운 결제시스템(예컨대 전자화폐, 스마트카드, 넷빌(NetBill))에 관한 계속되는 개발노력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구매자들은 구매상품에 대하여 대부분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한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인터넷거래의 85% 정도가 온라인 신용카드 결제로 이루어졌고 또한, 고객들은 인터넷상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보다 더 만족감과 안전함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Bohle 2002, Jewson 2001, Lawrence 2002).
사람들이 신용카드를 사용할 때, 현금 거래와는 다른 기능들을 기대한다. 신용카드는 익명성을 제공해주지는 않지만, 신용카드 상의 구매량은 미래로 넘겨지고 이자와 함께 분납형식으로 지불되는 외상거래기능을 제공해준다. 많은 신용카드들은 전체 구매액의 일정 퍼센티지를 환급해주는 캐쉬백(혹은 포인터 적립), 여행자 보험가입, 항공마일리지 제공 등과 같은 부가적인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고객은 이렇게 다양한 선택권이나 서비스들 중에서 자신의 선호와 소비습관에 따라 특정카드를 사용한다면 더 좋을 것이다. 예컨대 많은 미결제액을 남기는 고객은 이자율이 낮은 카드를 선호할 것이며, 반대로 미결제액을 남기지 않고 여행을 좋아하는 고객은 항공마일리지를 받기 위해 항공사와 제휴관계에 있는 카드를 사용하기를 선호할 것이다.
나아가, 고객들은 하나의 구매에 대하여 여러 가지 신용카드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좋은 경우가 있다. 예컨대 어떤 하나의 신용카드만으로는 신용거래한도가 부족하여 거래를 할 수 없을 때, 여러 장의 신용카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도움이 될 수 있다. 고객이 1,000달러어치를 구매하고 가장 선호하는 카 드(예컨대 최저 이자율이 적용되는 카드)는 신용거래한도액이 200달러밖에 되지 못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기존의 신용카드 거래 프로세서는 하나의 구매에 대하여 여러 개의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그 고객은 이자율이 더 높은 다른 하나의 카드를 사용할 수밖에 없게 된다. 만약 고객이 그 구매액을 예컨대 가장 선호하는 카드로 200달러를 결제하고 나머지 금액을 다른 카드로 결제하는 방식으로 여러 개의 신용카드로 분산 결제할 수 있었다면, 더 이익일 것이다.
또 다른 예는 소비자 고객이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균형 있는 결정을 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한 소비자가 A 와 B 두 개의 카드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카드는 저금리와 보너스 마일리지를 제공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또한 문제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두 장의 카드는 원하는 구매액을 감당하기에 충분한 신용한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자. 나아가, 카드 A는 더 낮은 이자율과 1달러당 1마일의 마일리지를 제공하며, 이에 비해 카드 B는 더 높은 이자율과 1달러당 2마일을 제공한다고 가정하자. 고객이 이자와 항공마일리지에 대하여 얼마나 많은 가치를 부여하는가에 따라서, 고객은 어느 하나의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다른 카드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더 유리하거나 혹은 두 장의 카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
위의 예에서처럼, 고객들은 하나의 구매에 대하여 다수의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갖는다면 더 나은 서비스를 받게 되는 것이며, 더욱 편리하게 카드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하나의 구매에 대한 복수의 신용카드 선택권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 신용카드 사용자의 실질적인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사용자들은 각 구매에 대하여 복잡한 이익의 최적화 문제 즉, 특정 구매에 관하여 여러 장의 카드들 중에서 어느 카드(혹은 허용된다면, 어떤 카드들의 조합)를 사용하는 것이 최선인지를 결정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신용카드 사용에 관한 사용자의 선호도와 목표를 포착하고 신용카드의 사용을 맞춤형으로 하는 것은 전자결제시스템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가 되어야 한다.
신용카드 결체 처리에 관한 기존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10)의 인프라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S1: 온라인상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고객은 자신의 단말기(12)를 이용하여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4)이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원하는 제품을 찾는다.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결제를 할 준비가 되었을 때, 고객은 판매자측의 보안된 웹페이지에서 구매금액 청구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다. 판매자 웹페이지 상에 보안된 웹페이지가 없다면, 고객은 판매자의 안전한 결제 게이트웨이로 인도된다.
S2: 청구 정보(신용카드 번호, 카드소유자의 이름, 청구자 정보, 만료기간, 청구금액 등)는 결제 게이트웨이(16)로 전달된다.
S3: 결제 게이트웨이(16)는 그 청구 정보를 온라인 판매자 계정 개설기관(18)에 의해 만들어진 판매자 계정(18-1)으로 제공한다.
S4: 판매자 계정 개설기관은 각 판매자 계정에 대하여 신용카드 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것은 청구정보를 고객의 신용카드 발행기관(20)에 승인용으로 전달한다. 발행기관(20)은 그 신용카드정보가 유효한지 그리고 그 신용카드가 구매를 감당하기에 충분한 차감잔액을 갖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렇다면, 그 구매 금액을 그 판매자에 대한 고객의 계정으로부터 차감해 둔다. 만약 신용카드가 무효이거나 신용한도가 찼다면, 그 발행기관(20)은 거부코드를 회신한다.
S5: 신용카드 발행기관이 판매자 계정(18-1)으로 승인코드 또는 거부코드를 회신한다.
S6: 그 승인코드 또는 거부코드는 결제 게이트웨이(16)로 전달되어 보안된 판매자 사이트로 회신된다.
S7: 그 승인코드는 고객(12)에게 전달된다. 대개는 결제 게이트웨이(16)가 고객에게 결제수령을 이메일로 발송한다.
S8: 그 하루의 마감시간에, 판매자는 그날의 모든 거래를 정산해줄 것을 요청한다. 판매자 계정 정산 서비스는 자금을 수금하기 위한 요청을 거래은행(22)에 보낸다.
S9: 거래은행(22)은 그 요청을 신용카드 발행기관(20)에 전달한다.
S10: 신용카드 발행기관(20)은 자금을 거래은행(22)에 지불하고 그 자금은 판매자의 계정(18-1)에 적립된다. 실제 자금은 대략 2일 정도 지나면 판매자 계정에 들어간다.
그런데 위와 같은 기존의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10)은 하나의 구매에 대하여 하나의 신용카드만이 결제수단으로서 제공될 수 있을 뿐이어서, 하나의 구매에 대하여 여러 가지 신용카드들을 조합하여 결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들은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매를 복수의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가분적으로 결제할 수 있는 신용카드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객의 이익과 선호에 따라서 분할결제를 가능케 하는 맞춤형 신용카드 결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기존의 인프라구조를 최소한도로 수정하면서 위와 같은 맞춤형 및 가분형 신용카드 결제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구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결제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신용카드들의, 적어도 신용카드 번호, 신용카드 만료일, 고객의 신상정보를 포함하여,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기 등록된 신용카드들의 특징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온라인 구매상품에 대한 구매금액의 결제에 최적인 신용카드조합을 찾아내어 상기 고객에게 추천하는 단계; 추천된 신용카드조합을 고객이 승인하면 그 신용카드조합에 대응되는 가상카드를 발행하여 그 가상카드가 판매자를 위해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단계; 판매자측으로부터 상기 가상카드의 청구정보가 제공되면 그 가상카드에 대응되는 신용카드조합의 각 신용카드별 청구정보를 해당 신용카드발행자의 컴퓨터시스템에 제시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모든 신용카드발행자의 컴퓨터시스템으로부터 승인을 받으면 상기 가상카드의 승인코드를 생성하여 판매자를 위해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판매자와 신용카드 발행기관들 간의 가분형 카드승인 프로세스가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신용카드조합에는 등록된 신용카드들 중 어떤 신용카드에 전체 구매금액 중 얼마의 분담액을 할당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각 신용카드별 분담액은 각 신용카드별 결제능력과 월별이자율, 신용카드사용에 대해 신용카드발행기관이 제공하는 보너스 특징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고객에 대해 최대 효용성을 제공하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상카드는 사용횟수가 소정 횟수, 예컨대 1회로 제한되거나 또는 유효사용기간이 소정 기간, 예컨대 1일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제승인을 요청받는 신용카드 발행기관들의 컴퓨터시스템 중 어느 하나라도 승인거부를 회신하면 그 가상카드의 결제승인 전체가 거부된 것으로 처리하여 V-카드의 원자성 거래(atomic transaction)를 보장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결제승인이 거부된 경우, 결제승인이 거부된 신용카드를 제외한 나머지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가상카드를 재발행 하여 다시 각 신용카드발행기관에 승인요청을 재시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용카드조합에 관한 고객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기 위해, VA가 추천한 신용카드조합 대신에, 상기 고객이 사용자그래픽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신용카드조합과 각 신용카드별로 할당할 분담액을 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고객의 단말기,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위한 제1 컴퓨터 시스템, 신용카드 발행기관의 제2 컴퓨터시스템, 신용카드 발행기관과 판매자 간의 결제처리를 지원하는 제3 컴퓨터시스템과 각각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컴퓨터시스템이며, 가상카드 에이전트부(V-card Agent: VA) 및 가상카드 관리부(Virtual Card Manager: VCM)와 같은 프로그램모듈을 구비하고, 소정의 구매를 고객의 선호를 고려하여 조합한 복수 개의 신용카드들을 이용하여 분할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용 컴퓨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VA 모듈은 적어도 상기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결제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신용카드들의, 적어도 카드번호, 카드만료일, 고객의 신상정보를 포함하여,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기 등록된 신용카드들의 특징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온라인 구매상품에 대한 구매금액의 결제에 최적인 신용카드조합을 찾아내어 상기 고객에게 추천하고, 추천된 신용카드 조합을 고객이 승인하면 그 신용카드조합에 대응되는 가상카드를 발행하여 그 가상카드가 판매자를 위해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VCM 모듈은 적어도 판매자측으로부터 상기 가상카드의 청구정보가 제공되면 그 가상카드에 대응되는 신용카드조합의 각 신용카드별 청구정보를 해당 신용카드 발행기관의 컴퓨터시스템에 제시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고, 모든 신용카드 발행기관의 컴퓨터시스템으로부터 승인을 받으면 상기 가상카드의 승인코드를 생성하여 판매자를 위해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함으로써, 판매자와 신용카드발행기관들 간의 가분형 신용카드승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가분형 카드 결제 인프라구조, 즉 하나의 구매에 대한 결제를 여러 개의 신용카드를 조합하여 각 카드에 소정의 분담액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결제하는 새로운 온라인 신용카드 결제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결제 방법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 기존의 것과는 다른 새로운 신용카드 결제시스템의 인프라구조도 제안한다. 그 인프라구조는 소비자가 여러 개의 신용카드를 조합해서 사용하기를 원할 때 마다 가상 카드(Virtual card: V-카드)를 생성하여 사용하도록 해 준다. 그 가분형 결제를 지지하기 위해 두 개의 부가적인 요소를 필요로 한다. 하나는 VA인데, 이는 하나의 구매에 대한 신용카드 결제를 요청하는 고객에 대하여 그 구매의 결제에 최적인 여러 신용카드들의 조합을 찾아내어 그 조합을 대표하는 V-카드를 생성하는 지능형 에이전트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다른 하나는 VCM으로서, 판매자와 각 신용카드발행자들 간의 가분형 카드승인 프로세스 즉, V-카드 결제를 처리하고 관리하며 V-카드의 원자성 거래(atomic transaction)를 보장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이 두 가지 요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카드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기관이 설정되어야 하고, 이 기관의 컴퓨터시스템에 의하여 VA와 VCM의 두 요소가 수행되어야 한다. 고객의 카드사용 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인프라구조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기관에서 고객에게 VA에 접근하도록 한다. 어떤 카드 또는 어떤 카드 조합을 사용할 것인지는 매우 복잡한 결정이므로, 최적화 모델이 VA 내부에 구축된다. 고객의 선호에 기초하여, VA는 하나의 구매에 다수 카드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는 최상의 선택을 발생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나의 구매에 대하여 여러 개의 신용카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고객은 신용카드 이용에 있어서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각 신용카드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이으므로 보다 유리한 구매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인프라구조는 고객이 하나의 구매에 대하여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신용카드들의 조합에 의한 결제, 즉 가분형 카드 결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가분형 카드 결제를 지원하기 위해서, 기존의 인프라구조에 대하여 세 가지의 수정이 가해진다. 첫째는 VA와 VCM 기능을 담당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기관을 구축한다. 두 번째는 VA라고 불리는 소프트웨어 에이전트가 각 고객마다 통합카드관리관에서 구축된다. 세 번째로, VCM이라는 특별 소프트웨어가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기관에 구축되고 판매자측에 연결되어 V-카드 결제를 처리한다.
VA는 고객에게 사용할 신용카드의 적정한 조합을 추천한다. 만약 고객이 그 제안을 받아들이면, VA는 V-카드를 생성한다. V-카드가 온라인으로 사용되므로, 물리적 카드를 만들 필요가 없다. 대신, VA는 고유 카드번호, 사용한도액 및 가분형 카드청구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고객이 카드 A로는 80달러를 사용하고 카드 B로는 20달러를 사용하는 VA의 제안을 받아들이는 경우, VA는 고유 V-카드번호를 생성하고, 그 새로운 V-카드가 100달러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것은 카드 A로부터 80달러를 사용하고 카드 B로부터는 20달러를 사용하는 것과 등가적인 그런 정보를 포함한다.
V-카드 번호는 고유하여 이중 지출(double spending)을 방지한다. 고유의 V-카드번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하나로는 V-카드에서 사용되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신용카드번호와 현재의 일시에 기초한 타임스탬프의 조합으로 번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각 신용카드번호가 각 개인에게 고유한 것이며, 현재의 시각에 한 사용자가 여러 개의 물품구매를 동시에 수행하지 않으므로, 현재 시각을 이용하면 고유의 V-카드 번호생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하다. 이렇게 만들어진 V-카드는 현재의 물품을 구매하는 것에만 사용하는 일회성으로 발생될 수도 있고, 하루 동안과 같은 아주 짧은 유효기간을 가지도록 발행될 수도 있다.
사용할 카드의 적정한 조합을 결정할 때, VA는 여러 가지 요소들 예컨대, 이자율, 연회비, 마일리지 보너스, 캐쉬백 보너스, 계속되는 프로모션 등에 대한 고객의 선호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화점이 원하는 상품에 대하여 그 백화점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것에 특별할인을 제공한다면, 그리고 그 고객이 그 할인을 받기를 더 원한다면, VA는 그 백화점 신용카드를 포함하는 V-카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VA는 GUI를 고객에게 제공하여 고객 자신의 선호도 프로파일을 쉽게 갱신할 수 있도록 한다. VA에 관한 보다 더 자세한 점들은 후술하기로 한다.
V-카드가 승인신청용으로 제시되었을 때, VCM은 가분형 지불정보 즉, V-카드 청구정보(즉, 카드가맹점 정보, 어느 카드(카드번호)가 그리고 얼마만큼(할당된 분담액)이 V-카드 구매에 대하여 부과되어야 하는가에 관한 정보)를 V-카드에 포함된 각 카드발행자에게 전달한다. 승인을 위해 하나의 신용카드 발행자를 접촉하는 현재의 프로토콜과 달리, VCM은 카드의 모든 발행기관과 통신할 필요가 있다. 각 카 드발행 기관은 승인코드를 보낸다. 모든 승인코드가 VCM에 회신되었을 때, VCM은 V-카드에 대한 그 승인을 결제게이트웨이로 되돌려 보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카드 결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인프라구조의 예를 도시한다. 가상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은 VA(130)와 VCM(140)이 설치되어 있고, 필요한 데이터의 저장과 관리 등을 위한 데이터베이스(132)도 갖춘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제공용 컴퓨터시스템(120)을 마련한다. 이 컴퓨터시스템(120)은 고객의 단말기(112),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위한 제1 컴퓨터 시스템(114), 신용카드 발행기관의 제2 컴퓨터시스템(122a, 122b, .., 122n), 신용카드 발행기관과 판매자 간의 결제처리를 지원하는 제3 컴퓨터시스템(118)과 각각 예컨대 유무선 인터넷 또는 전용통신선 등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컴퓨터시스템(114)은 고객의 단말기(112)와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 컴퓨터시스템(118)과는 결제게이트웨이(116)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제3컴퓨터시스템(118)은 거래은행의 컴퓨터시스템(124)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거래은행의 컴퓨터시스템(124)은 각 카드발행기관들의 컴퓨터시스템(122)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고객의 단말기(112)는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또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VA(130) 모듈은 고객의 단말기(112) 및 판매자의 제1 컴퓨터시스템(114)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다음과 같은 주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첫째, 고객의 단말기(112)로부터 결제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신용카드들의, 적어도 카드번호, 카드만료일, 고객의 신상정보를 포함하여,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데 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또한, VA(130) 모듈은 기 등록된 신용카드들의 특징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온라인 구매상품에 대한 구매금액의 결제에 최적인 신용카드조합을 찾아내어 제1 컴퓨터시스템(114)에 제공하여 고객에게 추천하고, 그 추천된 신용카드 조합을 고객이 승인하면 그 신용카드조합에 대응되는 가상카드를 발행하여 그 가상카드가 판매자를 위해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VCM(140) 모듈은 판매자의 계좌를 개설해주고 판매자를 위해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컴퓨터시스템(118) 및 각 카드발행기관의 컴퓨터시스템(122)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다음과 같은 주요한 기능을 제공한다. VCM(130) 모듈이 제공하는 기능으로는, 우선 컴퓨터시스템(118)을 통해 판매자측의 가상카드의 청구정보가 제공되면 그 가상카드에 대응되는 신용카드조합의 각 신용카드별 청구정보를 해당 신용카드 발행기관의 컴퓨터시스템(122)에 제시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한다. 나아가, 결제승인을 요청한 신용카드 발행기관의 각 컴퓨터시스템(122a~122n)으로부터 결제승인을 전부 받으면 그 가상카드의 승인코드를 생성하여 판매자 계좌개설기관의 컴퓨터 시스템(118)으로 전달함으로써, 판매자와 신용카드발행기관들 간의 가분형 신용카드승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VA(130)와 VCM(140)의 위와 같은 기능을 통해,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4)에서 소정의 상품을 구매한 고객은 구매금액을 자신의 선호도가 고려되어 조합한 복수 개의 신용카드들을 이용하여 분할결제를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인프라구조에서, V-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일반 카드를 처리하 는 동안에는, 기존의 인프라구조와 프로토콜에 어떠한 수정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V-카드가 사용될 때에는, 그 결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S101: 온라인 고객의 단말기(112)는 자신이 온라인 구매에 대한 결제수단으로서 이용하고자 하는 모든 신용카드 정보를 VA(130)를 통하여 가상카드 결제시스템(120)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이때, 고객은 회원가입절차를 밟으면서 개인의 신상정보 예컨대 ID, 비밀번호, 이름 등도 제공하고, 등록한 신용카드에 관한 선호도 정보도 함께 입력한다. 기 입력한 회원정보, 카드 정보, 선호도 정도 등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통해 고객이 갱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객정보와 카드정보가 입력되면 VA(130)는 곧바로 또는 V-카드와 관련한 신용카드조합을 생성하기 전에, 각 카드의 발행기관의 컴퓨터시스템(122)으로부터 자동으로 각 신용카드의 신용한도금액, 현재의 차감잔액(Bi )과 이자율(Ii) 정보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입수한다. 이렇게 확보된 정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DB(132)에 회원정보 테이블과 등록카드테이블의 형태로 저장 관리된다.
S102: 고객이 모든 카드를 등록하면 VA는 고객에게 V-카드 결제서비스의 회원임을 나타내는 V-카드 사용등록번호를 제공한다.
S103: 온라인 고객(112)은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4)의 웹사이트에서 원하는 물건을 찾는다.
S104: 구매할 물건이 결정되면, 고객은 V-카드 사용등록번호를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 웹사이트에 입력하고, 이 웹사이트를 통하여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시스템 (120)의 VA(130)에 접속하게 된다.
S105: VA(130)는 고객이 미리 등록해둔 카드들 중에서 결제수단으로서 사용할 카드 조합에 관하여 고객에게 제안을 한다. 고객이 그 제안을 받아들이면, VA(130)는 제품구매에 사용할 V-카드를 발행하고 V-카드 번호, 만료기한, V-카드 청구정보 등을 포함하는 V-카드 정보를 그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4)에 제공하여 판매자의 웹사이트에 표시되도록 한다. 신용카드조합을 추천한 후, 그 조합에 포함된 신용카드 i에 대한 차감잔액은 기존 차감잔액과 신용카드i에 할당된 분담액의 합으로 갱신한다. V-카드가 발행될 때마다 해당 V-카드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 예컨대, V-카드번호, 만료일, 총 구매금액, V-카드에 포함된 카드들의 카드번호와 청구금액(분담액), 청구자(판매자) ID, 승인여부, 발행일 등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2)에 V-카드사용자번호와 연관시켜 기록된다. 판매자와 고객에게 제시되는 V-카드 발행정보는 적어도 유일성이 보장되도록 부여된 가상카드 번호, 각 신용카드의 번호와 각 신용카드별 결제금액 정보를 내포한다(도 8과 9 참조).
S106: 예컨대 V-카드 번호, V-카드 만료조건, 총 청구금액, V-카드의 신용카드조합에 포함된 각 신용카드의 카드번호와 총 청구금액 중 각 신용카드에 분담액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등을 포함하는 V-카드 청구정보는 결제 게이트웨이(116)로 전해진다.
S107: 결제 게이트웨이(116)는 V-카드 청구정보를 판매자 계좌개설 기관의 컴퓨터시스템(118)으로 전달된다.
S108: 판매자 계좌개설 기관의 컴퓨터(118)는 V-카드 청구정보를 가상카드 결제서 비스 시스템(120)의 VCM(140)으로 전달한다. VCM(140)은 V-카드 청구정보에 포함된 V-카드번호를 이용하여 V-카드 청구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S109: VCM(140)은 그 V-카드 청구정보에 내포되어 있는 각 신용카드별 청구정보를 해당 신용카드 발행기관(122a, 122b, ..., 122n)으로 승인을 위해 전달한다. 각 발행기관(122a, 122b, ..., 122n)은 그 신용카드 정보가 유효한지를 체크하고 그 신용카드가 충분한 자금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본다. 그렇다면, 발행기관은 그 판매자를 위해 구매 금액을 준비해둔다.
S110: 카드의 각 발행기관(122a, 122b, ..., 122n)은 승인(또는 거부)코드를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기관의 VCM(140)으로 보낸다. 그 VCM(140)은 모든 관련 카드발행기관이 그들의 승인(또는 거부) 코드를 되돌려 보내올 때까지 기다린다.
S111: VCM(140)은 모든 카드발행기관(122a, 122b, ..., 122n)이 그 승인코드를 회송해왔을 때, 모든 카드 발행기관에 승인완료를 요청하며, 승인완료에 대한 응답이 도착하면, VCM(140)은 그 V-카드에 대하여 승인코드를 생성하고, 그 승인코드를 판매자 계좌개설기관의 컴퓨터시스템(118)을 통하여 결제 게이트웨이(116)로 전달하여 판매자와 고객에게 그러한 결제승인 결과가 알려지도록 한다.
S112: 그 승인코드는 판매자에게 전달되어, 구매자가 물건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한다.
S113: 또한, 그 승인코드는 고객에게 전해진다. 결제 게이트웨이(116)는 고객에게 결제 수신을 이메일로 알린다. VA(130)는 V-카드로 행한 금번의 구매 후의 신용카드 차감잔액(balances)을 조정한다.
S114: 하루의 마감시간에 판매자는 그 날의 모든 처리를 정산하도록 요청한다. 판매자 계좌개설 기관의 컴퓨터 시스템(118)은 자금을 획득하기 위해 그 요청을 거래은행의 컴퓨터시스템(124)에 보낸다.
S115: 거래은행의 컴퓨터시스템(124)은 그 요청을 신용카드 발행기관(122a, 122b, ..., 122n)에 전달한다.
S116: 카드 발행기관(122a, 122b, ..., 122n)은 자금을 거래은행(124)에 지불한다.
S117: 그 자금은 판매자의 은행 계좌(119)에 적립된다. 실제 자금은 대략 이틀 후에 판매자의 계좌에 입금된다.
이상과 같은 V-카드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함에 있어서 특히 V-카드 승인 요청은 다중 승인 요청과의 원자성 거래(atomic transaction)로 다루어진다. 즉, 단계 S111에서, 만약 카드발행기관(122a, 122b, ..., 122n) 중 어느 하나가 청구 요청을 승인하지 않는다면, V-카드 거래는 거부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각 카드발행기관에 승인된 요청들이 무효로 처리되도록 요청하여야 한다.
다음 예는 카드발행자 A, B 및 C 각각에 대한 3개의 승인요청으로 이루어진 가상카드(VC) 거래를 보여준다.
V-카드 승인 거래
<VC-거래 시작>
카드발행자 A에 대한 승인요청
카드발행자 B에 대한 승인요청
카드발행자 C에 대한 승인요청
<VC-거래 종료>
V-카드에서의 승인요청들은 논리곱의 관계를 가져 그 전부가 승인되면 그 V-카드 거래가 이루어지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 요청 중 아무것도 승인되지 않은 것으로 처리하여야만 한다. 예컨대, A와 B는 승인코드를 회신했지만 C는 거부코드를 회신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모든 거래(즉, V-카드를 사용하기 위한 승인요청)는 거부된 것으로 간주된다. V-카드 승인 거래의 이 같은 원자성 거래의 성질은 부분적인 승인 또는 부분적 거부가 불가능하도록 보장한다. V-카드의 관련 카드 발행자들 중 누구라도 거부 코드를 보내는 때에는 다른 모든 승인들은 통째로 무위로 된다. 이는 하나의 카드발행자라도 거래의 승인을 거부하면, 전체 거래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VCM(140)은 이런 원자성 거래의 성질을 만족하도록 V-카드의 승인 처리를 관리한다.
승인거부시의 처리는 다음과 같이 한다. 예컨대, 하나의 카드발행자가 거래의 승인을 거부하여 전체 거래가 이루어 질 수 없으면, 승인 거부된 카드를 제외한 나머지 카드를 이용하여 다시 각 카드 발행기관에 승인 요청을 한다. 이러한 작업은 모든 카드발행기관에 의하여 승인요청이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더 이상 거래 승인을 요청할 수 없는 경우에는 판매자 계좌 개설기관의 컴퓨터시스템(118)과 결제 게이트웨이(116)를 통하여 판매자 웹사이트에 이 거래는 승인될 수 없음을 알리게 된다.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분적인 카드 결제 구조는, 하나의 구매에 대하여 여러 장의 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면서도, 기존 인프라구조에 대한 최소한의 수정만을 요구한다.
다음으로, VA(130)의 최적화 문제를 설명하기로 한다.
고객의 결정 문제는 하나의 구매에 대한 사용 카드들의 최적 조합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의 결정 문제( 이하에선 'P'로 표시됨)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카드의 효용 함수식 (1)로 공식화될 수 있다.
Figure 112004059827391-PAT00001
모델 파라미터들은 다음과 같다.
S : 신용카드의 집합
Y : 구매금액
Ci : 신용카드 i에 대한 신용구매한도 금액
Bi : 신용카드 i에 현재 이월된 차감잔액
Ii : 신용카드 i의 이자율
Pi : 신용카드 i의 월별 최소 결제액
fi : 신용카드 i의 보너스 특징
wi : 고객의 선호도를 고려한 가중치
vi : 함수기호
i : 신용카드 인덱스
결정하여야 할 변수
yi : 신용카드 i에 할당되어야 할 분담액
여기서, 카드 i의 보너스 특징은 마일리지 보너스, 캐쉬백 보너스, 계속되는 프로모션 등과 같은 보너스를 어느 정도 제공해주는가 그리고 어떤 마일리지를 얼마나 제공해주는가 등이 보너스 특징의 예가 된다.
식 (1)의 최적화는 각 카드사용으로부터 고객이 얻을 수 있는 이익 즉 카드의 효용성의 합을 최대화한다. 카드의 효용성 함수는 다중속성 선형 효용함수
Figure 112004059827391-PAT00002
의 형태를 취하는데, 여기서 가중치 w i 는 사용자들에게 각 카드사용에 대한 선호도를 질문을 하여 만들게 된다. 식 (1)의 P 에서 효용성 함수는 두 가 지 속성을 갖는다. 하나는 구매에 대한 결제를 위해 당해 카드에 대해 부과되는 총 분담액 즉, 결제 금액과 관련된 항목들을 포괄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금전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은 없는 나머지 항목들 예컨대 마일리지, 캐쉬백과 같은 보너스 특징이다. 최적화 즉, V-카드에 포함된 신용카드조합을 추천한 후 신용카드 i에 대한 차감잔액은 기존 차감잔액과 그 신용카드i로 한 구매액 즉, 그 신용카드 i에 할당된 분담액의 합으로 갱신되어야 한다. 그래서 P에서 첫 번째 항은 차감잔액이 결제될 때까지 이루어진 모든 결제들의 현재 값의 가중처리 된 효용성을 나타낸다. 이 때 고객은 매달 Pi 의 최소 결제를 하는 것으로 추정한다. PV(x, rate, pmt)는 x 금액의 원금이 결제될 때까지 이루어진 전체 월별 결제금의 현재 값을 리턴시켜 준다. 여기서 rate는 월별 이자율이고, pmt는 월별 결제금이다. 위 P의 두 번째 항은 카드 특징의 가중처리 된 효용성을 나타낸다.
제한식(constraint) (2)는 각 카드에 부과된 돈이 자체 신용한도금액보다 작아야 하는 것을 나타내며, 제한식 (3)은 구매를 위해 각 카드에 할당된 금액은 반드시 구매금액과 같아야 함을 나타내며, 제한식 (4)는 각 카드에 할당된 금액이 양수이어야 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한식 (2), (3), (4)를 만족하면서 식 (1)에서 최대의 효용성을 가지도록 구매금액을 각 카드에 분배하도록 한다. 함수식 (1)이 어떤 형태를 취하던지 가중치들의 합은 항상
Figure 112004059827391-PAT00003
을 만족하여야 한다. 카드의 효용성 함수식 (1)은 하나의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카드의 효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위에서 언급한 것 외에도 더 있을 수 있고 카드회사의 정책 에 따라서 새로 생기는 요인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요인들을 그 속성이 결제금액에 직접 관련되는지 여부에 따라 함수식 (1)의 첫 번째 항 또는 두 번째 항에 더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반영할 수도 있다.
고객은 VA(130) 없이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예: 실제 가게에서 그것들을 사용하는 것), 각 카드의 차감잔액과 신용한도에 관한 정보(Bi 및 Ci)는 최적화를 수행하기 전에 갱신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VA(130)는 가장 최신 정보를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보는 직접 카드발행기관에 의뢰하여 그 정보를 수집한다.
다음으로, VA(130)의 주요 기능들을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하면서 VA(13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객이 일단 VA(130)에 로그인하면(S120), 고객은 세 가지 선택권을 갖는다. 첫 번째로, 고객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신용카드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S122). 두 번째로는, 고객은 그의 선호도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S124). 세 번째로는, 고객은 또한 구매금액의 결제를 위해 V-카드를 생성시켜달라고 VA(130)에 요청할 수 있다(S130). 고객이 제공한 신용카드 정보와 선호도 정보는 입력한 구매금액을 결제하기 위한 V-카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구매금액의 최적 결제방안의 도출은 상기 함수식 (1)을 이용한다. 고객이 V-카드 생성을 위해 입력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도 4는 고객이 VA(130)에 로그인 했을 때 V-카드 결제시스템(120)의 메인메 뉴를 보여준다. 최초 윈도우는 세 개의 서브메뉴 즉, '나의 카드 리스트(my card list)'(130), '나의 선호(my preference)'(132) 그리고 'V-카드 생성(create a V-card)'(134)로 구성된다. '나의 카드 리스트'(130)를 클릭 했을 때, 고객은 도시된 것과 같은 자신의 카드 리스트를 보게 된다. 화면은 카드 닉네임(136), 카드명과 카드번호(138)를 표시한다. 이들 카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32)에 등록되어 있으며, 갱신버튼(140)과 삭제버튼(142)을 이용하여 등록된 카드 정보의 갱신과 삭제도 가능하다. 카드 닉네임(136)을 클릭하면 그 카드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만료일, 결제 주소, 제공된 특징들 등을 포함)가 나타난다.
고객은 '새 카드 추가(Add a New Card)'(144) 링크를 클릭 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카드를 등록할 수도 있다. '새 카드 추가'(144)를 클릭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새로운 카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이 입력화면(150)에서 고객이 새로운 카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면, VA(130)는 그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카드를 DB(132)의 카드 리스트에 추가 등록한다. 고객으로부터 입력받는 새로운 카드정보의 예로는, 계좌번호, 예금주 명, 결제자의 상세정보(예컨대, 카드 종류, 카드 닉네임, 주소, 도시와 국가, 전화번호, 웹사이트, 만료기간, 이메일주소 등) 등이다. 이러한 새로운 카드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입력되면 VA(130)는 곧바로 또는 V-카드와 관련한 신용카드조합을 생성하기 전에, 그 카드의 발행기관의 컴퓨터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각 신용카드의 신용한도금액, 현재의 차감잔액(Bi )과 이자율(Ii) 정보 등을 입수한다. 그 입수된 정보는 신용카 드조합의 산출에 활용한다.
도 6은 도 4에서 '나의 선호(my preference)'(132)를 클릭 하였을 때 표시되는 사용자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한 윈도우를 나타낸다. 사용자의 선호도를 정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일련의 질문과 그 질문에 대한 다수의 후보 답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답에 할당된 가중치들을 합산하는 산출된 가중치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사용자 선호도가 계산될 수 있다. 예컨대 "이 카드의 특징들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유용한가?"라는 질문과 이 질문에 대한 다수개의 후보 대답을 주고 선택하는 것 등과 같은 방식으로 카드 사용자의 선호도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 (1)에서 효용함수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VA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련의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대답을 얻고, 이를 분석하여 식 (1)에서 필요한 효용함수를 계산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부정확지정 다중특성 효용 이론(imprecisely specified multi-attribute utility theory: ISMAUT)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개의 비교성 질문을 통하여 점진적으로 효용함수를 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White, Sage, Dozono 1984). 예를 들면, 사용자는 "y1 보너스 마일을 받으면서 x1 달러를 지불하는 것"과 "y2 보너스를 받으면서 x2 달러를 지불하는 것" 중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지에 대한 답을 요구받을 수 있다. 고객의 답에 의존하여, 속성 '돈'의 가중치와 속성 '보너스마일'의 가중치는 대략 결정하고, 그 가중치들의 더 정확한 값을 구하기 위하여 새로운 질문이 사용자에게 주어질 것이다. 일련의 그런 비교 질문들을 통하여 최적화에 필요한 선호도를 도출할 것이다.
도 7은 V-카드 생성을 위한 화면 예를 보여준다. 이 화면에는 V-카드로 결제할 총 구매금액 박스(170)와 '최적화 실행(Go Optimization)' 버튼(172)이 제공되는데, 청 구매금액은 고객이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겠지만 번거롭고 검증절차를 필요로 하므로 VA(130)는 판매자측의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114)이 자동으로 산출해주는 값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객은 제품 구매를 원할 때 "최적화 실행" 버튼(172)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VA(130)는 최적화를 수행한다. 도 7에서, 총 구매금액은 예컨대 1,000달러이고, 이 정보는 신용카드와 선호도에 관해 미리 입력된 정보와 함께, 최적화 결과를 계산하는 데 이용된다.
도 8은 도 7에서 "최적화 실행" 버튼(172)을 눌렀을 때 표시되는 최적화의 결과를 도시한다. 최적화 실행을 통해 얻어진 최적화 결과(180)는 결제수단으로 제공된 카드들의 리스트와 각 카드에 대한 부과요금(분담액)을 보여준다. 도 8의 예는 세 장의 카드의 리스트(VA 데이터베이스에서 네 장의 카드 중에서)를 닉네임 및 각 카드에 부과된 금액과 함께 보여준다. 최종 단계는 V-카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VA(130)가 추천한 최적화된 신용카드조합을 고객이 수용하고자 할 때 즉, 도 8에서 "V-카드를 생성할까요?(Create a V-Card?)"(182)라는 질문에 대해 "예(Yes)"를 선택할 때, VA(130)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V-카드번호, 만료일, 청구금액 등이 표시된 V-카드(190)를 생성한다. V-카드(190)는 도용 등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그 사용횟수나 사용기간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V-카드 만료일은 내일 혹은 내월이 되도록 설정하거나 사용횟수를 1회 등으로 한정한다.
가분형 카드 결제 인프라구조가 매력적이기 위해서는, 비용구조가 모든 관련 당사자들 즉, 고객, 판매자, 온라인 계정 제공자, 발행은행들, 및 거래은행들에게 현재의 결제 시스템에 필적할 만한 것이어야 한다. 만약 새로운 인프라구조의 비용이 증가한다면, 그 새로운 인프라구조로부터 혜택을 받은 사람들은 그 비용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
판매자계정 제공자들은 그 온라인 신용카드 처리와 연관된 여러 가지 비용을 판매자 계정에 부과한다. 이러한 비용들은 소프트웨어 및 가상 게이트웨이 개발비, 네트워크 비용, 보안 비용, 사기 조사비용, 고객 서비스 비용, 관리 비용, 하드웨어 비용, 우편발송 비용 및 은행 수수료 등을 포함한다. 이들 비용은 여러 가지 작은 비용 형태 예컨대 게이트웨이 비용, 고지서발행 비용, 거래 비용(flat and percentage 양자 모두), 환급(charge back) 비용, 월별 최소 비용 등의 형태로 판매자 계정에 의해 부분적으로는 흡수된다. 가상 카드 인프라구조에서의 거래 횟수가 단독 카드 결제의 그것보다 더 높아짐에 따라, 거래 비용도 판매자측에 대해서는 더 올라갈 수도 있다. 판매자에게 과외의 거래 수수료를 부담시키지 않는 다른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해볼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해결책은 고객이 그 증가된 거래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VA(130)의 최적화 모델은 이들 추가된 거래비용을 포함한다. 즉, 여러 개의 카드마다 거래 수수료가 다르게 되므로, 최적화 수식 (1) 에 카드당 거래 수수료를 추가하여 최적의 해를 구하여야 한다. 다수 카드의 사용에 의한 혜택이 V-카드와 연관된 과외의 거래비용을 초과할 때에만, 그 VA(130)는 V-카드 결제를 추천하게 된다. 이는 판매자 또는 판매자서비스 제공자에게 추가비용을 부담시키지 않도록 해줄 것이다. 거래은행과 발행은행은 새로운 인 프라구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위와 같은 가분형 결제를 최적화에 필요한 정보의 인지와 갱신은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필요한 정보의 인지와 갱신을 위한 소프트웨어 모듈이 더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의 한 예는 신용카드회사에 의한 계속되는, 항상 변하는 프로모션들을 자동으로 수집하는 것이다. 예컨대 항공사 제휴 신용카드는 특정 시기 동안 두 배의 보너스 마일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한 변경 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는 것은(고객이 그것을 VA(130)에 입력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고) 최적화가 가장 최신 정보를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예들 들면, 카드회사는 항공사와 같은 제휴 회사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카드회사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두고, 매 트랜잭션을 수행될 때마다, 카드회사의 웹페이지를 통하여 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최신의 정보를 구해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인프라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별도의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기관을 만들고 그 기관의 컴퓨터시스템(120)에 VA와 VCM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방식과는 달리,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VA는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기(212)에 설치하고, VCM(220)은 판매자 계정 개설기관의 컴퓨터 시스템(212)에 설치하는 형태로 인프라구조를 가져갈 수도 있을 것이다. VA와 VCM이 하는 기능은 도 2에서의 그것과 대동소이하고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 방식의 인프라구조는 기존의 신용카드 결제 인프라구조를 좀 더 많이 변경해야 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인프라구조는 온라인 구매에 잘 어울린다. V-카드의 생성은 물리적인 카드를 생성하지는 않고 유효 카드번호만을 생성하고, 따라서 특히 물리적인 카드가 처리될 필요가 없는 웹상의 구매에 잘 어울린다. VA의 최적화 결정은 계산 능력을 필요로 하며, 그러므로 우선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온라인 구매는 가분형 카드결제 인프라구조에 잘 어울린다. 나아가 이러한 인프라구조는 성장하는 무선 상거래(mobile commerce)에서도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분형 카드결제는, 의사결정 파라미터들 예컨대 신용카드 이자율, 신용한도, 및 부가적인 카드 혜택(빈번한 항공이용객에 대한 마일리지, 사용금액에 따른 캐쉬백이나 포인터적립제 등)을 고려함에 의해, 고객이 그들의 결제를 맞춤형으로 해주어 고객들에게 최대의 이익이 돌아가게 해줌과 동시에 그들의 신용카드를 보다 잘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러 카드를 통합해서 결재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카드를 사용하는 것보다 사용한도가 늘어나는 효과를 준다.
본 발명은 또한 기존의 결제 인프라구조에 약간의 수정만 가하면 접목될 수 있으므로 적용가능성이 높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24)

  1.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결제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신용카드들의, 적어도 신용카드 번호, 신용카드 만료일, 고객의 신상정보를 포함하여,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기 등록된 신용카드들의 특징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온라인 구매상품에 대한 구매금액의 결제에 최적인 신용카드조합을 찾아내어 상기 고객에게 추천하는 단계;
    추천된 신용카드조합을 고객이 승인하면 그 신용카드조합에 대응되는 가상카드를 발행하여 그 가상카드가 판매자를 위해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단계;
    판매자측으로부터 상기 가상카드의 청구정보가 제공되면 그 가상카드에 대응되는 신용카드조합의 각 신용카드별 청구정보를 해당 신용카드발행자의 컴퓨터시스템에 제시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모든 신용카드발행자의 컴퓨터시스템으로부터 승인을 받으면 상기 가상카드의 승인코드를 생성하여 판매자를 위해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판매자와 신용카드 발행기관들 간의 가분형 카드승인 프로세스가 처리되도록 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조합에는 등록된 신용카드들 중 어떤 신용카 드에 전체 구매금액 중 얼마의 분담액을 할당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며, 각 신용카드별 분담액은 각 신용카드별 결제능력과 월별이자율, 신용카드사용에 대해 신용카드발행기관이 제공하는 보너스 특징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고객에 대해 최대 효용성을 제공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조합은 아래의 신용카드의 효용 함수식 (1)에 의해 얻어지는 yi 값과 그에 대응되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정해지며, 상기 함수식(1)은 아래 식 (2) 내지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Figure 112004059827391-PAT00004
    여기서,
    S : 신용카드의 집합
    Y : 구매금액
    Ci : 신용카드 i에 대한 신용구매한도 금액
    Bi : 신용카드 i에 현재 이월된 차감잔액
    Ii : 신용카드 i의 이자율
    Pi : 신용카드 i의 월별 최소 결제액
    fi : 신용카드 i의 마일리지 보너스, 캐쉬백 보너스, 계속되는 프로모션 등과 같은 보너스 특징
    yi : 신용카드 i에 할당되어야 할 분담액
    wi : 고객의 선호도를 고려한 가중치
    vi : 함수기호
    i : 신용카드 인덱스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의 선호도는 a) 일련의 질문과 그 질문에 대한 다수의 후보 답을 제시하고 고객이 선택한 답에 할당된 가중치들을 합산하는 산출된 가중치로 나타내는 방법과, b) 여러 개의 비교성 질문을 제시하여 그에 대한 고객의 답에 의존하여 속성 '돈'의 가중치와 속성 '보너스마일'의 가중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점진적으로 그 가중치들의 더 정확한 값을 구하는 방법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5.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조합의 산출에 활용하기 위해, 상기 신용카드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신용카드조합을 산출하기 전에, 등록된 각 신용카드의 발행기관의 컴퓨터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각 신용카드의 적어도 현재의 차감잔액(Bi )과 이자율(Ii) 정보를 입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용카드조합을 추천한 후, 신용카드 i에 대한 차감잔액은 기존 차감잔액과 신용카드i에 할당된 분담액의 합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를 발행하여 판매자와 고객에게 제공하는 정보는 적어도 유일성이 보장되도록 부여된 가상카드 번호, 각 신용카드의 번호와 각 신용카드별 결제금액 정보를 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는 사용횟수가 소정 횟수로 제한되거나 또는 유효사용기간이 소정 기간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를 매개로 한 결제처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가상카드의 사용으로 인해 생긴 신용카드 차감잔액상의 변경내용을 반영하여 조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상기 고객이 액세스 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고객 스스로 각 신용카드에 대한 선호도 프로파일을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승인을 요청받는 신용카드 발행기관들의 컴퓨터시스템 중 어느 하나라도 승인거부를 회신하면 그 가상카드의 결제승인 전체가 거부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승인이 거부된 경우, 결제승인이 거부된 신용카드를 제외한 나머지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가상카드를 재발행 하여 다시 각 신용카드발행기관에 승인요청을 재시도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의 청구정보는 적어도 V-카드 번호, V-카드 만료조건, 총 청구금액, V-카드의 신용카드조합에 포함된 각 신용카드의 카드번호와 총 청구금액 중 각 신용카드에 분담액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된 신용카드조합 대신에, 상기 고객이 사용자그래픽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신용카드조합과 각 신용카드별로 할당할 분담액을 정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 방법.
  15. 고객의 단말기, 판매자의 온라인 쇼핑몰 운영을 위한 제1 컴퓨터 시스템, 신용카드 발행기관의 제2 컴퓨터시스템, 신용카드 발행기관과 판매자 간의 결제처리를 지원하는 제3 컴퓨터시스템과 각각 통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결제수단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신용카드들의, 적어도 카드번호, 카드만료일, 고객의 신상정보를 포함하여, 결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기 등록된 신용카드들의 특징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온라인 구매상품에 대한 구매금액의 결제에 최적인 신용카드조합을 찾아내어 상기 고객에게 추천하고, 추천된 신용카드 조합을 고객이 승인하면 그 신용카드조합에 대응되는 가상카드를 발행하여 그 가상카드가 판매자를 위해 상기 구매금액에 대한 결제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갖는 가상카드 에이전트부(V-card Agent: VA); 및
    판매자측으로부터 상기 가상카드의 청구정보가 제공되면 그 가상카드에 대응되는 신용카드조합의 각 신용카드별 청구정보를 해당 신용카드 발행기관의 컴퓨터 시스템에 제시하여 결제승인을 요청하고, 모든 신용카드 발행기관의 컴퓨터시스템으로부터 승인을 받으면 상기 가상카드의 승인코드를 생성하여 판매자를 위해 결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달함으로써, 판매자와 신용카드발행기관들 간의 가분형 신용카드승인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 가상카드 관리부(Virtual Card Manager: VCM)를 프로그램모듈 형태로 구비하고,
    소정의 구매를 고객의 선호를 고려하여 조합한 복수 개의 신용카드들을 이용하여 분할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용 컴퓨터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 에이전트부가 추천하는 상기 신용카드조합은 등록된 신용카드들 중 어떤 신용카드에 전체 구매금액 중 얼마의 분담액을 할당할 것인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각 신용카드별 분담액은 각 신용카드별 결제능력과 월별이자율, 신용카드 사용에 대해 신용카드발행기관이 제공하는 보너스 특징에 대한 고객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고객에 대해 최대 효용성을 제공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용 컴퓨터 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 에이전트부는 아래의 카드의 효용 함수식 (1)에 의해 얻어지는 yi 값과 그에 대응되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추천할 상기 신용카드조합을 정하며, 상기 함수식(1)은 아래 식 (2) 내지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용 컴퓨터 시스템.
    Figure 112004059827391-PAT00005
    여기서,
    S : 신용카드의 집합
    Y : 구매금액
    Ci : 신용카드 i에 대한 신용구매한도 금액
    Bi : 신용카드 i에 현재 이월된 차감잔액
    Ii : 신용카드 i의 이자율
    Pi : 신용카드 i의 월별 최소 결제액
    fi : 신용카드 i의 마일리지 보너스, 캐쉬백 보너스, 계속되는 프로모션 등과 같은 보너스 특징
    yi : 신용카드 i에 할당되어야 할 분담액
    wi : 고객의 선호도를 고려한 가중치
    vi : 함수기호
    i : 신용카드 인덱스
  18. 제 16항 또는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 에이전트부는, 상기 신용카드정보를 입력받은 후 상기 신용카드조합을 산출하기 전에, 등록된 각 신용카드의 발행기관의 컴퓨터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각 신용카드의 적어도 현재의 차감잔액(Bi )과 이자율(Ii) 정보를 입수하여 상기 신용카드조합의 산출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용 컴퓨터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 에이전트부는 최적화된 상기 신용카드조합을 추천한 후 신용카드 i에 대한 차감잔액은 기존 차감잔액과 신용카드i에 할당된 분담액의 합으로 갱신하고, 결제처리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가상카드의 사용으로 인해 생긴 신용카드 차감잔액상의 변경내용을 반영하여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용 컴퓨터 시스템.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는 사용횟수가 소정 횟수로 제한되거나 또는 유효사용기간이 소정 기간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용 컴퓨터 시스템.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 관리부는 상기 결제승인을 요청받는 신용카드발행기관들의 컴퓨터시스템 중 어느 하나라도 승인거부를 회신하면 그 가상카드의 결제승인 전체가 거부된 것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용 컴퓨터 시스템.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 관리부는 상기 결제승인이 거부된 경우, 상기 가상카드 에이전트부와 협력하여, 결제승인이 거부된 신용카드를 제외한 나머지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가상카드를 재발행 하여 다시 각 신용카드발행기관에 승인요청을 재시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용 컴퓨터 시스템.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의 청구정보는 적어도 가상카드 번호, 총 청구금액, 상기 신용카드조합에 포함된 신용카드들의 카드번호와 총 청구금액에 대한 각 신용카드별 분담액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용 컴퓨터 시스템.
  24.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카드 에이전트부는 상기 추천된 신용카드조합 대신에, 상기 고객이 사용자그래픽인터페이스(GUI)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신용카드조합과 각 신용카드별로 할당할 분담액을 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카드 결제서비스용 컴퓨터 시스템.
KR1020040108452A 2004-12-18 2004-12-18 온라인 구매 시 분할 결제가 가능한 카드 결제 방법과이를 위한 시스템 KR20060069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452A KR20060069775A (ko) 2004-12-18 2004-12-18 온라인 구매 시 분할 결제가 가능한 카드 결제 방법과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452A KR20060069775A (ko) 2004-12-18 2004-12-18 온라인 구매 시 분할 결제가 가능한 카드 결제 방법과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775A true KR20060069775A (ko) 2006-06-22

Family

ID=3716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452A KR20060069775A (ko) 2004-12-18 2004-12-18 온라인 구매 시 분할 결제가 가능한 카드 결제 방법과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977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562A1 (en) * 2010-10-12 2012-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WO2017086671A1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1968251B1 (ko) * 2018-07-25 2019-08-13 이지환 전자 결제를 위한 지능형 비서 시스템
US11544693B2 (en) 2011-07-20 2023-01-03 Harex Infotech, Inc. Complex paymen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complex payment metho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0562A1 (en) * 2010-10-12 2012-04-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9286112B2 (en) 2010-10-12 2016-03-1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Determining and dispatching processing agent for transaction processing
US11544693B2 (en) 2011-07-20 2023-01-03 Harex Infotech, Inc. Complex payment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and complex payment method
WO2017086671A1 (ko) * 2015-11-18 2017-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1968251B1 (ko) * 2018-07-25 2019-08-13 이지환 전자 결제를 위한 지능형 비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24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purchase transaction using rewards points
US10789607B2 (en) Multi-vendor multi-loyalty currency program
RU2490712C2 (ru) Способы и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формированием, сбором и распределением взносов в результат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латежных карт
RU2491634C2 (ru) Расчетный центр виртуальных очков
US75873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funding of electronic transactions
US8608061B2 (en)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associated rewards program
US200501253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etizing personal consumer profiles by aggregating a plurality of consumer credit card accounts into one card
US201403511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icing of merchant accounts
US200701623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funding of electronic transactions
US200700054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funding of electronic transactions
US20060208064A1 (en) Method for managing consumer accounts and transactions
US200200622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benefit recognition, acquisition, value exchange, and transaction settlement system using multivariable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US20060122932A1 (en) Efficient and incentivized enrollment in an automatic payment program for recurring bills
KR102094101B1 (ko) 연동형 디지털화폐 시스템 및 그 방법, 전용 디지털화폐와 연동되는 전자지갑 간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MX2013013903A (es) Un sistema para pago mediante monedero electrónico.
KR20070043560A (ko) 결제 고객 순번별 추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7852A (ko) 가상계좌를 이용한 지불 및 결제가 되는 카드 와전자화폐의 발행, 운용 시스템
JP2008501165A (ja) リアルタイム販売時点(pos)アドレス変更処理
US20230281710A1 (en) Tools for purchasing transactions
KR100942828B1 (ko) 전자바우처를 이용한 사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우처 정산방법
KR100775910B1 (ko) 차등 대금결제시스템 및 차등 대금결제방법
KR20120008229A (ko) 청구금액 분할 결제 방법
KR100503017B1 (ko) 서버가 제휴 사이트 및 오프라인 상점에서 전자 상거래를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69775A (ko) 온라인 구매 시 분할 결제가 가능한 카드 결제 방법과이를 위한 시스템
KR20090120129A (ko) 가상지갑의 충전 및 결제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