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147A -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147A
KR20060069147A KR1020040108251A KR20040108251A KR20060069147A KR 20060069147 A KR20060069147 A KR 20060069147A KR 1020040108251 A KR1020040108251 A KR 1020040108251A KR 20040108251 A KR20040108251 A KR 20040108251A KR 20060069147 A KR20060069147 A KR 20060069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nsor
sensing
messag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8380B1 (ko
Inventor
현은희
김성희
윤병식
최송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8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3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 장치는 센서들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여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센싱 장치는 주변의 환경적인 요소나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를 측정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휴대 단말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센싱부를 구동시키며, 센싱부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 또는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하여 휴대 단말로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센서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통합된 하나의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수의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른 휴대 단말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을 보다 소형화시켜서 사용자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유비쿼터스 시스템, 센서, 휴대 단말, 센싱 장치

Description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장치{Sens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for realizing Ubiquitous System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한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휴대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구현을 위한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메시지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센서의 메시지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와 주변의 환경 요소를 기초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의 컨테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여러 가지 종류의 센서들을 활용하는 서비스 개발이 휴대 단말 분야에서도 본격화되고 있다.
센서들은 휴대폰, PDA,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 단말에 내장될 수도 있고, 사람이나 사물 등 주변 환경이나 상황 속에 위치하여 정보수집 역할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의 일종으로 사용자의 현 위치나 건강상태, 주변의 기온이나 습도와 같은 환경적인 요소, 가속도, 자외선량, 지문이나 홍체 등의 생체인식에 의한 식별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정보들은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휴대 단말로 전달되며 휴대 단말은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화서비스나, 메세징 서비스, 멀티미디어 서비스뿐만 아니라, 이동하는 사용자의 기분이나 장소, 시간, 예정된 환경에서의 요구 사항들을 기반으로 각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모든 서비스를 항상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센서가 장착된 단말기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 10-2003-0096642호에 개시된"센서를 내장한 단말기"가 있다. 이 종래의 기술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폰에 온도/습도 센서를 부착하여 휴대폰 사용자가 있는 장소의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거나 경보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모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센서를 내장한 단말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 민국 특허공보 제 10-2004-7011569호 "습도 센서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프로세서 제어기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부식을 감소시키거나 막을 목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서 제어되어 습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적인 습도 센서를 구비한 단말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 민국 특허공보 제 10-2003-0043840호의 "지문 인식 센서를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기"는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인식센서를 구비한 휴대 통신 단말을 개시하고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휴대 단말에 특정 센서를 장착하여 특정 부가기능을 갖는 센서를 포함한 휴대 단말들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단말에 사용되는 센서들은 자체적으로 다양한 컴퓨팅 능력을 가지지 않고 단순히 특정 상황이나 상태를 인지하여 그 대상에 대한 정보를 얻는 정도의 작업을 하고 수집된 정보를 임의의 컴퓨팅 능력을 보유한 장치들로 전송한다.
따라서, 휴대 단말은 많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다수의 센서로부터 다수의 센서에 필요한 센서 인터페이스 장치도 구비하여 각각의 센서별 데이터를 휴대 단말의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아야 한다.
그 결과, 휴대 단말은 새로운 센서가 추가될 때마다 새로운 인터페이스 장치를 추가해야하므로 휴대 단말의 소형화가 어려워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휴대성이 감소하여 사용자의 단말 이용에 큰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장치의 추가에 따른 휴대 단말의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외부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표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처리하여,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도 다수의 외부 센서로부터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 처리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집된 다양한 센싱 정보들의 관계와 적용규칙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보다 효율적인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기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 장치는,
센서들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여, 센서들에 대한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부; 및 응용 서비스의 요청에 따라 소정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센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센서들로 전송하고,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 및 가공 처리하여 저장하고 응용 서비스부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센서 관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 관리부는 응용 서비스의 요청에 따라 소정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센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센서들로 전송하고, 센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는 센싱 정보 분석부; 센서들의 정보들간의 상관 규칙을 저장하고 있으며, 분석된 정보에 대한 상관 규칙의 존재 여부에 따라 분석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가공 처리하는 규칙 관리부;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와 규칙관리부로부터 가공 처리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규칙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정보가 설정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조건에 따라 수행되도록 설정된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로직 관리부; 및 센싱 정보 분석부, 로직 관리부, 규칙 관리부, 데이터 관리부를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응용 서비스부와 연결하는 응용 서비스 지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라서 휴대 단말과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센싱 장치는,
주변의 환경적인 요소나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를 측정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부; 휴대 단말과 메시지 송수신을 하는 휴대 단말 인터페이스부; 센싱부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및 휴대 단말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센싱부를 구동시키며, 센싱부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 또는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하여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다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한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비쿼터스 시스템(300)은 다수의 센서(100)와 각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수집하는 휴대 단말(20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휴대 단말(200)은 서로 다른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각각의 센서(1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에 적용하여 단말 사용자 컨텍스트 기반의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시스템(300)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센서(100)들은, 휴대 단말(200)로부터 전송 받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설정에 대하여 사용자의 현 위치나 건강 상태, 기온이나 습도, 풍속, 풍향, 자외선 량과 같은 주변의 환경적인 요소와 거리나 가속도, 운동력, 생체인식에 의한 식별정보, 정해진 이벤트의 발생 등의 사용자 컨텍스트(Context) 파악을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측정하여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
먼저, 이러한 센서(100)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휴대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100)와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200)은, 센서 인터페이스부(230), 센서 관리부(220), 응용 서비스부(210)를 포함한다.
센서 인터페이스부(230)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하여 센서(100)와 상호연동하는 장치로, 센서 관리부(220)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메시지를 센서(100)로 전송하고, 각 센서(10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센서 관리부(220)로 전달한다.
센서 관리부(220)는 각 센서(10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정보와 관련된 모든 처리를 담당하는 모듈로,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 가공, 저장, 관리하여 상위 응용 서비스부(210)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센서 관리부(220)는 센싱응용 서비스 지원 인터페이스부(221), 정보 분석부(222), 규칙 관리부(224), 로직 관리부(223), 및 데이터 관리부(225)를 포함한다.
센싱 정보 분석부(222)는 수집된 센싱 정보를 센서(100)의 종류 또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분석하며, 분석된 정보를 데이터관리부(225), 로직관리부(223), 규칙관리부(224)에 제공한다.
규칙 관리부(224)는 센서(100)로부터 얻어진 정보들간의 상관관계 및 임계치 등에 대한 규칙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정보들간에 유사한 규칙이 존재하는 경우 관련 있는 센서(100)로부터 정보수신을 시도하거나, 해당 센서로부터의 정보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는 유사한 규칙을 가지는 이러한 정보들을 통합하여 가공한다.
데이터 관리부(225)는 수집된 정보와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가공된 정보 및 센서(100)의 동작 이벤트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며, 수집된 정보가 사용자의 식별에 활용될 경우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와 매핑시켜 저장 및 관리한다.
로직 관리부(223)는 규칙관리부(224)로부터 정해진 규칙에 의하여 수행될 동작들을 정의하며, 규칙 관리부(224)에 의해 분석되고 가공된 정보들이 특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구동되어야 하는 기능 로직과 지정된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여 해당 이벤트 발생시 동작하는 처리 로직을 포함한다.
응용 서비스 지원 인터페이스부(221)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센서(100)로부터 수집된 정보 또는 규칙관리부(224)에 의해 가공된 정보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고, 응용 서비스부(210)의 판단에 따라 특정 조건이 판정되었을 경우 이에 상응하는 로직을 수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응용 서비스부(210)는 응용 서비스 지원 인터페이스부(221)로부터 전송 받은 센싱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소정의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응용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각각의 응용 서비스 소프트웨어는 소정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이에 대한 정보 요청을 센서 관리부(220)로 전달하며, 센서 관리부(220)의 센싱 정보 분석부(222)는 응용 서비스 지원 인터페이스부(221)로부터 전달되는 이러한 요청에 대하여 해당 센서(100)로 상기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메시지에 따라 동작하는 센서들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구현을 위한 센서의 구조를 도 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200)과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센서(100)는, 휴대 단말 인터페이스부(110), 정보관리부(140), 제어부(120), 센싱부(130)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 인터페이스부(110)는 휴대 단말(200)과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호연동을 하는 장치로, 휴대 단말(200)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 받아서 제어부(120)로 전달하며, 각 센싱부(130)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정보를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 특히, 센싱부(130)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물리적 접속 규격에 따라 전송 가능한 폼으로 변환하여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 인터페이스부(100)로는 직렬 및 병렬 통신, USB통신, 적외선 통신 등의 무선, 유선 통신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정보 관리부(140)는 센싱부(130)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를 휴대단말(200)로 전송되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20)는 센서(100)의 전반적인 메시지 제어 및 센서의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휴대 단말(200)의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센싱부(130)를 동작시키고, 각 메시지에 대한 응답 처리 및, 센싱부(130)로부터 수집된 정보에 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이외에도 제어부(120)는 센싱부(130)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비정상적인 상태가 발생하게 되면 해당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200)로 전달하여, 휴대 단말(200)이 센서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센싱부(130)는 주변의 조건이나, 환경, 주기, 기준들과 같은 주변의 환경적 인 요소와 거리나 가속도, 운동력, 생체인식에 의한 식별정보, 정해진 이벤트 발생등과 같은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측정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센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메시지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첨부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200)은 소정 센서(100)로 센싱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 또는 센서의 설정을 지시하는 지시메시지를 송신한다(S100). 구체적으로, 응용 서비스 지원 인터페이스부(221)로부터 전달되는 응용 서비스부(210)의 요청에 의해서나 혹은 센서 관리부(220)내의 로직 관리부(223)의 판단에 따라 메시지를 생성하여 센서 인터페이스부(230)로 전달하며, 상기 요청 메시지와 지시메시지는 센서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센서(100)로 전달된다. 이러한 요청 메시지와 지시 메세지에 따라 센서(100)는 센서의 동작 규칙이나 조건 등을 조절하고 지정된 주기나 시간에 주변의 정보를 측정하여 응답 메시지 형태로 다시 센서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센서 관리부(220)로 전송한다.
센서 관리부(220)의 센싱 정보 분석부(222)는 센서(100)로부터 전송받은 메시지를 토대로 정보를 수집한 센서의 종류와 수집된 정보가 어떠한 것인지를 판단하고(S102), 판단 결과를 규칙관리부(224)와 로직 관리부(223) 및 데이터 관리부(225)로 전송한다.
규칙관리부(224)는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대하여 다른 센서(100)로부터 얻어진 정보와의 상관된 규칙이 존재하는지 검사하여(S103), 해당 규칙이 존재하는 경우 관련이 있는 다른 센서(100)로부터의 정보수신을 시도하거나 이미 해당 정보가 데이터 관리부(225)에 존재하는 경우 이들을 통합하여 가공하고 현재의 컨텍스트를 판단한다. 즉, 제1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가 다른 제2 센서와의 정보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2 센서로 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정보를 수집한 다음에, 제1 센서로부터의 정보와 제2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통합 가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정보가 이미 수집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제2 센서의 정보와 상기 제1 센서의 정보를 통합 가공한다.
이와 같이 처리된 정보들을 데이터 관리부(225)와 로직 관리부(223)로 전송된다(S104, S105).
데이터 관리부(225)는 직접 센서(100)로부터 입력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와, 규칙 관리부(224)에 의하여 가공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S113). 예를 들어, 판별된 센서의 종류에 대하여 부여되는 식별 번호에 대응하여 수집된 정보, 가공된 정보 등을 매핑시켜 저장 및 관리한다. 이 때 상기 정보가 사용자의 식별에 활용될 경우에는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에 매핑시켜 저장 및 관리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관리부(225)는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뿐만 아니라 그들의 조합으로부터 얻어진 논리적인 정보들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두 개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의 조건을 조합하여 추출할 수 있는 상태나 각각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가 특정한 범위내에 있을 때 또 다른 센서의 정보가 어떠한 범위에 있을 경우를 분류 하여 등급이나 단계를 정의할 때 이러한 등급이나 단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 관리한다. 이에 따라 다음 센싱 주기 이전에 이를 활용하고자 할 때마다 매번 규칙을 적용하여 새로 가공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로직 관리부(223)는 데이터 관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 조건이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규칙관리부(224)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정보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 또는 지정된 이벤트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07),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해당 조건 만족시 수행되도록 설정된 기능 로직을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정보가 소정 이벤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 관련 로직을 구동시킨다(S108).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센서(100)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면, 응용 서비스 지원 인터페이스부(221)는 각 응용 서비스들에게 요청되는 정보를 제공한다(S109).
다음에는 센서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서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센서의 메시지 처리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단말(200)과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센서(100)는, 휴대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한다(S200).
센서의 휴대 단말 인터페이스부(110)는 휴대 단말(200)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부(120)로 전달하며, 제어부(120)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센싱부 (130)나 제어부(120)의 동작을 변경하기 위한 지시 메시지인지 아니면 센싱 정보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S202).
상기 단계(S202)의 판단 결과, 지시 메시지인 경우에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센싱부(130) 또는 제어부(120)의 동작변경에 따른 설정을 하고(S203), 설정 완료한 후에 설정 완료를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S204). 생성된 응답 메시지는 휴대 단말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휴대 단말(200)로 전송된다(S208).
상기 단계(S202)의 판단 결과, 전송된 메시지가 요청 메시지인 경우에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관리부(140)에 수집된 센싱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5). 그리고, 센싱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센싱부(130)를 구동시켜 센싱 정보를 수집하며(S206), 센싱부(130)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정보관리부(140)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제어부(120)는 정보 수집이 완료되면 정보 관리부(140)에 저장된 센싱 정보를 처리하여 휴대 단말 인터페이스부(110)로 전달하고, 휴대 단말 인터페이스부(110)는 수집된 센싱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200)로 전송한다(S207, S208).
한편 단계(S220)에서 이미 정보 관리부(140)에 센싱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된 센싱 정보가 휴대 단말 인터페이스부(110)에 의하여 휴대 단말(200)로 전송된다(S207, S208).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외부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표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송수신함으로써, 외부 센서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통합된 하나의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수의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단말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센서가 증가하여도 이들을 단말에 직접 부착하지 않고 통일된 하나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주변의 센싱 장비를 활용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을 보다 소형화시켜서 사용자의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집된 다양한 센싱 정보들의 관계와 적용규칙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보다 효율적인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환경에서 서로 다른 의미의 정보를 측정하는 다수의 센서들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한가지 정보를 통한 컨텍스트 획득에 비해 보다 정확하고 세분화된 컨텍스트를 얻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 각각의 개별적인 특성을 반영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휴대단말과 센서 사이의 물리적인 접속 규격이 상이한 환경에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활용함으로써, 휴대단말이 통합된 하나의 센서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센서를 동시에 활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새로운 센서의 추가나 기존 센서의 삭제 등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의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들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여, 상기 센서들에 대한 통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상기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서비스부; 및
    상기 응용 서비스의 요청이나 자체 로직에 따라 소정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센서들로 전송하고, 상기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 및 가공 처리하여 저장하고 상기 응용 서비스부로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센서 관리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관리부는,
    상기 응용 서비스의 요청이나 자체 로직의 판단에 따라 소정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센서들로 전송하고,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하는 센싱 정보 분석부; 및
    상기 센서들의 정보들간의 상관 규칙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분석된 정보 에 대한 상관 규칙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분석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가공 처리하는 규칙 관리부;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와 상기 규칙관리부로부터 가공 처리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데이터관리부;
    상기 규칙 관리부로부터 제공되는 정보가 설정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건에 따라 수행되도록 설정된 소정 동작을 수행하는 로직 관리부; 및
    상기 센싱 정보 분석부, 상기 로직 관리부, 상기 규칙 관리부, 상기 데이터 관리부를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응용 서비스부와 연결하는 응용 서비스 지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관리부는 제1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대하여 상관 규칙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상기 상관 규칙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제2 센서의 센싱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저장된 제2 센서의 센싱 정보와 상기 제1 센서의 정보를 통합 가공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상기 제2 센서의 센싱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2 센서로 센싱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정보와 상기 제1 센서의 정보를 통합 가공하여 출력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관리부는,
    상기 규칙 관리부에 의해 통합되어 가공된 메시지가 설정 조건을 만족할 때 수행되도록 설정된 기능 로직과, 소정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이벤트 발생시 이벤트를 처리하는 처리 로직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얻어진 정보가 사용자의 식별에 사용될 경우 사용자의 고유 식별자에 대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얻어진 정보 또는 상기 규칙 관리부에 의하여 처리된 정보를 매핑시켜 저장 및 관리하는 휴대 단말 장치.
  7. 휴대 단말과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구현하는 센싱 장치에 있어서,
    주변의 환경적인 요소나 사용자의 컨텍스트(context)를 측정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부;
    상기 휴대 단말과 메시지 송수신을 하는 휴대 단말 인터페이스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수집된 센싱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정보 관리부; 및
    상기 휴대 단말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센싱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 또는 상기 정보 관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휴대 단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센싱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감시 결과에 따라 센싱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센싱 장치.
KR1020040108251A 2004-12-17 2004-12-17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 장치 KR100628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251A KR100628380B1 (ko) 2004-12-17 2004-12-17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251A KR100628380B1 (ko) 2004-12-17 2004-12-17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147A true KR20060069147A (ko) 2006-06-21
KR100628380B1 KR100628380B1 (ko) 2006-09-27

Family

ID=3716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251A KR100628380B1 (ko) 2004-12-17 2004-12-17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38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295B1 (ko) 2005-11-04 2007-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센싱 정보 관리 장치 및방법
WO2008150062A1 (en) * 2007-06-04 2008-12-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wireless sensor network, and user interface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KR101383301B1 (ko) * 2007-06-29 2014-04-07 주식회사 케이티 현장 장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8787332B2 (en) 2007-06-04 2014-07-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wireless sensor network, and user interface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KR101538424B1 (ko) * 2012-10-30 2015-07-22 주식회사 케이티 결제 및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 단말
WO2017126740A1 (ko) * 2016-01-22 2017-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0307107B2 (en) 2014-10-16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perative sensing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cooperative sensing
US10516589B2 (en) 2016-08-31 2019-12-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nsor web management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sensor devices with physically imprinted unique frequency key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295B1 (ko) 2005-11-04 2007-03-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기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센싱 정보 관리 장치 및방법
WO2008150062A1 (en) * 2007-06-04 2008-12-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wireless sensor network, and user interface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US8787332B2 (en) 2007-06-04 2014-07-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wireless sensor network, and user interface system using biological signal sensor apparatus
KR101383301B1 (ko) * 2007-06-29 2014-04-07 주식회사 케이티 현장 장비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8424B1 (ko) * 2012-10-30 2015-07-22 주식회사 케이티 결제 및 원격 모니터링을 위한 사용자 단말
US9357381B2 (en) 2012-10-30 2016-05-31 Kt Corporation Security management in M2M area network
US9986428B2 (en) 2012-10-30 2018-05-29 Kt Corporation Security management in M2M area network
US10307107B2 (en) 2014-10-16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perative sensing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cooperative sensing
WO2017126740A1 (ko) * 2016-01-22 2017-07-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US10516589B2 (en) 2016-08-31 2019-12-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nsor web management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sensor devices with physically imprinted unique frequency keys
US11025517B2 (en) 2016-08-31 2021-06-0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ensor web management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sensor devices with physically imprinted unique frequency ke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380B1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93445B (zh) 应用程序使用数据的获取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0776800B1 (ko) 지능형 가제트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EP187401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tandby screen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of user's behaviour
US10276027B2 (en) Mobile device loss prevention
CN108681498B (zh) 一种cpu占用率的监测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06126015A (zh) 一种应用程序启动控制方法及终端
CN108353099B (zh) 一种ppg认证的方法和设备
CN108134838A (zh) 数据上报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JP2007004632A (ja) 仮想センサ
CN106331370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终端设备
KR100628380B1 (ko) 유비쿼터스 시스템 구현을 위한 센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휴대 단말 장치
CN116112341B (zh) 网络设备的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984401A (zh) 一种内存溢出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491998A (zh) 消息推送方法及相关设备
CN107423598B (zh) 一种解锁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6648460B (zh) 计步数据过滤方法及智能终端
KR102246760B1 (ko) 실험장치 관리 방법
CN109040457B (zh) 一种屏幕亮度调节方法及移动终端
CN107688498B (zh) 应用程序处理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CN115695626A (zh) 一种移动终端中用于识别应用程序的设备及终端
JP201818641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896896B (zh) 省电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8833660B (zh) 停车位信息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11638843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0743963B1 (ko)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