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8495A - 두발 외용제 - Google Patents

두발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495A
KR20060068495A KR1020040107202A KR20040107202A KR20060068495A KR 20060068495 A KR20060068495 A KR 20060068495A KR 1020040107202 A KR1020040107202 A KR 1020040107202A KR 20040107202 A KR20040107202 A KR 20040107202A KR 20060068495 A KR20060068495 A KR 20060068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growth
extract
chestnut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102004010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8495A/ko
Publication of KR2006006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밤나무속( Castanea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를 함유하는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에 관한 것이며, 특히, 탈모가 심한 사람이나, 두부가 얇아진 사람, 또는 두발이 이미 빠져버린 사람 등에 사용하여, 발모 및 육모를 촉진시키는 두발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밤나무, 추출 엑기스, 양모, 발모, 육모

Description

두발 외용제{Hair growth and restoration promoter}
도 1은 정수리 부분에 지름 7 cm 정도로 완전히 원형 탈모 남성(도 1 참조)에 본 발명의 두발 외용제를 적용하기 전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얻은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액으로 발모 및 육모 시험을 실시한지 6주 후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얻은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액으로 발모 및 육모 시험을 실시한지 16주 후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밤나무속(Castanea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를 함유하는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에 관한 것이며, 특히, 탈모가 심한 사람이나, 두부가 얇아진 사람, 또는 두발이 이미 빠져버린 사람 등에 사용하여, 발모 및 육모를 촉진시키는 두발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 종류의 발모ㆍ육모제(또는 두발 외용제)가 대머리, 희박한 모발, 비듬, 지방성 윤택 등의 생리학적 제증상에 대응해서, 그 예방이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모ㆍ육모제의 배합 약제로서는 주로 두피의 혈행 촉진, 모발 모세포의 활성화, 두피의 지질 분비 억제, 두발에의 영양 보급 등을 목적으로 한 것이 사용되고 있고, 예를 들어 종래 이러한 종류의 발모ㆍ육모제로서는 펜타데칸산 글리세리드, 세파란친, 쓴 풀 당약 추출액, 가용성 시스틴, 인삼 추출액, ℓ-멘톨, 이소프로필메틸페놀, 글리틸레틴산, 아세트산 토코페롤, 히노키티올, 고추 액체, 감초 엑기스, 니코틴산 아미드, 살리실산 등을 배합한 것이 알려져 있다.
발모ㆍ육모제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모발 성장이나 발모의 촉진, 탈모의 예방, 비듬의 발생 또는 가려움에 대해 효력을 지님과 동시에, 장기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나 피부 자극성이 없는, 안전성이 높은 것이 요망되고 있다.
한국특허공개번호 특1999-0075601(1999년10월15일)에는, 두피 질환 치료 및 발모 촉진 효과가 우수한 약제 조성물로서 복숭아 나무 껍질 추출물 70 ∼ 90중량%, 뽕나무 껍질 추출물 5 ∼ 25중량% 및 밤나무 껍질 추출물 5 ∼ 2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하는 두피 질환 치료 및 발모 촉진 효과가 우수한 약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약제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서는 밤나무 껍질과 다른 성분들을 함께 사용하고 있고, 밤나무 잎에 특이적으로 발모 및 양모에 유효한 성분이 있다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는 않다.
한국특허공개번호2003-0017172(2003.03.03, 등록번호0436384)에는 밤나무의 줄기 0.7 내지 1.7%, 밤나무의 새순 0.7 내지 1.7% 등, 63종류의 천연식물 추출액을 혼합하여 제조한, 피부미용, 치아미백, 음주 후의 구역질 예방, 발모촉진제에 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발명 또한 밤나무 잎에 특이적으로 발모 및 양모에 유효한 성분이 있다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는 않다.
또한, 민간에서는 밤을 검게 태워 참기름에 이겨 발라 탈모를 치료하고, 밤알을 달여 먹어 만성 구토와 당뇨병 치료에 사용하며, 코피가 멎지 않을 때 불에 구운 가루를 죽에 타서 먹었다고 한다. 또한, 옛날에는 열매의 속껍질을 가루로 만들어 꿀과 섞어 얼굴에 바르면, 윤이 나고 주름살이 펴진다고 알려져 있으나 밤나무 자체의 잎이나 가지와 관련하여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합 성분을 가지는 종래의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로는 심한 탈모가 일시적으로는 치료되지만 희박한 모발이 짙어지는 일은 없고, 시기가 지나면 탈모가 재발되어 버리고, 그만큼 만족할만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 상태이다. 또, 두발이 이미 빠져버린 사람에게 사용해도 반년쯤 경과한 후에 솜털이 돋아나오는 정도로써, 그 이상으로 성장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자는 상기 실상에 비추어, 종래의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가 만족할만한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것은 모근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성분 및 두발의 기립(즉, 강인화)을 촉진시키는 성분의 부족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되어, 보다 우수한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를 개발하기 위해 깊이 연구한 결과, 특정 종의 식물 추출 엑기스에는 발모를 촉진함과 동시에 두발을 기립시켜 그 성장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여, 이들 식물 추출 엑기스가 유효한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가 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킨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탈모가 심한 사람이나 두부가 얇아진 사람, 또는 두발이 이미 빠져버린 사람 등에 사용함으로써, 두부의 개선을 도모해서 탈모의 감소 및 두발 성장을 단기간 동안에 촉진시킬 수 있는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는 유효 성분으로서 Castanea속의 밤나무 식물의 추출 엑기스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의 출처가 되는 밤나무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서 학명은 Castanea crenata var. dulcis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분포지역은 아시아·유럽·북아메리카·북아프리카 등의 온대지역으로서 서식장소는 산기슭이나 밭둑이며 높이는 10∼15m, 지름은 30∼40cm정도 이다. 밤나무속(屬) 식물은 아시아·유럽·북아메리카·북아프리카 등의 온대지역에 13종이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중 과실로 이용하는 중요한 종은 일본밤(C. crenta), 유럽밤(C. sativa), 중국밤(C. mollissima), 미국밤(C. dentata) 등이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그냥 내버려두는 방식으로 재배해왔다. 뚜렷한 품종이 많지 않았으나, 지역의 특산물로 이름을 붙인 평양밤(함종밤)·양주밤(불밤) 등이 유명하였다. 1958년 무렵에는 외부에서 들어온 밤나무 혹벌이 큰 피해를 주어 거의 전멸하기에 이르자, 일본에서 해충에 강한 품종을 들여왔다. 1961년부터는 임업시험장에서 한국 재래종 가운데, 해충에 강한 밤 우량종 선발사업을 시작하여 10여 품종을 발표하였다.
상기의 대부분의 밤나무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이 발모 및 육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국 토종의 밤나무로부터 추출한 성분의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너도 밤나무, 마로니에 밤나무는 그 효과가 떨어졌다.
발명의 유효 성분인 식물 추출 엑기스는 상기한 밤나무의 꽃, 뿌리, 줄기, 가지, 잎 또는 전체 초목에서 얻어지는 추출 엑기스이지만, 특히, 잎과 가지, 특히 잎의 추출 엑기스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추출 용매로서 수용성 용매, 특히 물이 바람직하하다.
이 식물 추출 엑기스에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동식물유, 염화나트륨 등 일반 화장료에 첨가되는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 식물 추출 엑기스의 제조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아래와 같다.
가을에 건조되고 황갈색으로 변화한 상태에서 채취한 밤나무 잎 1 kg당 물 10 - 30리터를 적당한 용기에 넣고 30 - 60분간, 90 - 100℃로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밤나무 잎과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고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액을 수득한다. 장시간 가열하므로 상당부분의 수분이 증발되어 최초 수분의 약 30% 정도의 수분만 남게된다. 수득된 유효 성분이 추출된 용액에 다시 그 2배 정도의 물을 추가하고 여기에 다시 밤나무 잎 1kg 정도를 추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가열한다. 다시 추출된 용액에 밤나무 잎과 물을 추가하여 가열하는 단계를 3-6회 반복한다.
이와 같이 가열 추출 과정을 반복하는 목적은 주로 유효성분의 농축을 위하 것이므로, 최초에 수득한,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액을 감압농축 등의 방법으로 유효성분을 농축하여도 무방하다.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액은 부패하기 쉬우므로 냉장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하다면 소량의 생체 적합성 방부제,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약품 및 냄새를 감소 또는 제거하여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이는 향료 등, 공지된 첨가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는 이상과 같이 해서 얻은 식물 추출 엑기스에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방부제로서의 벤조산, 산화 방지제로서의 비타민 E, 또는 pH값의 조정제로서의 비타민 C 등, 참기름 등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물, 알코올 등에 의해 희석해서, 장기 보존에 견딜 수 있게 해서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는 상기 식물 추출 엑기스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지만, 다른 배합성분으로서 종래 양모제 배합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적절하게 배합 첨가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배합성분으로서는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동식물유, 염화나트륨 등이 열겨된다.
이 경우의 비타민류로서는,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니코틴산), 비타민 C, 비타민 E, 판토텐산 나트륨, 판토텐산 칼륨, 비오틴 H(비타민 H) 등이 열거된다.
또, 아미노산류로서는 도파가 열거된다.
또한 동식물유로서는 마유, 난유, 올리브유, 동백유, 유채기름, 참기름, 배 아유등이 열거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식물 추출 엑기스에 첨가, 배합해도 좋은 이들 성분의 일반적인 작용, 효능 등을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즉, 비타민 A는 점막, 신경 보호에 도움이 되어, 모공성 각화증에 우수한 효과가 인정되고 있는 것이며,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등의 비타민 B류는 피부, 점막의 신경을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두피를 활성화시키고, 세포 호흡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비타민 C는 두피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판토텐산 나트륨, 판토텐산 칼륨은 모발을 향상시켜서, 백발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비타민 E는 혈행 촉진 또는 모발 모세포 부활작용을 가지며, 또한 비오틴 H(비타민 H)는 식물유와 서로 혼합됨으로써, 모근을 활성화시켜 탈모를 방지하는 작용이 있다.
또 도파(US5750107에 기재된 성분)는 체내에서 효소 분해되어, 새로운 피부와 두발에 필요한 멜라닌 색소의 전구 물질로 된다.
마유, 올리브유, 동백기름, 유채기름, 참기름, 배아유 등의 동식물유는 두피를 부드럽게 하고, 특히 참기름은 상기한 비오틴과 서로 혼합됨으로써 모근을 활성화시키고, 탈모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염화나트륨은 그 첨가 농도를 조정함으로써, 식물 추출 엑기스 성분의 두피로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침투압적인 작용을 가지며, 배합되는 각 성분을 모공의 심층부까지 스며들게 하여 모근을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특히 식물 추출 엑기스에 의해서 두발의 기립(즉 강인화)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탈모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두발을 단시간에 성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에 있어서는 상기한 식물 추출 엑기스에 이들 첨가 배합성분을 적절하게 조합시켜서, 보다 효과가 우수한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따르면, 특히 탈모가 심한 사람이나 두부가 얇아지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식물 추출 엑기스에 첨가해서 비오틴 H, 참기름, 염화나트륨을 배합 첨가할 수 있고, 이미 두발이 빠져버린 사람에 대해서는 이에 덧붙여 도파를 배합 첨가할 수 있고, 또 도발의 회복 기간을 더욱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성분에 더해 다시금 배아유를 배합 첨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도파, 비오틴 H, 참기름, 배아유 및 염화나트륨의 배합 비율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각각의 비율이 총중량에 대해, 도파에 관해서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0.3 중량%, 비오틴에 관해서 0.05 내지 0.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0.5 중량%, 참기름에 관해서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1.5 중량%, 배아유에 관해서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1.5중량%, 염화나트륨에 관해서 0.5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2 중량%의 각 범위내이다. 더욱이, 식물 추출 엑기스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에 있어서는 이들 성분 및 배합 비율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상 증상에 맞춰 변화시킴으로써, 식물 추출 엑기스의 발모ㆍ육모 작용을 상승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자의 별도 검토에 의하면, 식물 추출 엑기스의 발모ㆍ육모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현시켜서 단기간에 발모ㆍ육모 효과를 얻기 위한 바람직한 배합의 예시로서는, 식물 추출 엑기스에 더해 비오틴 H, 판토텐산 나트륨, 나이아신, 염화나트륨, 및 식물유로서 참기름, 및 배아유, 동물유로서는 마유를 배합한 것이 양호하다.
그러나, 어느쪽이든 본 발명의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에 있어서는 필수 유효 성분으로서 식물 추출 엑기스를 함유해서 이루어진 것이면 좋고, 상기한 배합, 첨가 성분의 조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는 탈모가 있는 사람이나 두부가 얇아지고 있는 사람에게 사용함으로써, 염화나트륨의 침투압 작용에 의해서 참기름과 비오틴 H를 모공의 심층부까지 스며들게 하여 모근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유효 성분인 식물 추출 엑기스에 의해서 두발의 기립(즉 강인화)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탈모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두발을 단기간에 성장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는 두발이 이미 빠져버린 사람에게 이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를 사용함으로써, 도파가 체내에서 효소 분해되어, 새로운 피부와 모발에 필요한 멜라닌 색소로 되므로, 두발을 단기간에 회복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11월경 대한민국 경남 양산 소재의 야산에서 한국 토종 밤나무 잎 1 kg을 채취하여, 20리터 용기에 물 15리터와 함께 넣고 50분 동안 100℃로 가열하였다. 밤나무 잎을 제거하고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액 5리 터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용액 5리터에 물 10리터 및 밤나무 잎 1kg을 상기 20리터 용기에 추가하여 50분동안 100℃로 다시 가열하였다. 밤나무 잎 1kg 및 물 10리터의 추가 및 가열 과정을 4회 더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액 5리터를 수득하여 발모ㆍ육모용 외용제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의 사용 결과를 나타낸다.
정수리 부분에 지름 7 cm 정도로 완전히 원형 탈모의 남성(도 1 참조)에 대해서 실시예 1에서 얻은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액을 발모ㆍ육모용 외용제를 이용하여 발모 및 육모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된 유효성분 용액을 발모ㆍ육모용 두발 외용제로 연일 사용한 결과, 2주 후에는 탈모가 완화되었고, 3주 후에는 발모가 확인되었으며, 4주 후에는 새 모발의 성장을 확인하였다. 6주 후에는 맨살갗이 상당히 보이지 않을 정도로 두발이 성장한 것이 확인되었다(도 2 참조). 16주 후에는 대부분의 탈모 부분에 발모 현상이 발생하여 두발이 성장한 것이 확인되었다(도 3 참조).
[실시예 3]
이마에서 정수리까지 윗머리가 완전 탈모인 남성과, 완전 탈모가 이루어진 부분은 없으나 머리 전체에 심한 탈모가 이루어진 남성에 대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시험을 실시한 결과, 실시예 2와 유사한 발모, 탈모 예방 및 모발 강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실시예 1에서 얻은 유효성분이 추출된 용액을 발모ㆍ육모용 외용제를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일 두피에 발라도 홍반, 부종, 가려움증이 발생하지 않아, 거의 피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밤나무속 식물의 추출 엑기스를 함유하는 발모ㆍ육모를 위한 외용제이지만, 상기에 상세히 기술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모근을 활성화시키고, 유효 성분인 식물 추출 엑기스에 의해서 두발의 기립(즉, 강인화)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탈모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두발을 단시간에 성장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유효 성분으로서 밤나무속( Castanea) 식물의 추출 엑기스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 외용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식물 추출 엑기스가 한국 토종 밤나무인 추출 엑기스인 두발 외용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식물 추출 엑기스가 상기 밤나무의 잎으로 부터 추출되는 두발 외용제.
  4. 청구항 3에 있어서,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동식물유, 염화나트륨을 1종 이상 더 함유하는 것인 두발 외용제.
KR1020040107202A 2004-12-16 2004-12-16 두발 외용제 KR20060068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202A KR20060068495A (ko) 2004-12-16 2004-12-16 두발 외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202A KR20060068495A (ko) 2004-12-16 2004-12-16 두발 외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495A true KR20060068495A (ko) 2006-06-21

Family

ID=3716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202A KR20060068495A (ko) 2004-12-16 2004-12-16 두발 외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849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421B1 (ko) * 2007-03-29 2007-11-05 오션코리아 주식회사 탈모방지, 발모촉진 또는 육모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94446B1 (ko) * 2006-08-03 2008-01-16 남종현 발모촉진제 및 제조방법
KR20160014306A (ko) * 2014-07-29 2016-02-11 아인코스 주식회사 호두 및 밤 복합 발효추출물의 나노 에멀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4322A (ko) * 2014-07-29 2016-02-11 이수혜 호두 및 밤의 복합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화장료 조성물
KR102247777B1 (ko) 2020-12-02 2021-05-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천태오약, 자귀나무 및 밤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446B1 (ko) * 2006-08-03 2008-01-16 남종현 발모촉진제 및 제조방법
WO2008016230A1 (en) * 2006-08-03 2008-02-07 Jong Hyun Nam Hair growth stimula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8394433B2 (en) 2006-08-03 2013-03-12 Jong Hyun Nam Hair growth stimula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773421B1 (ko) * 2007-03-29 2007-11-05 오션코리아 주식회사 탈모방지, 발모촉진 또는 육모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14306A (ko) * 2014-07-29 2016-02-11 아인코스 주식회사 호두 및 밤 복합 발효추출물의 나노 에멀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4322A (ko) * 2014-07-29 2016-02-11 이수혜 호두 및 밤의 복합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화장료 조성물
KR102247777B1 (ko) 2020-12-02 2021-05-0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천태오약, 자귀나무 및 밤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potential traditional Indian herbs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KR10075723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KR100794447B1 (ko) 발모촉진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68878B1 (ko) 발모제 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발모제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30490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794446B1 (ko) 발모촉진제 및 제조방법
KR100870253B1 (ko) 샴푸
KR10144301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47651B1 (ko) 두발 건강유지 및 모발 생장촉진 원료추출물
KR101184184B1 (ko)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KR0157667B1 (ko) 발모ㆍ육모제
JP2564226B2 (ja) 発毛・育毛剤
KR102088597B1 (ko)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20060068495A (ko) 두발 외용제
KR100977673B1 (ko) 식물복합 추출물(칠백진고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 촉진용 및 피부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7216B1 (ko)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3085A (ko)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98647B1 (ko) 발모촉진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03108B1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20110020691A (ko)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56156A (ko) 볏짚 및 들깨꼬투리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29446B1 (ko) 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20060121424A (ko) 발모촉진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99368B1 (ko) 트리트먼트 기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KR100753863B1 (ko) 탈모방지 및 양모 활성 보조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