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8279A - Apparatus for tightening the top of foot in leisure sport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ightening the top of foot in leisure spor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279A
KR20060068279A KR1020040106929A KR20040106929A KR20060068279A KR 20060068279 A KR20060068279 A KR 20060068279A KR 1020040106929 A KR1020040106929 A KR 1020040106929A KR 20040106929 A KR20040106929 A KR 20040106929A KR 20060068279 A KR20060068279 A KR 20060068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wire
instep
sole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71537B1 (en
Inventor
이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04010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1537B1/en
Publication of KR20060068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2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15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2Slide or glide fasten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중심의 이동과 좌우 발의 움직임으로 방향과 스피드를 조절하는 스노우 보드에 있어서, 보드의 에지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발목을 압박하여 발발뒤꿈치를 밑창 측으로 고정하는 발등조임대를 부츠 내측에 설치하고, 와이어 고정장치로 발등조임대와 연결된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당겨주거나 해제하여 발등조임대를 간단하게 조이고 풀어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며 발이 신발 안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부츠의 바닥 밑창과, 부츠 상단의 부츠갑피테두리와, 상기 밑창과 부츠갑피테두리 사이에 연장되는 부츠갑피와, 상기 부츠갑피테드리의 내측에 설치되는 발등보호갑피와, 상기 부츠갑피테두리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끈으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부츠에 있어서,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내측에 설치되어 발등을 밑창으로 압박하는 발등조임대와, 상기 발등조임대을 통과하여 상기 발등조임대를 발등으로 당겨주어 발뒤꿈치를 밑창에 밀접하게 고정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당겨주거나 해제하는 와이어 고정장치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nowboard to adjust the direction and speed by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feet, the foot tightening to secure the heel to the sole side by pressing the ankle to improve the edge control ability of the board to the inside of the boot Foot restraint device for leisure sports shoes, which is installed, and by selectively pulling or releasing the wire connected to the foot fastener with wire fixing device, simply tighten and loosen the foot fastener to fix the heel to the sole and prevent the foot from moving in the shoe. It is about.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le of the bottom of the boot, the boot upper shell of the top of the boot, the boot upper extending between the sole and the boot upper frame, the upper protection upper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boot upper, and the boot In the boots for leisure sports consisting of a fastening strap connected in a zigzag between the upper rim, the foot tight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step of the instep and presses the foot to the sole, and through the foot fastening And a wire fixing devic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 to selectively pull or release the wire by pulling on the instep and closely fixing the heel to the sole.

레저 스포츠, 스노우 보드, 부츠, 라이너, 바인더Leisure sports, snowboarding, boots, liner, binder

Description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Apparatus for tightening the top of foot in leisure sports}Foot tightening device for leisure sports shoes to fix the heel to the sole. {Apparatus for tightening the top of foot in leisure sports}

도 1은 종래의 스노우 보드 상에 바인딩된 부츠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ots bound on a conventional snowboard.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에지조절시 부츠 내부에서 발뒤꿈치의 고정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측면도.Figure 2a and Figure 2b is a partial cutaway side view showing a change in the fixed state of the heel inside the boot during the conventional edge adjustm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노우 보드 상에 바인딩된 부츠와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ots and the foot tightening device bound on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부츠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절개 측면도.Figure 4 is a partial cutaway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ot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부츠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5 and 6 are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ot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한 에지조절시 부추와 발뒤꿈의 고정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Figures 7a and 7b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the fixed state of the leek and heel during edg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tep tightening device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Figure 9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tep tightening device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Figure 10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tep tightening device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부츠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ot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Figure 1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tep tightening device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골프화 및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olf shoe and instep tightening device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골프화의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step tightening device of a golf shoe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Codes for Major Configurations of Drawings **

100: 부츠 102: 스노우 보드100: boots 102: snowboarding

104: 바인더 106: 라이너104: binder 106: liner

110: 밑창 120: 부츠갑피테드리110: sole 120: boots upper feet

122: 내장견인부 124: 내장홀122: internal towing unit 124: internal hole

126: 외장견인부 128: 외장홀126: exterior towing unit 128: exterior hole

130: 부츠갑피 132: 외측갑피130: boot upper 132: outer upper

134: 내측갑피 140: 조임끈134: inner upper 140: cap

150: 발등보호갑피 150a: 정강이부150: instep protective upper 150a: shin part

150b: 복사뼈부 150c: 발등부150b: Astragalus 150c: Instep

152: 외피 154: 내피152: jacket 154: jacket

156: 쿳션층 158: 보강부재156: cushion layer 158: reinforcing member

160: 보아 래칭 시스템 162: 내측 플레이트160: boa latching system 162: inner plate

164: 외측 플레이트 200, 300, 400: 발등조임부164: outer plate 200, 300, 400: instep fastener

210: 발등조임대 212: 조임홀210: tightening instep 212: tightening hole

214: 봉제선 216: 리벳214: seam 216: rivet

220: 와이어 222: 튜브220: wire 222: tube

230: 와이어 고정구 240: 밑창홀230: wire fixture 240: sole hole

242: 하단홀 244: 후방홀242: lower hole 244: rear hole

246: 상단홀 260: 와이어246: top hole 260: wire

262: 튜브 264: 봉제선262: tube 264: seam

310: 고정밴드부 320: 이동밴드부310: fixed band portion 320: moving band portion

410: 발등압박밴드 420: 연결고리부410: instep compression band 420: connecting part

430: 결합부재 432, 434: 밸크로 매직테이프430: coupling member 432, 434: Velcro magic tape

본 발명은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중심의 이동과 상하 좌우로 발을 움직임으로 스피드와 방향이 조절되는 스노우 보드에 있어서, 특히 부츠 내에서 발이 임의대로 움직이게 되면 에지조절을 잘 할 수 없기 때문에 발과 부츠가 밀접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부츠 내에 발목 위를 고정하는 고정띠를 조일 수 있는 발등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t fastening device for leisure sports shoe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snowboard that the speed and direction are adjusted by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moving the feet up and down, left and right, in particular boots When the foot moves arbitrarily within, it is not possible to adjust the edge well, so that the foot and the boots are tightly connected to the foot fastening device that can tighten the fastening straps to secure the ankle in the boots to maintain.

스노우 보드 타기의 인기는 사실상 해마다 증가하여, 최근 레저 스포츠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다. 스포츠로서의 인기가 증가함에 따라 고도의 동작을 위한 정교한 장비의 요구도 함께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The popularity of snowboarding has actually increased year by year, and has recently become widespread as a leisure sport. As the popularity of the sport increases, the demand for sophisticated equipment for the high degree of movement is also increasing.

도 1에는 스노우 보드 상에 바인딩된 부츠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스노우 보드(10) 상에는 부츠(Boots: 20)를 착탈하기 위해 바인더(30)가 사용되고 있다. 즉, 스키장에서 이동시에는 부츠(20)를 스노우 보드(10)로부터 분리하여 스노우 보드(10)를 들고 다니다가, 스노우 보드(10)를 탈 때에는 부츠(20)를 스노우 보드(10) 상에 장착하는 데에 바인더(30)가 사용되는 것이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nfiguration of boots bound on a snowboard. On the snowboard 10, a binder 30 is used to attach and detach the boots 20. That is, when moving in a ski resort, the boots 20 are removed from the snowboard 10 to carry the snowboard 10, and when the snowboard 10 is mounted, the boots 20 are mounted on the snowboard 10. The binder 30 is used to do this.

특히, 보드(10) 상에 한 쌍으로 고정되어 부츠(20)를 구속하는 밴드로 된 상기 바인더(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10)상에 고정 형성되는 프레임(32)과, 이 프레임(32)에 결합되어 부츠(20)의 뒤축을 감싸는 뒤축고정대(34)와, 그리고 상기 프레임(32) 및 뒤축고정대(34)에 연장,결합 및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다수의 밴드(36,38)로 구성되어 있다. In particular, the binder 30, which is a band fixed to the board 10 to restrain the boots 20, is fixed to the board 32 and formed on the board 10 as shown in FIG. 1. And a plurality of bands coupled to the frame 32 to surround the heel of the boot 20 and the band 32 and the band 32 and the heel holder 34 extending, coupled and detachable. It consists of (36,38).

즉, 부츠(20)의 뒤축이 뒤축고정대(34)에 밀착되는 상태로 프레임(32)상에 놓이고, 이와 같은 상태 하에서 다수 밴드(36, 38)들을 탈착구(40)의 결합에 따라 신축 혹은 연장시킴으로써, 부츠(20)를 보드(10)상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That is, the heel of the boot 20 is placed on the frame 32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fixing stand 34, and under such a state, a plurality of bands 36 and 38 are stretch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detachable opening 40. Alternatively, the boots 20 are coupled onto the board 10 by extension.

또한, 스노우 보드(10)를 즐기기 위하여 상기 부츠(20)를 신기 전에 발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라이너(50)를 덧신는다. 라이너(50)를 신은 다음 라이너(50)의 끈(도시되지 않음)을 조여 라이너(50)와 발을 밀접하게 유지한다.In addition, the liner 50 is overlaid to protect the ankles before wearing the boots 20 to enjoy the snowboard 10. The liner 50 is worn and then the straps (not shown) of the liner 50 are tightened to keep the liner 50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이와 같이, 스노우 보드(10)를 효과적으로 즐기기 위하여 발목 위를 보호하는 라이너(50)를 덧신은 상태에서 끈(도시되지 않음)으로 조여 발과 라이너(50)의 유동을 방지하며, 라이너(50)를 덧신은 상태에서 부츠(20)를 신고 조임끈(60)을 조여 발과 라이너(50) 그리고 부츠(20)를 밀접하게 한 다음 바인더(30)로 부츠(20)를 보드(10) 상에 고정시키면 발, 라이너(50), 바인더(32), 부츠(20) 그리고 보드(10)가 일체로 밀착 결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스노우 보딩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As such, in order to effectively enjoy the snowboard 10, tighten the liner 50 to protect the ankle in the state of the oversized with a strap (not shown) to prevent the flow of the foot and the liner 50, the liner 50 Wear the boots 20 in the state of overshoeing, tighten the lanyard 60 to close the feet, the liner 50 and the boots 20, and then fix the boots 20 on the board 10 with the binder 30. If the foot, liner 50, binder 32, boots 20 and the board 1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user will be able to enjoy snowboarding as desired.

하지만, 스노우 보드(10)를 이용하여 눈 위를 활강할 때 스노우 보드(10)를 하나의 자세로만 타는 것이 아니라 방향을 변경하거나 속도를 내고자 할 때 여러 가지 자세를 취하게 되는데, 특히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속도를 내고자 할 때 지면 상에 스노우 보드(10)가 사용자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채 기울려 활강하게 되며, 이 때 발목이나 발끝 쪽에 집중적인 부하를 받게 된다.However, when sliding on the snow using the snowboard 10, the snowboard 10 is not only riding in one position, but in various positions when changing direction or speeding up, in particular, minimizing resistance. While trying to speed up while the snowboard 10 is tilted to the slop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angle to the front or rear of the user on the ground, at this time intensive load on the ankle or toe side.

사용자가 후방으로 자세를 기울려 뒤쪽 혹은 뒤꿈치쪽 회전을 시도하고자 스노우 보드(10)의 일측 가장자리를 기울일 때는 종아리 부위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근육의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반대로 앞쪽 혹은 발앞꿈치쪽 회전을 시도하고자 스노우 보드(10)의 타측 가장자리를 기울일 때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뒤꿈치가 부츠(20)의 바닥에서 이격된 채 원하는 만큼 스노우 보드(10)가 사용자의 앞쪽으로 기울려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종아리 근육에 상당한 부담을 주게 된다.When the user tilts one side of the snowboard 10 to tilt the posture to tilt the rear or heel, the support can be installed on the calf to reduce the burden on the muscle, but on the contrary, the front or heel rotation is attempted. When the other edge of the snowboard 10 is tilted, as shown in FIG. 2B, the snowboard 10 may not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user as much as desired while the heel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boot 20. This will put a significant strain on the calf muscles.

특히, 발뒤꿈치가 바닥에서 이격되고 발뒤꿈치와 부츠(20) 바닥이 밀접하게 유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급속 회전이나 묘기와 같이 발목과 발의 고도의 힘이 요구되는 자유형 자세에 있어서 상당히 불리하며, 다양하고도 고도한 테크닉을 구현하기 어렵다.In particular, when the heel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nd the heel and the boots 20 are not closely held, it is quite disadvantageous in the freestyle posture that requires high strength of the ankle and the foot, such as a rapid rotation or a stunt. It is also difficult to implement advanced techniques.

그리고, 발목이나 종아리 부위의 근육만이 집중적으로 사용되면 부상의 우려가 있고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될 때 큰 사고를 당하게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only the muscles of the ankle or the calf are used intensively, there is a risk of injury and a serious accident when the situation is in danger.

뿐만 아니라, 골프나 등산 혹은 인라인스케이트를 즐기는 경우에도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ccur when playing golf, mountain climbing or inline skating.

골프는 양 발을 지면에 고정한 채 허리와 어깨만을 움직여서 스윙하는 것으로 양 발이 지면에서 움직이거나 떨어지게 되면 안정적인 자세가 나올 수 없다. 특히, 초보자의 경우 자칫 발앞꿈치에 힘을 주어 스윙을 하게 되면 발뒤꿈치가 골프화의 바닥에서 분리되어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없게 된다.Golf is swinging with only the waist and shoulders with both feet fixed to the ground. When both feet move or fall off the ground, a stable posture cannot be achieved. In particular, if you are a beginner when swinging on the heels, the heels are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golf shoes can not take a stable position.

등산화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등산화의 조임끈을 빈틈없이 조인다고 하더라도 빗타길을 오를 때 발뒤꿈치가 바닥에서 분리되어 발등과 발목 부위에 무리가 가해진다.The same applies to hiking boots. No matter how tightly the climbing straps are tied, the heel separates from the floor as you climb the trail, exerting pressure on your instep and ank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자세를 자유자제로 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앞쪽으로 자세가 기울었을 때에도 발과 부츠가 밀접하게 유지되어 발 목과 종아리 근육에 부하를 덜어주고 원하는 테크닉을 정밀하게 발끝까지 전달할 수 있도록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 스포츠용 발등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ake the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freely, even when the user is inclined to the front of the foot and boots It is to provide an insole fastener for leisure sports that keeps the heel on the sole so that the heel is closely held to relieve the load on the ankle and calf muscles and deliver the desired technique precisely to the toes.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츠의 바닥을 이루는 밑창과, 부츠의 상단을 형성하고 그 전면은 U자 형상을 이루는 부츠갑피테두리와, 상기 밑창과 부츠갑피테두리 사이에 연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갑피와 발과 밀접하는 내측갑피로 구성되는 부츠갑피와, 상기 U자형 부츠갑피테드리의 내측에 설치되는 발등보호갑피와,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외측에서 상기 부츠갑피테두리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끈으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부츠에 있어서,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내측에 설치되어 발등을 밑창으로 압박하는 발등조임대와, 상기 발등조임대을 통과하여 상기 발등조임대를 발등으로 당겨주어 뒤꿈치를 밑창에 밀접하게 고정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당겨주거나 해제하는 와이어 고정장치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le of the bottom of the boot, the upper end of the boot and the boots upper shell forming a U-shape, the sole and boots A boot upper consisting of an outer upper extending between the upper edge and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n inner upper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an upper protective upper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U-shaped upper upper boot, and an outer protective upper In the boots for leisure sports consisting of a fastening straps zigzag connected between the boot upper rim, Foot insulator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instep of the instep and presses the foot to the outsole, the foot through the instep A wire that pulls the lease to the foot and fixes the heel closely to the sole, and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 to connect the wire It consists of a wire lock that selectively pulls or releases.

상기 부츠의 밑창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한 쌍의 밑창홀이 성형되고, 상기 부츠의 내측갑피 하단과 후방에는 하단홀과 후방홀이 각각 한 쌍식 성형되며, 상기 부츠의 내측갑피 일측 상단에는 네 개의 홀이 성형됨으로써, 상기 네 개의 홀을 통과하는 와이어에는 와이어 고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하단홀과 후방홀의 내측을 통과하여 부츠 내측에는 상기 하단홀과 후방홀을 관통하는 와이어가 발등조 임대를 견인하게 되어 있다.The sole of the boot is formed with a pair of sole holes penetrating the left and right, and the lower and rear holes of the inner upper of the boot is formed of a pair of lower and rear holes, respectively, four holes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upper of the boot As a result of this molding, a wire fix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four holes, and the wire passes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lower hole and the rear hole, and the wire penetrating the lower hole and the rear hole inside the boot has an insole. To be towed.

상기 와이어 고정장치는 원형의 내측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하는 원형의 외측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플레이트 내부에는 다수의 회전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외측 플레이트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가 내측 플레이트 내부로 견인되어 와이어가 조여지고, 외측 플레이트를 내측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당겨주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이 해제되어 와이어가 풀어진다.The wire fixing device includes a circular inner plate and a circular outer plate that rotates relative to the inner plate. A plurality of rotary gears are installed inside the inner plate to rotate the outer plate clockwise. The wire is pulled into the inner plate to tighten the wire, and when the outer plate is pulled out of the inner plate, the rotation of the rotary gear is released to release the wire.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는 와이어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튜브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minimize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wire to the outside of the wi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ube is further install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츠의 바닥을 이루는 밑창과, 부츠의 상단을 형성하고 그 전면은 U자 형상을 이루는 부츠갑피테두리와, 상기 밑창과 부츠갑피테두리 사이에 연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갑피와 발과 밀접하는 내측갑피로 구성되는 부츠갑피와, 상기 U자형 부츠갑피테드리의 내측에 설치되어 발등과 밀접하는 발등보호갑피와,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외측에서 상기 부츠갑피테두리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끈으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부츠에 있어서, 상기 발등보호갑피를 통과하고, 상기 발등보호갑피를 발등으로 당겨주어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당겨주거나 해제하는 와이어 고정장치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le of the bottom of the boot, the boot upper shell forming a top of the boot and the U-shape, and extends between the outsole and the boot upper shell and the appearance A boot upper consisting of an outer upper to form and an inner upper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an instep protective upper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U-shaped upper boot upper and close to the instep, and the outer upper upper boot In the leisure sports boots consisting of a fastening straps connected in a zigzag between,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instep of the instep, and the instep by pulling the instep of the instep to protect the sole with the sole, and the end of the wire connected to both ends And a wire anchor to selectively pull or release the wire.

상기 발등보호갑피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와 발등과 접촉하는 내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와이어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튜브가 설 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기 튜브를 관통하며 상기 와이어고정구에 의해 조임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The instep protective upper is composed of an outer shell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and the inner shell in contact with the instep, a tube for minimizing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wire is installed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the wire penetrates the tube and the wire Tightening and release are achieved by the fixture.

상기 발등보호갑피는 대략 상하로 사람의 정강이와 대응되는 정강이부와, 복사뼈와 대응되는 복사뼈부와 정강이와 발등과 대응되는 발등부로 구분되고, 상기 복사뼈부의 양측에는 대칭되게 튜브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기 튜브를 관통하며 상기 와이어고정구에 의해 조임 및 해제가 이루어진다.The instep protective upper i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shan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erson's shin, the ankl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stragalus and the instep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in and the instep, and both sides of the astragalus are symmetrically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ube. The wire passes through the tube and is tightened and released by the wire fixture.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발등보호갑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보강부재 및 발등을 보호하는 쿳션층이 더 구비된다.Between the endothelial and the outer shell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member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instep protective upper and a cushioning layer for protecting the instep.

상기 부츠의 밑창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한 쌍의 밑창홀이 성형되고, 상기 부츠의 내측갑피 하단과 후방에는 하단홀과 후방홀이 각각 한 쌍씩 성형되며, 상기 부츠의 내측갑피 일측 상단에는 네 개의 홀이 성형됨으로써, 상기 네 개의 홀을 통과하는 와이어에는 와이어 고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하단홀과 후방홀의 내측을 통과하여 부츠 내측에는 상기 하단홀과 후방홀을 관통하는 와이어가 발등보호갑피를 견인하게 되어 있다.A pair of sole holes penetrating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sole of the boot is formed, and a pair of lower and rear holes are formed at the bottom and rear of the inner upper of the boot, respectively, and four holes at one upper end of the inner upper of the boot. By forming the wire, a wire fix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four holes, and the wire passes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lower hole and the rear hole, and the wire penetrating the lower hole and the rear hole inside the boot has an instep protective upper. To be towed.

상기 와이어 고정장치는 원형의 내측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하는 원형의 외측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플레이트 내부에는 다수의 회전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외측 플레이트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가 내측 플레이트 내부로 견인되어 와이어가 조여지고, 외측 플레이트를 내측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당겨주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이 해제되어 와이어가 풀어진다.The wire fixing device includes a circular inner plate and a circular outer plate that rotates relative to the inner plate. A plurality of rotary gears are installed inside the inner plate to rotate the outer plate clockwise. The wire is pulled into the inner plate to tighten the wire, and when the outer plate is pulled out of the inner plate, the rotation of the rotary gear is released to release the wire.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발등보호갑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보강부재 및 발등을 보호하는 쿳션층이 더 구비된다.Between the endothelial and the outer shell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inforcement member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instep protective upper and a cushioning layer for protecting the instep.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츠의 바닥을 이루는 밑창과, 부츠의 상단을 형성하고 그 전면은 U자 형상을 이루는 부츠갑피테두리와, 상기 밑창과 부츠갑피테두리 사이에 연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갑피와 발과 밀접하는 내측갑피로 구성되는 부츠갑피와, 상기 U자형 부츠갑피테드리의 내측에 설치되는 발등보호갑피와,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외측에서 상기 부츠갑피테두리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끈으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부츠에 있어서, 일측은 양측 밑창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측은 고리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고정밴드부와, 소정 길이로 제작되어 중간 일측은 상기 고리부를 통과하며, 양단은 상기 부츠갑피테두리를 관통하여 부츠갑피의 외측으로 슬라이딩가능하며, 상기 조임끈이 상기 양단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조임끈을 당겼을 때 외측으로 견인되는 이동압박밴드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le of the bottom of the boot, the boot upper shell forming a top of the boot and the U-shape, and extends between the outsole and the boot upper shell and the appearance A boot upper composed of an outer upper forming the inner upper with the foot, a foot protecting upper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U-shaped boot upper tedder, and a zigzag between the boot upper edge from the outside of the upper protecting upper In the leisure sports boots consisting of a fastening string to connect, one side is fixed to the edge of the sole of the two sides and the other side is a pair of fixed band portion having a ring portion, the predetermined length is made in the middle one side passes through the ring portion, both ends Is slidable out of the boot upper by penetrating the boot upper frame, and the fastening strap may pass through both ends. When installed, pulling the drawstring consists of moving the band pressure is towed to the outside.

상기 고정밴드부는 일측이 부츠갑피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fixing band portion may be fixed to the lower edge of the boot upp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츠의 바닥을 이루는 밑창과, 부츠의 상단을 형성하고 그 전면은 U자 형상을 이루는 부츠갑피테두리와, 상기 밑창과 부츠갑피테두리 사이에 연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갑피와 발과 밀접하는 내측갑피로 구성되는 부츠갑피와, 상기 U자형 부츠갑피테드리의 내측에 설치되는 발등보호갑피와,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외측에서 상기 부츠갑피테두리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끈으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부츠에 있어서, 일단은 일측 밑창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단은 부츠갑피테드리를 관통하여 부츠갑피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소정 길이의 발등압박밴드와, 일단은 타측 밑창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단은 환형의 고리 형상을 하고 있어 상기 발등압박밴드가 상기 고리를 통과하는 연결고리부와, 상기 발등압박부의 단부와 중앙 일측에 각각 설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ole of the bottom of the boot, the boot upper shell forming the upper end of the boot and the U-shape, and extends between the outsole and the boot upper shell and appearance A boot upper consisting of an outer upper and an inner upp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and an instep protective upper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U-shaped boot upper tedder, and a zigzag between the boot upper rim from the outside of the instep protective upper In the leisure sports boots composed of a fastening strap connected to the end, one end is fixed to the edge of the sole and the other end of the instep compression band of a predetermined length that slides out of the boot upper through the boot upper pedestrian, and the other end It is fixed to the edge of the sole and the other end has an annular annular shape so that the instep compression band passes through the annulus. It is provided in each of the back portion and the end portion and the center of the instep pressing portion.

상기 결합부재는 암수 한 쌍의 밸크로 매직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member is preferably a pair of male and female Velcro magic tape.

상기 발등압박밴드는 일단이 일측 부츠갑피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The instep compression band is one end can be fixed to the lower edge of the boot upp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밑창과 갑피로 이루어진 부추에 있어서, 상기 갑피 외측에 설치되어 발등을 밑창에 압박하는 발등조임밴드와, 상기 발등조임밴드를 통과하여 상기 발등조임밴드를 발등으로 당겨주어 발뒤꿈치를 밑창에 밀접하게 고정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당겨주거나 해제하는 와이어 고정장치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sole consisting of the sole and the upper, the foot tightening band which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presses the foot to the sole, and through the foot tightening band to the foot tightening band And a wire fixing devic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 to selectively pull or release the wire by pulling on the instep and closely fixing the heel to the sole.

상기 발등조임밴드가 상기 갑피의 내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step tightening band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발등조임대에 의하면 에지조절능력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oot fastener for leisure sport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edge control ability is improv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발등조임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sole of the foot for leisure sport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노우 보드 상에 바인딩된 부츠와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발뒤꿈치 를 밑창에 고정하는 부츠의 구성이 부분절개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부츠의 구성이 부분절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지조절시 부추와 발뒤꿈의 고정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구성이 사용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oots and the foot tightening device bound to the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oot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cision side view is shown, and in FIG. 5 and FIG. 6, the configuration of a boot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is shown in a partial incision perspective view. In addition, Figure 7a and Figure 7b is a configuration showing the change in the fixed state of the leek and the heel during the edg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use state diagram.

이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 보드용 부츠를 나타낸 것이다. 스노우 보드용 부츠(100)는 특정 바인딩 시스템에 따라 그 크기와 모양이 정해지는 것이나 여기서는 일반적인 형상을 갖는 부츠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These figures show a snowboard boo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nowboard boot 1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specific binding system in size and shape, but here, a boot having a general shap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노우 보드용 부츠(100)는 바인더(104)에 결합되어 도면에 부분적으로 나타낸 스노우 보드(102)의 표면에 부착된다. 상기 부츠(100)는 상하부에 각각 밑창(110)과 부츠갑피테두리(120)가 구비되고, 상기 밑창(110)에서 부츠갑피테두리(120)에 이르기까지 부츠갑피(130)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부츠갑피(130)는 사용자의 발 및 발목 둘레를 안전하게 감싸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snowboard boots 100 are coupled to binder 104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snowboard 102 shown in part in the figure. The boots 100 are provided with a sole 110 and a boot upper rim 120 at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nd the boot upper 130 extends from the sole 110 to the boot upper rim 120. The boot upper 130 is formed to safely wrap around the user's foot and ankle.

상기 부츠갑피(130)는 천연 혹은 합성 가죽이나 비닐로 제작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갑피(132)와, 부드러운 섬유재질로 제작되어 발과 접촉하는 내측갑피(134)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외측갑피(132)와 내측갑피(134) 사이에 방수층이나 쿳션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The boot upper 130 is composed of an outer upper 132 made of natural or synthetic leather or vinyl to form an appearance, and an inner upper 134 made of a soft fiber material and in contact with the foot. A waterproof layer or cushion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outer upper 132 and the inner upper 134.

상기 부츠갑피(130)는 조임끈(140)에 의하여 사용자의 발을 단단하게 고정한다. 이 때, 상기 부츠갑피(130)의 전방에는 부츠갑피테두리(120)를 경계로 하는 홈이 형성되어 부츠갑피테두리(120)는 전방에서 볼 때 U자 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홈에는 상기 조임끈(140)을 단단히 조일 때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발등보호갑피(150)가 설치된다. The boots upper 130 is firmly fixed to the foot of the user by the tension straps (140). At this time, the front of the boot upper 130 is formed with a groove bordering the boot upper frame 120, so that the boot upper frame 120 has a U-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groove, the foot protection upper 150 for protecting the foot when the tightening strap 140 is tightened is installed.

상기 부츠갑피테두리(120)에는 상기 조임끈(140)이 통과할 수 있는 내장견인부(122)가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100)의 길이방향으로 부츠(1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임끈(140)이 상기 내장견인부(122)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는 내장홀(124)이 다수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5 and 11, the boot upper rim 120 has a built-in towing unit 122 through which the tension strap 140 can pass, and is integral with the boot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t 10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built-in holes 124 that can be extended to the outside by passing through the built-in tow portion 122 is the drawstring 140 is formed.

그리고, 사용자의 발목과 대응되는 부츠갑피테두리(120) 부분에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외장견인부(126)가 좌우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외장견인부(126)에는 다수의 외장홀(128)이 형성되고, 상기 내장홀(124) 및 외장홀(128)에는 조임끈(140)이 통과하며, 상기 조임끈(140)을 조일 수 있어 발목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11, the outer portion of the boot upper shell 120 corresponding to the ankle of the user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outer towing portions 126 protruding outwards, and the outer towing portion 126. ), A plurality of exterior holes 128 are formed, and the internal straps 124 and the external holes 128 pass through the tension straps 140, and the tension straps 140 may be tightened to more firmly fix the ankle. It becomes possible.

상기 조임끈(140)은 상기 발등보호갑피(150)의 외측에 지그재그 형식으로 감겨져 있으며, 상기 조임끈(140)은 매듭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거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아 래칭 시스템(160)에 의하여 조임끈(140)을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있다.The tightening strap 140 is wound in a zigzag form on the outside of the instep protective upper 150, the tightening strap 140 may be fixed through a kn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s shown, it is possible to tighten or loosen the drawstring 140 by the boa latching system 160.

상기 보아 래칭 시스템(160)은 상기 발등보호갑피(150)에 부착되는 원형의 내측 플레이트(162)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162)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하는 원형의 외측 플레이트(164)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 플레이트(162) 내부에는 다수의 회전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외측 플레이트(16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임끈(140)이 내측 플레이트(162) 내부로 당겨져서 상기 부츠(100)를 단단히 고정하게 된다.The boa latching system 160 is formed of a circular inner plate 162 attached to the instep protective upper 150 and a circular outer plate 164 that rotates relative to the inner plate 162. A plurality of rotating gears (not shown) are installed in the inner plate 162, and when the outer plate 164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fastening strap 140 is pulled into the inner plate 162 so that the boots 100 are rotated. ) Is firmly fixed.

반대로, 상기 외측 플레이트(164)를 상기 내측 플레이트(162)에 대하여 외측으로 당겨주면 상기 회전기어(도시되지 않음)의 회전 및 역회전 방지가 해제되어 조임끈(140)이 풀어지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outer plate 164 is pulled outward with respect to the inner plate 162, the rotational and reverse rotation prevention of the rotary gear (not shown) is released to release the tightening string 140.

본 발명은 상기 부츠(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상기 발등보호갑피(150) 이외에도 상기 부츠(100) 내부에서 사용자의 발등을 조여주는 발등조임부(200)가 더 설치된다.In addition to the instep protection upper 150 installed outside the boot 100, the foot tightening unit 200 for tightening the foot of the user in the boot 100 is further installed.

상기 발등조임부(200)는 사용자의 발등 상에 위치하여 상기 발등을 압박하는 발등조임대(210)와, 상기 발등조임대(2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발등조임대(210)를 당겨주는 와이어(220)와, 상기 와이어(220)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220)를 선택적으로 고정 해제하는 와이어고정구(230)로 구성된다.The instep tightening unit 200 is located on the foot of the user foot inclined to the foot 210 and the foot tightening 2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oot tightening 210 to pull the foot tightening 210 The wire 22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 220 and a wire fixing tool 230 for selectively fixing the wire 220.

상기 발등조임대(210)는 대략 사용자의 발등을 덮을 정도의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 형상의 발등조임대(210)에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조임홀(212)이 성형되어 있어 와이어(220)가 관통되거나 혹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등조임대(210)의 가로측 가장자리가 봉제되어 봉제선(214) 내부로 와이어(220)가 통과하게 되어 있다. The instep fastener 210 is manufactured in a size and shape to approximately cover the foot of the user, as shown in Figure 5 at least four fastening holes 212 in the instep of the polygonal instep 210 Since the wire 220 is penetrated or the horizontal edge of the inclined clamp 210 is sewn as shown in FIG. 6, the wire 220 passes through the seam 214.

상기 조임홀(212)의 외측에는 상기 와이어(220)에 의하여 조임홀(212)이 변형되지 않고 발등조임대(210)가 견고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환형의 리벳(21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등조임대(210)는 천연 가죽이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 비닐로 제작될 수 있지만, 발등을 편안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실리콘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outer side of the tightening hole 212 may be provided with an annular rivet 216 in order to ensure that the tightening stand 210 is firmly pulled without the deformation of the tightening hole 212 by the wire 220. . The instep fastener 210 may be made of synthetic vinyl, such as natural leather or polyurethane, but is preferably made of silicone to comfortably protect the instep.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츠(100)의 밑창(110)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밑창홀(240)이 좌우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밑창(110)과 인접한 내측갑피(134)의 일측에는 하단홀(242)이 좌우로 한 쌍 형성되며, 상기 내측갑피(134)의 후방에는 후방홀(244)이 좌우로 한 쌍 형성되며, 상기 내측갑피(134)의 일측 상단에는 4개의 상단홀(246a 내지 246d)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홀 중 246c 및 246d는 외측갑피(132)에도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sole 110 of the boot 100 has a pair of sole holes 240 penetrating from side to side, and one side of the inner upper 134 adjacent to the sole 110. A pair of lower holes 242 ar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and a rear hole 244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inner upper 134, and a pair of four upper holes are formed at one upper end of the inner upper 134. 246a to 246d are formed. 246c and 246d of the upper holes are also formed in the outer upper 132.

따라서, 상기 발등조임대(210)의 조임홀(212)을 관통하는 한 쌍의 와이어(220)의 일측은 하단홀(242)을 통과하고 타측은 후방홀(244)을 통과하여 상기 발등조임대(210)는 밑창(110)에 대하여 일정한 경사각을 두고 설치되며, 발등을 안정감있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one side of the pair of wires 220 passing through the tightening hole 212 of the instep fastener 210 passes through the lower hole 242 and the other side passes through the rear hole 244 to the instep fastener. 210 is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ole 110,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instep stably.

상기 상단홀(246c, 246d)을 관통한 와이어(220)에는 여러가지 조임장치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와이어고정구(230)는 상기 보아 래칭 시스템(160)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아 래칭 시스템(160)은 와이어(220)의 조임과 해제가 용이하다.Various fastening devices may be used for the wires 220 penetrating the upper holes 246c and 246d. However, the wire fixing tool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uses the bore latching system 160. The bore latching system 160 facilitates tightening and releasing of the wire 220.

상기 와이어(220)가 설치되는 외측갑피(132)와 내측갑피(134) 사이에는 상기 와이어(220)가 그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2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튜브(222)는 부츠의 갑피(130)를 와이어(220)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와이어(220)가 내부에서 슬라이딩될 때 마찰저항을 최소화하는 효과도 있게 된다.A tube 222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outer upper 132 and the inner upper 134 on which the wire 22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4 such that the wire 220 is movable therein. The tube 222 serves to protect the upper 130 of the boot from the wire 220, and also minimizes the frictional resistance when the wire 220 is slid inside.

그리고, 상기 와이어고정구(230)가 부츠갑피(130)의 일측 상단에 설치되는 것은, 부츠(100)의 측면 하단에는 바인더(104)가 설치되기 때문이며, 사용자가 간단하게 와이어고정구(230)를 조작할 수 있기 위하여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ire fixture 230 is installed on one side upper end of the boot upper 130, because the binder 104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ot 100, the user simply manipulates the wire fixture 230 It is installed on the side so that it can be done.

따라서, 특정 바인딩 시스템에 따라 여러가지 바인더의 구조와 형상이 결정되기 때문에 바인더(104)가 부츠(100)의 측면 어디에 설치될 수 있는지 확정할 수 없으므로, 와이어 고정구(23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며, 바인더(104)의 다양한 구조와 형상에 대응되어 와이어 고정구(230)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부츠(100)의 측면에 자성을 갖는 와이어고정구 안착부를 다수개 설치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various binder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cific binding system,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re the binder 104 can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ot 100,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wire fixture 230 may be changed. Corresponding to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of the binder 104, a plurality of wire fixing device seating parts having magnetic properties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ot 10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ire fixing part 230 may be freely chang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oot tightening device of the footwear for leisure sports to fix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riefly.

우선, 보아 래칭 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부츠를 착용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라이너(106)를 신고 끈을 이용하여 라이너(106)를 발에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라이너(106)를 부츠(100)에 삽입한 다음 발을 라이너(106)에 집어넣는다. 라이너(106)를 덧신은 채로 부츠(100)를 착용하고 보아 래칭 시스템(160)의 외측 플레이트(16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조임끈(140)이 당겨진다.First, the user wears the boots using the boa latching system. To do this, the user wears the liner 106 and uses the strap to secure the liner 106 firmly to the foot or insert the liner 106 into the boot 100 and then insert the foot into the liner 106. Wearing the boots 100 with the liner 106 overlaid and rotating the outer plate 164 of the latching system 160 clockwise to pull the drawstring 140.

다음, 와이어고정구(230)를 이용하여 발등조임부(200)를 발목에 고정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와이어고정구(2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220)가 와이어고정구(230) 내측으로 감겨지면서 와이어고정구(230) 측으로 당겨진다. 와이어(220)가 와이어고정구(230) 측으로 당겨지면서 하단홀(242)과 후방홀(244)을 관통하는 와이어(220)가 팽팽하게 당겨지는 동시에 발등조임대(210)가 사용자의 발 등을 밑창(110) 측으로 밀접하게 압박하여 사용자가 스노우 보드(102)를 전방으로 에지조절하는 경우에도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뒤꿈치가 바닥에서 이격되지 않고 안정되게 밀착된다.Next, fixing the instep fastener 200 to the ankle using a wire fixture 230. To this end, when the user rotates the wire holder 230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wire 220 is wound toward the wire holder 230 and pulled toward the wire holder 230. As the wire 220 is pulled toward the wire fixing tool 230, the wire 220 penetrating the lower hole 242 and the rear hole 244 is pulled intently, and the instep fastening table 210 soles the user's foot. Even when the user closely adjusts the snowboard 102 to the front edge by pressing the 110 side,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heel is stably adhered to the floor without being spaced apart.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부츠의 구성이 사시도 및 부분절개 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8 and 9 are shown in perspective and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oot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이 상기한 일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발등조임부(200)가 상기 발등보호갑피(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발등보호갑피와 일체로 작용하는 데 특징이 있다.As shown in Figure 8, the configuration of the foot tightening device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is the foot fastener 200 is the foot protection upp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side the 150 to work integrally with the instep protective upper.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등보호갑피(150)는 합성섬유나 가죽 혹은 비닐 등으로 제작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152)와, 기타 섬유재질로 제작되어 발과 밀접하는 내피(154)로 구성되며, 외피(152)와 내피(154) 사이에는 발등을 보호하는 쿳션층(156)이 더 형성되며, 또한 쿳션층(156)과 외피(152) 사이에는 상기 발등보호갑피(1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강부재(158)가 더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instep protective upper 150 is made of synthetic fiber, leather, vinyl, etc. to form an outer shell 152 to form an appearance, and the endothelial shell 154 made of other fiber materia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oot. It is composed of, the cushion layer 156 to protect the instep between the outer shell 152 and the inner shell 154 is further formed, and between the cushion layer 156 and the outer shell 152 of the instep protective upper 150 The reinforcing member 158 may be further formed to improve durability.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일실시예의 발등조임대(210)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보강부재(158) 등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별도로 발등조임대(210)가 구비되지 않고, 와이어(260)가 직접 발등보호갑피(150)를 통과하고, 이를 견인하도록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oot tightening device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foot tightening 210 of the embodiment may be provided separately, the reinforcing member 158 is interposed Since there is no separate foot tightening 210 is provided separately, the wire 260 directly passes through the instep protective upper 150, is installed to tow it.

구체적으로 상기 발등보호갑피(150)는 대략 상하로 사람의 정강이와 대응되는 정강이부(150a)와, 복사뼈와 대응되는 복사뼈부(150b)와, 정강이와 발등과 대응되는 발등부(150c)로 구분되고, 상기 복사뼈부(150b)의 양측에는 대칭되게 튜브(262)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Specifically, the instep protective upper 150 is divided into a shank portion 150a corresponding to a person's shank up and down, an ankle portion 150b corresponding to an astragalus, and an instep portion 150c corresponding to a shin and an instep. On both sides of the astragalus 150b, the tube 262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ymmetrically.

더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된 단면을 기준으로 바라볼 때 외피(152)의 내측에 보강부재(158)가 접착재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보강부재(158)의 내측에 그 내부로 와이어(260)가 마찰저항 없이 통과할 수 있는 튜브(262)가 봉제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상기 튜브(262)의 내측에 쿳션층(156)이 접착재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쿳션층(156)의 내측에 내피(154)가 접착재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member 158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hell 152 by an adhesive or the like, as viewed based on the cross section shown in FIG. The tube 262 through which the 260 can pass without frictional resistance is fixed by sewing or the like, and the cushion layer 156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tube 262 by an adhesive or the like, and the cushion layer 156 is fixed. The inner skin 154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by an adhesive or the like.

즉, 상기 복사뼈부(150b)를 상하로 연결하는 봉제선(264) 내부에 튜브(262)가 설치되고, 상기 튜브(262) 내부를 와이어(260)가 통과하는 방식으로 발등보호갑피(150)를 발등으로 견인하게 되어 있어 상기 일실시예보다 구성이 더욱 간단하다. That is, the tube 262 is installed inside the seam 264 connecting the astragalus 150b up and down, and the instep protective upper 15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 wire 260 passes through the tube 262. It is towed by the instep so the configuration is simpler than the above embodiment.

그 밖에 상기 와이어(260)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260)를 선택적으로 고정 해제하는 와이어고정구(230)의 구성은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와이어(260)가 밑창홀(240)과 하단홀(242) 그리고 후방홀(244)과 상단홀(246)을 경유하며 와이어고정구(230)에 의해 조임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과정 또한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 fastener 230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 260 to selectively release the wire 260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the wire 260 is the sole hole 240 The process of tightening and releasing by the wire fixing tool 230 via the lower hole 242 and the rear hole 244 and the upper hole 246 is also the same as the above embodiment.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이 부분절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부츠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부츠갑피테두리(120)에 형성된 외장견인부가 부츠(100)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부츠(100) 내외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Figure 10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step tightening device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he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ole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boots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ior towing portion formed in the boot upper frame 120 is not fixed to the boot 100 and is slidably installed in and out of the boot 10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등조임부(300)는, 밑창(110)에 고정되는 고정밴드부(310)와, 상기 고정밴드부(310)에 지지된 채 부츠(100)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밴드부(3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밴드부(310)의 일측은 밑창(110) 혹은 내측갑피(134)의 내측에 고정되고, 고정밴드부(310)의 타측은 고리부(3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밴드부(320)는 양단에 외장견인부(126)를 구비하며, 소정 길이로 제작되어 상기 고정밴드부(310)의 고리부(312)를 통과하며, 상기 외장견인부(126)는 부츠(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딩된다. 상기 외장견인부(126)는 조임끈(14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내측에 외장홀(128)이 형성되어 있다.Foot tightening portio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band portion 310 is fixed to the sole 110, and the sliding movement to the outside of the boot 10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fixed band portion 310 The band portion 320 is configured. One side of the fixed band portion 310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sole 110 or the inner upper 134, the other side of the fixed band portion 310 is provided with a ring portion 312, the mobile band portion 320 The outer tow portion 126 is provided at both ends,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to pass through the ring portion 312 of the fixed band portion 310, the outer tow portion 126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boot 100 Is sliding. The exterior towing unit 126 has an exterior hole 128 formed therein to allow the tension strap 140 to pass therethrough.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의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oot tightening device of the footwear for leisure sports to secure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rief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조임끈(140)을 보아 래칭 시스템(160)을 이용하여 견인한다. 사용자가 라이너(106)를 덧신을 상태로 부츠(100)를 착용한 다음 외측 플레이트(16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임끈(140)은 보아 래칭 시스템(160)의 내측 플레이트(162) 내부로 감겨지면서 양측 조임끈(140)을 동일한 인장력으로 견인한다.The drawstring 140 is viewed and towed using the latching system 160. When the user wears the boots 100 with the oversized liner 106 and then rotates the outer plate 164 clockwise, the drawstring 140 is wound into the inner plate 162 of the bore latching system 160. While pulling both side strings 140 with the same tensile force.

상기 조임끈(140)이 상기 외장견인부(126)의 외장홀(128)을 통과하여 외장견 인부(126)를 중심을 향해 견인하면, 이동밴드부(320)는 외측으로 슬라이딩된다. 고리부(312)를 통과하게 설치된 이동밴드부(320)가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면, 고정밴드부(310)의 고리부(312)는 밑창(110) 측으로 당겨지면서 고리부(31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따라서 상기 고리부(312) 사이를 통과한 이동밴드부(320)는 사용자의 발목을 밀접하게 압박하여 사용자를 발뒤꿈치를 밑창(11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When the tension strap 140 pulls through the exterior hole 128 of the exterior towing unit 126 toward the center, the moving band unit 320 slides outward. When the movable band part 320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ring part 312 slides outward, the ring part 312 of the fixing band part 310 is pulled toward the sole 110 and the gap between the ring parts 312 is narrowed. Therefore, the moving band portion 320 passed between the ring portion 312 tightly presses the user's ankle to firmly fix the heel to the sole 110 to the user.

도 12에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이 부분절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1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instep tightening device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아 래칭 시스템과 같은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발등조임부(400)는, 밑창(110) 혹은 내측갑피(134)의 일측면 하단에 고정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발등압박밴드(410)와, 밑창(110) 혹은 내측갑피(134)의 타측면 하단에 설치되고 환형의 고리 형상을 하고 있어 상기 발등압박밴드(410)가 통과하는 연결고리부(420) 그리고 상기 발등압박밴드(410)을 고정하는 결합부재(430)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 separate fixture such as a boa latching system is used. Foot fastener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sole 110 or the inner upper 134, the foot compression band 4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ole 110 Or an inner side of the upper 134, and is formed in an annular annular shape so that the insulated compression band 410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420 and the insulated compression band 410. 430.

상기 결합부재(430)는 밸크로 매직테이프가 사용된다. 상기 발등압박밴드(410)의 단부와 중앙 일측에는 각각 수컷용 밸크로 매직테이프(432)와 암컷용 밸크로 매직테이크(434)가 설치되어 상기 암수 밸크로 매직테이프(430)에 의하여 발등압박밴드(410)가 고정된다. 상기 밸크로 매직테이프(432,434)의 암수는 서로 바뀔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430)가 밸크로 매직테이프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발등압박밴드(410)의 탈부착이 용이한 것이라면, 슬라이드 파스너 혹은 단추가 사용될 수 있다.Velcro magic tape is used as the coupling member 430. Male Velcro magic tape 432 and female Velcro magic take 434 are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center side of the instep compression band 410, respectively, the instep compression band by the male and female Velcro magic tape 430 410 is fixed. The male and female of the Velcro magic tapes 432 and 434 may be interchanged, and 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member 430 is made of Velcro magic tape, but it is not necessarily the case, and the instep compression band 410 is easily removable. If yes, a slide fastener or button can be used.

그리고,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발등고정장치는 스노우 보드의 부츠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등산화, 인라인 스케이트 그리고 골프화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t fixing device for leisure sports to fix the heel to the sole may be applied not only to the boots of the snowboard, but also hiking boots, inline skates and golf shoes.

도 13 및 도 1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골프화 및 발등조임장치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등고정장치가 골프화에 적용된 경우이다. 도 13에 의하면, 발등조임부(500)는, 사용자의 발등 상에 위치하여 발등을 조여주는 발등압박밴드(510)와, 상기 발등압박밴드(510)와 연결되어 발등압박밴드(510)를 견인하는 와이어(520)와, 상기 와이어(520)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520)를 선택적으로 고정 해제하는 와이어고정구(5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등압박밴드(510)의 내측에는 발등을 보호하는 쿳션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13 and 14 are shown in perspective view the configuration of the golf shoe and instep fastening device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instep fixing device is applied to the golf shoes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3, the foot tightening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foot compression band 510 positioned on the foot of the user and tightens the foot, and is connected to the foot compression band 510 to pull the foot compression band 510. And a wire fixing tool 530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 520 to selectively release the wire 520. In addition, a cushion member for protecting the instep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step compression band 51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게중심의 이동과 상하 좌우 발의 움직임으로 조절되는 스노우 보드의 에지조절을 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츠의 전방에 설치되어 부츠를 조절하는 조임끈 이외에 부츠 내측에서 발목을 덮어 발뒤꿈치가 밑창 측으로 고정되도록 발등을 압박하는 발등조임대를 설치하고, 와이어 고정장치로 발등조임대와 연결된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당겨주거나 해제하여 발등조임대를 간단하게 탈부착시키는 구성을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컨데, 별도의 와이어와 와이어 고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조임끈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일측 은 부츠의 밑창 양측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측은 고리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고정밴드부와, 소정 길이로 제작되어 중간 일측은 상기 고리부를 통과하며, 양단은 부츠갑피테두리를 관통하여 부츠갑피의 외측으로 슬라이딩가능하며, 상기 조임끈이 상기 양단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조임끈을 당겼을 때 외측으로 견인되는 이동압박밴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oot in order to be able to adjust the edge of the snowboard that is adjusted by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feet in addition to the fastening straps for adjusting the boots inside the boots. It is technically conceived to install a foot squeezer that presses the foot so that the heel is fixed to the sole side, and simply detaches or detaches the foot stool by selectively pulling or releasing the wire connected to the foot stool with a wire fixing device. It can be seen that.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other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without using a separate wire and wire fixing device, using a conventional tensioning string as it is, one side is fixed to both edges of the sole of the boot and the other side is made of a fixed length and a pair of fixing bands having a ring portion The middle one side passes through the hook portion, both ends of the boot upper shell is slidable to the outside of the boot upper, the pressure strap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both ends of the compression band band to be pulled out when pulled It can be configured as.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부츠 내에 발목을 고정하는 고정띠를 설치하고 이를 간단하게 당겨줌으로써 에지조절을 안정감있게 수행할 수 있어 눈 위를 활강할 때 급속회전이나 묘기등 고도의 테크닉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First, it is possible to stably adjust the edge by installing a fastening band that secures the ankle in the boot and simply pulling it, so that it is expected to freely implement high techniques such as rapid rotation and stunts when sliding on snow. .

둘째, 발뒤꿈치가 밑창에 이격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목이나 종아리 근육에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어 부상의 염려나 안전사고시 상황대처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Second, because the heel is fixed to the sole without being spaced apart, the burden on the ankle or calf muscle can be minimized, and the ability to deal with situations in case of injury or safety accident is expected to be improved.

세째, 사용자가 발끝에 전달하고자 하는 힘이나 감각을 로스없이 정확하게 전달하게 하여 사용자의 테크닉을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Third, it is expected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convey the user's technique by accurately transmitting the force or the sense to be transmitted to the toe without loss.

Claims (18)

부츠의 바닥을 이루는 밑창과, 부츠의 상단을 형성하고 그 전면은 U자 형상을 이루는 부츠갑피테두리와, 상기 밑창과 부츠갑피테두리 사이에 연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갑피와 발과 밀접하는 내측갑피로 구성되는 부츠갑피와, 상기 U자형 부츠갑피테드리의 내측에 설치되는 발등보호갑피와,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외측에서 상기 부츠갑피테두리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끈으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부츠에 있어서,An outsole forming the bottom of the boot, a boot upper frame forming the upper end of the boot, and the front of which is U-shaped, and an inner upp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upper and the foot extending between the sole and the boot upper frame and forming an appearance. To the boots for leisure sports consisting of a boot upper consisting of, a foot protection upper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U-shaped boot upper pedestrian, and a fastening strap zigzag between the boot upper rim from the outside of the instep protective upper In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내측에 설치되어 발등을 밑창으로 압박하는 발등조임대와,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step of the instep and tightening the foot to press the foot with the sole, 상기 발등조임대을 통과하여 상기 발등조임대를 발등으로 당겨주어 발뒤꿈치를 밑창에 밀접하게 고정하는 와이어와,A wire that passes through the instep and pulls the instep to the foot and secures the heel closely to the sole; 상기 와이어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당겨주거나 해제하는 와이어 고정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Foot fastening device for leisure sports shoe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wire fixing devic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 to selectively pull or release the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의 밑창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한 쌍의 밑창홀이 성형되고, 상기 부츠의 내측갑피 하단과 후방에는 하단홀과 후방홀이 각각 한 쌍씩 성형되며, 상기 부츠의 내측갑피 일측 상단에는 네 개의 홀이 성형됨으로써, 상기 네 개의 홀을 통과하는 와이어에는 와이어 고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하 단홀과 후방홀의 내측을 통과하여 부츠 내측에는 상기 하단홀과 후방홀을 관통하는 와이어가 발등조임대를 견인하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e of the boot is formed a pair of sole holes penetrating the left and right, and the lower and rear holes of the inner upper of the boot is formed by a pair of lower and rear holes, respectively, the inner upper of the boot Four holes are formed at one upper end, and a wire fix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four holes, and the wire passes through the lower and rear holes to penetrate the lower and rear holes in the boot. Foot insulated device for leisure sports shoes to fix the heel to th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towing the instep.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장치는 원형의 내측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하는 원형의 외측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플레이트 내부에는 다수의 회전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외측 플레이트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가 내측 플레이트 내부로 견인되어 와이어가 조여지고, 외측 플레이트를 내측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당겨주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이 해제되어 와이어가 풀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wire fixing device is composed of a circular inner plate and a circular outer plate that rotates relative to the inner plate, a plurality of rotary gears are installed inside the inner plate is When the outer plate is rotated clockwise, the wire is pulled into the inner plate to tighten the wire, and when the outer plate is pulled out of the inner plate, the rotation of the rotary gear is released to release the wire. Foot fasteners for leisure sports shoes fixed to th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는 와이어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튜브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The device of claim 1 or 2, wherein a tube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wire to minimiz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wire. 부츠의 바닥을 이루는 밑창과, 부츠의 상단을 형성하고 그 전면은 U자 형상을 이루는 부츠갑피테두리와, 상기 밑창과 부츠갑피테두리 사이에 연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갑피와 발과 밀접하는 내측갑피로 구성되는 부츠갑피와, 상기 U자형 부츠갑피테드리의 내측에 설치되어 발등과 밀접하는 발등보호갑피와, 상기 발등보 호갑피의 외측에서 상기 부츠갑피테두리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끈으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부츠에 있어서,An outsole forming the bottom of the boot, a boot upper frame forming the upper end of the boot, and the front of which is U-shaped, and an inner upp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upper and the foot extending between the sole and the boot upper frame and forming an appearance. It is composed of a boot upper consisting of, an instep protection upper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U-shaped boot upper pedestrian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ep, and a fastening strap zigzagly connecting the boot upper rim from the outside of the instep of the instep. In the leisure sports boots, 상기 발등보호갑피를 통과하고, 상기 발등보호갑피를 발등으로 당겨주어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와이어와,A wire passing through the instep protector and pulling the instep protector to the instep to fix the heel to the sole; 상기 와이어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당겨주거나 해제하는 와이어 고정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Foot fastening device for leisure sports shoe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wire fixing devic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 to selectively pull or release the wi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보호갑피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와 발등과 접촉하는 내피로 구성되고, 상기 외피와 내피 사이에는 와이어의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튜브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기 튜브를 관통하며 상기 와이어고정구에 의해 조임 및 해제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According to claim 5, The instep protective upper is composed of an outer shell forming the appearance and the inner shell in contact with the instep, the tube between the outer shell and the inner shell is installed to minimize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wire, the wire is the tube Penetration device of the foot of the leisure sports shoe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and release is made by the wire fastener through.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보호갑피는 대략 상하로 사람의 정강이와 대응되는 정강이부와 복사뼈와 대응되는 복사뼈부와 정강이와 발등과 대응되는 발등부로 구분되고, 상기 복사뼈부의 양측에는 대칭되게 튜브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상기 튜브를 관통하며 상기 와이어고정구에 의해 조임 및 해제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pper protection upper i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shank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erson's shin and the ankl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stragalus and the instep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in and the instep, and the tube is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ankle portion.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re through the tube and tightening and releasing by the wire fasten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device of the shoe for leisure sports shoe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발등보호갑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보강부재 및 발등을 보호하는 쿳션층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According to claim 6, Between the endothelial and the outer shell reinforcement memb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instep protector and a cushioning layer for protecting the in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t tights of leisure sports shoe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Device.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츠의 밑창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한 쌍의 밑창홀이 성형되고, 상기 부츠의 내측갑피 하단과 후방에는 하단홀과 후방홀이 각각 한 쌍씩 성형되며, 상기 부츠의 내측갑피 일측 상단에는 네 개의 홀이 성형됨으로써, 상기 네 개의 홀을 통과하는 와이어에는 와이어 고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하단홀과 후방홀의 내측을 통과하며, 부츠 내측에는 상기 하단홀과 후방홀을 관통하는 와이어가 발등보호갑피를 견인하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The sole of claim 5, wherein a pair of sole holes penetrating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sole of the boot, a pair of lower and rear holes are formed at the bottom and rear of the inner upper of the boot, respectively. Four holes are formed at one upper end of the inner upper part of the boot, and a wire fixing device is installed at the wire passing through the four holes, and the wire passes through the inner side of the lower hole and the rear hole. Foot fastening device for leisure sports shoes to fix the heel to th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through the rear hole is towing the instep protective upper.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장치는 원형의 내측 플레이트와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하는 원형의 외측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상기 내측 플레이트 내부에는 다수의 회전기어가 설치되어 상기 외측 플레이트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와이어가 내측 플레이트 내부로 견인되어 와이어가 조여지고, 외측 플레이트를 내측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당겨주면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이 해제되어 와이어가 풀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According to claim 5 or 7, wherein the wire holding device is composed of a circular inner plate and a circular outer plate that rotates relative to the inner plate, a plurality of rotary gears are installed inside the inner plate is When the outer plate is rotated clockwise, the wire is pulled into the inner plate to tighten the wire, and when the outer plate is pulled out of the inner plate, the rotation of the rotary gear is released to release the wire. Foot fasteners for leisure sports shoes fixed to the.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에는 발등보호갑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보강부재 및 발등을 보호하는 쿳션층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According to claim 5 or claim 7, wherei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hell reinforcing member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instep protection upper and a cushion layer for protecting the in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leisure sports fixing the heel to the sole Instep tightening device for shoes. 부츠의 바닥을 이루는 밑창과, 부츠의 상단을 형성하고 그 전면은 U자 형상을 이루는 부츠갑피테두리와, 상기 밑창과 부츠갑피테두리 사이에 연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갑피와 발과 밀접하는 내측갑피로 구성되는 부츠갑피와, 상기 U자형 부츠갑피테드리의 내측에 설치되는 발등보호갑피와,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외측에서 상기 부츠갑피테두리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끈으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부츠에 있어서,An outsole forming the bottom of the boot, a boot upper frame forming the upper end of the boot, and the front of which is U-shaped, and an inner upp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upper and the foot extending between the sole and the boot upper frame and forming an appearance. To the boots for leisure sports consisting of a boot upper consisting of, a foot protection upper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U-shaped boot upper pedestrian, and a fastening strap zigzag between the boot upper rim from the outside of the instep protective upper In 일측은 양측 밑창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측은 고리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고정밴드부와,One side is fixed to the edge of the sole on both sides and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fixing band having a ring portion, 소정 길이로 제작되어 중간 일측은 상기 고리부를 통과하며, 양단은 상기 부츠갑피테두리를 관통하여 부츠갑피의 외측으로 슬라이딩가능하며, 상기 조임끈이 상기 양단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조임끈을 당겼을 때 외측으로 견인되는 이동압박밴드부로 구성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Produced in a predetermined length, the middle one side passes through the ring portion, both ends are slidable to the outside of the boot upper through the boot upper shell, the outer string when the fastening strap is instal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both ends outside Foot tightening device for leisure sports shoes to fix the heel to the sole consisting of a pressing band portion to be towed by the so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부는 일측이 부츠갑피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The device of claim 12, wherein the fixing band portion is fixed to the bottom edge of the boot upper of one side of the boot upper. 부츠의 바닥을 이루는 밑창과, 부츠의 상단을 형성하고 그 전면은 U자 형상을 이루는 부츠갑피테두리와, 상기 밑창과 부츠갑피테두리 사이에 연장되고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갑피와 발과 밀접하는 내측갑피로 구성되는 부츠갑피와, 상기 U자형 부츠갑피테드리의 내측에 설치되는 발등보호갑피와, 상기 발등보호갑피의 외측에서 상기 부츠갑피테두리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조임끈으로 구성되는 레저 스포츠용 부츠에 있어서,An outsole forming the bottom of the boot, a boot upper frame forming the upper end of the boot, and the front of which is U-shaped, and an inner upp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upper and the foot extending between the sole and the boot upper frame and forming an appearance. To the boots for leisure sports consisting of a boot upper consisting of, a foot protection upper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U-shaped boot upper pedestrian, and a fastening strap zigzag between the boot upper rim from the outside of the instep protective upper In 일단은 일측 밑창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단은 부츠갑피테드리를 관통하여 부츠갑피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소정 길이의 발등압박밴드와, One end is fixed to the edge of the sole and the other end of the instep compression band of the predetermined length that slides out of the boot upper through the boot upper tide, 일단은 타측 밑창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단은 환형의 고리 형상을 하고 있어 상기 발등압박밴드가 상기 고리를 통과하는 연결고리부와,One end is fixed to the edge of the other side of the sole and the other end has an annular annular ring connec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instep compression band passes through the loop, 상기 발등압박부의 단부와 중앙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결합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Foot fastening device for leisure sports shoe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coupling member is installed on each of the end and the center of the foot pressing por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암수 한 쌍의 밸크로 매직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15. The device of claim 14, wherein the coupling member is a pair of male and female Velcro magic tapes.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압박밴드는 일단이 일측 부츠갑피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뒷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The device of claim 14 or 15, wherein the foot compression band has one end fixed to the bottom edge of one side of the boot upper. 밑창과 갑피로 이루어진 부츠에 있어서,In boots with soles and uppers, 상기 갑피 외측에 설치되어 발등을 밑창에 압박하는 발등조임밴드와,An instep fastening band installed outside the upper to press the instep to the sole, 상기 발등조임밴드를 통과하여 상기 발등조임밴드를 발등으로 당겨주어 발뒤꿈치를 밑창에 밀접하게 고정하는 와이어와,A wire that passes through the instep tightening band and pulls the instep fastening band to the instep to closely fix the heel to the sole; 상기 와이어의 양단과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당겨주거나 해제하는 와이어 고정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뒤꿈치를 밑창에 고정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Foot fastening device for leisure sports shoes for fixing the heel to the so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wire fixing devic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ire to selectively pull or release the wir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조임밴드가 상기 갑피의 내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스포츠용 신발의 발등조임장치.18. The device of claim 17, wherein the instep tightening band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KR1020040106929A 2004-12-16 2004-12-16 Apparatus for tightening the top of foot in leisure sports KR1006715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929A KR100671537B1 (en) 2004-12-16 2004-12-16 Apparatus for tightening the top of foot in leisure spor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929A KR100671537B1 (en) 2004-12-16 2004-12-16 Apparatus for tightening the top of foot in leisure spor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279A true KR20060068279A (en) 2006-06-21
KR100671537B1 KR100671537B1 (en) 2007-01-19

Family

ID=3716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929A KR100671537B1 (en) 2004-12-16 2004-12-16 Apparatus for tightening the top of foot in leisure spor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153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441B1 (en) * 2006-03-03 2007-05-07 주식회사 엘림코퍼레이션 Shoes having wire tightener
KR101304566B1 (en) * 2012-05-31 2013-09-06 (주)하이클 Cycle of the shoe heel fasten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6350B (en) * 1989-12-19 1993-02-25 Nordica Spa TIGHTENING AND ADJUS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SKI BOOTS
FR2787682B1 (en) * 1998-12-23 2001-01-26 Salomon Sa SPORTS SHOE
US6267390B1 (en) * 1999-06-15 2001-07-31 The Burton Corporation Strap for a snowboard boot, binding or interface
DE20003854U1 (en) * 2000-03-02 2001-07-12 Dassler Puma Sportschuh Twist lock, especially for shoes
JP3677255B2 (en) * 2002-03-29 2005-07-27 泰浩 中林 Snowboard boo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441B1 (en) * 2006-03-03 2007-05-07 주식회사 엘림코퍼레이션 Shoes having wire tightener
KR101304566B1 (en) * 2012-05-31 2013-09-06 (주)하이클 Cycle of the shoe heel faste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1537B1 (en)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805B1 (en) Apparatus for tightening the top of foor in leisure sports
US7343701B2 (en) Footwear having an interactive strapping system
KR101955844B1 (en) Tensioning systems for footwear
US6601323B2 (en) Shoelace cover
EP3100628B1 (en) Footwear with reactive layers
US20070068041A1 (en) Footwear with improved heel support
JP3120175B2 (en) Snowboard boots
GB2532685A (en) Wire tightening device and providing method therefor
WO2007126991A2 (en) Convertible dance shoe
US9125450B2 (en) Independent harness system for a soft boot
US7219444B2 (en) Boot liner with ankle and heel volume control
US706286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foot in footwear
CN100420400C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KR100671537B1 (en) Apparatus for tightening the top of foot in leisure sports
KR101003138B1 (en) The string unity device of the shoes
US20050048853A1 (en) Wakeboard outerbase support shell and bladder combination
JP7144102B1 (en) shoes and tongues
CA1124060A (en) Shoe with supported heel
CN220403224U (en) Sports shoes with good wrapping performance
KR880003161Y1 (en) Athletic shoes with supporting straps
US20130291401A1 (en) Traction Adjustment Band with Retaining Strap
EP0777979A2 (en) Component of a shoe or boot for preventing ankle sprains
JP2001161886A (en) Heel safety binding for ski boot
NO128391B (en)
CA2391099A1 (en) Toe ho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