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3161Y1 - Athletic shoes with supporting straps - Google Patents

Athletic shoes with supporting stra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3161Y1
KR880003161Y1 KR2019830006428U KR830006428U KR880003161Y1 KR 880003161 Y1 KR880003161 Y1 KR 880003161Y1 KR 2019830006428 U KR2019830006428 U KR 2019830006428U KR 830006428 U KR830006428 U KR 830006428U KR 880003161 Y1 KR880003161 Y1 KR 880003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upport
sides
belt
sn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4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40006056U (en
Inventor
제이 겜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캥거루즈 유. 에스. 에이 사
로버트 제어 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캥거루즈 유. 에스. 에이 사, 로버트 제어 겜 filed Critical 캥거루즈 유. 에스. 에이 사
Publication of KR840006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05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3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161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지지용 띠(Support Straps)를 가진 운동화Sneakers with Support Straps

제1도는 본 고안의 좌측면도.1 is a left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의 우측면도.2 is a right sid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운동화(농구화)의 우측면도.4 is a right side view of sneakers (basketball shoe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제4도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FIG.

제6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운동화(농구화)의 우측면도.6 is a right side view of sneakers (basketball shoe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제6도의 좌측면도.7 is a left side view of FIG.

제8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제8도의 좌측면도.9 is a left side view of FIG.

제10도는 본 고안 운동화의 중앙부를 절단하여 그 작용상태를 표시한 것.Figure 10 shows the state of action by cutting the central part of the snea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제10도에서 신발끈을 약간 조인상태를 표시한 것.FIG. 11 shows a slightly tightened shoelace in FIG.

제12도는 제11도에서 신발끈을 완전히 조인 상태를 표시한 것.FIG. 12 shows the shoelaces fully tightened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 갑피 B : 압보강부A: Upper B: Absorption part

C : 앞코부분 D : 양측면부C: Front nose part D: Both sides

E : 뒷굽부 F : 밑창E: Heel F: Outsole

H : 끈구멍 G : 아이스테이H: String Hole G: I Stay

1 : 지지용 띠 11-16 : 지지용 띠1: support band 11-16: support band

S : 밑창쉥크(Sole shank) 20-23 : 지지용 띠S: Sole shank 20-23: Supporting strap

27-30 : 지지용 띠27-30: Support strip

본 고안은 운동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발을 신었을때, 발등, 아아치 및 뒷굽부위를 조이고 강화시키기 위하여 운동화에 형성시킨 고유의 지지수단을 가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neakers, and more specifically, when shoes are worn, it has a unique support means formed on the sneakers to tighten and strengthen the instep, arch and heel.

종래에 운동경기중 경기자의 발부위, 즉 발목, 발등과 아아치(Arch)등의 지지부를 강화시키기 위한 수단, 즉, 더욱 구체적으로 그와 같은 신발이나 운동화를 마련하는 것이 신발디자이너의 관심사가 되어 왔다.Conventionally, it is a concern for shoe designers to provide a means for strengthening the foot of a player during an athletic game, that is, an ankle, an instep and an arch, or more specifically, such shoes or sneakers. come.

예를 들면 발을 지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초기의 것들 중, 지지를 필요로한 발부위는 발목이었으므로 여러가지 장치를 독립적으로 발목에 사용되던가, 사용하였을때 경기자의 이 부분 발부위를 강화하고 지지하도록 신발자체에 구성된 것이 있었다.For example, among the earliest ones designed to support the foot, the foot that needed support was the ankle, so the shoe itself could be used to reinforce and support this part of the competitor's foot when the various devices were used independently. There was something configured in.

예를 들면 샤피로의 미국특허 제3,028,861호를 보면 발목지지구가 마련되어서 어떠한 신발에 삽입되드라도 곧바로 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었다. 나아가서, 부쉬웨이의 미국특허 제2,942,359호에 의하면 운동경기자의 발목에 여분의 힘과 지지를 부여할 목적으로 된 것이었다.For example, in US Patent No. 3,028,861 to Shapiro, an ankle support was provided so that it could be used directly on the foot no matter what shoes were inserted. Further, according to Bushway's U.S. Patent No. 2,942,359, the purpose was to provide extra strength and support to the athlete's ankle.

콜리스의 미국특허 제1,084,179호는 경기자의 발목을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한 다른 변형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Collis U.S. Patent No. 1,084,179 shows another modified form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the ankle of a player.

웨스트폴의 미국특허 제1,545,623호는 하키와 안에 발목지지구를 넣은 다른 수단이 공개되고 있으며 이것은 하키 경기중에 선수의 발목을 강화시킬 수 있게 한 것이었다.Westpole's U.S. Patent No. 1,545,623 discloses hockey and other means of placing ankle support in it, which allows the athlete to strengthen the ankle during the hockey game.

존슨의 미국특허 제1, 139, 530호는 정강이 부근의 상부 발목부위를 보호하는 지지구를 마련한 스케이트화와 하키화를 보이고 있다. 경기자의 발목을 강화하고 보호하기 위한 목적만이 아니라 아아치와 발들 부근을 지지하도록 된 여러종류의 지지체가 신발안에 사용될 수 있게끔 시도되어 왔다.Johnson's U.S. Patent Nos. 1, 139 and 530 show skate and hockey shoes with support for protecting the upper ankle near the shin.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and protecting the athlete's ankles, various types of supports intended to support arches and near the feet have been attempted to be used in shoes.

예를 들면 다노스키의 미국특허 제3,323,232호에서는 신발안에 둔 반탄력성인 아아치 지지구를 공개하고 있으며, 그것은 발의 측면 주위에서 위쪽으로 덮혀있고 발의 등 부근에서 묶어있다.For example, Danoskey's U.S. Patent No. 3,323,232 discloses an anti-elastic arch support in a shoe, which is covered upwards around the side of the foot and tied near the back of the foot.

이 발명은 근본적으로 딱딱하고 반탄력성인 외팔보형 아아치 지지구를 완성하고저 고안 된 것이며, 이것은 신발의 끈끼는 구조내에 일체로 묶지만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에서는 그 지지구는 봉착수단에 의해서 신발의 전면보강부의 내부와 양측면부에 일체로 위쪽을 향하여 뻗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수 신발은 신발구조에 대하여 아아치를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었다.The invention is designed to complete a rigid and semi-elastic cantilevered arch support, which is integrally bound within the shoe's strapping structure, but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support is secured to the front of the shoe by means of sealing. It extends upwardly integrally inside the reinforcement and on both sides. However, these special shoes were designed to support the arch of the shoe structure.

유사한 형태의 지지구가 비큐칼의 특허 제4,064,642호에 개시된 보행용 신발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특수예에서 아아치 지지구가 제공되고 있을뿐 아니라 지지코져하는 발부위의 주위에 한개의 뒷굽 끈을 덮은 것이 마찬가지로 그안에 준비되어 있다. 토카르의 특허 제1,286,787호는 다노웁스키가 한 발명의 형식과 유사하며, 그 운동화에는 아아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운동화를 일체로 묶기위한 한쌍으로 마련된 설편(Tongues)들을 가지고 있다.A similar type of support is shown in the walking shoes disclosed in Bicucal Patent No. 4,064,642. In this particular example, not only is an arch support provided, but it is likewise prepared to cover a heel strap around the supporting nose. Tokar's patent 1,286,787 resembles Danofowsky's form of invention, in which the sneakers have Tongues arranged in pairs to tie them together to support arches.

파아크의 특허 제3,327,410호는 운동화 내부에 특별히 발목을 지지하기 위한 관련지지구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신발 밑창으로부터 올려진 다음에, 운동경기자의 발목 부근을 지지하기 위하여 발목을 감싼 일체로 된 가요성 가죽띠를 가지고 있다. 안전을 목적으로하여 신발의 일정장소에서 조여질 수 있는 여러가지 폐쇄수단이 패모라트의 특허 제 4,114,297호에서와 같이 일련의 미국특허에 공개되어 있으며, 그안에 조이는 끈이 신발끈위를 덮고서 신발의 외부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 도시된 운동화의 안전을 위하여 벨크로로써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안토니우스의 특허 제 4,282,657호는 운동화용이나 또는 운동경기자의 발을 안정시키도록 신발을 조이기 위한 목적과 용도로 사용되는 조절가능하고 가용성인 폐쇄기구내에 하나의 뒷굽감금수단을 공개하고 있다.Park's Patent No. 3,327,410 shows an associated support specifically for supporting the ankle inside the sneaker, which is raised from the sole of the shoe and then integrally wrapped around the ankle to support the vicinity of the athlete's ankle. It has a flexible leather belt. For safety purposes, various closure means that can be tightened in a certain place of the shoe are disclosed in a series of US patents, such as in patent No. 4,114,297 of Famorat, in which the fastening straps cover the top of the shoe And velcro for the safety of the illustrated sneakers. And Antonius patent 4,282,657 discloses a single heel restraint in an adjustable and soluble closure mechanism used for sneakers or for the purpose and purpose of tightening shoes to stabilize the foot of an athlete.

그리고 허슈의 미국 의장특허 제 255,956호는 통상의 끈과 대체되는 스포츠화용 잠금수단을 개시하고 있다.And Hershey's U.S. Patent No. 255,956 discloses a sports shoe locking means that is replaced with a conventional lace.

최근의 발명중 더욱 관심이 있는 것은 운동화에 만든 하나의 변형이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라센의 미국특허 제4,245,408호와 제4,366,631호에 공개된 바와 같이 신발을 꽉 잡아두기 위해서 신끈을 잡아끌도록 한 것이다.Of further interest in recent inventions is a variant made in sneakers, and more specifically, to pull the shoe to hold the shoe tight, as disclosed in US Pat. Nos. 4,245,408 and 4,366,631 to Larsen. .

양자는 하나의 운동화를 공개하고 있는바, 그것은 신끈의 상부가 아일렛트를 통해서 훅크와 신발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뻗어있기 때문에 신끈을 조이면 그것은 신발의 뒷굽부분을 전방으로 당겨서 착용중 신발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보강된 지지력을 주게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의 관점에서 본 고안의 기본목적은 알맞게 늘어지고 모가나게 구부러진 띠(Strap)수단을 마련하는데 있으며, 그리고 그것은 발등부분을 향솜 신발의 여러부분에 힘을 가하고 있으며, 그 다음에 운동 경기자의 발에 신발을 더욱 밀착시키기 위하여 통상의 신발끈으로 조이도록 된 것이다.Both disclose a single sneaker, which means that the upper part of the shoe extends downward through the eyelets toward the hook and the rear of the shoe, and tightening the shoe pulls the shoe's heel forward to effectively use the shoe while wearing it. Can give more reinforced support. Therefore, in view of the foregoing, the basic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derately stretched and bent strap means, which exerts a force on the instep of the shoe and then the athlete. It is to be tightened with a normal shoelace in order to more closely adhere to the foot of the shoe.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신발끈이 끼워지는 구멍을 가지고 있는 띠 수단을 마련하여서 신발끈이 운동화를 조일 경우에 신발끈을 그것이 조여질때 띠에 큰 장력을 부여하여서 운동경기중 운동 경기자의 발이 신발에 지지되는 느낌을 더욱 크게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having a shoelace into which the shoelace is fitted so that when the shoelace is tightened, the shoelace gives the shoe a great tension when the shoelace is tightened so that the athlete's foot is supported by the shoe during the sporting event. It is to make the feeling of becoming bigger.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을 감싸고 있는 운동화의 여러부분에서 편안함을 마련하는데 있는바, 즉, 신발의 후방부분은 앞쪽과 위쪽으로 당겨지고 동시에 신발의 앞보강부 부분은 뒷쪽과 위쪽으로, 즉 모두가 발의 발등부분 향하여, 당겨져서 아아치를 더욱 튼튼하게 지지할 뿐만 아니라 신발이 발을 더욱 단단히 감싸게 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comfort in the various parts of the sneakers surrounding the foot, ie the rear part of the shoe is pulled forward and up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front reinforcement part of the shoe is backward and upward, ie both Towards the instep of the foot, it is pulled to support the arch more firmly, and the shoe wraps the foot tighter.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신발의 양측면부 부근에 그 바깥쪽으로 채용한 지지체로써 일련의 조일 수 있는 띠를 마련하여서 착화감을 편안하게 하되 그 띠는 그 밑에 있는 발의 신체부위를 압박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ies of tightening bands as a support that is adopted outwardly near both sides of the shoe to comfort the wearer, but not to press the body part of the foot beneath it.

본 고안의 다른목적은 한쌍의 3각형으로 된 띠 수단을 마련하고, 그것은 보통 신발의 아이스테이(eyestay)의 약간 밑에 있는 끈구멍과 아일렛드를 포함하며, 신발끈이 전부 끼워져서 조여질 때 그 띠는 운동경기자의 발 양쪽을 반대쪽으로 부드럽게 대면서 밀착시킨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ir of triangular strip means, which usually include laces and eyelets slightly below the eyestay of the shoe, when the shoelaces are all tightened and tightened. The straps are pressed against each side of the athlete's feet with a gentle touch.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발에 발을 조이는 수단을 포함하여서 운동경기자에게 그 신발이 안정되게 신겨져 있다는 정신적 인상을 주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ive the athlete a mental impression that the shoe is stably worn, including a means of fastening the foot to the shoe.

본 고안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illustration.

본 고안은 운동화의 측면부, 즉 신발의 양측면부에, 여러가지 띠 수단(Strap means)을 형성시킨 것이고, 또한 여러가지 실시예에서 신발의 앞보강부와 후방구조가 격렬한 운동경기에 참가한 운동선수의 발를 지지하고 그 지지를 강화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various strap means on the side of the shoe, i.e., on both sides of the shoe, and in various embodiments, the front reinforcement of the shoe and the rear structure of the shoe support the feet of the athlete who participated in the intense athletic competition. And influence the strengthening of its support.

본 고안은 밑창의 쉥크(Shank)부근의 단일부위에서 모두 연결된 뱀프, 양측면 및 뒷굽부분을 가진 통상의 운동화를 변형시킨 것이고 그것은 운동화의측면부위에 연결시킨 여러가지 띠 수단을 신발구조에 강구한 것이고, 그 띠 수단은 신발끈과 결합하여 신발의 지지를 강화 시키도록 조여지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odification of a conventional sneaker with a vamp, both sides and a heel connected at a single part near the shank of the sole, and it is a shoe structure that has various strap mean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neaker, The strap means are tightened in conjunction with shoelaces to strengthen the support of the shoe.

본 고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띠 수단을 가질수 있지만, 한쌍의 띠 수단이 바람직하며, 그것은 신발의 양측면에 위치하며 밑창의 쉥크부근에서 양측면부, 뒷굽, 및 앞보강부와 연결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strip means, but a pair of strip means are preferred, which ar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hoe and are connected to both sides, the heel, and the front reinforcement in the vicinity of the shank of the sole.

또 각 띠는 위로 뻗어 있어서 신발의 아이스테이부근의 정점에 연결되어 있지만 그것보다 약간 짧은 것이 좋으며, 그것은 통상의 신발끈을 끼우는 끈구멍의 범주내에서 통상의 아일렛드를 통하여 당겨져서 긴착수단을 제공하게 되고 따라서 신발끈을 조이게 되면 이들 띠 들은 더욱 조여지고 신발의 측면부위에서 위쪽으로 당겨져서 측면부위와 접촉하여 긴장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경기자의 발에 그 지지력을 강화시킨다.Each band extends upwards and is connected to the apex of the shoe's eyestay, but slightly shorter than that, which is pulled through the usual eyelets within the range of the strap hole where the normal shoelace is fitted to provide a secure means. When the shoelaces are tightened, these straps are further tightened and pulled upwards from the side of the shoe to keep the tension in contact with the side to strengthen the support of the athlete's feet.

이들 한쌍의 띠들은 신발의 밑창부위로부터 연장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스테이의 부근을 향햐서 위쪽으로 뻗어있는 하나의 3각형 모서리를 갖는 형태로 되어 있다. 더 좋은 실시예로서 각기 두쌍으로 된 지지용 띠가 제공되며, 특수한 실시예들 중에는 이들 쌍의 수효보다는 적으나 꽤 많은 수효의 띠를 사용하여서 신발이 발부근을 더욱 단단하게 감싸도록 하고 소망하는 지지력을 부여토록한다.These pairs of bands are shaped to have one triangular edge extending from the sole of the shoe and extending upwards towards the vicinity of the eyestay as described above. As a better embodiment, two pairs of support straps are provided, each of which uses fewer but quite a few bands than these pairs to allow the shoe to wrap more tightly around the foot and the desired bearing capacity. To be given.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 한쌍의 띠는 양측면부 가까이에 있는 밑창쉥크 부근 뿐만 아니라 신발의 뒷굽부분 또는 뒷굽과 앞보강부 근방에 마찬가지로 연결되어서 이들 신발 부위에 당기는 힘을 척골(蹠骨)쪽 또는 발등쪽으로 모가나게 위쪽으로 향하게 하여서 신발이 이 부근의 발을 집중적으로 감싸게 하여준다. 더 나아가서 띠 수단들을 신발의 양측면 하부인 밑창쉥크에 위치하여서 이 부분의 발을 효과적으로 감싸고 위쪽으로 조여서 효과적인 아아치 지지기능을 하고, 이것은 발에 손상이나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운동경기자의 발을 신발에 더욱 단단하게 긴착시킨다. 동시에 이것은 운동 경기자에게 정신적으로 자기의 신발이 발을 포용하고 있다는 확신감을 줌으로서 농구, 미식축구, 테니스등과 같은 격렬한 운동중에 특히 위험한 동작을 취함에 있어서 더 자신감을 부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bands selected are similarly connected to the soles of the shoe, near the lateral sides, as well as near the heel or heel and front reinforcement of the shoe, so that the force of pulling on these shoe parts can be applied to the ulna or to the foot. Make sure your shoes are facing upwards so that your shoes wrap around your feet. Furthermore, the strap means are placed on the sole shank, underneath the sides of the shoe, effectively wrapping and tightening the feet of the foot to provide an effective arch support function, which allows the athlete's feet to rest on the shoe without damage or discomfort. Tighten tighter. At the same time, it gives athletes the confidence that their shoes are mentally embracing their feet, giving them more confidence in taking particularly dangerous moves during intense sports such as basketball, football, and tennis.

운동경기자는 그들의 기술에 불문하고 빈번하게 무릎이나 발을 다칠 수 있다. 그러나 발을 단단하게 지지시키는 띠를 가진 본 고안을 이용하면 발등, 발뒷굽치를 완전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Athletics can injure their knees or feet frequently, regardless of their skill. However,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strap that firmly supports the foot, the instep and the back heels can be completely supported.

다른 실시예들은 띠의 정점이 묶음수단 가까이에 봉착될 수 있으며, 등반한 신발끈이 당겨질때 그 띠 수단도 밑에 있는 신발 양측면보다 당겨져서 그 끈은 신발의 양측에 밀착되며, 신발을 구조적으로 강화시킬 뿐 아니라 긴착감을 부여한다.In other embodiments, the vertices of the strap may be sealed close to the tie, and when the climbing shoelace is pulled, the strap is also pulled from both sides of the underlying shoe so that the strap is pressed against both sides of the shoe and structurally strengthens the shoe. In addition to giving a sense of attachment.

첨부도면에 의하면 제1도 내지 제3도에 죠깅이나 농구등의 운동에 사용되는 목이짧은 운동화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통상적인 운동화의 요소인 갑피(A), 앞보강부(Vamp)(B), 앞코부분(C), 양측면부(D)와 뒷굽부(E)로 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1 to 3 show short-necked sneakers used for jogging or basketball, which are elements of a conventional sneaker upper (A) and front reinforcement (Vamp) (B). , Front nose part (C), both sides (D) and heel (E).

이들 모든 요소들은 밑창쉥크(Shank)에 연하여 밑창(F)에 부착되어서 하나의 완성된 구조를 이룬다.All these elements attach to the sole shank and attach to the sole F to form a complete structure.

아이스테이(eyestay)(G)는 신발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일련의 아이렛드 또는 끈구멍(H)을 가지고 있고, 그 끈구멍에 신발끈(L)이 위치하며 이와 같은 운동화는 보통으로 신발끈이 조여져서 발을 조이도록 하는 것이다.The eyestay (G) is formed at the top of the shoe and has a series of eyelets or laces (H), where the laces (L) are located and such sneakers are usually shoelaces This is tightened to tighten the feet.

본 고안의 요지는 신발의 양측에 옆으로 배열된 일련의 지지수단(1)에 있으며, 그리고 띠와 같은 지지수단은 정점(2)를 향하여 위쪽으로 뻗어있으며, 동시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띠 수단은 신발의 아래쪽으로 연결되어 함께 한쌍으로 되어있되, 각기 위쪽으로 구멍(3)을 포함하는 위치에서 삼각형을 이루며, 그곳을 통하여 신발끈(L)은 아이스테이(G)를 통해서 신발은 묶을때 마찬가지로 끼워진다.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lies in a series of support means (1) arranged sideways on both sides of the shoe, and support means such as belts extend upwards toward the apex (2), and at the same time as shown, the belt means They ar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pair and are paired together, each forming a triangle at the position including the hole (3) upwards, through which the shoelace (L) is similarly fitted when the shoes are tied through the eye stay (G). .

신발끈(L)은 4에서와 같이 지지수단의 구멍(3)을 거쳐서 뻗어있음을 알 수 있다. 이들 지지수단의 각각은 1에서 처럼 일종의 띠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 띠는 위로 얹혀진 형태로, 또는 뱀프부분(B)의 아래쪽으로 그리고 양측면부분(D)에 뻗혀있는 전방끈(1)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서 후방끈(1)은 아래로 뻗어있으며, 6에서 처럼 뒷굽부(E) 부근에 얹혀있거나, 그것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양측면부(D)에 얹혀져서 신발구조내에서 아래쪽으로 뻗어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shoelace (L) extends through the hole (3) of the support means as in 4. Each of these support means is in the form of a band, as in 1, which has an anterior strap (1) extending upwards or extending below the vamp section (B) and on both side sections (D). . Furthermore, the rear strap 1 extends downward and, as in 6, is placed near the heel E, or is disposed in the middle thereof, and is mounted on both sides D and extends downward in the shoe structure.

7과 8의 부근에서 처럼 중간끈(1)은 각각 아래쪽으로 뻗어져서 밑창쉥크(S)부근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고, 또 상기 지지수단의 하방부분은 신발구조내에 부착되어 있다.As in the vicinity of 7 and 8, the middle strap 1 extends downward and is firmly attached to the sole shank S, and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ing means is attached to the shoe structure.

최전방 띠(1)는 5에서 처럼 아래쪽으로 뻗혀있고 9에서 처럼 밑창쉥크 부근에 부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최후방 띠(1)는 아래쪽으로 6에서와 같이 뻗혀져 10에서 처럼 밑창쉥크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곳에서 운동화의 밑창(F)에 지지되거나 부착되어 있다.The foremost band 1 extends downward as in 5 and is attached near the sole shank as in 9. Similarly, the rearmost band 1 extends downwards as in 6 and is connected to the sole shank as in 10, where it is supported or attached to the sole F of the sneaker.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띠(1)는 도시한데로 신발구조 속의 각 부분에 위치하며 신발밑창 근처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2에서 처럼 그들의 정상쪽으로 모서리를 만들도록 위로 뻗혀있으며, 그곳에 신발끈을 끼우는 끈구멍을 두어서 신발을 조일 수 있게 한다. 제4도와 제5도는 운동화에 나타낸 다른 변형을 보이고 있는 바, 이 특정예에서 그 신발은 목이긴 농구화로 거래되고 있는 신발이다.As described above, these straps 1 are located at each part of the shoe structure as shown and extend upwards from the vicinity of the shoe sole to make corners towards their tops as in 2 as described above, where the laces for the shoelaces are fitted. Allow them to tighten the shoes. 4 and 5 show another variant of the sneaker, in which the shoe is a shoe that is sold as a basketball shoe.

이 특정한 고안의 지지수단은 11내지 16까지의 일련의 끈으로 되어 있고, 그들은 한몸체의 쌍으로 배열되어 있되 근본적으로 3개의 쌍으로 되어 있으며, 그것들은 마찬가지로 밑창쉥크(S)나 신발의 하부로부터 18에서와 같이 정점들을 이루어서 위쪽으로 모서리를 가지게 상방으로 뻗혀 있으며, 그곳에 신발끈을 끼우는 끈구멍이 배치되어 있다.The support of this particular design consists of a series of strings from 11 to 16, which are arranged in pairs of one body but essentially three pairs, which are likewise from the sole shank (S) or the bottom of the shoe. As in 18, it forms vertices and extends upward with corners, and there are string holes for shoelaces.

이들 띠들은 그 하단부를 신발에 일체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또는 17에서처럼 신발의 양측면부를 따라서 부분적으로 봉착하여 이들 신발요소들에 부분적으로 부착시키며, 지지수단의 상단부는 신발을 조일때 신발끈의 당기는 힘에 의하여 위쪽으로 자유롭게 당겨지도록 되어 있다.These straps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hoe, or partially attached to these shoe elements by partially sealing along the sides of the shoe, as in 17, and the top of the support means pulls the shoelaces when tightening the shoe. It is free to be pulled upward by force.

이들 지지수단의 상부 3각형 부분에 있는 끈구멍(19)는 통상의 신발끈구멍(H)보다 약간 밑에 배치하여서 신발을 조일때 띠수단 11내지 16은 큰 장력을 받도록 하여서 발을 묶을때 운동화의 양측에서 그들이 더욱 단단하게 당겨질 수 있게 하였다.The strap hole 19 in the upper triangular portion of these support means is placed slightly below the normal shoelace hole H so that the belt means 11 to 16 are subjected to great tension when the shoes are tightened to It allows them to be pulled harder on both sides.

일반적으로 딜이들 띠는 가죽이나 직물과 같이 늘어나지 않는 재질로 되어 있으며, 또는 적당한 지지력이 요구될 경우에는 이들 지지수단의 구조내에 약간의 신축성을 주어서 신발을 묶었을때 부드러운 지지력과 느낌을 부여할 수도 있다.Generally, the straps are made of materials that do not stretch, such as leather or fabric, or, if proper support is required, they provide some flexibility within the structure of these support means to provide a soft support and feel when the shoes are tied. It may be.

제5도의 평면도에서와 같이 지지수단은 신발의 양측에 마련되어서, 발의 모든 부위를 완전히 감싸고 동일하게 지지시킨다.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5, the support mea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oe so as to completely wrap and support all parts of the foot.

예를 들어서 끈(11)은 신발의 뒤꿈치나 후방부분을 앞으로, 위로 당기며, 끈(16)은 신발의 뱀프부위 부근을 후방으로, 위로 잡아당긴다. 아울러 끈(12)내지 (15)는 신발 양측면쪽 발등을 측면쪽으로 또는 척골(蹠骨)쪽으로 위로 당겨서 어느정도로 그 신발을 신은 발의 아아치와 발등을 지지하게 된다.For example, the strap 11 pulls the heel or rear portion of the shoe forward and upward, and the strap 16 pulls back and up near the vamp portion of the shoe. In addition, the straps 12 to 15 support the arches and the instep of the foot of the shoe to some extent by pulling the instep of the shoe on both sides of the shoe upward or toward the ulna.

제6도와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형태를 보인다.6 and 7 show another vari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표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은 한쌍의 띠(20) 내지는 (23)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한쌍의 띠(22)와 (23)및 다른 한쌍의 띠(20)과 (21)로 되어 있다.As indicated, the support means has a pair of bands 20 and 23 which are a pair of bands 22 and 23 and another pair of bands 20 and 21.

이 실시예에서 지지띠(20) 내지는 (23)은 밑창쉥크(S) 부근이나 그안에 부착되어 있으며, 띠(20)처럼 운동화의 뒷굽부분(E)에 봉착되어 있고, 상기 띠들은 한쌍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도시된 24와 25에서와 같이 그들의 정점을 향해서 위로 뻗어있고, 그 부근에 신발끈을 끼우는 끈구멍(26)(27)이 배치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belts 20 to 23 are attached to or near the sole shank S, and are attached to the heel portion E of the sneakers like the belt 20, and the straps are a pair of shapes. String holes 26, 27 that extend upwards toward their apex, as shown in 24 and 25, and which are fitted with shoelaces in the vicinity thereof.

운동화 구조내에서 이들 한쌍의 띠의 역활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운동경기중 보강작용을 부여한다. 제8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므로써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더욱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role of these pairs of bands in the sneaker structure impart reinforcement during athletics, as already described above. By referring to Figures 8 to 12 will b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시한 바와 같이 이들 특정예에서 운동화는 죠깅하는 사람, 농구경기자, 미식축구선수등과 같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목이 짧은 신발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제1도에 도시한 운동화와 흡사하다.As indicated, the sneakers in these particular examples have the form of short-necked shoes used by people such as joggers, basketball players, football players, and the like, similar to the sneakers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용 띠(27) 내지는 (30)은 신발의 양측면(D)에 얹혀져서 운동화의 양측에 측면으로 배열되어 있다.As shown, the support strips 27 to 30 are mounted on both sides D of the shoe so that they are arranged laterally on both sides of the sneaker.

도시된 띠들은 쌍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제8도 및 제9도처럼 신발을 신지 않을때는 신발에 정상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신발끈(도시되지 않았음)이 아이스테이(G)의 끈구멍(H)에 기워져서 조여지면 지지용띠(27) 내지는 (30)은 위쪽으로 꼭 당겨져서 그들의 끈구멍(31)과 (32)는 아이스테이구멍(H)에 중첩되어 긴장상태로 되고, 이것은 도시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한 연장된 한쌍의 띠로 보인다.The bands shown are arranged in pairs and normally placed on the shoe when not wearing the shoes as shown in FIGS. 8 and 9. However, when the shoelaces (not shown) are tightened in the strap hole H of the eye stay G, the support belts 27 to 30 are pulled upwards so that their strap holes 31 and 32 ) Is superimposed on the istay hole (H) and becomes a tension state, which appears as an extended pair of bands indicated by dotted lines as shown.

이상과 같이 지지띠들은 보통신발을 단순하게 신발끈으로 조이므로서 얻는것 이상으로 발의 측면부위를 감싸고 그곳에 큰 장력을 부여하게 된다.As mentioned above, the support belts wrap the side of the foot and obtain a great tension there than that obtained by simply tightening the shoelace with a shoelace.

지지띠에 가해지는 장력의 정도는 띠의 구성에 의하여 좌우되는바, 신축성재질로 된 띠보다는 두꺼운 범포(Canvas)나 가죽띠가 더욱 큰 장력을 주게되고, 아울러 이들 한쌍의 띠의 정점높이와 아이스테이의 구멍(H)으로부터 이들의 끈구멍(31)(32)까지의 정상적인 거리는 각 지지띠에 가해진 장력의 정도를 좌우하고 또 발을 감싸는 정도를 좌우하게 된다. 명백히 신발을 사용하지 않을때에 끈구멍간의 거리가 크면 클수록, 지지용 띠의 신축성이 적으면 적을수록 띠에 가해진 힘과, 거기에 가해진 장력은 더 커지며, 아울러 사용자의 발을 더욱 강하게 신발에 밀착시킨다.The degree of tension applied to the support bands depends on the composition of the bands.Thick canvas or leather bands give more tension than elastic bands, and the peak height of the pair of bands and the ice stay The normal distance from the hole H to the string holes 31 and 32 determines the degree of tension applied to each support belt and the degree of wrapping the foot. Obviously, the greater the distance between the strap holes when the shoe is not in use, and the less elastic the support strap is, the greater the force applied to the strap and the tension applied to it, and the more firmly the user's foot is attached to the shoe. .

제10도 내지는 제12도는 신발끈(L)이 지지용 띠로 조여졌을 때와 아이스테이구멍(H)을 통해서 정상적으로 배열됨을 보이고 있다.10 to 12 show that the shoelaces L are normally arranged when they are tightened with a support belt and through the eye stay hole H. FIG.

제111도는 중간단계의 조임중에 있는 신발끈을 보이고 있으며, 띠수단이 아이스테이구멍(H)에 정렬되어 위로 당겨지고 있고, 띠(28)을 도시하고 있는 제12도에서 모든 띠(27) 내지 (30)은 끈구멍(H) 또는 보지수단(31)을 통해서 신발끈(L)을 조일때 완전한 조임위치까지 당겨진다.FIG. 111 shows the shoelace in the middle stage of tightening, the belt means being aligned and aligned with the eye-stay hole H, and the belt 28 shows all the belts 27 to 12 in FIG. 30 is pulled to the complete tightening position when the shoelace L is tightened through the string hole H or the retaining means 31.

이와 같이하여 제12도처럼 신발에 발을 꼭맞게 유지시키게 되며 동시에 지지용 띠(27) 내지는 (30)은 착용자의 발을 불편하게 하지는 않으면서 발을 단단히 결속시켜주게 된다.In this way, as shown in FIG. 12, the foot is held tightly in the shoe,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belts 27 to 30 bind the feet firmly without making the wearer's foot uncomfortable.

제10도 내지 제12도에서 지지용 띠(27) 내지 (30)의 하단부는 (띠(28)만이 도시되어 있음) 한개의 띠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것은 안창(33)과 양측(D)의 하면에 연장되어 있고 밑창(F)에 끼워져있다. 이처럼 지지용 띠(28)은 단일구조로 되어 있으며 34에서 처럼 전방향을 회단하여 뻗어있고 이들 신발의 특정부위에 끼워있다.In FIGS. 10 to 12, the lower ends of the support strips 27 to 30 (only the strips 28 are shown) consist of one strip, which is the lower surface of the insole 33 and both sides D. It extends in and fits on the sole (F). Thus, the support belt 28 has a unitary structure and extends in all directions as in 34 and is fitt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se shoes.

본 고안의 구체적인 띠수단의 형태는 제12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본 고안에서 이미 밝힌바 있는 모든 지지용 띠는 이와 같은 단일몸체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운동화의 안창저면에 연장되어 있다.The form of the specific bel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12 and all the support belts already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such a single body configuration and extend to the insole bottom of the sneaker.

한편 이들 지지용 띠(28)은 제11도에서와 같이 독립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밑창쉥크 부위의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35에서처럼 끝나서 접착에 의해 연결되고, 이들 신발갑피와 밑창(F) 사이에 끼워진다. 그리고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 및 제2도의 지지용 띠(1)나 제4도의 지지용 띠(11) 또는 띠(27)과 더불어 제6도 및 제7도의 띠(20)는 양측면부, 뒷굽부분, 또는 앞보강부 부분과 맞나는 아래쪽 부근 근처에서 끝나고 그곳에서 봉착되며, 그렇더라도 그것은 효과적으로 이들 띠에게 장력을 부여할 수 있고, 잡아당길 수 있으며 발등위쪽으로 띠에 장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격렬한 운동경기중 신발에 운동경기자의 발을 단단하게 감쌀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se support straps 28 can be made independently as in FIG. 11 and extend below the sole shank area and are terminated as in 35 and connected by gluing, sandwiched between these shoe uppers and soles F .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strip 1 of FIGS. 1 and 2, the support strip 11 or the strip 27 of FIG. 4, and the strips 20 of FIG. 6 and 7 have both side portions. And close there near the bottom, where it fits with the heel or front reinforcement, where it is effective because it can effectively tension, pull, and tension the strap over the instep It is possible to firmly wrap the feet of the athletes in the shoes during the athletics.

여기에 설명한 본 고안을 검토한 이 분야의 기술자는 신발의 양측면에 형성시킨 띠형태의 지지수단을 변화시키거나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상기 변경이나 변형이 들어있다면 이는 명백히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저촉되는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ho have reviewe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will be able to vary or alter the band-shaped support mea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oe. However, if the abov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early contrary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만으로 한것이고 본 고안이 추구하는 권리보호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is only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protection pursued by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앞보강부, 발가락부분, 양측면부와 뒷굽부분으로 되어 있고, 이들이 모두 신발밑창에 일체로 부착된 운동화로서, 또 양측면부에 위로 눕혀져 있는 띠 지지체를 가진 운동화로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용 띠가 신발밑창과 연결된 부근의 갑피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띠는 신발의 양측면에 접하여서 위로 뻗어있으며, 지지용 띠의 상단부 근처에는 신발끈을 끼울 수 있는 보지수단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보지수단은 아이스테이의 끈구멍 하부 직선상에 배치시켜서 된 지지용 띠를 가진 운동화.Sneakers with front reinforcements, toes, both sides and heel, all of which are integrally attached to the sole of the shoe, and sports shoes with a band support lying on both sides of the shoe, with at least one support strap It is attached to the upper of the vicinity connected to the sole, the belt extends up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hoe, and has a holding means for fitting the shoelace near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trap, and the holding means of the eye stay Sneakers with a support belt arranged on a straight line under the string hole. 제1항에 이어서, 상기 지지용 띠는 한쌍의 띠로 되어있고, 각 지지용 띠의 하나는 신발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The support bel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elt is a pair of belts, one of each support belt being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ho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띠는 한개의 띠로 되어 있고, 신발밑창과 갑피 사이에 기워져서 신발양측의 양측면부에 접하여 위쪽으로 뻗어 있는것.2. The support bel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elt is a belt, which is inclined between the sole of the shoe and the upper and extends upwardly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sho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띠는 신발의 앞보강부, 양측면부와 뒷굽부분의 일측에 양쪽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elt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one side of the front reinforcement portion, both side portions and the heel portion of the sho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띠가 탄성체인 것.The said support | carrier strip is an elastic body of Claim 1.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화는 목이 높은 운동화인 것.The sneaker according to claim 2, 3 or 4, wherein the sneaker is a high neck.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화는 목이 짧은 운동화인 것.The sneaker according to claim 2, 3 or 4, wherein the sneaker is a short neck.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 띠수단(Strap means)은 운동화의 양측으로 배열된 한쌍의 띠로 된 것.5. A strap according to claim 2, 3 or 4, wherein each strap means consists of a pair of strap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neak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띠수단의 쌍은 그들의 상부 단부에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지수단이 띠의 연결부위에 위치한 것.9. A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pair of band means are connected at their upper ends and the retaining means are located at the connection of the ban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수단이 끈구멍을 가지는 것.10. Th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holding means has a str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수단이 끈구멍을 가지는 것.The hold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ing means has a string hole. 제8항에 있어서, 밑창에 근접하여 연결되 있는 상기 띠수단이 앞보강부, 양측면부와 뒷굽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것.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band means connected in close proximity to the sol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ront reinforcement portion, both side portions and the heel portion.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운동화의 각 측면에 있는 각 띠수단들은 일련의 3개의 띠로 구성되고, 각 띠수단들이 운동화의 앞보강부, 측면부와 뒷굽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것.5. A shoe according to claim 2, 3 or 4, wherein each band means on each side of the sneaker consists of a series of three bands, each of which is attached to the front reinforcement, side and heel of the shoe. that.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 띠수단이 운동화의 각측면에 배치된 두쌍의 띠로 되어 있는 것.5. A belt according to claim 2, 3 or 4, wherein each band means consists of two pairs of bands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sneaker. 제14항에 있어서, 각 쌍의 띠수단은 그들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하나의 신발끈 보지수단이 그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것.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each pair of strap means is connected to their upper end, and one shoelace retaining means is located at its connec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수단이 끈구멍을 가지는 것.The holding means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holding means has a string hol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띠수단의 쌍중 하나의 띠가 신발뒷굽근처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띠는 앞보강부 근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수단 쌍들중 두개의 띠는 신발의 양측면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16. The shoe of claim 15 wherein one of the pairs of belt means is connected near the heel of the shoe, the other is connected near the front reinforcement, and two of the pair of support means ar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shoe. It is done.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띠수단이 운동화의 각 측면에 배열된 세쌍의 띠로 되어 있는 것.5. A belt according to claim 2, 3 or 4, wherein each band means consists of three pairs of bands arranged on each side of the sneaker.
KR2019830006428U 1983-04-11 1983-07-21 Athletic shoes with supporting straps KR880003161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8116583A 1983-04-11 1983-04-11
US481,165 1983-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56U KR840006056U (en) 1984-11-30
KR880003161Y1 true KR880003161Y1 (en) 1988-09-09

Family

ID=2391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6428U KR880003161Y1 (en) 1983-04-11 1983-07-21 Athletic shoes with supporting strap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3161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56U (en) 1984-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6634A (en) Athletic shoe
US4245408A (en) Athletic shoe
US4592154A (en) Athletic shoe
US4079527A (en) Shoe
US5992057A (en) Strapping and closur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2949164B2 (en) Shoes having a reinforcing member in the middle
US4366631A (en) Athletic shoe
US3546796A (en) Special sport shoe for people with high insteps
US4571856A (en) Double laced athletic shoe
US4413431A (en) Athletic shoe upper construction
US4187844A (en) Ankle supporter
US7886462B2 (en) Padded shoe
US8156664B2 (en) Padded shoe
US20150257476A1 (en) Article of Footwear For Athletic And Recreational Activities with Bootie
US6802139B2 (en) Slip-on moccasin-style golfing shoe
CN105286205A (en) Footwear with reactive layers
US9668534B2 (en) Footwear
US20090044427A1 (en) Padded Shoe
US7774957B2 (en) Padded shoe
US5960565A (en) Adjustable aquatic exercise shoe
KR100720751B1 (en) Ankle Support To Be Attached To Footwear And Footwear Equipped With It
KR880003161Y1 (en) Athletic shoes with supporting straps
KR880003159Y1 (en) Shoes with instep supports
US20230054105A1 (en) Footwear with multiple lockdown configurations
CA1124060A (en) Shoe with supported h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09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