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7458A -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웹 서버 저장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웹 서버 저장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7458A
KR20060067458A KR1020040106243A KR20040106243A KR20060067458A KR 20060067458 A KR20060067458 A KR 20060067458A KR 1020040106243 A KR1020040106243 A KR 1020040106243A KR 20040106243 A KR20040106243 A KR 20040106243A KR 20060067458 A KR20060067458 A KR 2006006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erminal
portable terminal
user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달용
Original Assignee
전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달용 filed Critical 전달용
Priority to KR102004010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7458A/ko
Publication of KR2006006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 G06F16/1794Details of file format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웹 서버에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가 PC 등의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되면, PC에 설치된 프로그램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포맷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기저장된 주소의 웹 서버에 로그인하고, 상기 수신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업로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휴대 단말기가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가 자동으로 미리 정해진 웹 서버에 업로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클릭(One-Click)으로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를 웹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원 클릭, 콘텐츠, 데이터, 웹 서버, 업로드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웹 서버 저장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UPLOADING PORTABLE DEVICE'S DATA ON WEB SER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데이터 저장 방법을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 휴대 단말기 및 웹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을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웹 서버에 저장되 공통 포맷의 데이터를 제2 휴대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통신 모듈 220 : 휴대 단말기 식별부
230 : 데이터 수신부 240 : 사용자 정보 저장부
250 : 데이터 제어부 260 : 데이터 변환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웹 서버에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웹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된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된 종류에 따라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수신하면,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상기 웹 서버에 자동 로그인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업로드하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직장인을 비롯하여 초등학생들까지도 모두 1인당 1대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다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휴대폰의 보급률은 일반 유선 전화의 보급률보다 높은 수준이다. 현대인에게 필수품으로 자리잡은 휴대폰을 이용하여 많은 사람들은 지인들과 통화를 하고 정보를 주고 받는다. 또, 현대인들은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뿐만 아니라, 게임도 하고, 사진도 촬영하고, 음악도 들으며, 인터넷 접속도 하여 각종 정보를 휴대폰을 통해 습득하기도 한다.
단순한 호출기능으로 등장한 개인 휴대 단말기는 급격한 기술 발전에 힘입어 즉석에서 사진을 찍어 휴대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 즉, 카메라 폰으로 진화하였으며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휴대폰들이 카메라 기능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폰의 인기가 급격히 확산되면서, 그 수요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맞춰 카메라 폰의 진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카메라 폰의 진화에 이어 현재 시판되고 있는 거의 모든 개인 휴대 단말기는 MP3 플레이어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일명 MP3폰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 최근에는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게임 또는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어, 상기 게임 구동 환경을 최적화시킨 게임 폰까지 등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 컨버젼스 시대에 맞춰 여러 가지 기능을 구비한 개인 휴대 단말기가 속속 출시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여러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 용량 또한 일반 PC에서나 사용되던 기가 바이트(G bite)급을 지원하고 있다. MP3 파일, 사진 또는 동영상 데이터, 게임 데이터 등의 고용량 데이터를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저장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기가 바이트의 대용량 메모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현재 대부분의 사람들은 다기능의 개인 휴대 단말기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니면서,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받고 있다. 그러나 개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대용량의 데이터는 백업 실행에 있어 골치 아픈 일로 여겨지고 있다. 즉, 이전의 자신의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하던 데이터들(주소록, 벨소리, 사진, 게임 프로그램 등)을 새로운 자신의 휴대 단말기에서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없어 매우 곤란함을 겪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개인 휴대 단말기의 교체 주기가 1~2년으로 짧아진 요즘, 상기와 같은 데이터의 백 업 실행 문제가 크게 부각 되고 있다.
비록 개인 휴대 단말기의 제조 업체에서 단말기 교체 시 데이터를 새로운 단말기에 저장해 주는 서비스를 실시하고는 있으나, 이는 같은 제조 업체의 단말기를 구입할 경우에나 가능한 일이고, 다른 제조 업체의 단말기 구입 시에는 전화번호 주소록 정도만 새로운 단말기로 저장이 가능하여서 큰 불편이 뒤따르고 있다.
또한, 각각의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포맷이 서로 달라서, 사용자가 같은 제조 업체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구입하였다 할지라도,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를 변경한 경우에는 이전 단말기에서 사용하던 디지털 콘텐츠를 새로운 단말기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개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다른 제조 업체 또는 다른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로 변경하더라도, 이전에 사용하던 개인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콘텐츠, 즉, 각종 데이터를 변경하고자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데이터 백업을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개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휴대 단말기가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소정의 웹 서버에 자동 로그인하여 상기 데이터를 업로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클릭(One-Click)에 의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된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변환 가능한 공통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웹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 제2 휴대 단말기가 접속되면,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종류에 대응하여 웹 서버에 저장된 공통 포맷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모든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포맷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기저장된 주소의 웹 서버에 로그인하고, 상기 수신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은, 휴대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변환 가능한 공통 포맷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포맷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기저장된 주소의 웹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데이터 저장 방법을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및 웹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20) 사용자들은 자신의 휴대 단말기(12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웹 서버(140)에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10)에 휴대 단말기(120)를 연결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2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의 접속을 위하여 USB 포트, 시리얼(serial) 포트,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 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20)는 MP3 플레이어, 휴대 동영상 플레이어,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DMB 폰,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160;등과 같이 휴대가 가능한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또한, 휴대 단말기(120)는 각종 디지털 콘텐츠 등의 데이터의 저장을 위하여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소정의 메모리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휴대 단말기(110)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통신망(130)을 통해 연결된 웹 서버(140)로 상기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소정의 PC와 같은 범용 컴퓨터 또는 노트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의 구성은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망(130)은 사용자 단말기(110)와 웹 서버(140)의 접속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연결 수단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통신망(130)이라 함은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 또는 CDMA 1x 또는 EV-DO 이동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방식과 휴대 인터넷, VoIP 등 향후 서비스 될 수 있는 통신망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웹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10)와 통신망(130)을 통해 연결된 서버로서, 휴대 단말기(120)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웹 서버(14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을 서비스하는 업체가 소유한 서버일 수도 있고, 상기 업체 이외의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특정 사이트에 포함된 웹 하드 형식의 서버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을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을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크게, 통신 모듈(210), 휴대 단말기 식별부(220), 데이터 수신부(230), 사용자 정보 저장부(240), 데이터 제어부(250), 및 데이터 변환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 모듈(210)은 휴대 단말기 또는 웹 서버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매개체로서, 휴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웹 서버로 업로드 하거나, 상기 웹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통신 모듈(210)은 인터넷 접속 모뎀, 근거리 통신망(LAN) 접속 모뎀, 시리얼, 범용 직렬 버스(USB), 적외선(IR) 통신부, 블루투스 통신부, 또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부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접속은 물론, 코드 분할 다중화 접속 방식(CDMA), WCDMA, ALL IP, GSM, GPRS 접속 방식, 및 현존하는 모든 이동통신 관련 접속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고, H.323, MGCP(Message Gateway Control Protocol),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Megaco 등의 VoIP 호 연결을 위한 호 제어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식별부(220)는 통신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된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접속된 휴대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보(예를 들어, 제조사, 모델명 등)를 판독하고 해석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각각의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즉, 디지털 콘텐츠의 형식 또는 포맷이 현재 각 휴대 단말기 제조사 및 이동통신사 별로 각각 다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의 특성을 판독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230)는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접속된 휴대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230)는 웹 서버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위하여, 데이터 수신부(230)는 PC 또는 노트북에 포함되는 소정의 메모리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고, 상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 또는 상기 웹 서버로 바이패스(Bypass) 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240)는 휴대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정보 및 웹 서버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아이디, 패스워드, 또는 상기 웹 서버의 네트워크 주소를 저장하고 유지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웹 서버로 업로드하기 위해서는 상기 웹 서버로 자동 로그인을 수행하여야 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240)는 상기 웹 서버 자동 로그인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아이디, 패스워드, 또는 상기 웹 서버의 네트워크 주소를 입력 받고, 상기 웹 서버로의 자동 로그인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 클릭(One-Click)에 의한 데이터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관한 것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휴대 단말기 사용자 각각에 관한 것일 수도 있다.
데이터 제어부(250)는 데이터 수신부(230)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사용자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된 사용자의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독출하여 웹 서버에 로그인하고, 상기 데이터가 상기 웹 서버에 업로드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 제어부(250)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통신 모듈(210)을 통해 접속된 또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데이터 변환부(260)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변환 가능한 공통 포맷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로 변환한다. 현재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데이터는 각 휴대 단말기의 제조사 또는 이동통신사 별로 각기 다른 포맷을 갖고 있다. 데이터 변환부(260)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포맷을 갖는 데이터를 다른 포맷으로도 변환 가능한 공통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011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한 MP3 파일은 "skm" 확장자를 갖는 포맷으로 구현되는데, 데이터 변환부(260)는 상기 "skm" 확장자를 갖는 MP3 파일을 상기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모든 단말기에서 실행 가능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mp3" 확장자를 갖는 공통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260)는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공통 포맷의 데이터를 통신 모듈(210)에 접속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포맷을 갖는 데이터로 변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한 "mp3" 확장자를 갖는 공통 포맷의 데이터를 상기 휴대 단말기, 즉, 011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skm" 확장자를 갖는 포맷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가 주소록 데이터인 경우, 각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그 포맷이 다르기 때문에, 각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 로부터 수신한 주소록 데이터를 판독한 후, 이를 공통 포맷의 주소록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를 위하여 공통 포맷의 주소록 데이터는 모든 종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주소록 데이터가 포함하는 필드(예를 들어, 이름, 집 주소, 집 전화번호, 회사 주소, 회사 전화번호 등)를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수퍼 셋(superset)의 필드를 가지는 데이터로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기의 각 구성의 동작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은 이하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310)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모듈(210)을 통해 휴대 단말기가 접속되면, 휴대 단말기 식별부(220)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판독하고 해석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한다(단계(320)).
단계(320)의 휴대 단말기 식별은 다수의 휴대 단말기 종류를 식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데이터 저장 방법 서비스를 제공 받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부터 미리 자신의 휴대 단말기 종류를 입력 받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식별자(예를 들어, 전화번호 또는 MIN번호 등)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한다. 통신 모듈(210)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가 접속되었을 경우, 휴대 단말기 식별부(220)는 상기 접속된 휴대 단말기의 식별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식별자에 대응하는 휴대 단말기 종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추출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데이터 수신부(230)가 상기 접속된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식별된 휴대 단말기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포맷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수신하면, 데이터 제어부(250)는 별다른 사용자의 입력이 없더라도 사용자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즉, 사용자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웹 서버에 로그인한다(단계(340)).
상기 웹 서버로의 로그인 후, 데이터 제어부(250)는 데이터 수신부(230)에서 수신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에게 원 클릭에 의한 편리한 데이터 업로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는 동일인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포맷을 가진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다른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포맷으로 모두 변환 가능한 공통 포맷으로 변환하여 웹 서버로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410)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모듈(210)을 통해 휴대 단말기가 접속되면, 데이터 수신부(230)는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420)). 데이터 변환부(260)는 상기 수신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변환 가능한 공통 포맷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로 변환한다(단계(430)).
단계(430)이 수행됨과 동시에, 데이터 제어부(250)는 별다른 사용자의 입력이 없더라도 사용자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즉, 사용자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웹 서버에 로그인한다(단계(440)). 단계(440)의 웹 서버로의 로그인 후, 데이터 제어부(250)는 단계(430)에서 데이터 변환부(260)에 의해 공통 포맷으로 변환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로 업로드한다(단계(450)).
상기와 같이 공통 포맷으로 변환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웹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업로드한 휴대 단말기뿐만 아니라, 다른 포맷을 갖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도 상기 데이터를 자신의 휴대 단말기에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웹 서버에 저장되 공통 포맷의 데이터를 제2 휴대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공통 포맷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가 웹 서버에 업로드된후,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데이터의 포맷과 다른 포맷을 지원하는 제2 휴대 단말기가 접속되면(단계(510)), 휴대 단말기 식별부(220)는 상기 접속된 제2 휴대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 영역에 저 장되어 있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정보를 판독하고 해석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한다(단계(520)).
데이터 제어부(250)는 별다른 사용자의 입력이 없더라도 사용자 정보 저장부(2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정보, 즉, 사용자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웹 서버에 로그인한다(단계(530)). 상기 웹 서버로의 로그인 후, 데이터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공통 포맷의 데이터를 데이터 수신부(230)가 수신하면(단계(540)), 데이터 변환부(260)는 상기 수신한 공통 포맷의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한다(단계(550)). 데이터 제어부(250)는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용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단계(560)).
상기와 같이 웹 서버에 업로드된 공통 포맷의 데이터를 통신 모듈에 접속된 휴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데이터를 보다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휴대 단말기가 접속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 신하고, 소정의 웹 서버에 자동 로그인하여 상기 데이터를 업로드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클릭(One-Click)으로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된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변환 가능한 공통 포맷 데이터로 변환하여 웹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모든 종류의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 저장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제2 휴대 단말기가 접속되면, 상기 제2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종류에 대응하여 웹 서버에 저장된 공통 포맷 데이터를 변환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모든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웹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에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포맷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기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기저장된 주소의 웹 서버에 로그인하고, 상기 수신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저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소정의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 상기 휴대 단말기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 정보를 해석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종류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저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변환 가능한 공통 포맷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웹 서버에 업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저장 방법.
  4. 웹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에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웹 서버에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포맷으로 변환 가능한 공통 포맷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공통 포맷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로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기저장된 주소의 웹 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저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2 휴대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접속되면, 상기 웹 서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로그인하고,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를 상기 제2 휴대 단말기가 지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휴대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저장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40106243A 2004-12-15 2004-12-15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웹 서버 저장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67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243A KR20060067458A (ko) 2004-12-15 2004-12-15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웹 서버 저장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243A KR20060067458A (ko) 2004-12-15 2004-12-15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웹 서버 저장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458A true KR20060067458A (ko) 2006-06-20

Family

ID=3716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243A KR20060067458A (ko) 2004-12-15 2004-12-15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웹 서버 저장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74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90B1 (ko) * 2006-01-12 2007-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이미지 전송 방법,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0802082B1 (ko) * 2006-02-28 2008-02-12 이재영 휴대단말기의 웹 연동 테그 기반 사진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858650B1 (ko) * 2007-01-08 2008-09-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90B1 (ko) * 2006-01-12 2007-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이미지 전송 방법,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검사 방법 및 장치
KR100802082B1 (ko) * 2006-02-28 2008-02-12 이재영 휴대단말기의 웹 연동 테그 기반 사진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858650B1 (ko) * 2007-01-08 2008-09-1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22200B (zh) 一种应用程序登录方法及登录管理系统
JP5081818B2 (ja) サービスセッション中に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のインターフェースを自動選択するマルチモードモバイル端末
EP1368955B1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files stored in a mobile terminal device supporting an internet protocol
JP2008543240A (ja) モバイル端末を制御するためのソフトウェアモジュールを送信するためのネットワーク機器
CN101110656A (zh) 无线网络硬盘系统的文件传输方法
KR20060136437A (ko)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 및 장치들의원격 관리 및 액세스
KR20070000467A (ko)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 서비스 및 장치들의원격 관리 및 액세스
CN102857917B (zh) 一种基于信令分析的手机连接pc上网识别方法
WO2009021412A1 (fr) Procédé, dispositif et système de routage
JPWO2010113670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サーバ、データ保存方法および記録媒体
CN103841110A (zh) 基于移动终端的网站创建业务系统及处理方法
CN102708901B (zh) BD播放器的Web控制方法及BD播放器
CN101997743A (zh) 分享档案资讯的方法
KR20060067458A (ko) 휴대 단말기용 데이터의 웹 서버 저장 방법 및 시스템
CN107465724A (zh) 下载应用程序的方法、用户设备和应用服务器
CN102420732B (zh) 一种家庭组网中的数据服务方法、设备及系统
JP4813339B2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プラットフォーム装置、サービス連携システム、サービス連携方法、及び、サービス連携プログラム
JP2012516623A (ja) ゲートウェイサーバ及び移動通信端末の識別情報を利用した通信路の開設方法
CN102215501A (zh) 实现无线模块at命令自动化测试的方法
CN101668274A (zh) 终端处理方法和终端设备
CN101436974B (zh) 在WiMAX和Web网络之间共享/使用WiMAX信息的业务接口方法
WO2019090499A1 (zh) 一种基于网络的智能终端的通话方法及通话系统
KR101189854B1 (ko) 운영체제 버전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6446041A (zh) 数据编辑方法、移动终端及移动终端系统
KR100731012B1 (ko) 단말기 디스플레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