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7400A -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7400A
KR20060067400A KR1020040106165A KR20040106165A KR20060067400A KR 20060067400 A KR20060067400 A KR 20060067400A KR 1020040106165 A KR1020040106165 A KR 1020040106165A KR 20040106165 A KR20040106165 A KR 20040106165A KR 20060067400 A KR20060067400 A KR 20060067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angerous
difference
background image
regis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5134B1 (ko
Inventor
노경완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1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Image Analy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은, 배경영상을 등록하는 단계; 및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이 소정기간 지속되면,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공항, 주요 공공 시설에서 누군가에 의해 고의로 놓여진 위험물이 일정시간 이상 방치된 경우에 이러한 물건을 감지하고 경보하여 사전에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시스템{Security method and system based on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2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4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S104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시스템이다.
도 9a 내지 도 9f의 본 발명의 감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감시 영역을 촬영한 영상 프레임들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감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보안 감시 시스템에서는 움직이는 물체의 추적 또는 인식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최초에 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을 바탕으로 다음 영상과의 차이를 검사하면 변화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변화된 이미지가 없으면 아무 것도 움직인 것이 없는 것을 나타내고, 변화된 이미지가 있다면 움직이는 물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움직임 추적(motion tracking)은 기법 여러 도난 경비 시스템에 응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추적 및 인식 기술에도 응용되고 있다.
종래의 대부분의 기술은 화면상에 전면에 보이면서 움직이는 물체를 추출하고 인식하는 데에 집중되고 있다. 예를 들면, 사진을 찍을 때에 대부분이 배경의 변화에 관계없이 사람 또는 특정 대상에게 포커스가 맞춰지는 경향이 있다. 즉, 보안 감시 시스템 연구의 기술적 중심도 이러한 경향을 따라가고 있으므로 배경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기존의 보안 및 안전 감시용 시스템에서는 출입, 도난, 또는 작업 환경 모니터링 등의 목적으로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항상 모니터링을 위한 사람이 배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왔다. 그래서 최근에는 움직임 추적 기법이나 센서 등을 이용한 자동 감시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의 왕래가 잦은 곳에서 폭발물이나 산업 현장의 위험물을 카메라를 통해 탐지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은 거의 전무하다. 특히 최근에 주요 공공 시설에 대한 테러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위험물을 감지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공항, 주요 공공 시설에서 누군가에 의해 고의로 놓여진 위험물이 일정시간 이상 방치된 경우, 산업현장의 공장 내부에서 제품 이외의 물건들이 생산라인 또는 바닥에 일정시간 이상으로 방치된 경우 등에 이러한 물건을 감지하고 경보하는 감시방법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은, (a) 배경영상을 등록하는 단계; 및 (b) 현재 영상 프레임과 상기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이 소정기간 지속되면, 상기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b1)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단계; (b2)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b3)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상기 움직임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상기 배경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b4)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5)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이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 상기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b5) 단계는, (b51) 상기 차이 영역을 예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 (b52)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53)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된 경우에,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단계; (b6)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과 상기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b7)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과 저장된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과, 이전 영상 프레임에서 저장된 배경영상과이 차이 영역을 비교하는 단계; (b8)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없는 경우,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9)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부분이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 상기 동일한 부분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b9) 단계는, (b91) 상기 동일한 부분을 예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 (b92)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93)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된 경우에,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방법은 (c) 상기 위험영역을 경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위험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계산하여 위험영역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c2) 상기 위험 영역을 확대 촬영하는 단계; 및 (c3) 상기 위험 영역의 정보를 경보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들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감시 시스템은, 영상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 및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배경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현재 영상 프레임과 상기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이 소정기간 지속되면, 상기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 시스템은 상기 등록된 위험영역을 경보하는 경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기본개념은, 감시 대상이 되는 영역의 최초 배경영상과의 차이나는 물체의 영상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이를 담당자 등에게 경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시스템으로서, 감시 영역(100)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102)와 감시 카메라(102)에 유선/무선(104)으로 연결된 감시 제어부(104)와 감시 제어부(104)에 연결된 모니터(108)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감시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감시된 상황을 모니터(108), 스피커(110) 또는 보안 담당자들의 휴대 단말기(112)를 통하여 경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은 먼저, 배경영상을 등록한다(S100).
배경영상은 최초 감시 시스템 설치시 또는 감시 영역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없는 상태로 정리가 완료된 시점에 촬영된 영상이다. 보통 사람의 왕래가 없고 보안점검이 완료된 이후에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기준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영상은 감시 영역이 변경되거나, 감시 영역의 초기 배치가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면 갱신 등록한다.
S100 단계 후에,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이 소정기간 지속되면, 그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S102). S102 단계에 의하여 감시 영역내에서 초기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장기 방치된 물건 등을 검출한다.
여기서 소정기간 지속되는 조건에 의하여, 배경영상과 차이가 있지만 움직이는 물체는 검출대상에서 제외된다.
산업현장에서는 제품생산라인 밖이나 바닥에 떨어져 방치된 물건, 컨베이어에서 이동 중인 제품의 바깥으로 떨어진 물건, 공항 등의 시설에서 폭발물로 의심되는 물건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등록된 위험영역에 대한 정보들은, 감시 영역의 동향을 관찰하기 위한 백업 데이터, 감시 요원들에게 제공되는 경보 데이터로서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108 단계는 먼저,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한다(S200).
S200 단계 후에,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움직임 영역을 검출한다(S202).
현재 영상 프레임의 움직임 영역은, 이전 영상 프레임과 현재 영상 프레임의 편차를 구하는 일반적인 움직임 검출 기법에 의하여 검출될 수 있다.
S202 단계 후에,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움직임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배경영상을 비교한다(S204). 소정 기간 이상 방치된 물건을 검출하기 위하여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검출된 움직임 영역을 제외한다. 그리고 이를 배경영상과 비교한다.
S204 단계 후에,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없다고 판단한다.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없다고 판단되면 S200 단계로 진행한다(S206).
그러나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있다고 판단되면, 그 차이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 그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S208).
도 2의 실시예를 도 9a 내지 도 9f의 촬영된 영상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시간 T에서 초기 배경영상이다.
도 9b는 내지 도 9d는 각각 시간 T+1 내지 시간 T+3 에서 촬영된 영상 프레임으로서, 움직이는 물체들만이 등장하는 영상들이다.
도 9e는 시간 T+4에서 촬영된 영상 프레임으로서, 누군가 방치한 물건이 있는 영상이다.
도 9f는 시간 T+5에서 촬영된 영상 프레임으로서, 일정시간 이상 방치되어 경보의 대상이 되는 가방이 존재하는 영상이다.
먼저 시간 T+1에서,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고(S200) 움직임을 검출한다(S202). 현재 영상 프레임(T+1)에서 움직임 영역인 man-1, man-1의 가방과 man-2를 제외하고 배경영상(T)과 비교하면(S204) 차이점이 없으므로(S206) S200 단계로 진행한다.
시간 T+2, T+3 에서도 T+2 에서와 마찬가지로, 움직임 영역인 man-1, man-1의 가방과 man-2를 제외하고 배경영상(T)과 비교하면(S204) 차이점이 없으므로(S206) S200 단계로 진행한다.
도 9e를 참조하면, 시간 T+4 에서는 누군가 방치한 가방이 영상 우측의 화분 옆에 있다.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고(S200) 움직임을 검출한다(S202). 현재 영상 프레임(T+4)에서 움직임 영역인 man-3를 제외하고 배경영상(T)과 비교하면(S204), 우측 화분 옆의 가방이 차이 영역으로 검출된다.
도 9f를 참조하면, 시간 T+5 에서 움직임 영역인 man-4를 제외하고 배경영상(T)와 비교하면(S204), 우측 화분 옆의 가방이 차이 영역으로 검출된다(S206).
도 9e와 도 9f에서 반복적으로 검출된 가방영역은 위험 영역으로 등록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2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208 단계는 먼저,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움직임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배경영상의 차이영역을 예비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S300).
S300 단계 후에, 예비위험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한다(S302). 예비위험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S200 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영상 프레임을 촬영한다.
예비위험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다고 판단되면, 예비위험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S304).
도 4는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108 단계는 먼저,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한다(S400)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을 검출하여 저장한다(S402).
S402 단계 후에 현재 영상 프레임과 저장된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과 이전 영상 프레임에서 저장된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을 비교한다(S404).
S404 단계의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없는 경우,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은 모두 움직임 영역으로 판단된다. 이 경우에는 S400 단계로 진 행하여 새로운 영상 프레임을 촬영한다.
S404 단계의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있는 경우, 동일한 부분이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 동일한 부분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S406).
도 4의 실시예를 도 9a 내지 도 9f의 촬영된 영상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시간 T에서 초기 배경영상이다.
먼저 시간 T+1에서,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고(S400)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점 검출하면, man-1, man-1의 가방과 man-2가 검출되고 저장된다(S402).
시간 T+2에서는,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고(S400)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점 검출하면, man-1, man-1의 가방과 man-2가 검출되고 저장된다(S402). T+1에서 저장된 man-1, man-1의 가방, man-2 와, T+2에서 저장된 man-1, man-1의 가방, man-2을 비교하면(S404) 동일영역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S406). 그러므로 S400 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영상을 촬영한다.
T+3에서도 T+2에서와 마찬가지이다.
T+4에서는,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고(S400)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점을 검출하면, man-3와 화분 옆의 가방이 검출되고 저장된다(S402). T+3에서 저장된 man-1, 가방, man-2와, T+4에서 저장된 man-3, 가방을 비교하면(S404), 가방이 동일영역에 존재한다고 판단된다(S406).
도 9f를 참조하면, 시간 T+5 에서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점을 검출하면, man-4와 화분 옆의 가방이 검출되고 저장된다(S402). 이를 T+4에서 저장된 man-3, 가방과 비교하면(S404), 가방이 동일영역에 존재한다고 판단된다(S406).
도 9e와 도 9f에서 반복적으로 검출된 가방 영역은 위험 영역으로 등록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S408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408 단계는 먼저, 동일한 부분을 예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한다(S500).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 S400 단계로 진행한다(S502).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된 경우에, 예비 위험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한다(S504).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도 1의 실시예에 S104 단계가 더 구비된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경영상을 등록하고(S100),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영역이 소정기간 지속되면, 그 차이영역을 취험영역으로 등록한다(S102). S102 단계 후에, 위험영역을 경보한다(S104).
도 7은 도 6에 도시된 S104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104 단계는 먼저, 위험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계산하여 위험영역의 정보를 획득한다(S700). 그리고 위험 영역을 확대 촬영한다(S702). 그리고 획득한 위험 영역의 정보를 경보한다(S704).
경보는 감시 시스템의 모니터에 나타내어 알리는 방법, 감시 시스템의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 메시지로 알리는 방법, 보안 요원의 휴대용 단말기에 위험 영역이 정보를 전송하여 알리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감시 시스템으로서, 감시 영역(100)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102)와 감시 카메라(102)에 유선/무선(104)으로 연결된 감시 제어부(104)와 감시 제어부(104)에 연결된 모니터(108)를 구비한다.
감시 제어부(104)는 감시 카메라(102)에 의해 촬영된 초기 배경영상을 저장하고, 감시 카메라(102)에 의해 촬영된 현재 영상 프레임과 배경영상의 차이점이 소정기간 지속되면, 이 차이점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한다.
또한 감시 제어부(104)는 필요에 따라 감시된 상황을 모니터(108), 스피커(110) 또는 보안 담당자들의 휴대 단말기(112)를 통하여 경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이라 함은 특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능력을 갖는 장치 내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일련의 지시 명령으로 표현된 것을 말한다. 또한 컴퓨터라는 용어도 실제 사용되는 명칭의 여하에 불구하고 메모리, 입출력장치, 연산장치를 구비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모든 장치를 총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컴퓨터에는 도 8에 도시된 감시 카메라에 유선/무선으로 연결된 제어시스템이 포함되며, 기록매체에 프로그램으로 저장된 프로그램이 상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읽혀져서 본 발명의 감시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공항, 주요 공공 시설에서 누군가에 의해 고의로 놓여진 위험물이 일정시간 이상 방치된 경우에 이러한 물건을 감지하고 경보하여 사전에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는 공장 내부에서 제품 이외의 물건들이 생산라 인 또는 바닥에 일정시간 이상으로 방치된 경우 등에 이러한 방치된 물건들을 감지하여 작업자들에게 안전을 경고하는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법주정차 감지 시스템 및 쓰레기 불법투기 감시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a) 배경영상을 등록하는 단계; 및
    (b) 현재 영상 프레임과 상기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이 소정기간 지속되면, 상기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단계;
    (b2)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움직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b3)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에서 상기 움직임 영역을 제외한 영상과 상기 배경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b4)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없다고 판단되면,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5) 비교결과 차이 영역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이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 상기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5) 단계는
    (b51) 상기 차이 영역을 예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
    (b52)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53)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된 경우에,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현재 영상 프레임을 촬영하는 단계;
    (b6)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과 상기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을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b7) 상기 현재 영상 프레임과 저장된 배경영상과의 차이 영역과, 이전 영상 프레임에서 저장된 배경영상과이 차이 영역을 비교하는 단계;
    (b8)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없는 경우,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9) 비교결과 동일한 부분이 있는 경우, 상기 동일한 부분이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유지된 경우에 상기 동일한 부분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9) 단계는
    (b91) 상기 동일한 부분을 예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
    (b92)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되었는가를 판단하고, 소정 프레임 기간동안 반복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b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b93)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이 소정 프레임 기간 동안 반복된 경우에, 상기 예비 위험 영역을 위험 영역으로 등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위험영역을 경보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위험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계산하여 위험영역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2) 상기 위험 영역을 확대 촬영하는 단계; 및
    (c3) 상기 위험 영역의 정보를 경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기반의 감시방법.
  8. 영상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 및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배경영상을 저장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현재 영상 프레임과 상기 배경영상의 차이 영역이 소정기간 지속되면, 상기 차이 영역을 위험영역으로 등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위험영역을 경보하는 경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40106165A 2004-12-15 2004-12-15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68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165A KR100685134B1 (ko) 2004-12-15 2004-12-15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165A KR100685134B1 (ko) 2004-12-15 2004-12-15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400A true KR20060067400A (ko) 2006-06-20
KR100685134B1 KR100685134B1 (ko) 2007-02-22

Family

ID=3716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165A KR100685134B1 (ko) 2004-12-15 2004-12-15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406B1 (ko) * 2006-11-13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 및 영상 감시 시스템
CN102693537A (zh) * 2011-01-17 2012-09-26 三星泰科威株式会社 图像监视系统和检测对象是被留下还是被带走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672A (ko) 2020-03-05 202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를 검출하기 위한 프로세서 및 객체 검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795B1 (ko) * 2000-12-18 2003-06-25 주식회사 신정기연 무인 감시 시스템
KR100474188B1 (ko) * 2002-04-26 2005-03-08 제트로전자(주) 움직임 감지방법과 움직임 감지장치 및 이를 내장한 모니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406B1 (ko) * 2006-11-13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감시 장치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감시 방법, 및 영상 감시 시스템
CN102693537A (zh) * 2011-01-17 2012-09-26 三星泰科威株式会社 图像监视系统和检测对象是被留下还是被带走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134B1 (ko)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5740B2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サーバ
US20090128632A1 (en) Camera and image processor
US9767663B2 (en) GPS directed intrusion system with data acquisition
KR20080054331A (ko) 화염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1467352B1 (ko) 위치기반 통합관제시스템
JP2013131159A (ja) エリア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20140138418A (ko) 금고 원격 제어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CN107122743A (zh) 安防监控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160074208A (ko) 비콘신호를 이용한 안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7018101A (ja) 転倒検知システム
KR100685134B1 (ko) 카메라 기반의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138212B1 (ko) 영상인식 및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JP4707019B2 (ja) 映像監視装置及び方法
JP2015088816A (ja) 画像監視システム
JP4993281B2 (ja) 監視領域設定装置
KR101524922B1 (ko) 비상 알림을 위한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70043267A (ko) 실종 방지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위한 디바이스
CN113643508B (zh) 防灾紧急通道监控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2012174058A (ja) 特定事象検出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39084B1 (ja) セルフレジ監視システム及びセルフレジ監視方法
KR101669885B1 (ko) 영상 기반 보행자 추돌 자동 검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사물 인터넷 장치
JP7339755B2 (ja) 異常音監視システム及び異常音監視方法
CN109074710B (zh) 闭路电视机顶盒防盗方法及装置
JP2006039906A (ja) 警報発生システムおよびビデオ処理装置
KR102541221B1 (ko) 인공지능 기반 영상인식플랫폼을 포함하는 이동식 지능형 cctv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