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295A -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295A
KR20060066295A KR1020040104847A KR20040104847A KR20060066295A KR 20060066295 A KR20060066295 A KR 20060066295A KR 1020040104847 A KR1020040104847 A KR 1020040104847A KR 20040104847 A KR20040104847 A KR 20040104847A KR 20060066295 A KR20060066295 A KR 20060066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w
keypad
keys
portable terminal
left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유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4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6295A/ko
Publication of KR2006006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제1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Q', 'W', 'E', 'O', 'P' 순으로 배열되고, 제2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R', 'T', 'Y', 'U', 'I' 순으로 배열되고, 제3 행은 4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A', 'S', 'K', 'L' 순으로 배열되고, 제4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D', 'F', 'G', 'H', 'J' 순으로 배열되고, 제5 행은 2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Z', 'M' 순으로 배열되며, 제6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X', 'C', 'V', 'B', 'N' 순으로 배열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는 QWERTY 키패드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동시에 키패드의 소형화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단말기, 키패드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KEY PAD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구성을 타나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휴대용 단말기 101 : 키패드
102 : 기능성 키패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기의 휴대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사용이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로부터 단문 메시지,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통신회로,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스윙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한 쌍의 하우징이 직선 왕복 운동함으로써 개폐되는 형태의 단말기이고, 스윙형 단말기는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 운동 함으로써 개폐되는 형태의 단말기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분류는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동통신 서비스가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전송으로부터 점차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contents)로 확대되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성능과 기능 또한 확장되고 있다.
그 예로서, 최근 카메라 장치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의 상용화가 성공하면서, 화상 통화 및 촬영이 가능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이용한 메일, 단말기 바탕화면 작성 등의 기능이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이-메일(E-mail) 전송, 인터넷 검색, 문서 작성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메일(E-mail) 전송, 인터넷 검색, 문서 작성 등을 위한 정보 입력 수단으로는 키패드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11)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1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의 일면은 상기 키패드(11)와 디스플레이 장치(13)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의 표시 면적이 제한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이를 보기 위해 조작되는 스크롤 노브(scroll knob)(15)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11)는 영문 알파벳 1개 문자가 각각 할당된 다수의 키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문자가 할당된 키들 이외에도 'SPACE' 'ENTER' 키등 소정의 기능 키들이 더 포함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배열의 키패드(11)는 개인용 컴퓨터, 즉, 데스크탑 컴퓨터나 랩 탑 컴퓨터의 키보드(이하 'QWERTY 키패드')를 기반으로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키패드는 횡방향으로 다수의 키를 배열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와 함께 구성되어야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는 소형화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21)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20)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소정의 기능성 키패드(22)를 더 구비하며, 상기 키패드(21)는 3×4 배열의 숫자 키패드를 기반으로 각 키에 3~4개의 영문 알파벳 문자가 할당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숫자 키의 배열을 기반으로 구성된 키패드는 각 영문자를 할당함에 있어서 알파벳 순서에 따라 각 키에 적정 수만큼 할당한 것이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에 익숙한 사용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자 키 배열이 익숙하지 못하여 각 알파벳을 일일이 확인하면서 문자를 입력해야만 한다. 따라서, 문자 입력의 속도가 느릴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입력되는 문자가 정확한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또 한번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문자 입력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30)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QWERTY 키패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30) 좌측의 제1 영역(Ⅰ)은 왼손으로, 우측의 제2 영역(Ⅱ)은 오른손으로 각각 조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QWERTY 키패드를 이용한 데이터 입 력에 있어서 각 알파벳이 할당된 키의 위치를 많은 사용자들이 이미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입력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QWERTY 키패드를 장착하기에는 단말기의 소형화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휴대성을 확보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문자 입력이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제1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Q', 'W', 'E', 'O', 'P' 순으로 배열되고,
제2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R', 'T', 'Y', 'U', 'I' 순으로 배열되고,
제3 행은 4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A', 'S', 'K', 'L' 순으로 배열되고,
제4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D', 'F', 'G', 'H', 'J' 순으로 배열되고,
제5 행은 2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Z', 'M' 순으로 배열 되며,
제6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X', 'C', 'V', 'B', 'N' 순으로 배열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101)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키패드(101)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101)와, 기능성 키패드(102)를 구비하며, 상기 키패드(101)는 5×6 배열로 구성되며 일부 키는 빈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QWERTY 키패드의 상측에 위치된 제1 행의 키들이 상기 키패드(101)의 제1 행(111)과 제2 행(112)에 배열되고, QWERTY 키패드의 중앙에 위치되는 제2 행의 키들이 상기 키패드(101)의 제3 행(113)과 제4 행(114)에 배열되며, QWERTY 키패드의 하측에 위치된 제3 행의 키들이 상기 키패드(101)의 제5 행(115)과 제6 행(116)에 배열되고 있다.
또한, QWERTY 키패드 양측단 각각에서 1 ~ 3의 키들을 모아 홀수 행을 구성하고 있으며, QWERTY 키패드의 중앙에 위치된 5 개 열을 구성하는 키들이 상기 키패드의 짝수 행을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키패드(101)의 제1 행(111)은 QWERTY 키패드의 상측 제1 행을 구성하는 키들 중 양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Q', 'W', 'E', 'O', 'P' 이 할당된 키를 좌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상기 키패드(101)의 제2 행(102)은 QWERTY 키패드 상측 제1 행의 키들 중 알파벳 'R', 'T', 'Y', 'U', 'I' 순으로 배열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키패드(100)의 제3 행(113)은 QWERTY 키패드 중앙 제2 행의 양측단에서 각각 2 개의 키들을 각각 알파벳 'A', 'S', 'K', 'L' 순으로 배열된 구성이고, 제4 행(114)은 QWERTY 키패드 중앙 제2 행의 5 개의 'D', 'F', 'G', 'H', 'J' 키들을 순차적으로 배열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키패드(101)의 제5 행(115)은 QWERTY 키패드 하측 제3 행 양측단에 위치된 'Z', 'M' 키로 구성되며, 제6 행(116)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알파벳 'X', 'C', 'V', 'B', 'N'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한편, 상기 키패드(101)의 제3 행(113)과 제5 행(115)은 각각 4 개, 2 개의 키로 구성되므로, 중앙의 1 개 또는 3 개의 키 영역이 빈 공간으로 제공되어 있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패드(101)와 종래의 QWERTY 키패드를 비교해 보면, 사용자가 왼손으로 조작하게 되는 QWERTY 키패드의 제1 영역(Ⅰ)은 상기 키패드(101)의 좌측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조작하게 되 는 QWERTY 키패드의 제2 영역(Ⅱ)은 상기 키패드(101)의 우측에 배치되어 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01)는 종래의 QWERTY 키패드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각 키들의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종래에 한 행을 구성하는 키들이 많게는 10 개까지 횡방향으로 넓게 배치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101)는 QWERTY 키패드의 중앙부 5 개 열의 키들을 상기 키패드(101)의 짝수 행에 배치하고 QWERTY 키패드 양측의 키들을 조합하여 홀수 행에 배치함으로써 그의 폭을 줄이는 구성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201)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201)는 선행 실시 예의 영문자와 동일하게 키들을 할당하고, 제3 행(213), 제3 열(223)의 빈 공간에 'Shift' 키와, 제5 행(215)의 제2, 3, 4열(222, 223, 224)에 각각 'FN', 'SPACE', 'ENTER' 키 등의 기능 키들을 배치한 구성이다. 또한, 상기 키패드(201)에 구성된 기능 키들 외에도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 중에 자주 사용되는 기능 키를 선택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201)는 다수의 키 할당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2-웨이(2-WAY) 버튼을 사용한 구성이다. 2-웨이 버튼이란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단이 시이소오 운동함으로써 두 개의 키 값이 할당된 버튼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201)는 15 개의 버튼을 사용하여 모든 영문자 및 소정의 기능 키들을 할당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2-웨이 버튼은 상기 제1 행(211)과 제2 행(212), 제3 행(213)과 제4 행(214), 제5 행(215)과 제6 행(216)을 각각 한 쌍으로 짝지워 상측과 하측에 위치된 키 값들이 각각 할당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310) 구성을 타나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30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101)에 기능성 키들로 구성된 제7 열(317)을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7 열(317)의 기능성 키들은 좌측단으로부터 'FN', 'Shift', 'SPACE', 'Shift', 'ENTER' 순으로 배열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성 키들의 배열은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301)를 이용한 문자 등 데이터 입력에 있어서,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는 QWERTY 키패드 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키 값들을 할당하면서, 5×6 배열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소정의 기능성 키들이 5×6 배열 내에 배치되어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고, 다른 형태로는 5×6 배열의 키들과 별도 한 행을 더 설치하여 기능성 키들을 배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5×6 배열의 키패드 내에 기능성 키들을 모두 설치한 경우, 키패드를 구성하는 버튼들은 2-웨이 버튼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키패드의 소형화에 더욱 유리하게 된다.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에 있어서,
    제1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Q', 'W', 'E', 'O', 'P' 순으로 배열되고,
    제2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R', 'T', 'Y', 'U', 'I' 순으로 배열되고,
    제3 행은 4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A', 'S', 'K', 'L' 순으로 배열되고,
    제4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D', 'F', 'G', 'H', 'J' 순으로 배열되고,
    제5 행은 2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Z', 'M' 순으로 배열되며,
    제6 행은 5 개의 키들이 좌측단으로부터 각각 알파벳 'X', 'C', 'V', 'B', 'N' 순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행의 제3 열은 빈 공간으로 제공되고, 그 좌측에 'A', 'S' 키가, 그 우측에 'K', 'L' 키가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행의 제2, 제3, 제4 열은 각각 빈 공간으로 제공되고, 상기 'Z' 키는 상기 제5 행의 좌측단에, 상기 'M' 키는 상기 제5 행의 우측단에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행의 제3 열은 'Shift' 키가 배열되고, 그 좌측에 'A', 'S' 키가, 그 우측에 'K', 'L' 키가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행의 제2, 제3, 제4 열에는 각각 소정의 기능 키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행의 제2, 제3, 제4 열에 배열되는 기능 키들은 좌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FN', 'SPACE', 'ENTER' 키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7. 제1 항에 있어서,
    좌측단으로부터 'FN', 'Shift', 'SPACE', 'Shift', 'ENTER' 순으로 배열된 5 개의 키들로 이루어진 제7 행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8. 제1 항에 있어서,
    제1 행과 제2 행, 제3 행과 제4 행 및 제5 행과 제6 행은 각각 상하로 짝지워져, 그 상측과 하측에 배열되는 값들은 하나의 2-웨이(2-WAY) 버튼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KR1020040104847A 2004-12-13 2004-12-13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KR20060066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847A KR20060066295A (ko) 2004-12-13 2004-12-13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847A KR20060066295A (ko) 2004-12-13 2004-12-13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295A true KR20060066295A (ko) 2006-06-16

Family

ID=3716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847A KR20060066295A (ko) 2004-12-13 2004-12-13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62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2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슬라이딩 모듈 및 그의 연성 회로
US7395100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keys moved up/down by rotation
US7376450B2 (en) Slidable and automatic rotatable apparatus
US6128475A (en) Wireless telephone with sliding keyboard
US7068259B2 (en) Key data input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70123205A1 (en) Mobile terminal with a plurality of input units
US8116830B2 (en) Data input key for a portable apparatus and key array thereof
US20070287512A1 (en) Layered mobile device
KR20040083788A (ko) 제스쳐 커맨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는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구동 방법
EP1638299A1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housings and a keypad accessible both in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
EP1637978A2 (en) Method and device for key input in mobile terminal
CN1902562A (zh) 具有折叠显示器和/或键盘的电子设备
US20030153371A1 (en) Handphon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like keyboard
WO2003107632A1 (ja) 電子機器
CN1985501A (zh) 折叠转动式便携终端装置
KR20060066295A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JP4107194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100640402B1 (ko) 입력 인터페이스 모드에 따라 전자 터치 인터페이스들을화면과 별도의 영역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JP2006277314A (ja) アドレス入力装置、そのアドレス入力方法およびそのアドレス入力装置をもつ電子機器
US20030155216A1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 terminal
KR20060032881A (ko) 복수개의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그 제어 방법.
KR100467604B1 (ko) 키보드 방식으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전화 단말기
KR100697518B1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06384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069873B1 (ko) 문자 입력장치가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