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760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760A
KR20060065760A KR1020040104163A KR20040104163A KR20060065760A KR 20060065760 A KR20060065760 A KR 20060065760A KR 1020040104163 A KR1020040104163 A KR 1020040104163A KR 20040104163 A KR20040104163 A KR 20040104163A KR 20060065760 A KR20060065760 A KR 20060065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dielectric layer
discharge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7941B1 (ko
Inventor
허민
최훈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4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794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7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7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6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inside or on the side face of the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22Electrodes, e.g. special shape, material or configuration
    • H01J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4Sustain electrodes or scan electrodes
    • H01J2211/24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26Address electrodes
    • H01J2211/265Shape, e.g. cross section or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3Mutual disposition of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22Electrodes
    • H01J2211/32Disposition of the electrodes
    • H01J2211/326Disposition of electrodes with respect to cell parameters, e.g. electrodes within the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실현에 유리한 방전셀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서로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 공간에는 격벽이 배치되어 다수의 방전셀들을 구획하며,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기판에서 일방향을 따라 어드레스전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에서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절연되어 이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각 방전셀에 대응되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형성된다. 이 때, 제1 전극과 제2 전극들은 상기 제2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돌출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두고 서로 대향하면서 형성되고, 이들 각각을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측정할 때, 상기 제1 기판쪽 단부보다 상기 제2 기판쪽 단부가 더 길게 형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극, 유전층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한 상태에서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전극, 제2 유전층 및 격벽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각 방전셀에 대응하는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각 방전셀에 대응하는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전극, 제2 유전층 및 격벽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효율 실현에 유리한 방전셀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은 기체방전을 통하여 얻어진 플라즈마로부터 방사되는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VUV)이 형광체를 여기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가시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해상도의 대화면 구성이 가능하여 차세대 박형 표시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반적인 구조는 3전극 면방전형 구조이다. 3전극 면방전형 구조는 두 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전극이 형성되는 전면기판과 상기 기판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며 어드레스전극이 형성되는 배면기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양 기판의 사이 공간은 격벽에 의해 다수의 방전셀로 구획되고, 각 방전셀의 내에는 형광체층이 형성되고 방전 가스가 주입된다.
일반적으로 방전의 유무는 표시전극 중 하나의 전극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에서의 어드레스방전에 의해 결정되고, 휘도를 표시하는 유지방전은 동일 면상에 위치하는 표시전극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소정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각 단계에서의 효율이 좋지 않아 발광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각 방전셀 내에 충전되는 방전 가스 중에 제논(Xe) 가스의 분압을 높이거나 방전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방전개시전압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낮은 방전개시전압 하에서 높은 발광효율을 실현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드레스방전의 방전개시전압을 저감시키고 유지방전은 대향방전으로 유도하여 저전압으로 구동이 가능하며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얻어진 진공 자외선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과 제2 기판이 서로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 공간에는 격벽이 배치되어 다수의 방전셀들을 구획하며,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기판에서 일방향을 따라 어드레스전극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에서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절연되어 이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각 방전셀에 대응되면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형성된다. 이 때, 제1 전극과 제2 전극들은 상기 제2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돌출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두고 서로 대향하면서 형성되고, 이들 각각을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측정할 때, 상기 제1 기판쪽 단부보다 상기 제2 기판 쪽 단부가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을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는, 상기 제1 기판쪽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2 기판쪽 단부를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방전셀에 대향하는 일측면이 상기 제2 기판에 대하여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이 상기 제2 기판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에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도록 제1 유전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전층 위에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을 감싸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유전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감싸면서 이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유전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감싸면서 이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유전층부와, 상기 제1 유전층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각 방전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유전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유전층 및 제2 유전층을 덮으면서 MgO 보호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패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측정한 길이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스트라이프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각 방전셀에 대응하면서 상기 패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기판을 향해 연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일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며 형성되는 버스전극과, 상기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연장되는 확대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버스전극은 상기 방전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확대전극은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상기 방전셀의 타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과 격벽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면서 일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결합한 상태에서 Ⅱ-Ⅱ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전극, 제2 유전층 및 격벽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각 방전셀에 대응하는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 (10)(이하 '배면기판'이라 한다)과 제2 기판(20)(이하 '전면기판'이라 한다)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고, 이러한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의 사이 공간에는 격벽(16)에 의해 다수의 방전셀(18)들이 구획된다. 각 방전셀(18) 내에는 진공자외선을 흡수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는 형광체층(19)이 배면기판(10)측으로 형성되고, 방전가스(일례로 제논(Xe)과 네온(Ne) 등을 포함하는 혼합가스)가 충전된다.
전면기판(20)의 배면기판(10) 대향면에는 일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어드레스전극(32)들이 나란히 형성되고, 어드레스전극(32)들은 이웃한 것끼리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어드레스전극(32)들과 이격되면서 제1 전극(21)(이하 '유지전극'이라 한다)과 제2 전극(23)(이하 '주사전극'이라 한다)을 포함하는 표시전극(25)들이 형성되는데, 이들 표시전극(25)은 어드레스전극(32)들과 제1 유전층(27)을 사이에 두고 이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은 전면기판(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면의 음의 z축 방향)으로 배면기판(10)을 향해 돌출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공간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 사이에서 대향방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 각각을 감싸면서 제2 유전층(28)이 형성되어, 각 방전셀(18)에서 표시전극(25)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전면기판(20)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유전층(27, 28)은 어드레스전 극(32)과 표시전극(25)을 서로 절연시키고 표시전극(25)의 절연성을 확보하면서, 그 위에 벽전하가 쌓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유전층(27)은 전면기판(20) 위에서 어드레스전극(32)을 덮으면서 형성되고 이 제1 유전층(27) 위에 표시전극(25)이 형성됨으로써 어드레스전극(32)과 표시전극(25)을 서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유전층(27)과 제2 유전층(28) 위로는 MgO보호막(29)을 형성하여 플라즈마 방전 시 전리된 원자의 이온의 충돌로부터 유전층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MgO보호막(29)은 이온이 부딪혔을 때 이차전자의 방출계수도 높기 때문에 방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전면기판(20)에 대향하는 배면기판(10) 일면에는 유전층(14)이 형성되고, 이 유전층(14) 위에 격벽(1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격벽(16)은 어드레스전극(32)과 나란한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길게 이어지는 제1 격벽부재(16a)와, 이 제1 격벽부재(16a)와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각 방전셀(18)을 독립적인 방전공간으로 구획하는 제2 격벽부재(16b)를 포함한다. 이러한 격벽구조는 상기 설명한 폐쇄형 격벽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드레스전극과 나란한 격벽부재로만 이루어지는 스트라이프형 격벽구조 등 다양한 형상의 격벽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다른 예로 배면기판(10) 상에 유전층이 형성되지 않고 바로 격벽(16)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어드레스전극(32)은 일방향(도면의 y축 방 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버스전극(32b)과, 이 버스전극(32b)으로부터 연장되는 확대전극(32a)을 포함한다. 이 때, 확대전극(32a)은 패널의 개구율 확보를 위해 투명전극, 일례로 인듐-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버스전극(32b)은 투명전극의 높은 저항을 보상하여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금속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율 확보를 위해 불투명한 금속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버스전극(32b)은 방전셀(18)의 일측 가장자리에 배치하고, 어드레스전극의 면적을 확보하여 방전개시전압을 낮추기 위하여 확대전극(32a)을 상기 버스전극(32b)으로부터 방전셀(18)의 타측 가장자리로 확대하여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확대전극(32a)의 평면 형상을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확대전극(32a)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유지전극(21) 및 주사전극(23)은 각 방전셀(18)에 대응되면서 어드레스전극(32)과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표시전극(25) 중 주사전극(23)은 어드레스전극(32)과 함께 어드레스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받아 어드레스방전에 관여하고, 유지전극(21)은 주사전극(23)과 함께 유지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인가받아 유지방전에 관여하게 된다. 그러나 각 전극에 인가되는 방전전압에 따라 그 역할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은 소정의 표시 구현에 기여하는 정도가 작은 방전셀(18)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므로 금속전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전면기판(20)에서의 흑부비율을 증가시켜 명실 콘트라스트를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제2 유전층(28)은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과 나란한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면서 형성되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은 각 방전셀(18)에 대응하면서 배면기판(10)을 향해 패널의 두께 방향(도면의 음의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부(211, 2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은 유전층에 의해 어드레스전극(32)과 소정의 거리(d)를 두고 이격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러한 확장부(211, 231)는 방전에 관여하는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방전개시전압을 낮추고, 보다 강한 방전을 유도한다. 그리고, 이러한 확장부(211, 231)는 각 방전셀(18)에 대응되어 형성되므로 방전셀(18)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형성되지 않으므로 각 방전셀(18)에서의 일어나는 방전을 독립적으로 일으킬 수 있어, 이웃한 방전셀(18)과의 크로스토크(cross talk)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 사이에서 대향방전을 유도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고정세화 되어 방전셀의 크기가 작아지고, 이에 따라 종래의 면방전 구조에서 야기되는 주요한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 사이에서 대향 방전을 유도하여 방전개시전압을 낮춤과 동시에, 롱 갭(long gap) 방전으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은 각 방전셀(18) 내에서, 배면기판(10)쪽 단부를 어드레스전극(12)과 나란한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w1)보다 전면기판(20)쪽 단부를 상기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w2)가 더 길게 형성된다. 이 때,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 각각을 상기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는, 배면기판(10)쪽 단부에서부터 전면기판(20)쪽 단부를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 각각은, 방전셀(18)에 대향하는 일측면(213, 233)이 전면기판(20)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θ)을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면(214, 234)이 전면기판(20)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생성된 진공자외선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생성된 진공자외선 중 전면기판(20)으로 향하는 대략 50%의 진공자외선은 배면기판(10) 측으로 형성되는 형광체층(19)을 여기시킬 수 없어 실질적으로 발광에 기여하지 않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을 전면기판(20)쪽에서 더 큰 폭으로 형성함으로써 전면기판(20)으로 향하는 이러한 진공자외선에 의한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어드레스전극(32)을 전면기판(20)에 배치함으로써 방전에 관여하는 전극이 전면기판(20)측으로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면기판(10)에 형성되는 격벽(16)에 의하여 설정되는 방전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형광체의 도포 면적을 증가시켜 발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방전에 관여하는 전극을 전면기판(20)측으로 위치시키고 형광체층(19)을 배면기판(10)측으로 위치시켜 서로 이격시킴으로써, 방전 시 이온 스퍼터링 등에 의해 형광체의 수명이 감소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방전에 관여하는 주사전극(23)과 어드레스전극(32)을 가까이 배치시킴으로써 어드레스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실시예와 기본적인 구성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각 방전셀에 대응하는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유지전극(41)과 주사전극(43)은 일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유지전극(41)과 주사전극(43)을 패널의 두께 방향(도면의 z축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L)는 이들의 길이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전극(41)과 주사전극(43)이 각 방전셀(18)에 대응되어 형성되지 않고 길게 이어지면서 형성되므로 이웃한 방전셀(18)과의 크로스 토크 방지를 위해서 격벽이 서로 교차하는 격벽 부재들을 포함하는 폐쇄형 격벽구조로 형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전극(41)과 주사전극(43) 사이에서 대향 방전을 유도하여 방전개시전압을 낮춤과 동시에, 롱 갭(long gap) 방전으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유지전극(41)과 주사전극(43)은 각 방전셀(18) 내에서, 배면기판(10)쪽 단부를 어드레스전극(12)과 나란한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보다 전면기판(20)쪽 단부를 상기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생성된 진공자외선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전극, 제2 유전층 및 격벽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유전층(45)은 유지전극(21)과 주사전극(23) 각각을 감싸면서 이와 나란한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유전층부(45a)와, 이러한 제1 유전층부(45a)와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각 방전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각 방전셀(18)에 대응되는 전극을 독립적으로 구획하는 제2 유전층부(45b)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유전층부(45b)는 방전에 관여하는 전극들을 각 방전셀(18)에 대응하도록 구획하는 바, 이웃한 방전셀(18)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 토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2 유전층(45)이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폐쇄형 격벽은 물론, 전극의 형태와 무관하게 스트라이프 형태의 격벽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배면기판(10) 상에 유전층이 형성되지 않고 바로 격벽(16)이 형성되고 격벽(16)과 배면기판(10)이 동일한 재료의 일체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기판을 각 방전셀(18) 형상에 상응하도록 식각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배면기판(10)과 격벽(16)을 동일한 재료의 일체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 및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어드레스전극을 전면기판 측으로 배치함으로써 방전공간을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여 형광체를 넓은 면적으로 도포할 수 있어 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방전에 관여하는 전극들과 형광체층을 서로 이격하여 형성함으로써 형광체의 열화를 방지하여, 형광체층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어드레스방전에 관여하는 주사전극과 어드레스전극의 방전 거리를 줄임으로써 어드레스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저감시킬 수 있고, 유지전극과 주사전극 사이에서는 대향방전으로 방전개시전압을 낮추면서 롱 갭 방전을 일으켜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기존의 면방전 구조에서 야기되는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

Claims (12)

  1. 서로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다수의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제2 기판에서 일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제2 기판에서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절연되어 이와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각 방전셀에 대응되어 형성되면서, 상기 제2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기판을 향해 돌출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들; 및
    상기 각 방전셀 내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각각을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측정할 때, 상기 제1 기판쪽 단부보다 상기 제2 기판쪽 단부가 더 길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을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측정한 길이는, 상기 제1 기판쪽 단부에서부터 상기 제2 기판쪽 단부를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방전셀에 대향하는 일측면이 상기 제2 기판에 대하여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타측면이 상기 제2 기판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에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도록 제1 유전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유전층 위에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을 감싸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유전층이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감싸면서 이와 나란한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스트라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층은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감싸면서 이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유전층부와, 상기 제1 유전층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각 방전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제2 유전층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층 및 제2 유전층을 덮으면서 MgO 보호막이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상기 패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측정한 길이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스트라이프 형태를 가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각각은 각 방전셀에 대응하면서 상기 패널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제1 기판을 향해 연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은 일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며 형성되는 버스전극과, 상기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연장되는 확대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버스전극은 상기 방전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어드레스전극의 확대전극은 상기 버스전극으로부터 상기 방전셀의 타측으로 연장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격벽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면서 일체의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40104163A 2004-12-10 2004-12-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163A KR100667941B1 (ko) 2004-12-10 2004-12-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163A KR100667941B1 (ko) 2004-12-10 2004-12-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760A true KR20060065760A (ko) 2006-06-14
KR100667941B1 KR100667941B1 (ko) 2007-01-11

Family

ID=3716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163A KR100667941B1 (ko) 2004-12-10 2004-12-1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7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603B1 (ko) * 2007-03-08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1208B2 (ja) * 1991-06-26 1999-06-07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26166B1 (ko) 1995-05-31 1999-10-15 김영남 교류형 플라즈마 표시소자
JP3657220B2 (ja) 2001-11-19 2005-06-08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90057B1 (ko) * 2004-05-31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603B1 (ko) * 2007-03-08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7941B1 (ko)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23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9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60214584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6273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96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008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48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46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1157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3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3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75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5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874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37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972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46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92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474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788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92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4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49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905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97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