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949A -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949A
KR20060064949A KR1020040103638A KR20040103638A KR20060064949A KR 20060064949 A KR20060064949 A KR 20060064949A KR 1020040103638 A KR1020040103638 A KR 1020040103638A KR 20040103638 A KR20040103638 A KR 20040103638A KR 20060064949 A KR20060064949 A KR 20060064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attery
battery
power
portable termina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인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4949A/ko
Publication of KR2006006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9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되는 배터리의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배터리 착탈시, 보조 전원을 통해 메모리의 데이터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배터리 감지부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전원이 출력 및 차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 감지부의 출력전원을 도통시키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전원의 도통을 차단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메인 배터리 이탈시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메인 배터리 장착시 보조 배터리 및 메인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중,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되어 메인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MEMORY PROTECTION}
도 1은 종래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메인 배터리 13: 보조 배터리
19: 메모리 21: 메인 배터리 감지부
23: 다이오드 SW: 스위치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되는 배터리의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배터리 착탈시, 보조 전원을 통해 메모리의 데이터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A와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휴대용 단말기에 동작전원을 인가하는 메인 배터리에 의해 동작되어 음성 통화 및 해당 특정 모드를 실행시킨다. 이러한 메인 배터리에 전원이 방전되어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경우, 또는 사용자가 원치 않는 경우 배터리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탈되었을 경우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보조배터리의 전원이 메모리에 인가된다.
도 1은 종래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메인 배터리(11)는 메모리(19)와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미도시)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보조 배터리(13)는 메인 배터리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탈시 메모리(19)에 전원을 공급한다.
메인 배터리 감지부(15)는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메인 배터리(11)가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 감지부(15)는 메인 배터리(11) 장착시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11) 이탈시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인버터(17)는 메인 배터리 감지부(15)의 스위칭 제어신호를 반전시켜 제2 스위치(SW2)로 인가한다.
제1 스위치(SW1)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메모리(19)에 보조 배터리(13)의 전원을 인가한다.
제2 스위치(SW2)는 인버터를 통해 반전된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메모리(19)에 메인 배터리(11)의 전원을 인가한다.
메모리(19)는 비휘발성인 플래쉬 메모리와, 휘발성인 에스디램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제2 스위치(SW1,SW2)의 스위칭에 따라 메인 배터리(11) 또는 보조 배터리(13)의 전원을 인가받아 데이터를 보존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메인 배터리 감지부(15)는 휴대용 단말기에 메인 배터리(11)가 장착되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결과, 상기 메인 배터리(11)가 장착된 상태면 상기 메인 배터리 감지부(15)는 스위칭 제어신호로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1 스위치(SW1)와 인버터(17)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인버터(17)는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반전시켜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2 스위치(SW2)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스위치(SW1,SW2)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등과 같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자가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스위치(SW1)는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제2 스위치(SW2)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단락상태가 된다.
이에, 메모리(19)는 상기 단락상태의 제2 스위치(SW2)를 통해 인가되는 메인 배터리(11)의 전원에 의해 데이터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상기 메인 배터리 감지부(15)에 의해 메인 배터리(11)가 이탈된 상태라고 감지되면, 스위칭 제어신호로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1 스위치(SW1)와 인버터(17)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인버터(17)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반전시켜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2 스위치(SW2)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1 스위치(SW1)는 상기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단락되고, 상기 제2 스위치(SW2)는 상기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상태가 된다.
이에, 메모리(19)는 상기 단락상태의 제1 스위치(SW1)를 통해 인가되는 보조 배터리(13)의 전원에 의해 데이터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전술한 메인 배터리의 장착 유무에 따른 동작은 첨부한 도 2의 (a)와 같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거나 이탈된 메인 배터리(11)의 상태에서 배터리를 장착하거나 이탈했을때도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메인 배터리(11)가 감지된 상태에서 메인 배터리(11)가 이탈 상태의 동작을 수행하고, 메인 배터리(11)가 이탈 상태에서 메인 배터리(11)가 장착된 상태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메인 배터리 장착시, 제1, 제2 스위치의 전기적인 특성에 따라 개방 및 단락되는 시간이 상이하다. 이에, 매인 배터리가 이탈되어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메모리에 인가하는 중에 메인 배터리가 장착되면,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메모리에 인가되기 전에 메모리에 전원을 인가하던 보조 배터리의 전원이 먼저 차단됨으로써, 비휘발성인 메모리의 데이터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되는 배터리의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배터리 이탈시, 보조 전원을 통해 메모리의 데이터를 보호 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배터리 이탈시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메모리에 공급하는중, 메인 배터리가 장착되면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 메모리에 인가된 후에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보호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배터리 감지부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전원이 출력 및 차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 감지부의 출력전원을 도통시키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전원의 도통을 차단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메인 배터리 이탈시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메인 배터리 장착시 보조 배터리 및 메인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중,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되어 메인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메모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배터리 감지부는 메인 배터리 이탈 감지시 스위치를 단락시키는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메인 배터리 장착 감지시 메인 배터리가 장착된 후 소정시간이후 상기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배터리(11)는 메모리(19)와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미도시)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보조 배터리(13)는 메인 배터리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탈시 메모리(19)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상기 보조 배터리(13)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메인 배터리 장착된후 메인 배터리 감지부(21)의 스위칭 제어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의 소정 시간동안 메인 배터리(11)와 함께 메모리(19)에 전원을 공급한다.
메인 배터리 감지부(15)는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메인 배터리(11)가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배터리 감지부(15)는 메인 배터리(11) 장착시 상기 소정시간이후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11) 이탈시에는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스위치(SW)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메모리(19)에 보조 배터리(13)의 전원을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SW)는 제1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단락되고, 제2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된다.
메모리(19)는 비휘발성인 플래쉬 메모리와, 휘발성인 에스디램으로 이루어져, 스위치(SW)의 스위칭에 따라 메인 배터리(11) 이탈시에는 보조 배터리(1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메인 배터리(11) 장착시에는 보조 배터리(13) 및 메인 배터리(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중,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개방되는 스위치(SW)에 의해 보조배터리(13)의 전원이 차단되어 메인 배터리(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다이오드(23)는 메인 배터리(11)의 전원이 메모리(19)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순방향으로 연결되어 보조 배터리(13)의 전원이 메모리(19)에 공급되는 상태시 그 메모리(19)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으로 공급됨을 차단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도 3을 통해 메인 배터리(11)가 장착된 상태, 이탈된 상태 및 메인 배터리 이탈시와 메인 배터리 장착시에 따른 동작을 순서대로 기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메인 배터리(11)가 장착된 상태에 대해 기술한다.
메인 배터리(11)가 장착된 상태면, 메인 배터리 감지부(21)는 이를 감지하고, 스위칭 제어신호로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스위치(SW)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스위치(SW)는 개방상태가 되어 보조 배터리의 전원은 메모리(19)에 인가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메인 배터리(11)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 메인 배터리(11)의 전원은 다이오드(23)을 통해 메모리(19)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메인 배터리(11)는 상기 메모리(19) 이외에도 휴대용 단말기의 시스템(미도시)측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전술한 상기 메인 배터리(11)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경우는 상기 도 4의 (a)중 메인 배터리 유(장착된 상태)인 경우(메인 배터리 감지부: 제1 스위칭 제어신호(Low), 스위치: 개방, 메모리 전원공급: 메인 배터리)에 해당된다.
다음, 메인 배터리(11)가 이탈된 상태에 대해 기술한다.
메인 배터리(11)가 이탈되면, 메인 배터리 감지부(21)는 이를 감지하고, 스위칭 제어신호로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스위치(SW)로 인가한다. 이에, 상기 스위치(SW)는 단락상태가 되어 보조 배터리(13)의 전원은 메모리(19)에 인가된다. 그러 나, 상기 메인 배터리(11)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탈되었으므로 메인 배터리(11)의 전원은 상기 메모리(19)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메모리(19)에는 보조 배터리(13)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메모리에 데이터가 보존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한 상기 메인 배터리(11)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탈된 경우는 상기 도 4의 (a)중 메인 배터리 무(이탈된 상태)인 경우(메인 배터리 감지부: 제2 스위칭 제어신호(High), 스위치: 단락, 메모리 전원공급: 보조 배터리)에 해당된다.
다음, 상기 메인 배터리(11) 이탈시에 대해 기술한다.
전술한 메인 배터리(11)가 장착된 상태 즉, 메인 배터리 감지부(21)가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스위치(SW)로 인가하여 그 스위치(SW)가 개방되고, 메모리(19)에는 메인 배터리(11)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메인 배터리(11)가 이탈되면, 상기 메인 배터리(11)의 전원 공급이 중단됨과 동시에 메인 배터리 감지부(21)는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SW)에 인가한다. 이에 의해 상기 스위치(SW)는 단락상태가 되어 보조 배터리(13)의 전원이 상기 메모리(19)에 인가되어 앞서 기술한 메인 배터리(11)가 이탈된 상태가 된다. 즉, 전술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메인 배터리(11)가 이탈시에는 상기 도 4의 (b)중 메인 배터리 이탈시(유->무)인 경우(메인 배터리 감지부: 제1 스위칭 제어신호(Low)->제2 스위칭 제어신호(High), 스위치: 개방->단락)에 해당된다.
다음, 상기 메인 배터리(11) 장착시에 대해 기술한다.
전술한 메인 배터리(11)가 이탈된 상태 즉, 메인 배터리 감지부(21)가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스위치(SW)로 인가하여 그 스위치(SW)가 단락되고, 메모리(19) 에는 보조 배터리(13)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메인 배터리(11)가 장착되어 상기 메인 배터리(11)와 보조 배터리(13)의 전원이 동시에 공급된다. 이후 상기 메인 배터리 감지부(21)는 소정시간이후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SW)로 인가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시간은 메인 배터리 감지부(21)에 의해 메인 배터리(11)가 휴대용 단말기에 확실히 장착됨을 인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에, 상기 스위치(SW)는 단락상태에서 개방상태가 되어 보조 배터리(13)의 전원은 메모리(19)에 인가되지 않는다. 즉, 전술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상기 메인 배터리(11)가 장착시에는 상기 도 4의 (b)중 메인 배터리 장착시(무->유)인 경우(메인 배터리 감지부: 제2 스위칭 제어신호(High)->제1 스위칭 제어신호(Low), 스위치: 단락->개방)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메인 배터리가 이탈된 상태에서 메인 배터리를 장착시키게 되는 경우, 스위치의 전기적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딜레이 시간을 없앨 수 있어 메모리(19)에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배터리 이탈에 따라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메모리에 인가하는 중에 매인 배터리 장착시 메인 배터리와 함께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메모리에 인가한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스위치의 전기적 특성에 의해 발생되던 스위칭 딜레이 시간이 발생되지 않고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품 양산시 생산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 착탈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에 따른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배터리 감지부와;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에 따라 전원이 출력 및 차단되는 보조 배터리와;
    상기 메인 배터리 감지부의 출력전원을 도통시키고, 상기 보조 배터리의 출력전원의 도통을 차단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메인 배터리 이탈시 보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메인 배터리 장착시 상기 보조 배터리 및 메인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중, 상기 스위칭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이 차단되어 메인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배터리 감지부는,
    메인 배터리 이탈 감지시 스위치를 단락시키는 제1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메인 배터리 장착 감지시 메인 배터리가 장착된 후 소정시간이후 상기 스위치를 개방시키는 제2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103638A 2004-12-09 2004-12-09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064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638A KR20060064949A (ko) 2004-12-09 2004-12-09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638A KR20060064949A (ko) 2004-12-09 2004-12-09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949A true KR20060064949A (ko) 2006-06-14

Family

ID=3716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638A KR20060064949A (ko) 2004-12-09 2004-12-09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49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7466B2 (en) Humidity detection and power cut-off device
US8242637B2 (en) Power source switching circuit
WO2018150840A1 (ja) 給電制御装置
JP3853759B2 (ja) 移動携帯端末
JP2004248093A (ja) 負荷駆動回路
KR970055908A (ko) 파워 앰프 모듈 보호장치
US7512821B2 (en)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CPU providing power saving mode
KR20060064949A (ko)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60064950A (ko) 메모리 보호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950030504A (ko)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0600368B1 (ko) 단말기의 과전압 방지 회로
KR10061988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632117B1 (ko) 종료키의 제어장치 및, 이를 적용한 휴대용 단말기
JP2005287171A (ja) 携帯機器の電源装置、携帯機器の電源制御方法
TW200620825A (en) Loading-adjustable RF switch matrix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20154958A1 (en) Use of a jfet as a failsafe shutdown controller
JP2798060B2 (ja) 電源制御回路
KR20036497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회로
KR2005000078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호스트/슬레이브 설정 장치
US1095197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shutoff of aviation headsets
KR101439354B1 (ko) 팝노이즈 차단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296009A (ja) 電源制御装置
KR100538628B1 (ko) 과전압 보호 장치
KR20050072276A (ko) 단말기의 과전압 및 과전류 방지 회로
KR100732045B1 (ko) 음원 출력 차단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