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325A -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325A
KR20060064325A KR1020040103137A KR20040103137A KR20060064325A KR 20060064325 A KR20060064325 A KR 20060064325A KR 1020040103137 A KR1020040103137 A KR 1020040103137A KR 20040103137 A KR20040103137 A KR 20040103137A KR 20060064325 A KR20060064325 A KR 20060064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ultimedia
mobile
switching center
str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745B1 (ko
Inventor
양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745B1/ko
Priority to CNB2005100796905A priority patent/CN100471321C/zh
Publication of KR2006006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4Network analysis or design
    • H04L41/142Network analysis or design using statistical or mathematical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lgebr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통계 분석에 의하여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호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설정된 통신경로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기지국; 기지국에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처리하며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이동교환국;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전송을 처리하는 스트리밍 서버부;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접속 처리결과와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통계서버부;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가입된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록저장 관리 및 출력하는 에치엘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통신 요청이 있으면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통계서버부에 출력하는 위치과정; 상기 이동교환국은 트래픽 처리가 폭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 상기 음영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는 호접속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운용하고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기록저장하는 서비스과정; 상기 호접속 처리 속성정보를 통계서버부에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APPARATUS OF IMPROVING MULTIMEDIA STREAMING FOR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휴대단말기 이동통신 서비스 운용장치의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이동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방법 순서도,
도5 는 본 발명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방법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10 : 기지국
120 : 이동교환국 130 : 스트리밍 서버부
140 : 통계서버부 150 : 에치엘알부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통신정보 통계분석에 의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는 것으로, 특히,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의 속성정보와 호접속에 의한 속성정보를 통계처리하고, 분석에 의하여 지역별 시스템과 서비스 운용상태를 간편하게 파악하고 정확하게 개선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는, 초기 1 세대(1G)의 아날로그 음성급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에서, 2 세대(2G)는 디지털 처리에 의한 문자메시지급 신호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3 세대(3G)에서는 음성급 신호와 문자메시지급 신호와 영상급 신호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통신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통신방식은, 음성급 신호와 문자급 신호와 영상급 신호가 포함되므로 전송할 데이터 량이 많아, 채널에 할당되는 대역폭이 넓어야 하며, 채널의 데이터 전송속도 또는 스트리밍 전송속도가 높아야 하므로, 비교적 높은 무선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는 특성상 할당된 대역이 높을수록 방해물에 의한 반사, 회절, 굴절 등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또한, 휴대단말기는 이동성이 보장되므로, 이동과 주변환경 변화 등으로 발생하는 간섭에 의하여 무선신호 수신의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도시와 같이 고층건물이 많은 지역에서는, 건물이 전파 전달을 방해하므로, 도심 곳곳에 전파가 잘 도달하지 않아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음영지역(SHADOW AREA)이 발생하며, 또한, 상기와 같은 도심지역 일수록 가입자와 사용자가 많으므로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기회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입자가 밀집한 도심지역의 특정 지역에서는, 발생되는 통화량 또는 트래픽(TRAFFIC)이, 일 예로, 순간적으로 폭주할 수 있고, 상기 트래픽 발생이 해 당 지역에 할당된 채널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는 과부하로 인하여 시스템 운용이 다운되고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부 특정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영지역 및 트래픽 폭주 등으로 인한 서비스 불량의 통계자료를 작성하고 검출 분석하여 해당 지역의 통신품질을 개선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이동통신 서비스 운용장치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이동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이동통신 서비스 운용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UA: USER AGENT)(10)는 불특정 다수와 호접속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통신하며, 상기 휴대단말기(10)는 서비스 영역 안에서 기지국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가 포함되는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20)에 무선접속하여 통신한다.
상기 기지국(20)은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30)에 접속하여 무선수신 신호를 상기 이동교환국(30)에 인가하고, 상기 이동교환국(MSC)(30)은,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호(CALL)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호를 통하여 통신신호가 전송되는 경로를 설정하므로, 상기 송신측 휴대단말기(10)는 지정된 수신측 휴대단말기(10)와 무선접속하여 이동하면서 통신한다.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실시간 호접속 요청신호이면, 해당 스위칭 처리에 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비실시간 메시지 전송 호접속 요청신호이면, 메시지를 관리하는 서버(SERVER)(40)에 인가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해당 전송처리한다.
상기 서버(40)는 메시지 처리에 의하여 문자 메시지, 음성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정된 상대방에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기지국(20)은 형성된 서비스 영역에서 동시 접속할 수 있는 채널 숫자가 고정 할당되어 있고, 상기 고정 할당된 채널 숫자를 초과하는 휴대단말기(10)가 동시에 접속 할 수 없으므로, 이동통신 사업자로서는 서비스 제공을 못하는데 따른 기회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이동교환국(30)은, 동시에 스위칭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이 한정되어 있으며, 각 기지국(20)을 통하여 접속하고 호처리를 요청하는 숫자가 상기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부하(LOAD)가 초과되어 시스템 운용이 다운(DOWN)되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이동통신 서비스 운용 방법을 설명하면, 이동교환국(30)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가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에 의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판단하며(S10), 상기 판단(S10)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이동교환국(30)은 트래픽(TRAFFIC)이 처리할 수 있는, 스위칭 처리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는, 트래픽(TRAFFIC) 폭주 상태 인지를 판단한다(S20).
상기 판단(S20)에서 트래픽이 폭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교환국(30)은 시스템을 더 이상 처리할 수 없으므로 다운(DOWN)하여 운용을 정지하고, 상기 판단(S20)에서 이동교환국(30)이 처리할 수 있는 정도의 트래픽이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무선신호의 송수신 신호세기가 통신에 응용되지 못하는 미약한 지역 또는 음영지역(SHADOW AREA)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S30).
상기 판단(S30)에서 휴대단말기(10)가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무선접속이 안되므로 호접속 실패 처리하고(S50), 음영지역을 벗어나서 정상적인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는 호접속 처리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통신을 진행시킨다(S4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휴대단말기(10)가 트래픽이 폭주하는 과밀지역 또는 유효한 세기의 무선 전파신호가 도달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사업자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함에 따른 기회손실 및 수입감소와 시스템 운용 신뢰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 자원을 최적상태로 분배하고 배치하지 못하므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공유 및 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호 접속과 통신 진행 상태 정보를 해당 위치정보와 함께 통계처리하고 분석하여 음영지역과 채널자원 부족지역의 정보 등을 확인하므로, 이동통신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호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설정된 통신경로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처리하며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전송을 처리하는 스트리밍 서버부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접속 처리결과와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통계서버부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가입된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록저장 관리 및 출력하는 에치엘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통신 요청이 있으면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통계서버부에 출력하는 위치과정과; 상기 과정을 처리하는 이동교환국은 트래픽 처리가 폭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음영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는 호접속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운용하고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기록저장하는 서비스과정과; 상기 과정의 호접속 처리 속성정보를 통계서버부에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방법 순서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방법 신호 흐름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호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설정된 통신경로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120)의 제어에 의하여 함께 구성되는 기지국 제어기가 할당하는 채널을 점유하여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100)와 무선접속하고,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는 기지국(RAN)(110)과,
상기 기지국(11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에서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설정된 호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여 통신하는 휴대단말기(UA)(100)와,
상기 기지국(110)에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처리하며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이동교환국(MSC)(120)과,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전송을 처리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120)의 제어에 의하여 송신측 휴대단말기(100)와 수신측 휴대단말기(100) 사이에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설정된 스트리밍 속도로 전송처리하는 스트리밍 서버부(MMS: MULTIMEDIA MESSAGE SERVER)(130)와,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접속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접속 처리결과와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접속된 호의 발신 및 수신 가입자 위치정보와 설정된 세션 정보와 멀티미디어 타입정보와 전송률 정보와 호 접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통계서버부(140)와,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접속하고 가입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기록저장 관리 및 출력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에 접속되어 가입된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록저장 관리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하는 에치엘알부(HLR: HOME LOCATION REGISTER)(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상대방과 무선접속되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에 의한 이동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110)에 무선접속하고, 상대방을 지정하는 해당 고유번호를 다이얼링 입력하여 호접속을 요청하며, 상기 호접속 요청신호는 이동교환국(120)에 인가된다.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입력되는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고, 에치엘알부(150)를 제어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칭 처리하므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 즉, 발신 휴대단말기(100)의 최초 접속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수신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계서버부(140)에 기록저장한다.
상기 발신측 휴대단말기(100)는, 상기 이동교환국(120)이 스위칭 설정한 통신경로에 무선접속된 수신측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할 멀티미디어 데이터 신호를 설정된 스트리밍으로 송신하고, 상기와 같이 송신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 신호는 기지국(110)이 수신하여 이동교환국(120)에 인가하며,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스트리밍 서버부(130)에 인가하여 해당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처리한다.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스트리밍 서버부(130)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SDP 처리하는 과정에서 분석된 것으로, 세션(SESSION) 정보, 멀티미디어 형식(TYPE),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전송률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의 각종 속성정보를 통계서버부(140)에 전송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스트리밍 서버부(130)가 처리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스위칭 처리되어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전송하므로, 상기 기지국(110)을 통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에 무선송신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된 통신경로의 정보, 즉, 호처리에 의한 채널 정보, 점유 시간 정보, 무선환경 정보 등등의 해당 속성정보를 상기 통계서버부(14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신호 흐름을,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발신 휴대단말기(100)에서 상대방과 멀티미디어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발신측 스 트리밍 서버부(130)에 멀티미디어(MMS) 전송 요청하고, 상기 요청과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를 입력한 발신측 스트리밍 서버부(130)는, 전송을 요청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입력하였다는 확인신호를, 상기 발신 휴대단말기(100)에 전송한다(ST100).
상기 발신측 스트리밍 서버부(130)는, 수신측 스트리밍 서버부(130)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측으로부터 정상적으로 수신 입력하였다는 확인신호를 회신 받는다(S110).
상기 수신측 스트리밍 서버부(130)는,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에 전달할 멀티미디어 신호가 착신되었음을 통보하고, 상기 통보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다는 확인신호를 회신 받는다(ST120).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100)는 착신통보를 확인하고, 수신측 스트리밍 서버부(130)에 처리능력 및 자원 정보를 통보하는 동시에 착신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정보의 검색을 요청한다(ST130).
상기와 같이 수신측 휴대단말기(100)가 수신측 스트리밍 서버부(130)에 통보하는 처리능력은, 가능한 데이터 포맷/타입/크기와 같은 것으로 다음과 같다.
- 휴대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최대 크기.
- 휴대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이미지의 최대 해상도.
- 휴대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멀티미디어 타입과 포맷의 리스트.
- 휴대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문자(CHARACTER SET).
- 휴대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언어(LANGUAGE).
- 휴대단말기에서 지원 가능한 색 농도(COLOR DEPTH).
- 휴대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의 지원 여부.
- 휴대단말기에서 DRM(DIGITAL RIGHT MANAGEMENT) 방식 지원 여부.
상기와 같이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의 처리능력 및 자원 정보를 수신한 스트리밍 서버부(130)는, 상기 이동교환국(120)의 제어에 의하여 검색 요청 받은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통계서버부(140)에 전송하고, 또한, 상기 이동교환국(120)의 제어를 받은 에치엘알부(150)에서도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상기 통계서버부(140)에 전송하며, 상기 통계서버부(140)는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ST140).
상기 수신측 스트리밍 서버부(13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에 전송하고, 상기와 같이 전송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신호를 오류(ERROR) 없이 수신하였다는 확인 신호를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로부터 회신 받으며(ST150), 상기 회신을 받은 후에 상기 발신측 스트리밍 서버부(130)에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하고, 상기 통보신호를 오류 없이 수신하였다는 확인신호를 상기 발신측 스트리밍 서버부(130)로부터 회신 받는다(ST160).
상기와 같이 전송완료 통보를 받은 발신측 스트리밍 서버부(130)는, 상기 이동교환국(1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에 전송완료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신호의 속성정보를 상기 통계서버부(140)에 인가하여 기록저장하며,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에치엘알부(150)를 제어하여 발신측 휴대단말기(100)와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통계서버부(140)에 인가하고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ST170).
상기 발신측 스트리밍 서버부(130)는, 수신측 휴대단말기에 전송 요청한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완료하였다는 통보를 하므로(ST180), 모든 과정이 완료된다.
따라서,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통계서버부(140)에 기록저장된 정보를 분석하고 통계처리하므로, 통신이 폭주하는 핫스폿(HOT-SPOT) 지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핫스폿 지역을 해결하기 위하여 할당된 채널을 증설하는 등의 후속조치를 한다.
또한, 음영지역(SHADOW AREA)을 파악하여 적당한 크기의 기지국(110)을 증설하거나 인접 기지국(110)의 출력을 조정하는 등의 후속조치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질을 개선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통신 요청이 있으면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통계서버부(140)에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의하여 가입 등록된 휴대단말기(100)가 기지국에 무선접속하고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의한 통신을 하고자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통신을 하는 경우에 상기 에치엘알부(150) 를 제어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통계서버부(140)에 기록저장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위치과정과,
상기 위치과정을 처리하는 이동교환국(120)은 트래픽(TRAFFIC) 처리가 폭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음영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위치과정에서 위치가 확인된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와 호접속을 위한 스위칭(SWITCHING) 처리 트래픽(TRAFFIC)이 이동교환국(120)의 처리용량 범위 이내인지 아니면 폭주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이동교환국(120)의 처리가능 용량 범위이내 트래픽이면 수신측 휴대단말기(100)가 정상적인 레벨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음영지역(SHADOW AREA)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지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는 호접속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운용하고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기록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수신 휴대단말기(100)가 음영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호접속 처리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통신 서비스를 운용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의 이동교환국(120)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 속성정보를 검출하여 통계서버부(140)에 기록저장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지는 서비스과정과,
상기 과정의 호접속 처리 속성정보를 통계서버부(140)에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통신과정(S180)과,
상기 확인과정(S120)에서 트래픽(TRAFFIC)이 폭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 템을 다운(DOWN)하여 운용을 정지하고 상기 통신과정(S180)으로 진행하는 다운과정(S170)과,
상기 확인과정(S130)에서 음영지역(SHADOW AREA)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접속을 실패 처리하고 상기 통신과정(S180)으로 진행하는 호처리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접속된 휴대단말기(100)가 멀미(멀티미디어) 통신을 하고자 하는지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상기 접속된 휴대단말기(100)가 멀미(멀티미디어) 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에치엘알부(150)를 제어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통계서버부(140)에 기록저장한다(S110).
상기 기록저장되는 위치정보는, 발신측 휴대단말기(100)의 최초 접속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수신측 휴대단말기(100)의 확인된 현재 위치정보를, 상기 통계서버부(14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
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120)은, 현재 스위칭 가능한 트래픽(TRAFFIC) 처리 용량 범위 안에서 동작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S120), 상기 판단(S120)에서 트래픽 처리 용량 범위를 초과하는 폭주 경우, 시스템은 다운하며(S170), 상기 판단(S120)에서 트래픽 처리용량 범위 안에 있는 경우는, 수신측 휴대단말기(100)가 음영지역(SHADOW AREA)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S130).
상기 판단(S130)에서 수신측 휴대단말기(100)가 유효하지 못한 전파신호를 수신하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는 호접속 처리를 하지 못하므로, 실패처리하고(S160), 상기 판단(S130)에서 유효한 전파 신호를 수신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전송하므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의한 통신을 진행한다(S140).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상기와 같이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통계서버부(140)에 인가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S150), 상기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가 전송되는 통신경로의 호처리 현황에 대한 속성정보, 즉, 발신 휴대단말기(100)의 최초 무선접속 위치, SDP 데이터를 전송하는 세션(SESSION)의 설명, 채널 점유 시간정보 등등에 대한 속성정보를 통계서버부(140)에 기록저장한다(S180).
상기와 같이 통계서버부(140)에 기록저장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의 속성정보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처리의 속성정보는,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의하여 검색되고 분석되므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통신을 위한 발신이 많은 지역인 핫스폿(HOT SPOT) 지역, 트래픽이 많은 지역, 호접속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음영지역 등등의 지역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분석된 지역정보를 이용하여, 할당된 채널 용량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채널을 증설하고, 전파의 세기가 약한 음영지역에서는 기지국을 추가 증설하거나 인접 기지국의 출력을 조절하며, 트래픽의 용량을 조절하는 등과 같이 통계정보로 서비스 지역의 관리를 정확하게 하며, 서비스의 품질향상과 유지를 신속하 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중에서 트래픽이 순간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핫스폿 지역을 통계자료 분석만으로 검색하여 신속한 후속조치를 하므로 서비스 품질을 제고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통계자료 분석으로, 저렴한 비용과 간편하고 용이하며 정확하게, 이동통신 시스템의 트래픽 용량이 가입자에 의하여 요구되는 호접속 요청을 모두 처리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필요한 후속조치를 취하므로, 서비스 사업자와 사용자의 기회손실을 방지하며, 통신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통계자료 분석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기지국 및 기지국에 할당된 채널 등의 효율을 판단하므로, 적절한 재배치를 통하여 운용효율을 높이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호접속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설정된 통신경로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 신호를 무선송수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처리하며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스트리밍 전송을 처리하는 스트리밍 서버부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접속 처리결과와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기록저장 출력하는 통계서버부와,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가입된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록저장 관리 및 출력하는 에치엘알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에서 기지국과 무선접속하고 설정된 호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여 통신하는 휴대단말기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함께 구성되는 기지국 제어기가 할당하는 채널을 점유하여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는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고,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부는,
    상기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송신측 휴대단말기와 수신측 휴대단말기 사이에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설정된 스트리밍 속도로 전송처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서버부는,
    상기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접속된 호의 발신 및 수신 가입자 위치정보와 설정된 세션 정보와 멀티미디어 타입정보와 전송률 정보와 호 접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치엘알부는,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되어 가입된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록저장 관리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7. 휴대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통신 요청이 있으면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고 통계서버부에 출력하는 위치과정과,
    상기 과정을 처리하는 이동교환국은 트래픽 처리가 폭주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휴대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음영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는 호접속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운용하고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기록저장하는 서비스과정과,
    상기 과정의 호접속 처리 속성정보를 통계서버부에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통신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과정에서 트래픽이 폭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시스템을 다운하여 운용을 정지하고 상기 통신과정으로 진행하는 다운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호접속을 실패 처리하고 상기 통신과정으로 진행하는 호처리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과정은,
    상기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가입된 휴대단말기가 기지국에 무선접속하고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에 의한 통신을 하고자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통신을 하는 경우에 상기 에치엘알부를 제어하여 수신측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를 통계서버부에 기록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과정은,
    상기 위치과정에서 위치가 확인된 수신측 휴대단말기와 호접속을 위한 스위칭 처리 트래픽이 이동교환국의 처리용량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이동교환국의 처리가능 용량 범위이내 트래픽이면 수신측 휴대단말기가 정상적인 레벨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과정은,
    상기 확인과정에서 수신 휴대단말기가 음영지역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호접속 처리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로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통신 서비스를 운용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데이터 속성정보를 검출하여 통계서버부에 기록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방법.
KR1020040103137A 2004-12-08 2004-12-08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 KR100690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37A KR100690745B1 (ko) 2004-12-08 2004-12-08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
CNB2005100796905A CN100471321C (zh) 2004-12-08 2005-06-24 便携终端的多媒体流改进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37A KR100690745B1 (ko) 2004-12-08 2004-12-08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25A true KR20060064325A (ko) 2006-06-13
KR100690745B1 KR100690745B1 (ko) 2007-03-09

Family

ID=3678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137A KR100690745B1 (ko) 2004-12-08 2004-12-08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90745B1 (ko)
CN (1) CN10047132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880B1 (ko) * 2007-02-07 2008-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03429T3 (es) 2011-06-22 2019-03-08 Ericsson Telefon Ab L M Procedimientos y dispositivos para control de distribución de contenido
CN110234039A (zh) * 2019-04-10 2019-09-13 苏州卓晋通信有限公司 用于在网络物理系统中实现互联网内容远程获取的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235A (ko) * 2001-02-06 2002-08-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실시간 성능 데이터 수집방법
KR20040058429A (ko) * 2002-12-26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 음영지역 판단 장치 및 방법
KR100920073B1 (ko) * 2003-01-28 2009-10-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위치정보 운용방법
KR20050072002A (ko) * 2004-01-05 2005-07-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위치정보에 기반하는 선택적 메시지 전송 또는 호연결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880B1 (ko) * 2007-02-07 2008-06-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745B1 (ko) 2007-03-09
CN100471321C (zh) 2009-03-18
CN1787687A (zh)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291B2 (en) Dispatch call origination and set up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5822700A (en) Flow control of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in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KR20000017097A (ko) 무선통신망에서의 우선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62021C (zh) 在预订使用多网络情况下的消息路由
KR100516566B1 (ko) 동영상 호 또는 음성 호 자동 변경 시도가 가능한이동무선단말기,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26329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우선 발신 대기호 제어 방법
KR100690745B1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개선장치 및 방법
KR100250432B1 (ko) 이동 교환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
KR100408183B1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02127B1 (ko) 이종의 망에서 통화중 상태의 착신측 단말에 대한 통화 호연결 방법
KR10068190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처리 방법
KR2011010158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통화 방법 및 장치
KR100687266B1 (ko) 유엠티에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상대방 단말기의성능 확인 및 서비스 연결방법
KR100848637B1 (ko) 위치 측위를 위한 psmm 수집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71723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대 단말기의 상태를 알려주기 위한방법
KR100897081B1 (ko) 이동 단말기 감청 시스템 및 감청 방법
CN101170822A (zh) 执行重新定位的无线电网络控制器和传输网络控制方法
KR100415061B1 (ko) 아이엠티-2000 이동 통신 교환국과 타망 연동시의 경로별신호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242701B1 (ko) 회의 통화 처리 방법
KR2001003912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20070066581A (ko) 화상 통화 서비스 가입 여부를 알려주는 영상 메시지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5252828A (ja) 無線端末
KR19990027480A (ko) 개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요구 방법
KR20020090473A (ko) 이동 통신 단말의 고정형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20000040085A (k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 호 추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