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3185A -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3185A
KR20060063185A KR1020040102284A KR20040102284A KR20060063185A KR 20060063185 A KR20060063185 A KR 20060063185A KR 1020040102284 A KR1020040102284 A KR 1020040102284A KR 20040102284 A KR20040102284 A KR 20040102284A KR 20060063185 A KR20060063185 A KR 20060063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infomark
user
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7298B1 (ko
Inventor
이동우
박준석
한동원
김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2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2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3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 H04H60/7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meta-information using programme related information, e.g. title, composer or interpr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에 부가된 데이터 방송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소위 '인포마크(infomark)'의 출력을 제어하여 데이터 방송의 선별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방법은 (a)수신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의 애플리케이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b)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자의 선별시청 관련 정보를 지정한 사용자 프로파일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 (c)상기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인포마크를 항상 출력하고, 존재하면 상기 메타 데이터에 지정된 상기 컨텐츠의 관련 정보와 상기 선별시청 관련 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의 비교 결과가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 조건에 합당한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합당한 경우에만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의 선별적 시청이 가능하게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selectively viewing data broadcasting in digital broadcasting environment and System thereof}
도 1a와 도 1b는 본 방법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시스템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방송 스트림에 부가된 데이터 방송의 존재 여부를 알리는 소위 '인포마크(infomark)'의 출력을 제어하여 데이터 방송의 선별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송 환경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급속도로 전이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서 볼 수 없었던 고화질의 영상과 양방향 데이터 방송이 가능하다. 이러한 큰 변화는 앞으로 우리의 삶에 다양한 변화를 줄 것이다. 국내에서도 그동안 논란이 많았던 지상파 디지털 방송 표준과 위성 디지털 방송 표준 등이 정해지고 시험방송이 되고 있는 중이다.
디지털 방송의 장점이라면 우선적으로 데이터 방송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데이터 방송을 통해 그동안 PC를 통해서만 접할 수 있었던 다양한 컨텐츠를 TV를 통해서 제공받을 수 있다.
데이터 방송이 되면 그동안 PC에서나 가능했던 일들을 방송을 보면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TV를 통해서 실시간 투표에 응할 수도 있으며, 웹을 TV를 통해서 볼 수도 있다. 하지만 PC와 TV는 다양한 차이점을 갖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이용 환경 측면의 경우 동시 이용자의 수를 살펴보면 TV는 다수인 반면에 PC는 대게 개인용도로 사용을 한다.
한편 TV의 이용자는 대게 가족들이 함께 시청하며, 보통 다양한 연령대 및 다양한 기호를 가진 사람들로 구성이 되어있다. 따라서 아날로그 방송 환경에서는 컨텐츠가 공공성을 강조하는 방송 하나였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던 부분이 되나, 디지털 방송 환경하에서는 데이터 방송을 통해 컨텐츠가 다양해지면서 자신에게 불필요하거나, 특히 미성년자에게 유해한 컨텐츠를 어떻게 차단할 것인가가 중요한 이슈로 등장 할 수 있다.
한편, 국내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표준으로 정해진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에서 규정한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방송 규격에 의하면,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 디지털 방송 스트림(대표적으로 MPEG-2 stream)에 전송되어온 데이터 방송을 수신하고 난 후 TV 화면에 데이터 방송이 있음을 알리는 인포마크를 제시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이슈의 해결을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의 데이터 방송이 ACAP-X 인 경우에 사용자 프로파일과 애플리케이션 메타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인포마크의 화면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데이터 방송의 선별적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방법은 (a)수신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의 애플리케이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b)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자의 선별시청 관련 정보를 지정한 사용자 프로파일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
(c)상기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인포마크를 항상 출력하고, 존재하면 상기 메타 데이터에 지정된 상기 컨텐츠의 관련 정보와 상기 선별시청 관련 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의 비교 결과가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 조건에 합당한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합당한 경우에만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의 선별적 시청이 가능하게 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시스템은 수신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 방송의 애플리케이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메타 데이터 추출부;
상기 데이터 방송의 시청자의 선별시청 관련 정보를 지정한 사용자 프로파일의 존부를 판단하는 프로파일 존부 판단부; 및
상기 프로파일의 존부에 따라, 상기 메타 데이터에 지정된 상기 데이터 방송의 관련 정보와 상기 선별시청 관련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인포마크의 출력 조건에 합당한 지를 판단하는 출력 조건 판단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근거하여 그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적 사상의 핵심을 우선 제시하면, 데이터 방송이 ACAP-X 방송인 경우에 사용자 프로파일에 지정된 선별시청 관련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메타 데이터(application meta data, 이하 '메타 데이터'로 약칭한다)에 지정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의 관련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인포마크의 출력 가부를 제어, 인포마크의 출력 여부로 데이터 방송의 시청 가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두 관련 정보는 레이팅과 카테고리 정보로서 자세한 사항은 후술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방송 수신기(대표적으로 DTV)내에 구현되며, 메타 데이터 정보의 레이팅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레이팅 정보와 비교하여 부적절할 경우 인포마크를 화면에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특히 시청지도가 필요한 미성년자들에게 데이터 방송의 시청 제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카테고리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메타 테이터 컨텐츠 카테고리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원치않은 불필요한 데이터 방송에 대해 화면상에 인포마크를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 기호에 맞은 데이터 방송만 선별적으로 시청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방법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시스템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국내 표준으로 채택된 ACAP 방식의 디지털 방송을 통한 데이터 방송의 형식으로는 크게 2가지 타입의 데이터 방송이 있는데 ACAP-J(ACAP-Java Application and Environment)와 ACAP-X(ACAP-XHTML Application and Environment)다. ACAP-J는 데이터 방송 컨텐츠가 자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ACAP-X의 경우는 XHTML의 웹 문서로 구성된다. 지금은 ACAP-J 데이터 방송이 시범서비스로 시작이 되었지만 앞으로 데이터 방송이 본격화되면 유지 보수 및 제작 등 여러 측면에서 보다 구현이 간편한 ACAP-X 타입의 데이터 방송이 활성화되리라 예상된다.
ACAP-X 데이터 방송 컨텐츠는 애플리케이션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인포마크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서 데이터 방송 인코더에서 메타 데이터에 데이터 방송 컨텐츠의 레이팅과 카테고리 정보를 삽입하여 데이터 방송 수신기로 전송한다. 메타 데이터는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전송할 때 컨텐츠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는 데이터로서, 컨텐츠를 전송할 때 해당 컨텐츠에 대한 각종 정보를 기록한 데이터로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정보로는 레이팅과 카테코리 정보이다. 메타 데이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ACAP 규격에 자세히 제시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약한다.
레이팅은 컨텐츠에 대한 등급 정보로 등급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되는데 등급 부여의 방식은 나이가 기준이 될 수도 있고, 어떤 단체에서 정한 기준이 될 수도 있다. 국내의 영상물 심의 위원회, 방송위원회에서는 나이를 기준으로 등급을 분류하고 있다.
카테코리 정보는 컨텐츠가 속한 분류로서, 그 컨텐츠의 내용(스포츠, 교육, 영화, 오락, ···)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카테고리 정보는 컨텐츠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3단계로 분류하여 헥사(hexa) 값으로 기호화 한 값으로 대, 중, 소 분류는 1~255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한편, ACAP-X의 데이터 방송은 대부분 XHTML(eXtented HTML) 컨텐츠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HTML 의 META 태그를 이용하여 데이터 방송 컨텐츠의 레이팅과 카테고리 정보를 삽입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데이터 방송 수신기에서는 XHTML 컨텐츠의 경우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데이터 방송을 실행시키는데 이때 웹 브라우저에서 상기한 레이팅과 카테고리 정보를 비교해서 화면에 출력 유무를 결정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레이팅이 낮게 설정된 사용자에게 상위의 레이팅 정보가 기록된 컨텐츠의 접근을 차단 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호에 맞은 카테고리를 가진 컨텐츠만 선별적으로 출력을 할 수도 있다.
디지털 방송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 방송이 데이터 방송 수신기로 수신되면 메타 데이터 독출부(21)는 데이터 방송 신호로부터 메타 데이터를 독출한다(S11). 프로파일 존부 판단부(22)는 수신기내에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데(S12), 구체적으로 사용자 프로파일 DB(user profile DB, 24)에 프로파일 독출 신호를 인가하여 그 응답 신호의 여부로 사용자 프로파일이 있는 지를 판단하게 된다. 사용자 프로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조치 없이 인포마크를 출력하게 된다.
사용자 프로파일은 수신기에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록해둔 파일로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 자신이 설정한 선별시청 관련 정보로 레이팅과 사용자가 선호하는 복수개의 컨텐츠 카테고리 정보(이하 각각 '사용자 레이팅 및 '사용자 카테고리 정보'라 칭한다)를 기록해 둔다.
출력 조건 판단부(23)는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한 선별시청 관련 정보와 메타 데이터에 지정된 데이터 방송의 관련 정보 즉, 두 정보에 지정된 레이팅과 카테고리 정보를 서로 각각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가 인포마크의 출력 조건에 합당한지 판단한다(S13 내지 S14).
우선 출력 조건 판단부(23)는 사용자 프로파일 DB(24)를 참조하여 사용자 레이팅이 지정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데(S141), 이는 사용자 프로파일이 존재하더라도 사용자가 사용자 레이팅을 설정하지 아니할 수 있어 이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사용자 레이팅이 설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 인포마크의 출력 가부가 문제되는데, 위에서 언급한 이슈를 고려해 볼 때, 출력하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데이터 방송의 선별 시청이며 '선별'의 가장 큰 취지는 미성년자를 음란물 등 유해물로부터 차단시키는 일이기 때문이다.
사용자 레이팅이 지정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 레이팅과 메타 데이터에 지정된 레이팅을 비교하여(S142) 사용자 레이팅이 메타 데이터에 지정된 레이팅보다 더 높은지 판단한다(S143). 판단 결과 더 낮은 경우에는 인포마크의 출력을 불가능하게 하여, 데이터 방송의 시청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킨다.
본 발명은 레이팅만을 참조하여 데이터 방송의 선별 시청을 판단하게 할 수 있으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TV의 이용자는 다양한 연령대 및 다양한 기호를 가진 사람들로 구성이 되어있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 환경하에서는 데이터 방송을 통해 컨텐츠가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자신에게 필요한 데이터 방송 컨텐츠만 선별해서 시청할 필요가 아울러 요청되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카테고리 정보를 이용하여 해결한다.
출력 조건 판단부(23)는 상기한 두 레이팅의 비교로 인포마크의 출력이 가능한 경우에는 우선, 사용자 프로파일 DB(24)를 참조하여 사용자 카테고리가 지정되어 있는 지 판단한다(S144). S144 단계는 S141과 동일 취지이며, 판단 결과 지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인포마크의 출력을 불가능하게 한다.
사용자 카테고리가 지정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자 카테고리와 데이터 방송 컨텐츠의 카테고리를 비교하여(S145), 전자가 후자를 포함하는 지 판단한다(S146). 판단 결과 포함하는 경우에만 인포마크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여, 데이터 방송의 시청을 선별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현예를 순서를 바꾸어, 즉 카테고리 정보를 먼저 비교하고 다음으로 레이팅을 비교함으로써, 데이터 방송의 선별적 시청이 가능하게도 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 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메타 데이터 정보의 레이팅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레이팅 정보와 비교하여 또한 사용자 프로파일에 설정된 카테고리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메타 테이터 컨텐츠 카테고리 정보를 비교하여 합당하지 아니한 경우 인포마크 자체를 출력하지 않아 데이터 방송의 시청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특히 시청지도가 필요한 미성년자들에게 데이터 방송의 시청제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불필요한 데이터 방송에 대해 화면상에 인포마크를 출력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 기호에 맞은 데이터 방송만 선별적으로 시청을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a)수신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의 애플리케이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b)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자의 선별시청 관련 정보를 지정한 사용자 프로파일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
    (c)상기 프로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인포마크를 항상 출력하고, 존재하면 상기 메타 데이터에 지정된 상기 컨텐츠의 관련 정보와 상기 선별시청 관련 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 및
    (d)상기 (c)단계의 비교 결과가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 조건에 합당한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합당한 경우에만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데이터 방송의 선별적 시청이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관련 정보에는 상기 컨텐츠의 레이팅이 삽입되며, 상기 (d)단계는
    (d1)상기 선별시청 관련 정보의 일 정보인 사용자 레이팅이 지정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 단계;
    (d2)상기 사용자 레이팅이 지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을 불가능하게 하고,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삽입된 레이팅과 비교하는 단계; 및
    (d3)상기 비교 결과, 상기 사용자 레이팅이 상기 삽입된 레이팅 보다 더 높은 경우에만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관련 정보에는 상기 컨텐츠의 카테고리 정보가 더 삽입되며,
    (d4)상기 두 레이팅의 비교 결과로 인포마크의 출력이 가능한 경우, 상기 선별시청 관련 정보의 일 정보인 사용자 카테고리 정보가 지정되어 있는 지 판단하는 단계;
    (d5)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정보가 지정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을 불가능하게 하고,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정보와 상기 삽입된 카테고리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d6)상기 사용자 카테고리 정보가 상기 삽입된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방법.
  4. 수신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에 포함된 데이터 방송 컨텐츠의 애플리케이션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는 메타 데이터 추출부;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자의 선별시청 관련 정보를 지정한 사용자 프로파일의 존부를 판단하는 프로파일 존부 판단부; 및
    상기 프로파일의 존부에 따라, 상기 메타 데이터에 지정된 상기 컨텐츠의 관련 정보와 상기 선별시청 관련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인포마크의 출력 조건에 합당한 지를 판단하는 출력 조건 판단부를 포함하여,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 여부로 상기 데이터 방송의 선별적 시청이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관련 정보에는 상기 컨텐츠의 레이팅이 삽입되며, 상기 출력 조건 판단부는 상기 프로파일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선별시청 관련 정보의 일 정보인 사용자 레이팅이 상기 삽입된 레이팅보다 높은 지 판단하여, 더 높은 경우에만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을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관련 정보에는 상기 컨텐츠의 카테고리 정보가 더 삽입되며, 상기 출력 조건 판단부는 상기 두 레이팅의 비교 결과 인포마크의 출력이 가능한 경우, 상기 선별시청관련 정보의 일 정보인 사용자 카테고리 정보가 상기 삽입된 카테고리 정보를 포함하는 지 판단하여, 포함하는 경우에만 상기 인포마크의 출력을 가능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 하는 시스템.
KR1020040102284A 2004-12-07 2004-12-07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17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284A KR100617298B1 (ko) 2004-12-07 2004-12-07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284A KR100617298B1 (ko) 2004-12-07 2004-12-07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185A true KR20060063185A (ko) 2006-06-12
KR100617298B1 KR100617298B1 (ko) 2006-08-30

Family

ID=3715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284A KR100617298B1 (ko) 2004-12-07 2004-12-07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2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41827A1 (en) * 2006-10-02 2008-04-10 Dreame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data contents for digital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WO2016018102A1 (ko) * 2014-07-30 2016-02-04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 방송 연동형 서비스 시스템, 방송 연동형 서비스 클라이언트 장치, 트리거 컨텐츠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21170D0 (en) * 2001-08-31 2001-10-24 Nokia Corp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tent sele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41827A1 (en) * 2006-10-02 2008-04-10 Dreame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data contents for digital broadcasting and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thereon program performing function embodying the same
WO2016018102A1 (ko) * 2014-07-30 2016-02-04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 방송 연동형 서비스 시스템, 방송 연동형 서비스 클라이언트 장치, 트리거 컨텐츠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60015532A (ko) * 2014-07-30 2016-02-15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 방송 연동형 서비스 시스템, 방송 연동형 서비스 클라이언트 장치, 트리거 컨텐츠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298B1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2850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providing substitute content
KR101010378B1 (ko) 텔레비전 수신 장치
CA2814196C (en) 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60130119A1 (en) Advanced parental control for digital content
KR100747423B1 (ko) 원하지 않는 광고 방송 또는 다른 비디오 시퀀스들의 비디오 콘텐츠를 스와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801556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ferred content identification
US20050033849A1 (en) Content blocking
US20030105794A1 (en) Systems for sensing similarity in monitored broadcast content stream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20140255004A1 (en) Automatically determining and tagging intent of skipped streaming and media content for collaborative reuse
JP2008515323A (ja) スマートリモコン(smartzapper)
US20130303077A1 (en) Receiving device, broadcasting system, receiv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090014846A (ko) 맞춤형 정보 표시 방법 및 브라우저 에이전트
JP2008199406A (ja) 推薦番組情報提供装置、推薦番組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09325B2 (ja) 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91921A (ko) 등급별 영상 및 음성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617298B1 (ko)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데이터 방송을 선별적으로 시청하게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25846B1 (ko) Epg 검색장치 및 방법
KR20200098611A (ko) 태깅된 콘텐츠에 기초하여 관련 미디어 콘텐츠를 집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75719A (ko) 방송 수신장치 및 그 키워드 검색 방법
KR101227495B1 (ko) 방송 송수신기 및 시청 제한 방법
US20170347154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0913078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의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방법
KR100788701B1 (ko) 방송 프로그램 저장 장치 및 방법
Weissmann Reflection ii: The format trade and transnational knowledge cultures
KR100946279B1 (ko) 방송 프로그램 추천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