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947A -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947A
KR20060062947A KR1020040101959A KR20040101959A KR20060062947A KR 20060062947 A KR20060062947 A KR 20060062947A KR 1020040101959 A KR1020040101959 A KR 1020040101959A KR 20040101959 A KR20040101959 A KR 20040101959A KR 20060062947 A KR20060062947 A KR 20060062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m
short message
caller
message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2947A/ko
Publication of KR20060062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9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신 된 단문메시지에 포함 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와 함께 수신 된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스팸메시지일 가능성을 경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를 스팸번호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스팸등록 된 발신자로부터 다양하게 변경되어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차단하거나 선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무분별한 스팸메시지의 수신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FILTERING METHOD OF SPAM FOR MESSAG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교환기의 메시지 전송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 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교환기 3 : 메시지센터
5 : 홈위치등록기 10 : 발신측 기지국제어장치
12 : 수신측 기지국제어장치 14 : 발신측 기지국
16 : 수신측 기지국 20 :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
22 :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신번호가 허위로 기재된 부적절한 내용의 스팸 단문메시지의 수신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무분별한 스팸메시지의 수신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 이하 SMS라 함)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비교적 짧은 길이(보통 80바이트에서 160여 바이트까지)의 문자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SMS는 전화통화가 여의치 않은 상황이거나, 간단한 의사를 전달하는 경우, 또는 전화번호나 계좌번호 등의 메모가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경우에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단문메시지를 작성하여 발신하는 경우 연락 받을 전화번호로서 발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 전화번호가 디폴트(Default) 값으로 입력되어 발신되며, 다른 전화번호로 연락 받고자 하는 경우 발신자는 전화번호를 수정하여 발신할 수 있다. 이에, 수신자는 단문메시지에 포함 된 전화번호를 통해 발신자를 확인하여 적절히 회신 할 수 있다.
그런데, 단문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광고나 음란메시지 등 원치 않는 메시지까지 무차별적으로 수신되는 부작용도 아울러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사용자가 수신을 원치 않는 전화번호를 스팸 전화번호로 등록하여 메시지의 수신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특정 전화번호나, 국번 등을 등록함으로써 발신자 정보에 해당 전화번호내지는 국번 이 포함된 단문메시지는 스팸메시지로 간주하여 수신을 거부할 수 있다.
그런데, 스팸메시지의 발신자가 발신자 정보를 허위로 입력한 후, 광고나 음란메시지 등의 스팸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 허위로 입력 된 전화번호는 스팸번호로 등록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수신을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발신번호가 허위로 기재된 부적절한 내용의 스팸 단문메시지의 수신을 거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무분별한 스팸메시지의 수신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은, 수신 된 단문메시지에 포함 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와 함께 수신 된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스팸메시지일 가능성을 경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를 스팸번호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문메시지 수신 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수신 된 단문메시지의 발신자 전화번호 확인요청을 발신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확인요청에 따라 교환기 측에서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수신 된 단문메시지에 포함 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의 수신을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의 수신을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동통신시스템은 발신측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14)과 수신측 기지국(16)의 서비스영역 내에 위치하는 이동통신단말기(20, 22) 간의 무선통신을 가능케 한다. 각 기지국(14, 16)은 기지국제어장치(BSC : Base Station Controller)(10, 12) 및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1)를 통해 제어되며, 교환기(1)는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5), 메시지센터(SMSC : SMS Center)(3) 등과 연계하여 양 측 이동통신단말기(20, 22) 간의 음성통화나 메시지 전송을 중계하고 각종 부가서비스를 제공한다.
홈위치등록기(5)는 이동통신가입자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SMS, CB 등의 부가서비스 가입여부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홈위치등록기(5)는 여러 기지국제어장치(10, 12)/교환기(1)와 연동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 22) 및 가입자의 고유정보 와 위치등록 기능 등을 수행한다.
교환기(1)는 기지국제어장치(10, 12)와 접속하여 이동통신단말기(20, 22)의 통화설정 및 해제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하여,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에서 송신된 단문메시지를 메시지센터(3)를 통해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2)로 전송한다.
여기서, 교환기(1)는 단문메시지 발신 시, 홈위치등록기(5)에 저장 된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 발신자 정보를 독출하여, 수신측으로 전송 된 발신자의 정보와 홈위치등록기(5)에 저장 된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단문메시지와 함께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2)로 제공한다. 즉, 발신된 단문메시지에 포함 된 발신자 전화번호가 홈위치등록기(5)에 저장된 발신자 전화번호와는 다르게 입력되어 전송된 경우, 홈위치등록기(5)에 저장 된 본래 발신자 전화번호도 함께 수신측에 제공한다.
이에,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2)는 단문메시지에 포함 된 발신자 정보와 교환기(1)가 제공하는 본래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모두 확인하여, 스팸등록 여부를 확인한 후 해당 메시지를 수신 혹은 수신거부 처리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발신자가 단문메시지에 입력되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임의로 변경하여 전송하는 경우 실제 발신자 전화번호가 함께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 (22)로 제공되며, 이에,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2)에서는 단문메시지 상의 발신자 정보뿐 아니라, 실제 발신자 전화번호의 스팸 등록여부를 확인하여 스팸메시지의 수신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 발신 시 교환기 측의 메시지 전송방법은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다.
교환기(1)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의 단문메시지 전송요청이 수신된 경우(S1), 단문메시지에 포함 된 발신자 정보를 추출한다.
교환기(1)는 발신자의 정보를 홈위치등록기(5)로부터 검색하여 실제 저장된 발신자 정보와 단문메시지 상의 발신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
실제 저장된 발신자 정보와 단문메시지 상의 발신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교환기(1)는 발신측 이동통신단말기(20)에서 전송요청 된 단문메시지를 그대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2)로 전달한다(S5).
그러나, 실제 저장된 발신자 정보와 단문메시지 상의 발신자 정보가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교환기(1)는 발신자가 전송 요청한 단문메시지 및 발신자 정보와 함께 홈위치등록기(5)에 저장된 실제 발신자 정보를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2)에 제공한다(S7).
여기서, 교환기(1)는 단문메시지의 전송 시 자동으로 발신자 정보의 허위 유무를 판단하도록 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시스템 설정에 따라, 단문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측 사용자가 기지국을 통해 발신자의 추적을 요청함으로써, 메시지 발신자의 실제 전화번호를 제공받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때, 수신측 사용 자는 발신자를 추적하고자 하는 단문메시지를 수신측 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발신자 추적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문메시지가 제공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은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다.
사용자는 수신을 거부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미리 스팸번호로 등록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이동통신단말기에 수신되는 단문메시지는 교환기(1) 측에서의 제어에 따라, 발신자 정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가 수신되거나, 혹은 발신측 사용자의 실제 발신자 정보가 포함 된 단문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S12). 이러한 실제 발신자 정보의 제공 과정은 단문메시지의 수신자가 교환기(1) 측에 발신자 확인을 요청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며, 수신자의 선택에 따라 수신 측에 제공되는 모든 단문메시지에 대해 실제 발신자 정보의 확인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수신측에 제공되는 실제 발신자 정보는 단문메시지 형식으로 제공하여 이 단문메시지로부터 수신된 발신자의 고유전화번호를 자신이 알고 있는 사람의 전화번호인지를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전화번호부를 통해 확인하여 지인의 단문메시지를 차단하는 경우가 없도록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 발신자 정보를 제공받은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22)는 먼저, 단문메시지 상의 발신자 정보가 스팸번호인지 여부를 먼저 확인한다(S12). 단문메시지 상의 발신자 정보가 스팸 등록된 상태인 경우, 해당 단문메시지는 바로 스팸처리 되어 스팸폴더에 저장된다(S24).
여기서, 단문메시지 상의 발신자 정보가 스팸번호로 등록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는 실제 발신자 정보가 첨부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14), 실제 발신자 정보가 별도로 첨부되어 있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단문메시지를 표시한다(S18).
그러나 실제 발신자 정보가 첨부되어 있는 경우, 실제 발신자 정보가 스팸번호인지 여부를 추가로 확인한다(S16). 즉, 실제 발신자 정보가 첨부된 경우 발신자가 발신번호를 허위로 입력하여 발신한 단문메시지이므로, 해당 메시지의 스팸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확인결과, 실제 발신자 정보가 스팸 등록된 상태인 경우, 해당 단문메시지는 바로 스팸처리 되어 스팸폴더에 저장된다(S24).
그리고, 실제 발신자 정보가 스팸번호로 등록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사용자에게 스팸메시지일 가능성이 있음을 경고하고(S20), 사용자가 스팸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S22).
사용자가 해당 발신번호를 스팸번호로 등록할 것을 선택한 경우 이를 스팸처리하며(S24), 발신번호를 스팸번호로 등록하여 이 후 해당 발신번호로부터 전송된 단문메시지의 수신을 차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적절한 단문메시지를 전송하는 발신자가 발신자 전화번호를 임의로 변경하여 보낼 시에도 원래의 발신번호에서 변경되어 발신된 것인지를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여, 스팸 등록 된 발신자로부터 다양하게 변경되어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차단하거나 선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의 실시예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은 발신번호가 허위로 기재된 부적절한 내용의 스팸 단문메시지에 대해 실제 발신번호에서 변경되어 발신된 것인지를 여부를 추가로 확인하여, 스팸 등록 된 발신자로부터 다양하게 변경되어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차단하거나 선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팸 등록 된 발신자로부터 다양하게 변경되어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자동적으로 차단하거나 선별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신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고 무분별한 스팸메시지의 수신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수신 된 단문메시지에 포함 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와 함께 수신 된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스팸메시지일 가능성을 경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를 스팸번호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문메시지 수신 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수신 된 단문메시지의 발신자 전화번호 확인요청을 발신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 전화번호 확인요청에 따라 교환기 측에서 제공하는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된 단문메시지에 포함 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의 수신을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의 고유 전화번호가 스팸등록 번호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문메시지의 수신을 거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
KR1020040101959A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 KR200600629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959A KR20060062947A (ko)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959A KR20060062947A (ko)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947A true KR20060062947A (ko) 2006-06-12

Family

ID=3715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959A KR20060062947A (ko) 2004-12-06 2004-12-06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29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968B1 (ko) * 2006-03-21 2007-10-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42868B1 (ko) 2007-04-27 2008-07-02 주식회사 누리비젼 콜백 단문 메세지를 이용한 스팸 단문 메세지 차단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468431B1 (ko) * 2008-01-07 2014-12-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펨 전화 차단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70430B1 (ko) * 2012-11-07 2014-12-08 주식회사 케이티 Oma 기반 mms 스팸 신고 처리 서버, 단말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968B1 (ko) * 2006-03-21 2007-10-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42868B1 (ko) 2007-04-27 2008-07-02 주식회사 누리비젼 콜백 단문 메세지를 이용한 스팸 단문 메세지 차단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468431B1 (ko) * 2008-01-07 2014-12-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펨 전화 차단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70430B1 (ko) * 2012-11-07 2014-12-08 주식회사 케이티 Oma 기반 mms 스팸 신고 처리 서버, 단말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69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rent-controlled short message service
KR101719111B1 (ko)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EP1956816A1 (en) System and method of establishing a telephone connection
KR100785408B1 (ko) 발신자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42868B1 (ko) 콜백 단문 메세지를 이용한 스팸 단문 메세지 차단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585556B1 (ko) 스팸전화 자동 식별 및 차단 방법
KR100767968B1 (ko)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294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스팸메시지 차단방법
KR100560169B1 (ko) 스펨성 에스엠에스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29900A (ko)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 메시지 발신자 추적방법
KR20090045978A (ko) 스팸 필터링 서비스 서버와 이를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시스템과 그 방법
KR100698645B1 (ko) 메시지 보안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66611B1 (ko)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음성사서함통보메시지 변환기
JP2003087395A (ja) 文字メッセージ送信機能付き移動体通信装置
KR20070015675A (ko) 착신 제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28935B1 (ko) 선택적 착신 제한 서비스 방법
KR100765971B1 (ko) 수신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988232B1 (ko) 이동통신망과 인터넷망을 연계한 그룹 단문메시지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980049B1 (ko) 강제형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 방법
KR100661829B1 (ko)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 및 그의 프로파일 sms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100969874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에스엠에스메시지 제한전송방법
KR2007009913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익명 호 수신 거부 서비스 방법
KR10082445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증에 의한 개인정보 변경 알림 방법
KR20030028181A (ko) 착신 차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