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378A -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 호감도 측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 호감도 측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378A
KR20060062378A KR1020040101198A KR20040101198A KR20060062378A KR 20060062378 A KR20060062378 A KR 20060062378A KR 1020040101198 A KR1020040101198 A KR 1020040101198A KR 20040101198 A KR20040101198 A KR 20040101198A KR 20060062378 A KR20060062378 A KR 20060062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asuring
pulse
signal
bio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운
김태경
김기만
박준희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연세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연세대학교
Priority to KR1020040101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2378A/ko
Publication of KR20060062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박을 이용하여 이성간의 호감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두 측정자의 맥박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부와,상기 생체정보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증폭, 변환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이성간의 호감도를 결정하는 메인컴퓨팅부와, 두 측정자의 얼굴을 포착하는 사진촬영부, 상기 사진촬영부에서 촬영된 사진과 호감도 결과 및 각종 지시 문구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체 구성부들 간의 신호 및 정보의 전송과 전체 작동을 통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장치에 의해 두 측정자의 심박수 및 혈압을 측정하여 기존의 표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호감도 결과가 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정자의 맥박을 측정하고 미리 저장된 표준 맥박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신빙성 있는 호감도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원만한 이성관계를 확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용 기기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구동가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간단한 방법으로 호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생체정보측정부, 신호변환부, 메인컴퓨팅부, 사진촬영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 메모리부, 비교판단부, 표준정보 DB, 측정정보 DB

Description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 호감도 측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TERSEXUAL FAVOUR USING HEART RAT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호감도 측정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호감도 측정 장치의 일실시예의 외부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생체정보측정부의 상세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호감도 측정 방법 및 장치의 전체 작동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20: 칸막이
30: 개폐창 40: 팔걸이
50: 압력센서 100: 제어부
110: 생체정보측정부 112: 심박수측정센서
114: 혈압측정센서 120: 신호변환부
130: 메인컴퓨팅부 132: 메모리부
132a: 표준정보 DB 132b: 측정정보 DB
134: 비교판단부 140: 사진촬영부
150: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맥박을 이용하여 이성간의 호감도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측정자의 심박수 및 혈압을 측정하여 이성간에 호감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성간의 호감도란 개인의 주관적 감정이기 때문에, 자기의 감정을 표현하기도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마음을 알기도 무척 어렵다. 따라서, 이성을 처음 대하는 경우, 서로 상대방이 자신에 대해 어떠한 감정을 갖는지 잘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연인관계로 발전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연인이나 부부 사이에도 서로간의 사랑이 어느 정도 인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이러한 경우, 자신에 대해 상대방이 어느 정도의 호감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 수만 있다면, 상대방을 대하기도 쉬워질 뿐 아니라, 이성관계 및 결혼생활에서 성공할 확률도 높아질 것이다.
여러 생체신호는 인간의 심적 상태를 반영한다, 생체신호에는 호흡, 맥박, 혈압, 체온, 땀에 의한 신체 저항 변화등과 같은 여러가지가 있다. 이러한 생체신호는 대부분 인간의 심적 감정 상태를 반영하기도 한다. 좋아하는 이성앞에서 말문이 막힌다던가, 얼굴이 붉어지는 현상은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증거이다. 이러한 변화들이 생체신호의 변화로 이어져, 심장의 박동수가 증가하고, 혈압과 체온이 상승하고, 몸체 땀이 나서 신체 저항이 변화되기도 한다.
종래에, 이러한 생체 정보의 변화 정도를 이용하여 이성간의 호감도와 관심 도를 측정하는 여러 장치들이 공지되어 왔다. Znet Korea 에서 현재 판매되는 "키싱 러브 테스터" 로 불리우는 장치는 하트모양의 외관에 두 접점이 달려있는 이벤트 장치로, 두 연인이 접점에 손을 대고, 키스를 한 후 신체의 저항 변화 정도로 서로간의 사랑의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와 비슷한 아류 제품들이 여러 중소 회사에 의해 제작 판매되고 있으며, 모든 제품이 신체의 저항 변화와 온도등의 측정에 위해 호감도를 측정하고 있다. 거짓말 탐지기 기술을 응용하여 목소리의 변화정도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분석하여 이성에 대한 호감 정도를 측정하는 2004 년 출시된 이스라엘의 음성분석 호감 측정 프로그램도 같은 범주에 속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신체의 저항 변화 또는 목소리 변화에 의한 호감도 측정은 측정 생체신호가 외부적인 환경에 의해 크게 좌우(예컨데, 신체의 온도 또는 땀 분비는 실내 또는 외부 공기 온도에 따라 가변적이고, 목소리의 변화 정도도 주위의 소음 정도, 측정자의 컨디션 상태에 따라 가변적임)될 뿐만 아니라, 단순 수치 변화량만을 측정하여 호감도를 표시할 뿐 호감도 산출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측정 결과의 신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호감도 측정 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측정자의 맥박을 측정하고 미리 저장된 표준 맥박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신빙성 있는 호감도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두 측정자의 맥박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부와; 상기 생체정보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 변환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신호변환부에서 변환된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이성간의 호감도를 결정하는 메인컴퓨팅부와; 상기 두 측정자의 얼굴을 포착하는 사진촬영부; 상기 사진촬영부에서 촬영된 사진과 메인컴퓨팅부에 의해 판단된 호감도 결과 및 각종 지시 문구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체 구성부들의 작동을 통제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의 호감도 측정 장치와, (a) 두 측정자를 격리시킨 상태에서 양 측정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생체신호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변환된 생체신호를 M 1 으로 저장하는 단계; (d) 양 측정자의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e) 촬영된 사진을 측정 상대방의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 (f) 두 측정자가 상대방의 사진을 검토한후 생체신호를 재측정하는 단계; (g) 상기 생체신호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 변환하는 단계; (h) 상기 변환된 생체신호를 M 2 로서 저장하는 단계; (i) 양 측정자의 신체 일부를 접촉하게 한후 생체신호를 재측정하는 단계; (j) 상기 생체신호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 변환하는 단계; (k) 상기 변환된 생체신호를 M 3 로서 저장하는 단계; (l) 상기 M 1, 2 및 3 을 분석한 후, 이를 다수의 일반인으로부터 측정되어 축적된 맥박 측정 데이터 및 이를 기초로 표준화된 호감도 지수와 비교하여 두 측정자의 호감도를 결정하는 단계; (m) 상기 결정된 호감도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호감도 측정 장치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감도 측정 장치는, 생체정보측정부(110), 신호변환부(120), 메인컴퓨팅부(130), 사진촬영부(140), 디스플레이부(150), 그리고 상기 모든 구성부들의 작동을 통제하는 제어부(100)로 구성된다.
상기 생체정보측정부(110)는, 두 측정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 측정되는 생체신호는 맥박이다. 맥박의 사전적 정의는 심장의 박동에 따라 일어나는 주기적인 파동이다. 즉, 본 발명은 서로간의 호감도를 맥박의 '주기' 와 '크기' 로 분석한다. 여기서, 맥박의 주기는 일반적으로 심박수로 보통 일컬어지며, 맥박의 크기는 혈압으로 일컬어진다. 일반적으로 사랑을 상징하는 신체 장기인 심장의 두가지 중요한 생체신호인 심박수와 혈압을 이용하여 이성간의 호감도를 측정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상기 생체정보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는 신호변환부(120)로 전송된다. 상기 신호변환부(120)는 미약한 생체 신호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증폭, 변환하는 A/D 컨버터이다.
상기 신호변환부(12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생체신호는 메인컴퓨팅부(130)로 전송된다. 상기 메인컴퓨팅부(130)는 메모리부(132)와 비교판단부(134)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132)는 다시 표준정보 DB(132a)와 측정정보 DB(132b)로 구성된다. 상기 표준정보 DB(132a) 에는 다수의 일반인들로부터 얻어진 통계적인 생체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표준정보 DB(132a)에 미리 저장되는 생체정보는, 다수의 커플 측정자들을 대상으로, 서로 격리후 평상시의 맥박을 측정한 데이터와, 서로 얼굴을 처다본 후 맥박을 측정한 데이터, 그리고 스킨쉽후 측정된 맥박 데이터가 저장되며, 각 측정 커플의 현재 관계를, 예컨데, 처음 만난 사이, 만난지 한달된 커플, 만난지 1 년된 커플, 신혼부부, 중년부부 등과 같이 분류하여 각 분류군 마다 각 데이터의 평균치 및 평상시 맥박, 얼굴을 쳐다본 후의 맥박, 그리고 스킨쉽후의 맥박들 간의 변동치가 계산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특정 측정 커플의 호감도 결정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표준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플들끼리의 애정은 식는 것이 보통인바, 상기와 같이 만난후 경과된 시간으로 상기 표준정보를 분류하는 것이 호감도 측정을 위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료의 분류는 호감도의 객관적인 표시가 가능한한 상기와 같이 만난후 경과된 시간에 의한 분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서로 싫어하는 두 측정자의 맥박 데이터의 호감도를 0 으로 설정하고, 가장 호감도가 높은 시기인 신혼부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의 호감도를 100 으로 설정하여 호감도 크기 순으로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측정정보 DB(132b)에는 실제 측정자 커플의 생체신호가 저장된다. 상기 생체신호는 M1, M2, M3 로 분류되는데, 여기서, M1 은 측정 커플이 서로 격리된 후 평상시의 맥박을 측정한 데이터, M2 는 서로 얼굴을 쳐다본 후 측정된 맥박 데이터, M3 는 스킨쉽후 측정된 맥박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측정정보 DB(132b)에 저장된 데이터는 비교판단부(134)에서 분석, 처리 된다. 상기 비교판단부(134)는 상기 M1 내지 M3 에 저장된 데이터의 평균과 각 데이터간의 변동치들을 계산하여 상기 측정정보 DB(132b)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한 후, 실제 측정치에 상응하는 표준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표준정보에 해당하는 현재 두 측정자의 관계(예컨대, 신혼부부) 또는 상기에서 임의로 설정한 0 내지 100 사이의 호감도 수치등이 호감도 결과로서 디스플레이부(150)에서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와 같은 호감도 결과 및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있어서 필요한 지시문구, 그리고 두 측정자의 사진등이 표시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정보들을 정확히 표시할 수 있으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나, LCD 나 TFT 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진촬영부(140)는 측정 커플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이다. 상기 사진촬영부(140)에서 촬영된 사진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술한 전체 구성요소들 간의 신호 및 정보의 전송과 전체 작동관계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호감도 측정 장치의 일실시예의 외부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감도 측정 장치는 본체(10)와, 칸막이(20), 생체정보측정부(110), 디스플레이부(150), 사진촬영부(140), 개폐창(30), 팔걸이(40), 압력센서(5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상기 제어부(100), 신호변환부(120) 및 메인컴퓨팅부(130)를 포함하며 상부 표면이 편평한 테이블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 양측에 두 측정자가 각각 서거나 의자등에 앉아서 맥박을 측정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10)의 편평한 상부 표면을 가로지르는 칸막이(20)가 설치되는데, 이에 의해, 상기 본체(10)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2 개의 격리된 영역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 양측에 위치된 두 측정자는 서로의 얼굴을 볼 수 없는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생체정보측정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측정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일단부는 상기 본체(10)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는 본체(10) 내부로 연장되어 제어부(100)와 연결된다. 상기 생체정보측정부(110)는 측정자의 신체의 일부, 예컨대, 팔목, 손목, 손가락 끝, 목동맥, 귓볼등에 부착되며 심박수와 혈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박수측정센서(112)와 혈압측정센서(114)를 포함하는 생체전극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칸막이(20) 좌우측 전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상측 또는 일측에는 사진촬영부(140)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측정자가 서로의 얼굴을 본후의 맥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사진촬영부(140)에서 측정된 사진이 표시되며, 각종 지시 문구들 및 측정결과가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일측에는 상기 칸막이(20)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여닫을 수 있는 개폐창(30)이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스킨쉽후 맥박을 측정하는 경우, 양 측정자가 서로 손을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칸막이(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스킨쉽후 맥박을 측정하기 전에는 서로 격리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개구부가 폐쇄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상기 개구부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개폐창(30)이 형성된 다.
상기 개폐창(30)의 전방에는 팔걸이(40)가 설치된다. 상기 팔걸이(40)는 두 측정자가 개구부를 통하여 손을 잡는 경우 팔을 올려놓는 거치대로서 작용하며, 측정자의 팔이 팔걸이(40)에 정확히 거치되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0)를 포함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호감도 측정 장치에 의한 호감도 측정 절차가 순서도로서 도시된다.
측정을 시작하면(S1), 최초 디스플레이부(150)와 측정 장치를 초기화 시키고(S2) 생체정보측정부(110)를 측정자의 신체 부분(손목, 목동맥, 귓볼등)에 접촉시킨뒤 생체신호를 측정 감지한다(S3). 감지된 생체신호가 오차범위 이내이면(S4) 이때의 두사람의 맥박파(기초맥박파)를 M1 에 저장한다(S5). 그 다음, 두 측정자의 정면에 위치된 디스플레이부(150)에는 "두 사람은 정면에 카메라를 보아주세요" 라는 지시 문구가 표시된다(S6). 카메라는 두 측정자의 얼굴을 카메라로 포착한뒤(S7), 포착된 사진을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한다(S8). 두 측정자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된 상대방의 사진을 쳐다본후 다시 생체신호를 측정 감지한다(S9). 오차범위 이내이면(S10) 측정한 맥박 파형을 M2 에 저장한다(S11). 그 다음, 두 측정자 전방에 위치된 개폐창(30)을 개방한다(S12). 이때, 디스플레이부(150)에는 "두 사람은 팔걸이(40)에 팔을 놓아주세요" 라는 문구가 표시된다(S13). 두 측정자가 팔을 팔걸이(40)에 올려놓으면 팔걸이(40)에 장착된 압력센서(50)는 두 측정자가 팔을 정확히 올려놓았는지를 검사한다(S14). 두 측정자가 팔을 정확히 올려놓은 상태에서 서로 손을 잡은후 재차 생체신호를 측정 감지한다(S15). 감지된 신호가 오차범위 이내이면(S16) 두 측정자의 맥박 파형을 M3 에 저장한다(S17). 이후, 메인컴퓨팅부(130)의 비교판단부(134)에서는 상기 저장된 M1, M2 및 M3 정보를 표준정보 DB(132a)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S18), 최종결과는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며(S19) 모든 측정이 종료된다(S20).
상기 장치는 측정된 호감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도록 프린터등으로 구성된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상기 호감도 결과 뿐만 아니라, 상기 S7 단계에서 촬영된 사진을 출력하여 두 측정자에게 선물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호감도 측정 장치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휴대용 기기, 예컨대, 핸드폰, 손목시계, 노트북 등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미팅이나 소개팅을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서버에 접속한뒤, 상기한 바와 같은 절차를 통하여 맥박을 측정하여 미리 서로의 호감도를 알 수 있게 되고, 서로에 대한 감정을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성관계로의 발전등에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호감도 측정장치는, 측정자의 맥박을 측정하고 미리 저장된 표준 맥박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신빙성 있는 호감도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원만한 이성관계를 확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용 기기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하여 구동가능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간단한 방법으로 호감도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8)

  1. 맥박을 이용하여 이성간의 호감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두 측정자의 맥박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정보측정부(110)와;
    상기 생체정보측정부(11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 변환하는 신호변환부(120)와;
    상기 신호변환부(120)에서 변환된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이성간의 호감도를 결정하는 메인컴퓨팅부(130)와;
    상기 두 측정자의 얼굴을 포착하는 사진촬영부(140);
    상기 사진촬영부(140)에서 촬영된 사진과 메인컴퓨팅부(130)에 의해 판단된 호감도 결과 및 각종 지시 문구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50)와;
    상기 전체 구성부들 간의 신호 및 정보의 전송과 전체 작동을 통제하는 제어부(100)로 이루어지는,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의 호감도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제어부(100), 신호변환부(120) 및 메인컴퓨팅부(130)를 포함하며 상부 표면이 편평한 테이블식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상부 표면의 중앙을 가로지르며 양 측정자를 서로 격리시키는 칸막이(20)가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칸막이(20) 좌우측 전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사진촬영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0) 상측 또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150) 일측에는 상기 칸막이(20)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여닫을 수 있는 개폐창(30)이 형성되며, 상기 생체정보측정부(110)의 일단부는 상기 본체(10) 일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단부는 본체(10) 내부의 제어부(100)에 연결되며, 상기 개폐창(30) 전방에는 측정자의 팔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측정자가 팔을 거치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50)를 포함하는 팔걸이(4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의 호감도 측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측정부(110)는 두 측정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심박수 및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심박수측정센서(112) 및 혈압측정센서(114)를 포함하는 생체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의 호감도 측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부(120)는 미약한 생체신호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증폭, 변환하는 A/D 컨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의 호감도 측정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컴퓨팅부(130)는, 다수의 일반인들로부터 측정되어 축적된 맥박 측정 데이터 및 이를 기초로 표준화된 호감도 지수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표준정보 DB(132a)와, 상기 신호변환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생체신호가 저장되는 측정정보 DB(132b)로 구성되는 메모리부(132)와, 상기 측정정보 DB(132b)에 저장된 현재 측정자의 맥박 데이터를 상기 표준정보 DB(132a)에 저장된 맥박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미리 정해진 호감도 지수와 매칭시키는 비교판단부(1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의 호감도 측정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감도 측정장치는 촬영된 사진과 측정된 호감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의 호감도 측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감도 측정장치는 휴대용 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의 호감도 측정 장치.
  8. 맥박을 이용하여 이성간의 호감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a) 두 측정자를 격리시킨 상태에서 양 측정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생체신호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 변환하는 단계;
    (c) 상기 변환된 생체신호를 M 1 으로 저장하는 단계;
    (d) 양 측정자의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e) 촬영된 사진을 측정 상대방의 디스플레이부(150)에 각각 표시하는 단계;
    (f) 두 측정자가 상대방의 사진을 검토한후 생체신호를 재측정하는 단계;
    (g) 상기 생체신호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 변환하는 단계;
    (h) 상기 변환된 생체신호를 M 2 로 저장하는 단계;
    (i) 양 측정자의 신체 일부를 접촉하게 한후 생체신호를 재측정하는 단계;
    (j) 상기 생체신호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신호로 증폭, 변환하는 단계;
    (k) 상기 변환된 생체신호를 M 3 로서 저장하는 단계;
    (l) 상기 M 1, 2 및 3 을 분석한 후, 이를 다수의 일반인으로부터 측정되어 축적된 맥박 측정 데이터 및 이를 기초로 표준화된 호감도 지수와 비교하여 두 측정자의 호감도를 결정하는 단계;
    (m) 상기 결정된 호감도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의 호감도 측정 방법.
KR1020040101198A 2004-12-03 2004-12-03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 호감도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060062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198A KR20060062378A (ko) 2004-12-03 2004-12-03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 호감도 측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198A KR20060062378A (ko) 2004-12-03 2004-12-03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 호감도 측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378A true KR20060062378A (ko) 2006-06-12

Family

ID=3715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198A KR20060062378A (ko) 2004-12-03 2004-12-03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 호감도 측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23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414A (ko) * 2014-11-18 2016-05-26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인체 미동에 의한 hrc 기반 사회 관계성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706740B1 (ko) * 2015-11-13 2017-02-14 상명대학교 서울산학협력단 인체 미동에 의한 hrc 기반 사회 관계성 온라인 측정 방법 및 시스템
WO2018135728A1 (ko) * 2017-01-23 2018-07-26 전봉재 맥박 분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맥박 변화 표출시스템
KR20190097870A (ko) 2018-02-13 2019-08-21 오철규 커플 적합도 측정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414A (ko) * 2014-11-18 2016-05-26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인체 미동에 의한 hrc 기반 사회 관계성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59390A (ko) * 2014-11-18 2016-05-26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인체 미동에 의한 hrc 기반 사회 관계성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59421A (ko) * 2014-11-18 2016-05-26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인체 미동에 의한 hrp 기반 사회 관계성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59391A (ko) * 2014-11-18 2016-05-26 상명대학교서울산학협력단 인체 미동에 의한 hrp 기반 사회 관계성 측정 방법 및 시스템
US10102343B2 (en) 2014-11-18 2018-10-16 Sangmyung University Seoul Industry-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for extracting heart information based on micro movements of human body
KR101706740B1 (ko) * 2015-11-13 2017-02-14 상명대학교 서울산학협력단 인체 미동에 의한 hrc 기반 사회 관계성 온라인 측정 방법 및 시스템
WO2018135728A1 (ko) * 2017-01-23 2018-07-26 전봉재 맥박 분석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맥박 변화 표출시스템
KR20190097870A (ko) 2018-02-13 2019-08-21 오철규 커플 적합도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2785C (en) Sound-based spirometri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10150026B2 (en) Process to aid in motivation of personal fitness, health monitoring and validation of user
Bi et al. AutoDietary: A wearable acoustic sensor system for food intake recognition in daily life
Larson et al. SpiroSmart: using a microphone to measure lung function on a mobile phone
US11655622B2 (en) Smart toilet and electric appliance system
WO2015098977A1 (ja) 脈波測定装置、携帯機器、医療機器システム、及び生体情報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US20080045805A1 (en) Method and System of Indicating a Condition of an Individual
CN101524267A (zh) 用于检查个人身心健康的综合评测系统及方案
KR20050079235A (ko) 아동성장발육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3648373A (zh) 个人健康数据采集
CN108597621B (zh) 基于中医理论的健康状态监控装置、系统及方法
KR101772279B1 (ko) 사용자의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심리검사의 왜곡도 보정방법
CN109313931A (zh) 用于提供与医学检查有关的反馈的系统、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JP2018206055A (ja) 会話記録システム、会話記録方法およびケアサポートシステム
CN115862868A (zh) 心理测评系统、平台、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7363226B2 (en) Psychosomatic diagnosis system
KR102458977B1 (ko) 정신 건강 진단 시스템
KR20060062378A (ko) 맥박을 이용한 이성간 호감도 측정 방법 및 장치
WO2017209134A1 (ja) 生体情報測定装置、生体情報の正当性判定方法、及び、生体情報の正当性判定プログラム
JP2003079602A (ja) 心身診断システム
CN110268480A (zh) 一种生物测定数据存储方法、电子设备及系统
JP7307507B2 (ja) 病態解析システム、病態解析装置、病態解析方法、及び病態解析プログラム
CN210052319U (zh) 手持式普通话训练器
JP2021058231A (ja) 認知機能推定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認知機能推定装置
US202401804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od pressure measurement, computer program product using th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