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752A - 활성촉매 오일필터 - Google Patents

활성촉매 오일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752A
KR20060059752A KR1020040100111A KR20040100111A KR20060059752A KR 20060059752 A KR20060059752 A KR 20060059752A KR 1020040100111 A KR1020040100111 A KR 1020040100111A KR 20040100111 A KR20040100111 A KR 20040100111A KR 20060059752 A KR20060059752 A KR 20060059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oil
oil filter
zeolite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홍
박정원
조은상
Original Assignee
박일홍
박정원
조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홍, 박정원, 조은상 filed Critical 박일홍
Priority to KR102004010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9752A/ko
Publication of KR20060059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1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 B01D27/142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having more than one filtering element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2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B01J20/04
    • B01J20/0233Compounds of Cu, Ag, A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활성촉매 오일필터는 가다/서다를 반복하는 과부하 상태의 자동차 엔진 작동과 무리한 변속기의 동작을 아주 부드럽고 미끄럽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오일의 기능과 성능을 유지하고 관리하는 활성 오일필터에 관한 것으로 - 분해촉매 기능의 제올라이트로 유해 오염물질(찌거기, 슬러지, 검댕)을 분해(cracking)하여 깨끗이하고, 흡수촉매 기능의 제올라이트로 수분을 수득 흡수 처리하여 오일의 윤활성을 향상시키고, 또 자석의 인력과 자화력 기능의 페라이트로 미세금속은 흡착하고, 오일분자는 상자성하며, 또 이온처리 기능의 은나노 이온촉매로 열피로 상태의 오일분자를 재 응집하고 활성하는 활성촉매 오일필터로써 - 순환하는 오일 중의 이물질을 분해(cracking)하여 오일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기능과 엔진 고열로 생성된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과 느슨해진 오일분자의 응집력을 회복시켜 주는 이온활성 기능이 구비된 활성촉매 오일필터(active catalyst of oil filter)이다.
활성촉매, 분해촉매, 흡수촉매, 이온촉매,

Description

활성촉매 오일필터 {active catalytic of oil filter}
도 1은 본 발명의 활성촉매 오일필터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상기 오일필터의 부분절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활성촉매 오일필터 110 - 하우징(housing)
112 - 속망(center tube) 200 - 여과지
자동차의 피는 오일(엔진오일, 기어오일)이다. 피를 깨끗하게 관리하고 유지하는 인체의 신장과 같은 기능의 자동차 부품이 오일필터 이다. 날로 발전되는 기술로 최첨단화 되어가는 정밀 엔진과 변속기는 종래의 정화기능 오일필터 만으로는 자동차의 피와 같은 오일의 기능과 성능을 장시간 유지할 수 없다. 사실은 오일 첨가제 보다 오일의 기능과 성능을 장시간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의 활성 오일필터가 최첨단의 엔진과 변속기에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부품이다.
종래 오일필터는 오일의 이물질 찌거기만 길러주는 정화기능의 필터이다.
하지만, 정화기능의 이물질 제거만으로는 세밀하고 정밀하게 발전되는 엔진 과 변속기의 장치들이 제 기능과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에는 역부족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엔진은 수백개의 움직이는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개개의 부품은 오일필림 즉 유막에 쌓여 서로 분리된 상태로 동작되어야 한다. 만일 유막이 없이 두 개의 부품이 서로 맞닿아 미끄럼 운동이나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면 금속대 금속의 접촉으로 인하여 심한 마모를 일으키게 되고 이는 결국 금속 융착에 의한 소부 현상과 함께 미세금속 발생 및 산화수분 슬러지를 생성하게 된다.
한 번 발생한 미세금속 유해물질은 엔진을 분해 수리하지 않고는 제거할 수 없는데, 이는 미세금속 유해 물질이 나노 크기 만큼 작고 미세하기 때문에 새 오일로 오일을 교환하여도 제거되지 않고 오일팬에 잔류하였다가 엔진 시동 때 순환하는 오일과 함께 기동하여 유동(流動)하기 때문이다.
오일이 갖는 기능과 성능을 알아야 오일의 품질을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오일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복합기능의 오일필터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오일의 첫 번째 기능은 금속대 금속의 접촉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두껍고 강한 유막을 형성하는 것이고, 두 번째 기능은 서로 맞대어 움직이는 부품들간 마찰을 줄여주는 것이며, 세 번째의 기능은 엔진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열을 식혀주는 냉각 역할이다. 특히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의 5 ~ 10 %는 코넥팅 로드, 메탈베아링, 캠샤프트 및 피스톤 링과 같이 밀착하여 움직이는 엔진부품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마찰열 이다.
이러한 부품들은 열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녹, 부식 그리고 기타 슬러지 및 유해 퇴적물(수분, 카본, 검댕)에도 민감한 부품들로써, 오일의 기능과 성능이 변질되지 않아야 하고 또한 오일의 열피로 현상도 없어야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오일의 열피로는 오일 분자의 응집력을 저하시키고 윤활 및 활력을 상실하게 하는데 이는 연료 연소로 생성되는 물이 고열에 의하여 수증기로 기화하면서 피스톤의 미연소 연료와 탄화 찌거기를 열용해하여 오일에 침적되는 산화수분 슬러지를 만들기 때문이다. 섭씨 1,000도 전후의 엔진 고온에 의한 수증기 만으로도 오일은 열피로 상태가 되는데, 산화수분 슬러지까지 오일중에 용해되면 오일의 열피로는 급격하게 진행되고 품질이 변질되어 오일의 기능과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또, 오일에 함침된 이물질은 서로 맞대고 운동하는 두 금속의 표면을 감싸는 유체윤활의 오일필림 즉 유막과 극도의 압력과 하중을 지탱하는 극압막을 파단(破斷)한다. 이처럼 유해한 오일의 이물질에는 마모 미세금속, 수분, 탄화슬러지, 검댕(soot), 산화금속 피막이 용해되거나 침적되어 엔진내 모든 부품의 동작에 직, 간접적으로 간섭하는 트러블 요인이 된다.
최신 기술의 정밀한 엔진과 변속기에는 고품질의 윤활오일 만큼이나 오일에 용해되는 갖가지 유해 이물질을 통제하고 관리해 줄 수 있는 기능성 오일필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즉, 가장 바람직한 오일필터는 이물질을 분해(cracking)하여 오일분자를 깨 끗한 상태로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는 기능과 또 고온 고열로 생성된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과 또 열피로에 의해 느슨해진 오일분자의 응집력을 회복시켜 줄 수 있는 이온활성 기능이 함께 구비된 오일필터이다.
날로 증가하는 차량 매연 폐해를 단 1 % 라도 더 줄일 수 있는 기술의 오일필터가 바로 연료 소모도 적게할 뿐만 아니라, 도시환경 오염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오일필터이다. 이와 같은 기능과 성능의 오일필터를 사용하는 자동차 엔진만이 가장 이상적인 윤활상태의 오일이 유지되고 관리된다.
오일 윤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부족하지 않는데, 연료 사용의 가장 불합리한 사용으로는 정지한 차량이 출발하기 위해 저속기어 상태에서 연소하는 비효율성의 과연료 소모와 매연배출 이다. 피스톤의 미끄럼 운동 효율이 곧 매연 배출량과 연비 효율의 측도이며, 이는 오일의 윤활 성능으로 결정된다.
본 발명의 활성촉매 오일필터에서는 깨끗한 오일분자는 분해촉매를 통과하지만, 오일 중에 함유된 이물질은 베어라이트 상 알루미나 입자 코팅 표면의 결정질 제올라이트 촉매에 의하여 분해된다. 이와 같은 분해촉매 물질로 이용되는 제올라이트는 일찍부터 석유 정제 산업에서 사용하는 유동성 크랙킹(fluid catalytic cracking: FCC) 촉매 물질이다.
촉매는 통상적으로 제올라이트를 점토 및 활성 메트릭스 물질과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준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결합제 졸이 첨가되고 성분들은 수성 분산액으로 형성되고 이어서 건조된 후 선택적으로 하소되어 얻어진 다. 분해촉매 제올라이트는 70 ~ 80 중량 %의 제올라이트 및 알미늄 졸 또는 실리카 졸의 촉매입자형 물질이다. 촉매는 이온 교환기능을 갖는 광물의 결정형 3차원 알루미노실리게이트 이다.
촉매 입자의 결정 구조 단위는 하나의 규소 원자와 4개의 산소 원자 및 하나의 알루미늄 원자와 4개의 산소 원자로 구성되는 4면체 이다. 사면체는 파우자사이트를 형성하기 위해서 6각형의 프리즘에 의해 통합된 끝이 잘린 8면체를 형성하고, 파우자사이트의 각각의 반복 단위는 '단위 셀(unit cell : UC)' 이다.
각각의 개구를 둘러싸서 정의되는 8면체와 6각형 프리즘 사이의 접합부는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사면체의 정점에 위치한 산소 원자 이다.
따라서, 12개의 원자는 단위 셀 각각의 개구를 정의하고, 이러한 개구는 약 7 ∼ 9 Å 이다. 결과적으로 분해촉매 제올라이트는 파우자사이트의 3차원 결정 구조 8면체를 갖는 알루미노 실리게이트 이고, 12개 산소 원자가 위치하는 7 ∼ 9 Å의 단위 셀 개구와 접촉하는 오일 분자는 양이온 반응이 발생하고, 이때 오일 분자의 크기는 감소되며, 오일의 이물질은 오일 분자에서 떨어져 나가는 박리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의 분해촉매는 50 ∼ 100 나노 크기로 형성되는 제올라이트 촉매 이다. 이처럼 오일의 이물질을 분해(cracking) 할 수 있는 기능의 제올라이트 촉매 적용 만으로도 종래 오일필터와 비교할 수 없는 고품질의 오일 청정도를 유지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 엔진 시동시 1리터 연료가 연소되면 1리터 이상의 엄청난 양의 물이 생성 된다. 발생한 물의 대부분은 수증기 상태로 배출되지만 일부는 실린더 벽에 응 축되어 있거나, 피스톤링을 거쳐 크랭크케이스 안으로 혼입된다. 이러한 현상은 추운 겨울철에 엔진이 가열되기 전 까지 일어나는 자동차 기술의 미해결 된 연구과제 이다. 시동 때 자연 생성된 물이 고온과 고압으로 수증기가 되고, 수증기는 미연소 연료, 탄화찌거기, 검댕(soot)을 용해하여 오일에 침적되고, 이는 오일의 품질을 변질시키는 원인이 된다.
엔진의 치명적인 손상이 될 수도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화방지제등의 오일 첨가제가 출시되고 있으나, 첨가제 역시 시간에 따라 그 기능이 약화되고 상실되기 때문에 가장 바람직한 물(수증기) 처리는 촉매로 수득하여 흡수하는 방법이다. 이처럼 오일 중에 함침되어 있는 수분(수증기)을 수득하여 흡수할 수 있는 수분 흡수촉매 제올라이트는 비활성 물질의 점토와 혼합된 중합체 메트릭스 물질의 제올라이트 이다.
제올라이트와 중합되는 점토의 비중은 오일에 용해된 수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25 % 이상 이어야 하고, 중합체 매트릭스 물질은 고온 상태의 오일에서나 저온 상태의 오일에서 변형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내마모성을 갖어야 한다.
내성은 점토 및 결합제에 의하여 촉매 입자에 계속 존재되어야 한다.
수분 흡수촉매 제올라이트는 촉매 입자의 공극 크기와 혼합되는 점토의 비중에 따라 순환하는 오일에서 수득하고 흡수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결정 된다.
자동차 엔진에서 발생되는 수분은 엔진부품의 조기마모, 엔진소음, 매연배출 등의 원인으로 세계 유수 엔진오일 생산업체 연구실의 실험자료에서 입증되고 있다. 주행과 정지가 잦은 도시주행 환경은 저속기어를 움직여야 하는 엔진 작동의 연속되는 과부하 운전상태 이다. 아무리 좋은 오일이라도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무리한 주행에서는 오일의 열피로 현상과 변질을 막을수 없다. 이처럼 가혹한 엔진 구동이 요구되는 도시운행의 오일은 그 기능과 윤활성능을 유지하고 관리해 줄 수 있는 활성촉매 기능의 오일필터가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또, 엔진이 시동되면 오일은 엔진 각 부품에 마모와 소부(燒附)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금속대 금속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움직이는 모든 금속표면을 감싸고 윤활하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메탈 베어링과 실린더벽에 부착되는 오일의 막(膜)은 오일의 공급량과 부품의 움직임과 압력에 대단히 민감하므로 적절한 유동성을 가진 오일이 적당한 양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또 영하의 온도에서 오일의 신속한 순환성은 오일의 유동점(流動點)에 의하여 좌우 된다. 오일이 일단 작동 부위에 도달하게 되면, 오일은 윤활을 하고 작동되는 표면의 마모를 방지해 주는 극압막 기능도 하게 된다.
오일 기능 중에 작동하는 부품의 두 금속 표면이 서로 마찰되지 않도록 분리하는 유체윤활 기능과 높은 압력으로 무게를 지탱하는 극압막 형성 기능이 있고, 이는 매우 중요한 오일 기능이다.
오일의 유체윤활과 극압막을 파단(破斷)하는 미세금속을 강제수거 흡착 처리하기 위하여, 플럼바이트 구조의 페라이트 나노 자석분말을 오일필터(100) 하우징(110) 안쪽의 금속 표면에 도포하여 강자성 처리한다. 오일필터로 순환하는 미세금속의 오염물질은 필터 안쪽의 금속표면에 도포된 강자성 페라이트에 의해 강제 수거되어 흡착 된다.
또, 오일분자의 활성을 위하여, 필터 안쪽의 여과지(200) 일 면에 페라이트 자석의 나노 분말을 도포, 코팅 또는 바인더 처리하여 오일분자를 상자성 시킨다.
이처럼 미세금속을 수거하고, 오일분자를 상자성 처리하기 위한 강자성체의 페라이트는 2가의 양이온 금속 산화물과 3가의 철이 만드는 화합물 이다.
페라이트 자석 재료는, 육방정의 마그네트 플럼바이트 구조를 가지는 Sr페라이트(SrFe12O19)나 Ba페라이트(BaFe12O19)이고, 이들 페라이트는 산화철과 스트론튬(Sr)등의 탄산염을 원료로 분말 야금법에 의해 제조되는 나노 크기의 자성 물질이다. 우수한 페라이트 자석분말 제조를 위해 먼저 페라이트 가소체를 제조하고 이를 진동밀, 볼밀, 애트라이터를 이용한 미분쇄 공정에 의하여, 가소체를 미립자로 분쇄하여 분말 입자가 균일한 페라이트 자석 분말을 얻게된다.
오일필터(100) 안을 통과하는 오일 중에 함침된 미세금속 오염물질을 자력(당기는 인력)으로 흡착 처리하는 페라이트 자석 분말의 입도는 평균 15 ~ 30나노 미만이고, 오일 분자의 상자성 처리를 위한 페라이트 자석 분말의 입도는 평균 5 ∼ 20나노 미만 이다. 미세금속을 흡착 처리하는 입도 15 ~ 30나노 미만의 페라이트 자석 분말은 오일필터 하우징(housing)(110) 안쪽의 금속면 일 면에 도포하고, 오일 분자의 상자성 형성을 위한 입도 5 ~ 20 나노 미만의 페라이트 자석 분말은 오일필터의 여과지(200) 일 면에 도포 또는 코팅 처리한다.
또 다른 오일의 윤활 기능과 성능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은(Ag) 나노 입자를 고분자의 다공질 입자 표면 및 내부에 흡착한 은나노 이온촉매 이다. 촉매는 현탁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다공질 고분자의 입자에 은(Ag) 나노입자를 안정하게 흡착하여 제조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분산 안정제의 존재하에 개시제를 포함한 모노머 오일상을 분산시키고 현탁 중합하여 고분자 다공질 입자를 수득하는 단계와 도입된 관능기를 은(Ag) 나노 입자가 흡착 가능한 기능성기로 치환시키는 단계를 거쳐 환원시킨 은(Ag) 나노입자를 계면활성제 존재하에 / 고분자 다공질 입자의 표면 및 내부에 흡착시켜서 고분자 _ 은(Ag)나노 촉매를 수득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 오일의 윤활을 활성시키는 은나노 이온촉매 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은(Ag)나노 이온촉매는 오일의 제 기능과 윤활성능을 종래보다 장시간 동안 유지하고 활성화 한다. 이는 오일이 이온촉매의 공극과 입경을 접촉하고 통과 할 때 느슨하고 열피로 한 양이온의 오일 분자를 이온화(ion exchange)하고 응집하여, 결속하기 때문이다. 은(Ag)나노 이온촉매는 오일필터(100) 여과지(200)의 일 면이나 또는 강제 배출되는 오일필터의 오일 토출구 금속속망(112) 일 면에 도포, 또는 바인더 처리로 적층된다.
특별히 강조하는 본 발명의 기능성 촉매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나노기술에 의한 다양한 촉매물질의 발견과 연구로 한 가지 촉매에 2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능의 촉매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오일필터도 복합기능의 촉매 사용으로 제조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복합기능의 촉매는 분해촉매 제올라이트를 담체로 하고, 수분흡수 점토와 페라이트 나노 자석분말과 이온활성의 은나노를 현탁 중합하여, 담체의 제올라이트 공극과 표면에 침적, 코팅 또는 함침하는 방법으로 복합기능의 촉매 제조가 가능하다.
또 다른 복합기능의 촉매로써는 2 가지 기능의 촉매를 한 촉매로 중합하는 것으로 분해촉매 제올라이트와 수분 흡수촉매 물질의 점토 또는 실리카, 알루미나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흡착, 침적, 코팅, 함침하는 방법의 중합촉매 제올라이트 이다.
또, 페라이트 나노 자석분말과 이온활성의 은나노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중합하여 되는 중합촉매 제올라이트 이다.
본 발명의 오일필터는 이처럼 4 가지 기능이 복합된 복합기능의 촉매를 사용하는 오일필터 이든지 또는 2 가지 기능이 한 촉매가 되는 중합기능의 두 촉매를 사용하는 오일필터 이든지 또는 한 촉매가 한 가지 기능을 갖는 4 개의 촉매로 되는 활성촉매 오일필터 이다. 복합기능의 활성촉매 이나, 중합기능의 활성촉매이나, 개개 기능의 활성촉매 이나, 다양한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기능과 성능을 갖는 활성촉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3 종류의 활성촉매는 오일필터(100) 안쪽의 모든 금속면(110)(112), 여과지(200)의 양면, 여과지(200)와 여과지(200) 사이의 공간부위에 활성촉매가 고정되고 위치한다. 활성촉매 고정은 코팅, 도포, 함침, 적층과 바인더 처리 이다. 이상 상기 전술한 내용과 같은 본 발명의 활성촉매 오일필터는 오일의 제 기능을 유지하고 관리하며, 또한 오일의 윤활 성능을 활성화 하는 기능까지 구비한 활성촉매 오일 필터(active catalyst of oil filter)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오일필터(100)는 분해축매와 흡수촉매와 흡착물질과 이온촉매를 사용하여 / 순환하는 오일(엔진오일, 기어오일) 중의 이물질을 분해 (cracking)하고, 수분을 흡수하며, 미세금속을 흡착하고 또, 오일분자를 상자성화 하고 이온화 하여 / 오일의 제 기능과 성능을 유지하고 관리하며 또한 오일의 윤활을 활성하는 활성촉매 오일필터 이다.
분해촉매의 알루미노 실리게이트는 오일 중의 이물질을 미세다공 제올라이트(microporous zeolite)의 양이온 반응과 입경 크기와 공극 체적의 변형으로 이물질을 오일 분자로부터 박리시켜 분해(cracking) 처리한다.
분해촉매는 오일의 점도 및 청정도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기능성 촉매로 오일 품질을 변질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점토와 혼합된 메트릭스 물질의 결정질 제올라이트 흡수촉매는 오일 중에 생성된 수분과 수증기를 촉매반응으로 분해, 처리하여 오일의 기능과 성능을 유지하고 관리한다.
또, 플럼바이트 구조의 페라이트 자석분말은 오일 중의 미세금속은 강제 수거 흡착하고, 열피로 상태의 오일분자는 상자성 하여 오일 분자의 결집력을 향상시키고, 오일의 기능과 성능을 유지하고 관리한다.
또, 고분자 다공질 입자 담체에 은나노가 흡착된 이온촉매는 시동과 함께 순환하는 오일의 유체윤활 기능, 극압막 기능, 윤활 성능을 최적화 하기위해 열피로 상태의 오일분자를 이온 교환하고, 활성 시킨다. 이와 같은 활성촉매 기능의 오일필터는 가다 / 서다를 짧은 거리에서 반복하는 도시 운행 자동차의 저속기어 사용과 무리한 엔진 동작을 아주 부드럽고 미끄럽게 운동할 수 있도록 최적의 오일 윤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고 관리해 준다.
뿐만 아니라, 신호등이 있는 곳마다 정차한 차량들이 출발하면서 뿜어내는 배출매연 감소와 과소모되는 연료절약, 엔진소음 감소, 경쾌한 겨울철 엔진 시동과 같은 활성오일_시너지 효과도 갖게 된다. 이는 피스톤을 비롯한 모든 엔진 부품의 미끄럼 효율이며, 저단 변속기 동작의 보조 동력이 되는 것이다.

Claims (6)

  1. 활성기능의 자동차 오일필터에 있어서, 분해촉매 제올라이트와 수분 흡수촉매 제올라이트와 나노 자석분말과 이온촉매를 오일필터(100) 안쪽의 금속면(110)(112), 여과지(200)의 양면, 여과지와 여과지 사이의 공간 부위에 위치하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촉매 오일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해당 분해촉매 제올라이트는 알루미노 실리게이트 이고, 수분 흡수촉매 제올라이트는 점토와 혼합된 메트릭스 물질의 결정질이고, 금속흡착 물질의 자석분말은 플럼바이트 구조의 페라이트 이며, 이온촉매는 고분자 다공질 입자 담체의 은나노이고, 이들 촉매는 흡착, 침적, 코팅, 함침의 방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촉매 오일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해당 분해촉매 제올라이트를 담체 촉매로 하여, 점토와 페라이트 나노 자석분말과 은나노를 현탁 중합하고, 이를 담체 촉매 제올라이트의 공극과 표면에 침적 또는 코팅한 복합기능의 촉매를 특징으로 하는 활성촉매 오일필터.
  4. 제 1항에 있어서, 2 가지 기능의 촉매를 한 촉매로 중합하는 것으로 분해촉매 제올라이트와 점토 또는 실리카, 알루미나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침적 또는 흡 착하는 방법의 중합촉매와 또, 페라이트 나노 자석분말과 은나노를 현탁 중합하여 침적하는 방법의 중합촉매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촉매 오일필터.
  5.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에 있어서, 해당 촉매의 적층(積層) 위치는 오일필터(100) 안쪽의 금속면(110)(112)이나, 여과지(200)의 양면, 또는 여과지와 여과지 사이의 공간 부위에 적층되고,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촉매 오일필터.
  6. 제 1항, 제 2항, 제 3항, 제 4항에 있어서, 해당 촉매의 필터내 고정은 코팅, 도포, 함침, 적층, 바인더 처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촉매 오일필터.
KR1020040100111A 2004-11-29 2004-11-29 활성촉매 오일필터 KR20060059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111A KR20060059752A (ko) 2004-11-29 2004-11-29 활성촉매 오일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111A KR20060059752A (ko) 2004-11-29 2004-11-29 활성촉매 오일필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263U Division KR200387135Y1 (ko) 2004-11-29 2004-11-29 활성촉매 오일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752A true KR20060059752A (ko) 2006-06-02

Family

ID=3715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111A KR20060059752A (ko) 2004-11-29 2004-11-29 활성촉매 오일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97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974B1 (ko) * 2007-03-20 2008-10-30 주식회사 한일그린텍 은이 담지된 다공성 복합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974B1 (ko) * 2007-03-20 2008-10-30 주식회사 한일그린텍 은이 담지된 다공성 복합흡착제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6125B2 (en) Materials, filters, and systems for immobilizing combustion by-products and controlling lubricant viscosity
CA2609318C (en) Materials and processes for reducing combustion by-products in a lubric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2574680C (en) Improved catalyzed soot filter
UA81310C2 (uk) Спосіб очищення рідких середовищ
EA014127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дизельного двигателя
WO2012074947A1 (en) Sorbent for removal of a contaminant from a fluid
JP5542289B2 (ja) オイル添加物およびオイルフィルター
US20070217978A1 (en) Minimization Of Pah Emissions During The Regeneration Of Particles Filters
EP0873774B1 (en) Oil filter not using filter paper but using permanent magnets
JP2014501302A (ja) 潤滑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JP6570450B2 (ja) 多孔質触媒ウォッシュコート
KR20060059752A (ko) 활성촉매 오일필터
KR200387135Y1 (ko) 활성촉매 오일필터
Rodvanna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shes deposited on a wall flow diesel particulate filter of compression ignition engine
JP6236593B1 (ja) 金属摩耗修復剤
CN202132084U (zh) 旋装可拆双重深层过滤机油燃油滤清器
US20120223017A1 (en) Oil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porous membrane
Deng et al. Using magnetite/zirconium-comodified attapulgite as a novel phosphorus (P) sorbent for the efficient removal of P and the adsorption mechanism allowing this effect
Dragne et al. Experiments in use of bentonite for energy recovery of used oils
Choi et al. Effects of hydrothermal aging on SiC-DPF with metal oxide ash and alkali metals
WO2012157955A2 (en) Oil pu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porous membrane
Majano et al. Mineral oil regeneration using selective molecular sieves as sorbents
Yang et al. Interaction of Na, K, and Fe with porous cordierite at elevated temperatures
EP2595725A1 (en) Flow-through substrat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RU2179270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покрытия на трущихся поверхностя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