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325A - 이동통신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325A
KR20060058325A KR1020040097310A KR20040097310A KR20060058325A KR 20060058325 A KR20060058325 A KR 20060058325A KR 1020040097310 A KR1020040097310 A KR 1020040097310A KR 20040097310 A KR20040097310 A KR 20040097310A KR 20060058325 A KR20060058325 A KR 20060058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value
nonvolatile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8325A/ko
Priority to CNB2005100806663A priority patent/CN100389624C/zh
Publication of KR20060058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하드 코딩을 수행하는 경우 하드코딩의 수행여부를 판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변경에 대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복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들의 갱신이 있는 경우 기 저장된 MIN 값에 의해 이동통신 사업자를 식별한 후 기 저장된 MIN 값, 특히 MIN2값이 이동통신 사업자의 MIN 특히 MIN2 값이 아닌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의 변경을 근원적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MIN, 불법복제, 하드코딩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Illegal copy prote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종래 기술에서의 이동통신 복제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PC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블록구성도이고,
도2는 상기 도1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3은 본원발명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MSM
12 : 저장부 13 : 키입력부
14 : 표시부 20 : PC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하드 코딩을 수행하는 경우 하드코딩의 수행여부를 판단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변경에 대하여 인증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복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이동통신시스템의 발달과 더불어 발달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통신 및 문자메시지의 전송은 물론, 에이오디(AOD), 브이오디(VOD) 서비스, 전자결제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진촬영 기능, MP3플레이어의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에서 현저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발전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성되는 카메라, MP3플레이어 등의 고가 부품이 추가됨으로써 그 가격이 상당히 고가인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조시에 각각의 특수번호가 부여된다. 이것은 제조 일련번호와는 또 다른 전자일련번호로서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또는 헥사 코드(HEXA CODE)라고 한다. 제조회사는 전화기를 제조하고 판매하고자 하는 나라의 해당 서비스 회사에 이 ESN을 등록시킨다. 따라서 휴대폰을 이동통신회사에 등록시키거나 기기변경을 할 때는 전화기의 제조회사명, 모델명, 기기 일련번호만을 기록하게 되어 있다. 그러면 이미 컴퓨터에 등록된 헥사 코드를 찾아 등록이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을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하게 되면,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동일한 번호를 가지고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복제한다고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의 과정을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복제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제어소프트웨어가 탑재된 PC(20)를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킨 후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소프트웨어를 PC에서 구동시킨다(S1).
그러면, 구동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소프트웨어는 접속된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인식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12)에 저장된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입출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소프트웨어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과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MSM(11)이 저장부(12)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부여된 ESN코드와 전화번호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새로운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이미 사용 중인 ESN과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이미 사용중인 것과 동일한 전화번호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복제할 수 있게 된다(S2).
상술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복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등록 비용 및 매월 나오는 기본료와 전파사용료를 별도로 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가 불법적으로 이동통신 망의 전파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방식에 따라 일부에서는 분실된 휴대폰을 습득하는 경우 이를 주인에게 찾아주지 않고 자신의 사용전화번호 또는 사용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ESN(Electrical Serial Number)과 전화번호를 불법 복제하여 사용하거나, 아니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불법 복제하는 업자에게 습득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파는 불 법을 저지르기도 한다.
또한, 동일국가에서 다수의 사업자가 있는 경우 요금이 저렴한 사업자의 단말기를 구입한 후에 타 사업자로 불법으로 전환하는 가입자가 다수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업자가 타 사업자 전환방지를 요구하고 있으나 블법 전환하는 사용자들이 개발자가 가지고 있는 툴(tool)과 유사한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불법 전환을 방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하고, 분실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다른 사람이 복제하여 사용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복제 방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들의 갱신이 있는 경우 기 저장된 MIN 값에 의해 이동통신 사업자를 식별한 후 기 저장된 MIN 값, 특히 MIN2값이 이동통신 사업자의 MIN 특히 MIN2 값이 아닌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의 변경을 근원적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달성된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불법 복제 방지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 의 이동통신 사업자 MIN정보를 하드코딩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갱신을 위한 MIN 값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MIN 값이 상기 제1과정에 입력된 이동통신 사업자의 MIN정보인 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MIN 값이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MIN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정보갱신을 차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MIN 값이 기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시업자의 MIN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MIN 값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갱신을 위한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MIN값은 MIN1 값 또는 MIN2 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원발명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복제 방지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먼저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NV memory : non volatile memory)에 이동통신 사업자의 MIN을 하드 코딩으로 저장한다(S1).
이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MSM)(11, 도1참조)는 외부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업데이트, 정보 갱신 등을 위하여 PC 등을 이용하여 MIN 값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되는 지를 판단한다(S2).
S2과정의 판단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갱신을 위한 MIN 값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의 처리과정을 종료한다. 이와 달리, S2과정의 판단 결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갱신을 위한 MIN 값이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기 저장된 MIN 록 함수(MIN_LOCK FUNCTION)를 구동한다(S3). 상술한 MIN록 함수는 본원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NV 아이템들의 쓰기 기능에 인증하는 것으로서, S1과정에서 하드 코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MIN값과 새로이 입력된 MIN 값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쓰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서로 다른 경우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의 쓰기 기능을 차단하도록 동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S3과정에서 구동된 MIN록함수는 새로이 입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 값과 S1과정에서 하드코딩되어 저장된 MIN값이 동일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MIN 값인지를 비교한다(S4).
S4과정의 비교 결과 새로이 입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 값과 S1과정에서 입력된 MIN 값이 동일한 사업자의 MIN 값이 아닌 경우에는 MIN록 함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링의 쓰기 기능을 차단하여 기존에 입력된 값들이 계속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를 차단한다(S5).
이와 달리 S4과정의 비교 결과 새로이 입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MIN 값과 S1과정에서 입력된 MIN 값이 동일한 사업자의 MIN 값인 경우에는 MIN 록 함수는 새로이 입력되는 MIN 값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S6).
다음으로 기존 개발 방식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위해서 새로이 입력되는 ESN 등의 값들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으로서 본원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의 처리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제를 위해 입력되는 값들을 동일사업자의 정보인지를 미리 판단하여 동일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한 정보 입력이 아닌 경우 정보 입력을 차단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 사업자 MIN정보를 하드코딩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 입력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갱신을 위한 MIN 값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MIN 값이 상기 제1과정에 입력된 이동통신 사업자의 MIN정보인 지를 판단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MIN 값이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의 MIN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의 정보갱신을 차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판단 결과, 상기 MIN 값이 기 저장된 상기 이동통신 시업자의 MIN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MIN 값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갱신을 위한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N 값은 MIN1 또는 MIN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
KR1020040097310A 2004-11-25 2004-11-25 이동통신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 KR20060058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310A KR20060058325A (ko) 2004-11-25 2004-11-25 이동통신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
CNB2005100806663A CN100389624C (zh) 2004-11-25 2005-07-06 移动通信终端的防非法复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310A KR20060058325A (ko) 2004-11-25 2004-11-25 이동통신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325A true KR20060058325A (ko) 2006-05-30

Family

ID=3677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310A KR20060058325A (ko) 2004-11-25 2004-11-25 이동통신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58325A (ko)
CN (1) CN100389624C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4787A (en) * 1994-11-07 1996-05-08 Motorola Israel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loning
CN1060006C (zh) * 1996-02-09 2000-12-27 刘杰 移动电话防盗码方法
US6223290B1 (en) * 1998-05-07 2001-04-2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the fraudulent use of a cellular telephone
JP2002185579A (ja) * 2000-12-08 2002-06-28 Nec Corp 携帯電話端末のアプリケーションバックアップ方法
US20030061488A1 (en) * 2001-09-25 2003-03-27 Michael Huebler Cloning protection for electronic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9624C (zh) 2008-05-21
CN1780447A (zh)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19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emergency access to network devices
US7487547B2 (en)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protection program
US8639627B2 (en) Portable digital rights for multiple devices
DK1479187T4 (en) MANAGEMENT OF ACCESS LEVELS IN PHONES USING CERTIFICATES
US20080222368A1 (en) Updating Memory Contents of a Processing Device
WO2007129081A1 (en) A method of provid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for music content by means of a flat-rate subscription
CN102483778A (zh) 对移动设备应用的有效访问
JP4142287B2 (ja) 通信端末、コンテンツの使用制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の実行制限方法
CN104683299A (zh) 一种软件注册的控制方法、认证服务器及终端
KR10058414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
KR2006005832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
GB2425193A (en) Method for updating the software in a processor unit
EP2652661A1 (en) Method for changing an operating mode of a mobile device
KR20090048000A (ko) 휴대 기기에 대한 프로그램 설치 인증 방법 및 시스템,휴대 기기에 대한 프로그램 실행 인증 방법
WO2004054306A1 (ja) 携帯電話機、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4470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 프로그램의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사용권한 제한방법
KR1006316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처리 방법
WO1997029601A1 (fr) Systeme de prevention de la reproduction du numero d'un abonne de telephone mobile
KR100351875B1 (ko) 이동 단말기의 고유 번호 복제 방지 방법
KR100619709B1 (ko) 피디에이 타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
US84434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llegal reuse of digital right management content in portable terminal
KR10060677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제한 설정 방법
KR10042163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프로그램의 복제방지방법
KR20090059346A (ko) Otp 영역을 이용한 imei 복제 방지 기능을 갖는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217827A (ja) プレーヤ端末及びコンテンツデータ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