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386A -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386A
KR20060057386A KR1020040096530A KR20040096530A KR20060057386A KR 20060057386 A KR20060057386 A KR 20060057386A KR 1020040096530 A KR1020040096530 A KR 1020040096530A KR 20040096530 A KR20040096530 A KR 20040096530A KR 20060057386 A KR20060057386 A KR 20060057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user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8195B1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8195B1/ko
Priority to CNA2005100766878A priority patent/CN1780329A/zh
Publication of KR20060057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 수신여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음성메시지를 청취하는 경우 메시지를 송신한 자에게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대방이 남긴 문자/음성 메시지 등을 확인한 경우 상대방이 이를 자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대방이 사용자에게 꼭 연락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불필요하게 계속적으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남길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도 별도로 회신을 할 필요가 없어 그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메시지 확인신호

Description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of Transferring Message Recognizing Signal and the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가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가 도시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20 : 표시부
30 : 통신모듈 40 : 메모리
50 : 마이컴 51 :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
52 : 킷값처리부 53 : 디스플레이 제어부
54 : 메시지확인 판단부 55 : 자동송신부
56 : 확인신호 송신선택부 57 : 수동송신부
본 발명은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대방이 전송한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 확인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서 상대방이 불필요하게 전화를 계속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메시지 확인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자나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패드 등으로 구성되는 키입력부(1)와,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 및 숫자 등이 디스플레이되는 액정화면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2),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부와 통신/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3) 및 상기 키입력부(1)와 표시부(2), 통신모듈(3)을 제어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전반을 제어하는 마이컴(4)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마이컴은 상기 표시부(2)를 통해 메모리(5)에 저장된 문자메시 지를 출력함으로서 사용자가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만일 사용자가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음성메시지가 저장된 음성사서함에 접속함으로서 사용자가 음성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키입력부(1)를 통해 입력된 킷값은 킷값처리부(6)를 통해 처리되며,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2)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7) 및 상기 킷값처리부(6)와 연결되는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8)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7)를 통해 상기 표시부(2)에 문자메시지 등이 출력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에도 상대방이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상대방은 중요한 연락을 해야 하는 경우 연속적으로 전화를 하거나 메시지를 남길 수 밖에 없다.
또한, 메시지를 확인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도 문자를 확인한 후 수신여부를 확인시켜 주기 위하여 수동적으로 상대방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야 하는데 단순히 수신확인만을 위하여 별도의 메시지를 작성하고 전송시키도록 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편을 가중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한 경우 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이 이를 자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대방이 계속해서 메시지를 보낼 필요가 없는 동 시에 사용자도 별도로 상대방에게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지 않아도 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징에 따르면,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 수신여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음성메시지를 청취하는 경우 메시지를 송신한 자에게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메시지가 확인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메시지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메시지와 함께 전송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음성메시지가 확인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음성메시지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음성메시지와 함께 상대방 전화번호가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상대 방 전화번호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음성메시지가 수신된 시각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된 발신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송신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문자 또는 숫자 등 각종 명령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로 구성되는 키입력부(10)와, 상기 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입력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행하는 서비스 관련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액정화면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최근에는 PDA 폰 등의 도입으로 상기 키입력부(10)와 표시부(20)는 터치패드 형식으로 일체형 구현 가능한 바, 본 발명은 이러한 PDA 폰 등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무선통신 함으로써 전화통화가 이루어지게끔 하거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모듈(30)과,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거나 상기 통신모듈(3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임의에 입력한 전화번호부 목록이나 개인일정 등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40)는 사용자가 송수신하는 문자메시지가 저장되거나 수신하는 음성메시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시지 저장부(4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만일 사용자가 발신자표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 발신번호가 저장되는 발신번호 저장부(42) 역시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을 제어하는 동시에 키입력부(10) 및 표시부(20)를 제어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마이컴(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마이컴(50)은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는 바, 전화통화 시 또는 데이터 송수신 시 상기 통신모듈(30)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마이컴(50)은 사용자가 문자 또는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20)에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키고, 키입력부(10)를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입력 가능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키며, 실제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51)는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51)는 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마이컴 내부에서 처리가능하도록 변환/처리하는 킷값처리부(52) 및 표시부에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바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53)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부(20)에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메시지 확인창이나 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선택하면 상기 킷값처리부(52)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출력할 메시지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컴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였는지 판단하는 메시지확인 판단부(5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만일 상기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51)를 통해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메시지확인 판단부(54)와 연결된 자동송신부(55)는 메시지 확인신호가 문자메시지를 전송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50)을 제어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 저장부(41)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한 경우 문자메시지 송신 시 자동적으로 상대방이 회신받기를 원하는 전화번호가 문자메시지와 함께 저장되는 바, 상기 자동송신부(55)는 문자메시지와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로 상기 메시지 확인신호가 송신되도록 한다.
그러나, 만일 사용자가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음성메시지와 함께 상대방이 회신받기를 원하는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사서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음성메시지를 청취하도록 한 후,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저장부(41)에 사용자가 확인한 음성메시지와 함께 저장된 전화번호로 상기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나, 만일 음성메시지를 남긴 상대방이 회신받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함께 전송하지 않은 경우 상기 메시지 저장부(41)에는 회신할 상대방 전화번호가 없게된 다.
이 경우, 상기 자동송신부(55)는 상기 메모리(40)에 구축된 발신번호 저장부(42)에 엑세스함으로서 음성메시지가 수신된 시각에 놓친 부재중 통화의 발신번호로 상기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함으로서 상대방이 음성메시지를 녹음한 후 설사 실수로 회신받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남기지 않은 경우에도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에 문자메시지를 남긴 경우 문자메시지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하겠으나, 만일 일반 유선전화를 통해 음성메시지를 남긴 경우 일반 유선전화를 통해서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없으므로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유선전화를 통해 메시지 송수신이 안된다 하더라도 기술적으로 구현 불가한 것은 아니며 단순히 지원이 안되는 것일 뿐이며,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다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와 메시지를 송수신 하듯 일반 유선전화와도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원리는 동일하며 따라서 훗날 유선전화에도 본 발명은 적용될 여지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자동적으로 무조건 메시지 확인 시 상대방에게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 가능하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컴(50)은 자동송신부(55) 대신 사용자에게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할 것인지 선택하도록 하는 확인신호 송신선택부(56)와, 상기 확인신호 송신선택부(56)로 사용자가 확인신호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입력한 경우에 한해 상대방으로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수동송신부(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자동송신부(55)와 상기 확인신호 송신선택부(56)/수동송신부(57) 상호 배타적이거나 의존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은 바 하나만으로도 외부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하는데 문제없으며, 설사 모두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축되어 있더라도 사용자는 자동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송신할 것인지 혹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송신할 것인지 설정함으로서 둘 중 하나만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확인신호 송신선택부(56)가 상기 표시부(20)를 통해 출력하는 화면이다. 상기 화면에서 확인신호 송신선택부(56)는 사용자가 확인신호를 송신하기를 원하는지 선택할 수 있고 만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수동송신부(57)는 상대방으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제1 단계에서 상대방이 전화통화를 시도하면(S1), 제2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전화를 수신할 수도 못할 수(S2)도 있는데, 만일 제2 단계에서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하면 제3 단계에서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므로(S3) 메시지 확인신호는 전송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제2 단계에서 사용자가 전화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제4 단계에서 전화를 건 상대방은 메시지를 남기거나 안 남길 수(S4) 있으며, 만일 남기지 않는 경우 그리고 사용자가 발신자 번호표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제5 단계에서 상대방의 발신번호만 상기 메모리에 저장(S5)된다.
한편, 상기 제4 단계에서 상대방이 만일 메시지를 남긴다면 제6 딘계에서 사용자는 메시지를 확인(S6)할 것이며, 제7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컴은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확인하는 혹은 음성메시지를 확인하는지 판단한다(S7).
만일 상기 제7 단계에서 사용자가 문자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제8 단계에서 마이컴은 사용자가 자동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S8)하고, 만일 자동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9 단계에서 상기 자동송신부를 통해 메시지 확인신호가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 즉 상대방이 회신받기를 바라는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한다(S9).
그러나, 만일 제8 단계에서 마이컴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가 설정된 것으로 확인한 경우, 제10 단계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 송신을 선택했는지 확인(S10)하고, 만일 송신을 선택한 경우 제11 단계에서 메시지 확인신호를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전화번호로 전송한다(S11).
한편, 상기 제7 단계에서 사용자가 음성메시지를 확인하는 경우 제12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컴은 사용자가 확인한 음성메시지에 상대방이 회신받기 를 바라는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S12)하고, 만일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8 단계로 복귀한다.
그러나, 만일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13 단계에서 사용자가 자동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정했는지 확인한다(S13). 그리고 만일 메시지 확인신호가 자동적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된 경우이면, 제14 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메시지를 남긴 자가 전화통화를 시도한 번호, 즉 음성메시지가 수신된 시각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발신번호로 제14 단계에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한다(S14).
한편, 사용자가 자동적으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겠다고 설정한 경우 제15 단계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 송신을 선택했는지 확인(S15), 송신을 선택한 경우 제14 단계로, 송신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 제11 단계로 복귀한다.
또한, 음성메시지를 남긴 상대방의 발신번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일 경우 메시지 확인신호는 바로 전송될 수 있으나, 만일 발신번호가 일반 유선전화일 경우 유선전화가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때에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 수신여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음성메시지를 청취하는 경우 메시지를 송신한 자에게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대방이 남긴 문자/음성 메시지 등을 확인한 경우 상대방이 이를 자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대방이 사용자에게 꼭 연락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불필요하게 계속적으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남길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도 별도로 회신을 할 필요가 없어 그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메시지 수신여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문자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음성메시지를 청취하는 경우 메시지를 송신한 자에게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부 실행 결과 메시지 확인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메시지확인 판단부와; 상기 메시지확인 판단부에서 메시지가 확인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메시지 확인신호를 자동 전송하는 자동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발신번호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송신부는 사용자가 청취한 음성메시지가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번호로 메시지 확인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메시지확인 유저인터페이스부 실행 결과 메시지 확인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는 메시지확인 판단부와; 상기 메시지확인 판단부에서 메시지가 확인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확인정보 송신선택부와; 상기 확인정보 송신선택부를 통해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을 선택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수동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를 건 상대방의 전화번호가 저장되는 발신번호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송신부는 사용자가 청취한 음성메시지가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발신번호 저장부에 저장된 발신번호로 메시지 확인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8.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메시지가 확인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메시지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메시지와 함께 전송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전송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 송신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과정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 송신을 선택한 경우에 한해 상대방 전화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10.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음성메시지가 확인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음성메시지가 확인됨에 따라 상기 음성메시지와 함께 상 대방 전화번호가 전송되었는지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상대방 전화번호가 전송되지 않은 경우 음성메시지가 수신된 시각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된 발신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가 송신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 송신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과정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신호 송신을 선택한 상기 발신번호로 메시지 확인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96530A 2004-11-23 2004-11-23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688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30A KR100688195B1 (ko) 2004-11-23 2004-11-23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CNA2005100766878A CN1780329A (zh) 2004-11-23 2005-06-13 传送消息确认信号的移动通信终端机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30A KR100688195B1 (ko) 2004-11-23 2004-11-23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386A true KR20060057386A (ko) 2006-05-26
KR100688195B1 KR100688195B1 (ko) 2007-03-02

Family

ID=3677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530A KR100688195B1 (ko) 2004-11-23 2004-11-23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8195B1 (ko)
CN (1) CN178032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237B1 (ko) * 2007-10-02 2009-02-24 (주)엠비즈코리아 이동통신단말기와 이의 제어방법
KR101462898B1 (ko) * 2008-03-11 2014-11-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메시지 읽음 확인서비스 단말기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311B1 (ko) * 2020-02-06 2022-05-06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메신저 서비스 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237B1 (ko) * 2007-10-02 2009-02-24 (주)엠비즈코리아 이동통신단말기와 이의 제어방법
KR101462898B1 (ko) * 2008-03-11 2014-11-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메시지 읽음 확인서비스 단말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8195B1 (ko) 2007-03-02
CN1780329A (zh)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128B1 (ko) 스케줄 관리 기능과 연동하여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위한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65479B1 (ko) 휴대 단말기의 스케줄 정보 제공 방법
US20060160530A1 (en) Silent radio communications
JP2011077909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メール送信支援方法
KR19990018666A (ko) 전화번호 원격 확인 방법
EP1739937B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providing a remind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688195B1 (ko)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US20080273673A1 (en) Handling of telephone calls
KR1004627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JP2009049675A (ja) 電話機
KR100547760B1 (ko) 부재중 전화에 대한 알람 신호를 제어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5049577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200785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채팅 방법
KR1005856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자동응답 서비스 방법
KR100681182B1 (ko) 최근 통화목록을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421958B1 (ko) 휴대폰의 사용자상태메시지 처리방법
KR10083462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숫자/문자 변환키 이용 방법
KR100690704B1 (ko) 휴대폰의 신호 전송방법
KR101045358B1 (ko) 위치확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18170B1 (ko) 에스엠에스메시지 개별전송기능이 구비된 에스엠에스 전화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437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에스엠에스메시지 전송방법
KR2005009422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20028965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KR20040032245A (ko) 발신자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휴대전화기
KR2006012976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