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374A -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374A
KR20060057374A KR1020040096518A KR20040096518A KR20060057374A KR 20060057374 A KR20060057374 A KR 20060057374A KR 1020040096518 A KR1020040096518 A KR 1020040096518A KR 20040096518 A KR20040096518 A KR 20040096518A KR 20060057374 A KR20060057374 A KR 20060057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cut
message
emoticon
symbo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908B1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9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5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축기호와 상기 단축기호에 맵핑(mapping)된 이모티콘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메시지 전송시 입력되는 메시지의 단축기호 포함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상기 단축기호를 해당 이모티콘으로 변환하여 이모티콘을 포함한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등록된 단축기호를 포함하여 메시지를 작성함으로서 상기 단축기호를 그에 맵핑(mapping)된 이모티콘으로 자동변환되도록 하여 메시지 작성시 이미티콘 삽입이 용이하고, 메시지 작성에 따른 소요시간이 감소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단축기호, 이모티콘

Description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nable to input graphic-character with short key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메시지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변환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기호로 설정 메뉴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
도 6 은 본 발명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기호 등록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마이컴 11: 입출력제어부
12: 식별기호 감지부 13: 메시지 코딩부
20: 메모리 21: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
30: 통신모듈 40: 키패드
50: 표시부
본 발명은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시지의 단축기호를 상시 단축기호에 맵핑되는 이모티콘으로 변환하여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여 이모티콘 입력이 용이한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음성통화를 통한 용건 전달 외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단문의 메시지를 전송하여 간단한 용건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단문메시지서비스(SMS)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송 가능한 용량이 제한적인 단문메시지서비스 외에도 다량의 문자 또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장문메세지서비스(LMS : Long Message Service)와 멀티미디어메세지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기능을 지원하게 되었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 멀티미디어파일, 이모티콘, 컬러문자 등의 멀티미디어데이터를 전송하는 멀티미디어메세지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기능 활용이 높아 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시, 컬러문자, 이미지, 이모티콘 등을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다수의 키조작을 통한 입력만이 가능하여 메시지작성에 따른 편의성이 저하되며, 소요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이모티콘의 경우에는 메시지 작성중 다단계에 걸친 입력메뉴를 통해 각각 목록을 확인하면서 원하는 이모티콘을 검색하여야 하므로 메시지 작성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력되는 메시지의 단축기호 사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단축기호를 맵핑되는 이모티콘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이모티콘 입력이 용이한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축기호와 상기 단축기호에 맵핑(mapping)된 이모티콘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메시지 전송시 입력되는 메시지의 단축기호 포함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상기 단축기호를 해당 이모티콘으로 변환하여 이모티콘을 포함한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메시지 전송시, 입력되는 메시지에 단축기호가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단축기호를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단축기호를 해당 이모티콘으로 변환하여 상기 메시지를 코딩하는 제 2단계와, 변환된 메시지를 미리보기하여 이모티콘 변환여부를 확인하고 전송하도록 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메시지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기호, 아이콘, 이미지 등의 이모티콘 및 상기 이모티콘에 대한 단축기호가 저장되는 메모리(20)와, 키버튼 조작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키패드(40)와, 상기 키패드(40)를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표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키패드(40)를 통해 입력되는 단축기호를 상기 메모리(20)에 저장된 이모티콘으로 변환하여 메시지를 코딩하는 마이컴(10)과, 상기 마이컴(10)에 의해 변환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신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패드(40)는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하여, 각 키버튼 조작시 상기 마이컴910)으로 신호를 인가하여 메시지 작성에 따른 문자를 입력하며, 상기 단축기호 설정을 위한 메뉴를 호출하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과, 그에 따른 설정을 저장하며, 상기 통신모듈(30)을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와, 상기 메시지에 삽입되는 이미지, 특수문자 등을 포함하는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21)를 저장한다.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21)는 특수문자, 이미지, 아이콘, 컬러문자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메시지 작성시 삽입되는 이미지 데이터인 이모티콘(21c)과, 상기 이모티콘(21c)에 맵핑(mapping)되는 단축기호(21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21)는 상기 키패드(40)를 통해 입력되는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상기 단축기호(21b)를 타 문자와 구별하는 식별기호(21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아이콘 또는 특수기호 등의 이모티콘(21c)에 대하여 각각 맵핑(mapping)되는 단축기호(21b)가 설정등록 됨으로서 상기 이모티콘(21c)이 다단계의 키조작 없이 빠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식별기호(21a)는 상기 단축기호(21b)를 타 문자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빈도가 낮은 문자 또는 기호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타 문자 또는 기호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기호(21a)는 한글모음 'ㅡ' 또는 특수문자'_'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 '\'등으로 설정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단축기호(21b)와 함께 사용되어 상기 마이컴(10)에 의해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축기호(21b)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2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기호(21a)가 한글모음 'ㅡ'로 설정되고, 상기 식별기호(21a)와 함께'ㄱ','ㄷ', 'ㅁ', 'ㅂ', 'ㅅ'등이 단축기호(21b)로 설정되어 상기 각 단축기호(21b) 'ㄱ','ㄷ', 'ㅁ', 'ㅂ', 'ㅅ'에 대하여 꽃, 달, 별, 하트 등의 이모티콘(21c)이 맵핑(mapping)되어 등록된다.
또한,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21)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별기호(21a)가 한글 'ㅡ' 외에도 특수문자 '_'등으로 변경 설정 가능하며, 상기 단축기호(21b) 또한 상기와 같은 한글자음 이외에도 영어 알파벳 등이 사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키패드(4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그에 따른 문자/숫자/기호 등을 입력하며, 상기 키패드(40)의 키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 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키패드(4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고, 그에 따른 메뉴 및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50)를 통해 출력하는 입출력제어부(11)와, 상기 입출력제어부(11)에 의해 입력되는 메시지의 단축기호 포함여부를 감지하는 식별기호 감지부(12)와, 상기 식별기호 감지부(12)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단축기호(21b)를 해당 이모티콘(21c)으로 변환하는 메시지 코딩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식별기호 감지부(12)는 상기 입출력제어부(11)에 의해 판독되어 입력되는 메시지에 단축기호(21b)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별하기위해 상기 메시지내의 식별기호(21a)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식별기호 감지부(12)는 식별기호(21a)로 설정된 특정 문자가 상기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식별기호(21a)와 함께 입력되는 문자를 단축기호(21b)로 판단하고 이를 상기 메시지 코딩부(13)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식별기호 감지부(12)는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21) 내에 설정 저장된 식별기호(21a)의 종류를 판독하여 설정된 식별기호(21a)에 따른 메시지 감지를 수행한다.
상기 메시지 코딩부(13)는 상기 식별기호 감지부(12)에 의해 단축기호(21b)로 판단된 문자에 대하여 상기 문자가 특정 이모티콘(21c)과 맵핑(mapping)되어 등록된 단축기호인지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21)로부터 단축기호 존재여부를 검색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코딩부(13)는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21)로부터 검색된 상기 단축기호(21b)에 대하여 맵핑된 이모티콘(21c)을 판독하여 상기 메시지의 단축기호(21b)를 해당 이모티콘(21c)으로 변환함으로서 초기 입력된 단축기호가 포함되는 메시지를 이모티콘이 삽입된 메시지로 코딩한다,
이때, 상기 입출력제어부(11)는 상기 메시지 코딩부(13)에 의해 변환된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50)를 통해 나타내어 상기 메시지 전송 전 미리보기를 통한 메시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21)를 사용한 메시지의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식별기호 감지부(1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패드(40)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입출력제어부(11)에 의해 판독된 메시지가 'ㅡㅂ', 'ㅡㅋ'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식별기호 'ㅡ'를 감지하여 단축기호 'ㅂ'과 'ㅋ'이 사용되었음을 판단한다.
상기 메시지 코딩부(13)는 상기 식별시호 감지부(12)에 의한 식별기호 감지결과에 따라 단축기호로 판단된 상기'ㅡㅂ' 및 'ㅡㅋ'에 대하여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21)를 검색하고 그에 맵핑(mapping)된 해당 이모티콘 별과 케익 이모티 콘을 판독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코딩부(13)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의 단축기호를 상기 검색/판독된 이모티콘과 변환하여 이모티콘이 삽입된 메시지로 코딩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단계의 키버튼 조작 없이도 자주 사용되는 이모티콘(21c)을 단축기호(21b)로 등록함으로서 메시지 내의 단축기호(21b)를 이미티콘(21c)으로 자동변환되도록 하여 메시지 작성 소요시간이 감소되고 작성에 따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변환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기호로 설정 메뉴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기호 등록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기 설정/등록된 단축기호를 포함하여 작성된다. (S1)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작성된 메시지내의 단축기호 포함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메시지내의 식별기호를 감지한다. (S2)
여기서 상기 식별기호는 상기 단축기호를 타 문자와 구별하기 위해 설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특정 문자 또는 기호이며, 한글의 단모음/단자음, 특수문자, 영어 알파벳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기호는 한글모음'ㅡ', 특수문 자 '_', '/'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로부터 식별기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단축기호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입력된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한다. (S8)
한편, 상기 메시지 내에 식별기호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식별기호와 함께 입력된 문자를 단축기호로 판단하고, 상기 단축기호를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 (S3)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축기호를 검색하여 동일한 단축기호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4)
여기서 상기 단축기호가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축기호 및 식별기호를 단축기호가 아닌 일반 문자로 인식하여 별도의 변환과정 없이 전송되도록 입력된 그대로 메시지를 보존한다. (S8)
한편, 동일한 단축기호가 검색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축기호에 맵핑(mapping)된 이모티콘을 판독한다. (S5)
이때, 상기 이모티콘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아이콘, 그래픽문자, 컬러문자, 특수문자 등의 데이터이다.
상기 판독된 이모티콘을 호출하고, 상기 메시지 내의 단축기호를 상기 이모티콘으로 변환하여 메시지를 코딩한다. (S6)
상기와 같이 이모티콘을 포함하도록 변환된 메지시를 화면을 통해 출력하여 미리보기를 수행한다. (S7)
상기와 같이 메시지 미리보기를 수행함으로서, 상기 단축기호에 대하여 적합 한 이모티콘의 삽입여부와 상기 이모티콘 삽입으로 가변되는 문자간의 간격, 미변환된 단축기호 존재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미리보기를 통해 변환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메시지 작성완료 여부를 선택입력받는다. (S8)
여기서 이모티콘이 잘못 삽입되거나, 글자 간격이 잘못 되거나, 미변환된 단축기호 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편집'키버튼 조작을 통해 상기 작성된 메지시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시지 작성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메시지 편집이 가능하도록 한다. (S1)
상기 메시지에 이모티콘이 삽입되어 메시지 작성이 완료되거나, 상기 메시지 편집 후 상기와 같이 단축기호를 이모티콘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메시지가 작성완료된 경우(S1 내지 S8)에는 상기 변환된 이모티콘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 상대방에게 전송하게 된다. (S9)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기호 등록방법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버튼 조작을 통해 단축기호 설정을 위한 메뉴가 화면에 표시된다. (S11)
상기와 같이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항목 중 새 단축기호 등록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에 따라 도 4b와 같이 사용할 단축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S12)
새 단축기호로 사용하고자 하는 문자 또는 특수기호 등을, 예를 들어 한글 모음 'ㄴ'또는 알파벳 'c' 등, 입력한다. (S13)
상기와 같이 입력된 문자 또는 특수기호와 동일한 단축기호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된 문자를 검색한다. (S14)
동일 문자가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설정할 새 단축기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이 재 표시되고, 새 단축기호로 사용될 문자를 재 입력받게 된다. (S13, S14)
상기 입력된 문자가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단축기호로 사용될 문자에 맵핑되는 이모티콘을 선택입력 받기 위한 화면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단축기호에 맵핑(mapping)하고자 하는 이모티콘을 키버튼 조작을 통해 검색하여 선택 입력된다. (S15)
상기 새 단축기호 및 그에 맵핑(mapping)되는 이모티콘이 선택되면 상기 단축기호 및 이모티콘을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한다. (S16)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축기호 설정이 화면상에 표시되어 단축기호가 등록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용하고자 하는 단축기호와 이모티콘을 맵핑(mapping)하여 등록함으로서 메시지 작성 시 단축기호를 사용하여 이모티콘 입력이 간편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다단계에 걸친 키버튼 조작없이도 등록된 단축기호를 포함하여 메시지를 작성함으로서 상기 단축기호를 그에 맵핑(mapping)된 이모티콘으로 자동변환되도록 하여 메시지 작성시 이미티콘 삽입이 용이하고, 메시지 작성에 따른 소요시간이 감소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단축기호와 상기 단축기호에 맵핑(mapping)된 이모티콘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메시지 전송시 입력되는 메시지의 단축기호 포함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상기 단축기호를 해당 이모티콘으로 변환하여 이모티콘을 포함한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이미지, 아이콘, 특수문자 등의 이모티콘과, 상기 이모티콘의 빠른 입력을 위해 상기 이모티콘과 맵핑(mapping)되는 단축기호와, 상기 단축기호와 타 문자를 구별하기위한 식별기호를 저장하는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입력되는 메시지에 단축기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단축기호를 구분하기위해 설정된 식별기호를 감지하는 식별기호 감지부와;
    상기 식별기호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단축기호를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단축기호를 해당 이모티콘으로 변환하는 메시지 코딩부와;
    상기 메시지 코딩부에 의해 변환된 메시지를 화면을 통해 나타냄으로서 메시지 미리보기를 수행하는 입출력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기호는 입력되는 다수의 문자 중 상기 단축기호가 사용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별도로 설정되어,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문자 또는 기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코딩부는 메시지로부터 식별기호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단축기호를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상기 단축기호에 맵핑(mapping)되는 이모티콘을 판독하여 상기 메시지를 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메시지 전송시, 입력되는 메시지에 단축기호가 사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단축기호를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단축기호를 해당 이모티콘으로 변환하여 상기 메시지를 코딩하는 제 2단계와;
    변환된 메시지를 미리보기하여 이모티콘 변환여부를 확인하고 전송하도록 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입력되는 메시지의 단축기호 사용여부를 판단하기위해 상기 메시지의 식별기호 포함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식별기호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단축기호를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제 1과정과;
    상기 검색결과에 따라 상기 단축기호가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단축기호에 맵핑(mapping)되는 이모티콘을 판독하는 제 2과정과;
    상기 메시지의 단축기호를 상기 이모티콘으로 변환하여 메시지를 재코딩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메시지 전송 전, 변환된 메시지를 화면을 통해 출력하여 미리보기를 수행하는 제 4과정과;
    상기 미리보기 결과에 따라 메시지 편집여부를 선택입력받는 제 5과정과;
    작성완료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6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사용빈도가 높은 이모티콘에 대하여 단축기호를 등록하여 상기 단축기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KR1020040096518A 2004-11-23 2004-11-23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12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18A KR100712908B1 (ko) 2004-11-23 2004-11-23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18A KR100712908B1 (ko) 2004-11-23 2004-11-23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374A true KR20060057374A (ko) 2006-05-26
KR100712908B1 KR100712908B1 (ko) 2007-05-02

Family

ID=37152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518A KR100712908B1 (ko) 2004-11-23 2004-11-23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2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256A (ko) * 2017-09-04 2019-03-13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문장부호 입력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221385A1 (ko) * 2018-05-16 2019-11-21 Kim Jin Wook 대화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978B1 (ko) * 2010-03-17 2012-01-25 임영택 이모티콘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256A (ko) * 2017-09-04 2019-03-13 주식회사 윤디자인그룹 문장부호 입력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9221385A1 (ko) * 2018-05-16 2019-11-21 Kim Jin Wook 대화용 애플리케이션의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2908B1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20994B2 (e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KR101806934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키 표시 방법
KR20100036375A (ko) 입력 장치
KR100640505B1 (ko) 검색된 전화번호에 대한 전화번호 연계 기능을 수행하는방법
US20110087996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help facility and associated method
US20100295791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haracter delivery method; and character temporary storage program product
US9152240B2 (en) Method for previewing output character and electronic device
US20100122213A1 (en) Method for assignment of shortcut key combinations utilizing numerical-shape association
KR100324634B1 (ko) 전화기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KR100712908B1 (ko) 단축기호를 이용한 이모티콘 입력 기능이 구비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WO2006028059A1 (ja) 感知キー入力装置
JP2007304966A (ja) 携帯端末装置
US8780049B2 (en) Alphabetic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EP1701242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word correction facility
US20070279255A1 (en) Character entry and display method for use with a keypad
KR20090065340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WO2006026075A2 (en) Entering a character into an electronic device
US200401272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for electronic messaging
KR100728677B1 (ko) 메모입력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80077797A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
KR1007959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JP3641145B2 (ja) 移動通信端末
EP1569072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improved help facility and associated method
KR100288379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전화번호부 검색 및 입력 방법
KR20030094811A (ko) 통신기기용 다국어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국어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