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365A -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365A
KR20060057365A KR1020040096509A KR20040096509A KR20060057365A KR 20060057365 A KR20060057365 A KR 20060057365A KR 1020040096509 A KR1020040096509 A KR 1020040096509A KR 20040096509 A KR20040096509 A KR 20040096509A KR 20060057365 A KR20060057365 A KR 20060057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hone number
mobile communication
sett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1946B1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1946B1/ko
Priority to CNA2005100854578A priority patent/CN1780320A/zh
Publication of KR2006005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6Sorting, e.g. according to history or frequency of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전화번호를 상기 단말기에 입력하는 데 있어서, 원하는 입력필드만 입력화면에 나타나도록 하여 신속하게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하고자 하는 필드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입력부와, 자체 내장된 기본 전화번호 입력필드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되어 외부로 나타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불필요한 입력필드가 나타나지 않아 전화번호를 보다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미에 맞는 전화번호 입력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화번호, 입력필드,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hone number input enable for user to set and its setting method}
도 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화면이 도시된 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 설정의 예가 도시된 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입력부 20: 제어부
21: 데이터 판독부 23: 출력제어부
24: 메모리
본 발명은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소정의 전화번호를 상기 단말기에 입력하는 데 있어서, 원하는 입력필드만 입력화면에 나타나도록 하여 신속하게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 또는 잊기 쉬운 이름이나 전화번호를 기억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전화번호부 기능을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소정의 입력과정을 통해 상기 단말기에 원하는 전화번호를 차례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번호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별도의 메뉴를 통해 구현하며, 메뉴키 및 다수 숫자키를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상기 입력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입력화면으로 이동하면, 상기 번호를 지칭하는 이름, 전화번호 등을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키패드의 키버튼을 차례로 누름입력함으로써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메뉴키 또는 확인키를 누름입력하여 입력된 전화번호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한다.
그러나,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술 발전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전화번호 입력도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화면이 도시된 도이다.
즉, 최근 출시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메뉴키 및 숫자키를 통해 전화번호 입력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화면에 나타나는 전화번호 입력필드는 기본적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이름, 입력하고자 하는 번호, 집 또는 사무실 등의 분류, 이메일 주소, 가족 또는 회사 등의 그룹설정 등 다양한 입력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단말기의 경우, 상기 전화번호에 사진을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아바타, 개인벨소리, 메모, 생일 등의 데이터를 각각 설정입력할 수 있는 필드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수 입력필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화면은 상기 다수 입력필드에 의한 전화번호 입력 데이터가 상기 단말기 자체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수행되므로, 상기 입력데이터 내에 설정되어 있는 다수의 입력필드의 추가/삭제/변경 등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 입력필드 중 일부 특정 입력필드에만 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상기 입력데이터의 입력필드가 모두 나타나게 되므로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보다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전화번호 입력필드를 선택 설정하고, 설정된 입력필드만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화번호 입력에 있어서, 입력하고자 하는 필드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입력부와, 자체 내장된 기본 전화번호 입력필드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되어 외부로 나타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설정방법은 메뉴키를 누름입력하여 전화번호 입력설정화면으로 이동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설정화면에 나타난 다수 입력필드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하는 제 2단계와, 제 2단계 후 메뉴키를 누름 입력하여 전화번호 입력화면으로 이동하면, 선택된 입력필드만 화면에 나타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그 결과가 외부로 나타나도록 하는 UI부(미도시)와, 상기 UI부를 통해 전달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시키고 수행결과를 상기 UI부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부(20)와, 이동통신망을 통해 타 단말기와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UI부는 상기 제어명령 또는 전화번호, 메모 등의 사용자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0)와,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0)는 다수의 숫자/문자키 및 기능키로 구비되는 키패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다수 키를 누름입력함으로써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통해 상기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력부(30)는 입력되는 데이터 또는 그에 따른 결과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단말기 생산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30)는 상기 출력데이터와 대응되며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소정의 음원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로 소정의 전화번호를 입력 및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출력부(30)는 상기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화번호 입력화면을 표시하게 되며, 상기 입력부(10)의 키버튼을 누름입력함으로써 상기 화면에 나타난 입력필드 중 해당되는 데이터를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0)는 전화번호 입력에 있어서, 입력하고자 하는 필드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30)는 입력필드 설정을 위한 전화번호 입력필드 설정화면을 표시하고 그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의 입력필드가 선택되면 이후로 나타나는 상기 전화번호 입력화면은 상기에서 선택된 입력필드만 나타낸다.
상기 UI부가 상기와 같이 동작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20)는 자체 내장된 기본 전화번호 입력필드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선택되어 외부로 나타나도록 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 데이터인지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21)와, 상기 전화번호의 입력필드 설정메뉴를 구현하고, 구현된 메뉴에 따라 입력된 입력필드 설정데이터에 따라 상기 입력필드가 외부로 나타나도록 하는 출력제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판독부(21)를 통해 전달된 제어명령 데이터에 따라 상기 단말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주제어부(22)와, 상기 데이터 판독부(21)를 통해 전달되는 제어명령, 사용자 데이터 등 다수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24)는 상기 주제어부의 동작이 제어되기 위한 다수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DB(미도시)와, 상기 데이터 판독부(21)를 통해 전달되는 전화번호, 주소, 일정, 메모 등의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사용자DB(24a)와, 상기 데이터 판독부(21)를 통해 입력된 벨소리, 알람 등의 동작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설정DB(2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 설정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며, 도 3b는 전화번호 입력설정에 따른 전화번호 입력화면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우선,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다수 키버튼 중 메뉴화면이 나타나도록 지정된 메뉴키를 누름입력한다.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나타난 메뉴상에서 전화번호부 입력설정 메뉴로 진입하기 위해 그에 대응하는 숫자키를 차례로 누름입력한다.
상기 전화번호부 입력설정 메뉴는 상기 메모리에 기본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기본 전화번호 입력데이터를 유지하여 적용하거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그 구성을 변경 및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메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을 위해 그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누름입력한다.(S1)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나타나는 전화번호 입력설정 화면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본 전화번호 입력데이터에 저장된 다수 입력필드를 표시한다.
표시된 다수 입력필드 상에 나타난 커서를 소정의 기능키를 이용하여 상하좌 우로 이동시키면서 선택하고자 하는 입력필드상으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나타난 가상의 기능키에 대응하는 키버튼을 누름입력함으로써 상기 커서가 이동된 입력필드가 선택되도록 한다.(S2)
상기의 입력필드 선택과정을 차례로 수행하여 원하는 입력필드의 선택과정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가상 기능키에 대응하는 키버튼을 누름입력함으로써 선택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S3, S4)
다음, 상기 메뉴키 또는 소정의 기능키를 누름입력하여 전화번호 입력화면으로 이동하면 상기 과정에서 선택된 입력필드만이 나타나게 된다.(S5)
나타난 입력필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차례로 입력하고 저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전화번호 입력시 원하는 입력필드만을 선택하여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은 다수 입력필드로 구성되는 전 화번호 입력화면에서 선택된 입력필드만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입력필드가 나타나지 않아 전화번호를 보다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구미에 맞는 전화번호 입력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화번호 입력에 있어서, 입력하고자 하는 필드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입력부와;
    자체 내장된 기본 전화번호 입력필드 중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되어 외부로 나타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화번호의 입력필드 설정메뉴를 구현하고, 구현된 메뉴에 따라 입력된 입력필드 설정데이터에 따라 상기 입력필드가 외부로 나타나도록 하는 출력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가 사용자 데이터 또는 제어데이터인지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부와;
    상기 데이터 판독부를 통해 전달되는 입력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메뉴키를 누름입력하여 전화번호 입력설정화면으로 이동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입력설정화면에 나타난 다수 입력필드 중 일부 또는 전체를 선택하는 제 2단계와;
    제 2단계 후, 메뉴키를 누름 입력하여 전화번호 입력화면으로 이동하면, 선택된 입력필드만 화면에 나타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제 1단계 후, 전화번호 입력화면에서 나타나는 이름, 그룹, 사진 등 다수 입력필드가 나열되는 과정과;
    특정의 기능키를 누름입력하여 원하는 입력필드를 차례로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키능키를 다시 누름입력하여 선택된 입력필드에 대한 설정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설정방법.
KR1020040096509A 2004-11-23 2004-11-23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 KR10070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09A KR100701946B1 (ko) 2004-11-23 2004-11-23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
CNA2005100854578A CN1780320A (zh) 2004-11-23 2005-07-20 具备可设定的号码输入功能的移动通信终端机及设定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09A KR100701946B1 (ko) 2004-11-23 2004-11-23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365A true KR20060057365A (ko) 2006-05-26
KR100701946B1 KR100701946B1 (ko) 2007-03-30

Family

ID=3677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509A KR100701946B1 (ko) 2004-11-23 2004-11-23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1946B1 (ko)
CN (1) CN178032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767B1 (ko) 2008-04-29 2010-10-08 주식회사 케이티 폰북 데이터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1946B1 (ko) 2007-03-30
CN1780320A (zh)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5717B2 (en)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mage on mobile terminal
KR1006823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US824922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al registration method and dial registration program therefor
KR20060042689A (ko) 인디케이터 아이콘의 위치지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411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핫키 실행 방법
JP2007274275A (ja) 携帯通信端末におけるメニュー項目表示方法及び携帯通信端末
KR100657497B1 (ko) 대기화면에서의 데이터 표시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01946B1 (ko)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전화번호 입력기능을 구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설정방법
KR100606784B1 (ko) 초기화면 메뉴 등록방법
KR20010110034A (ko)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KR20070005177A (ko) 단축키 설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6135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그룹 관리방법
WO2008041796A1 (en) Terminal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KR1007546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빠른 메뉴 진입 방법 및장치
KR100549922B1 (ko) 이동 전화 단말기의 전화 번호부 기능 구현 방법
KR100447877B1 (ko) 단축기능과 특수문자를 위한 아이콘을 생성하는 방법
KR100665815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통합검색/바로실행방법
JP2006005695A (ja) 携帯端末装置
KR100428851B1 (ko) 단축메뉴 설정방법
KR100690709B1 (ko) 휴대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JP2001257762A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で用いられる機能選択方法
KR100580066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20020011194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메뉴 선택 방법
KR10068819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방법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