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612A - Method for inputting korean language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putting korean language in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612A
KR20060056612A KR1020040095766A KR20040095766A KR20060056612A KR 20060056612 A KR20060056612 A KR 20060056612A KR 1020040095766 A KR1020040095766 A KR 1020040095766A KR 20040095766 A KR20040095766 A KR 20040095766A KR 20060056612 A KR20060056612 A KR 20060056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input
hangul
input method
ke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7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9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6612A/en
Publication of KR2006005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6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조사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면 단말기는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한글 입력 모드에서의 키패드 입력이 있으면 한글 코드로 변환하고 설정되어 있는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화면에 표시한다.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 가능한 한글 입력 방식을 나열하고 나열된 한글 입력 방식 중에서 하나의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면 단말기는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한글 입력 모드에서 화면에 현재의 한글 입력 방식에 따른 각 키패드에 할당된 한글 자모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A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selects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 manufacturer, the terminal maps and sets a key in the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In this state, if there is a keypad input in Hangul input mode, it is converted to Hangul cod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et Hangul input method. To set and map a key to the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list the selectable Hangul input methods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select one Hangul input method among the listed Hangul input methods, and the terminal maps the key to the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set it as a setting method. In addition, in the Hangul input mode,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Hangul alphabet assigned to each keypad according to the current Hangul input method.

제조사, 한글 입력, 이동 통신 단말기Manufacturer, Hangul input,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 {Method for inputting korean language in mobile phone} Korean input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inputting korean language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내부 구성도이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pping and setting keys in a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도 3은 설정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한글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Hangul in the set Hangul input method.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한 상태에서 한글 입력 모드에서의 키패드 입력이 있으면 한글 코드로 변환하고 설정되어 있는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 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specifically, when a keypad input in a Hangul input mode is set in a state in which a key is mapped and set in a Hangul input method selected by a user, the Hangul code is converted and s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현재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조사마다 다른 한글 입력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만약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변경할 때 기존에 사용하던 단말기의 제조사와 다른 제조사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 변경하게 되면, 기존에 익숙해 있던 한글 입력 방식과 다른 한글 입력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해야 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implemented using different Hangul input methods for different manufacturers. Therefore, if the user chang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 manufacturer and a different manufacturer of the existing terminal, it is necessary to enter the Hangul using a different Hangul input method than the Korean input method used in the past. There is a problem with discomfo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한 상태에서 한글 입력 모드에서의 키패드 입력이 있으면 한글 코드로 변환하고 설정되어 있는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f there is a keypad input in the Hangul input mode in the state set by mapping the key to the Hangul input method selected by the user, the Hangul input method is converted to the Hangul code and is set.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orean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ed on a scree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조사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면 단말기는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하는 제 1단계와 한글 입력 모드에서 키패드 입력이 있으면 한글 코드로 변환하고 설정되어 있는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는 제 2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f a user selects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a manufacturer, the terminal converts the key into a Hangul code if there is a keypad input in the first step of setting and mapping a key to the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A second step of displaying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is set.

또한, 제 1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 가능한 한글 입력 방식을 나열 하는 제 1-1단계와, 사용자가 나열된 한글 입력 방식 중에서 하나의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면 단말기는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하는 제 1-2단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한글 입력 모드에서 화면에 현재의 한글 입력 방식에 따른 각 키패드에 할당된 한글 자모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first step, steps 1-1 to list selectable Hangul input method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when the user selects one Hangul input method among the listed Hangul input methods, the terminal selects a key using the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the first and second steps of mapping and setting.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Hangul alphabet assigned to each keypad according to the current Hangul input method in the Hangul input mod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음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내부 구성도이다.Next, FIG. 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제어부(130), 무선 회로부(140), 메모리부(150), 오디오 변환부(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controller 130, a wireless circuit unit 140, a memory unit 150, and an audio converter 160. do.

입력부(110)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등의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The input unit 110 may use various elements such as a keypad and a touch screen, and is used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function or inputs information.

표시부(12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 과정을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the state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어부(13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제조사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면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state and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include a microprocessor 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o map and set the key to the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무선 회로부(14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정보를 주고받는 송수신 회로이다.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발송하는 호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3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부(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wireless circuit unit 140 is a transmission / reception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control information with a base station wirelessly. Receives a call signal sent by the send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antenna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30 or transmits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to the receiv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antenna. do.

메모리부(15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및 상태 또는 제어부(130)의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The memory unit 150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and st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and includes various types of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nd flash memory. The device can be used.

오디오 변환부(160)는 마이크로폰(MIC)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무선회로부(140)를 통해 송출하기 위한 형태로 처리하고, 무선회로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통화상대방의 음성신호나 제어부(130)에서 발생되는 각종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에서 출력할 수 있는 형태의 신호로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The audio converter 160 processes the voice signal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IC) in a form for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ircuit unit 140, and the voice signal of the call partner input through the wireless circuit unit 140 or the like. It serves to process various audio signals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30 into signals of a type that can be output from the speaker SPK.

다음으로 도 2는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Next,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pping and setting keys in a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우선, 사용자가 제조사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한다(S201). 이렇게 제 201단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조사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한글 입력 방식 모드로 진입하고, 한글 입력 방식 모드로 진입하면 단말기는 선택 가능한 한글 입력 방식을 나열한다. First, the user selects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S201). In order to implement step 201, first, the user enters the Hangul input method mode for selecting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nd when entering the Hangul input method mode, the terminal lists the selectable Hangul input methods.

이렇게 점층적으로 진행하는 함으로써 단말기에 선택 가능한 한글 입력 방식을 나열하는 것도 가능하며, 단축키를 이용하여 바로 단말기에 선택 가능한 한글 입력 방식을 나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list selectable Hangul input methods in the terminal by using the stepwise progress, or it is also possible to list selectable Hangul input methods in the terminal by using a shortcut key.

이러한 방법으로 나열되는 한글 입력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천지인 한글 입력 방식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천지인 한글 입력 방식은 키에 할당된 천(·), 지(ㅡ),인(ㅣ)의 세 문자를 이용하여 한글 모음을 적절하게 조합해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또는 각각의 모음을 키에 할당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도 있다. 이렇게 제조사별로 다른 한글 입력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하기 쉽게 화면에 나열하면 사용자는 나열된 한글 입력 방식 중에서 하나의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가 제조사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면 단말기는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한다(S203).

The Hangul input method listed in this manner may be, for example, the Korean input method that is heaven and earth. The Cheonjiin Hangul input method is a method of using a proper combination of Hangul vowels using three characters of cloth (·), ji (ㅡ), and (ㅣ) assigned to a key. Alternatively, each vowel can be assigned to a key so that Korean characters can be entered. If you list the Hangul input method that is different for each manufacturer on the screen for the user to select easily, the user selects one Hangul input method among the listed Hangul input methods. When the user selects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the terminal maps and sets the key in the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S203).

다음으로 도 3은 설정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한글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Next,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Korean by the set Korean input method.

우선, 단말기가 사용자가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한 상태에서 한글 입력 모드에서의 키패드 입력이 있으면(S301의 '예') 단말기는 한글 코드로 변환하고(S303) 설정되어 있는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화면에 표시한다(S305). First, if there is a keypad input in the Hangul input mode in the state in which the terminal maps and sets the key in the Hangul input method selected by the user (Yes in S301), the terminal converts the Hangul code (S303) and sets the Hangul input. The scree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ethod (S305).

또한, 사용자가 키패드를 입력할 때, 도 4에 도시된 화면예와 같이 한글 입력 모드에서 화면에 현재의 한글 입력 방식에 따른 각 키패드에 할당된 한글 자모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의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한글을 입력하기 쉽게 해 준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the keypad, the Hangul alphabet assigned to each keypad according to the current Hangul input method is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Hangul input mode as shown in the screen example shown in FIG. 4. Therefore, it makes it easier to input Hangul.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기가 제조될 때 천지인 한글 입력 방식으로 제조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화면예와 같이 각각의 모음을 키에 할당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하고자 하면 단말기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화면에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에 따른 각 키패드에 할당된 한글 자모를 표시함으로써 입력을 용이하게 해주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a user's terminal is manufactured, the terminal is manufactured using the Korean input method, which is Korean. However, if the user wants to input Korean using the Korean input method in which each vowel is assigned to a key as shown in the screen example shown in FIG. This mode facilitates input by displaying the Hangul alphabet assigned to each keypad according to the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on the screen.

이러한 방식으로 한글 입력 모드에서의 키패드 입력이 있으면 단말기는 한글 코드로 변환하고 설정되어 있는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한글을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키패드 상에는 3번 키에 'ㅡ'라고 표기되어 있어도 도 4와 같은 한글 입력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3번 키를 한번 눌렀을 때 단말기는 화면에 'ㅏ'를 표시하는 것이다.
In this way, if there is a keypad input in the Hangul input mode, the terminal converts to a Hangul code and displays the Hangul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et Hangul input method. For example, even if '3' is written on the keypad of the terminal, the terminal displays 'ㅏ' on the screen when the user presses the 3 key once, even if it is set to the Korean input method as shown in FIG.

이상, 본 발명을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using the Example, these Example is an illustration and is not limit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제조사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에 따 라 한글을 화면에 표시하므로 사용자에게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한글 입력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게 해준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ul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selected by the user,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input the Hangul in a user-friendly Hangul input method.

Claims (3)

사용자가 제조사에 따른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면 단말기는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하는 제 1단계;If the user selects a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the terminal maps and sets a key to the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한글 입력 모드에서 키패드 입력이 있으면 한글 코드로 변환하고 설정되어 있는 한글 입력 방식에 따라 화면에 표시하는 제 2단계In the Hangul input mode, if there is a keypad input, the second step is to convert to Hangul code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set Hangul input method.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제 1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p is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 가능한 한글 입력 방식을 나열하는 제 1-1단계와,Steps 1-1 listing the Hangul input method selectabl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나열된 한글 입력 방식 중에서 하나의 한글 입력 방식을 선택하면 단말기는 선택한 한글 입력 방식으로 키를 매핑하여 설정하는 제 1-2단계Selecting one Hangul input method among the listed Hangul input methods, the terminal maps a key to the selected Hangul input method and sets step 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Hangul in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한글 입력 모드에서 화면에 현재의 한글 입력 방식에 따른 각 키패드에 할당된 한글 자모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A Hangul inpu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Hangul alphabet assigned to each keypad according to the current Hangul input method in the Hangul input mode.
KR1020040095766A 2004-11-22 2004-11-22 Method for inputting korean language in mobile phone KR200600566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766A KR20060056612A (en) 2004-11-22 2004-11-22 Method for inputting korean language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766A KR20060056612A (en) 2004-11-22 2004-11-22 Method for inputting korean language in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612A true KR20060056612A (en) 2006-05-25

Family

ID=3715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766A KR20060056612A (en) 2004-11-22 2004-11-22 Method for inputting korean language in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661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70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changing setting with the position of that
KR100689522B1 (en) Method for displaying icon and controlling direct link in wireless terminal
KR101161763B1 (en) Method for displaying enhanced menu and the digital process device thereof
JP2007036544A (en) Portable terminal
KR20070045934A (en)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72580B1 (en) Method for Managing Symbol of Mobile Terminal
KR100731810B1 (en) Method of setting speed dial in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8305294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mounted with full keyboard and full keyboard display method
KR20060056612A (en) Method for inputting korean language in mobile phone
KR20040022286A (en) Method for finding the location of a lost mobile by short messag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KR100543317B1 (en) Method for managing related telephone data of mobile communication unit
KR1003534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code of portable phone
KR100450946B1 (en) Method for abbreviating local codes in a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pecifically with regards to dialing a telephone number only without a local code
KR100592173B1 (en) Method for framing Hangul text in mobile phone
KR100462752B1 (en) How to search the zip code on a portable wireless device
KR100644043B1 (en) Method for operating alternate key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thereof
JP2001086219A (en) Mobile radio terminal device
US20090115739A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in a portable terminal
KR1006398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JP6099379B2 (en) In-vehicle device
KR10087409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with specific butt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20040041862A (en)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using priority
KR20020011194A (en) User menu select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51855A (en) Function menu search method through character input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88868A (en) Numeric image method through character input in portable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