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5318A - Im 혼합 모드 동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Im 혼합 모드 동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5318A
KR20060055318A KR1020050096933A KR20050096933A KR20060055318A KR 20060055318 A KR20060055318 A KR 20060055318A KR 1020050096933 A KR1020050096933 A KR 1020050096933A KR 20050096933 A KR20050096933 A KR 20050096933A KR 20060055318 A KR20060055318 A KR 20060055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sation
user
remote
session
pag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001B1 (ko
Inventor
오리트 레빈
티모씨 제이 랑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5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동일한 IM 대화에서 페이지 모드 IM 및 세션 기반 IM을 모두 이용함으로써 IM 혼합 모드 동작을 제공하는 설비가 제공된다. 설비는 복수의 장치에 등록된 원격 사용자와 발신 장치에 등록된 발신 사용자 간의 IM 대화를 초기에는 페이지 모드로 개시한다. 원격 사용자가 초기에 IM 대화에 응답하는 데에 이용되는 원격 장치의 신원을 알아낸 다음에, 설비는 IM 대화를 페이지 모드 IM으로부터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시킨다.
인스턴트 메시징 대화, 세션 기반 IM, 페이지 모드 IM, 클라이언트, 도메인 서버

Description

IM 혼합 모드 동작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MIXED MESSAGING MODE FOR MULTIPLE POINTS OF PRESENCE}
도 1은 설비가 실행되는 적어도 몇몇의 컴퓨터 시스템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선택된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설비가 동작하는 환경을 도시하는 상위-레벨 블럭도.
도 3은 몇몇의 실시예에 따른, IM 혼합 모드 동작이 IM 대화에 제공되는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몇몇의 실시예에 따른,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IP)을 이용하여 IM 혼합 모드 동작이 제공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컴퓨터 시스템
104: 메모리
110: 네트워크 접속
202: 클라이언트 A
204: 도메인 서버 A
210: 네트워크
208: 도메인 서버 B
206a, 206b, 206c: 클라이언트 B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장치들 간의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향상된 인스턴트 메시징(instant message)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는, 세션 기반 모드 및 페이지 기반 모드인 2개의 인스턴트 메시징(IM) 모델이 존재한다. 세션 기반 IM은 메세지를 전송하기 전에 2개의 엔드포인트(endpoint) 간에 대화가 성립되기를 요구한다. IM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임의의 한 시점에서 오직 하나의 클라이언트 - 예를 들면, 엔드포인트 - 에만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면, 그 사용자와의 대화 또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도 "사용자의 보호하에" 세션이 확립될 수 있다. 순수 세션 기반 IM의 가장 큰 단점은, 엔드포인트-대-엔드포인트 IM에는 적절하지만, 사용자가 복수의 클라이언트 엔드포인트에 로그인한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들이 동시에 복수의 클라이언트 엔드포인트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임의의 IM 서비스는 순수 세션 기반 IM에 기초할 수 없다.
예를 들면, 세션 기반 IM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동시에 복수의 엔드포인트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하면, 세션이 개시될 때 그 사용자에 대한 타깃 엔드포인트를 선택해야 한다. 타깃 엔트포인트는 네트워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엔드포인트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엔드포인트가 적절한 엔드포인트 - 예를 들면, 사용자가 위치한 엔드포인트 - 임을 보장할 방법은 없다. 사용자가 엔드포인트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네트워크에 상주하는 IM 라우팅에 대한 복잡한 규칙들을 설정하는 것이 요구되거나, 세션 초청이 모든 엔드포인트로 전송되어야하고, 사용자는 IM 세션을 적극적으로 "수락" 해야 한다. 이는 음성 세션이 시작될 수 있기 전에 전화의 호출에 응해야 하는 전화 사용자의 경험과 유사하다.
IM 세션의 적극적인 수락 요구 사항은 직관에 반하는 것이며 사용자가 원하는 몇몇의 중요한 경험이 손실되는 결과를 낳는다. 그 중 사용자가 원하는 경험은 IM 사용자들이 수신된 메세지를 ACK(acknowledge)할 필요 없이 메세지를 수신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또한, IM 사용자들이 세션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필요 없이 복수의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원거리에 있거나 단지 그 순간에서만은 응답하지 않기로 선택한 것일 수 있으며 여전히 다른 대상이 기꺼이 IM을 전송할 수 있기를 기대할 수 있다. IM 세션의 적극적인 수락이 필요한 경우의 단점은 사용자가 원거리에 있거나 ACK를 할 수 없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기대하고 익숙하게된 IM의 완만한 흐름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세션 기반 IM에 대한 대안은 모든 메세지가 모든 등록된 엔드포인트로 전달되는 IM 페이지 모드이다. 그러므로, IM 페이지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복수의 엔드포인트에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복수의 등록된 엔드포인트를 지원하는 것은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첫 째, 상술한 바와 같이, 세션 기반 메시징에 의해 제공되는 바람직한 특성들은 복수의 엔드포인트의 지원 때문에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둘 째, 사용자가 수신하는 모든 메세지가 항상 모든 사용자의 엔드포인트에 전달되기 때문에 한 엔드포인트가 2-방향 IM 세션에 관여할 것이고 모든 다른 엔드포인트는 들어오는 메세지의 리스트를 단순히 반영하므로 사용자 경험은 좋지 않다.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 엔드포인트를 지원하는 한편, 세션 기반 IM과 관련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IM 모델이 상당히 유용할 것이다.
복수의 사용자 장치 또는 엔드포인트를 지원하면서 통상적으로 세션 기반 IM과 관련된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IM 모델이 기술된다. 소프트웨어 설비("설비")는 향상된 사용자 IM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일한 IM 대화에서 페이지 모드 IM 및 세션 기반 IM을 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IM 혼합 모드 동작을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설비는 초기에는 페이지 모드로 IM 연결을 개시한다. 그 다음, - 발신 사용자의 장치 신원 또는 원격 사용자의 장치 신원, 또는 둘다인 - 장치 신원이 알려질 때, 설비는 페이지 모드 IM 대화를 세션 기반 IM 대화로 전환시킨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설비는 페이지 모드 메시징을 이용하여 복수의 원격 사용자의 장치로의 초기 연결을 확립시키고, 그 후에 복수의 원격 사용자의 장치 중 하나에 의해 개시된 세션을 확립시킨다. 예를 들면, 원격 사용자의 복수의 인스턴스가 존재할 수 있다 - 예를 들면, 원격 사용자는 복수의 장치 또는 엔드포인트에서의 IM 서비스에 등록될 수 있다. 복수의 원격 사용자 장치를 고려하기 위하여, 설비는 IM 연결을 페이지 모드로 개시하고, 원격 사용자와의 페이지 모드 IM 대화 를 성립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페이지 모드 메세지에서 발신 장치 - 즉, 원격 사용자와의 IM 세션을 요청한 발신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장치 또는 엔드 포인트 - 를 식별한다. 페이지 모드 메세지는 원격 사용자의 등록된 장치 각각에 전달된다. 설비는 발신 사용자가 요청한, 0, 1 또는 그 이상의 후속 페이지 모드 메세지를 전송하는데, 이 메세지들은 또한 원격 사용자의 등록된 장치 각각에 전달된다. 그 다음, 원격 사용자가 원격 사용자의 등록된 장치들 중 하나에서 또는 이 장치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페이지 모드 IM 대화에 응답할 때, 페이지 모드 IM 대화에 응답하기 위해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등록된 장치에서의 설비는 발신 장치 신원을 세션 기반 IM 대화의 타깃으로서 이용한다. 원격 사용자의 응답이 세션 기반 IM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신 사용자의 장치 및 원격 사용자의 장치는 서로를 효율적으로 알아내고, 일단 알아냈다면, IM 대화는 자신의 초기의 페이지 모드로부터 세션 기반 IM 대화로 전환된다. 일단 발신 사용자의 장치로 돌아가는 세션이 확립된다면, 세션 기반 IM 대화가 원격 사용자의 등록된 장치들 중 하나 - 즉, 이전 페이지 모드 IM 대화에 응답하기 위해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등록된 장치 - 에 성립되었음을 나타내는 후속 신호 또는 표시자가 원격 사용자의 등록된 장치 각각에 송신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설비는 원격 사용자와의 페이지 모드 IM 대화를 성립시키는 데에 이용된 페이지 모드 메세지에서 발신 장치 - 즉, 원격 사용자와의 IM 세션을 요청하기 위해 발신 사용자가 사용한 장치 또는 엔드포인트 - 를 식별하지 않는다. 이 예에서, 원격 사용자는 원격 사용자의 등록된 장치 중 하나에서 또는 이 장치 중 하나를 이용하여 페이지 모드 IM 대화에 응답할 때, 페이지 모드 IM 대화에 응답하기 위해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등록된 장치에서의, 설비는 특정 원격 사용자의 등록된 장치에 대한 신원을 발신 장치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하여 발신 장치는 원격 사용자가 위치된 등록된 장치 - 즉, IM 대화에 응답하기 위해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등록된 장치 - 를 효과적으로 찾아내어, 원격 사용자의 등록된 장치 신원을 세션 기반 IM 대화의 타깃으로서 이용한다.
설비의 다양한 실시예 및 그 이점은 도면의 도 1 내지 4를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모두 같은 축척이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원리를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한 강조가 있을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참조번호가 다양한 도면의 유사하고 대응하는 부분에 이용된다.
도 1은 설비가 실행되는 적어도 몇몇의 컴퓨터 시스템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선택된 컴포넌트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이들 컴퓨터 시스템(100)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하나 이상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102),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을 때 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메모리(104),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영속적인 저장장치(106),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판독하는 CD-ROM 드라이브와 같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드라이브(108), 및 데이터 구조를 포함하는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을 교환하기 위하여 인터넷 등을 통해 컴퓨 터 시스템을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시키는 네트워크 접속(110)을 포함할 수 있다.
설비는 컴퓨터 시스템(100) 또는 다른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의 일반적인 관점에서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04) 및 영속적인 저장장치(106)는 설비를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이다. 메모리(104) 및 영속적인 저장장치(106)는 설비를 구현하는 명령어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내용물을 가질 수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100)은 프로그램 출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모니터 또는 LCD 패널과 같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키보드, 마이크로폰, 또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 등의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100)은 통상적으로 설비의 동작을 지원하는 데에 이용되지만, 설비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 및 구성을 이용하고 다양한 컴포넌트를 가지고 구현될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이하를 논하자면, 설비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예시적인 예제들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설비의 실시예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들 예제들과는 매우 다른 환경에서 이용될 수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도 2는 설비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20)을 도시하는 상위-레벨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20)은 클라이언트 A(202) 및 클라이언트 B(206a-c)와 같은 몇몇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을 포한한다. 각각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자신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와의 IM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설비를 호스팅하는 해당 도메인 서버에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A(202)는 도메인 서버 A(204)에 연결되고, 클라이언트 B(206a-c) 각각은 도메인 서버 B(208)에 연결된다. 도메인 서버는 또한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210)를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IM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임의의 유형의 컴퓨터 또는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로서,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IM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로딩 및 실행을 지원하는 적절한 운영 체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퍼스널 컴퓨터일 수 있다. 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IM을 수행시키는 용도에 적합한 PDA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 또는 셀룰러폰과 같은 다른 적절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가 IM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로서 작용한다. 다시 말하자면,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IM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의 인스턴스에 대한 엔드포인트로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도메인 서버는 인터넷 도메인과 같은 특정 네트워크 도메인을 위한 서버로서 집단적으로 작용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메인 서버 A(204)는 클라이언트 A(202)에게 도메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도메인 서버 B(208)는 클라이언트 B(206a-c)에게 도메인 서비스를 제 공한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도메인 서버들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설비를 호스팅하고 혼합 모드 IM을 용이하게 한다. 설비의 전부 또는 일부는,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컴퓨팅 시스템이 또한 도메인 서버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하는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컴퓨팅 시스템과 같은 다른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호스팅될 수도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네트워크(210)는, 예를 들면, 부속된 컴퓨터들 간의 전자 컨텐츠의 전송을 용이하게 한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210)는 인터넷을 포함한다. 인터넷은 수백만의 컴퓨터를 접속시키는 전역 네트워크이다.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인터넷의 구조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전역 네트워크이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라 칭하는 간단한 표준 공통 주소 체계 및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네트워크(21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예로서, 네트워크(210)는 LAN, WAN, MAN, 공용 인터넷, 사설 인트라넷, 사설 컴퓨터 네트워크, 보안 인터넷, 사설 네트워크, 공용 네트워크, VAN(value-added network), 대화형 텔레비전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양방향 케이블 네트워크, 대화형 키오스크 네트워크(interactive kiosk networks)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은 자신의 도메인 서버에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네트워크(210)를 포함하는 상술한 유형의 네트워크의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고 또한 인식될 것이다.
도 3은 몇몇의 실시예에 따른, IM 혼합 모드 동작이 IM 대화에 제공되는 방 법(3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예로서, 원격 사용자, 사용자 B는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여 IM 서비스에 로그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메인 서버 B(208)는 IM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B는 동시에 클라이언트(206a)(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 클라이언트(206b)(예를 들면, 랩탑 컴퓨터), 및 클라이언트(206c)(예를 들면, PDA)를 이용하여 IM 서비스에 등록될 수 있다. 개시 단계 동안, 사용자 B와의 IM 대화(예를 들면, 채팅 세션)를 발신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클라이언트 A(202)(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메인 서버 A(204)에서 제공되는 IM 서비스에 등록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 A는 클라이언트 A(202)를 이용하여 IM 텍스트 메세지를 제작하고, 사용자 B에게 IM 텍스트 메세지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호출하여, 클라이언트 A(202)로 하여금 사용자 B로의 주소가 지정된 IM 텍스트 메세지를 사용자 A의 도메인 서버 A(204)에게 전송하도록 한다.
도 3으로 돌아가면, 단계(302)에서, 사용자 A의 도메인 서버 A(204)는 페이지 모드 IM 을 이용하여 사용자 B와의 요청된 IM 대화를 위한 IM 연결을 개시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사용자 A의 도메인 서버 A(204)에서 실행되는 설비는 사용자 B의 현재 등록된 장치중 어느 것이 IM 대화를 타깃으로 하는지 알지 못하므로, 설비는 페이지 모드로 IM 연결을 개시한다. 페이지 모드에서, 설비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B의 레코드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 B를 타깃으로 하는 IM 텍스트 메세지를 전송하고 사용자 B의 특정 엔드포인트 - 즉, 특정 등록된 장치를 지정하지 않는다. IM 텍스트 메세지는 네트워크(210)를 통해 사용자 B의 도메인 서버 B(208)로 전송 된다. 일 실시예에서, 설비는 또한 IM 텍스트 메세지의 송신자의 장치 신원 - 즉, 클라이언트 A(202)의 식별자 - 을 전송한다.
사용자 B의 도메인 서버 B(208)는 사용자 B를 타깃으로 하는 IM 텍스트 메세지를 수신하고 IM 텍스트 메세지를 사용자 B의 각 인스턴스로 포크(fork)시켜, 사용자 B의 등록된 장치 - 즉, 클라이언트 B(206a-c) - 각각이 IM 텍스트 메세지를 수신하도록 한다. 이들 장치 각각은, 예를 들면,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윈도우를 인스턴스화하고 IM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또는 IM 텍스트 메세지의 수신했다는 표시자를 제공함으로써 IM 텍스트 메세지의 수신에 응답할 수 있다. 각각의 장치들은 또한 IM 텍스트 메세지의 성공적인 수신을 표시하는 응답을 연결된 도메인 서버 - 즉, 사용자 B의 도메인 서버 B(208)에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 B의 도메인 서버 B(208)는 사용자 B의 등록된 장치로부터 수신된 응답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응답을 사용자 A의 도메인 서버 A(204)로 되돌리는 전송을 할 수 있다.
사용자 A는 사용자 B로 하여금 IM 대화에 응답하도록 하지 않고 사용자 B와의 IM 대화의 일부로서 추가적인 IM 텍스트 메세지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A의 도메인 서버 A(204)는 이 IM 대화를 위하여 초기에 성립되었던 페이지 모드 IM을 이용하여 임의의 추가적인 IM 텍스트를 전송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IM 텍스트 메세지가 사용자 B의 등록된 장치 각각에 의해 수신되도록 한다.
단계(304)에서, 현재 페이지 모드인 IM 대화가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어야할지 여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페이지 모드인 IM 대화 의 초기 응답은 IM 대화를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시키는 트리거(trigger)로서 작용한다. 상술한 예를 계속하면, 사용자 B는 사용자 B의 데스크탑 컴퓨터 - 즉, 클라이언트 B(206)를 이용하여 사용자 A에 대한 응답 IM 텍스트 메세지를 제작함으로써 IM 대화에 응답할 수 있다. 단계(306)에서, 클라이언트 B(206)는 이전에 클라이언트 B(206)에게 식별되었던 사용자 A의 장치, 클라이언트 A(202)에게 현재 IM 대화를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하거나 성립시키라는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IM 대화를 페이지 모드로부터 세션 기반으로 전환한다. 클라이언트 B(206)는 클라이언트 A(202)에게 전송된 요청에 자신의 신원을 포함시킬 수 있다. IM 대화를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하라는 요청은 사용자 B의 도메인 서버 B(208), 네트워크(210) 및 사용자 A의 도메인 서버 A(204)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A(202)에 전송된다.
응답으로, 클라이언트 A(202)는 IM 대화를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시키라는 수신된 요청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세션 기반 IM이 클라이언트 A(202)와 클라이언트 B(206) 간에 확립되도록 한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A(202)는 사용자 B의 등록된 장치 - 즉, 클라이언트 B(206b) 중 특정 하나와의 세션 기반 IM이 확립되었다는 표시자(예를 들면, 메세지)를 사용자 B의 등록된 장치 모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A(202)는 이 표시자 또는 메세지를 페이지 모드 IM 메세지로 전송하여, 이 메세지를 사용자 B의 등록된 장치 모두가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B의 등록된 장치는 이 표시자를 수신하고, 세션 기반 IM이 성립되었던 장치 - 즉, 클라이언트 A(202) - 외의 등록된 장치는 IM 대화로 이전에 수신된 텍스트 메세지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몇 가지 유형의 표시자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세션 기반 IM이 성립되지 않은 사용자 B의 등록된 장치들은 이전에 수신된 IM 텍스트 메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윈도우를 제거하고, IM 대화가 더 이상 활성화되지 않는다는 표시자를 제공하고, IM 대화로 이전에 수신된 텍스트 메세지가 만료되었거나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표시자를 제공하고, 사용자 B는 다른 등록된 장치를 이용하여 IM 대화에 응답하였다는 표시자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308)에서, 사용자 A와 사용자 B 간의, IM 대화로 된 후속 텍스트 메세지들은 세션 기반 IM으로 전송된다. 다시 말하면, 클라이언트 A(202)를 이용하는 사용자 A와 클라이언트 B(206b)를 이용하는 사용자 B 간의 후속 텍스트 메세지는 이들 엔드포인트들 간에 (단계(306)에서) 확립되었던 세션을 통해 전송된다.
단계(304)에서, IM 대화가 페이지 모드로부터 세션 기반으로 전환되지 않아야 한다는 판정이 이루어지면, 단계(310)에서, IM 대화는 페이지 모드로 계속된다. 이러한 예에서, 사용자 A와 사용자 B 간의 IM 대화로 된 후속 텍스트 메세지들은 페이지 모드 IM으로 전송된다. 상술한 예를 게속하면, 사용자 B는 IM 대화에 응답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IM 대화는 페이지 모드로 계속되고, 이후에 사용자 A로부터의 후속 IM 텍스트 메세지들은 사용자 B의 등록된 장치 각각으로 계속하여 전달된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B의 등록된 장치 및/또는 사용자 B의 도메인 서버 B(208)에 제공되는 IM 서비스는 세션 기반 IM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자 B가 등록된 장치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IM 대화에 응답하는 예 에서도, IM 대화는 페이지 모드로 계속된다. 그러므로, 사용자 B가 응답을 제공하지 않은 상술한 예와 마찬가지로, IM 대화로 된 후속 텍스트 메세지는 사용자 A 및 사용자 B 모두를 위하여 등록된 모든 장치에 전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A로부터의 IM 텍스트 메세지는 텍스트 메세지가 발신된 장치에 대한 표시자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설비가 IM 텍스트 메세지의 송신자의 장치 신원 -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A(202)에 대한 신원 - 을 전송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사용자 B는 사용자 B의 랩탑 컴퓨터 - 즉, 클라이언트 B(206) - 를 이용하여 사용자 A로의 응답 IM 텍스트 메세지를 제작함으로써 IM 대화에 응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B(206)는 사용자 A에게 응답의 표시자 및 사용자 B가 이 응답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하였던 등록된 장치 - 즉, 클라이언트 B(206) - 의 신원을 전송할 수 있다. 이 응답은 사용자 B의 도메인 서버 B(208), 네트워크(210) 및 사용자 A의 도메인 서버 A(204)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A(202)에게 전송된다. 그 다음, 클라이언트 A(202)는 이전에 클라이언트 A(202)에게 식별되었던 클라이언트 B(206)에게 현재 IM 대화를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하거나 성립하라는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프로세스, 다른 프로세스 및 방법을 위하여, 이들 프로세스 및 방법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이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약술된 단계들은 단지 예시적이며 몇몇의 단계는 본 발명의 본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선택적이며, 더 적은 수의 단계와 결합되거나, 그 외의 단계로 확장될 수 있다.
도 4는 몇몇의 실시예에 따른, SIP를 이용하여 IM 혼합 모드 동작이 제공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세하게는, IM 혼합 모드 동작은 페이지 모드 메세징을 수행하라는 SIP MESSAGE 요청 및 MSRP(Message Session Relay Protocol) 또는 다른 세션 기반 메세징을 IM 대화로 성립시키라는 SIP INVITE 요청 모두를 포함시킴으로써 제공된다. SIP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Request for Comments (RFC) 2543"에 정의된다. IETF RFC 3428은 페이지 모드 메세징을 수행하라는 SIP MESSAGE 요청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IETF RFC 3261은 INVITE를 이용하는 제공/응답 모델에 관련하는 정보를 제공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예로서, 클라이언트 A(202)에서의 사용자 A는 사용자 B에게 IM을 전송하기를 원한다. 단계(402)에서, 클라이언트 A(202)는 IM이 타깃으로 하는 특정 장치를 알지 못하므로, 사용자 B를 타깃으로 하는 MESSAGE 요청을 전송한다. MESSAGE 요청은 SIP 내의 GRUU(globally Routable User Agent URI)와 같은, 송신자인 클라이언트 A(202)의 장치 신원을 포함한다. MESSAGE 요청은 사용자 B에 대한 장치의 장치 신원을 포함하지 않는다.
단계(404)에서, 사용자 B 등록들이 상주하고 있는, 도메인 서버 B는 MESSAGE 요청을 수신하고 조사한다. 어떠한 장치도 타깃이 되지 않았다는 것을 - 즉, 사용자 B에 대한 엔드포인트 신원 파라미터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 도메인 서버 B는 이 요청은 사용자 B의 등록된 모든 엔드포인트에 포크시킨다. 단계(406a- c)에서, 사용자 B의 등록된 모든 장치는 MESSAGE 요청을 수신하고 이 요청에 SIP 200 OK 응답으로 응답한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도메인 서버 B는 200 OK 응답을 수신하고 통합하여, 클라이언트 A(202)에게 하나의 200 OK 응답을 송신한다. 사용자 A는 사용자 B가 처음으로 응답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IM을 송신할 수 있다. 송신된 추가적인 IM 각각에 대하여, 단계들(402, 404, 및 406a-c)은 동일한 장치 신원을 재사용하여 반복된다.
그 다음, 사용자 B는 응답을 전송하기를 원한다. 사용자 B는 응답 출처가될 엔드포인트를 선택하고, 응답을 타이핑(type)하고 전송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B는 클라이언트 B(206a)를 응답 출처인 엔드포인트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단계(408)에서, 원격 대상에 대한 장치 신원이 이용가능한 것을 아는 클라이언트 B(206a)가 원격 대상과의 대화를 개시한다. 상세히는, 클라이언트 B(206a)가 INVITE 요청을 전송하여 사용자 A가 초기 메세지 또는 메세지들을 전송하는 데에 이용하는 장치인 클라이언트 A(202)를 타깃으로 하는 사용자 A와의 MSRP 또는 다른 세션 기반 메세징을 확립시킨다. INVITE 요청은 이전 MESSAGE 요청에 포함되었던 클라이언트 A(202)에 대한 장치 신원을 포함한다. INVITE 요청은 클라이언트 B(206a)의 장치 신원 또한 포함한다.
단계(410)에서, 클라이언트 A(202)는 클라이언트 B(206a)로부터 INVITE 요청을 수신하고 이 요청에 응답하므로, 클라이언트 A(202)와 클라이언트 B(206a) 간의 IM을 위한 세션을 확립시킨다. INVITE 요청에 응답한 다음에, 클라이언트 A(202)는 단계(412)에서 사용자 B를 타깃으로 하는 다른 MESSAGE 요청 또는 다른 SIP 요 청 유형을 전송한다. 상세히는, MESSAGE 요청 또는 SIP 요청 유형은 특정 IM에 대하여 장치가 선택되었기 때문에 이전에 송신된 모든 페이지 모드 메세지들이 현재 아이들(idle)임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MESSAGE 요청 또는 다른 SIP 요청 유형은 장치 - 즉, 클라이언트 A(202)에 의해 자동적으로 생성된다. 단계(414)에서, 도메인 서버 B는 단계(404)에서와 마찬가지로 MESSAGE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B의 등록된 모든 엔드포인트로 포크시킨다.
단계(416)에서, 사용자 B에 의해 선택된 엔드포인트인 클라이언트 B(206a)는MESSAGE 요청을 수신하고 무시한다. 단계(418a)에서, 클라이언트 B(206b)는 MESSAGE 요청을 수신하고 IM 세션이 몇몇의 다른 장치에서 확립되었음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단계(418b)에서, 클라이언트 B(206c)는 MESSAGE 요청을 수신하고 IM 세션이 몇몇의 다른 장치에서 확립되었음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 B(206b 및 206c)는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고 있었던 이전에 수신된 메세지들을 포함하는 메세징 윈도우를 제거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점선 박스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A 및 사용자 B는 모두 자신들의 각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에게 IM을 전송한다.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전송하는 후속 IM 메세지에서, 클라이언트 A(202)는 자신과 사용자 B의 엔드포인트, 클라이언트 B(206a) 간에 세션이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확립된 세션에서 IM 메세지를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 B가 사용자 A에게 전송한 후속 IM 메세지에서, 클라이언트 B(206a)는 자신과 사용자 A의 엔드포인트, 클라이언트(202) 간에 세션이 존재한다고 판정하고, 확립된 세션에서 IM 메세지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를 목적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물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에 명확하게 인용된 구성요소에 의하지 않고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사용자 장치 또는 엔드포인트를 지원하면서 통상적으로 세션 기반 IM과 관련된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IM 모델이 기술된다. 소프트웨어 설비("설비")는 향상된 사용자 IM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동일한 IM 대화에서 페이지 모드 IM 및 세션 기반 IM을 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IM 혼합 모드 동작을 위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설비는 초기에는 페이지 모드로 IM 연결을 개시한다. 그 다음, - 발신 사용자의 장치 신원 또는 원격 사용자의 장치 신원, 또는 둘다인 - 장치 신원이 알려질 때, 설비는 페이지 모드 IM 대화를 세션 기반 IM 대화로 전환시킨다.는

Claims (25)

  1. 컴퓨터로 하여금,
    발신 사용자와 원격 사용자 간에서의 IM 대화를 위한 IM 연결을 초기에는 페이지 모드 IM으로 개시하게 하고,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엔드포인트의 신원을 알아 내도록 하게 하고,
    상기 엔드포인트의 신원이 밝혀짐에 의해 상기 IM 대화를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하게 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모드 IM은 SIP를 이용하여 성립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모드 IM은 SIP 내의 MESSAGE 요청을 이용하여 성립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기반 IM은 SIP를 이용하여 성립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기반 IM은 SIP 내의 INVITE 요청을 이용하여 성립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M 대화를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하게 한 후에,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원격 사용자의 다른 엔드포인트에 대해 세션이 확립되었다는 표시자(indication)를 상기 원격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엔드포인트에 전송하도록 하게 하는 컨텐츠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상기 엔드포인트의 신원은 대화 성립 요청의 수신에 의해 밝혀지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성립 요청은 SIP 내의 INVITE 요청을 통해 행해지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 컴퓨팅 시스템에서 혼합 모드 IM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발신 장치에 등록된 발신 사용자와 복수의 원격 장치에 등록된 원격 사용자 간의 IM 대화를 초기에는 페이지 모드 IM으로 개시시키는 단계,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상기 복수의 원격 장치 중 하나의 신원을 밝혀내는 단계, 및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상기 복수의 원격 장치 중 하나의 신원을 밝혀내는 단계에 이어서, 상기 IM 대화를 페이지 모드 IM에서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M 대화를 페이지 모드 IM에서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하는 단계에 이어서, 상기 복수의 원격 장치에게 상기 대화가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모드 IM은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상기 원격 장치에 의해 상기 발신 장치로 전송된 세션을 확립하는 요청을 통해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SIP 내의 INVITE 요청인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지 모드 IM은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발신 장치에 의해 상기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상기 원격 장치에 전송된 세션을 확립하는 요청을 통해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상기 복수의 원격 장치 중 하나의 신원을 밝혀내는 단계는,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 사용한 상기 원격 장치의 신원을 상기 발신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IM 시스템에서 혼합 모드 IM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발신 사용자와 원격 사용자 간의 IM 대화를 초기에는 페이지 모드 IM으로 개시시키는 단계, 및
    상기 IM 대화를 페이지 모드 IM에서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IM 대화는 상기 원격 사용자가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한 후에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IM 대화는,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원격 장치가 상기 발신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발신 장치에게 이들 장치 간에서의 대화 성립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IM 대화는, 상기 발신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발신 장치가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원격 장치에게 이들 장치 간에서의 대화 성립 요청을 전송함으로써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IM 대화는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원격 장치가 상기 발신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발신 장치의 신원을 밝혀 낸 후에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IM 대화는 상기 발신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발신 장치가 상기 IM 대화 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원격 장치의 신원을 밝혀낸 후에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는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IM 대화가 페이지 모드 IM에서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2. 혼합 모드 IM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발신 사용자와 원격 사용자 간에서의 IM 대화를 위한 IM 연결을 초기에는 페이지 모드 IM으로 개시시키기 위한 수단,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원격 장치의 신원을 알아내기 위한 수단-상기 원격 장치는 상기 원격 사용자의 등록된 복수의 원격 장치 중 하나임-, 및
    상기 IM 대화에 초기에 응답하기 위해 상기 원격 사용자가 사용한 상기 원격 장치의 신원이 밝혀진 것에 응하여 상기 IM 대화를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사용자의 등록된 장치들 각각에 상기 IM 대화가 페이지 모드 IM에 서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IM 대화는 상기 원격 장치가 상기 발신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발신 장치에 대화 성립 요구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는 시스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IM 대화는 상기 원격 장치가 그 신원을 상기 발신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발신 장치에게 전송하고, 상기 발신 장치가 상기 원격 장치에게 대화 성립 요구를 전송하는 것에 의해 세션 기반 IM으로 전환되는 시스템.
KR1020050096933A 2004-11-16 2005-10-14 복수의 프레즌스 포인트를 위한 혼합 메시징 모드 KR101153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90,031 US7725553B2 (en) 2004-11-16 2004-11-16 Mixed massaging mode for multiple points of presence
US10/990,031 2004-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318A true KR20060055318A (ko) 2006-05-23
KR101153001B1 KR101153001B1 (ko) 2012-06-04

Family

ID=3570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933A KR101153001B1 (ko) 2004-11-16 2005-10-14 복수의 프레즌스 포인트를 위한 혼합 메시징 모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725553B2 (ko)
EP (1) EP1657870B1 (ko)
JP (1) JP4703367B2 (ko)
KR (1) KR101153001B1 (ko)
CN (1) CN1777108B (ko)
AT (1) ATE484905T1 (ko)
AU (1) AU2005211565A1 (ko)
BR (1) BRPI0504430A (ko)
CA (1) CA2523533C (ko)
DE (1) DE602005024095D1 (ko)
HK (1) HK1090211A1 (ko)
MX (1) MXPA05011167A (ko)
MY (1) MY144799A (ko)
RU (1) RU2406120C2 (ko)
TW (1) TW200627160A (ko)
ZA (1) ZA2005083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3034B2 (en) * 2004-06-08 2009-06-0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nstant messenger reflector
US7882176B2 (en) * 2005-05-27 2011-02-01 Microsoft Corporation Establishing a multiparty session by sending invitations in parallel
US7660850B2 (en) * 2005-05-27 2010-02-09 Microsoft Corporation Supporting a serial and a parallel invitation protocol
FI20055288A0 (fi) * 2005-06-06 2005-06-06 Nokia Corp Yksittäinen sanomanvälitys
US20070043820A1 (en) * 2005-08-18 2007-02-22 George David A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remote instant messages
US7522608B2 (en) * 2005-11-01 2009-04-21 Microsoft Corporation Endpoint selection for a call completion response
US8520850B2 (en) 2006-10-20 2013-08-2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Downloadable security and protection methods and apparatus
US7650384B2 (en) * 2006-11-17 2010-01-19 Microsoft Corporation Maintaining real-time conversations over unreliable connections
US8621540B2 (en) 2007-01-24 2013-12-3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in a download-enabled system
WO2008093199A2 (en) 2007-01-29 2008-08-07 Nokia Corporation Submit report handling in smsip
US20090049190A1 (en) * 2007-08-16 2009-02-19 Yahoo!, Inc. Multiple points of presence in real time communications
US9357247B2 (en) 2008-11-24 2016-05-3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delivery and message exchange across multiple content delivery networks
US9215423B2 (en) 2009-03-30 2015-12-15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Recommendation engine apparatus and methods
US11076189B2 (en) 2009-03-30 2021-07-2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Personal media channel apparatus and methods
US9602864B2 (en) 2009-06-08 2017-03-2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dia bridge apparatus and methods
US9043407B1 (en) * 2009-06-12 2015-05-26 Avaya Inc. Interactive user interface to communication-enabled business process platforms method and apparatus
US8631469B2 (en) * 2009-08-14 2014-01-14 Microsoft Corporation Executing commands on devices through presence applications
US8396055B2 (en) 2009-10-20 2013-03-12 Time Warner Cab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media functionality in a content-based network
US10264029B2 (en) 2009-10-30 2019-04-16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acketized content delivery over a content delivery network
US9519728B2 (en) * 2009-12-04 2016-12-13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optimizing delivery of content in a network
US9342661B2 (en) 2010-03-02 2016-05-1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rights-managed content and data delivery
US9906838B2 (en) 2010-07-12 2018-02-2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delivery and message exchange across multiple content delivery networks
US9110743B2 (en) 2010-12-21 2015-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tensible system action for sharing while remaining in context
US9467723B2 (en) 2012-04-04 2016-10-1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automated highlight reel creation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US20140082645A1 (en) 2012-09-14 2014-03-20 Peter Ster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or interactive features
US9565472B2 (en) 2012-12-10 2017-02-0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transfer protection
US9621940B2 (en) 2014-05-29 2017-04-1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ording, accessing, and delivering packetized content
US10116676B2 (en) 2015-02-13 2018-10-30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service modification based on online activity
US10404758B2 (en) 2016-02-26 2019-09-03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entralized message exchange in a user premises device
US10237212B2 (en) * 2016-07-18 2019-03-19 T-Mobile Usa, Inc. RCS origination fork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1573B2 (ja) * 1998-04-10 2004-03-29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データ転送方法
EP1331786B1 (en) 2002-01-29 2007-05-02 Agere Systems Guardian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ssion
JP4046534B2 (ja) * 2002-03-29 2008-02-13 富士通株式会社 プレゼンス管理方法及びプレゼンス設定方法
JP3980421B2 (ja) * 2002-06-27 2007-09-26 富士通株式会社 プレゼンス管理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7160A (en) 2006-08-01
US7725553B2 (en) 2010-05-25
CA2523533A1 (en) 2006-05-16
JP4703367B2 (ja) 2011-06-15
EP1657870A1 (en) 2006-05-17
RU2406120C2 (ru) 2010-12-10
BRPI0504430A (pt) 2006-06-27
HK1090211A1 (en) 2006-12-15
US20060095522A1 (en) 2006-05-04
JP2006146898A (ja) 2006-06-08
ZA200508345B (en) 2008-08-27
MY144799A (en) 2011-11-15
CN1777108A (zh) 2006-05-24
DE602005024095D1 (de) 2010-11-25
AU2005211565A1 (en) 2006-06-01
MXPA05011167A (es) 2006-05-25
ATE484905T1 (de) 2010-10-15
CA2523533C (en) 2014-03-18
CN1777108B (zh) 2010-11-24
EP1657870B1 (en) 2010-10-13
RU2005135469A (ru) 2007-05-27
KR101153001B1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001B1 (ko) 복수의 프레즌스 포인트를 위한 혼합 메시징 모드
JP4317061B2 (ja) プレゼンス情報の共有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5055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mproved communications channel for telephone conference initiation and management
US8756283B2 (en) Integrated web portal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with an intended party
US7650384B2 (en) Maintaining real-time conversations over unreliable connections
EP2870735B1 (en) Method for adding client capability data to a sip message
JP2008502954A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ングおよびプレゼンス(imp)セッションをグラブ転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2006094488A (ja) 経路情報に関するストレージ要件の軽減
US20090161843A1 (en) Delayed multimedia session
US20110119389A1 (en) Transferring multiple communication modalities during a conversation
US200701625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nstant messaging camp-on service
US20060224744A1 (en) Sending inter-server notifications using an out-of-band communications protocol
RU2441332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перифери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компьютера о входящем вызове
US7643473B2 (en) Instant messaging with audio connection formation
US100910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use of a single user identifier across incompatible networks for UCC functionality
US20120102210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Program
US9367367B2 (en) Application router
KR20180074341A (ko) 통화 중 단말 변경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295546B1 (ko)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방법
CA29622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use of a single user identifier across incompatible networks for ucc functionality
WO2016083961A1 (en) Messaging and combined messaging interwo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