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973A - Apparatus for analysing three dimensional im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nalysing three dimensional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973A
KR20060054973A KR1020040094261A KR20040094261A KR20060054973A KR 20060054973 A KR20060054973 A KR 20060054973A KR 1020040094261 A KR1020040094261 A KR 1020040094261A KR 20040094261 A KR20040094261 A KR 20040094261A KR 20060054973 A KR20060054973 A KR 20060054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tector
screen
unit
vi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2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19056B1 (en
Inventor
김태희
김성식
박준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056B1/en
Publication of KR20060054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9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0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40Analysis of texture
    • G06T7/41Analysis of texture based on statistical description of texture
    • G06T7/44Analysis of texture based on statistical description of texture using image operators, e.g. filters, edge density metrics or local hist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93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stereo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3D im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8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image proces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24Filte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3차원 디스플레이에 의해 재생된 3차원 영상의 화질을 실시간을 평가할 수 있도록 된 3차원 영상 분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Disclosed is a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apparatus capable of evaluating the image quality of a three-dimensional image reproduced by a three-dimensional display in real time.

이 개시된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이 결상되는 스크린과;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으로부터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스크린과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하고 검출기에 전달하는 광학유니트와; 스크린, 검출기 및 광학유니트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와;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입력부와; 입력부에 저장된 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losed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apparatus includes a screen on which a three-dimensional test pattern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display is formed;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intensity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the image formed on the screen; An optical unit disposed between the screen and the detector to filter and transfer an image formed on the screen to the detector; A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focus position of the screen, the detector and the optical unit; An input unit which first processes and stores a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And an analyzing unit analyzing the image quality in real time from the signal stored in the input unit.

Description

3차원 영상 분석장치{Apparatus for analysing three dimensional image}Apparatus for analysing three dimensional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은 3차원 테스트 패턴을 보인 도면.2a to 2c each show a three-dimensional test pattern.

도 3은 2시점 3차원 디스플레이의 동작 원리를 보인 개략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two-view three-dimensional display.

도 4a는 좌안신호와 우안신호가 모두 입력된 경우 관측된 맺히는 영상을 보인 도면.4A is a view showing a condensed image observed when both a left eye signal and a right eye signal are input.

도 4b는 좌안신호만 입력된 경우 관측된 영상을 보인 도면.4B is a view illustrating an image observed when only a left eye signal is input.

도 4c는 우안신호만 입력된 경우 관측된 영상을 보인 도면.4C is a view illustrating an image observed when only a right eye signal is input.

도 5a 내지 도 5c 각각은 시청 거리 변화에 따른 좌안 영상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5A to 5C are graphs showing changes in the left eye image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change.

도 6a 및 도 6b는 이상적인 경우와 실제의 경우 각각에 대한 시청 자유도를 나타낸 그래프.6A and 6B are graphs showing viewing degrees of freedom for each of the ideal case and the actual case.

도 7은 스크린에 결상된 좌안 영상의 수평 방향 강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7 is a graph showing the horizontal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left eye image formed on the screen.

도 8은 시청 각도 및 시청 영역을 나타낸 도면.8 shows a viewing angle and viewing area;

도 9a 내지 도 9c 각각은 시청 거리 변화에 따라 스크린에서 관측된 좌안 영상의 시청 자유도 분포 변화를 보인 그래프.9A to 9C are graphs showing changes in viewing freedom distribution of the left eye image observ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change.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210...디스플레이 20, 220...검출부10, 210 ... display 20, 220 ... detector

21...스크린 23, 223...V(λ)필터21 ... screen 23, 223 ... V (λ) filter

24...이미징 렌즈 25, 221...광학유니트24 ... imaging lens 25, 221 ... optical unit

30, 230...검출기 40, 240...조정유니트30, 230 ... detectors 40, 240 ... adjustment units

50, 250...입력부 60, 260...분석부50, 250 ... Input 60, 260 ... Analysis

223...컷-오프 렌즈 225...어퍼쳐 스톱223 ... cut-off lens 225 ... aperture stop

227...릴레이 렌즈 227 relay lens

본 발명은 3차원 영상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3차원 디스플레이에 의해 재생된 3차원 영상의 화질을 실시간을 평가할 수 있도록 된 3차원 영상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apparatus that is able to evaluate the real-time quality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reproduced by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3차원 영상 방송의 실용화에 부응하여 3차원 영상 방송과 3차원 디스플레이 표준 규격들이 활발하게 제안되고 있다.In response to the practical use of 3D video broadcasting, 3D video broadcasting and 3D display standard standards are actively proposed.

동일한 해상도의 영상을 시청함에 있어서, 시청자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할 때 2차원 영상을 시청할 때에 비하여 시각적 화질 저하를 크게 느낀다. 이는 3차원 영 상의 제공시 수평시차와 수직시차를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 바, 기본적으로 시청자가 느끼는 화질은 2차원 영상에 비하여 1/2 또는 1/4에 불과하다.In watching the image of the same resolution, the viewer feels the visual quality deterioration greatly when watching the 2D image when watching the 3D image. When a 3D image is provided, a stereoscopic image is provided using horizontal parallax and vertical parallax. Basically, the image quality felt by the viewer is only 1/2 or 1/4 of the two-dimensional image.

따라서, 3차원 영상 방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3차원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화질 평가 장치 및 방법의 표준화가 요구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activate 3D video broadcasting, standardization of an image quality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corresponding to various 3D displays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시간으로 육안에 가까운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3차원 영상 분석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apparatus that is designed to meet the above-described requirements, and is capable of performing a close visual evaluation in real ti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이 결상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으로부터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스크린과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하고, 상기 검출기에 전달하는 광학유니트와; 상기 스크린, 상기 검출기, 상기 광학유니트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와; 상기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저장된 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is formed by the three-dimensional test pattern provided in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A detector for detecting the intensity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the image formed on the screen; An optical unit disposed between the screen and the detector, for filtering an image formed on the screen and transmitting the filtered image to the detector; A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focus position of the screen, the detector, and the optical unit; An input unit which first processes and stores a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And an analyzing unit analyzing the image quality in real time from the signal stored in the input unit.

또한, 본 발명은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으로부터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와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시청 평면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 및 블록킹하여 상기 검 출기에 전달하는 광학유니트와; 상기 검출기 및 상기 광학유니트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와; 상기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저장된 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tector for detecting intensity and color information of an image from a three-dimensional test pattern provided in a three-dimensional display; An optical unit dispos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and the detector to filter and block an image formed on a viewing plane and transmit the filtered image to the detector; A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focus position of the detector and the optical unit; An input unit which first processes and stores a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And an analyzing unit analyzing the image quality in real time from the signal stored in the input uni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analyzing a 3D imag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3차원 디스플레이(10)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 영상을 검출하는 검출부(20)와, 상기 검출부(20)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40)와, 상기 검출부(20)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1차적으로 가공하는 입력부(50) 및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10)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이 결상되는 스크린(21)과, 광학유니트(25)와, 3차원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analyz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or 20 for detecting a 3D test pattern image provided from a 3D display 10, and a focus of the detector 20. An adjustment unit 40 for adjusting a position, an input unit 50 for receiving a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0 and processing the primary, and an analysis unit 60 for analyzing image quality in real time. In this case, the detector 20 includes a screen 21 on which a 3D test pattern provided by the display 10 is formed, an optical unit 25, and a detector 30 that detects intensity and color information of a 3D image. It includes.

상기 디스플레이(10)는 스크린(21) 또는 자유공간 상에 결상되는 3차원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수행시 3차원 테스트 패턴 영상을 제공한다. 이 3차원 테스트 패턴은 3D 디스플레이의 포맷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도 2a 내지 도 2c 각각은 3차원 테스트 패턴을 보인 도면이다.The display 10 is a device for providing a 3D image formed on the screen 21 or free space, and provides a 3D test pattern image when performing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three-dimensional test pattern has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format of the 3D display. 2A to 2C each show a three-dimensional test pattern.

도 2a는 1차 시점용 신호와 2차 시점용 신호가 가로로 배열된 2시점 가로×가로 3D 디스플레이 포맷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1차 시점용 신호와 2차시점용 신호가 세로로 배열된 2시점 세로×세로 3D 디스플레이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그 리고, 도 2c는 적, 녹, 청색용 서브 픽셀이 순차로 배열된 8시점 경사 배리어 3D 디스플레이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1차 시점에 해당하는 영상만을 재생하는 테스트 패턴을 위해서는 1차 시점에 해당하는 가로, 세로 또는 서브 픽셀에만 신호를 입력하면 된다.FIG. 2A illustrates a two-view horizontal X horizontal 3D display format in which a signal for a first view and a signal for a second view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FIG. View vertical x vertical 3D display format. 2C shows an 8-view tilt barrier 3D display format in which red, green, and blue subpixels are arranged in sequence. In this case, for a test pattern for reproducing only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view, a signal may be input only to a horizontal, vertical, or subpixel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view.

상기 스크린(21)은 상기 디스플레이(10)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이 결상되는 면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10)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있다.The screen 21 is a surface on which the three-dimensional test pattern provided on the display 10 is forme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광학유니트(25)는 상기 스크린(21)과 상기 검출기(30)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린(21)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하고, 이 필터링 된 영상을 상기 검출기(30)에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광학유니트(25)는 V(λ)필터(23)와, 이미징 렌즈(24)를 포함한다. 상기 V(λ)필터(23)는 영상의 파장별 감도를 사람의 시감도로 바꾸어주는 필터이다. 이와 같이 사람의 시감 특성을 가지는 V(λ)필터(23)를 채용한 경우, 육안에 가까운 영상신호의 평가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V(λ)필터(23) 자체의 구성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미징 렌즈(24)는 상기 V(λ)필터(23)와 상기 검출기(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V(λ)필터(23)를 통과한 영상이 상기 검출기(30)에 수광되도록 한다.The optical unit 25 is disposed on the screen 21 and the detector 30, and filters the image formed on the screen 21, and transmits the filtered image to the detector 30. . To this end, the optical unit 25 includes a V (λ) filter 23 and an imaging lens 24. The V (λ) filter 23 is a filter that changes the sensitivity of each wavelength of an image to human visibility. In this way, when the V (λ) filter 23 having the visibility characteristics of human is adopted, it is possible to evaluate a video signal close to the naked eye. Here,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V (λ) filter 23 itself is widely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imaging lens 24 is disposed between the V (λ) filter 23 and the detector 30 so that an image passing through the V (λ) filter 23 is received by the detector 30. do.

상기 검출기(30)는 각 촬상소자가 2차원 배열을 가지는 고체 촬상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 CMOS 또는 PM-tube 등의 검출소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스크린(21)에 결상된 3차원 영상정보로부터 영상의 강도와 칼라 정보를 검출한다. 이 검출기(30)는 상기 스크린(21)으로부터 시청 거리(viewing distance) dv 만큼 이격 배치되어 있다.The detector 30 is formed of a detection device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 CMOS, a PM-tube, or the like, in which each image pickup device has a two-dimensional array,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formed on the screen 21. The intensity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image is detected from the information. The detector 30 is spaced apart from the screen 21 by a viewing distance d v .

상기 조정유니트(40)는 상기 검출부(30)를 전체적으로 또는 검출부(30)를 구성하는 스크린(21), 광학유니트(25), 및 검출기(30)를 독립적으로 3축(도면의 Y, Z축 및 이 Y축과 Z축 각각에 수직한 X축) 구동 및/또는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데 이용된다. 특히, 상기 조정유니트(40)는 상기 디스플레이(10)와 상기 스크린(21)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21)을 포함한 상기 검출부(30)를 가변 조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정유니트(40)는 스테핑 모터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자체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djustment unit 40 independently of the detection unit 30 or the screen 21, the optical unit 25, and the detector 30 constituting the detection unit 30 independently three axes (Y, Z axis in the drawing) And X-axis) driving and / or rotational driving perpendicular to each of the Y-axis and the Z-axis. In particular, the adjustment unit 40 variably adjusts the detection unit 30 including the screen 21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 10 and the screen 21. To this end, the adjustment unit 40 may be composed of a stepping motor device, etc., the structure itself is well know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입력부(50)는 상기 검출기(30)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입력부(50)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일 프레임을 캡처하는 프레임 그래버(Frame Grabber)(51)와, 캡처된 프레임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화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53)와, 이 변환된 신호를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55)를 포함한다.The input unit 50 primarily processes and stor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30. To this end, the input unit 50 includes a frame grabber 51 for capturing one frame of the input image signal,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53 for digitizing the captured frame video signal, A buffer memory 55 for storing the converted signal is included.

상기 분석부(60)는 상기 입력부(50)에 저장된 신호를 입력 받아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한다. 즉, 상기 분석부(60)는 입력된 신호로부터 콘트라스트(contrast), 휘도(brightness), 균일도(uniformity), 칼라 개멋(color gamut), 크로스 토크(cross talk), 시청 자유도(viewing freedom), 시청 영역(viewing zone), 시청 각도(viewing angle), 시청 거리(viewing distance)를 계산하여,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모드로 나타낸다. 이하, 시청 거리, 크로스 토크, 시청 자유도, 시청 영역, 시청 각도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The analyzer 60 receives a signal stored in the input unit 50 and analyzes the image quality in real time. That is, the analysis unit 60 may contrast, brightness, uniformity, color gamut, cross talk, viewing freedom, and viewing freedom from an input signal. A viewing zone, a viewing angle, and a viewing distance are calculated and displayed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mode. Hereinafter, the viewing distance, the crosstalk, the viewing freedom, the viewing area, and the viewing ang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배리어 타입 2시점 3차원 디스플레이의 동작 원리를 보인 개략도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10)에서 제공된 3D 테스트 패턴은 배리어(120)에 의해 좌안과 우안 2시점으로 구별된다. 이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세로로 입력된 좌안신호와 우안신호가 배리어(120)를 일부 차단된 상태로 통과한 후, 시청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관측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입사된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inciple of a barrier type two-view three-dimensional display. Here, the 3D test pattern provided on the display 110 is distinguished by the barrier 120 into a left eye and a right eye 2 viewpoints.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B, the left eye signal and the right eye signal input vertically x vertically pass through the barrier 120 partially, and then enter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observer located at the viewing distance, respectively.

이때, 좌안 및 우안신호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4a는 좌안신호와 우안신호가 모두 입력된 경우 관측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희미하게 보이는 영상 중 마크(115)가 위치된 신호가 좌안용 신호이다. 도 4b는 좌안신호만 입력된 경우 관측된 영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4c는 우안신호만 입력된 경우 관측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좌안신호의 중심과 우안신호의 중심간 거리는 눈간 표준 거리인 65mm 이다.At this time, the left eye and right eye signals are as shown in FIGS. 4A to 4C. That is, FIG. 4A illustrates an image observed when both the left eye signal and the right eye signal are input. At this time, the signal in which the mark 115 is located among the blurred images is the left eye signal. FIG. 4B illustrates an image observed when only the left eye signal is input, and FIG. 4C illustrates an image observed when only the right eye signal is input. 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left eye signal and the center of the right eye signal is 65 mm, which is a standard distance between eyes.

도 5a 내지 도 5c 각각은 시청 거리 변화에 따른 좌안 영상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도 5a는 (-)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스크린이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5b는 (0)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의 좌안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5c는 (+)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 디스플레이(도 1의 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크린(도 1의 21)이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들을 서로 비교하여 볼 때, (0) 디포커스 된 상태에 비하여 (-) 디포커스 된 경우는 좌안 영상의 폭이 작아지며, (+) 디포커스 된 경우는 좌안 영상의 폭이 커짐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좌안 영상(또는 우안 영상)의 폭의 변화로부터 디포커스 정도를 알 수 있으며, 최적 시청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5A to 5C are graphs illustrating changes in the left eye image according to a change in viewing distance. 5A shows a case in which the screen is moved toward the display at the negative defocused state, that is, the optimum viewing distance. 5B shows a left eye image at (0) defocused state, that is, an optimal viewing distance. 5C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creen 21 in FIG. 1 is moved away from the display 10 in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that is, in a positive defocused stat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width of the left eye image becomes smaller in the case of (-) defocus compared to the (0) defocused state, and the width of the left eye image increases in the case of (+) defocus. . As described above, the degree of defocus can be known from the change in the width of the left eye image (or the right eye image), and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can be calculated.

도 6a 및 도 6b는 이상적인 경우와 실제의 경우 각각에 대한 시청 자유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6A and 6B are graphs showing viewing degrees of freedom for each of the ideal case and the actual case.

도 6a를 참조하면, 3D 디스플레이가 이상적인 경우 좌안용 신호를 입력시 최적 시청 거리에서 관측된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를 살펴보면, 스퀘어 함수(square function)로 표현된다. 이 경우, 우안 영상 지점(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에서는 좌안 신호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6A, when the 3D display is ideal,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left eye image observed at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when the left eye signal is input is represented by a square function. In this case, the left eye signal does not exist at all in the right eye image point (part shown by dashed line).

한편, 실제의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 시청 거리에서 관측된 좌안 영상은 폭이 넓어지고, 모서리가 흐려진 강도 분포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안 영상 지점에는 상당량의 좌안 신호가 존재하게 된다. 이것은 우안 영상에 노이즈로 작용하여, 신호대 잡음비(SNR : Signal-to-Noise Ratio)를 감소시켜 우안 시청 자유도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킨다. 여기서, 시청 자유도는 3차원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문턱 SNR을 설정한 후 스크린 위치 사이의 거리로 구해진다. 즉, 시청 자유도는 다음의 순서로 계산될 수 있다. 문턱 SNR을 설정하고, 디스플레이에 테스트용 좌안 신호를 입력한다. 스크린 중심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를 측정(좌안 크로스 토크를 측정)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에 테스트용 우안 신호를 입력하고,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 측정과 동일 방식으로 우안 영상의 강 도 분포를 측정(우안 신호 측정)한다. 이어서, 측정된 우안 신호와 좌안 크로스 토크의 비에 의해 SNR을 계산한다. 이 계산된 SNR을 토대로 스크린 위치 차이를 구함으로써, 시청 자유도를 계산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B, the left eye image observed at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has a wider width and an intensity distribution with blurred edges. Therefore, a considerable amount of left eye signal is present at the right eye image point. This acts as a noise to the right eye image, thereby reducing the signal-to-noise ratio (SNR), which relatively reduces the right-eye viewing freedom. Here, the viewing degree of freedom is determin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screen positions after setting the threshold SNR for recognizing the 3D image. That is, the viewing degree of freedom may be calculated in the following order. Set the threshold SNR and input the test left eye signal to the display.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left eye image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easured (left eye crosstalk is measured). Subsequently, a test right eye signal is input to the display and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right eye image is measured (right eye signal measurement) in the same manner as the intensity distribution measurement of the left eye image. The SNR is then calculated by the ratio of the measured right eye signal and left eye cross talk. By calculating the screen position difference based on the calculated SNR, the viewing degree of freedom can be calculated.

크로스 토크는 디스플레이에 테스트용 좌안 신호를 입력하고, 우안 영상 지점에서 측정된 좌안 영상의 강도 값에 의해 계산된다. 이때, 좌안 신호 대신 우안신호를 입력하고 좌안 영상 지점에서 우안 영상의 강도 값을 측정하는 것에 의해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다.Crosstalk is calculated by inputting a test left eye signal to the display and the intensity value of the left eye image measured at the right eye image point.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by inputting the right eye signal instead of the left eye signal and measuring the intensity value of the right eye image at the left eye image point.

도 7은 스크린에 결상된 좌안 영상의 수평 방향 강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에서 실선은 스크린에서 관측된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이며, 점선은 우안 영상의 강도 분포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스크린 중심에서 가장 자리로 갈수록 영상의 강도는 감소하는 반면, 크로스 토크의 강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7 is a graph illustrating a horizontal intensity distribution of a left eye image formed on a screen. In the figure, the solid line is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left eye image observed on the screen, and the dotted line is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right eye image. Looking at the figure, it can be seen that the intensity of the image decreases while the intensity of the crosstalk increases as the edge is moved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도 8은 시청 각도 및 시청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시청 영역은 최적 시청 거리에 맺힌 테스트용 패턴의 강도 분포로부터 측정 가능하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ewing angle and a viewing area. The viewing area shown can be measured from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test pattern at the optimum viewing distance.

상기 시청 각도 θ는 측정된 시청 영역 및 시청 거리를 이용하여, 수학식 1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The viewing angle θ may be calculated from Equation 1 using the measured viewing area and viewing distance.

Figure 112004053442893-PAT00001
Figure 112004053442893-PAT00001

도 9a 내지 도 9c 각각은 시청 거리 변화에 따라 스크린에서 관측된 좌안 영상의 시청 자유도 분포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9A to 9C are graphs showing changes in viewing freedom distribution of the left eye image observ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change.

도 9a는 (-)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스크린()이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0)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의 좌안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9c는 (+) 디포커스 된 상태 즉, 최적 시청 거리에서 디스플레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크린이 이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들을 서로 비교하여 볼 때, (0) 디포커스 된 상태에 비하여 (-) 디포커스 된 경우와 (+) 디포커스 된 경우 모두 시청 자유도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시청 거리의 허용오차를 설정할 수 있고, 검출부의 자동 초점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FIG. 9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creen () moves toward the display at the negative defocused state, that is, the optimum viewing distance, and FIG. 9B illustrates a left eye image at the (0) defocused state, that is, the optimum viewing distance. It is shown. 9C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screen is moved away from the display at the positive defocused state, that is, the optimum viewing distance. Compared with each other, it can be seen that viewing freedom becomes smaller in both (-) defocused and (+) defocused cases compared to the (0) defocused state. From this, the tolerance of the viewing distance can be set, and the auto focus adjustment of the detector can be performed.

시청 거리의 허용오차 설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문턱 시청 자유도를 설정하고, 시청 거리를 (-) 디포커스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스크린에서의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를 측정한다. 이때, 문턱 자유도를 가지는 시청 거리를 최소 시청 거리로 설정한다. 이어서, 시청 거리를 (+) 디포커스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스크린에서의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를 측정한다. 이때, 문턱 자유도를 가지는 시청 거리를 최대 시청 거리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된 최대 시청 거리와 최소 시청 거리의 차가 시청 거리의 허용 오차가 된다. Tolerance setting sequence of viewing distance is as follows. First, threshold viewing degrees of freedom are set, and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left eye image on the screen is measured while moving the viewing distance in the negative defocus direction. At this time, the viewing distance having the threshold degree of freedom is set as the minimum viewing distance.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left eye image on the screen is then measured while moving the viewing distance in the positive defocus direction. At this time, the viewing distance having the threshold degrees of freedom is set as the maximum viewing dista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iewing distance and the minimum viewing distance set as described above becomes the tolerance of the viewing distance.

검출부의 자동 초점 조정 순서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시청 거리를 변화시키면서 스크린에서의 좌안 영상의 강도 분포를 측정하고, 시청 자유도를 계산한다. 그리고, 최대 시청 자유도를 가지는 시청 거리를 최적 시청 거리로 설정하고, 이 설정 위치에 스크린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초점 조정을 완료한다.The auto focus adjustment procedure of the detector is as follows. First, the intensity distribution of the left eye image on the screen is measured while varying the viewing distance, and the viewing freedom is calculated. The focusing is completed by setting the viewing distance having the maximum viewing freedom as the optimum viewing distance and placing the screen at this setting posi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3차 원 디스플레이(210)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 영상을 검출하는 검출부(220)와, 상기 검출부(220)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240)와, 상기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1차적으로 가공하는 입력부(250) 및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2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0, the apparatus for analyzing a 3D imag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etector 220 that detects a 3D test pattern image provided by a 3D display 210, and a detector 220. An adjustment unit 240 for adjusting a focus position, an input unit 250 for receiving a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0 and processing the first, and an analysis unit 260 for analyzing image quality in real time.

상기 디스플레이(210)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은 자유 공간 상의 시청 평면에 결상된다. 상기 검출부(220)는 광학유니트(221)와, 3차원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230)를 포함한다. The three-dimensional test pattern provided by the display 210 is formed in the viewing plane on the free space. The detector 220 includes an optical unit 221 and a detector 230 for detecting intensity and color information of a 3D image.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른 분석장치와 비교하여 볼 때, 자유 공간 상에 3D 영상이 결상되는 점과, 광학유니트(221)의 구성을 변경한 점에서 구별되는 것으로, 다른 구성은 실질상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실질상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comparison with the analysis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image analy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tinguishes the point that the 3D image is formed in the free spac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unit 221 is changed. As such, the other configura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Therefor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the above-described differences, and description of substantially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omitted.

상기 광학유니트(221)는 디스플레이(210) 쪽에서 상기 검출기(230) 쪽으로 순차로 배열된, V(λ)필터(223), 컷-오프(cut-off) 렌즈(225), 어퍼쳐 스톱(227) 및 릴레이 렌즈(229)를 포함한다. 상기 V(λ)필터(223)는 영상의 파장별 감도를 사람의 시감도로 바꾸어주는 필터이다. 이와 같이 사람의 시감 특성을 가지는 V(λ)필터(223)를 채용한 경우, 육안에 가까운 영상신호의 평가가 가능하다.The optical unit 221 has a V (λ) filter 223, a cut-off lens 225, and an aperture stop 227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display 210 side toward the detector 230. ) And relay lens 229. The V (λ) filter 223 is a filter that changes the sensitivity for each wavelength of an image to human visibility. In this way, when the V (λ) filter 223 having the visibility characteristics of human is employed, it is possible to evaluate a video signal close to the naked eye.

상기 컷-오프 렌즈(225)는 상기 V(λ)필터(223)를 투과한 광의 중심광을 결상시키고, 상기 어퍼쳐 스톱(aperture stop)(227)은 상기 컷-오프 렌즈(225)를 투과한 광 중 주변광을 블록킹한다. 상기 릴레이 렌즈(229)는 상기 어퍼쳐 스톱(227) 을 통과한 영상을 상기 검출기(230)에 결상시킨다.The cut-off lens 225 forms a center light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V (λ) filter 223, and the aperture stop 227 passes through the cut-off lens 225. Blocks ambient light in one light. The relay lens 229 forms an image passing through the aperture stop 227 on the detector 230.

상기 검출기(230)는 각 촬상소자가 2차원 배열을 가지는 구성 이외에도, 각 촬상소자가 1차원 배열을 가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검출기(230)는 특정 포인트의 휘도 정보만 검출 가능하므로, 상기 조정유니트(240)를 통하여 상기 검출기(230)를 z축에 수직한 평면 상에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강도 분포를 측정할 수 있다.The detector 230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each image pickup device has a one-dimensional array, in addition to a configuration in which each image pickup device has a two-dimensional array. In this case, since the detector 230 can detect only luminance information of a specific point, the intensity distribution is measured by moving the detector 230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z-axis through the adjustment unit 240. can do.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3차원 영상 분석장치는 1차원 또는 2차원 검출기를 사용하여 비접촉식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를 실시간 검사할 수 있으므로, 검사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생산라인에 상기한 분석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자동화가 가능하며, 광학 플레이트의 얼라인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three-dimensional image analysis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inspect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in real time by using a on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detector, the inspection time can be greatly shortened. In addition, when the analytical apparatus is attached to the production line and used, automation is possible and alignment of the optical plate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품질검사에서 최적 시청 영역과 최적 시청 거리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3D 디스플레이의 최적 관측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감 특성을 가지는 V(λ)필터와 CCD 센서 등의 검출기를 사용하므로, 육안에 가까운 평가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timal viewing area and the optimal viewing distance can be calculated by the quality inspection, the optimal viewing conditions of the 3D display can be presented. In addition, since a detector such as a V (λ) filter having a luminous characteristic and a CCD sensor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valuation can be performed with the naked eye.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Claims (6)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이 결상되는 스크린과;A screen on which a three-dimensional test pattern provided in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is imaged; 상기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으로부터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A detector for detecting the intensity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the image formed on the screen; 상기 스크린과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하고, 상기 검출기에 전달하는 광학유니트와;An optical unit disposed between the screen and the detector, for filtering an image formed on the screen and transmitting the filtered image to the detector; 상기 스크린, 상기 검출기 및 상기 광학유니트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와;A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a focus position of the screen, the detector and the optical unit; 상기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입력부와;An input unit which first processes and stores a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상기 입력부에 저장된 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And an analyzing unit analyzing the image quality in real time from the signal stored in the input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광학유니트는,The optical unit, 영상의 파장별 감도를 사람의 시감도로 바꾸어주는 V(λ)필터와;A V (λ) filter for converting the sensitivity of the image for each wavelength into a human visibility; 상기 V(λ)필터를 투과한 광을 상기 검출기에 결상시키는 이미징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And an imaging lens for imaging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V (λ) filter to the detector. 3차원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된 3차원 테스트 패턴으로부터 영상의 강도 및 칼라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와; A detector for detecting intensity and color information of the image from the three-dimensional test pattern provided in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상기 3차원 디스플레이와 상기 검출기 사이에 배치되어, 시청 평면에 결상된 영상을 필터링 및 블록킹하여 상기 검출기에 전달하는 광학유니트와;An optical unit disposed between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and the detector, the optical unit filtering and blocking an image formed on a viewing plane and transmitting the filtered image to the detector; 상기 검출기 및 상기 광학유니트의 초점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유니트와;A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focus position of the detector and the optical unit; 상기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를 1차적으로 가공하여 저장하는 입력부와;An input unit which first processes and stores a signal detected by the detector; 상기 입력부에 저장된 신호로부터 실시간으로 화질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And an analyzing unit analyzing the image quality in real time from the signal stored in the input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광학유니트는,The optical unit, 영상의 파장별 감도를 사람의 시감도로 바꾸어주는 V(λ)필터와;A V (λ) filter for converting the sensitivity of the image for each wavelength into a human visibility; 상기 V(λ)필터를 투과한 광의 중심광을 결상시키는 컷-오프 렌즈와;A cut-off lens for forming a center light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V (λ) filter; 상기 컷-오프 렌즈를 투과한 광 중 주변광을 블록킹시키는 어퍼쳐 스톱과;An aperture stop for blocking ambient light of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cut-off lens; 상기 어퍼쳐 스톱을 통과한 영상을 상기 검출기에 결상시키는 릴레이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And a relay lens for imaging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aperture stop on the detector.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입력부는,The input unit, 입력된 영상신호의 일 프레임을 캡처하는 프레임 그래버와;A frame grabber for capturing one frame of the input video signal; 캡처된 프레임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화 한 후 이를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And a buffer memory for digitizing the captured frame video signal and storing the captured frame video signal.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분석부는,The analysis unit, 콘트라스트, 휘도, 균일도, 칼라 개멋, 크로스 토크, 시청 자유도, 시청 영역, 시청 각도, 시청 거리를 계산하여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영상 분석장치.And contrast, luminance, uniformity, color gamut, crosstalk, viewing freedom, viewing area, viewing angle, and viewing distance, and displaying the same i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mode.
KR1020040094261A 2004-11-17 2004-11-17 Apparatus for analysing three dimensional image KR1006190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61A KR100619056B1 (en) 2004-11-17 2004-11-17 Apparatus for analysing three dimensional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261A KR100619056B1 (en) 2004-11-17 2004-11-17 Apparatus for analysing three dimensional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973A true KR20060054973A (en) 2006-05-23
KR100619056B1 KR100619056B1 (en) 2006-08-31

Family

ID=37151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261A KR100619056B1 (en) 2004-11-17 2004-11-17 Apparatus for analysing three dimensional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05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9343A (en) * 2010-10-29 2012-05-23 乐金显示有限公司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ptical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350641B1 (en) * 2012-07-13 2014-01-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evaluation method and auto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evalu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4052B2 (en) * 1996-02-08 2004-11-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Total color image quality score prediction method, total color image quality score prediction device, and total color image score control device
JP2000278710A (en) 1999-03-26 2000-10-06 Ricoh Co Ltd Device for evaluating binocular stereoscopic vision picture
JP2003018619A (en) 2001-07-03 2003-01-17 Olympus Optical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evaluation apparatus and display using the same
JP2004245451A (en) 2003-02-12 2004-09-02 Osaka Gas Co Ltd 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69343A (en) * 2010-10-29 2012-05-23 乐金显示有限公司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ptical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325988B1 (en) * 2010-10-29 2013-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ptical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8861835B2 (en) 2010-10-29 2014-10-14 Lg Display Co., Ltd. Optical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2469343B (en) * 2010-10-29 2015-04-29 乐金显示有限公司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optical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9182274B2 (en) 2010-10-29 2015-11-10 Lg Display Co., Ltd. Optical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9441953B2 (en) 2010-10-29 2016-09-13 Lg Display Co., Ltd. Optical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350641B1 (en) * 2012-07-13 2014-01-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evaluation method and autostereoscopic 3-d image display evalu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056B1 (en)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8997B (en) Defect observa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CN107079087B (en) Imaging device and object recognition method
US8339463B2 (en) Camera lens calibration system
US9225949B2 (en) Sensory unit for a 3-dimensional display
TWI394431B (en) Evaluation method of stereoscopic image display panel and system of the same
EP2160018B1 (en) Image pickup apparatus
JP3624887B2 (en) Displacement sensor
EP1463342A1 (en) Test system for camera modules
US8902289B2 (en) Method for capturing three dimensional image
CN109883391B (en) Monocular distance measurement method based on digital imaging of microlens array
CN109642848B (en) Image inspection apparatus and image inspection method
CN102449548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N108318503A (en) LCD screen dus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WO20162077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on of pixel or sub-pixel functional defects of an image display
KR101640555B1 (en) Camera Test Apparatus
CN104935793A (en) Filter-array-equipped microlens and solid-state imaging device
WO2016084926A1 (en) Image pickup system
KR100619056B1 (en) Apparatus for analysing three dimensional image
CN109584239A (en) A kind of bloom body surface defect detect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reflected light
US7834996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TW201013172A (en) Lens testing device with variable testing patterns
JP4885471B2 (en) Method for measuring refractive index distribution of preform rod
CN108124096B (en) End face inspection apparatus and focused image data acquisition method thereof
CN111272101A (en) Four-dimensional hyperspectral depth imaging system
JP4062100B2 (en) Shape measu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