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580A -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580A
KR20060054580A KR1020040093184A KR20040093184A KR20060054580A KR 20060054580 A KR20060054580 A KR 20060054580A KR 1020040093184 A KR1020040093184 A KR 1020040093184A KR 20040093184 A KR20040093184 A KR 20040093184A KR 20060054580 A KR20060054580 A KR 20060054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terminal
portable terminal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규
Original Assignee
최순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순규 filed Critical 최순규
Priority to KR1020040093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4580A/ko
Publication of KR20060054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0/00Electricity: battery or capacitor charging or discharging
    • Y10S320/18Indicator or display
    • Y10S320/21State of charge of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의 휴대전화기, PDA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기 위해 복수의 표준형 (24핀형 접속 단자 충전용) 충전 단자를 갖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 등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표준형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외부로부터 110 내지 220의 상용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상용전원 입력부,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원을 발생시키는 충전회로부, 및 상기 충전회로부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으로 휴대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상기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가 2 내지 20개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 또는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휴대전화기, PDA, 충전기, 충전장치

Description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BATTERY CHARGING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PAULITY OF STANDARD CHARGING TERMINAL}
도 1a는 종래의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표준형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c는 종래의 과금형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충전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d는 종래의 다양한 기종의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단자 접촉용 커넥터를 갖는 충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
도 3a는 도 2에 도시한 충전 장치의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중전 장치의 상세 회로 구성의 일부를 상세히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장치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표준형 충전 단자 11 : 정전압 발생부
12 : 충전 표시부 13 : 충전 전압발생부 및 전압비교기
50, 250 :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회로부
100, 200 :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본 발명은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복수의 휴대전화기, PDA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동시에 충전하기 위해 복수의 표준형 (24핀형 접속 단자 충전용) 충전 단자를 갖는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충전 장치 또는 충전기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휴대전화기 구입시 제공되는 배터리 충전기가 있다. 이러한 충전기의 경우, 휴대전화기의 배터리에 형성된 충전 단자의 위치 숫자 및 크기가 제조사별로 각각 상이하므로 휴대전화기를 구입시, 충전 장치도 함께 구입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정보통신부에서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24핀형 접속 단자용 충전기(이하, 단순히 충전 단자라 지칭한다)를 표준으로 정하여 휴대전화기의 하단부에 부착하도록 규정하였다. 표준 포트를 규정하여 채택함으로써, 휴대 전화기 구입시, 휴대 전화기와 충전 장치를 별도 판매하기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 및 국가 경제적으로 상당한 자원을 절감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휴대 전화기의 특성상, 많은 사람들이 휴대하고 다니게 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여분의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며, 통화중 배터리 방전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편의점 등에서 일정 금액을 받고 충전하는 유료 충전 장치가 한국 실용신안 등록 공보 제20-0181410호에 개시되어 있고, 시중에 보급되어 있다.
또 다른 예의 충전 장치로서, 한국 실용신안 등록 공보 20-0306377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용 단말기에 탑재되는 다양한 배터리팩의 상이한 단자 위치에 맞도록 변위될 수 있는 가변형 단자 접촉용 커넥터에 대하여 개시하였다.
이러한 휴대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는 고가이라는 단점이 있으며, 요금을 징수하는 장치가 있어야 하므로 장치의 크기가 상당히 크고, 장치가 상당히 복잡하며, 따라서 제조 원가도 상당히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경우, 반드시 1대의 휴대 전화기에 1개의 충전 장치를 장착하여야 하므로, 가정에서는 구성원 수 만큼의 휴대 전화기를 소지하고, 또한 그에 대응하는 숫자의 충전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가정에서는 이러한 충전기를 책상, 책상 밑, 책꽂이 등에 충전기를 놓게 됨으로서, 정리가 힘들고, 또한 사용에도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구비 함으로써, 복수 대의 휴대전화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기종에 관계없이 복수 대의 휴대 전화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고, 휴대 전화기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별도로 충전장치를 구입하지 않음으로써, 경제적으로 유리한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뿐만 아니라, PDA와 같은 이동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저렴한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 등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표준형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외부로부터 110 내지 220의 상용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상용전원 입력부,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원을 발생시키는 충전회로부, 및 상기 충전회로부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으로 휴대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상기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가 2 내지 20개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 또는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는, 상기 충전회로부가 일반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4.5 V 정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4.5 V 정전압 발생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충전 전압 발생부 및 전압비교기,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충전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최소한 1개의 4.5 V 정전압 발생부와, PDA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최소한 1개의 3. 5 V 정전압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4.5 V 정전압 발생부에 복수의 충전 전압 발생부 및 전압 비교기, 및 충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충전장치이고, 도 3a는 도 2에 도시한 충전 장치의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중전 장치의 상세 회로 구성의 일부를 상세히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100)는 외부로부터 110 내지 220 V의 상용 전원이 외부로부터 입력될 수 있는 콘센트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충전장치(100)는 충전 회로부(50)와 복수의 표준형 휴대전화기 충전 단자(24핀 입출력 단자 삽입용)(10)를 포함한다. 충전 회로부(50)에 대해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한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 및 도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단자(10)는 예시적으로 4개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표준형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100)는 2 내지 20의 표준형 충전포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는 2 내지 10개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100)의 충전 회로부(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에 있어서, 충전 회로부(50)는 4.5 V 정전압 발생부(11), 충전 표시부(12) 및 충전 전압 발생부 및 충전 전압 비교기(13)로 이루어져 있다. 4.5 V 정전압 발생부(11)는 상용전원 AC 110 내지 220V를 입력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정전압을 발생시킨다. 충전 전압 발생부 및 충전 전압 비교기(13)는 휴대 단말기의 과충전을 방지하고,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가 만충전되었을 때의 전압 4.2V를 발생시키고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전압과 비교하는 장치를 갖고 있어 만충전되었을 때와 충전 중일 때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다. 충전 표시부(12)는 사용자가 충전기의 충전상태를 외부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LED)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충전 전압 발생부 및 충전 전압 비교기(13)에서 만충전 신호와 충전 중일 때의 신호를 받아 만충전일 때는 녹색 LED를 발광시키고, 충전중일 때는 적색 LED를 발광시킨다.
4.5V 정전압발생부(11)는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4.5V의 정전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다. 특히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충전 전압비교부에서 만충전의 신호가 입력될 때는 충전전압을 차단하여 과충전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충전 전압을 제어하지 않고 안정된 성능과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TR1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4.5V 정전압발생부(11)에 있어서, 충전전압 제어입력 신호가 High(5V)일 때 TR1이 On되어 휴대 단말기에 충전 전압이 인가되고, Low(0V)일 때 TR1이 Off되어 충전 전압이 차단된다. R1은 전류제어용 저항이고, D1은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D1의 출력단에는 표준형 충전 단자(10)가 접속된다. 이 충전 단자에는 휴대 전화기가 접속되어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충전전압발생부 및 전압비교부(13)는 휴대 단말기에 만충전이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장치로서 휴대 단말기 배터리의 만충전시 인가되는 전압 4.2V를 기준전압으로 발생시키는 장치와 실재 휴대 단말기 입력전압을 비교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충전전압제어신호는 휴대 단말기 배터리의 입력 전압이 4.2V보다 작을 경우, 즉, 아직 충전이 다되지 않았을 경우에 High(5V)가 나오고, 만충전시에는 Low(0V) 가 나오게 된다. 이 신호가 앞에서 충전 전압 발생기의 전원 차단하는 신호에 연결된다.
충전 표시기(12)는 충전기의 만충전 여부를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LED를 구동하는 회로를 갖는 장치로 충전전압발생부 및 전압비교부(13)에서 나오는 충전 전압제어신호를 받아서 구동된다.
도 2 및 도 3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단자(10)가 각각 4개가 구비되어 있는 4대의 휴대 전화기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1개의 4.5 V 정전압 발생부(11)와, 충전 표시부(12)와 충전 및 전압 발생부 및 전압비교기를 포함하는 4개의 충전 회로(20)로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가 2- 20개의 표준형 충전 단자(10)를 포함하여 2-20개의 휴대전화기(60)를 충전하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의 수에 각각 대응하는 그 충전 회로(20)가 2-20개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100)는 3 대의 휴대 전화기(60)와 1대의 PDA와 같은 휴대 단말기(70)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배터리 충전장치(200)를 구체화한 회로 구성도이다.
휴대 전화기(60)를 충전하기 위한 도 3a 및 도 3b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PDA(70)은 PDA 본체 내에 충전 전압 발생부 및 전압 비교기(13)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PDA(70)의 경우, 일반 휴대전화기보다 액정화면이 크기 때문에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3.5 V의 정전압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한다.
따라서, PDA(7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110 내지 220 V 상용 전원으로부터 3.5 V의 정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3.5 V 정전압 발생부(15)를 더 포함한다. 이 3.5 V 정전압 발생부(15)의 출력은 PDA(70)의 충전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충전 표시 장치(12)를 통해 표준형 충전 단자(접속 단자)(19)에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PDA(70) 역시 휴대 전화기와 동일하게 24핀 표준형 충전 단자(접속 단자)(19)가 채택되어 있다.
이 경우, 휴대 전화용 충전 단자(10)와 PDA용 충전 단자(19)가 외형상 동일하기 때문에, 이 경우, PDA 용 충전 단자(19)를 휴대 전화기용 충전 단자와 색상, 길이, 마크, 문자 등을 이용하여 구분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3개의 휴대전화기용 충전 단자(10) 및 1개의 PDA 용 충전 단자(19)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60, 70)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200)는 2-19 개의 휴대전화기용 충전 단자(10) 및 1 - 9개의 PDA 용 충전 단자(19)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는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복수 대의 휴대전화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는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기종에 관계없이 복수 대의 휴대 전화기를 동시에 충전함으로써, 휴대 전화기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별도로 충전장치를 구입하지 않음으로써, 경제적으로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는 휴대 전화기뿐만 아니라, PDA와 같은 이동 단말기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고, 장치가 저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 전화기 등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표준형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110 내지 220의 상용 전원을 입력받기 위한 상용전원 입력부,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전원을 발생시키는 충전회로부, 및
    상기 충전회로부로부터 발생되는 전압으로 휴대 단말기의 충전 단자에 삽입되어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가 2 내지 2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휴대 전화기 또는 PD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부가
    일반 상용 교류 전원으로부터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한 4.5 V 정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4.5 V 정전압 발생부,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제 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충전 전압 발생부 및 전압비교기,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충전 표시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최소한 1개의 4.5 V 정전압 발생부와, PDA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최소한 1개의 3. 5 V 정전압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4.5 V 정전압 발생부에 복수의 충전 전압 발생부 및 전압 비교기, 및 충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KR1020040093184A 2004-11-15 2004-11-15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충전장치 KR20060054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184A KR20060054580A (ko) 2004-11-15 2004-11-15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184A KR20060054580A (ko) 2004-11-15 2004-11-15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충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343U Division KR200402493Y1 (ko) 2005-09-22 2005-09-22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580A true KR20060054580A (ko) 2006-05-23

Family

ID=3715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184A KR20060054580A (ko) 2004-11-15 2004-11-15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45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2720B1 (fr) Chargeur et dispositif de recharge
US20070063669A1 (en) Portable battery charger
US5939860A (en) Cellular phone charging and power system
KR100746124B1 (ko) 다양한 휴대 기기를 충전하기 위한 복합 배터리 충전 장치
KR200402493Y1 (ko)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충전장치
KR20060054580A (ko) 복수의 표준형 충전 단자를 갖는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충전장치
KR200416155Y1 (ko) 휴대용 보조 배터리
US20040183543A1 (en) Power source test instrument
CN206673656U (zh) 移动充电设备及电子系统
CN206041581U (zh) 一种usb充电恒压输出9v电池
KR200219979Y1 (ko)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충전장치
KR100392184B1 (ko)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기기 충전장치
KR200379930Y1 (ko) 휴대용 다중 직류전압 공급장치
KR20060080652A (ko) 휴대용 충전장치
JP2006141187A (ja) パワータンク
CN219247495U (zh) 一种充电宝
CN219351362U (zh) 无线充电手机壳
KR200372446Y1 (ko) 티티에이 표준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200188842Y1 (ko) 셀룰러 폰용 휴대 전원 장치
CN206673660U (zh) 移动电源及电子系统
CN101202352A (zh) 一种后备电池
KR20050102015A (ko) 휴대형 범용 전력 공급장치
KR100544035B1 (ko) 충전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01369586Y (zh) 一种充电器
KR200285697Y1 (ko) 분리형 커넥터를 갖는 핸드폰 충전기의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