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3132A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3132A
KR20060053132A KR1020050075976A KR20050075976A KR20060053132A KR 20060053132 A KR20060053132 A KR 20060053132A KR 1020050075976 A KR1020050075976 A KR 1020050075976A KR 20050075976 A KR20050075976 A KR 20050075976A KR 20060053132 A KR20060053132 A KR 20060053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making
water
tray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게이스께 모나까
Original Assignee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1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보기 좋은 얼음을 만들고, 급수량을 가변으로 한 경우에도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는 제빙 접시를 이용한 자동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안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refrigerator having an automatic ice maker using an ice maker that can be made suitable for making a nice ice and having a variable water supply amount.

냉장실(2) 내에 설치되는 급수 탱크(10) 내의 물을 냉동실(4) 내에 설치된 제빙 접시(14) 내에 급수하여 제빙을 행하는 자동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1)에 있어서, 제빙 접시(14)는 길이 방향을 종 칸막이벽(16)으로 복수열로 구획되고, 종 칸막이벽(16)에 의해 복수열로 구획된 각 열은 횡 칸막이벽(17)에 의해 복수의 제빙 블럭(18)으로 구획되고, 제빙 접시(14)의 복수열로 구획된 하나의 열과 다른 열 사이를 중심축으로서 회전시키는 구동부(13)를 구비하고, 제빙 블럭(18)의 외벽(28)은 중심축 부위의 회전에 의한 제빙 접시(14)의 회전 궤도(27)가 만드는 원에 복수 부위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제빙 블럭(18)의 외벽(28) 이외의 벽부도 외벽(28) 형상과 맞춘 형상으로서 제빙 블럭(18)을 다각형으로 한 것이다.In the refrigerator 1 provided with the automatic ice maker which supplies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10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2 to the ice-making pan 14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4, and performs ice-making, the ice-making pan 14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ws by the vertical partition walls 16, and each column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rows by the vertical partition walls 16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ice making blocks 18 by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s 17. And a drive unit 13 for rotating, as a central axis, between one row and the other row divided by a plurality of rows of the ice making dish 14, and the outer wall 28 of the ice making block 18 is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portion. It is comprised so that the circle | round | yen which the rotary track 27 of the ice-making dish 14 makes may contact in multiple places, and wall parts other than the outer wall 28 of the ice-making block 18 also matched with the shape of the outer wall 28, The ice-making block 18 ) Is a polygon.

냉장실, 급수 탱크, 냉동실, 제빙 접시, 칸막이벽 Cold room, water tank, freezer, ice tray, partition wall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자동 제빙기부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ice maker.

도3은 급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외관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appearance for explaining a water supply operation;

도4는 도3의 P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4 is a view indicated by the P arrow of FIG.

도5는 제빙 접시를 좌우로 요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ce tray is rocked from side to side.

도6은 도5의 실선 제빙 접시 내의 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FIG. 6 is a view explaining the motion of water in the solid line ice tray of FIG. 5; FIG.

도7은 도5의 2점 쇄선 제빙 접시 내의 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FIG. 7 is a view explaining the motion of water in the double-dot chain line ice tray of FIG. 5; FIG.

도8은 본 실시예의 제빙 제어 흐름도.8 is an ice making control flowchart of this embodiment.

도9는 실시예의 제빙 접시(14)를 이면으로부터 본 도면.Fig. 9 is a view of the ice tray 14 of the embodiment seen from the back side;

도10은 도9의 A - A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도11은 도9의 B - B 단면도.FIG.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12는 수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water level.

도13은 제빙 접시로의 급수량과 급수 펌프의 구동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tray and the drive time of the feed water pump;

도14는 종래의 냉장고 조립 자동 제빙기로 만들어진 얼음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14 is a view showing an ice shape made of a conventional refrigerator assembly automatic ice maker.

도15는 종래의 냉장고 조립 자동 제빙기의 동작 설명도.1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assembled automatic ice maker.

도16은 도15의 자동 제빙기의 제빙 접시에 비틂 동작을 부여한 도면.Fig. 16 is a view in which a twisting operation is applied to the ice tray of the automatic ice maker of Fig. 15;

도17은 도15의 자동 제빙기의 제빙 제어 흐름도.FIG. 17 is an ice making control flowchart of the automatic ice maker of FIG. 15; FIG.

도18은 제빙 접시의 회전 궤도와 제빙 접시 형상과의 관계 및 온도 센서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Fig. 18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 between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ice tray and the shape of the ice tray and the attachment state of the temperature senso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냉장고 본체1: refrigerator body

8 : 자동 제빙기8: automatic ice maker

11a : 선단 파이프11a: tip pipe

13 : 구동부13 drive unit

13a : 구동축13a: drive shaft

14 : 제빙 접시14: ice tray

14a : 베어링부14a: bearing part

14c : 볼록부14c: convex

16 : 종 칸막이벽16: bell partition wall

17 : 횡 칸막이벽17: horizontal partition wall

18 : 제빙 블럭18: ice making block

19 : 홈19: home

27 : 회전 궤도27: rotating track

28 : 외벽28: outer wall

29 : 내벽 29: inner wall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4475호 공보[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174475

본 발명은 자동 제빙기가 부착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n automatic ice maker.

자동 제빙기가 부착된 냉장고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본 특허 문헌 1에는 냉장고의 제빙실 내에 제빙 접시를 수평하게 지지하고, 폭 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축 부위에 회전시켜 이빙시키는 제빙기가 저빙 박스의 상방에 구비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이빙된 얼음이 저빙 박스 내에서 한 군데에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저빙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저빙 박스 내의 저빙 상태에 따라서 제빙 접시의 정회전, 역회전을 행하고 있다. There exists a thing of patent document 1 as a refrigerator with an automatic ice maker. This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ice maker for horizontally supporting an ice making dish in an ice making chamber of a refrigerator and rotating the ice making tray on an axis portion located in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is provided above the storage box. In this configuration,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ice tray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torage state in the storage box to prevent the iced ice from shifting to one place in the storage box and to improve the storage efficiency.

즉, 자동 제빙기가 조립된 냉장고는 냉장실 내에 제빙 접시를 구비하는 자동 제빙기를 배치하고, 냉장실 내에 설치한 급수 보틀로부터 제빙 접시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고, 냉동실 내에 설치한 제빙 접시에 있어서 제빙을 행하고, 제빙의 완료 후에 제빙 접시를 회전시켜 비틀고, 그 하부에 설치한 아이스 뱅크 내에 얼음을 낙하시킴으로써 자동적으로 얼음을 만드는 것이다.That is, the refrigerator in which the automatic ice maker is assembled arranges the automatic ice maker which has an ice maker in a refrigerator compartment, supplies a fixed quantity of water to an ice maker from the water bottle installed in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performs ice-making in the ice tray installed in a freezer compartmen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ce making, the ice tray is rotated and twisted, and ice is automatically made by dropping the ice in the ice bank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7447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2-174475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해서, 도14 내지 도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자동 제빙기(100)에 있어서, 아이스 뱅크(101)의 상방에 배치된 제빙기(102)에는 제빙 접시(10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빙 접시(103)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빙한 얼음을 이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n the automatic ice maker 100, the ice maker 103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ice maker 102 disposed above the ice bank 101. This ice making dish 103 is comprised so that ice may be iced by rotating clockwise as shown in FIG.

또한, 이 제빙기(102)에는 아이스 뱅크(101)에 저장된 얼음의 양을 검지하는 검빙 레버(104)가 설치되어 있고, 이 검빙 레버(104)는 이빙시에 있어서의 제빙 접시(103)의 회전측, 즉 얼음이 낙하하는 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빙량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빙 접시(103)는 냉동실 배면의 냉기 취출구(도시하지 않음)에 가까운 곳에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ce maker 102 is provided with an ice detection lever 104 for detecting the amount of ice stored in the ice bank 101. The ice detection lever 104 rotates the ice tray 103 at the time of ice. It is installed in the side, ie, the side where ice falls. And it is comprised so that a storage quantity can be detected. In addition, the said ice-making dish 103 is arrange | positioned near the cold air | gas outlet (not shown) of the back surface of a freezer compartment.

따라서, 제빙 접시(103)는 아이스 뱅크(101)의 안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안쪽에 치우치게 설치되게 된다. 또한 폭 방향에 대해서는 아이스 뱅크(101)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Therefore, the ice making dish 103 is provided inclined inside the ice bank 101 in the depth direction. Moreover, about the width direction, it is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center of the ice bank 101. As shown in FIG.

다음에 상기 자동 제빙기(100)의 제어 방법을 도17을 갖고 설명한다. 스텝(105)에 있어서 냉장실 내에 배치된 급수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빙 접시(103)에 소정량의 물을 급수한다. 그리고 냉기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냉기에 의해 제빙을 행한다.Next, a control method of the automatic ice maker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n step 105,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dish 103 by a water supply device (not shown) dispos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Then, ice making is performed by cold air taken out from the cold air outlet.

계속해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스텝(106)에 있어서 제빙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빙 접시(103)에 부착한 센서 온도(도시하지 않음)가 소정 온도 이하가 되었을 때에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Subsequently,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t is detected in step 106 whether ice making is completed. Specifically, it is determin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d when the sensor temperature (not shown) attached to the ice making dish 103 becomes below predetermined temperature.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다음은 스텝 107에 있어서, 검빙 레버(104) 에 의해 검빙 레버(104)를 내려서 아이스 뱅크(101)에 저장되어 있는 얼음의 양을 검지한다.When it is judged that ice making is completed, next, in step 107, the amount of ice stored in the ice bank 101 is detected by lowering the ice detection lever 104 by the ice detection lever 104.

그리고, 스텝 108에 있어서, 저빙량이 가득 차 있지 않다고 검지하였을 경우에는 스텝 109로 진행하고,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접시를 반전하여 제빙 접시로부터 얼음을 떨어뜨리는 이빙 동작으로 들어가는 것이다.When it is detected in step 108 that the amount of ice storage is not full, the flow advances to step 109, and as shown in Fig. 16, the ice tray is reversed to enter an ice-making operation in which ice is dropped from the ice tray.

본 이빙 동작이 완료되면 스텝 105로 복귀하여 급수 동작을 행한다. 이를 반복하여 행함으로써 자동 제빙기(100)는 아이스 뱅크(101) 내에 얼음을 소정량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is ice mov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flow returns to step 105 to perform a water supply operation. By repeating this, the automatic ice maker 100 can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in the ice bank 101.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자동 제빙기 조립 냉장고의 제빙 접시(103)는 축 방향을 2열로 구분하는 종 칸막이벽과 제빙 접시(103)의 길이 방향을 4 내지 5개의 제빙 블럭으로 구획하는 횡 칸막이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제빙 접시(103)에는 냉장실에 배치되어 있는 급수 보틀로부터 자동적으로 예를 들어 1회 100 ㏄ 전후의 물이 급수된다.The ice tray 103 of the automatic ice machine assembly refrigerato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a vertical partition wall that divides the axial direction into two rows and a horizontal partition wall that divid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tray 103 into four to five ice blocks. . The ice tray 103 is automatically supplied with water, for example, around 100 kPa once, from the water bottle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또한, 이 제빙 접시(103)에 100 ㏄ 전후의 물을 급수하는 급수 파이프는 냉동실 천정 등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상, 제빙 접시(103)의 1 내지 2개의 제빙 블럭에 집중적으로 물을 급수한다. 이렇게 급수된 물은 고저차를 이용하여 나머지의 제빙 블럭 6 내지 8개에 안내 홈(칸막이벽에 마련된 홈)을 통하여 분배된다. 또한, 이 안내 홈은 상기 종, 횡 칸막이벽에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of about 100 kPa to the ice tray 103 is fixed to the freezer ceiling or the like, the water pipe intensively supplies water to one or two ice blocks of the ice tray 103. The water supplied in this way is distributed through the guide grooves (grooves provided on the partition walls) to the remaining six to eight ice blocks using the elevation. Moreover, this guide groove is provided in the said longitudinal, horizontal partition wall.

이때, 물이 닿지 않은 제빙 블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인접한 제빙 블럭으로 흘러 가고자 하는 물이 급수 위치로부터 멀어지면 고저차가 적어지는 경우도 있어 안내 홈의 저항, 즉 물의 고저차, 표면 장력, 홈의 길이 및 폭 등에 의한 물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요인이기 때문이다.At this time, an ice making block that is not exposed to water may be generated. This is because when the water to be flowed to the adjacent ice making block is far from the water supply position, the height difference becomes small, which is a factor that hinders the movement of the water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guide groove, that is,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water, the surface tension, and the length and width of the groove. .

또한, 이러한 종류의 자동 제빙기 조립 냉장고에 있어서는, 도18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접시(103) 이면에는 온도 센서(114)가 부착되어 있다. 이 온도 센서(114)는, 예를 들어 서미스터를 수지로 고정한 것으로 폭 15 ㎜, 두께 10 ㎜, 길이 40 ㎜의 가늘고 긴 원형 봉 형상을 갖고 있다. 이 형상을 갖는 온도 센서(114)를 제빙 접시(103)의 이면에 부착할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제빙 블럭(117)의 종 칸막이벽을 사이에 두고 다른 열에 배치되는 제빙 블럭(117)과 대향하는 측의 벽(이하, 내벽이라고 함)(117b)은 직선 상에 형성되고, 즉 양 내벽은 V자 형상으로 만들어지게 된다.In this type of automatic ice maker assembling refrigerator, as shown in FIG. 18, a temperature sensor 114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ice making dish 103. The temperature sensor 114 is, for example, a thermistor fixed with a resin, and has an elongated circular rod shape having a width of 15 mm, a thickness of 10 mm, and a length of 40 mm.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attaching the temperature sensor 114 having this shape to the rear surface of the ice making tray 103. Therefore, the w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ner wall) 117b on the side opposite to the ice making block 117 disposed in another column with the vertical partition wall of the ice making block 117 interposed therebetween is formed on a straight line, that is, both The inner wall is made into a V shape.

온도 센서(114)는 1열 4 내지 5개(전체 8 내지 10개)인 제빙 블럭(117)의 2 내지 4개분에 걸쳐서 부착되는 것이 보통이다. 바꾸어 말하면, 2 내지 4개분 이외의 제빙 블럭(117)은 V자 형상으로 만들 필요성은 없었지만, 종래는 2 내지 4개분의 제빙 블럭 형상에 맞추어 만들어지고 있었다. 또한, 외벽(117a)은 제빙 블럭(117)의 내벽(117b)의 경사에 맞추어 대조로 만들어지고 있었다.The temperature sensors 114 are usually attached over two to four portions of the ice making block 117, which are four to five in a row (8 to 10 in total). In other words, although the ice making blocks 117 other than 2-4 did not need to be made into V shape, it was conventionally mad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ce making blocks for 2-4 pieces. In addition, the outer wall 117a was made in contrast with the inclination of the inner wall 117b of the ice making block 117.

따라서, 도18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접시(103)가 이빙하기 위해 만드는 회전 궤도의 원으로부터 보면, 생기는 얼음이 대폭 작아지는 제빙 블럭이었다고 전하게 된다. 또한, 온도 센서(114)는 도면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115)를 통하여 부착구(116)를 갖고 제빙 접시(103)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18, when viewed from the circle of the rotational track which the ice making dish 103 makes for ice, it is said that the generated ice was an ice making block which is greatly reduced. 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temperature sensor 114 is attached to the ice making tray 103 with the attachment hole 116 via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115.

또한, 도17에 도시한 급수 동작은 항상 정해진 일정한 동작을 행하는 것으 로, 제빙 접시로의 급수량을 바꾸기 위해, 예를 들어 급수 파이프의 운전 시간을 바꿀 수는 없었다. 바꾸어 말하면, 자동 제빙기는 항상 일정한 크기의 얼음을 만들기 위해 설정되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대중(표준)소의 얼음을 제빙 접시에 의해 만들고자 하는 연구는 없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supply operation shown in Fig. 17 always performs a predetermined constant operation, it is not possible to change the operating time of the water supply pipe, for example, in order to change the water supply amount to the ice making tray. In other words, automatic ice makers were always set to make ice of a certain size. Therefor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re is no research to make ice of the public (standard) by ice tray.

이는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공간에 설치된 제빙 접시의 용량(각각의 제빙 블럭의 용량)이 작았으므로, 큰 얼음으로서도 크기가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크기가 한정되어 있었던 얼음으로부터도 또한 작은 얼음을 선택할 수 있었더라도 매우 작은 얼음으로 되어 버리고, 이 제빙 블럭 내에서 대중소의 얼음을 만들어도 그다지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the capacity of the ice trays provided in the determined space (the capacity of each ice tray) was small, so that the size was limited even with large ice. In other words, even if small ice could be selected from the ice of limited size, it became very small ice and it was not meaningful to make ice of mass in this ice making block.

또한, 작은 얼음을 만들 때에는 각 제빙 블럭간의 수위의 고저차가 그다지 커지지 않기 때문에, 각각의 제빙 블럭에 물을 흘리고자 해도, 흐르는 물에 활기를 띠지 않고, 얼음의 표면 장력 또는 안내 홈의 저항이 뛰어나고, 급수 파이프로부터 급수된 물이 각 제빙 블럭에 흘러가지 않는다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In addition, when making small ic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each ice making block does not become very large. Even if it wants to flow water into each ice making block, it does not liven up flowing water, and it is excellent in the surface tension of ice or the resistance of a guide groove. The problem was tha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did not flow into each ice block.

종래의 냉장고 조립 냉장고용 자동 제빙기의 제빙 접시는 제빙 블럭간에 온도 센서를 부착하는 관계상, 제빙 블럭을 V자 형상으로 만들고 있었기 때문에, 이렇게 만드는 얼음 덩어리는 산형의 형상을 이루고, 볼륨이 작아서 시판되는 얼음 형상에 비교하면 볼품이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Since the ice trays of the automatic refrigerator ice maker for conventional refrigerator assembly refrigerators have a temperature sensor between the ice maker blocks, the ice maker blocks have a V-shape, and thus the ice masses formed in this form have a mountain shape and are commercially available due to their small volum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re was no look when compared to the ice shape.

또한, 각 제빙 블럭간의 칸막이벽에 설치된 홈보다 높은 수위가 되도록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이 홈부는 인접하는 제빙 블럭으로 만들어지는 얼음 사이의 연결부가 되어 버린다. 이 연결은 제빙 접시로부터 아이스 뱅크와 얼음이 낙하하는 충 격으로 해제되는 것이지만,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이 빠진 부분이 돌기부(109)가 되어 버린다. 이 돌기부(109)는 얼음의 모양을 그르칠 뿐만 아니라, 이 얼음을 입에 넣었을 때에 입에 거슬리게 된다. 즉, 종래예에서는 제빙된 얼음에 큰 돌기부가 형성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water is supplied so that the water level is higher than that of the grooves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s between the respective ice making blocks, the grooves become connection portions between the ice made by the adjacent ice making blocks. This connection is released by the impact of the ice bank and the ice falling from the ice making tray, but as shown in FIG. This protrusion 109 not only shapes the shape of the ice but also becomes annoying when the ice is put in the mouth. That i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there existed a subject that the big protrusion part will be formed in the ice-making ice.

또한, 이러한 종류의 자동 제빙기 조립 냉장고는 제빙된 얼음을 제빙 접시로부터 이빙시키는 데 구동 모터를 갖고 회전하고, 제빙 접시에 비트는 동작을 부여하여 이빙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제빙 접시의 주위에는 제빙 접시가 회전하는 회전 궤도의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그로 인해, 그 관계상, 큰 얼음을 만드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 즉, 얼음의 대중소를 선택 가능한 제빙 접시를 만들고자 하면, 필연적으로 제빙 접시가 커지고, 자동 제빙기의 설치 공간이 커지게 된다는 과제도 있었다.In addition, this type of automatic ice maker assembly refrigerato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ce is rotated with a driving motor to move the iced ice from the ice tray, and the ice tray is applied to the ice tray. Therefore, the space of the rotation track | route in which an ice tray rotates is secured around the ice tray. As a result, there was a limit to making large ice. In other words, if one wants to make an ice tray that can select a mass of ic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ice tray is inevitably larger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automatic ice maker is increased.

또한, 얼음의 크기를 선택 가능하다고 하면, 작은 크기의 얼음을 만드는 경우에는 급수량이 감소하게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빙 블럭 전체에 물을 흐르게 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In addition, if the size of the ice can be selecte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decreases when making ice of small siz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cannot flow through the entire ice making block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view of the said subject.

즉, 냉장실 내에 설치된 급수 탱크 내의 물을 냉동실 내에 설치된 제빙 접시 내에 급수하여 제빙을 행하는 자동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빙 접시는 길이 방향을 칸막이벽으로 복수열로 구획되고, 상기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열로 구획된 각 열은 횡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의 제빙 블럭으로 구획되 고, 상기 제빙 접시의 복수열로 구획된 하나의 열과 다른 열 사이를 중심축으로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빙 블럭의 외벽은 상기 중심축 부위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빙 접시의 회전 궤도가 만드는 원에 복수 부위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빙 블럭의 외벽 이외의 벽부도 상기 외벽 형상과 맞춘 형상으로서 상기 제빙 블럭을 다각형으로 한 것이다.That is, in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automatic ice maker which supplies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to the ice making tray provided in the freezer, and performs ice-making, The said ice making tray is divided into multiple rows by the partition wa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column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rows by the partition wall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ice-making blocks by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has a drive unit which rotates as a central axis between one row and another row partitioned by the plurality of rows of the ice tray. The outer wall of the ice making block is configured to contact a circle made by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ice making tray by the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portion in a plurality of portions, and the wall portions other than the outer wall of the ice making block are matched with the outer wall shape. The ice making block is a polygon.

또한, 상기 제빙 블럭의 최하면의 외측 단부와 상기 제빙 접시의 외측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외측으로 상기 제빙 접시의 외벽의 모서리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Moreover, the edge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said ice-making plate is arrange | positioned outside the straight line which connects between the outer edge part of the lowest surface of the said ice-making block, and the outer upper end part of the said ice-making plate.

또한,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회전 궤도가 만드는 원에 접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rn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with the circle made by the rotating track.

또한, 상기 하나의 열과 상기 다른 열 사이의 상기 중심축보다도 하방으로, 상기 제빙 접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온도 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외벽에 형성되는 평면부는 상기 복수의 제빙 블럭 중 상기 온도 센서가 배치 부분의 제빙 블럭의 상기 온도 센서측의 벽부에 형성되는 평면부보다도 작은 평면부로 한 것이다.Further, a temperature senso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ce tray is disposed below the central axis between the one row and the other row, and the flat portion formed on the outer wall has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plurality of ice blocks. It is set as the plane part smaller than the plane part formed in the wall part of the said temperature sensor side of the ice-making block of an arrangement part.

또한, 상기 칸막이벽 및 상기 횡 칸막이벽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의 폭을 6 ㎜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nd the lateral partition wall, and the width of the groove is 6 mm or less.

또한, 냉장실 내에 설치되는 급수 탱크 내의 물을 냉동실 내에 설치된 제빙 접시 내에 공급하여 제빙을 행하는 자동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급수 탱크의 물을 상기 급수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제빙 접시에 공급하는 급수기와, 냉장고 본체측에 구비되는 스위치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급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기의 구동 시간을 가변시켜서 상기 제빙 접시로의 급수량을 가변한 것이다.A refrigerator having an automatic ice maker for supplying water in a water supply tank installed in a refrigerating chamber to an ice maker in the freezer compartment to perform ice-mak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water to the ice tray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based on input information from a switch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main body side, and varying the driving time of the water supply unit to vary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dish.

또한, 상기 제빙 접시는 길이 방향을 칸막이벽으로 복수열로 구획되고, 상기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열로 구획된 각 열은 횡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의 블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빙 접시의 복수열로 구획된 하나의 열과 다른 열 사이를 중심축으로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빙 블럭의 외벽은 상기 중심축 부위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빙 접시의 회전 궤도가 만드는 원에 복수 부위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빙 블럭의 외벽 이외의 벽부도 상기 외벽 형상과 맞춘 형상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빙 블럭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 및 횡 칸막이벽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Further, the ice trays are partitioned in a plurality of rows by partition wa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row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rows by the partition walls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by a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a plurality of rows of the ice trays. A drive unit for rotating as a central axis between one row and another row partitioned, wherein an outer wall of the ice making block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circle made by the rotational track of the ice tray by the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part at a plurality of locations; The wall parts other than the outer wall of the said ice making block are also matched with the said outer wall shape, Comprising: The groove | channel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nd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partitioned by the said several ice-making block.

또한, 상기 제빙 접시에 급수된 후에 상기 중심축 부위에 상기 제빙 접시를 회전시켜 상기 제빙 접시를 경사지게 하는 요동 운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tra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give a rocking motion to incline the ice tray by rotating the ice tray to the central axis por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요동 운전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controller may also control the oscillation oper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또한, 냉장실 내에 배치되는 급수 탱크 내의 물을 냉동실 내에 설치된 제빙 접시 내에 급수하여 제빙을 행하는 자동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제빙 접시를 경사지게 한 후에 상기 제빙 접시를 수평 위치로 복귀하는 요동 운동을 부여하는 것이다.A refrigerator having an automatic ice maker for supplying water in a water supply tank disposed in a refrigerating chamber to an ice making tray provided in a freezer compartment to perform ice mak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turning the ice making tray to a horizontal position after the ice making tray is inclined. To give a rocking motion.

또한, 상기 요동 운동은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 상기 제빙 접시에 급수된 후 가며 이빙 동작 전에 행해진 것이다.In addition, the rocking motion is performed after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tray from the water supply tank and before the ice-making operation.

또한, 상기 제빙 접시는 길이 방향을 칸막이벽으로 복수열로 구획되고, 상기 급수 탱크 내의 물은 상기 제빙 접시의 상방으로 연장된 급수 파이프에 의해 상기 제빙 접시에 공급되고, 이 급수 파이프의 선단부는 상기 제빙 접시의 복수열로 구획된 열 중 하나의 열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상기 요동 운동은 상기 제빙 접시의 상기 하나의 열과 다른 열 사이를 중심축으로서, 상기 제빙 접시의 상기 하나의 열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한 후에 상기 제빙 접시의 열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ice tray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ws by partition wall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is supplied to the ice tray by a water supply pipe extending upward of the ice tray, and the tip por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is Located directly above one row of row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ws of ice trays, the rocking motion is a central axis between the one row of the ice trays and the other row, inclining the one row of the ice trays to be hig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o as to increase the heat of the ice tray after.

또한, 상기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열로 구획된 각 열은 홈이 형성된 횡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의 제빙 블럭으로 구획되고, 상기 급수 파이프의 선단부는 상기 횡 칸막이벽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each row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ws by the partition wall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ice-making blocks by a horizontal partition wall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nd the leading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will be.

또한, 상기 급수 탱크의 물을 상기 급수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제빙 접시에 공급하는 급수기를 구비하고, 냉장고 본체측에 구비되는 스위치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급수기의 구동 시간 및 상기 요동 운동의 경사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ice making tray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and the driving time of the water supply and the inclination of the rocking motion are based on input information from a switch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main body side.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또한, 상기 요동 운동의 부여를 상기 제빙 접시를 회전시켜 이빙시키는 구동 모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using the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ice making dish to give the rocking motion.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이하의 도면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한다.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냉장고 본체(1)는 위로부터 냉장실(2), 야채실(3), 냉동실(4)을 갖고 있고, 각각 전방면의 개 구부를 문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2)은 회전식의 냉장실 문(5)에 의해 전방면이 덮여져 있다. 이 냉장실 문(5)은 좌우 여닫이식의 문이라도 좋다. 냉장실(2)의 하방에 위치하는 야채실(3)은 전방면을 서랍식의 야채실 문(6)에 의해 덮여져 있고, 이 야채실 문(5)을 꺼냄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야채 용기가 함께 꺼내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냉장실 문(7)도 야채실 문(6)과 마찬가지로 서랍식 문이고, 냉동실 문(7)을 꺼냄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냉동 용기가 함께 꺼내어진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main body 1 has the refrigerating chamber 2, the vegetable chamber 3, and the freezing chamber 4 from the top, and the opening part of a front surface is closed by the door, respective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rigerating chamber 2 is covered with a front surface by the rotary refrigerating chamber door 5. The refrigerating chamber door 5 may be a left-right door. The vegetable compartment 3 located below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 is covered with a drawer-type vegetable compartment door 6 on its front face, and is configured such that a vegetable container (not shown) is taken out together by taking out the vegetable compartment door 5. hav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7 is also a drawer-type door similarly to the vegetable compartment door 6, and the freezer containe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is taken out together by taking out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7.

냉동실(4) 내에는 자동 제빙기(8)가 구비되고, 자동 제빙기(8)의 하방에는 이 자동 제빙기(8)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아이스 뱅크(9)에는 자동 제빙기(8)가 갖는 제빙 접시에서 만들어진 얼음 덩어리가 80 내지 100개분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제빙 접시의 제빙 블럭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8 내지 10개 정도이기 때문에, 자동 제빙기(8)에서 복수회 만들어진 얼음을 아이스 뱅크(9)에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An automatic ice maker 8 is provi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4, and an ice bank 9 for storing ice produced by the automatic ice maker 8 is disposed below the automatic ice maker 8. The ice bank 9 can store 80 to 100 pieces of ice chunks made from the ice trays of the automatic ice maker 8. That is, since there are about 8-10 ice-making blocks of an ice-making dish, the ice bank 9 can store the ice produced in the automatic ice-making machine 8 in the ice bank 9 several times.

자동 제빙기(8)의 제빙 접시에 반해, 제빙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보틀은 냉장실(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부호 10에서 나타낸 것은 급수 볼트이다. 이 급수 볼트(10) 내에는, 예를 들어 1000 ㏄ 내지 1200 ㏄ 정도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갖고 있다. 이 급수 볼트(10) 내의 물은 급수 펌프(12)에 의해 퍼 올리게 되고, 야채실(3)의 배면을 통하여 제빙 접시의 상방으로 연장된 급수 파이프(11)를 통하여 제빙 접시에 급수된다. 급수 파이프(11)의 선단부(11a)는 자동 제빙기(8)의 제빙 접시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빙 접시의 급수 블럭 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급수할 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량의 물을 제빙 접시에 급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수 펌프(12)의 운전 시간, 예를 들어 9초로 제빙 접시에서 필요로 하는 수량, 예를 들어 100 ㏄가 제빙 접시에 급수된다.In contrast to the ice tray of the automatic ice maker 8, a bottle for supplying water for ice making is arrang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2. Shown at 10 is the water supply bolt. The water supply bolt 10 has a capacity for storing water, for example, about 1000 kPa to 1200 kPa. The water in this water supply bolt 10 is pumped up by the water supply pump 12, and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tray via the water supply pipe 11 extended above the ice making tray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vegetable chamber 3. The tip end 11a of the water supply pipe 11 is located above the ice tray of the automatic ice maker 8, and is arrange | positioned so as to oppose the water supply block of an ice tray as mentioned later. In addition, when supplying water, a fixed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an ice making dish as mention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quantity of water required in the ice trays, for example, 100 kPa, is supplied to the ice trays by the operating time of the feed pump 12, for example, 9 seconds.

또, 본 실시예에서는 물을 제빙 접시에 공급하는 급수기로서 급수 펌프(12)를 사용한 것이지만, 반드시 펌프일 필요는 없고, 제빙에 필요한 양의 물을 제빙 접시에 공급할 수 있는 급수기면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eed water pump 12 is used as a water supply for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ing tray. However, the water supply pump 12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a pump, and may be a water supply capable of supplying water required for ice making to the ice making tray.

또한, 냉동실(7)은 1매의 문으로 덮여져 있을 필요는 없다. 즉, 예를 들어 독립된 냉동 온도대의 제빙실을 구비하고, 그 제빙실 전방면을 제빙실 문으로 덮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러한 경우는, 제빙실 문을 서랍식 문으로서 제빙실 문을 꺼냈을 때에 아이스 뱅크(9)가 함께 꺼내어지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한, 냉동 용기에 아이스 뱅크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냉동실(4) 내의 냉동 용기를 상하 이단으로서, 상측 용기의 제빙기의 바로 아래의 위치에 아이스 뱅크부를 위치하도록 구성하면 좋다.In addition, the freezing chamber 7 does not need to be covered with one door. That is,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is equipped with the ice-making chamber of independent refrigeration temperature zone, for example, and covers the ice-making chamber front surface with the ice-making chamber door. In such a case, the ice bank 9 may be taken out together when the ice making chamber door is taken out as the drawer door. In the case where the ice bank portion is provided in the freezing vessel, the freezing vessel in the freezing chamber 4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ice bank portion is positioned at a position just below the ice maker of the upper vessel.

도2는 자동 제빙기부의 사시 설명도이고, 자동 제빙에 관한 자동 제빙기(8)와 아이스 뱅크(9)를 도시하고 있다. 자동 제빙기(8)는 구동 모터를 내장하는 구동부(13), 제빙 접시(14) 및 이 제빙 접시(14)와 구동부(13)를 관련하는 프레임(15)을 구비하고 있다.2 is a perspective explanatory view of the automatic ice maker, and shows an automatic ice maker 8 and an ice bank 9 related to automatic ice making. The automatic ice maker 8 includes a drive unit 13 incorporating a drive motor, an ice maker 14, and a frame 15 associated with the ice maker 14 and the drive unit 13.

제빙 접시(14)의 일측에 설치된 베어링부(14a)에는 구동축(13a)이 끼워 맞추어지고, 제빙 접시의 타측 모서리에 설치된 보스(14b)는 프레임(15)에 끼워 맞추 고, 구동부(13)측의 구동 모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빙 접시(14)는 회전된다. 제빙 접시(14)의 구동부(13)와 반대측의 단부에는 후방으로 돌출한 볼록부(14c)가 설치되어 있고, 이 볼록부(14c)는 제빙 접시(14)가 소정량 회전하면 제빙 접시(14) 후방의 프레임(15)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15a)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drive shaft 13a is fitted to the bearing portion 14a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ce making tray 14, and the boss 14b provided at the other corner of the ice making tray is fitted to the frame 15, and the driving portion 13 side is fitted. The ice making dish 14 is rotated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A convex portion 14c protruding rearward is provided at an end opposite to the drive portion 13 of the ice making dish 14, and this convex portion 14c has an ice making dish 14 when the ice making dish 14 rotates a predetermined amount.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contact with the stopper 15a provided in the rear frame 15.

바꾸어 말하면,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빙 접시(14)는 볼록부(14c)와 스톱퍼(15a)가 접촉한 시점에서 일시 회전을 중지한 형태가 되지만, 구동 모터는 더 회전함으로써 제빙 접시(14)의 베어링부(14a)측과 보스(14b)가 스톱퍼(15a)에 접촉하는 측 사이에서 제빙 접시(14)는 비틀어짐이 가해진다. 제빙 접시(14)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비틀어짐으로써 제빙 접시(14) 내의 얼음은 제빙 접시(14)로부터 박리하고, 아이스 뱅크(9)측에 낙하한다. 구동 모터에 의해 소정량의 회전이 가해진 후에[즉, 제빙 접시(14)로부터 얼음을 이빙시키고, 낙하시킴으로써], 구동 모터는 역전하고, 제빙 접시(14)를 수평 위치로부터 조금 반 이빙 동작측까지 회전시킨다.In other words, the ice making dish 14 rotated by the drive motor is a form in which the temporary rotation is stopped when the convex portion 14c and the stopper 15a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ut the driving motor further rotates to make the ice making dish 14 rotate. The ice tray 14 is twisted between the bearing portion 14a side and the side where the boss 14b contacts the stopper 15a. The ice making dish 14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and by being twisted in this way, the ice in the ice making dish 14 peels from the ice making dish 14 and falls to the ice bank 9 side. After a predetermined amount of rotation has been applied by the drive motor (i.e., by ice ice and falling from the ice tray 14), the drive motor is reversed, and the ice tray 14 is moved from the horizontal position to the half anti-ice operation side. Rotate

이때, 제빙 접시(14)의 보스(14b)측은 수평 위치로 유지되고, 제빙 접시(14)의 베어링부(14a)측이 수평으로부터 역으로 반 이빙 동작측으로 조금 비틀어지도록 해 둔다. 이와 같이 조금 반 이빙 동작측으로 비틂으로써, 이빙시의 비틀림에 의해 발생하는 제빙 접시의 뒤틀리는 성질을 교정할 수 있다. 그 후, 제빙 접시(14)를 수평하게 복귀하고, 도1에 도시한 급수 파이프의 선단부(11a)로부터 급수를 수용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boss 14b side of the ice making tray 14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position, and the bearing part 14a side of the ice making tray 14 is twisted slightly to the anti-ebbing operation side from the horizontal. By twisting to the half half ice-operation side in this way, the twisting characteristic of the ice-making dish which arises by the torsion at the time of ice-making can be corrected. After that, the ice tray 14 is returned horizontally to receive the water supply from the tip portion 11a of the water supply pipe shown in FIG.

제빙 접시(14)는 냉장고(1)의 전후 방법, 즉 길이 방향을 종 칸막이벽(16)으 로 2열로 구획하고, 횡 칸막이벽(17)으로 수열로 구획하고, 이러한 종 칸막이벽(16) 및 횡 칸막이벽(17)에 의해 복수개의 제빙 블럭(18)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빙 블럭(18) 사이의 종횡 칸막이벽(16, 17)에는 홈(19)이 마련되어 있다. 이 홈(19)에 의해 물이 하나의 제빙 블럭(18)으로부터 다른 제빙 블럭(18)으로 유도된다. 이 홈(19)의 홈 폭(W)이 클수록 물의 안내 홈으로서 효과가 있지만, 복수의 제빙 블럭으로 생성된 얼음이 일체로 아이스 뱅크 내에 저빙되면, 사용하기 곤란하게 된다. 그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홈 폭(W)을 6 ㎜ 이하로 하고, 제빙하여 이빙시에 낙하하여 아이스 뱅크(9) 내에 저빙되었을 때에, 하나의 제빙 블럭(18)으로 만들어진 얼음이 다른 제빙 블럭(18)으로 만들어진 얼음과 달라붙어 버리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이빙시에 제빙 접시(14)에 가해진 비틀림 및 낙하할 때의 충격에 의해 각 얼음이 분리되는 홈 폭으로 되어 있다.The ice making dish 14 divid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1, 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o two rows by the vertical partition walls 16, and divid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o the water partitions by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s 17. Such vertical partition walls 16 And a plurality of ice-making blocks 18 by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s 17. The grooves 19 are provid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artition walls 16 and 17 between the respective ice making blocks 18. The grooves 19 direct water from one ice making block 18 to another ice making block 18. The larger the groove width W of this groove 19, the more effective it is as a guide groove for water. However, when ice generated by a plurality of ice making blocks is integrated into the ice bank, it becomes difficult to use it.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when the groove width W is 6 mm or less, the ice made of one ice making block 18 when the ice is dropped in the ice bank 9 and iced down is stored in the ice bank 9. It is set so that it will not stick with the ice which the other ice-making block 18 produced. That is, it is set as the groove width | variety in which each ice is isolate | separated by the torsion applied to the ice-making dish 14 at the time of ice-break, and the impact at the time of falling.

이와 같은 홈 폭으로 하면, 안내 홈(19) 내의 물이 제빙 블럭(18) 내와 함께 얼었을 때라도 도14의 종래예에서 나타낸 큰 연결부(109)와 같이 외관을 떨어지게 하거나 식감을 떨어뜨리는 일이 없는 작은 연결부가 되는 것이다.With such a groove width, even when the water in the guide groove 19 freezes with the inside of the ice making block 18, it causes the appearance or the texture to be degraded like the large connecting portion 109 shown in the conventional example of FIG. It's a small connection.

단, 상기의 종래 기술과 같이, 이 홈 폭에서는 물의 표면 장력과의 관계나 급수량과의 관계로부터 안내 홈(19)이 저항하게 되고, 각 제빙 블럭(18)에 균일하게 도수되지 않는 일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즉, 제빙 접시(4)에 급수된 물(예를 들어 1000 ㏄의 물)의 고저차가 작고, 안내 홈(19)에 의해서도 물의 왕래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과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this groove width, however, the guide groove 19 is resisted from the relation with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and the relation with the amount of water supply, so that the deicing block 18 cannot be uniformly fed. There is a case. That is,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water (for example, 1000 kPa of water) supplied to the ice-making dish 4 is small, and water may not be able to come and go even with the guide groove 19. This problem is mentioned later.

도3은 급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외관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 볼트(10)로부터 급수 펌프(12)에 의해 물이 퍼 올려지고, 퍼 올려진 물은 급수 파이프(11) 내를 통하여 급수 파이프 선단부(11a)로부터 제빙 접시(14)에 물이 공급된다. 급수를 수용하는 단계에서는, 제빙 접시(14)는 빈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for explaining the water supply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water is pumped up from the water supply bolt 10 by the water supply pump 12, and the water pumped up from the water supply pipe 11a to the ice tray 14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1. Water is supplied. In the step of accommodating the water supply, the ice making dish 14 is kept in a horizontal state as shown in the figure in an empty state.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수 볼트(10)는 1000 ㏄ 내지 1500 ㏄ 정도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볼트이고, 제빙 접시(14)는 100 ㏄ 전후의 물이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빙 접시(14)에 급수 볼트(10)로부터 제빙 동작을 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100 ㏄의 물을 보내는 것이 급수 펌프(12)의 역할이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급수 펌프(12)에서 결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 펌프(12)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즉, 제어부에서 급수 펌프(12)의 운전 시간을 제어하고, 예를 들어 9초로 정확히 100 ㏄의 물을 보내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빙 접시(14)로의 급수의 도의 급수 파이프(12)를 9초간 동작시키는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supply bolt 10 is a bolt capable of storing water of about 1000 kPa to 1500 kPa, and the ice making dish 14 is configured to enter water of about 100 kPa. By performing an ice making operation from the water supply bolt 10 to the ice making plate 14, it is the role of the water supply pump 12 to send 100 kPa of wat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not show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feed pump 12 to supply the amount of water determined by the water feed pump 12. That i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time of the feed water pump 12, for example, to send exactly 100 kPa of water in 9 seconds. Therefore, the water supply pipe 12 of the water supply to the ice making dish 14 is operated for 9 seconds.

급수 파이프(12)에 의해 급수 볼트(10)로부터 퍼 올려진 물은 급수 파이프(11)에 의해 급수 파이프 선단 파이프(11a)를 통하여 제빙 접시(14)의 A부(도3)에 급수된다. 이 A부는 선단 파이프(11a)와 그 바로 아래 부분에 위치하는 제빙 블럭(18)을 나타낸 부분이고, 선단 파이프(11a)로부터 낙하하는 물은 A부 내의 제빙 블럭(18)에 최초로 공급된다.The water pumped up from the water supply bolt 10 by the water supply pipe 12 is supplied to the A portion (Fig. 3) of the ice making dish 14 by the water supply pipe 11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tip pipe 11a. This part A is a part which shows the tip pipe 11a and the ice-making block 18 located in the lower part, and the water falling from the tip pipe 11a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block 18 in part A for the first time.

또한, 선단 파이프(11a)의 냉장고(1)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블럭(18) 사이의 횡 칸막이벽(17)의 대략 상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Moreover, the position of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1 of the front end pipe 11a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come substantially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7 between the ice-making blocks 18 as shown in the figure.

A부에 급수되면 이 부분[제빙 블럭(18)]의 수위가 도4의 L2와 같이 한순간 올라가기 때문에, 급수된 물은 고저차를 이용하여 도3의 a 화살표와 같이 A부 이외의 제빙 블럭(18)을 향하여 흐른다. 그리고 마침내 안내 홈(19)에 의한 제빙 접시(14) 전체의 제빙 블럭(18) 내의 수위가 동일 레벨에 도달하는 것이다[도면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2열인 제빙 블럭(18) 전체임]. 즉, 본 실시예의 안내 홈(19)은 길이 방향의 제빙 블럭(18) 전체로 유도되도록 횡 칸막이벽(17)에는 모두 설치되어 있다.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A part, the water level of this part (the ice making block 18) rises for a moment as shown in L2 of FIG. 4, so that the water supplied is made using the height difference as shown in the arrow A of FIG. To 18). Finally, the water level in the ice making block 18 of the whole ice making dish 14 by the guide groove 19 reaches the same level (it is the whole ice making block 18 of 2 rows although it is not shown in figure). That is, the guide grooves 19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all provided o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7 so as to be guided to the entire ice making block 1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4를 이용하여 안내 홈(19)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는 도3의 P 화살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횡 칸막이벽(17)에 마련된 안내 홈(19)의 홈 폭(W)은 도2에서 설명한 안내 홈 폼과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안내 홈(19)의 깊이(L1)는 각 제빙 블럭(18)에 대하여 물을 유도하는 데 충분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0개 있는 제빙 블럭(18)에 균일하게 물을 안내하도록 홈(19)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제빙 블럭(18)에는 전부 물이 공급되게 된다.The guide groove 1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is a view indicated by the P arrow of FIG. The groove width W of the guide groove 19 provided in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7 has shown the same thing as the guide groove form demonstrated in FIG. The depth L1 of this guide groove 19 is formed to a depth sufficient to guide water to each ice making block 18. In this embodiment, the grooves 19 are provided to uniformly guide the water to the ten ice making blocks 18. Accordingly, water is supplied to all of the ice making blocks 18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선단 파이프(11a)의 냉장고(1)의 폭 방향의 위치는 폭 방향에 2열로 설치된 제빙 블럭(18) 중 하나의 열[도4의 좌측의 급수 블럭(18)]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3의 A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파이프(11a)로부터 낙하하는 물은 폭 방향의 하나의 열에 최초로 공급되게 되고, 이 하나의 열의 최초로 급수된 도3의 A부에 도시한 제빙 블럭(18)으로부터 안내 홈(19)을 통하여 도3의 화살표 a와 같이 각 블럭으로 유도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1 of the tip pipe 11a is located directly above one row of the ice making blocks 18 provided in two rows in the width direction (water supply block 18 on the left side of FIG. 4). It is arranged. That 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shown in part A of FIG. 3, water falling from the tip pipe 11a is first supplied to one row in the width direction, and part A of FIG. From the ice making block 18 shown in the drawing, through the guide groove 19, it is led to each block as shown by arrow a in FIG.

다음에 도5를 갖고 제빙 접시(14)의 요동 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제빙 블럭(18) 내의 수위의 평균화를 행하기 위해, 제빙 접시(14)를 경사지게 하여 수평하게 복귀한다는 일련의 요동 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이 요동 동작은 구동부(13)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이 요동 동작은 이빙 동작의 경우의 제어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5, the rocking motion of the ice making dish 14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average the water level in each ice making block 18, a series of rocking | movement operation | movement which inclines the ice making pan 14 and returns horizontally is performed. This rocking motion is performed by the drive of the drive unit 13, but this rocking motion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similarly to the control in the case of the ice breaking operation.

도5는 도4의 상태에 있는 제빙 접시(14)를 좌우로 요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4의 상태에 있는 제빙 접시(14)는 급수 파이프(11)로부터 급수를 수용하면, 곧 도5의 실선 또는 2점 쇄선과 같이 경사(요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제빙 접시(14)가 경사지는 양은 제빙 접시 내의 물이 넘쳐 흐르지 않는 경사 각도이다.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ice tray 14 in the state of Fig. 4 is rocked from side to side. That is, the ice making dish 14 in the state of FIG. 4 is inclined (swing) like the solid line or the two-dot chain line of FIG. 5 when water supply is receiv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11. At this time, the amount by which the ice tray 14 is inclined is an inclination angle at which water in the ice tray does not overflow.

이 요동 동작은 최초로 급수를 수용한 제빙 블럭(18)[도4의 좌측의 급수 블럭(18)]측의 수위가 높기 때문에, 처음은 급수를 수용한 제빙 블럭(18)측을 높게 타측을 낮아지도록(도5의 실선) 경사시키는 동작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이 요동 동작은 도5의 실선, 2점 쇄선의 상태를 수회 반복하는 것이다.This rocking operation has a high water level on the ice making block 18 (water feed block 18 on the left side of FIG. 4) that first received the water supply, so that the other side is lowered first on the ice making block 18 side that accommodates the water supply. To incline (solid line in Fig. 5) to achieve the operation. In addition, this swinging operation repeats the state of the solid line and the dashed-dotted line of FIG. 5 several times.

즉, 2열의 제빙 블럭(18)으로 구성된 제빙 접시(14)에서, 일측의 제빙 블럭(18)(도4의 좌측)의 상방으로 선단 파이프(11a)를 구비한 경우에는, 최초의 요동 동작은 상기 일측의 제빙 블럭(18)을 높게, 타측의 제빙 블럭(18)을 낮게 하도록 행한다. 이 요동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에는, 양측의 제빙 블럭의 수위를 상기 정도로 하기 때문에 요동 각도는 정역과 함께 동일해서 좋고, 주기도 동일하게 하면 좋다. 또한 요동 각도를 바꾸는 경우에는 제1 요동(도5의 실선에 나타내는 요동 중 최초의 요동)의 요동 각도를 가장 크게 하면 효율상 좋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 서도 복수회의 요동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종반의 요동 동작의 각도는 정역 동일 각도로 하면 좋다.That is, in the ice tray 14 composed of two rows of ice making blocks 18, when the tip pipe 11a is provided above the ice making block 18 (the left side in Fig. 4) on one side, the first rock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ice making block 18 of one side is made high and the ice making block 18 of the other side is made low. When the swinging operation is repeated, the swing angl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icemaker blocks on both sides, and the swinging angles may be the same as the stationary range, and the periods may be the same. In addition, when changing the rocking angle, it is good for efficiency if the rocking angle of the first rocking (the first rocking among the rockings shown in the solid line in Fig. 5) is made largest. Even in such a case, when repeating a plurality of rocking motions, the angle of the final rocking motion may be the same as the forward and reverse angles.

이 요동 동작에 대해서 도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실시예의 제빙 제어 흐름도가다. 이빙 동작이 완료되고, 제빙 접시(14)가 도4와 같이 수평한 상태로 유지되면, 다음의 제빙을 행하기 위해 스텝 21에 의해 급수 동작이 개시된다. 여기서 제빙 접시(14)에 100 ㏄의 물이 급수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급수는 제빙 접시(14) 안의 한정된 제빙 블럭(18)에 행해지기 때문에, 급수된 물은 고저차에 의해 안내 홈(19)을 통하고, 다른 제빙 블럭(18)으로 이동한다. 안내 홈(19)의 저항을 이기는 정도로 인접하는 제빙 블럭(18) 사이의 수위차가 있는 사이는 이를 반복하지만, 급수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빙 블럭(18)에 있어서는 흐름이 정지되어 버리게 된다.This rock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is an ice making control flowchart of this embodiment. When the ice mak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ice making dish 14 is kept in a horizontal state as shown in Fig. 4, the water supply operation is started by step 21 to perform the next ice making. Here, 100 kPa of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dish 14.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supply is made to the limited ice block 18 in the ice tray 14, the water supplied is moved through the guide groove 19 by the height difference and moved to another ice block 18. do. While there is a water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adjacent ice making blocks 18 to the extent that the resistance of the guide groove 19 is overcome, the flow is stopped in the ice making blocks 18 far from the water supply.

즉, 안내 홈(19)은 고저차를 이용하여 제빙 블럭(18)으로부터 인접하는 제빙 블럭(18)으로 흐르고자 하지만, 고저차가 작아지면 물이 안내 홈(19)의 저항에 못이겨 이동하지 않는 일이 자주 생긴다.That is, the guide groove 19 is intended to flow from the ice making block 18 to the adjacent ice making block 18 using the height difference, but when the height difference becomes small, water does not move due to resistance of the guide groove 19. This happens often.

이를 방해하는 것이 다음의 스텝 22이다. 급수 동작(21)이 완료되면, 다음에 요동 동작으로 들어간다. 이 요동 동작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완료(23) 전에 행하는 것이고, 도5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접시(14)를 축 부위에 수회(일정 각도라도 요동마다 다른 각도라도)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정역 회전을 요동한다. 요동을 개시하는데 있어서 적당한 급수 파이프(11)의 선단 파이프(11a)에 대향하는 측(도4의 경우 H측)을 최초로 높아지도록(도5의 실선) 설정해 둔다. 왜냐하면, 선단 파이프(11a)에 대응하는 측의 수위(도4의 L)가 부호 L2와 같이 높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 부호 L2의 수위에 있는 물을 넘쳐 흐르게 하지 않기 위해서도 H측을 최초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하는 것이다.Interfering with this is the following step 22. When the water supply operation 21 is completed, it enters the swinging operation next. This oscillation operation is performed before the ice making completion 23 as shown in FIG. 8, and as shown in FIG. 5, the ice making dish 14 is several times (even a predetermined angle or different angle for each oscillation) at the shaft portion. Swing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In starting swinging, the side (H side in FIG. 4) facing the tip pipe 11a of the suitable feed water pipe 11 is set to be initially high (solid line in FIG. 5). This is because the water level (L in Fig. 4) on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tip pipe 11a is as high as the sign L2. In other words, in order not to overflow the water in the water level of this code L2, the H side is inclined so that it may become high for the first time.

스텝 21에서 급수 동작이 완료되면, 스텝 22로 이동하여 제빙 접시(14)로의 요동 동작을 부여할 수 있다. 이 시간은 예를 들어 1 내지 2분 전후로 요동 동작은 4 내지 5회가 좋다. 이 요동 동작은 어디까지나 각 제빙 블럭(18)에 급수된 물을 흐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제빙 블럭(18) 내의 공기의 기포를 밀어내기 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급수 직후로 실시할 수 있고, 또한 1 내지 2분으로 단시간에 끝내는 것이다.When the water supply operation is completed in step 21, the flow advances to step 22 to impart a rocking motion to the ice tray 14. This time is, for example, about 1 to 2 minutes, the swinging motion is preferably 4 to 5 times. This swinging motion is for flowing water supplied to each ice making block 18 to the last. In other words, it is not for pushing air bubbles in the ice making block 18. Therefore, it can carry out immediately after water supply and finishes in a short time in 1 to 2 minutes.

요동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파이프(11a)는 칸막이벽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급수 파이프(11)로부터의 물은 칸막이벽 상에 낙하한다. 이때, 물의 기세에 따라 칸막이벽으로부터 뛰어올라 제빙 블럭(18) 이외의 장소에 부착하는 경우가 있다. 제빙 접시(14)는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된 물이 상기 부분에서 얼어붙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제빙 접시(14)의 외측의 모서리에 부착되면, 그 위치에서 부착된 물이 얼어붙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요동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그 부분의 물이 낙하하고, 제빙 접시 모서리부에서의 물방울의 얼어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 By performing the rocking mo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As shown in FIG. 3, the tip pipe 11a is located above the partition wall, an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11 falls on the partition wall. At this time, it may jump from a partition wall and adhere to places other than the ice-making block 18 according to the force of water. Since the ice making dish 14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a freezing temperature zone, the attached water may freeze in the said part. For example, when attached to the outer edge of the ice tray 14, the water attached at that position may freeze. However, by performing the rocking motion, the water of the portion falls, and the freezing of the water droplets at the corners of the ice tray can be prevented.

다음에 도6, 도7을 갖고 요동 동작에 의한 수위의 변화를 설명한다. 도6은 도5의 실선 제빙 접시 내의 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7은 도5의 2점 쇄 선 제빙 접시 내의 물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he change of the water level due to the swing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water in the solid line ice tray of FIG. 5, an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water in the two-dot chain line ice tray of FIG. 5.

도6의 (a)는 급수 직후의 제빙 블럭(18)의 수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수위로 안내 홈(19)을 통하여 제빙 블럭(18b)측에 흐르는 것이 보통이지만, 안내 홈(19)의 폭(W) 치수(도4)가 작아지면 물의 표면 장력이 안내 홈(19)이 갖는 저항에 못이기고, 도6의 (a)의 상태가 된다. 이때, 제빙 접시(14)와 같이 경사지게 하면 물에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는 동시에 점선의 수위와 같이 고저차가 경사분 가산되므로, 안내 홈(19)의 저항을 깨고 제빙 블럭(18b)측에 물이 흐른다(실선의 수위). (실선의 수위)제빙 접시(1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 같은 이유로 제빙 접시는 도6의 (c)와 같게 되고, 수위는 상기 레벨이 된다. 역으로, 도7은 반 H측의 제빙 블럭(18b)에 물을 급수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는 도7의 (b)와 같이 반 H측을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하도록 한 것이다. 다른 설명은 도6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Fig. 6A shows the water level of the ice making block 18 immediately after water supply. It is common that this water level flows through the guide groove 19 to the ice making block 18b side, but when the width W dimension of the guide groove 19 decreases (Fig. 4),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is increased. It is short of the resistance which it has, and it will be in the state of FIG. At this time, when inclined like the ice tray 14, the movement can be imparted to the water, and the height difference is added to the inclined portion as the level of the dotted line, so that the water breaks the resistance of the guide groove 19 and the water reaches the ice making block 18b. Flow (solid water level). (Solid Water Level) When the ice making dish 14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ice making dish becomes the same as in Fig. 6C for the same reason, and the water level becomes the above level. Conversely,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block 18b on the half H sid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7 (b) is to be inclined so as to increase the half H side. Other descrip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FIG. 6, and thus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수평 상태로 위치하는 제빙 접시(14)에 대하여 급수하고, 그 후에 제빙 접시(14)를 요동시켜 수위의 평균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급수하기 전에 수위의 평균화에 필요한 각도만큼 제빙 접시(14)를 기울여 두고, 그 상태로 제빙 접시에 대하여 급수하고, 그 후에 제빙 접시(14)를 수평 위치로 복귀해도 좋다. 즉, 도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도만큼 제빙 접시(14)를 경사지게 한 상태로 급수함으로써, 수위의 평균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요동 동작을 일부 생략할 수 있고, 단시간에 수위의 평균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급수 중에 요동 동작을 행 하여도 수위의 평균화를 도모할 수 있고, 급수와 요동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제빙 시간의 단축에도 연결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water is supplied to the ice-making dish 14 located in a horizontal state, the ice-making dish 14 is rocked after that, but the water level is averaged,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before supplying water, the ice making dish 14 may be inclined by an angle necessary for averaging the water level, and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ice making dish in such a state, and the ice making dish 14 may be returned to the horizontal position after that. That is, the water level can be averaged by supplying water in the state in which the ice making dish 14 is inclined by the angle as shown in FIG.6 (b). In this way, a part of the rocking motion can be omitted, and the water level can be averaged in a short time. Moreover, even if rocking operation | movement is performed during water supply, the water level can be averaged and it is also connected to shortening ice-making time by performing water supply and rocking simultaneously.

모든 경우라도 요동 완료는 급수 완료와 동시 또는 급수 완료보다도 늦게 요동이 완료되도록[즉, 제빙 접시(14)가 수평 위치로 복귀함] 제어함으로써, 수위의 평균화에 기여하는 것이다.In all cases, the rocking completion is contributing to the averaging of the water level by controlling the rocking to be completed at the same time as the completion of the water supply or later than the completion of the water supply (that is, the ice tray 14 returns to the horizontal position).

도8로 복귀하여 자동 제빙기(8)의 동작을 설명한다.Returning to Fig. 8,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ice maker 8 will be described.

제빙 접시(14)의 제빙 블럭(18a, 18b)에[도6, 7의 (c)와 같이] 물이 거의 균일하게 회전한 상태로 제빙을 개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스텝 23에서 제빙 완료를 검출한다. 이 제빙 완료는 후술하는 제빙 접시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소정 온도 이하가 되지 않으면(또는 소정 온도가 되고나서 소정 시간의 경과가 되고 있지 않으면), 제빙이 완료되어 있는 않은 것으로 하여 제빙을 더 계속한다. 제빙이 완료되어 있으면 스텝 24로 진행하고, 아이스 뱅크(9) 내의 저빙 검출을 행하는 검빙 동작으로 이동한다. 이 검빙 동작 결과에 의해 스텝 25에서 저빙량이 가득 찬 경우는 이빙 동작으로 이동하지 않고, 제빙 접시(14) 내에 생긴 얼음을 저장하고, 아이스 뱅크(9) 내가 가득 차 있지 않은 경우는 제빙 접시(14)를 반전시켜 제빙 접시(14)로부터 아이스 뱅크(9) 내로 얼음을 떨어뜨리는 이빙 동작을 행하는 스텝 26으로 이동한다.De-icing can be started in a state in which water is almost uniformly rotated to the ice-making blocks 18a and 18b of the ice-making dish 14 (as shown in FIGS. 6 and 7 (c)). Subsequently, the ice making completion is detected in step 23. This ice making completion is detected by the below-mentioned ice tray temperature sensor, and if it does not become below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it does not pass a predetermined time after reaching predetermined temperature), ice-making is continued as ice-making is not completed. do. If ice making is completed, it progresses to step 24 and it moves to the ice detection operation | movement which performs the ice-saving detection in the ice bank 9. If the amount of ice is filled in step 25 by the result of this ice detection operation | movement, it does not move to an ice-making operation, but the ice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d in the ice-making tray 14 is stored, and when the ice bank 9 is not full, the ice-making tray 14 ) Is reversed,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26 where an ice-making operation of dropping ice from the ice making dish 14 into the ice bank 9 is performed.

이빙 동작 후는 다시 스텝 21의 급수 동작으로 복귀하는 것이다.After the ice operation, the flow returns to the water supply operation in step 21 again.

도8에 도시한 제어 흐름을 행하는 자동 제빙기에 있어서, 제빙 접시(14)에 요동 동작을 부여하는 수단은 예를 들어 제빙 접시(14)에 정전, 역전 동작을 부여 하는 구동부(13) 내의 구동 모터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In the automatic ice maker which performs the control flow shown in FIG. 8, the means for giving a rocking motion to the ice making tray 14, for example, the drive motor in the drive part 13 which gives an electrostatic and reversing operation to the ice making tray 14, for example. Is most effective.

즉, 구동 모터는 제빙 접시(14)로부터 생긴 얼음을 떨어뜨리기 위해 행하는 이빙 동작(정전)을 행한 후, 이 제빙 접시(14)를 원래의 위치보다 적은 상태로 넘겨 제빙 접시를 교정하는 반전 동작(역정)을 행한다. 상기의 요동 동작을 행하는 구동 모터는 이 정전 역전 운동의 일부의 동작을 이용하는 것이다.That is, the driving motor performs an ice-making operation (electrostatic discharge) performed to drop ice generated from the ice making dish 14, and then flips the ice making dish 14 to a state smaller than the original position to correct the ice making dish. Reverse adjustment). The drive motor which performs the rocking motion described above uses a part of the electrostatic reversal motion.

바꾸어 말하면, 구동 모터에는 요동 동작을 행하는 제어 수단이 조립되어 있어 이 제어 수단을 동작시키면 구동 모터는 정전, 반전측으로 제빙 접시 내의 물을 넘쳐 흐르지 않을 정도의 경사로 요동시키는 것이다.In other words, a control means for oscillating motion is incorporated in the drive motor. When the control means is operated, the drive motor swings at an incline such that the water in the ice making tray does not overflow to the electrostatic and inverting sides.

만약, 이 구동 모터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른 수단을 갖고 제빙 접시(14)에 요동 동작을 부여하면 된다. 요컨데 본 발명은 급수된 제빙 접시(14)에 요동 동작을 부여하고, 제빙 접시가 만드는 각 제빙 블럭 내에 균일하게 물을 회전하도록 하면 그 목적은 달성되는 것이다.If this drive motor is not available, the swinging motion may be applied to the ice making dish 14 with other means. In sho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rocking motion to the watered ice making dish 14, and the object is achieved by uniformly rotating water in each ice making block made by the ice making dish.

다음에 도9 내지 도11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제빙 접시(14) 형상을 설명한다. 도9는 실시예의 제빙 접시(14)를 이면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10은 도9의 A - A 단면도이고, 도11은 도9의 B - B 단면도이다.Next, the shape of the ice making dish 14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using FIGS. FIG. 9 is a view of the ice tray 14 of the embodiment seen from the back side,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9, and FIG.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접시(14)에는 종 칸막이벽(16), 횡 칸막이벽(17)에 의해 구획된 제빙 블럭(18)이 복수개 구비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10개의 제빙 블럭이 2열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빙 접시(14)의 길이 방향은 냉장고(1)의 전후 방향으로 대응하고 있고, 냉장고(1)의 전방측에는 베어링부(14a)가 설치되고, 구동부(13)의 구동축(13a)을 수용하여 구동축(13a)을 회전 중심으로서 회전을 가할 수 있다. 타방측에는 보스(14b)와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빙 블럭(18) 사이의 칸막이벽에는 안내 홈(19)이 형성되어 있고, 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제빙 블럭(18)의 수위를 고르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ce making dish 1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ce making blocks 18 partitioned by a vertical partition wall 16 and a horizontal partition wall 17. In the present embodiment, ten ice making blocks are provided. It is arranged in two rows in parallel.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is ice tray 14 corresponds to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1, The bearing part 14a is provided in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or 1, and receives the drive shaft 13a of the drive part 13, The drive shaft 13a can be rotated as the center of rotation. The boss 14b and the convex part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A guide groove 19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between each ice making block 18, and it is provided in order to level the water level of each ice making block 18 as mentioned above.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부호 27은 제빙 접시(14)로부터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회전하였을 때 제빙 접시(14)의 회전 궤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 회전 궤도(27)는 제빙 접시(14)가 구성되는 가장 큰 회전 궤도를 나타낸 것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제빙 접시(14)의 좌우 상단부(T)가 이 회전 궤도(17)와 접하고 있다. 제빙 접시(14)의 다른 부분은 회전 궤도(27)에 접하거나 또는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 궤도(27)의 외측에 위치하는 일은 없다(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있을 경우, 그 부분이 그리는 궤도가 여기서 말하는 회전 궤도가 되기 때문임).Reference numeral 27 shown in Figs. 10 and 11 indicates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ice tray 14 when it is rotated to ice the ice from the ice tray 14. The rotary track 27 shows the largest rotary track in which the ice tray 14 is configured. In this embodiment, the left and right upper ends T of the ice tray 14 shown in Figs. It is in contact with the rotary track 17. The other part of the ice tray 14 is in contact with or is located inside the rotary track 27, and is not located outside the rotary track 27 (when there is a part located outside, the track that the part draws) Is the rotational track here.

도면에 있어서, 제빙 블럭(18)은 우선 제빙 접시(14)가 만드는 회전 궤도(27) 중에 같은 크기의 2개의 원을 그리고, 이 원에 가까운 형태를 제빙 블럭(18)으로 한 것이다.In the figure, the ice-making block 18 first draws two circles of the same size in the rotational track 27 made by the ice-making dish 14, and makes the ice-making block 18 the shape close | similar to this circle.

즉, 제빙 블럭(18)을 만드는 외벽(28)은 제빙 블럭(18)의 최하단부와 상단부(T) 사이에서 회전 궤도(27)에 복수 부위 접촉하고, 또는 근접시켜 제빙 블럭(18)을 다각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빙 블럭(18)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센서 부착부(31)의 선단부 또는 제빙 블럭(18)의 최하단부 중, 회전 중심으로부터 먼 방향과 제빙 블럭(18)의 좌우 상단부(T)를 회전 중심으로부터 거의 같은 위치로서 회전 궤도(27)와 접하도록 하고, 그 사이에 있는 제빙 블럭(18) 의 외벽(28)의 일부분 또는 복수 부분이 이 회전 궤도(27)와 접하도록 제빙 블럭(18)의 형상을 정한 것이다. 제빙 블럭(18)의 외벽(28)측의 최하면(B)과 상단부(T)의 관계에서는 최하면(B)의 단부는 회전 궤도(27)와 접하도록 설치하고 있고, 이 최하면(B)의 단부와 상단부(T)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외측에 외벽(28)이 위치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That is, the outer wall 28 which makes the ice-making block 18 contacts the rotation track | orbit 27 with multiple parts between the lowest end part and the upper end part T of the ice-making block 18, or is made to make the ice-making block 18 polygonal shape. I am doing it.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either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nsor attachment portion 3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ice making block 18 or the lowest end of the ice making block 18, the direction far from the rotation center and the left and right upper ends T of the ice making block 18. ) Is in contact with the rotary raceway 27 at about the same position from the center of rotation, and a part or a plurality of parts of the outer wall 28 of the ice making block 18 in between are in contact with the rotary raceway 27. The shape of (18) is def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wermost surface B and the upper end portion T of the outer wall 28 side of the ice making block 18, the end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B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otational track 27. The outer wall 28 is located outside the straight line that connects the end portion and the upper end portion T).

바꾸어 말하면, 제빙 블록(18)은 반구 형상에 근접하고 제빙 블럭(18) 내의 용적을 확대하고 있다. 이 용적 확대를 위한 다각형 형상화는 외벽(28), 내벽(29)은 물론 종 칸막이벽(16), 횡 칸막이벽(17)에 대해서도 외벽(28), 내벽(29)에 본떠서 같은 형상으로서 제빙 블럭(18)의 용적을 확대한다.In other words, the ice making block 18 is close to the hemispherical shape and enlarges the volume in the ice making block 18. The polygon shaping for volume expansion is the same shape as the outer wall 28, the inner wall 29, the longitudinal partition wall 16, and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7 in the same shape as the outer wall 28 and the inner wall 29 as the ice making block. Enlarge the volume of (18).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블럭(18)의 바닥부 이면측에는 온도 센서(30)의 부착을 위한 센서 부착부(31)가 설치되고, 이 부착부(31)가 회전 궤도(27)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결과 생긴 얼음은 제빙 블럭(18) 바닥면이 다면 형상(다이아 형상)이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a sensor attachment portion 31 for attaching the temperature sensor 30 is provided on the bottom back side of the ice making block 18, and the attachment portion 31 is provided. It is provided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rotary track 27. The resulting ice has a multi-sided shape (diamond shape)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ice making block 18.

온도 센서(30)는 종래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서미스터를 수지로 고정한 것으로, 예를 들어 폭 15 ㎜, 두께 10 ㎜, 길이 40 ㎜의 가늘고 긴 원형 봉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온도 센서(30)는 단열재(32)를 통하여 압박구(33)를 갖고 제빙 접시(14) 이면에 도9와 같이 부착되어 있다. 또, 압박구(33)는 부착 다리부(31)에 계지되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e temperature sensor 30 is fixed with a thermistor by resin and has, for example, an elongated circular rod shape having a width of 15 mm, a thickness of 10 mm, and a length of 40 mm. The temperature sensor 30 has a pressing hole 33 throug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32 and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ice making dish 14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pressing tool 33 is latched by the attachment leg 31.

이 온도 센서(30)를 부착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빙 블럭(18)의 내벽(29)은,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빙 블럭(18)과 비교하여 다각형 형상으로 한 내벽(29)의 하나의 모서리부가 생략되고, 그 생략된 모서리부의 상하 모서리부 사이를 거의 다면 직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외벽(28)측의 최하단부(B)와 인접하는 내벽(29)측의 최하면과 내측의 상단부(T) 사이를 연결하는 내벽(29) 부분에 다른 제빙 블럭[즉, 온도 센서(30)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제빙 블럭]의 내벽(29) 부분과 비교하여, 단면이 긴 직선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있고(도9에 도시한 위로부터 2번째의 제빙 블럭의 내벽은 단면이 긴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큰 평면 형상이 생기고 있음), 대향하는 외벽(28)과 다른 제빙 블럭(18)의 내용적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즉, 온도 센서(30)가 부착되어 있는 측의 평면부와, 온도 센서(30)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측[즉 외벽(28)측]의 평면부 및 온도 센서(30)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다른 제빙 블럭의 다각형을 형성하는 평면부를 비교하면 후자 쪽이 작은 평면부로 하고 있다.The inner wall 29 of the ice making block 18 disposed at the position where the temperature sensor 30 is attached is one corner of the inner wall 29 having a polygonal shape compared to the ice making block 18 disposed at another position. The part is omitted and is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dge parts of the omitted corner part. That is, another ice-making block (that is, the temperature sensor 30) is formed on the inner wall 29 portion connecting the lowermost end B on the outer wall 28 side and the lowermost end on the inner wall 29 side and the upper end T on the inner side. ), Compared with the inner wall 29 portion of the ice making block to which the ice making block is not attached, and there is a part where the cross section is connected by a long straight line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ice making block from the top shown in FIG. Since it is connected, a large planar shape is produced), the outer wall 28 and the other ice-making block 18 which are facing are made in the direction which makes small the content. That is, the flat part on the side to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30 is attached, the flat part on the side (that is, the outer wall 28 side) to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30 is not attached, and the temperature sensor 30 are not attached. Compared with the flat part which forms the polygon of another ice-making block, the latter is made into the small flat part.

이렇게 함으로써, 온도 센서(30)가 부착되는 위치의 제빙 블럭(18) 사이의 공간에는 도10에 도시한 사선부(34)로 나타낸 공간이 형성된다. 이 사선부(34)의 부분을 이용하여 온도 센서(3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사선부(34)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빙 블럭(18)의 2 내지 4개분의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In this way, a space indicated by the oblique portion 34 shown in FIG. 10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ice making blocks 18 at the position where the temperature sensor 30 is attached. The temperature sensor 30 is attached using the part of this oblique part 34. As shown in Fig. 9, the oblique portions 34 are provided in two to four portions of the ice making block 18. Figs.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제빙 접시의 회전 공간을 바꾸지 않고 같은 공간 안에서 얼음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빙 블럭(18)의 형상이 원형상에 의해 근접하게 되기 때문에, 크기를 바꾸어도 외형이 크게 바뀌지 않는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 칸막이벽(16) 및 횡 칸막이벽(17)의 두께가 작아지기 때문에 각 제빙 블럭(18) 사이의 거리 홈이 짧아지고, 제빙 접시(14) 전체로 서의 제빙 능력의 향상에도 연결된다. 또한, 칸막이벽(16, 17)의 두께가 작아짐으로써 홈(19)의 두께도 작아지기 때문에, 얼음의 연결 부분이 작아져 말끔한 형상의 보기 좋은 얼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19)의 두께가 작아진다는 것은 이 홈(19)을 통하는 물이 수용하는 저항도 작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급수된 물이 각 제빙 블럭(18)에 쉽게 미치게 된다. 또한, 얼음의 형상이 일부가 거의 구형인 다면체이기 때문에 아이스 뱅크(9)로의 낙하의 충격에도 잘 깨지지 않고, 사용자가 얼음을 사용할 때에도 보기 좋은 것을 제공할 수 있다.By setting it as the shape mentioned above, ice can be enlarged in the same space, without changing the rotation space of the conventional ice-making dish.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ice making block 18 comes close to the circular shape, it is possible to provide ice whose appearance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even if the size is changed.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vertical partition wall 16 and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7 becomes small, the distance groove between each ice-making block 18 becomes short, and it is connected also to the improvement of the ice-making ability as the whole ice tray 14. do. In addition, since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s 16 and 17 is reduced, the thickness of the grooves 19 is also reduced, whereby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ice is small, so that a nice ice having a neat shape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smaller the thickness of the groove 19 is, the smaller the resistance accommodated by water passing through the groove 19 is. Thus, the water supplied easily reaches each ice making block 18.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ice is a partially spherical polyhedron, it is hard to be broken even by the impact of falling on the ice bank 9,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ood thing even when the user uses the ice.

제빙 접시(14)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 형상이 됨으로써, 비틀림이나 중첩 부하에 대한 강도가 향상되고, 보다 얇은 두께의 제빙 접시로 할 수 있다. 또한, 완전한 반구형이 아닌 다각형 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빙 접시 전체의 강성이 억제됨으로써, 이빙에 필요한 구동 모터에 의한 비틀림의 토크가 억제되어 이빙 불량을 막을 수 있다.By such a shape also about the ice making dish 14, the intensity | strength with respect to a torsion and a superposition load improves, and it can be set as an ice making dish of thinner thickness. In addition, since the shape is not a hemispherical polygon but a polygonal shape, the rigidity of the entire ice making tray is suppressed, so that the torque of the torsion by the drive motor required for the weaving can be suppressed, thereby preventing the faulty ice.

다음에, 도12, 도13을 이용하여 대형, 표준, 소형의 얼음을 만들 때의 수위 및 급수량과 급수 펌프의 구동 시간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12는 대형, 표준, 소형의 얼음을 만들 때의 수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13은 제빙 접시로의 급수량과 급수 펌프의 구동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ter level and the water supply amount and the drive time of the water feed pump when making large, standard and small 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and FIG. Fig.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water level when making large, standard, and small ice, and Fig. 13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tray and the drive time of the feed pump.

본 실시예의 자동 제빙기 조립 냉장고에 있어서는, 본체측 패널부(도시하지 않음)에 급수 파이프(12)(도3)의 급수 시간을 제어(사용자가 외부 조작)할 수 있는 선택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는 자동 제빙기에서 생기는 얼음의 크기를 예를 들어 도12의 (대형) (표준) (소형)과 같이 선택할 수 있는 것 이다. 즉, 대형 얼음을 사용자가 희망할 경우에는 도12의 (대형)으로 도시하도록 제빙 접시(14)에 1배의 물을 넣고, (표준)을 희망할 경우에는 중간의 물을, 또한 소형을 희망할 경우에는 (소형)과 같이 소량의 물을 제빙 접시(제빙 블럭)에 급수하도록 한 것이다.In the automatic ice maker assembly refrigerator of this embodiment, the selection switch (not shown) which can control the water supply time of the water supply pipe 12 (FIG. 3) to a main body side panel part (not shown) (FIG. 3). Is installed, and the user can select the size of the ice produced by the automatic ice mak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large) (standard) (small). That is, if the user desires large ice, the water is put into the ice tray 14 so as to be shown as (large) in FIG. 12, and if water is desired, the intermediate water and small size are desired. In this case, a small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tray (ice block) as in (small).

이 선택 스위치에 의해 입력된 급수 시간 정보(얼음의 크기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이송되고, 이 제어부는 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급수 파이프(12)의 구동 시간을 제어하는 것이다.The water supply time information (ice size information) input by this selection switch is transferred to a control part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this control part controls the drive time of the water supply pipe 12 based on this information.

대·중·소의 수량에 견뎌내는 제빙 블럭(18) 사이에 마련되는 안내 홈(19)의 깊이는 (소형)의 급수량이 작은 수위(L3)를 고려하고, 급수량이 적을 때에도 제빙 블럭(18) 사이의 수위의 고저차 및 요동 동작에 의한 수위의 평균화에 의해 제빙 블럭(18) 사이에 물을 흐르게 할 수 있는 깊이로 설정해 두는 것이다.The depth of the guide groove 19 provided between the ice making blocks 18 that withstands large, medium and small quantities considers the water level L3 with a small water supply (small), and the ice making block 18 even when the water supply is small. It is set to a depth at which water can flow between the ice making blocks 18 by averaging the level of the water level between the water level and the shaking operation.

이와 같이 급수량을 가변함으로써, 여름철 등 얼음이 없어졌을 때에, 빨리 얼음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서도 (소형)을 선택하면 제빙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빨리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형의 얼음을 원하는 사용자에 대해서도 각 제빙 블럭(18)의 급수 가능한 양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급수량을 가변함으로써 (대형)을 선택하여 큰 얼음을 제공할 수 있다.By varying the water supply in this way, when (small) is selected even when ice is needed quickly, such as in summer, when the ice making time is shortened, ice making tim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quickly. In addition, even if a user wants a large amount of ice,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supplied to each ice making block 18 is increased, so that large ice can be provided by selecting (large) by vary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또한, 각 수위에 대하여 요동 각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수위의 평균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by varying the swing angle with respect to each water level, the water level can be averaged more efficiently.

도13은 상기의 (소형) (표준) (대형)의 얼음을 만들기 위해 급수 펌프의 구동 시간을 제어한 것이다.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가 이 시간과 급수량과의 관계를 제어하는 것이다. 통상, 급수 파이프의 구동 시간에 비례하여 급수량은 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 (소형)의 얼음을 만들 때에는 구동 시간을 6초간으로 하고, 급수량을 70 ㏄로 한 것이며, 표준 얼음의 크기로 할 때에는 급수 파이프를 9초간 동작시켜 100 ㏄의 물을 제빙 접시에 급수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대형 얼음의 경우도 표준 얼음을 만들 때와 같이 생각하여 급수 파이프를 12초간 구동하는 것이다.Figure 13 controls the driving time of the feed pump to make the above (small) (standard) (large) ice.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ime and the water supply amount. Usually, the water supply amount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driving time of the water supply pip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mall) ice is made, the driving time is 6 seconds, and the water supply amount is 70 kPa. When the size of the standard ice is set, the water pipe is operated for 9 seconds and 100 kPa of water is applied to the ice tray. It is watered. In the case of large ice, it is assumed that the standard ice is made, and the water supply pipe is driven for 12 seconds.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제빙 접시(14)에서 만드는 크기를 (소형) (표준) (대형)으로 미리 3단계로 설정된 것으로서 급수 시간을 정하고 있지만, 급수 파이프의 구동 시간은 얼마든지 바꿀 수 있는 것이므로 생기는 얼음의 크기도 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본체측 조작 패널에 의해 급수량을 다단계, 무단계를 불문하고 사용자가 설정함으로써, 그 설정된 급수량에 따른 구동 시간의 분만큼 급수 펌프를 구동시키면 된다.In addition, in this application, although the water supply time is determined as what set the size made by the ice-making dish 14 in three steps in advance (small) (standard) (large), the driving time of a water supply pipe can change as much as possible, and the ice which arises The size of the can also change. That is, the user may set the water supply amount by using the main body side operation panel irrespective of multiple stages and no stage, so that the water supply pump may be driven by the minutes of the driving time corresponding to the set water supply amount.

또한, 도12에 있어서는 제빙 접시(14)의 제빙 블럭을 도11에 도시한 형상의 것과 다른 그릇 형상의 것으로 모식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연 제빙 접시(14)의 형상은 도11에 도시한 것이며 안내 홈(19)의 홈 폭은 큰 연결부로 이루어지지 않는 6 ㎜ 이하로 하는 것이다.In Fig. 12, the ice making block of the ice making dish 14 is schematically described as having a vessel shape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11, but the shape of the ice making dish 14 is shown in Fig. 11 and guided. The groove width of the groove 19 is set to 6 mm or less, which is not made of a large connecting portion.

또한 제빙 블럭 사이의 물의 흐름(특히 소형 얼음의 경우)에 요동 동작은 붙게 되는 것이다. 즉, 소형 얼음의 경우에는 급수량이 적기 때문에, 각 제빙 블럭(18) 사이의 수위차도 작아지고, 급수 위치로부터 먼 제빙 블럭(18)에 물이 고루 미치게 하는 것이 어렵게 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은 요동 동작을 행함으로써, 모든 제빙 블럭(18)에 물을 고루 미치게 할 수 있다. 그때, 대형 얼음의 경우와 마찬가지인 요동 각도로 할 필요는 없다. 대형 얼음이 선택되어 있을 경우에는 급수량이 많기 때문에 각 제빙 블럭(18)에 대하여 물이 고루 미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In addition, rocking motion is attached to the water flow (especially in the case of small ice) between the ice making blocks. That is, in the case of small ice, since the water supply amount is small, the water level difference between each ice making block 18 also becomes small, and it becomes difficult to distribute water evenly to the ice making block 18 far from the water supply position. By performing the operation, water can be spread evenly over all the ice making blocks 18. In that case, it is not necessary to make rocking angle the same as that of the large ice. This is because water is easily spread evenly with respect to each ice making block 18 when a large amount of ice is selected. therefore,

(A) (소형)이 선택된 경우에만 요동 동작을 행한다.(A) The rocking motion is performed only when (small) is selected.

(B) (소형) 및 (표준)이 선택된 경우에 요동 동작을 행한다.(B) The rocking motion is performed when (small) and (standard) are selected.

(C) 모든 경우에 요동 동작을 행한다.(C) The rocking motion is performed in all cases.

라는 설정이 가능하다. (B), (C)의 경우라도 요동 각도를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고, (소형)의 요동 각도를 (표준)의 경우보다도 크게 하고, 또한 (대형)으로 요동할 경우에는 요동 각도를 가장 작게 하는 등의 설정을 해두면 좋다. 제어부는 선택 스위치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구동부(13)에 의한 요동 동작을 제어하면 좋기 때문이다.Can be set. Even in the case of (B) and (C), the swing angles do not need to be the same, and the swing angle of (small) is made larger than that of (standard), and the swing angle is the smallest when swinging (large). It is good to set such as It is because a control part should just control the rocking | movement operation | movement by the drive part 13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selection switch.

얼음 크기를 가변으로 할 경우에는 급수량이 다르기 때문에, 도8에 도시한 제어 흐름에 있어서, 급수 동작(21)의 스텝 전에 「얼음 크기 판정」(또는 급수량 판정)의 스텝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스텝에 있어서, 본체측의 선택 스위치로 사용자가 선택한 얼음 크기를 판정한다. 이 얼음 크기 판정의 스텝에서의 판정을 기초로 하여 급수 동작(21)의 스텝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요동 동작(22)의 스텝에 있어서는 얼음 크기 판정의 스텝에 있어서의 판정을 기초로 하여 상기의 요동 동작을 행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얼음 크기에 따른 요동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When the ice size is made variable, the water supply amount is different. Therefore, in the control flow shown in Fig. 8,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step of "ice size determination" (or water supply amount determination) before the step of the water supply operation 21. In this step, the ice size selected by the user is determined by the selection switch on the main body side. The water supply operation 21 can b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determination in this ice size determination step. Therefore, in the step of rocking motion 22, the rocking mo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ice can be realized by controlling to perform the rocking motion based on the determination in the step of ice size determination.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3단계가 아니라 2단계와 4단계 이상으로서도 마찬가지이며, 무단계에 연속적으로 급수량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기준이 되는 급수량을 정해서 이 급수량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요동 동작을 행하거나 요동 각도를 크게 하는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The same applies to the second and fourth stages, not to the third stag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ser can set the water supply continuously in a stepless manner, the water supply as a reference is set, and when the water supply is smaller than this water supply, the swinging operation is performed. Or to increase the swing angle.

본 실시예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냉장실(2) 내에 설치된 급수 탱크(10) 내의 물을 펌프(12)를 갖고 냉동실(4) 내에 설치된 제빙 접시(14) 내에 급수하도록 하고, 또한 제빙 접시(14)의 길이 방향을 칸막이벽(16)으로 2열로 구획하고, 횡 칸막이벽(17)으로 복수개의 제빙 블럭으로 구획하도록 하고, 또 그 종 칸막이벽(16 ,17)에 안내 홈(19)을 마련한 자동 제빙기 조립 냉장고에 있어서, 제빙 접시(14)로의 급수 직후, 제빙 접시(14)의 이빙 작동을 행하는 구동 모터를 갖고, 요동 동작을 부여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요동 동작에 의해 물에 부여되는 물의 움직임 및 고저차의 확대에 의해 각 제빙기 블럭(18)의 수위가 평균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 물이 닿기 어려웠던 급수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제빙 블럭부에 있어서도 안내 홈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바로도 보기 좋은 얼음 덩어리가 되고, 입에 넣었을 때의 연결부의 접촉도 작은 얼음 덩어리로 할 수 있다. 또한, 제빙 접시(14)에 이빙 동작을 부여하는 구동 모터의 출력 토크를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Since this embodiment is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That is,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10 install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2 is supplied with water to the ice making dish 14 provided in the freezing compartment 4 with the pump 12, and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ice making dish 14 is partitioned. In the automatic ice maker assembly refrigerator which divide | divided into two rows by (16), and divided into several ice-making block by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7, and provided the guide groove 19 in the vertical partition walls 16 and 17, Since it has a drive motor which performs the ice-making operation of the ice-making plate 14 immediately after the water supply to the ice-making plate 14, and it is made to give a rocking motion, it is each angle by the expansion of the water and the height difference which are given to water by rocking motion. The water level of the ice maker block 18 is averaged. Therefore, the guide groove does not need to be made larger than necessary even in the ice making block portion far away from the water supply portion, where water has been difficult to reach. Therefore, it becomes a good ice chunk just as seen, and the contact portion at the time of insertion into the ice is also small. You can do it in chunks. Moreover, it is not necessary to enlarge the output torque of the drive motor which gives the ice-making operation | movement to the ice-making dish 14 more than necessary.

또한, 제빙 접시(14)에 부여하는 요동 동작은 제빙 접시로부터 물이 넘쳐 흐르지 않는 범위의 요동으로 하는 동시에 제빙 접시(14)를 복수개의 제빙 블럭(18) 으로 구획하는 종횡 칸막이벽(16, 17)의 안내 홈(19) 폭을 6 ㎜ 이하의 가는 폭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본 바로도 얼음 덩어리를 입에 넣었을 때의 식감도 좋아지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winging motion applied to the ice maker 14 is a swing in the range where water does not flow from the ice maker, and the longitudinal partition walls 16 and 17 divide the ice maker 14 into a plurality of ice maker blocks 18. Since the width | variety of the width | variety of the guide groove | channel 19 of () is made into 6 mm or less, the texture of when ice lump is put in the mouth will also improve.

또한, 2열인 제빙 접시의 일측에 급수하는 자동 제빙기에 있어서, 최초의 요동 동작은 급수측이 높게 타측이 낮아 지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요동 동작에서 제빙 접시(14)로부터 물을 넘쳐 흐르는 일이 없는 것이다.Moreover, in the automatic ice maker which supplies water to one side of two rows of ice-making trays, since the initial rocking | movement operation was made so that the other side might become high, the water supply side will not flow over the water from the ice-making dish 14 in a rocking motion. .

또한, 제빙 접시(14)의 회전 궤도(27)가 만드는 원의 궤도로 제빙 블럭(18)을 만드는 제빙 접시(14)의 외벽(28)을 근접한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자동 제빙기의 설정 공간을 확대하지 않고, 제빙 접시(14)에서 생기는 얼음 덩어리의 크기를 종래의 제빙기에서 만드는 얼음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빙 블럭(18)의 형상은 반구 형상이 아님으로써 제빙 접시(14)의 강성 상승도 반구에 비교하여 억제할 수 있는 것이고, 이빙 동작으로 비틀림이 가해진 경우의 이빙하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한편, 제빙 접시(14)의 회전 궤도가 만드는 원에 제빙 블럭(18)의 최하단부와 상단부 사이를 만드는 외벽을 복수 부위 제빙 접시(14)의 회전 궤도를 만드는 원에 접촉 또는 근접하여 제빙 블럭(18)을 다각형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각진 얼음으로 할 수 있으므로 시판되는 직사각형 얼음에 근접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wall 28 of the ice making tray 14 which makes the ice making block 18 is adjacent to the circular track made by the rotational track 27 of the ice making tray 14, the setting space of the existing automatic ice maker is not expanded. Instead, the size of the ice mass produced in the ice making dish 14 can be made larger than the ice made in the conventional ice maker.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ice-making block 18 is not a hemispherical shape, the rigid rise of the ice-making pan 14 can also be suppressed compared with the hemisphere, and it can be made to make it easy to move when twisting is applied by an ice-making op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outer wall, which is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ice making block 18,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circle maki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multi-site ice making tray 14 in the circle made by the rotational track of the ice making tray 14 ( Since 18) is made into a polygon, it can be made into angular ice so that it can be approached to commercially available rectangular ice.

또한, 반구 형상의 제빙 블럭을 만드는 데 비교하여 구동 모터의 토크 상승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어 전력화 절약으로 이어지고, 또한 이빙 불량 등을 없앨 수 있다.In addition, compared with making a hemispherical ice making block, torque rise of the drive motor can be suppressed to a minimum, leading to power saving and eliminating defective ice.

또한, 제빙 블럭(18)을 다각형으로 하는 동시에 외벽(28) 이외의 벽도 외벽 형상에 맞추는 것이기 때문에, 다이아 형상의 얼음으로 할 수 있으므로 보기 좋은 얼음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ce making block 18 is made into a polygon and a wall other than the outer wall 28 is also adapted to the outer wall shape, it can be made into diamond-shaped ice, and it can be made into a beautiful ice.

또한, 제빙 블럭(18)의 최하단부와 상단부 사이를 만드는 외벽을 복수 부위 제빙 접시의 회전 궤도가 만드는 원에 접촉시켜 제빙 블럭을 다각형으로 하는 동시에 외벽 이외로 또 온도 센서 설치부 이외를 외벽(28) 형상에 맞춘 것이기 때문에, 온도 센서(30)는 종래와 같은 부착 구조로 좋은 것이다.Further, the outer wall, which is formed between the lowermost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ice making block 1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circle made by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multi-site ice making tray to make the ice making block polygonal, and the outer wall 28 except the outer wall and the temperature sensor installation part. Since it is matched with a shape, the temperature sensor 30 is good with the conventional attachment structure.

또한, 제빙 접시(14)의 급수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빙 접시(14)로의 급수 후, 제빙 접시(14)의 각 제빙 블럭(18)에 물을 흐르게 하는 요동 동작을 부여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급수 시간을 바꾸는 제어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크기가 다른 얼음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자동 제빙기측에서는 급수량이 줄고, 제빙 접시(14) 내의 고저차가 작게 되었을 때에도 각 제빙 블럭(18)에 물이 고루 미치도록 제빙 접시(14)에 요동 동작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dish 14 can be varied, a swinging motion of flowing water to each ice making block 18 of the ice making dish 14 after water supply to the ice making dish 14 is provided. The user can obtain ice of different sizes by operating the control switch to change the watering time. On the other hand, on the automatic ice maker side, even when the water level decreases and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ice maker 14 becomes small, the rocking operation | movement can be given to the ice maker 14 so that water may spread evenly to each ice-making block 18. FIG.

또한, 칸막이벽에 마련되는 안내 홈(19)의 높이 위치를 급수량 최소시에 맞추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급수량의 가변에 대응한 제빙 접시로 할 수 있는 것이다.Moreover, since the height position of the guide groove 19 provided in a partition wall is made to match the minimum water supply amount, it can be set as the ice making dish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water supply amount.

또한, 급수량을 가변시키는 데 급수 펌프(12)의 구동 시간을 가변시킨 것이기 때문에, 급수 펌프(12)로의 통전 시간을 가변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빙 접시(14)의 급수량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대중소 등의 복수의 얼음의 선택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추종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 time of the feed water pump 12 is varied in order to change the water supply amount, the water supply amount of the ice making dish 14 can be easily changed by varying the energization time to the feed water pump 12, so that the user's public place The selection of a plurality of ices can be easily followed.

또한, 제빙 접시(14)에 요동 동작을 부여하는 데 제빙 접시(14)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행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특별한 부품 또는 기구를 조립하지 않고, 제빙 접시(14)에 요동 동작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ice tray 14 is used to give the rocking plate 14 a rocking motion, the rocking plate 14 swings without any special parts or mechanisms. Can be given.

본 발명은 제빙 블럭의 형상을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보기 좋은 얼음을 만들 수 있고, 급수량을 가변으로 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더불어 각 제빙 블럭 사이의 홈을 작게 한 것이기 때문에, 적은 급수량이라도 각 제빙 블럭에 대해서 물을 고루 미치게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각 제빙 블럭의 수량을 크게 한 것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대·중·소로 급수량을 가변으로 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크기의 얼음을 만들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hape of the ice making block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ke a nice ice and to apply it even when the water supply amount is variable. In addition, since the groove between each ice making block is made small, the water can be spread evenly with respect to each ice making block even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supply. Moreover, since the quantity of each ice-making block is enlarged, the water of the size which a user requires can be made, for example by changing the water supply amount large, medium, and small.

또한, 본 발명은 제빙 접시로의 급수량을 가변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냉장고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얼음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제빙 블럭의 형상을 보기 좋은 것으로 하고, 더불어 각 제빙 블럭간의 홈을 작게 한 것이기 때문에, 적은 급수량이라도 각 제빙 블럭에 대하여 물을 고루 미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빙 접시에 대하여 제빙 완료 전에 요동 운동을 부여하기 위해, 보다 각 제빙 블럭 수위의 평균화에 기여하는 것이다.Moreover, since this invention made the water supply amount to the ice-making dish variable, it can make the ice which a refrigerator user needs.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ice making block is good, and the groove between each ice making block is made small, the water can be spread evenly with respect to each ice making block even with a small amount of water supply. In addition, in order to impart a rocking motion to the ice tray before completion of ice making, it contributes to the averaging of each ice block level.

또한, 본 발명은 요동 운동을 부여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각 제빙 블럭 수위의 평균화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운동은 이빙 동작을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빙 접시에 공급된 물은 거의 평균화되어 제빙되고, 이 얼음이 이빙 동작을 경과하여 아이스 뱅크로 낙하한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크기에 변동이 적은 얼 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위의 평균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얼음의 크기의 선택이 가능해지고, 냉장고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얼음을 만들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sed to impart a rocking motion, it can contribute to the averaging of the respective ice-making block levels. Since this movement is to perform an ice-making operation,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tray is almost averaged and ice-making, and this ice falls to an ice bank after an ice-making ope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ice with little variation in size. In addition, since the water level can be averaged, the size of the ice can be selected, and the ice required by the refrigerator user can be made.

Claims (15)

냉장실 내에 설치되는 급수 탱크 내의 물을 냉동실 내에 설치된 제빙 접시 내에 급수하여 제빙을 행하는 자동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In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automatic ice maker which supplies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installed in a refrigerating compartment to the ice-making dish provided in the freezer, and performs ice-making, 상기 제빙 접시는 길이 방향을 칸막이벽으로 복수열로 구획되고, 상기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열로 구획된 각 열은 횡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의 제빙 블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빙 접시의 복수열로 구획된 하나의 열과 다른 열 사이를 중심축으로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The ice trays are partitioned in a plurality of rows by partition wall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row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rows by the partition walls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ice blocks by a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rows of the ice trays. It has a drive unit for rotating as a central axis between one row and another row, 상기 제빙 블럭의 외벽은 상기 중심축 부위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빙 접시의 회전 궤도가 만드는 원에 복수 부위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빙 블럭의 외벽 이외의 벽부도 상기 외벽 형상으로 맞춘 형상으로서 상기 제빙 블럭을 다각형으로 하는 냉장고.The outer wall of the ice making block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circle made by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ice making tray by the rotation of the central axis portion at a plurality of portions, and the wall portion other than the outer wall of the ice making block is also shaped to fit the outer wall shape. Refrigerator with block as polyg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블럭의 최하면의 외측의 단부와 상기 제빙 접시의 외측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직선보다도 외측으로 상기 제빙 접시의 외벽의 모서리부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dge por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ice making tray is disposed outside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outer end of the bottom of the ice making block with the upper end of the outer side of the ice making tra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는 상기 회전 궤도가 만드는 원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of claim 2, wherein the corner portion contacts a circle made by the rotation track.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열과 상기 다른 열 사이의 상기 중심축보다도 하방으로, 상기 제빙 접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온도 센서를 배치하고, 상기 외벽에 형성된 평면부는 상기 복수의 제빙 블럭 중 상기 온도 센서가 배치 부분의 제빙 블럭의 상기 온도 센서측의 벽부에 형성되는 평면부보다도 작은 평면부로 하는 냉장고.The plane formed in the said outer wall in any one of Claims 1-3 by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id ice-making dish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said central axis between the said one row and the said other row. A refrigerator, wherein the temperature sensor is one of the plurality of ice making blocks, which is smaller than the flat part formed on the wall part on the side of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ice making block of the arrangement portio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 및 상기 횡 칸막이벽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의 폭을 6 ㎜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nd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and the width of the groove is 6 mm or less. 냉장실 내에 설치되는 급수 탱크 내의 물을 냉동실 내에 설치된 제빙 접시 내에 급수하여 제빙을 행하는 자동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In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automatic ice maker which supplies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installed in a refrigerating compartment to the ice-making dish provided in the freezer, and performs ice-making, 상기 급수 탱크의 물을 급수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제빙 접시에 공급하는 급수기와, 냉장고 본체측에 구비되는 스위치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급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기의 구동 시간을 가변시켜 상기 제빙 접시로의 급수량을 가변하는 냉장고.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ice making plate through a water supply pip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nit based on input information from a switch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main body side; And vary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ice tra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접시는 길이 방향을 칸막이벽으로 복수열로 구획되고, 상기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열로 구획된 각 열은 횡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의 제빙 블럭으로 구획되고, 상기 제빙 접시의 복수열로 구획된 하나의 열과 다른 열 사이를 중심축으로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The said ice tray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ws by the partition wa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row divided into the several rows by the partition wall is partitioned into the several ice-making block by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The said ice-making A driving unit for rotating as a central axis between one row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rows of dishes and another row; 상기 제빙 블럭의 외벽은 상기 중심축 부위의 회전에 의한 상기 제빙 접시의 회전 궤도가 만드는 원에 복수 부위에서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빙 블럭의 외벽 이외의 벽부도 상기 외벽 형상으로 맞춘 형상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빙 블럭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벽 및 횡 칸막이벽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outer wall of the said ice-making block is comprised so that it may contact a circle | round | yen made by the rotational track of the said ice-making dish by rotation of the said central-axis part, and the wall part other than the outer wall of the said ice-making block was matched to the said outer-wall shape, And a groove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nd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ice making block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접시에 급수된 후에 상기 중심축 부위에 상기 제빙 접시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빙 접시를 경사지게 하는 요동 운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fter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ing tray, the ice making tray is rotated on the central axis portion and a rocking motion for tilting the ice making tray is inclin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요동 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ocking mo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냉장실 내에 설치되는 급수 탱크 내의 물을 냉동실 내에 설치된 제빙 접시 내에 급수하여 제빙을 행하는 자동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In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the automatic ice maker which supplies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installed in a refrigerating compartment to the ice-making dish provided in the freezer, and performs ice-making, 상기 제빙 접시를 경사지게 한 후에 상기 제빙 접시를 수평 위치로 복귀하는 요동 운동을 부여하는 냉장고.And a rocker motion for returning the ice tray to a horizontal position after the ice tray is inclin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운동은 상기 급수 탱크로부터 상기 제빙 접시에 급수된 후로, 이빙 동작 전에 행해진 냉장고.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rocking motion is performed before the ice-making operation after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tray from the water supply tank.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 접시는 길이 방향을 칸막이벽으로 복수열로 구획되고, 상기 급수 탱크 내의 물은 상기 제빙 접시의 상방으로 연장된 급수 파이프에 의해 상기 제빙 접시에 공급되고, 이 급수 파이프의 선단부는 상기 제빙 접시의 복수열로 구획된 열 중 하나의 열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12. The ice tray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ice tray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ws by partition wall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ater in the water tank is supplied to the ice tray by a water supply pipe extending upward of the ice tray. The tip of the feed pipe is located directly above one of the rows partitioned into multiple rows of the ice tray, 상기 제빙 접시의 상기 하나의 열과 다른 열 사이를 중심축으로서, 상기 제빙 접시의 상기 하나의 열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한 후에 상기 제빙 접시의 다른 열이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하는 요동 운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s a central axis between the one row and the other row of the ice tray, imparting a rocking motion to incline the other row of the ice tray after the one row of the ice tray is inclined high. Refrigerat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열로 구획된 각 열은 홈이 형성된 횡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의 제빙 블럭으로 구획되고, 상기 급수 파이프의 선단부는 상기 횡 칸막이벽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13. The column of claim 12, wherein each row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ows by the partition wall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ice-making blocks by a horizontal partition wall in which grooves are formed, and a tip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탱크의 물을 상기 급수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제빙 접시에 공급하는 급수기를 구비하고,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3, further comprising: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ice tray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냉장고 본체측에 구비되는 스위치로부터의 입력 정보를 기초로 하여 급수기의 구동 시간 및 상기 요동 운동의 경사 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drive time of the water supply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ocking motion are controlled based on input information from a switch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main body side.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운동의 부여를, 상기 제빙 접시를 회전시켜 이빙시키는 구동 모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4, wherein a drive motor for rotating and ice-making the ice tray is used for applying the swing motion.
KR1020050075976A 2004-09-10 2005-08-19 Refrigerator KR2006005313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63204A JP2006078096A (en) 2004-09-10 2004-09-10 Refrigerator
JPJP-P-2004-00263204 2004-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132A true KR20060053132A (en) 2006-05-19

Family

ID=3615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976A KR20060053132A (en) 2004-09-10 2005-08-19 Refrigera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078096A (en)
KR (1) KR20060053132A (en)
CN (1) CN100460787C (en)
TW (1) TWI274133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3852B2 (en) 2009-06-11 2015-0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36633B (en) * 2010-04-16 2013-01-09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Automatic ice maker and refrigerator
JP5242740B2 (en) * 2011-06-08 2013-07-24 シャープ株式会社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freezer provided with the same
CN103673444B (en) * 2013-12-26 2016-06-15 湖北美的电冰箱有限公司 Ice making box and the refrigeration plant with this ice making box
IT201600072581A1 (en) * 2016-07-12 2018-01-12 Scotsman Ice S R L ICE MAKING MACHINE.
JP6902435B2 (en) 2017-08-31 2021-07-1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Ice maker
CN112393483B (en) * 2019-08-14 2022-03-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JP2022178589A (en) * 2021-05-20 2022-12-02 アクア株式会社 Ice ma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3350A (en) * 1974-05-31 1975-10-21 Gen Electric Ice maker including improved rake assembly
US4800731A (en) * 1988-05-03 1989-01-31 Emhart Industries, Inc. Icemaker
US4852359A (en) * 1988-07-27 1989-08-01 Manzotti Ermanno J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clear ice cubes
JP3068742B2 (en) * 1994-03-30 2000-07-24 松下冷機株式会社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with ice making device
US5823001A (en) * 1995-10-24 1998-10-20 Mid-South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ce
JP3130778B2 (en) * 1995-11-27 2001-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JPH1073350A (en) * 1996-08-29 1998-03-17 Sanyo Electric Co Ltd Ice making machine
JP2003042612A (en) * 2001-07-26 2003-02-13 Sanyo Electric Co Ltd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freezer equipped therewith
JP2003042619A (en) * 2001-07-30 2003-02-13 Matsushita Refrig Co Ltd Ice making device
JP2003172563A (en) * 2001-12-05 2003-06-20 Sanyo Electric Co Ltd Ice-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freezer having the device
KR20040039092A (en) * 2002-10-31 2004-05-10 히데오 나까조 Ice mak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3852B2 (en) 2009-06-11 2015-0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7333A (en) 2006-06-01
CN1746598A (en) 2006-03-15
CN100460787C (en) 2009-02-11
JP2006078096A (en) 2006-03-23
TWI274133B (en) 200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3132A (en) Refrigerator
CN1982813B (en) Ice mak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7318323B2 (en) Ice-making device
US7797961B2 (en)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ce-making unit configuration
EP2096384B1 (en) Method of controlling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AU2005225157B2 (en) Refrigerator with compact ice maker
US6952936B2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apparatus
AU2005225162A1 (en) A method for making ice in a compact ice maker
US11598567B2 (en) Twist harvest ice geometry
KR101320767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JP2004053036A (en) Ice maker of transparent ice, and ice making method of transparent ice
JP4443356B2 (en) refrigerator
JP4596867B2 (en) refrigerator
CN112789460A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1221543A (en) Refrigerator
US77658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symmetrical ice cubes
KR102662710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630212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03279211A (en) Refrigerator
KR102665703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80001004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ice making using the same
CN103782118B (en) Refrigerator
KR20210005790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05781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05788A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