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851A -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및 통신 세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및 통신 세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851A
KR20060051851A KR1020050091294A KR20050091294A KR20060051851A KR 20060051851 A KR20060051851 A KR 20060051851A KR 1020050091294 A KR1020050091294 A KR 1020050091294A KR 20050091294 A KR20050091294 A KR 20050091294A KR 20060051851 A KR20060051851 A KR 20060051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station
ptt
connection
acknowledgmen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브하시스 라하
데이비드 알버트 로세티
진 왕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6005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oC(Push-to-talk over Cellular)나 PTT(Push-To-Talk) 및 VoIP(Voice-over-IP)와 같은 실시간 임계 무선 데이터 응용에 있어서, PTT 이동국의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사전 정의된 그룹(예를 들어 버디 리스트)의 사람들과 통신하고 싶다는 그의 소망을 표시한다. 이러한 작용은 PTT 이동국을 트리거시켜 휴지 데이터 호출 접속을 재 활성화시키고 플로어를 요청한다. 버디 리스트에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이동국이 응답하면, PTT 서버는 PTT 호출자에게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그녀는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승인 메시지는, 휴지 호출이 완전하게 재활성화되기 전에 PTT 호출자에게 전송됨으로서, PTT 호출 설정 대기가 줄어들게 된다.

Description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및 통신 세션 제어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RANSPORT DELAY IN A PUSH-TO-TALK SYSTEM}
도 1 은 패킷 데이터 무선 네트워크의 블럭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패킷 데이터 무선 네트워크내의 호출 시나리오에 대한 시그널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 에 도시된 패킷 데이터 무선 네트워크내의 호출 시나리오에 대한 시그널링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원격 통신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oC(Push-to-talk over Cellular) 시스템은 종래의 치안 또는 화재 무선 시스템과 유사한 일 대 다 전송 모드(one-to-many transmission)를 제공하며, 전형적으로는 무선이다. 단일 기지국을 가진 아날로그 시스템에 있어서, 제 1 사용자는 푸쉬-투-토크 버튼(push-to-talk button)에 의해 활성화된 초기 전송에 의해 기지국을 포착한다. 제 1 사용자의 음성 전송은 기지국에 의해 수신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재 전송된다. 제 1 사용자에 의한 전송의 종료는 제 1 사용자가 푸쉬-투-토크 버튼을 해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다른 사용자들중 한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게 응답할 수 있게 되고, 푸쉬-투-토크 버튼으로 그/그녀의 라디오(radio)를 활성화하여 새로운 전송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푸쉬 버튼을 누르고 난 후에서 사용자가 통화하기 전까지의 시간량인 통화 대기(latency to speak)는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에서는 비교적 아주 짧다.
패킷 데이터 기반 PoC 시스템에서는 정보가 패킷으로 전송된다. 이 패킷내에 음성이 디지털 샘플로 운송된다. 2 카테고리의 시그널링 메시지(signaling message)가 있는데, 둘 다 패킷으로 운송된다. 시그널링의 한 카테고리는, 사용자가 새로운 호 또는 진행중인 호와 같은 PoC 호출에 참여하도록 하는 요청을 전달한다. 이 카테고리는 코덱(codec), IP 어드레스, UDT 포트등의 교섭을 포함한다. 시그널링의 제 2 카테고리는 소정 사용자가 통화를 요청할 수 있게 하고, 다른 사용자가 청취를 위한 지시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시그널링의 제 2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음성의 발리(volley)들을 전후로 배열하는데, 통상적으로는 한번에 단지 하나의 사용자만이 통화를 한다.
많은 무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은, 전형적으로, 무선 네트워크와 연속적인 능동 방송 접속(continuously active over-the-air connection)을 이루는 게 아니라, 네트워크와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패킷을 교환한다. 무선 네트워크에 연속적으로 접속을 이루는 것은, 이동국의 배터리 수명과 다른 사용자에 대한 무선 자 원의 이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로, 짧은 유휴 시간(idle time)에 뒤이어 이동국 또는 무선 네트워크의 마지막 데이터 비트가 전송되고 나면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국과의 방송 접속을 해제한다. 논리 링크층 접속을 여전히 유지하면서 모든 물리적 자원을 해제하는 이러한 상태를 휴지 상태(dormant state)라 한다. 무선 네트워크가 이동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패킷을 가지면, 무선 네트워크는 그 이동 장치를 페이징하고 위치 결정하여 이동 장치를 재 접속시킨다. 유사하게, 이동 장치가 전송을 위한 패킷을 가지면, 이동 장치는 무선 네트워크에 신호를 전송하여 그 자신을 무선 네트워크에 재 접속시킴으로서, 방송 접속을 설정하며, 그 다음 무선 장치는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재 접속은, 방송 접속을 통해 이동국과 무선 네트워크간에 PoC 시그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큰 대기(latency)를 추가한다. 호출측 사용자에 대한 큰 통화 대기 표시는 PoC 시스템에서는 문제로 된다.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급하게 통화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큰 대기는 고안적 결함으로 보여질 수 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하나 이상의 문제를 극복하거나 적어도 줄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푸쉬-투-토크 시스템에서 이동국에 승인 메시지(grant message)를 전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제 1 이동국으로 부터 휴지 접속을 통해 제 2 이동국에 메시지를 전송하라는 요청을 수신하고, 휴지 접속 의 재 활성화를 시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승인 메시지는 재 활성화의 완료 전에 제 1 이동국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소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정정 및 대안적인 형태가 가능하지만, 그의 특정 실시예가 도면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며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 대한 본 발명의 설명은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내의 모든 정정, 등가 및 대안을 포괄하기 위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하에 설명된다. 명확성을 위해, 실제적 구현의 모든 특징을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임의의 그러한 실시예의 전개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각 구현마다 달라질 있는 시스템 관련 제약, 표준 관련 제약 및 사업 관련 제약에 따라 전개자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구현 지정적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그러한 전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이지만, 그럼에도,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해 혜택을 받는 당업자들에게는 일상적인 것일 수 있음을 알 것이다.
Poc 또는 PTT(Push-To-Talk) 및 VoIP(Voice-over-IP)와 같은 실시간 임계 무선 데이터 응용은 짧은 호출 설정 지연으로 부터 혜택을 받는다. 예를 들어, 일부 응용에서는, 종료간 대기가 1초 이하이면 사용자의 기대를 충족시키는데 유용하다.
PoC 또는 PTT 응용에 있어서, PTT 이동국의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사전 정의된 그룹(예를 들어, 버디(buddy) 리스트)의 사람들과 통신하고 싶다는 그의 소망을 나타낸다. 이러한 작용은 PTT 이동국을 트리거(trigger)시키며, 그에 따라 휴지 데이터 호출 접속이 재 활성화되고 플로어(floor)가 요청된다. 버디 리스트에서 식별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국이 응답하면, PTT 서버는 PTT 호출자에게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고 그/그녀는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다 빠른 승인 메시지가 PTT 호출자에게 전송될 수 있으면, 보다 빠르게 사용자가 대화를 시작할 수 있고, 따라서 PTT 호출 설정 지연이 보다 짧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통화 대기 표시가 감소된 PTT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호출측 사용자에게 통화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결정에는 3가지 요소가 수반된다. 3가지 요소는, 1) 피 호출측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호출측 사용자로 부터의 PoC 호출 또는 통화 요청을 허용할 것인지에 대한 의향과; 2) 무선 네트워크가 이동국을 위치 결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 3) 무선 네트워크가 PoC 시그널링 및 매체(음성)를 운송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접속 또는 접속들을 설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이다.
첫번째 항목인, 도착지 사용자 또는 사용자들이 PoC 호출을 허용할지의 의향은, 그 또는 그녀가 호출을 수신하고 호출측 사용자로 부터 전송된 음성을 청취할 의향이 있음을 나타내는 파라메타를 피 호출측 사용자가 무선 네트워크내의 (프리젠스(presence))서버(도시되지 않음)에 설정하였음을 의미한다. PoC 호출이 이전 에 설정되었지만 피 호출측 이동국이 휴지 상태이면, 이러한 요청은 호출의 계속 및 호출측 사용자의 음성을 청취하도록 하는 요청을 나타낸 것임을 알아야 한다. 피호출측 사용자가 설정한 파라메타는 전형적으로 프리젠스라고 알려진 프로토콜 체제에 의해 정의된다. 프리젠스 파라메타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겠다. 일반적으로, 프리젠스 파라메타는, 그 자신 또는 그녀 자신이 몇몇 사용자와 관련되어 있고 다른 사용자와는 관련되어 있지 않은 것임을 정의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PoC 호출을 수신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두번째 항목인, 무선 네트워크가 사용자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은, 무선 네트워크가 이동국과 접촉할 수 있고 이동국이 응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한 경우, 이동국은 무선 네트워크의 무선 커버리지내에 있다.
세번째 항목인, 무선 네트워크가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은, 무선 네트워크가, 그에 대한 방송 접속 또는 접속 세트를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이동국이 PoC 메시지 및 매체를 교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비록 항상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접속 프로세스가 완료되기 전에 피 호출 사용자가 공중 트래픽 채널 접속을 설정할 가능성이 있는 시점이 도래한다. 그러한 접속 가능성이 있는 시점에 호출측 사용자에 통화 표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통화 표시 신호가 수신되어 호출측 사용자가 대화를 시작하는 시점까지, 접속 프로세스가 완료될 것이며, 그에 따라 인지되는 대기가 줄어들 것이다. 한편, 무선 네트워 크와 이동국은, PoC 시그널링과 매체를 교환하는데 이용되는 방송 접속 또는 접속들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응용에서는, 방송 접속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패킷의 적어도 초기 부분의 버퍼링이 임의의 비 정상적으로 긴 지연을 유발한다.
특정적으로 다르게 언급하지 않는다면, 또는 설명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용어 "프로세싱", "계산", "연산", "판정", 또는 "디스플레이"등은 컴퓨터 시스템, 디지털 데이터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집적 회로(예를 들어 응용 지정적 집적 회로(ASIC)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유사한 전자 계산 장치의 작용 및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이때, 유사한 전자 계산 장치란 컴퓨터 시스템의 레지스터 및 메모리내의 물리적 전자량으로 표시된 데이터를 조작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나 레지스터 또는 다른 정보 저장, 전송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내의 물리적 양으로 유사하게 표시된 다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용을 하는 장치이다.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이 도시된다. 도 1에는 PTT나 PoC 시스템을 지원하는 예시적인 패킷 데이터 무선 네트워크(102)내에 이용되는 구성 요소가 도시된다. 하나의 네트워크 제공자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는 전체 네트워크를 지배하거나 서비스한다. 서비스 제공자의 수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의 설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시적인 네트워크(102)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BTS)(108,110)에 의해 설정된 무선 채널을 통해 하나 이상의 이동국(104,106)과 통신한다. BTS(108,110)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S : Radio Network Controller) 또는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된 역송(backhaul) 네트워크(112)(프레임 릴레이, ATM 또는 IP 역송)에 결합된다. 프레임 선택기(Frame Selector : FS) 또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 RLP) 소자(116,118) 중 하나 이상은 역송 네트워크(112)에 결합되고, 본 발명이 채용되는 네트워크의 유형에 따라, BTS(108)와 PCF(Packet Control Function) 또는 SGSN(Serving GPRS Service Node)(120)간에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PCF/SGSN(120)은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122)에 결합된다. IP 네트워크(122)는 본 발명이 채용되는 네트워크의 유형에 따라, PTT 서버(124),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서버(124)와 PDSN(Packet Data Serving Node)이나 GGSN(Gateway GPRS Service Node)에 결합된다.
당업자라면 이동 장치(106)가 이동 장치(104)를 서빙하는 무선 네트워크(102)와 유사한 별도의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서빙됨을 알 것이다.
BTS(108,110)는 이동국(104,106)에 무선 접속을 제공하고, 제한된 서빙 영역내에 제한된 이동도를 제공하는 작용을 한다.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는 IS2000, GSM, UMTS등을 포함한다.
일부 네트워크(102)에 의해, 이동국(104,106)은 네트워크(102)가 임의의 패킷을 인식하고 그러한 패킷의 인식시에 소정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패킷 필터를 설정할 수 있다. 패킷 필터는 IP 어드레스나 어드레스 영역 또는 포트 번호나 포트 번호 영역에 의해 특정 패킷 유형을 인식하거나, 그 패킷 또 는 구별 가능한 서비스 필드나 SPI(Security Parameter Index) 필드내에 운반된 프로토콜 유형을 인식한다. 보다 상세한 것은, 예를 들어, IS835 및 GPRS를 참조하라. 터널링된 패킷의 경우 내부 패킷층으로 작용하는 패킷 필터를 지정할 수 있는데, 이때 터널링된 패킷이란 전체 패킷이 내부 패킷을 운반하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 패킷이란 "캡슐화된 것임"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패킷 필터를 공통 이용하여 임의의 패킷을 인식하고 특정 서비스 품질이나 특정화된 압축을 제공하는 특정의 방송 접속을 통해 그들을 전송한다. 네트워크 운영자가 이러한 기능을 능동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이동국 대신에 패킷 필터를 운영 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는 이러한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동국의 고안을 단순화시킴으로서 그들이 보다 값싸지게 되고 그들을 곧바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PoC 시스템에는 2 카테고리의 시그널링 메시지가 있다. 그 둘의 카테고리는 패킷으로 운송된다. 한 카테고리의 시그널링은 사용자가 PoC 호출에 참여하도록 요청하고 호를 개시한다. 두번째 카테고리의 시그널링은 사용자가 통화를 요청할 수 있게 하고, 다른 사용자는 청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두번째 유형의 시그널링은, 2명의 사용자가 전반적으로 동시에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에 임의의 기능을 제공한다. PoC 시그널링이 패킷으로 운송되기 때문에, 상기에서 설명한 필터가 PoC 시그널링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의 PTT 서버(124)는 PTT 호출 제어 기능을 제공하고, 닉네임(nickname)이나 그룹 명칭을 실질적인 개인으로 연장하며, 사용자가 PTT 호출을 다른 PTT 사용자에게 배치할 수 있도록 인증하고 권한을 부여하며, 포트의 할당을 실행하고, 매체 복제 또는 매체 복제의 제어 및 기타 기능들과 같은 기능을 실행한다. 당업자라면, PTT 서버(124)의 정확한 배열 또는 수가 본 발명의 중점 부분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 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이 설정되었지만 휴지 상태로 진행하였던 지속 PTT 세션을 수반한 전형적인 시나리오를 고려하는 것이 유용하다. 예시적인 상황에 있어서, 이동국(104)의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이동국(106)과 관련된 사용자와 같은 사전 정의된 그룹의 사람들과 다시 통신하고 싶다는 그의 소망을 나타낸다. 이러한 작용은 이동국(104)을 트리거시켜, (200에서)발신 메시지를 무선 네트워크(102)에 전송함으로서 휴지 데이터 호출 접속을 재 활성화시킨다. 또한, 이러한 작용은 이동국(104)을 트리거시켜 PTT 서버(124)로 진행할 (200에서) SDB(Short Data Burst)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서 플로어를 요청한다. FS/RLP는 재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고 PCF 설정 정보를 (202에서) PCF(120)로 지향시킴으로서, 그 요청을 PTT 서버(124)에 전달한다. PTT 서버(124)는 PTT 호출 요청을 승인하는 패킷 데이터(승인) 메시지를 PCF(120)에 전송한다(204에서). PCF(120)는 이동국(104)에 대한 PCF 설정 요청을 이미 수신하였음을 판정하고, 그에 따라 베어러(bearer) 트랜스포트 접속을 통해 FS/RLP(116)에 A8 베어러 데이터(A8은 IS-2001 표준으로서 정의됨) 형태의 메시지를 전송한다(206에서).
승인 메시지가 PCF(120)에 도착하는 시점은, BTS(108)에서 할당된 CE(Cell Element)(150)와, 셀룰러 네트워크(102)의 RNC/BSC(114)에서 할당된 FS/RLP(Frame Selector/Radio Link Protocol) 소자(116)에 의해 이동 장치(104)에 대한 휴지 호출이 재 활성화중인 때이다. CE(150)와 FS/RLP 소자(116) 및 PCF(120)간에 베어러 트랜스포트 접속은 데이터 호출 재활성화의 일부로서 설정된다. 한편, BTS(108)와 이동국(104)간의 무선 트래픽 채널 접속이 설정된다. 일단 역송 및 무선 접속 설정이 완료되면, 승인 메시지가 PCF(120)에서 FS/RLP 소자(116)를 통해 이동국(104)에 정상적인 RLP 프레임으로서 전송된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무선 트래픽 채널 접속의 설정은 베어러 트랜스포트 접속보다 오래 걸리는데, 그 이유는 공중 인터페이스 품질이 차선인 경우에 (선택적인) 공중 인터페이스 파라메타와, 가능한 타임 아웃 및 재 전송의 교섭 때문이다. 따라서, PCF(120)와 FS/RLP 소자(116)는, 무선 트래픽 채널 접속이 완전히 종료될 때 까지 이동국(104)에 승인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서, PTT 호출 설정의 대기를 연장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FS/RLP 소자(116)는, 베어러 트랜스포트 접속이 종료된 후 및 가능하면 트래픽 채널이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접속되기 전에, BTS(108)에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208에서). 이 경우, FS/RLP 소자(116)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접속이 완료되지 않았지만 BTS(108)에 대한 베어러 트랜스포트 접속의 설정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한다. 그에 따라, FS/RLP 소자(116)는, 어떠한 지연도 없이, 베어러 트랜스포트 접속을 통해 승인 메시지를 BTS(108)에 전송한다. FS/RLP 소자(116)는, 그가 이동국(104)으로 부터 반전 유휴 프레임의 수신 을 시작할 때, 트래픽 채널이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접속되었다고 판정한다. 무선 트래픽 채널이 획득된 후(가능하면 트래픽 채널이 서비스에 접속되기 전), BTS(108)는 무선 트래픽 접속을 통해 이동국(104)에 승인 메시지를 SDB(Short Data Burst)로써 전송한다. 이동국(104)이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경적음을 울리거나 또는 그/그녀가 대화를 시작함을 PTT 호출자에게 표시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 있어서, PTT 서버(124)로 부터 수신한 임의의 패킷 데이터(예를 들어, IP 프레임을 통한 음성)는 FS/RLP 소자(116)에 버퍼링된다. 트래픽 채널이 이동 장치(104)에 대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접속되면, FS/RLP 소자(116)는 임의의 버퍼링된 프레임을 이동 장치(104)에 전송하기 시작한다. 이후, 이동국(106)의 사용자로 부터의 음성 메시지를 포함한 A8 데이터는 PCF(120)에서 이동국(104)으로 운반된다(212에서).
통신이 설정되었던 지속 PTT 세션을 수반한 두번째의 전형적인 시나리오가 설명되는 도 3을 참조하면, FS/RLP 소자가 PCF(120)로 부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할 때(306에서), 상술한 첫번째 시나리오와는 다르게, 무선 트래픽 채널 접속이 이미 종료되고 트래픽 채널이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접속되었다고 판정한다.
예시적인 상황에 있어서, 이동국(104)의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이동국(106)과 관련된 사용자와 같은 사전 정의된 그룹의 사람들과 다시 통신하고 싶다는 그/그녀의 소망을 표시한다. FS/RLP(120)는 그 요청을 수신하고 PCF(120)에 PCF 설정 메시지를 지향시켜(300에서) 그 요청을 PTT 서버(124)에 전달한다. PTT 서버(124)는 PCF(120)에 PTT 호출 요청을 승인하는 패킷 데이터(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302에서). PCF(120)는 그것이 이미 이동국(104)에 대한 PCF 설정 요청을 수신하였고 그에 따라 FS/RLP(116)에 A8 메시지를 전송했다고 판정한다(304에서).
이러한 시나리오에 있어서, FS/RLP 소자(116)는 무선 트래픽 채널 접속이 이미 종료되었고, 그것이 PCF(120)로 부터 승인 메시지를 수신할 때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접속되었다고 판정한다(306에서). 따라서, FS/RLP(116)는 이동국(104)에 승인 메시지를 정상적인 RLP 프레임으로써 전송한다(308에서). 이후, 이동국(104)의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A8 데이터는 PCF(120)에서 이동국(106)으로 전달된다(310에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국(104)에 승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두가지 방식중 어느 하나가 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즉, 첫번째 시나리오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국(104)에 승인 메시지를 보다 짧은 데이터 버스트(SDB)로서 전송하는 보다 빠르고 새로운 방식을 이용하여 승인 메시지가 전달된다. 대안적으로, 제 2 시나리오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승인 메시지가 RLP 프레임으로서 전달된다. 이러한 두가지 방식은 PTT 호출 설정 대기를 줄이는데 도움을 줌으로서, 실시간 임계 서비스의 필요성을 충족시킨다.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에서 설명된 여러 시스템 계층, 루틴 또는 모듈들은 실행 가능 제어 유닛일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알 것이다. 그 제어 유닛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나 제어기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카드 또는 다른 제어 또는 계산 장치를 포함한 다. 이러한 설명에서 언급한 저장 장치는 데이터 및 명령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기계-독출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그 저장 매체는 동적 또는 정적 랜덤 억세스 메모리(DRAM이나 SRAM), 소거 가능 및 프로그램 가능 독출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 소거 가능 및 프로그램 가능 독출 전용 메모리(EEPROM) 및 플레쉬 메모리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고정형 플로피 제거 가능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와, 테이프를 포함하는 다른 자기 매체; 및 콤팩트 디스크(CD)나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와 같은 광 매체를 포함하는 다른 형태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여러 시스템에서 여러 소프트웨어 계층, 루틴 또는 모듈을 구성하는 명령은 각 저장 장치에 저장된다. 그 명령은, 각 제어 유닛에 의한 실행시에, 대응하는 시스템이 프로그램된 작용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다르지만 등가인 방식으로 수정되고 실행될 수 있음이 본 명세서에 개시로 부터 혜택을 받는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성 및 고안의 세부적인 것을 이하의 청구 범위에 설명된 것과 다르게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상술한 특정 실시예는 변경될 수 있으며 모든 그러한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내에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보호하고자 하는 것은 이하의 청구 범위에 설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 접속을 통해 이동국과 무선 네트워크간에 PoC 시그 널링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대기(latency)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푸쉬-투-토크 시스템(push-to-talk system)에서 이동국에 승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써:
    제 1 이동국으로 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휴지 접속을 통해 소정 메시지를 제 2 이동국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지 접속의 재 활성화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재 활성화의 완료전에 상기 제 1 이동국에 승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 활성화전에 상기 제 1 이동국에 상기 승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베어러 트랜스포트 접속(bearer transport connection)을 통해 상기 승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트랜스포트 접속을 통해 승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승인 메시지를 짧은 데이터 버스트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접속을 통해 재활성화를 개시하는 단계는, 발신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휴지 접속의 재 활성화를 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접속의 재활성화를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푸쉬-투 토크 호출 요청을 푸쉬-투-토크 대화 서버에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성화의 완료 전에 제 1 이동국에 승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가 완료되지 않았음을 판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베어러 트랜스포트 접속을 통해 승인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7. 푸쉬-투-토크 시스템에서 통신 세션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써:
    휴지 접속을 통해 이동국에 메시지를 전송하라는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휴지 접속의 재활성화를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재 활성화의 완료전에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세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성화의 완료전에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베어러 트랜스포트 접속을 통해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러 트랜스포트 접속을 통해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승인 메시지를 짧은 데이터 버스트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 제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지 접속의 재활성화를 개시하는 단계는, 발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세션 제어 방법.
KR1020050091294A 2004-09-30 2005-09-29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및 통신 세션 제어 방법 KR200600518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56,359 US20060084457A1 (en) 2004-09-30 2004-09-30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ransport delay in a push-to-talk system
US10/956,359 2004-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851A true KR20060051851A (ko) 2006-05-19

Family

ID=3544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294A KR20060051851A (ko) 2004-09-30 2005-09-29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및 통신 세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84457A1 (ko)
EP (1) EP1643780A1 (ko)
JP (1) JP2006109469A (ko)
KR (1) KR20060051851A (ko)
CN (1) CN17564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23882B2 (en) 2004-09-16 2009-11-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queueing and moderating group talk
US7925290B2 (en) * 2005-03-31 2011-04-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providing high-performance dispatch services in a wireless system
KR20060111207A (ko) * 2005-04-22 200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쉬투토크 오버 셀룰러 망의 구성원 추가 방법 및 그시스템
US8145262B2 (en) * 2005-05-17 2012-03-27 Pine Valley Investments, Inc. Multimode land mobile radio
US8279868B2 (en) * 2005-05-17 2012-10-02 Pine Valley Investments, Inc. System providing land mobile radio content using a cellular data network
US7831269B2 (en) * 2005-07-21 2010-11-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push-to-talk communications
US20070071018A1 (en) * 2005-09-29 2007-03-29 Laboy Jose A Method of filtering a plurality of data packets
US8045491B1 (en) 2006-01-10 2011-10-25 Marvell International Ltd. Signal handling for wireless clients
US8194682B2 (en) 2006-08-07 2012-06-05 Pine Valley Investments, Inc. Multiple protocol land mobile radio system
WO2008022317A2 (en) * 2006-08-17 2008-02-21 Redcom Laboratories, Inc. Ptt/pts signaling in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CN101137105B (zh) * 2006-08-29 2010-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按键即讲业务的方法和系统
US8817697B2 (en) * 2008-06-05 2014-08-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call setup latency in a group communication amo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406168B2 (en) * 2009-03-13 2013-03-26 Harris Corporation Asymmetric broadband data radio network
US8503405B1 (en) 2011-01-13 2013-08-06 Sprint Spectrum L.P. Variation in session setup mode based on latency of target device
CN103220628A (zh) * 2012-01-18 2013-07-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集群呼叫方法、装置及系统
US10044498B2 (en) 2016-12-16 2018-08-07 Clever Devices Ltd. Hardened VoIP system
US10735180B2 (en) 2016-12-16 2020-08-04 Clever Devices Ltd. Dual fallback hardened VoIP system with signal quality measurement
US10880703B1 (en) 2019-09-09 2020-12-29 At&T Mobility Ii Llc Facilitation of interconnectivity for mobile device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3099A (en) * 1996-06-11 1999-11-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apparatus for an accelerated response to resource allocation requests in a CDMA push-to-talk system using a CDMA interconnect subsystem to route calls
US6725053B2 (en) * 2001-05-15 2004-04-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tency in waking up a group of dormant communication devices
US20030153341A1 (en) * 2002-02-14 2003-08-14 Crockett Douglas M. Server for initiating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US7231223B2 (en) * 2002-12-18 2007-06-12 Motorola, Inc. Push-to-talk call setup for a mobile packet data dispatch network
US20050265350A1 (en) * 2004-05-28 2005-12-01 Murali Narasimha Concurrent packet data session set-up for push-to-talk over cellul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84457A1 (en) 2006-04-20
JP2006109469A (ja) 2006-04-20
CN1756438A (zh) 2006-04-05
EP1643780A1 (en)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1851A (ko) 승인 메시지 전달 방법 및 통신 세션 제어 방법
US75391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bearer in a real-time data service
US67922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tching dispatch calling parties together
US7058042B2 (en) One-to-one communication
US857687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parties in real-time data communication
RU2335854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мультимедиа в сети групповой связи
KR100929512B1 (ko) 그룹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그룹 콜에 사용자를 합류시키기위한 통신 장치
KR100945696B1 (ko) 애드 혹 위치 기반 멀티캐스트 그룹을 형성하는 시스템 및방법
JP4891569B2 (ja) 低待ち時間高精度スピーク表示およびコール破棄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40082352A1 (en) Enhanced group call implementation
TW200404420A (en) A server for initiating a group call in a group communication network
KR20030001304A (ko)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스패치 콜발신 및 셋업
JP2009528001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上のグループ通信におけるメディアレイテンシー削減のためのバッファリング方法
US20060040695A1 (en) Method of group call service using push to talk schem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77965A (ko) 그룹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활성 그룹 콜로부터 멤버를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94099A (ko) 무선 디바이스를 호출할 때 조기 통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1380182B1 (en) One-to-one communication in a system having different control plane and user plane logical entities
EP1847149B1 (en) Cell reselection in cellular-network-based packet communication
EP15753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ow-latency, high-accuracy indication-to-speak
US74367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when a radio link layer connection to a wireless terminal is released
JP2005130481A (ja) 低待ち時間サービス用のベアラ・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信号搬送
WO20050649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bearer in a real-time data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