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718A - 수술 장치용 어플라이어 - Google Patents

수술 장치용 어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718A
KR20060051718A KR1020050090297A KR20050090297A KR20060051718A KR 20060051718 A KR20060051718 A KR 20060051718A KR 1020050090297 A KR1020050090297 A KR 1020050090297A KR 20050090297 A KR20050090297 A KR 20050090297A KR 20060051718 A KR20060051718 A KR 20060051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pplier
medical device
bullet nose
push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764B1 (ko
Inventor
티모시 범발로프
데이비드 러독스
Original Assignee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디컨 엔도-서저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1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3Approxim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술 장치용 어플라이어와, 이 장치를 가할 때 외과의에게 개선된 제어법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어플라이어는 이 장치를 보관하는 외피와 이 외피의 단부에 존재하는 커버, 외피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장치의 근위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제한 부재 그리고 커버를 외피에 연결시키는 힘 부재를 포함한다. 힘 부재에 의해서 커버와 외피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근위방향으로 수축하지만, 힘 부재에 의해서 생성된 힘보다 더 큰 제 2 힘이 커버에 가해져서 커버를 원위방향으로 압박할 때 커버가 외피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을 만큼 이 힘 부재는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다. 힘 부재는 어플라이어가 수술 장치를 배출할 때 수술 장치의 원위 단부에 힘을 가한다.
어플라이어, 외과용 장치, 팽창성 의료 기기, 블릿 노즈, 외과적 처치

Description

수술 장치용 어플라이어{APPLIER FOR A SURGICAL DEVICE}
도 1은 팽창성 의료 기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등각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등각도.
도 3은 내부가 공개된 상태의 도 2의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등각도.
도 4는 도 3의 어플라이어 핸들의 원위 단부를 도시한 등각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등각도.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내부 부위를 도시한 등각도.
도 7은 가이드 경로의 세부사항을 도시하는, 도 5의 어플라이어 상의 경로 리테이너(retainer)를 도시한 등각도.
도 8은 장착 위치에서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장치가 플레어된 위치에서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 등각도.
도 10은 장치가 플레어된 위치에서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장치가 가해진 후에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 등각도.
도 12는 장치가 가해진 후에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장치가 장착된 위치에서 도 2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장치가 플레어된 위치에서 도 2의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등각도.
도 15는 장치가 플레어된 위치에서 도 2의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장치가 가해진 후에 도 2의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등각도.
도 17은 장치가 가해진 후에 도 2의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장치가 장착된 위치에서 도 5의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장치가 플레어링될 때 가이드 경로와 가이드 클립(clip)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면서 도 7의 경로 리테이너를 도시한 등각도.
도 20은 플레어링한 상태의 도 5의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1은 장치가 플레어된 상태에서 그리고 블릿 노즈(bullet nose)가 구속된 상태의 도 5의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2는 장치가 플레어링되고 블릿 노즈에 의해 구속될 때 가이드 경로와 가이드 클립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면서 도 7의 경로 리테이너를 도시한 등각도.
도 23은 장치가 배출된 상태로 도 5의 어플라이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4는 장치가 배출될 때 가이드 경로와 가이드 클립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면서 도 7의 리테이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5a는 뭉툭한 표면을 가진 블릿 노즈를 도시하면서 어플라이어의 원위단을 도시한 등각도.
도 25b는 홈이 형성된(fluted) 표면을 가진 블릿 노즈를 도시하면서 어플라이어의 원위단을 도시한 등각도.
도 25c는 볼록 표면을 가진 블릿 노즈를 도시하면서 어플라이어의 원위단을 도시한 등각도.
도 25d는 오목 표면을 가진 블릿 노즈를 도시하면서 어플라이어의 원위단을 도시한 등각도.
도 25e는 편심제거된(offset swept) 비대칭 표면을 가진 블릿 노즈를 도시하면서 어플라이어의 원위단을 도시한 등각도.
도 25f는 구면을 가진 블릿 노즈를 도시하면서 어플라이어의 원위단을 도시한 등각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체기관과 혈관을 외과적으로 변경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길이방향으로 절단된 소장을 서로에 대하여 연결하거나, 소장의 일부를 위장에 연결하거나 또는 총담관십이지장문합술(choledochoduodenostomy)이라 불리는 처치 과정에서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십이지장(duodeneum)에 연결하는 것과 같이 두 기관을 결합하기 위한 문합(anastomosis)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합을 형성하거나, 일반적으로 구분되는 두 혈관 사이에 통로를 외과적으로 형성하는 것은 여러 외과적 처치 중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가 된다. 이는 소장이 두 부분이 결합되거나 소장의 다른 부분이 환자의 위장에 연결되는 위장관 우회술(gastric bypass procedure)에 특히 적용된다. 또한 이는 췌장암(pancreatic cancer) 수술동안 총담관으로부터 소장으로 담즙을 배출시킴으로써 총담관 내에서 의 폐색을 완화시키는 수술에도 적용된다.
여러 문합에 대해서, 외과의는 원형 스테이플러(stapler), 선형 스테이플러 혹은 수동 봉합(suture)을 이용한다. 그러나 절개 크기를 감소시키며 외과적 처치에 더 적은 기술을 소요되게 하고 시간 소모를 줄이기 위해, 속박 외피(enclosure)로부터 배출되었을 때 조직 부위를 결합시키기 위해 변형하는 확장가능한 의료 장치가 기술되었다. 본원의 참조로서 인용되는 아드리안 파크(Adrian Park)등의 미국특허출원 제 2003/0120292호는 상기와 같은 장치를 기술한다.
상기 제 2003/0120292호에 기술된 확장가능한 의료 장치는 슬리브(sleeve)에 의해 유익한 소반경 튜브형상에 구속된다. 외과의는 문합이 필요한 조직 부위를 통해 슬리브를 기동시키고, 노즈 조립체를 슬리브로부터 벗어나 원위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장치를 램(ram)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확장가능한 의료기구를 가한다. 장치를 배출시키게 되면 장치에 부가된 단속이 해제되고, 이로써 장치는 대체로 원형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원형 형상의 단부가 더 크게 되면 두 조직 부위는 효과적인 문합으로 결합된다.
니티놀(nitinol)과 같은 형상기억재질로 이루어진 단속된 팽창성 의료 기기는 슬리브의 내경에 대해 힘을 가하고 대략 링-형상의 전개 위치를 향하여 휘는 경향이 있다. 장치가 배출될 때, 관형에서 원형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장치에 의해 생성된 힘은 상기 팽창성 의료 기기를 원위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러한 장치 운동은 문합이 필요한 두 조직 부위의 절개부를 통해 장치를 위치시킬 때는 외과적 제어를 달성하기 어렵게 한다. 출원인은 장치를 가하게 될 때 외과적 제어를 개선하기 위 해 팽창성 의료 기기의 원위 단부에 구속력을 가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배출과정동안 원위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치의 경향을 구속하는 동안 팽창성 의료 기기를 위치시키는 어플라이어와, 이 어플라이어를 사용하는 방법은 바람직할 것이다. 게다가 장치의 원위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장치가 배출될 때 배출하는 장치를 향해 원위단 노즈피스(nosepiece) 혹은 커버를 가압하는 가요성 힘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어플라이어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외과용 장치를 가할 때 개선된 제어를 외과의에게 제공하는 수술 장치용 어플라이어와 그 방법이 제공된다. 이 어플라이어는 장치를 단속하기 위한 외피(enclosure)와, 이 외피의 단부 상에 있는 커버, 외피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장치의 근위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구속 부재 그리고 이 외피와 커버를 연결하는 힘 부재(force element)를 포함한다. 힘 부재는 상기 커버와 외피를 일체로서 근위방향으로 수축시키지만, 힘 부재에 의해 생성된 것보다 더 큰 제 2 힘이 커버를 원위방향으로 압박하기 위해 커버에 가해질 경우에 커버가 외피로부터 분리되게 할 정도로 충분한 신축성을 갖는다. 힘 부재는 어플라이어가 상기 수술 장치를 배출시킬 때 수술 장치의 원위 단부에 힘을 가하게 된다.
도 1은 팽창성 의료 기기(12)에 가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는 어플라이어(10)를 도시한다. 어플라이어(10)는 외피, 혹은 팽창성 의료 기기(12)와 어플라이어(10)의 내부 구성요소의 수용을 위한 튜브(14)를 구비한다. 튜브(14)는 몰딩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생성될 수 있고 튜브(14)의 최소한 일부는 장치(12) 혹은 다른 내부 구성요소의 시각화를 위해 반투명하거나 혹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투명성 혹은 투명성으로 인해서 내부에 위치된 광원으로부터 빛이 튜브(14)의 외부로 통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업 영역을 조명하게 된다. 가이드 슬롯(guide slot, 16)은 튜브(14)의 근위단 부근에서 튜브(14)에 위치된다. 가이드 슬롯(16)은 어플라이어(10)의 실행하는 동안 사용자에게 어플라이어(10)의 상기 구성요소를 적절한 위치에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정지 위치 혹은 캠 표면을 제공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어플라이어(10)에서, 가이드 슬롯(16)의 형상은 대체로 영문자 "Z"와 유사하며, 튜브(14)의 외주의 최소한 일부의 주위로 연장된다. 로케이터 핀(locator pin, 18)은 가이드 슬롯(16) 내부에서 이동하고 어플라이어(10)의 구성요소의 일부의 위치를 설정한다. 도 1은 로케이터 핀(18)을 소켓 헤드 캡 스크류(socket-head cap screw)로서 도시한다; 그러나, 로케이터 핀(18)과 가이드 슬롯(16)은 어플라이어(10)의 구성요소의 운동을 지시할 수 있는 어떠한 캠 종동(cam-follwer) 메커니즘이라도 포함할 수 있다. 노브(knob, 20)는 사용자 제어를 위해 어플라이어(10)의 근위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튜브 핸들(24)은 어플라이어(10)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튜브(14)에 부착된다. 블릿 노즈(22)의 형태로 된 캡은 튜브(14)의 원위 단부에 위치된다. 블릿 노즈(22)는 튜브(14)의 원위 단부로부터 돌출하고, 조직 내의 소형 기공(stoma)과 맞물리고 이를 확장시키기 위해 형상화된 원위 단부를 구비한다. 이 원위 단부 형상은 원추형이 될 수 있지만, 둥근 형태, 비대칭형, 첨두형(pointed) 혹은 조직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 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될 수 있다. 또한 블릿 노즈(22)는 그 근위단면에 장치 테이퍼(device taper, 70)를 구비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어플라이어(10) 내부에 장착될 때 테이퍼가 대체로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향해 근위방향을 향한 상태로 장치 테이퍼(70)는 실질적으로 원추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장치 테이퍼(70)는 예를 들면 볼록 형상면과 같이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플레어링(flaring)과 전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서로 다른 표면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도 1은 추가적으로 어플라이어(10)의 내부 메커니즘(26)을 등각도로서 도시한다. 푸쉬 로드(pusher rod, 28)는 노브(20)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길이방향으로 최소한 일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둘러싸기 위해 속이 빈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로드 슬롯(30)은 푸쉬 로드(28)의 내부 부위로 개방되어 있고, 푸쉬 로드(28)와 내부 메커니즘(26)의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상이한 운동을 허용하도록 신장되어 있다. 푸쉬 로드(28)는 그 근위 단부 부근에 튜브(14)와 형합하기 위한 가이드 부싱(guide bushing, 32)을 구비하여, 푸쉬 로드(28)와 튜브(14) 사이에서 종방향 운동과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로케이터 핀(18)은 가이드 부싱(32)으로부터 연장된다. 장치 푸셔(device pusher, 34)로 불리는 구속 부재는 푸쉬 로드(28)의 원위 단부 근방에서 푸쉬 로드(28)에 부착되고, 튜브(14)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때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장치 푸셔(34)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원위단면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으로 장치 푸셔(34)는 장치(12)의 배치를 보조하기 위해 테이퍼진 원위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블릿 노즈 로드(36)는 블릿 노즈(22)에 부착되고 이로부터 푸쉬 로드(28)를 통해 근위방향으로 연장된다. 블릿 노즈 로드(36)와 푸쉬 로드(28) 사이의 미끄럼끼워맞춤(slip-fit) 간격은 이들 사이의 종방향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블릿 노즈 로드 슬롯(38)은 블릿 노즈 로드(36) 속에 커팅되어 형성되고, 푸쉬 로드(30)와 동작 상태로 정렬된다.
블릿 노즈 로드(36)는 생산과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수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릿 노즈 로드(36)는 블릿 노즈(22)와 일체로 몰딩될 수 있어서 단일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블릿 노즈 로드(36)는 블릿 노즈(22)에 나사 결합될 수 있거나, 혹은 그 자체로 조정가능하도록 확장가능한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스프링(40)으로 구현된 힘 부재는 블릿 노즈 로드 슬롯(38)과 맞물림으로써 블릿 노즈(36)를 튜브 핸들(24)에 연결시킨다. 스프링(40)은 블릿 노즈 로드(36)와 블릿 노즈(22)를 근위방향으로 압박하는 기계적 힘을 가한다. 튜브 핸들(24)은 튜브(14)에 부착되기 때문에, 스프링(40)은 블릿 노즈(22)와 튜브(14)를 함께 고정시키지만, 스프링(40)에 의해서 생성된 힘과 대향하고 이보다 더 큰 힘 하에서 블릿 노즈(22)가 튜브(14)로부터 멀어지는 상대적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적 힘을 가한다.
도 2는 어플라이어(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어플라이어(10)의 실시예서와 같이, 튜브 핸들(24)은 튜브(14)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다. 그 러나, 도 2의 실시예에서, 튜브(14)보다는 튜브 핸들(24)이 가이드 슬롯(16)을 수용한다. 스프링(40)으로부터 연장된 레그(41)는 튜브 핸들(24)의 소형 개구를 통해 튜브 핸들(24)에 고정되고, 튜브 핸들(24)의 일부분을 중심으로 만곡하여 이를 제위치에 자리잡게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내부 메커니즘(26)을 도시한다. 튜브(14)는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3에 은선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튜브 핸들(24)은 구성 요소들의 위치적 관계를 도시하기 위해 남아 있다. 푸쉬 로드(28)는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노브(20)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된다. 장치 푸셔 반체(35)는 푸쉬 로드(28)의 원위 단부에 위치되고, 스냅 링(snap ring, 46)에 의해 푸쉬 로드(28)에 부착된다. 관련 장치들을 보다 잘 보이게 하기 위해 생략되어 있는 제 2 장치 푸셔 반체(35)는 장치 푸셔 반체(35)와 형합하여서 푸쉬 로드(28)의 원위 단부를 둘러싸게 되고, 장치 푸셔(34)를 형성하게 된다. 블릿 노즈(22)로서 도시된 커버로부터 연장된, 블릿 노즈 로드(36)로서 도시된 커버 로드(cover rod)는 장치 푸셔(34)의 원위 단부로 삽입된다. 장치 푸셔(34)와 푸쉬 로드(28)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게 되어서, 종방향운동이 블릿 노즈 로드(36)와 장치 푸셔(34) 사이에서 발생하게 된다. 블릿 노즈(22)는 블릿 노즈 로드(36)의 원위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가능한 것 처럼, 블릿 노즈(22)는 블릿 노즈 로드(36)와 결합하여 하나의 부품이 되거나, 블릿 노즈(22)는 블릿 노즈 로드(36)에 부착된 분리된 부품이 될 수 있어서 블릿 노즈(22)와 블릿 노즈 로드(36) 사이에서 조정 가능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디자인은, 예를 들면 블릿 노즈(22)와 블릿 노즈 로드(36) 사이에서 나사 연결 에 의해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블릿 노즈 로드 슬롯(38)은 블릿 노즈 로드(36)의 단부 속에서 커팅되어 형성된다. 로케이터 핀(18)의 실시예는 푸쉬 로드(28)의 근위방향 측면 부근에서 푸쉬 로드(28)의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튜브 핸들(24)은 튜브(14)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다.
스프링(40)은 블릿 노즈 로드 슬롯(38)에 훅 연결되어서 블릿 노즈 로드(36)와 튜브 핸들(24)을 연결시킨다. 스프링(40)은 블릿 노즈 로드(36)와 블릿 노즈(22)를 원위방향으로 압박하는 기계적 힘을 가한다. 튜브 핸들(24)은 튜브(14)에 부착되기 때문에, 스프링(40)은 블릿 노즈(22)와 튜브(14)를 함께 고정하지만, 스프링(40)에 의해서 가해진 힘보다 더 큰 대향력하에서 블릿 노즈(22)가 튜브(14)로부터 멀어지는 상대적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스프링(40)은 형합 푸셔 반체(mating pusher half, 35)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 슬롯(48)을 통과한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튜브 핸들(24)에 대한 도면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튜브 핸들(24)의 원위 단부에서 본 모습을 도시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튜브 핸들(24)의 가이드 슬롯(16)은 도 4에서도 볼 수 있다. 가이드 슬롯(16)은 튜브 핸들(24)의 근위단면에서 핸들(24)의 축에 이어지고, 핸들(24)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수평 슬롯(44)으로 개방되는 종방향 슬롯(42)를 포함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핀 멈춤부(pin stop, 45)는 푸쉬 로드(28)의 예비적 회전 운동없이 로케이터 핀(18)의 추가적 원위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벽면이 된다. 가이드 슬롯(16)은 종방 향 슬롯(42)을 통과하고 수평방향 슬롯(44)을 통과하는 로케이터 핀(18)의 운동을 위한 간격을 구비하고, 그래서 푸쉬 로드(28)가 회전될 때 로케이터 핀(18)의 이동과 푸쉬 로드(28)의 축을 중심으로 한 로케이터 핀(18)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어플라이어(10)에 대한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5의 어플라이어(10)는 그 원위 단부에 튜브 핸들(24)이 부착된 튜브(14)를 구비한다. 푸쉬 로드(28)는 그 근위 단부에서 노브(20)를 구비하고, 그 원위 단부에서 튜브 핸들(24)을 구비한다. 도 5의 실시예는 접속 포트(50)가 어플라이어(10)의 전체 길이를 통해 개방된 상태로 도시된다. 어플라이어(10)의 다른 실시예도 접속 포트(50)를 구비할 수 있다. 경로 리테이너(52)는 튜브(14)의 근위 단부에서 튜브(14)에 부착되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 로드(28)의 운동을 통제한다.
접속 포트(50)는 수술을 용이하게 하는 도구의 배치를 위해 사용된다. 예들 들면, 외과의는 신체 내부에서 어플라이어(10)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와이어, 추가적 치료를 위한 레이저 혹은 외과 도구, 수술부위를 조명하기 위한 광섬유, 수술부위를 시각화하기 위해 카메라가 부착된 광섬유, 전기적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와이어 또는 공압적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튜브 등과 같은 장치를 접속 포트(50)를 통해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폐복막(pneumoperitenium)의 유지와 같은 이유로 가스의 통과를 차단할 필요가 있게 되면, 접속 포트(50)는 사용하지 않을 때 예를 들면 탄성 플러그(elastomeric plug)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도 6은 명확화를 위해 튜브(14)를 은선으로 하여 도 5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푸쉬 로드(28)는 근위 단부에서 노브(20)를 구비하고, 원위 단부에서 블릿 노즈(22)를 구비한다. 장치 푸셔(34)는 푸쉬 로드(28)의 원위 단부 부근에 부착된다. 스프링(40)은 경로 리테이너(52)를 통해서 튜브(14)에 연결되고, 그리고 푸쉬 로드(28)에 연결된다; 그러나, 스프링(40)은 대안적으로 튜브(14)에 직접 부착되거나 혹은 튜브(14)에 첨부된 어떤 부품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프링(40)은 블릿 노즈(22)를 튜브(14) 쪽으로 압박하는 힘을 가하게 되어서, 블릿 노즈(22)와 튜브(14)는 예비하중(preload)과 맞물리게 되지만, 이 예비하중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힘에 의해 각자 편향될 수 있다. 가이드 클립(guide clip, 54)은 푸쉬 로드(28)에 첨부되고 경로 리테이너와(52)와 맞물리게 되어서 가이드 클립(54)과 경로 리테이너(52) 사이의 상대적 운동이 어느 종도 허용된다. 비록 푸쉬 로드(28)에 첨부되지만, 가이드 클립(54)은 고정된 가이드 클립 레그(guide clip leg, 58)와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도 7)를 구비하여서 경로 리테이너(52)의 일부분과 미끄러짐가능하게 맞물리게 된다. 고정 가이드 클립 레그(58)는 대체로 푸쉬 로드(28)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반면에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는 경로 리테이너(52) 상의 캠 표면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외부를 향해 편향된다.
도 7은 도 5의 어플라이어(10)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경로 리테이너(52)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이 도면은 튜브(14)의 내부를 향해 있는 경로 리테이너(52)의 표면을 도시한다. 스프링(40)의 근위 단부와 가이드 클립(54)을 위치설정하는 것이 도 7에 또한 도시된다. 경로 리테이너(52)는 가이드 클립(54)의 작용을 통해 푸쉬 로드(28)의 운동을 지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 경로(control path, 56)를 구비한 다. 제어 경로(56)는 푸쉬 로드(28)의 가이드와 제어를 위한 4개의 경로로 구성된다. 이들 4개의 경로는 플레어 경로(flair path, 60), 리턴 경로(return path, 62), 배출 경로(ejection path, 64) 그리고 피니쉬 경로(finish path, 66)이다. 경로 리테이너(52)의 표면 상의 레일(rail, 75)은 상기 경로들을 분리시킨다. 플레어 정지부(flair stop, 61)는 리턴 경로(62)의 원위 단부에 존재하는 반면에, 간극 슬롯(clearance, 63)은 리턴 경로(62)와 배출 경로(64) 사이에서 이들 경로의 근위 단부 부근에서 개방된다. 원위 간극 슬롯(65)은 플레어 경로(60)와 리턴 경로(62) 사이에서 이들 경로의 원위 단부 부근에서 개방된다. 정지 가이드 클립 레그(58)와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는 플레어 경로(60)에 걸쳐지도록 두 레일(75)에 의해 함께 예비하중이 걸리고 압축된다. 해제 상태에서, 정지 가이드 클립 레그(58)와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는 피니쉬 경로(66)와 플레어 경로(60) 사이의 폭을 에워싸는 거리로 펼쳐진다. 메커니즘의 실행에 있어서, 제어 경로(56)는 해제 상태와 비 예비하중 상태를 향해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의 연속적 해제와 개방을 허용한다. 정지 가이드 클립 레그(58)는 플레어 경로(60) 내에서 유지되지만, 반면에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는 피니쉬 경로(60)를 향해서 그리고 이 경로로 진입하도록 이동한다.
어플라이어(10)의 각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순서를 갖는다. 실시예들은 블릿 노즈(22)가 스프링(40)에 의해 생성된 힘을 가하여서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플레어링되도록 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튜브(14)의 원위 단부를 넘어 연장되지 않을 때, 블릿 노즈(22)는 튜브(14)의 단부를 덮게 되고 스프링(40)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된다. 힘이 블릿 노즈(22)에 작용하고 스프링(40)의 힘에 대항하고 스프링(40)에 의해 가해진 힘보다 더 크게 될 때. 스프링(40)은 편향되어 블릿 노즈(22)는 튜브(40)로부터 들어올려 진다.
도 1에 도시된 어플라이어(10)의 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2를 통해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도 8은 팽창성 의료 기기(12)와 같은 의료 장치가 장착된 도 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튜브(14)는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포함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는 두 조직 부위를 함께 고정시켜서 외과적 치료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외과의는 어플라이어(10)를 파지하고 이를 환자의 신체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과의는 검지와 중지를 튜브 핸들 위에, 엄지를 노브(20) 위에 놓아서 어플라이어(10)를 파지할 수 있다. 외과의는 문합과 같은 외과적 처치가 필요한 기관 부근의 신체 부위로 어플라이어(10)의 실시예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최초에 외과의는 위장관 우회술과 같은 의료 절차의 일부로서 소장 부위를 분할할 수 있다. 또는, 외과의는 장의 암 발생 부위를 제거하고 남은 부위를 문합할 수도 있다. 외과의는 절개부(otomy)를 소장의 일부에 생성할 수 있고 이 소장의 일부를 통해 다른 절개가 필요한 곳으로 어플라이어(10)를 연장시킬 수 있다. 그후에 외과의는 동일한 부위의 벽면에 제 2 절개부를, 문합될 소장의 다른 부분에 제 3 절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플라이어(10)는 소장의 두 부분에서 제 2, 3 절개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제 2, 3 절개부를 가진 벽면은 근위 조직부(68)와 원 위 조직부(69)로서 도시될 수 있다. 이들 조직부가 소장 내강(lumen)의 일부분이 될 때 이들 조직부를 접합함으로써 소장 문합이 형성될 수 있다. 어플라이어(10)를 근위 조직부(68)와 원위 조직부(69)를 통해 연장시킨 후에, 외과의는 어플라이어(10)를 조작하여 문합과 같은 의료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외과의는 튜브 핸들(24)을 노브(20)를 향해 압박한다. 튜브(14)에 첨부된 튜브 핸들(24)은 튜브(14)를 노브(20)를 향해 끌어 당긴다. 외과의에 의해 노브(20)에 가해진 반작용력(reactive force)은 푸쉬 로드(28)를 통해 장치 푸셔(34)와 팽창성 의료 기기(12)로 전달된다. 튜브(14)가 근위방향으로 활주함에 따라, 장치 푸셔(34)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어떠한 근위방향 운동이라도 차단한다. 튜브 핸들(24)과 블릿 노즈 로드(36)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0)은 블릿 노즈 로드(36)를 근위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게 된다. 처치가 시작될 때 어플라이어(10)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로, 블릿 노즈 로드(36)는 블릿 노즈(22)를 근위방향으로 잡아당겨서 튜브(14)와의 예비하중 접촉을 유지하게 되고, 그 결과 블릿 노즈(22)는 장치 푸셔(34)에 대해서 튜브(14)와 하나의 유닛으로서 근위방향으로 이동한다. 블릿 노즈 로드(36)는 푸쉬 로드(28)의 내경속으로 접혀 들어간다. 블릿 노즈(22)가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원위 단부에 이르게 될 때, 장치 테이퍼(70)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와 접촉하여 이를 외부를 향해 벌어지게 한다(flare). 팽창성 의료 기기(12)는 반작용력을 블릿 노즈(22)에 가한다. 근위방향 반작용력이 스프링(40)에 의해 가해진 힘을 압도하게 될 때, 이 반작용력은 스프링(40)을 인장시키고 블릿 노즈(22)를 튜브(14)부터 소량 분리시킨다. 플레어링(flaring) 팽창성 의료 기기 (12)는 튜브(14)와 블릿 노즈(22) 사이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현하기 시작한다.
도 9와 도 10은 어플라이어(10)로부터 출현한 플레어된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도시한다. 블릿 노즈(22)가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향해 이동할 때, 장치 테이퍼(70)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플레어링과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ramp)을 제공한다. 장치 테이퍼(70)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내측부에 힘을 가하여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플레어링되며 그 장치(12)의 원위 단부의 직경을 증가시키게 된다. 게다가, 블릿 노즈(22)가 팽창성 의료 기기(12)에 가하는 제한에 의해서,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외과적 치료를 받게 될 조직 부위에 인접한 정위치에 놓여지게 되기 전에 튜브(14)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원위 조직 부위(69)를 근위 조직 부위(68)를 향해 끌어 당겨서 문합과 같은 치료를 행하기 위해, 블릿 노즈(22)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포획될 때, 외과의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플레어링 부위를 이용할 수 있다. 포획된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연장되고 플레어링된 부위를 가진 어플라이어(10)는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튜브(14)가 노브(20)를 향해 이동할 때, "Z"형 가이드 슬롯(16)의 근위방향의 축방향 부위는 로케이터 핀(18)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조직 처치를 위한 정위치로 플레어링될 때, 가이드 슬롯(16)의 외주부는 로케이터 핀(18)과 접하게 되어서 노브(20)를 향한 튜브(14)의 추가적인 이동은 차단된다. 추가적인 어떤 선형 운동을 계속하기 위해서, 외과의는 이제 튜브(14)를 로케이터 핀(18)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야만 한다.
도 9는 가이드 슬롯(16)의 외주부가 로케이터 핀(18)을 지나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다. 가이드 슬롯(16)의 원위방향, 축 부위가 로케이터 핀(18)과 정렬될 때, 튜브(14)의 추가적인 운동이 허용된다. 가이드 슬롯(16)과 로케이터 핀(18)의 상대적 외주방향 운동을 형성하기 위해 노브(2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튜브(14)를 회전시키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조직부위(69)와 근위 조직부위(68)를 어플라이어(10)의 원위 단부 부근에 위치시킨 후에, 외과의는 어플라이어(10)로부터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배출시킬 준비가 된다.
도 11과 도 12는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배출된 상태로 도 1에 도시된 어플라이어(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배출하기 위해, 외과의는 노브(20)를 향해 튜브(14)를 계속 이동시킨다. 스프링(40)은 블릿 노즈(22)를 근위방향으로 계속해서 끌어당기지만, 반면에 블릿 노즈(22)에 첨부된 블릿 노즈 로드(36)는 푸쉬 로드(28)를 통해서 자유롭게 활주한다. 블릿 노즈(22)는 플레어링된 팽창성 의료 기기(12)에 대해서 아직 예비하중이 가해진 상태이고, 팽창성 의료 기기(12)는 튜브(14)의 원위 단부로부터 계속해서 출현한다. 스프링(40)이 부착되는 블릿 로즈 로드 슬롯(38)의 근위 단부가 푸쉬 로드 슬롯(30)의 근위 단부에 이르게 될 때, 힘은 이제 스프링(40)에 의해서 푸쉬 로드(28)에 가해진다. 스프링(40)은 이제 푸쉬 로드(28)와 튜브 핸들(24) 사이에서 연장된다. 푸쉬 로드(28)에 대한 튜브(14)의 추가적인 근위방향 운동은 스프링(40)을 연장시킨다. 스프링(40)은 더 이상 팽창성 의료 기기(12)에 대해서 블릿 노즈(22)에 예부하를 가하지 않는 다. 블릿 노즈 로드 슬롯(30)의 근위 단부가 푸쉬 로드 슬롯(38)의 근위 단부에 대해서 근위방향으로 이동한다면, 조직부위 혹은 팽창성 의료 기기(12)에 의해 블릿 노즈(22)의 근위 단부에 가해진 힘은 더 이상 스프링에 의해서 압도되지 않아서, 블릿 노즈(22)는 이제 원위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블릿 노즈(22)와 푸쉬 로드(28) 사이의 어떠한 상대적인 운동도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블릿 노즈(22)와 장치 푸셔(34)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후 진행 위치에서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배출상태에 접근할 때, 튜브(14)는 블릿 노즈(22)와 장치 푸셔(3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보관하는 장치 푸셔(34)와 블릿 노즈(22) 사이의 공간은 튜브(14)가 근위방향으로 당겨질 때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배출을 완료하기 위해 튜브(14)로부터 출현하게 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는 유용한 외과적 처치를 수행하기 위한 정확한 방향과 형상을 취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배출 후에 어플라이어(10)의 부품들의 상대적인 위치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다.
도 13 내지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어플라이어(10)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3은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장착된 어플라이어(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배출을 시작하기 위해, 외과의는 튜브 핸들(24)을 노브(20)를 향해 압박한다. 튜브(14)에 첨부된 튜브 핸들(24)은 튜브(14)를 노브(20)를 향해서 끌어 당긴다. 외과의에 의해 노브(20)상에 가해진 반작용력은 푸쉬 로드(28), 스냅 링(46) 그리고 장치 푸셔(34)를 통해 팽창성 의료 기기(12)에 전달된다. 튜브(14)가 근위방향으로 활주할 때, 장치 푸셔(34)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어떤 후방 이동을 제한한다. 동시에, 튜브 핸들(24)과 블릿 노즈 로드(36) 사이에 연결된 스프링(40)에 의해 가해진 힘은 장치 푸셔(34)를 통해 블릿 노즈 로드(36)를 근위방향으로 압박한다. 블릿 노즈 로드(36)는 블릿 노즈(22)를 근위방향으로 끌어당겨서 튜브(14)와의 예비하중 접촉을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튜브(14)와 블릿 노즈(22)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근위방향으로 진행한다. 블릿 노즈(22)가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원위 단부에 이르게 될 때, 장치 테이퍼(70)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와 접촉하여 이를 플레어링되게 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는 스프링(40)에 의해 가해진 힘보다 더 큰 반작용력을 블릿 노즈(22)에 가하게 되어서 스프링(40)을 인장시키고 블릿 노즈(22)를 튜브(14)로부터 소량 분리시킨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어링 팽창성 의료 기기(12)는 튜브(14)와 블릿 노즈(22) 사이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출현하기 시작한다.
도 15는 어플라이어(10)의 실시예로부터 출현하고 있는 플레어링된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스프링(40)은 계속해서 블릿 노즈(22)를 튜브(14)에 대해서 근위방향으로 압박하기 때문에, 장치 테이퍼(70)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플레어링과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경사면을 제공한다. 게다가, 블릿 노즈(22)가 팽창성 의료 기기(12)에 가하는 제한으로 인해서 팽창성 의료 기기(12)는 외과적 치료를 받게 될 조직부위에 인접한 정위치에 위치되기 전에 튜브(14)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원위 조직 부위(69)를 근위 조직 부위(68)를 향해 끌어 당겨서 문합과 같은 치료를 행하기 위해, 블릿 노즈(22)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포획될 때, 외과의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플레어링 부 위를 이용할 수 있다. 포획된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연장되고 플레어링된 부위를 가진 어플라이어(10)는 외과적 처치동안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튜브 핸들(24)이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때, 튜브 핸들(24) 내부에서 가이드 슬롯(16)은 종방향 슬롯(42)을 통해 로케이터 핀(18)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근위방향으로 이동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정위치에 대해서 플레어링될 때, 핀 멈춤부(45)는 로케이터 핀(18)과 접하게 되어 노브(20)를 향한 튜브(14)의 더 이상의 추가적인 이동이 차단된다. 추가적인 선형 이동을 계속하기 위해, 외과의는 이제 로케이터 핀(18)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튜브(14)를 회전시켜야 한다. 수평 슬롯(44)(도 5)은 이러한 회전을 허용하는 간극을 구비한다. 로케이터 핀(18)이 핀 멈춤부(45)를 지나 회전된 후에, 노브(20)를 향한 튜브(14)의 추가적인 이동이 허용되고, 외과의는 어플라이어(10)로부터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배출을 완료할 준비가 된다.
도 16과 도 17은 어플라이어(10)로부터 배출되고 근위 조직 부위(68)를 원위 조직 부위(69)에 접하게 하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배출을 완료하기 위해서, 외과의는 노브(20)를 향해 튜브(14)를 계속해서 이동시킨다. 스프링(40)은 블릿 노즈(22)를 근위방향으로 계속해서 끌어당기고, 반면에 블릿 노즈(22)에 부착된 블릿 노즈 로드(36)는 장치 푸셔(34)를 통해 자유롭게 활주한다. 블릿 노즈(22)는 스프링(40)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서 플레어링된 팽창성 의료 기기(12)에 대해서 아직 예비하중이 가해져 있다. 스프링 (40)이 부착되는 블릿 노즈 로드(36)의 근위 단부가 푸쉬 로드(28)의 원위 단부에 이르게 될 때, 힘은 이제 푸쉬 로드(28)에 가해진다. 블릿 노즈(22)는 더 이상 근위방향으로 튜브(14)를 뒷따르지 않고, 더 이상 튜브(14)에 대해서 예비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푸쉬 로드(28)에 대한 튜브(14)의 추가적 근위방향 이동은 스프링(40)을 연장시킨다. 더 이상 블릿 노즈(22)와 장치 푸셔(34)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튜브(14)는 블릿 노즈(22)와 장치 푸셔(2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보관하는, 장치 푸셔(34)와 블릿 노즈(22) 사이의 공간은 튜브(14)가 근위방향으로 당겨질 때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배출하기 위해서 튜브(14)로부터 나타나게 된다.
도 18 내지 도 23은 도 5에 도시된 어플라이어(10)의 실시예의 작동을 도시한다. 도 18은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튜브(14)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장착된 위치에서 도 5의 어플라이어(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프링(40)에 의해 가해진 힘은 튜브(14)의 원위 단부에 대해서 블릿 노즈(22)를 고정한다. 외과의는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튜브 핸들(24)을 파지함으로써 스프링(40)의 힘을 이겨내면서 노브(20)를 향해 튜브(14)를 근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튜브(14)는 푸쉬 로드(28)와 장치 푸셔(34)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이동한다. 장치 푸셔(34)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근위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튜브(14)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때, 간격(gap)이 튜브(14)와 블릿 노즈(22) 사이에서 개방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는 튜브(14)의 원위 단부로부터 출현하기 시작한다.
또한 도 19는 경로 리테이너(52)와 가이드 클립(54)에 대한 등각도를 도시한 다. 경로 리테이너(52)는 튜브(14)에 부착되고 가이드 클립(54)과 함께 근위방향으로 이동한다. 경로 리테이너(52)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어 경로(56)는 튜브(14)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가이드 클립(5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튜브(14)가 도 18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때, 플레어 경로(60)는 플레어 멈춤부(61)가 가이드 클립(54)과 접하게 될 때까지 정지 가이드 클립 레그(58)와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를 지나서 이동한다. 플레어 멈춤부(61)는 튜브(14)의 추가적인 근위방향 운동을 차단한다. 플레어 멈춤부(61)가 가이드 클립(54)에 접하게 될 때,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는 원위방향 간극 슬롯(65)으로부터 리턴 경로(62)로 이동할 것이다. 이제 어플라이어(10)는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튜브(14)의 원위 단부로부터 출현한 상태로 도 20에 도시된 위치를 취하게 된다. 튜브(14)로부터의 해제력(releasing force)에 의하여 스프링(40)은 튜브(14)를 원위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도 21에 도시된 위치로 진입시킬 것이다.
도 21은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튜브(14)의 원위 단부로부터 플레어링된 상태로 도 6의 어플라이어(10)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외과의가 튜브 핸들(24)로부터 힘을 해제할 때, 스프링(40)은 튜브(14)를 원위방향으로 블릿 노즈(22)를 향해서 끌어 당기게 된다. 장치 테이퍼(70)는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플레어링을 보조하기 위해서 팽창성 의료 기기(12)와 접촉한다. 스프링(40)으로부터의 힘은 장치(12)에 가해진다.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도 21의 구성에서 어플라이어(10)의 실시예는 문합과 같은 외과적 처치를 수행하기 위해 근위 조직 벽면에 원위 조직 벽면(69)을 근접시키도록 원위 조직 벽면을 포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외과의는 조직을 처치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플레어링된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갖춘 어플라이어(1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2는 어플라이어(10)가 도 21의 플레어링된 위치에 있을 때 경로 리테이너(52)와 가이드 클립(54)을 도시한다. 경로 리테이너(52)는 가이드 클립(54)에 대해서 초기 위치로 이동하였고, 반면에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는 리턴 경로(62) 내부에 위치해 있다. 그후 경로 리테이너(52)가 가이드 클립(54)과 함께 그 근위 단부에서 초기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는 간극 슬롯(63)을 통해서 배출 경로(64)로 이동하였다.
도 23은 어플라이어(10)에 의해 배출된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도시한다. 팽창성 의료 기기(12)가 제위치에 위치된 후에, 외과의는 이제 다시 튜브(14)를 푸쉬 로드(28)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압박하기 위해 튜브 핸들(24)을 노브(20)를 향해 잡아 당김으로써 장치(12)를 배출할 수 있다. 장치 푸셔(34)가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근위 단부와 접촉할 때, 팽창성 의료 기기(12)의 추가적인 근위방향 운동은 차단된다. 튜브(14)는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배치하기 위해서 이 장치로부터 근위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4는 어플라이어(10)가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배치하는 동안 가이드 클립(54)을 지나 근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 리테이너(52)의 작용을 도시한다. 배출 경로(64)는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를 지나 근위방향으로 이동한다. 배출 경로(64)의 원위 단부에는 멈춤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튜브(14)는 장치 푸셔(34) 가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완전히 배출하도록 하는 위치로 근위방향으로 추가 이동할 수 있다. 배출 경로(64)에 인접한 가이드 레일(75)의 만곡면은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에 횡력(side force)를 가하여서 이 가변 가이드 클립을 정지 가이드 클립 레그(58)에 더 근접하게 이동시킨다.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를 이동시킴으로써 생성된 힘은 튜브(14)가 허용가능한 근위방향 이동의 끝단으로 접근중이라는 촉각적 피드백(feedback)을 외과의에게 전달할 수 있다. 튜브(14)가 그 근위방향 최외곽 위치에 도달하고 장치(12)가 배출된 후에, 외과의는 이제 튜브 핸들(24)을 노브(20)를 향해 끌어당기는 힘을 해제할 수 있다. 스프링(40)은 튜브(14)를 노브(20)에 대해서 원위방향으로 끌어 당기고, 반면에 피니쉬 경로(66)는 가변 가이드 클립 레그(59)를 지나 원위방향으로 이동한다. 어플라이어(10)는 팽창성 의료 기기(12)를 배출시킨 상태이다.
어플라이어(10)의 일부분들의 운동에 대한 기술이 이들 부품들의 서로에 대한 상대적 운동을 기술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면, 노브(20)를 향한 근위방향 튜브(14)의 운동은 튜브(14)를 향한 원위방향 노브(20)의 운동으로서 기술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장치 푸셔(34)를 지나 근위방향으로의 튜브(14)의 운동은 정지 튜브(14) 내에서 장치 푸셔(34)의 원위방향 운동으로서 기술될 수도 있다. 후자의 예에서, 팽창성 의료 기기(12)는 튜브(14)가 근위방향으로 지나쳐 이동할 때 장치 푸셔(34)에 의해서 근위방향 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기술된다. 정지 부재를 장치 푸셔(34)로부터 튜브(14)로 변화시킴으로써, 장치 푸셔(34)의 원위방향 진행에 의해 원위방향으로 압박된 팽창성 의료 기기(12) 중의 하나에 대한 기술 이 변경된다.
균등한 구조가 본원에 도시되고 기술된 구조로 대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된 실시예가 단지 청구된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구조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균등 구조의 하나의 예로서, 수압, 전기 또는 공압이 튜브(14)를 장치 푸셔(34)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전기 장치와 피드백 루프(feedback loop)를 구비한 컴퓨터 제어가 튜브(14)를 이동시키고, 조직에 가해진 힘의 총량을 기초로 하여 힘 부재에 선택적으로 장력을 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균등 구조의 추가적인 예로서, 문합을 형성하기 위해 어플라이어(10)의 메커니즘을 이동시키는 제어 로봇 암에 부착된 어플라이어(10)와 함께 로봇 구조(robotics)가 사용될 수 있다. 로봇 구조는 처치 부위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외과의가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균등 구조의 추가적인 예로서, 튜브(14)는 가요성 튜브가 될 수 있고, 어플라이어(10) 내부의 메커니즘은 소장의 일부와 같은 긴 내강을 통해서 조작할 수 있는 가요성을 가져서 긴 그리고 가요성이 있는 내강을 통해서 문합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긴, 가요성의 튜브는 복강경수술에(laproscopically) 혹은 내시경수술(endoscopically)에 사용될 수 있다.
균등 구조의 추가적인 예로서, 어플라이어(10)는 길고, 강성있는, 만곡된 튜브, 혹은 길고, 강성있는, 직선형 튜브를 구비할 수 있고, 어플라이어(10)는 밀폐 포트(obturator port)를 통과해서 위치될 수 있고 복강경 혹은 내시경적으로 사용 될 수 있다. 길이와 만곡률은 내시경술 또는 복강경술에 있어서, 특히 비만 환자(bariatric patient)에 대한 외과적 처치를 수행할 때 이점을 갖는다. 어플라이어(10)의 강성있거나 가요성있는 형태 중 어떤 것에 있어서, 도구를 통한 가스 유동의 제한은 예를 들면 내시경술에서와 같이 폐복막의 유지가 요구될 때 이점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는 균등 구조와 방법의 추가적인 예시로서, 어플라이어(10)는 예를 들면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Cincinnati) 소재의 Ethicon Endo-Surgery사로부터 입수가능한 Lap-Disk® 핸드 포트와 같은 손을 이용한(hand-assisted) 복강경수술용으로 사용되는 핸드 포트의 개구를 통해 편리하게 위치될만큼 소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핸드 포트를 통해 어플라이어(10)를 사용하는 외과의는 시각화를 위해 제 2 포트를 통해 내시경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폐복막을 유지할 수도 있다. 외과의는 또한 투관침(trocar), 파지부(grasper), 절단부(cutter) 그리고 내강을 파지하거나 내강에 절개부를 형성하는데 보조하기 위한 보조 포트(auxiliary port)를 통해서 삽입된 다른 내시경 도구를 이용하여 문합과 같은 외과적 처치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균등 구조와 방법의 추가적인 예시로서, 어플라이어(10)의 길고, 강성있는 변형예 혹은 길고 가요성있는 실시예는 조직이 외과의에 의해 핸드 포트를 통해 위치된 손을 사용하여 처치되는 동안 보조 포트를 통해 사용될 수 있다.
균등 구조의 다른 예시로서, 블릿 노즈(22)상의 원위 테이퍼(distal taper, 71)는 도 25A 내지 도 25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직 처치의 다양한 형식에 따라 유리한 여러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 25A는 낮은 조직 외상을 위해 그리고 원위 단부를 지나 양호한 가시성을 위해 뭉툭하게 가공된 원추형팁(conical tipped) 노즈를 도시한다. 도 25B는 조직에 가해질 토크를 허용하기 위해 홈이 패인(fluted) 노즈를 도시한다. 도 25B는 4개의 홈을 도시하지만, 3 혹은 기타 다른 수의 홈들도 충분할 수 있다. 도 25C는 짧은 공간 내에서 절개부의 신속한 팽창을 위해 볼록 만곡면을 가진 노즈를 도시하고, 반면에 도 25D는 부스러지기 쉬운(friable) 조직의 완만한 팽창을 위한 오목면을 가진 노즈를 도시한다. 도 25E에 도시된 편심제거된(offset swept) 노즈는 그 비대칭성 때문에 일측면에 대한 보다 양호한 가시성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조직을 최소한으로 파지하기 위해 그 비대칭성을 이용함으로써 처치를 보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5F는 제한된 공간에서 짧은 작동 구간을 형성하고 조직 외상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면 노즈를 도시한다. 이들 표면들 간의 조합도 또한 이점을 갖고, 예를 들면 도 25D에 도시된 오목면은 또한 도 25B에 도시된 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다른 조합들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연상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이 본원에서 도시되고 기술되는 동안,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이러한 실시예들이 단지 예시의 방법으로서 제공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수의 변형예, 변경 그리고 대체들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연상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정신 과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어플라이어를 통해서, 외과적 처치시에 절개 크기를 감소시키며 외과적 처치에 더 적은 기술을 소요되게 하고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수술 장치를 가하게 될 때 외과적 제어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외과적 처치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원위 단부, 근위 단부 그리고 이들 사이에 있는 종방향 축을 포함하는 튜브와, 푸쉬 로드의 원위 단부에 부착되는 캡과 이 캡의 근위 단부에 배치되는 제한 부재를 구비한 푸쉬 로드와, 이 제한 부재와 캡 사이에서 상기 튜브의 원위 단부 내에 배치되는 팽창성 의료 기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푸쉬 로드는 상기 튜브 내에 배치되어서 상기 캡은 상기 튜브에 대해서 원위방향에 위치하고 스프링은 상기 튜브의 상기 원위 단부를 향해 편향되며, 상기 의료 장치는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구비하는 어플라이어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캡이 상기 튜브에 대해서 편향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장치의 상기 원위 단부를 배치하기 위해 예정된 거리만큼 상기 푸쉬 로드를 대해서 상기 튜브를 근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과적 처치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근위 단부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튜브를 상기 푸쉬 로드에 대해서 근위방향으로 제 2 예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 3 항에 있어서,
    a. 제 1 신체 내강에 제 1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제 2 신체 내강에 제 2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c. 제 1 절개부와 제 2 절개부를 통해 상기 어플라이어를 삽입하는 단계와;
    d. 상기 수술 장치가 제 1 신체 내강과 제 2 신체 내강 사이에서 문합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술 장치를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050090297A 2004-09-28 2005-09-28 수술 장치용 어플라이어 KR101237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220704A 2004-09-28 2004-09-28
US10/952,207 2004-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718A true KR20060051718A (ko) 2006-05-19
KR101237764B1 KR101237764B1 (ko) 2013-02-28

Family

ID=3612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297A KR101237764B1 (ko) 2004-09-28 2005-09-28 수술 장치용 어플라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KR (1) KR101237764B1 (ko)
CN (1) CN1754517A (ko)
AU (1) AU2005203522B2 (ko)
BR (1) BRPI0503876A (ko)
CA (1) CA2520688C (ko)
RU (1) RU240830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397500A1 (en) * 2017-02-06 2019-07-11 Covidien Lp Surgical clip applier with user feedback feature
US10932784B2 (en) * 2017-06-09 2021-03-02 Covidien Lp Handheld electromechanical surgical system
CN110215249B (zh) * 2019-07-08 2022-04-15 北华大学 一种用于管型吻合器的钉仓组件
RU2759486C1 (ru) * 2020-10-29 2021-11-15 Бэйцзин Вемед Медикал Эквипмент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фрикционной обратной связи проволочного проводника для интервенционного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робот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7167A1 (en) * 1995-05-25 1996-11-28 Raychem Corporation Stent assembly
US5700269A (en) * 1995-06-06 1997-12-23 Corvita Corporation Endoluminal prosthesis deployment device for use with prostheses of variable length and having retraction ability
US6113612A (en) * 1998-11-06 2000-09-05 St. Jude Medical Cardiovascular Group, Inc. Medical anastomosis apparatus
US7115136B2 (en) * 2001-06-20 2006-10-03 Park Medical Llc Anastomotic device
WO2003000142A2 (en) * 2001-06-20 2003-01-03 Park Medical, Llc. Anastomot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4517A (zh) 2006-04-05
CA2520688C (en) 2014-04-01
BRPI0503876A (pt) 2006-05-09
RU2005130153A (ru) 2007-04-10
AU2005203522B2 (en) 2012-08-02
CA2520688A1 (en) 2006-03-28
AU2005203522A1 (en) 2006-04-13
KR101237764B1 (ko) 2013-02-28
RU2408302C2 (ru)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2254B2 (en) Surgical device and accessories
JP4658557B2 (ja) 自己配置ファスナーのための単一内腔吻合用アプライヤー
JP7048861B2 (ja) 体管腔内低侵襲性治療用システム
US20050075656A1 (en) Applier for a surgical device
US8439831B2 (en) Laparoscopic instrument and trocar system and related surgical method
AU2011202410A1 (en) Applier for a surgical device
US20050075655A1 (en) Applier having automated release of surgical device
KR101233996B1 (ko) 자동 배출식 수술 장치를 갖는 어플라이어
JP2005103277A5 (ko)
KR101237764B1 (ko) 수술 장치용 어플라이어
CA2482707C (en) Applier having automated release of surgical device
EP1938758B1 (en) Endoscopic treatment tool
US20230134917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uturing
US20220202433A1 (en) Control mechanism for end effectors and method of use
KR20230058497A (ko) 내강 병치 또는 상처 결함을 위한 그래플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