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045A -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연동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연동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045A
KR20060047045A KR1020040092632A KR20040092632A KR20060047045A KR 20060047045 A KR20060047045 A KR 20060047045A KR 1020040092632 A KR1020040092632 A KR 1020040092632A KR 20040092632 A KR20040092632 A KR 20040092632A KR 20060047045 A KR20060047045 A KR 20060047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d
satellite
module
service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7388B1 (ko
Inventor
박채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3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47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5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 연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DBM 모듈과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VOD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VOD 모듈 동작 시 VOD 방송 서비스를 위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를 측정하는 제 1 수신신호측정부와, 상기 제 1 수신신호측정부의 측정치가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위성 DBM 모듈을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와, 위성 DMB 모듈 동작 시 위성 방송 서비스를 위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제 2 수신신호측정부와, 상기 제 2 수신신호측정부의 측정치가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VOD 모듈을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와, 상기 VOD 모듈 및 위성 DMB 모듈 간의 채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 제어부로 구성되어 방송 수신 상태에 따라 위성 DMB 모듈 또는 VOD 모듈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 연동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ACTING SATELLITE BROADCAST SERVICE WITH VOD SERVICE}
도 1은 일반적인 위성 DMB 방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 연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VOD 모듈 20: 제 1 수신신호 측정부
30: 제 2 구동부 40: 위성 DMB 모듈
50: 제 2 수신신호 측정부 60: 제 1 구동부
70: 채널 제어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 연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TV 방송 또는 VOD 방송 시청 시 양질의 화면과 사운드를 위해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 간의 상호 전환이 가능하게 한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 및 VOD 방송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기존의 음성 통신 및 텍스트 위주의 서비스에서 한 단계 발전한 개념의 서비스로, 사용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정보를 선택하여 서버로부터 전송 받아 재생할 수 있는 서비스인 VOD(Video On Demand :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VOD 방송 서비스는 다운로드(download) 방식 또는 스트리밍 (streaming) 방식으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다운로드 방식은 원하는 컨텐츠 전체를 단말기에 내려받아 재생하는 방식으로 통화를 끊은 상태에서도 언제든지 원하는 시간에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으나 다운로드를 위한 대기시간이 길어지며 VOD 단말기에 많은 저장 공간이 요구된다.
스트리밍 방식은 접속을 연결한 상태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으로 컴퓨터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가 미디어의 재생을 위해 처음에 어느 정도 데이터를 저장(buffering)시킨 다음 화면에 재생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이런 스트리밍 방식은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대기시간은 짧아지고 버퍼링 외 저장 공간이 필요 없지만 전송환경에 따라 일부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한다.
그러나, VOD 방송 서비스는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바이트 당 부가되는 패킷 요금 및 접속 시간에 부가되는 접속료 부담이 상당하여, 그 대안으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가 제안되었다.
위성 DMB 서비스는 위성을 이용해 방송을 하며 수신율이 낮은 도심지역은 갭 필터(Gap Filter)라는 일종의 중계기를 활용해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로서, 휴대 단말기에 고음질, 고화질의 방송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성 DMB 시스템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공급하는 위성 DMB 방송센터(1)와, 상기 위성 DMB 방송센터(1)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방송 서비스 관련 신호를 송신하는 DMB 위성(2)과, 상기 DMB 위성(2)으로부터 방송 서비스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지상의 터널이나 지하와 같은 음영지역에서 원활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지상 중계기(3)와, 상기 DMB 위성(2)과 지상 중계기(3)에서 송신한 방송 서비스 관련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4)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위성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DMB 단말기가 기존의 VOD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도,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에 따라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 상호 간에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은 존재하지 않아 양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 및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나, 양자 간에 상호 연동하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위성 DMB 모듈 또는 VOD 모듈을 이용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중 방송 수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경우 위성 DMB 모듈과 VOD 모듈 간에 상호 전환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 연동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DBM 모듈과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VOD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VOD 모듈 동작 시 VOD 방송 서비스를 위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를 측정하는 제 1 수신신호측정부와, 상기 제 1 수신신호측정부의 측정치가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위성 DBM 모듈을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와, 위성 DMB 모듈 동작 시 위성 방송 서비스를 위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제 2 수신신호측정부와, 상기 제 2 수신신호측정부의 측정치가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VOD 모듈을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와, 상기 VOD 모듈 및 위성 DMB 모듈 간의 채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성 DBM 모듈과 VOD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위성 DBM 모듈을 구동하여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위성 방송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위성 방송을 위한 기준치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위성 방송을 위한 기준치 미만인 경우 현재 방송 채널로 VOD 모듈을 구동시켜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VOD 방송의 신호 상태를 측정하여 VOD 방송을 위한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VOD 방송을 위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현재 방송 채널로 위성 DMB 모듈을 구동시켜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VOD 모듈(10)과,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DMB 모듈(40)과, 상기 VOD 모듈(10)이 동작하면 수신되는 신호의 상태를 측정하는 제 1 수신신호측정부(20)와, 제 1 수신신호측정부(2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위성 DMB 모듈(40)을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30)와, 상기 위성 DMB 모듈이 동작하면 수신되는 신호의 상태를 측정하는 제 2 수신신호측정부(50)와, 상기 제 2 수신신호측정부(50)에 측정값에 따라 VOD 모듈(10)을 구동시키는 제 1 구동부(60)와, 상기 VOD 모듈(10)과 위성 DMB 모듈(40) 간의 채널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 제어부(70)로 구성한다.
상기 제 1 수신신호측정부(20)는 VOD 모듈(10)을 통해 방송 데이터를 스트리밍(streaming)하는 도중 프레임 오류율(Frame Error Rate: FER), 체크 섬 오류율(Check Sum Error Rate) 및 버퍼링율(Buffering Rate)을 측정한다.
여기서, 프레임 오류율은 데이터 품질을 나타내며, VOD 방송 서비스가 요구하는 프레임 오류율의 기준치를 만족하여야 한다. 일예로서, 비디오 신호의 해상도 는 화면의 화소수가 320×240 이상일 때, 초당 15프레임 이상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체크 섬 오류율은,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합계인 체크 섬의 오류 정보를 측정하는 것이다. 체크 섬은, 한 영상의 모든 바이트(byte)들에 대해 오버플로우(overflow)를 무시하고 더한 결과로써 얻어지는 바이트로서 영상의 전송 시에 체크섬이 영상자료와 함께 전송되고, 체크섬이 영상을 받은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에서 계산한 값과 다르면 전송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전송 상태의 양호도를 판별하기 위해 체크 섬 오류율을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버퍼링율은, 정보의 송수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처리 속도의 차를 흡수하는 버퍼링의 발생 빈도로서, 측정한 버퍼링율이 높으면 수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제 1 수신신호측정부(20)에서 프레임 오류율, 체크 섬 오류율 및 버퍼링율의 측정치를 제 2 구동부(30)로 전달하면, 제 2 구동부(30)는 그 측정치가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준치를 초과할 때에 위성 DMB 모듈(40)을 구동시킨다. 이 때, 채널 제어부(70)는 VOD 모듈(10)이 방송한 채널의 정보를 위성 DMB 모듈(40)로 전달하여, VOD 모듈(10)에서 위성 DMB 모듈(40)로 전환되어도 동일한 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위성 DMB 모듈(40)에 의한 위성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제 2 수신신호 측정부(50)는 수신되는 위성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제 1 구동부(6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 1 구동부(60)는 상기 측정치가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 공하기 위한 위성 신호 세기의 기준치보다 작은 경우 VOD 모듈(10)을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채널 제어부(70)는 VOD 모듈(10)에 의해 방송되던 채널 정보를 위성 DMB 모듈(40)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 연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성 DMB 모듈을 이용하여 위성 방송을 제공하고(S10), 그 동안 위성 방송의 신호 세기를 일정한 주기 간격으로 측정한다(S11). 이 때, 위성 방송의 신호 세기가 휴대 단말기에 설정된 기준치 보다 작지 않은 경우 위성 방송 서비스를 계속하나(S12, S10), 기준치 보다 작은 경우 VOD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S13~S16).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성 방송의 신호 세기가 휴대 단말기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치 보다 작을 때, 현재의 채널 정보를 저장하고(S13), VOD 모듈을 구동시킨 후(S14) 상기 저장된 채널로 이동한다(S15). 그리고 그 채널에 해당하는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S16).
상기 과정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태로 전환되면, 프레임 오류율(Frame Error Rate: FER), 프로토콜의 체크 섬 오류율(Check Sum Error Rate) 및 버퍼링율(Buffering Rate)의 VOD 신호 상태를 측정한다(S17).
상기 측정한 각각의 프레임 오류율, 체크 섬 오류율, 버퍼링율에 대하여 기준치가 저장되어 있으며, 프레임 오류율, 체크 섬 오류율, 버퍼링율이 모두 각각에 대해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 행한다(S19~S21).
위성 방송 서비스로 전환하기 위하여, VOD 방송 서비스로 제공하던 방송의 채널 정보를 저장하고(S19), 위성 DMB 모듈을 구동시킨 후(S20) 앞서 저장한 채널로 이동한다(S21). 그리고 그 채널에 해당하는 위성 방성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10).
즉, 휴대 단말기에서 위성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중에 방송 수신 상태가 양호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VOD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끊김 없이 동일한 내용 방송하는 것으로, 그 역도 성립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방송 수신 상태에 따라 위성 DMB 모듈 또는 VOD 모듈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성 DBM 모듈과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VOD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VOD 모듈 동작 시 VOD 방송 서비스를 위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수신 상태를 측정하는 제 1 수신신호측정부와,
    상기 제 1 수신신호측정부의 측정치가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위성 DBM 모듈을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와,
    위성 DMB 모듈 동작 시 위성 방송 서비스를 위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제 2 수신신호측정부와,
    상기 제 2 수신신호측정부의 측정치가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준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VOD 모듈을 구동시키는 제 2 구동부와,
    상기 VOD 모듈 및 위성 DMB 모듈 간의 채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채널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 연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신신호측정부는,
    VOD 방송 서비스를 위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프레임 오류율(Frame Error Rate), 체크 섬 오류율(Check Sum Error Rate) 및 버퍼링율(Buffering Rate)을 측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 연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제어부는
    위성 DMB 모듈이 구동되기 직전의 VOD 방송의 채널 및 VOD 모듈이 구동되기 직전의 위성 방송의 채널을 저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 연동 장치.
  4. 위성 DBM 모듈과 VOD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위성 DBM 모듈을 구동하여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위성 방송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위성 방송을 위한 기준치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위성 방송을 위한 기준치 미만인 경우 현재 방송 채널로 VOD 모듈을 구동시켜 VO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VOD 방송의 신호 상태를 측정하여 VOD 방송을 위한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VOD 방송을 위한 기준치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현재 방송 채널로 위성 DMB 모듈을 구동시켜 위성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 연동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VOD 방송을 위한 기준치는,
    프레임 오류율(Frame Error Rate), 체크 섬 오류율(Check Sum Error Rate) 및 버퍼링율(Buffering Rat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 연동 방법.
KR1020040092632A 2004-11-12 2004-11-12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연동 장치 및 방법 KR100677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632A KR100677388B1 (ko) 2004-11-12 2004-11-12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연동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632A KR100677388B1 (ko) 2004-11-12 2004-11-12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연동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045A true KR20060047045A (ko) 2006-05-18
KR100677388B1 KR100677388B1 (ko) 2007-02-02

Family

ID=3714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632A KR100677388B1 (ko) 2004-11-12 2004-11-12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연동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3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71B1 (ko) * 2006-02-17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방송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WO2008136620A1 (en) * 2007-05-03 2008-11-13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276834B1 (ko) * 2006-11-14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단말기 및 방송 단말기의 방송 대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71B1 (ko) * 2006-02-17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방송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1276834B1 (ko) * 2006-11-14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단말기 및 방송 단말기의 방송 대체 방법
WO2008136620A1 (en) * 2007-05-03 2008-11-13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388B1 (ko) 200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4332B1 (ko) 약전계 구간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및 방법
KR20030071819A (ko) 수신기, 휴대 단말, 및 수신 시스템
US20070195892A1 (en) Data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shortening channel switching tim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US85780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broadcast
KR20020045571A (ko) 데이터 재생방법, 데이터 수신단말 및 데이터 수신방법
KR100800727B1 (ko)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에서 채널 전환을 위한 재생 장치 및 방법
CN102084652B (zh) 用于选择性地缓存突发流传输的方法和装置
US20060285015A1 (en) Multichannel video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broadcasting
US20080307482A1 (en) System and method of accessing multicast digital video broadcasts
KR10075458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중 방송 다시보기를 위한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단말기 및 방법
KR100677388B1 (ko) 휴대 단말기의 위성 방송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의연동 장치 및 방법
US8131227B2 (en) Method of transceiving driver software over the ai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090075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mobile broadcast quality
KR1006302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티브이 시청 방법
KR20080044547A (ko) 프로그램 시청 중단 방지 기능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시청 중단 방지 방법
US773876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service for digital video services for mobile reception
KR10067805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퀵 뷰어 실행방법
KR10130943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녹화 장치 및 방법
JP2005020437A (ja) コンテンツ補正システムおよび受信機器
US20050259576A1 (en) Information distributing system and information distributing method as well as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O2007058067A1 (ja) 携帯通信端末、デジタル放送補完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補完システム
CN100350765C (zh) 影音播放系统传输数据的方法
JPH1132020A (ja) データ送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放送システム
US81158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KR10087123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영상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