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768A -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원시스템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원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768A
KR20060044768A KR1020050024971A KR20050024971A KR20060044768A KR 20060044768 A KR20060044768 A KR 20060044768A KR 1020050024971 A KR1020050024971 A KR 1020050024971A KR 20050024971 A KR20050024971 A KR 20050024971A KR 20060044768 A KR20060044768 A KR 20060044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ally connected
bridge arm
node
output capacitor
facto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754B1 (ko
Inventor
지앤핑 잉
챠오췬 순
홍지앤 관
Original Assignee
델타 일렉트로닉스 아이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타 일렉트로닉스 아이엔시. filed Critical 델타 일렉트로닉스 아이엔시.
Publication of KR2006004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85Partially controlled bri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33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bridge converter comprising active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4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 H05B41/24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high frequency ac, or with separate oscillator frequency for a plurality of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8Plural converter units for generating at two or more independent and non-parallel outputs, e.g. systems with plural point of load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시스템으로서, 교류 입력전압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직류전압을 제공하는 이중승압 역률보정(PFC)회로와, 상기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냉음극 형광램프를 구동하여 LCD 패널 백 라이트 광원을 제공하는 인버터와, 상기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복수의 출력전압을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제공하는 복수의 출력전압을 갖는 직류/직류 변환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전원시스템은 종래 기술보다 입력 정류기가 1개 적으며, PFC 회로와 백 라이트 인버터와의 사이의 DC/DC 변환기를 생략할 수 있어, 보다 높은 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다.
백 라이트 전원, 액정표시장치, 냉음극 형광램프, 인버터,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원시스템{A NEW ARCHITECTURE OF POWER SUPPLY SYSTEM FOR LCD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LCD 전원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LCD 전원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LCD 전원시스템의 제2 실시예인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를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의 등가회로도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LCD 전원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LCD 전원시스템의 제 3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LCD 전원시스템의 제 4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LCD)에 백 라이트를 갖는 전원시스템, 예를 들어 LCD 텔레비전, LCD 및 기타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ight)의 백 라이트의 전원시스템에 응용된다.
도 1은 종래의 LCD 전원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LCD 전원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시내 전차에서의 교류전압은 전력 주파수를 정류한 후, 역률보정(PFC: Power Factor Correction)회로의 입력전압으로서 백 라이트 CCFL을 구동하는 인버터를 얻어, +24V 직류 전압을 수백 내지 천여 볼트의 교류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그 입력 전단(前端)에는 메인 직류/직류(DC/DC) 교환기를 설치하고, PFC 회로로부터 출력된 고압 직류 버스전압을 +24V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동시에, 백 라이트 인버터와 전단 PFC 회로를 안전하게 이격시킨다. 더구나, PFC 회로에서 출력된 고압 직류 버스전압을 LCD 의 음성 주파수 및 기타 제어 부재에 필요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보조 직류/직류(DC/DC) 변환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도 상기 개념과 유사한 것으로서, 정류기, PFC 회로(또는, 승압회로 :boost circuit) 및 인버터를 통하여 CCFL에 전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LCD 패널의 자연냉각 조작조건은 그 전원 공급 시스템에 비교적 높은 전송효율을 요구하는 동시에, 그 모든 소자는 비교적 균일한 손실 분포를 갖는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PFC 회로와 전력 주파수 정류기의 저효율 및 그로 인하여 초래된 과열점은 종래부터 비교적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며, 특히, 비교적 큰 전력에 응용하는 경우에 더욱 큰 문제점이 되고 있다. 또한, 백 라 이트 CCFL에 의해 소모된 전력은 LCD 전원시스템에 있어서 절대적인 부분(일반적으로 LCD 텔레비전에서는 70% 내지 80% 정도의 정격전력)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주요 DC/DC 변환기의 변환 손실는 분명히 전체의 LCD 전원시스템의 효율을 저감시키고 있다. 그 밖에, LCD 패널의 자연냉각 조작조건은 그 전원공급 시스템의 모든 소자가 상대적으로 비교적 균일한 손실 분포를 갖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주요 DC/DC 변환기는 대부분의 전력을 처리해야 하는 동시에, 그 출력은 상대적으로 비교적 낮은 전압과 비교적 큰 전류이므로 그러한 고주파수 변압기 및 출력정류 전력부재 상에 과열 지점을 생기게 하기가 쉽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와 실험을 거듭한 결과, 바람직한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원시스템"을 안출하였다. 이로 인하여, 이중승압 역률보정(Dual Boost PFC)회로는 직접 입력된 전력 주파수 교류 전압을 수백볼트의 직류 버스전압으로 변환하는 동시에, 입력전류 역률 보정기능을 실현하였다. 1개의 전력 주파수 정류기를 절감하였으므로 이 PFC는 더욱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 종래의 +24V 입력 전압과 달리, 상기 전원시스템에서의 백 라이트 인버터의 입력전압은 수백볼트 직류전압이며, 직접 전단 PFC 회로의 백 라이트 인버터회로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인가된 것이다. 종래의 것보다 적고, 전단 PFC 회로와 백 라이트 인버터에 개재하는 직류/직류(DC/DC) 변환기이므로,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더욱 높은 전송효율을 얻을 수 있어, 자연냉각 조작조건 하에서의 열구조 설계에 더욱 적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승압 역률보정(Dual Voost PFC)회로에 있어서, 직접 입력된 교류전압을 직류 버스전압(VBUS)으로 변환하는 동시에, 입력전류 역률 보정기능을 실현한 액정표시장치(LCD)에 이용되는 전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적어도 이중승압 PFC 회로와 연접한 인버터에 있어서 적어도 냉음극 형광램프(CCFL)를 구동하여 액정표시패널의 백 라이트 광원을 제공한다. 다른 DC/DC 변환기는 이중승압 PFC 회로와 연접하여 LCD에 전원을 공급한다. 입력정류기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PFC 회로와 백 라이트 인버터 사이에 위치하는 직류/직류(DC/DC) 인버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보다 높은 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광원을 공급하는데에 이용되는 전원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전원시스템은 교류입력전압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직류 전압을 제공하는 이중승압 역률보정(Dual Boost PFC)회로와, 상기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냉음극 형광램프(CCFL)를 구동하여 LCD 패널 백 라이트 광원을 제공하는 인버터와, 상기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복수의 출력전압을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제공하는 복수의 출력전압을 갖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는 제1단이 상기 입력전압의 제1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승압 인덕터와 브리지구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그 중에서 상기 브리지구조는 제1 브리지 아암과, 제2 브리지 아암과, 출력 커패시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그 중에서 상기 브리지구조는;
제1 상부 브리지 아암과, 제1 하부 브리지 아암과, 상기 승압 인덕터의 제2 단, 상기 제1 상부 브리지 아암 및 상기 제1 하부 브리지 아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절점(節点)을 갖는 제1 브리지 아암과,
제2 상부 브리지 아암과, 제2 하부 브리지 아암과, 제2 절점을 구비하고, 그 중에서 상기 제2 브리지 아암은 상기 제1 브리지 아암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 절점이 입력전압의 제2 입력단, 상기 제2 출력 커패시터 및 제2 하부 브리지 아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브리지 아암과,
상기 제2 브리지 아암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커패시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상부 브리지 아암은 양극이 상기 제1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음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상기 제1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리고 제2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 단 및 제어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 브리지 아암은 양극이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음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부 브리지 아암은 상기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단과,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2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단과, 제어점을 구비한 제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파워 스위치 소자이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이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상기 제1 단은 상기 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또,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제2 단은 상기 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상기 제어단은 상기 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상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이 상기 제1 절점 및 제어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부 브리지 아암은 음극이 상기 제1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양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이 상기 제2 절점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스위치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2 하부 브리지 아암은 음극이 상기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양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2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상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출력 커패시터의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이 상기 제1 절점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 단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 브리지 아암은 양극이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음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2 하부 브리지 아암은 음극이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양극이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2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 상부 브리지 아암은 양극이 상기 제1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음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하부 브리지 아암은 음극이 상기 제1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양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이 상기 제2 절점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스위치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2 하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상기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2 단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시스템은 적어도 인버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시스템은;
교류 입력전압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로 인하여 직류전압을 제공하는 이중승압 역률보정(Dual Boost PFC)회로와,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로 인하여 광원을 구동하여 LCD 패널 백 라이트 광원을 제공하는 인버터와,
상기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로 인하여 복수의 출력 전압을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제공하는 복수의 출력전압을 구비한 직류/직류 변환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LCD 전원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은 전단 이중승압 역률보정(Dual Boost PFC)회로이며, 그 입력단과 전력 주파수 보정 네트워크가 직접 연접하여 입력전류 역률 보정기능을 실현한 동시에, 전력 주파수 교류전압을 안정된 직류 버스전압(VBUS)으로 변환하고 있다. 1 내지 수개의 인버터(301, 302,...30n)는 대응하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를 구동하여 액정표시패널 백 라이트 광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인버터의 입력단과 전단 역률보정(PFC)회로의 출력단이 연접되고, 그 입력전압은 결국 역률보정(PFC)회로의 출력전압(VBUS)이다. 또한, 상기 구성 외에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20)가 제공되고, 그 입력단도 전단 역률보정(PFC)회로 의 출력단과 직접 연접하며, 복수의 출력전압(V1, V2,...Vn)을 발생시켜서 LCD의 음성 주파수 및 그 밖의 제어부재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 새로운 방식에 의한 전원시스템은 입력단의 출력 주파수 정류기를 생략하고, 백 라이트 냉음극 형광램프(CCFL)에 의해 소모된 전력은 종래의 전원시스템보다 적고, 전단 역률보정(PFC)회로와 백 라이트 인버터 사이에 개재하는 직류/직류(DC/DC) 변환이므로 전체의 전원시스템이 보다 높은 변환효율을 갖도록 하여, 자연 냉각조건하의 열구조 설계에 보다 적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전원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LCD 설비 전원시스템의 제1 실시예인 이중승압 역률보정(Dual Boost PFC)회로를 나타내는 등가회로도이다. 도 3에서, 제1 다이오드(D1)와 제1 파워 스위치(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 MOSFET)(Q1)는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며, 제2 다이오드(D2)와 제2 파워 스위치(Q2)는 직렬로 접속되고, 각각 2개의 상호 병렬의 브리지 아암을 구성하고 있다. 그 중에서 2개의 상부 브리지 아암(D1 및 D2)의 음극은 서로 연접하고 있는 동시에, 출력 커패시터(CB)의 제1 단(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2개의 하부 브리지 아암(Q1) 및 제2 소스는 서로 연접하고 있는 동시에, 출력 커패시터(CB)의 제2 단(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력주파수 교류전압(Vac)은 1개의 승압(Boost) 인덕터(L)와 상기 2개의 브리지 아암의 접속점에 걸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이중승압 역률보정(Dual Boost PFC)회로의 등가회로 도의 동작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정의된 각 변수의 참조방향에 의하면, 입력전압(Vac)이 양의 방향 반파인 경우, 승압 인덕터(L), 제1 스위치(Q1), 제1 다이오드(D1) 및 출력 커패시터(CB)에 의해 기본적인 승압 역률보정(Boost PFC)회로가 구성되고, 제2 스위치(Q2)가 도통상태가 되면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는 승압 인덕터(L) 중의 전류이다. 입력전압(Vac)이 음의 방향 반파인 경우, 승압 인덕터(L)와 제2 스위치(Q2)와, 제2 다이오드(D2)와, 출력 커패시터(CB)에 의해 기본적인 승압 역률보정(Boost PFC)회로가 구성되고, 제1 스위치(Q1)가 도통상태가 되면 반대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는 승압 인덕터(L) 중의 전류이다. 이 회로는 교류 입력전압(Vac)의 양/음 반파에 있어서, 각각 2개의 승압 회로에 의해 역률보정(PFC) 기능이 실현되므로 전용의 전력 주파수 정류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것은 이중승압 역률보정(Dual Boost PFC)회로가 임계 단속 전류방식(DCM Boundary)으로 가동하고 있지만, 실제의 응용시에는 제어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3에서의 제1 및 제2 스위치(Q1 및 Q2)도 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유형의 파워 스위치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의 이중승압 역률보정(Dual Boost PFC)회로도 도 3에서의 형식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질적으로, 2개의 다이오드 및 2개의 파워 스위치 소자에 의해 도 3에 유사한 브리지 구조를 구성하여 일정한 제어방식을 채용하면, 동시에 교류/직류(AC/DC) 변환 및 역률보정(PFC)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LCD 전원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10)의 2개의 파워 스위치 소자는 각각 병렬로 접속된 2개의 상부 브리지 아암을 구성하고, 2개의 다이오드는 2개의 브리지 아암의 하부 브리지 아암을 구성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LCD 전원시스템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이중승압 역률보정(Dual Boost PFC)회로(10)의 2개의 파워 스위치 소자는 병렬로 접속된 2개의 브리지 아암 중의 제1 브리지 아암을 구성하고, 제2 브리지 아암은 2개의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LCD 전원시스템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이중승압 역률보정(Dual Boost PFC)회로(10)의 2개의 다이오드는 병렬로 접속된 2개의 브리지 아암 중의 제1 브리지 아암을 구성하고, 제2 브리지 아암은 2개의 파워 스위치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전원시스템은 도 1에 개시된 종래 기술보다 입력 정류기가 1개 적으며, 또한, PFC 회로와 백 라이트 인버터 사이에 위치하는 DC/DC 변환기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정류기, PFC 회로(또는, 승압회로) 및 인버터를 각각 하나씩 구비하여 CCFL을 위해 전원을 제공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적어도 하나의 정류기를 생략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종래 기술 중의 PFC 회로 및 전력 주파수 정류기의 저효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보다 높은 전 송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자연냉각 동작조건에 적합한 열구조 설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단지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결코 이들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당업자에 의한 단순한 설계 변경, 부가, 수식 및 치환 등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시스템에 있어서,
    교류 입력전압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직류전압을 제공하는 이중승압 역률 보정회로(dual boost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와,
    상기 이중승압 역률 보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냉음극 형광램프(CCFL)를 구동하여 LCD 패널의 백 라이트 광원을 제공하는 인버터와,
    상기 이중승압 역률 보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복수의 출력전압을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제공하는 복수의 출력전압을 갖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승압 역률보정회로는 제1 단이 상기 입력전압의 제1 입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승압 인덕터와 브리지 구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그 중에서 상기 브리지구조는;
    제1 상부 브리지 아암과, 제1 하부 브리지 아암과, 상기 승압 인덕터의 제2 단, 상기 제1 상부 브리지 아암 및 상기 제1 하부 브리지 아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절점을 갖는 제1 브리지 아암과,
    제2 상부 브리지 아암과, 제2 하부 브리지 아암과, 제2 절점을 구비하고, 그 중에서 상기 제2 브리지 아암은 상기 제1 브리지 아암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2 절점이 상기 입력전압의 제2 입력단, 상기 제2 출력 커패시터 및 제2 하부 브리지 아암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브리지 아암과,
    상기 제2 브리지 아암에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출력 커패시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브리지 아암은 양극이 상기 제1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음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상기 제1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 단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 브리지 아암은 양극이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음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부 브리지 아암은 상기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단과,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2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단과, 제어점을 구비한 제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파워 스위치 소자이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는 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이며,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상기 제1 단은 상기 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제2 단은 상기 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의 상기 제어단은 상기 MOS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이 상기 제1 절점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부 브리지 아암은 음극이 상기 제1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양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이 상기 제2 절점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부 브리지 아암은 음극이 상기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양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2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다이 오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출력 커패시터의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이 상기 제1 절점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 단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상부 브리지 아암은 양극이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음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하부 브리지 아암은 음극이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양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2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브리지 아암은 양극이 상기 제1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음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부 브리지 아암은 음극이 상기 제1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양극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제2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상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2 단이 상기 제2 절점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스위치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하부 브리지 아암은 제1 단이 상기 제2 절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단이 상기 출력 커패시터의 상기 제2 단 및 제어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스위치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전원시스템은 적어도 인버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시스템.
  7.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시스템에 있어서,
    교류 입력전압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로 인하여 직류전압을 제공하는 이중승압 역률 보정회로(dual boost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와,
    상기 이중승압 역률 보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로 인하여 광원을 구동하여 LCD 패널 백 라이트 광원을 제공하는 인버터와,
    상기 이중승압 역률 보정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로 인하여 복수의 출력전압을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제공하는 복수의 출력전압을 구비한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시스템.
KR1020050024971A 2004-04-26 2005-03-25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원시스템 KR100696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4100434346 2004-04-26
CNA2004100434346A CN1690777A (zh) 2004-04-26 2004-04-26 用于液晶显示设备的电源系统新架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768A true KR20060044768A (ko) 2006-05-16
KR100696754B1 KR100696754B1 (ko) 2007-03-19

Family

ID=3493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971A KR100696754B1 (ko) 2004-04-26 2005-03-25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원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592115A3 (ko)
KR (1) KR100696754B1 (ko)
CN (1) CN16907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755B1 (ko) * 2006-10-13 2007-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Lcd 디스플레이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WO2013095055A1 (ko) * 2011-12-21 2013-06-2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백라이트 모듈과 그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82637C2 (ru) * 2007-08-17 2013-05-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Масштабируемы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CN101398548B (zh) * 2007-09-28 2010-05-26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电源电路及液晶显示器
CN102598494A (zh) * 2009-11-19 2012-07-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供电系统
EP2624428A1 (de) * 2012-02-06 2013-08-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odulare DC Stromversorgung mit unabhängigen Ausgangswandlern
CN104754792B (zh) * 2013-12-25 2018-03-06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无桥led驱动电路
CN104065283B (zh) * 2014-07-03 2018-02-16 苏州奥曦特电子科技有限公司 无桥式pfc交流直流电源变换器
CN104283433B (zh) * 2014-09-17 2016-10-19 厦门科华恒盛股份有限公司 变流器及其控制方法和带电池逆变的变流器及其控制方法
CN106452101A (zh) * 2016-08-23 2017-02-22 重庆大学 电子调压器
CN106877728B (zh) * 2017-03-20 2021-11-12 苏州奥曦特电子科技有限公司 双向电源变换器
CN108667323B (zh) * 2018-06-25 2024-05-17 广州金升阳科技有限公司 交直流输入自适应开关电源电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245A (ko) * 2001-03-19 2002-09-30 주식회사 파웰 역률 보정기능을 갖는 결합 인덕터 및 에너지 회생 회로를사용한 고 효율 소프트 스위칭 교류-직류 승압 컨버터
KR100878222B1 (ko) * 2001-07-03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755B1 (ko) * 2006-10-13 2007-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Lcd 디스플레이 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WO2013095055A1 (ko) * 2011-12-21 2013-06-2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백라이트 모듈과 그 구동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2115A2 (en) 2005-11-02
EP1592115A3 (en) 2007-09-05
CN1690777A (zh) 2005-11-02
KR100696754B1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754B1 (ko)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전원시스템
JP2005316429A (ja) 液晶表示器設備に用いられる電源系統
USRE42182E1 (en) Back-light control circuit of multi-lamps liquid crystal display
US6630797B2 (en) High efficiency driver apparatus for driving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US7550928B2 (en) Driving circuit for multipl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s backlight applications
US7525255B2 (en) Split phase inverters for CCFL backlight system
CN100539382C (zh) 逆变器及使用它的发光装置和图像显示装置、电源装置
US7903438B2 (en) DC-AC converter with fast response speed
KR20040073533A (ko) 하나 이상의 램프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 장치
US7015658B2 (en) Driving circuit configured in a three-phase i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09022804A2 (en) Planar light-source pulse-type driving circuit adopting a transformer
KR100651079B1 (ko) 영전압스위칭 방식의 하프브리지 인버터 회로
KR20080092869A (ko) 광원구동장치
KR100835101B1 (ko) 풀-브리지 인버터 및 lcd 백라이트용 컨버터
KR100809256B1 (ko) 하이사이드 풀-브리지 인버터 및 lcd 백라이트용 컨버터
CN114389436A (zh) 开关电源变换电路和电路设备
TWI221080B (en) Integrated power supply device for information appliance
CN202059326U (zh) 一种电源功率因数校正电路
CN100542000C (zh) 双n信道半桥式换流装置
Jeong High‐performance high‐efficiency LED‐backlight driving system for LCD panels
KR20030068756A (ko) 인버터와 이를 사용한 램프 점화 시스템
JPH07106084A (ja) 紫外線放射放電灯用電子点灯装置
TW200941450A (en) Power supply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