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630A - 입출력 단말기, 마스터 장치, 슬레이브 장치, 정보 처리시스템 및 방법, 및 입출력 단말기용, 마스터 장치용 및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입출력 단말기, 마스터 장치, 슬레이브 장치, 정보 처리시스템 및 방법, 및 입출력 단말기용, 마스터 장치용 및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630A
KR20060044630A KR1020050024111A KR20050024111A KR20060044630A KR 20060044630 A KR20060044630 A KR 20060044630A KR 1020050024111 A KR1020050024111 A KR 1020050024111A KR 20050024111 A KR20050024111 A KR 20050024111A KR 20060044630 A KR20060044630 A KR 2006004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cal connection
input
information
information processing
conn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스께 고니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6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04L41/12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of virtualised topologies, e.g. software-defined networks [SDN] or network function virtualisation [NF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의 논리적 접속 상황을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파악하고, 또한 설정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입출력 단말기, 마스터 장치, 슬레이브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및 입출력 단말기용, 마스터 장치용 및 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서버가 각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집하여 관리하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리모트 컨트롤러(7)에 공급하고, 리모트 컨트롤러(7)는 이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논리적 접속 상태를 표시부(71)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논리적 접속 상황을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7)가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 조작을 접수하고, 서버가 그 변경 요구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특정하여 송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가 실제로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황을 변경하도록 한 경우, 논리적 접속 상황을 설정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홈 네트워크, LAN 케이블, TV 장치, 서버

Description

입출력 단말기, 마스터 장치, 슬레이브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및 입출력 단말기용, 마스터 장치용 및 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INPUT/OUTPUT TERMINAL, MASTER APPARATUS, SLAVE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S FOR INPUT/OUTPUT TERMINAL, MASTER APPARATUS, AND SLAV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VD 레코더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레이어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웨어 셀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 면.
도 8은 도 7의 DMA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인 경우의 데이터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보유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1의 TV 장치가 보유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의 DVD 레코더가 보유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의 멀티플레이어가 보유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의 서버가 보유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가 보유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각 정보 처리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추상화하여 도시하는 블록도.
도 16은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표시부에서의 일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표시부에 시각적인 표시를 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8은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표시부에서 설정한 접속을 반영시키는 경우의 동작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주요부 구성과 함께 추상화하여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의 표시부에서 설정한 접속을 반영시키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0은 반영된 접속을 리모트 컨트롤러의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21은 입출력 채널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의 시분할 다중 처리의 동작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주요부 구성의 일부와 함께 추상화하여 도시하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홈 네트워크
11 : LAN 케이블
12 : 무선 통신로
2, 3 : TV 장치
4 : DVD 레코더
5 : 멀티플레이어
6 : 서버
7 : 리모트 컨트롤러
71 : 표시부
72 : 키보드부
20, 40, 50, 60, 70 : 정보 처리 컨트롤러
201, 401, 501, 601, 701 : 메인 프로세서
202, 402, 502, 602, 702 : 서브 프로세서
203, 403, 503, 603, 703 : DMAC
407, 507, 607, 707 : DC
205, 206, 405, 406, 505, 506, 605, 606, 705, 706 : LS
440, 540 : 기록 재생부
640 : 외부 기록부
740 : ROM
226, 326, 426, 526, 626, 726 : 네트워크 접속부(NIC)
227, 327 : 입력 채널부
427, 527 : 입출력 채널부
711 : 장치 오브젝트
712 : 가상 접속 라인
713 : 커서
714 : 비액티브 장치 오브젝트
715 : 카테고리 윈도우
717 : 칩 인스펙트 윈도우
80 : 소프트웨어 셀
801 : 송신원 ID
802 : 송신처 ID
803 : 응답처 ID
805 : DMA 커맨드
808 :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
809 :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
811 : 프로그램
812 : 데이터
813 : 실행 섹션
814 : 접속 정보 요구 커맨드
815 : 접속 정보 회신 커맨드
816 : 접속 변경 요구 커맨드
817 : 접속 변경 회신 커맨드
821 : 정보 처리 장치 ID
822 : 정보 처리 장치 종별 ID
830 : 기본 정보부
831 : MS 스테이터스
850 : 부가 정보부
854 : 전원 정보
855 : 입력 채널 정보
856 : 출력 채널 정보
86 : 소프트웨어
87 : 제어 프로그램
871 : MS 매니저
872 : 능력 교환 프로그램
88 : 기능 프로그램
89 : 디바이스 드라이버
91 : 장치 정보
921, 922, 923, 924 : 논리적인 접속
95 : 패킷
비특허 문헌 1 : "Sirius", [online], 주식회사 I·S·T, [평성 15년 11월 25일 검색], 인터넷<URL:http://www.istinc.co.jp/netkids/index.html>
본 발명은,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입출력 단말기,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 및 입출력 단말기용, 마스터 장치용 및 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술은 몇몇 존재한다. 이들의 주된 용도로는, 네트워크의 관리자 등 이 회사 내 등의 복수대의 단말기, 프린터, 서버나 이들의 가동 상황 등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표시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이들의 기술은, 네트워크 관리 프로토콜인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나 그 외 독자적인 프로토콜을 실장함으로써, 네트워크 정보에 필요한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나 이용 가능한 포트 번호, 가동 상황 등을 취득하여,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을 표시하는 것을 실현하고 있다.
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에는, SNMP를 이용하여 현재의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이나 트래픽량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네트워크의 관리자 등의 사용자는, 현재의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을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또한 가동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에 의해 확실히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에서의 네트워크층 이하의 계층에서의 접속 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패킷을 취득하는, 즉 Ping 커맨드에 의해 접속하고 있는지의 여부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각 장치 사이와의 논리적인 네트워크 접속(OSI 참조 모델에서의 트랜스포트층 이상)에서, 실제로 어떤 장치와 어떤 장치와의 사이에서 End to End의 데이터 교환이 행해지고 있는 것인지 등을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는 없다.
또한, 어느 기술도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의 해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가능하더라도, IP 어드레스의 변경이나 장치의 전원을 차단시킨다는 극히 일부의 기능을 제외하고, 표시된 화면 상에서 네트워크 내의 장치 사이의 접속 상황을 설정할 수는 없는 것이다.
또한, 이 IP 네트워크의 경로는, 실장되어 있는 네트워크층의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존하고 있어, 사용자는 자유롭게 경로를 변경할 수는 없다.
즉, 종래의 이들 기술은 회사 내의 LAN 등의 네트워크의 관리 등과 같은 용도가 주가 되기 때문에, 관리자 등의 전문 지식을 갖는 사람이 아닌 일반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반드시 편리성이 좋다고는 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 목적은, 네트워크 내의 장치 사이의 실제의 데이터 교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네트워크 내의 장치 사이의 접속 상황의 설정이나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입출력 단말기는,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논리적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상기 표시 수단은,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는 변경 요구 조작을 접수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입출력 단말기용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한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논리적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입출력 단말기에 실행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터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접속 정보 수집 수단과, 접속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과, 관리 수단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접속 정보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마스터 장치는, 입출력 단말기로 이루어진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슬레이브 장치를 특정하고, 그 변경 요구를 특정된 슬레이브 장치로 분류하여 송신하는 변경 요구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마스터 장치용 프로그램은,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한 논리적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와, 관리되고 있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단계를 마스터 장치에 실행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레이브 장치는,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보유하는 보유 수단과, 그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는 접속 정보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슬레이브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송신된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에 기초하여 실제로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은,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보유하는 단계와, 그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슬레이브 장치에 실행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슬레이브 장치가,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보유하는 보유 수단과,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는 접속 정보 송신 수단을 구비하고, 마스터 장치가, 논리적 접속 정보를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접속 정보 수집 수단과, 접속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논리적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과, 관리 수단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상기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접속 정보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입출력 단말기가,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장치 사이에서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은, 입출력 단말기에서의 처리가,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논리적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마스터 장치에서의 처리가, 논리적 접속 정보를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한 논리적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와, 관리되고 있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슬레이브 장치에서의 처리가,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정보를 보유하는 단계와, 그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입출력 단말기 및 입출력 단말기용 프로그램에서는, 논리적 접속 정보가 취득되고, 이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가 표시된다. 여기서 「논리적 접속」이란, 네트워크 내의 장치 사이의 구체적인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한 접속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 모델에서의 트랜스포트층 이상의 계층에서의 접속을 의미하며, 네트워크층 이하의 계층에서의 접속과는 분리된 개념이다. 따라서, 이 논리적 접속 상태가 표시됨으로써,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중, 어떤 장치와 어떤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제로 데이터 교환이 행해지는 상태(또는, 실제로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인지가 파악된다. 특히, 이 표시를 시각적으로 행하도록 한 경우에는, 그와 같은 상황이 한번에 파악된다. 여기서, 「시각적」이란, 문자 그대로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상태라는 의미이며, 「그래피컬」 및 「문 자적」을 포함하는 상위 개념이다. 또한, 「그래피컬」이란, 그림이나 사진 등의 도형에 의해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문자적」이란, 도형을 제외한 문자 등에 의해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마스터 장치 및 마스터 장치용 프로그램에서는, 논리적 접속 정보가 마스터 장치에 의해서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집되고, 거기에서 관리된다. 이 논리적 접속 정보는, 또한 마스터 장치로부터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되고, 이들의 공급처에서 공유되어 이용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슬레이브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에서는,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가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마스터 장치로 보내진다. 그 결과, 모든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가 마스터 장치에 집약된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모든 슬레이브 장치에 관한 논리적 접속 정보가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마스터 장치에 집약되어 관리됨과 함께, 마스터 장치로부터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보내진다. 입출력 단말기에서는, 이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논리적 접속 상태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 중, 어떤 장치와 어떤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제로 데이터 교환이 행해지고 있는 것인지 등의 상황이 파악된다.
또, 마스터 장치와 슬레이브 장치와의 사이에서의 논리적 접속 정보의 송수신은,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셀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 「소프트웨어 셀」이란,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교환하기 위한 소정의 포맷을 갖는 제어 패킷 또는 정보 패킷을 의미한다.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 단순히 실시예라고 함)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정보 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2∼5)와, 이들의 정보 처리 장치(2∼5)를 관리하는 서버(6)와, 이들의 정보 처리 장치(2∼5) 및 서버(6) 사이를 서로 접속하는 LAN 케이블(11)을 갖는 홈 네트워크(1)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홈 네트워크(1)에는,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을 구비한 리모트 컨트롤러(7)가 무선 통신로(12)를 통하여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2∼5)를, 각각 텔레비전 수상기(이하, TV 장치라고 함)(2), TV 장치(3), DVD(Digital Versatile Disc) 레코더(4) 및 멀티플레이어(5)로서 설명하지만, 총칭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정보 처리 장치(2∼5)로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각 정보 처리 장치(2∼5)는, 복수의 입출력 채널(예를 들면 TV 장치(2)의 경우, 2개의 영상 음성 입력 채널) 및 이들 입출력 채널에 연결되는 회로 유닛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들의 입출력 채널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은 모두, LAN 케이블(11)만을 이용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정보 처리 장치(2∼5)와 서버(6)와의 사이의 교환도 LAN 케이블(11)을 통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다.
서버(6)는,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보유하는 장치 정보를 총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장치 정보란, 예를 들면 각 정보 처리 장치의 전원 상황(전원이 ON인지 OFF인지), 어떤 타입의 정보 처리 장치인지, 어떤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는지, 그 인터페이스는 각각 어디에 접속되어 있는지,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서버(6)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보유하는 장치 정보를 취득하여, 리모트 컨트롤러(7)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리모트 컨트롤러(7)는, 영상이나 문자 정보 등을 표시 가능한 표시부(71)와, 사용자가 정보 입력 시에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72)를 구비하고, 서버(6)로부터 수신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71)에 각 정보 처리 장치(2∼5) 사이의 서로의 논리적 접속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리모트 컨트롤러(7), 서버(6) 및 정보 처리 장치(2∼5)는, 각각 본 발명에서의 「입출력 단말기」,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의 일 구체예에 대응하는 것이다. 단,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한 종류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 대신에(또는 이들 외에 추가로), 다른 종류(예를 들면 CD(Compact Disk; 등록 상표) 플레이어, 오디오 스피커, 홈 프로젝터, 퍼스널 컴퓨터 등)의 기기를 포함해도 된다.
도 2∼도 6은 각각, TV 장치(2), DVD 레코더(4), 멀티플레이어(5), 서버(6) 및 리모트 컨트롤러(7)의 각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장치(2)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20)와, 메인 메모리(210)와, 방송 수신부(220)와, 입력 채널부(227)와, AV(Audio-Visual) 기능부(221)와, 리모콘 수광부(225)와, 네트워크 접속부(226)와, 시스템 버스(230)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메모리(210)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20)에 직접 접속되고, 방 송 수신부(220), 입력 채널부(227), 리모콘 수광부(225) 및 네트워크 접속부(226)는, 시스템 버스(230)를 통하여 정보 처리 컨트롤러(4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력 채널부(227)에는, AV 기능부(221)가 접속되어 있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20)는, TV 장치(2)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 기능부로, 내부 버스(20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된 메인 프로세서(201), 서브 프로세서(202A∼202D) 및 DMAC(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203)를 갖는다.
메인 메모리(210)는, 메인 프로세서(201) 및 서브 프로세서(202A∼202D)에 의해서 공유되는 예를 들면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는 메모리로, TV 장치(2)의 기능을 담당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정보 처리 장치가 보유하는 장치 정보도, 메인 메모리(210) 내의 영역에 장치 정보 테이블로서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메인 프로세서(201)는, 서브 프로세서(202A∼202D)에 의한 프로그램 실행(데이터 처리)의 스케줄 관리와, 정보 처리 컨트롤러(20)의 전반적인 관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단, 메인 프로세서(201) 내에서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것도 있다. 그 경우에는, 메인 프로세서(201)는 서브 프로세서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메인 프로세서(201)는, 일시적인 워크 메모리로서의 LS(Local Storage)(205)를 갖는다.
서브 프로세서(202A∼202D)는, 각각 메인 프로세서(201)의 제어에 의해서 병렬적이고 또한 독립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단, 필요에 따라, 메인 프로세서(201) 내의 프로그램이 서브 프로세서(202A∼202D) 내의 프로그램과 제휴하여 동작하는 것도 있다. 후술하는 기능 프로그램도 메인 프로세서(201) 내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각 서브 프로세서(202A∼202D)도 또한, 각각 LS(206A∼206D)를 갖는다. 또, 여기서는 서브 프로세서가 4개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그 이외의 개수라도 되고, 후술하는 도 3∼도 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DMAC(203)는, 내부 버스(204)와 메인 메모리(210)와의 사이에 접속되고, 서브 프로세서(202A∼202D)가, 메인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직접(메인 프로세서(201)를 통하지 않고) 액세스하여,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DMA(Direct Memory Access)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정보 처리 컨트롤러(20)에는, TV 장치(2)를 네트워크 전체를 통해서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가, 정보 처리 장치 ID로서 할당되어 있다. 또한, 각 서브 프로세서(202A∼202D)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각각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자가 서브 프로세서 ID로서 할당되어 있다(도 8 참조).
방송 수신부(220)는, 다수의 방송파 중에서 임의의 방송파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튜너 기능을 갖는다. AV 기능부(221)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223)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24)와, 이들 디스플레이(223) 및 스피커(224)의 제어를 행하는 AV 처리부(222)를 포함한다. AV 처리부(222)는, 예를 들면 2개의 AV 처리 회로(222A, 222B)를 포함한다. 리모콘 수광부(225)는, 도시하지 않은 리모콘 송신기로부터의 리모콘(원격 조작)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입력 채널부(227)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AV 처리부(222)로 보내져 온 데이터가 입력되는 포트로서, 네트워크 접속부(226)를 통하여, LAN 케이블(1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입력 채널부(227)는, 소프트웨어(후술하는 능력 교환 프로그램)에 의해 각각 추상화되어 관리되는, 예를 들면 2개의 입력 채널(227A, 227B)을 갖고 있다.
네트워크 접속부(226)는, 소위 NIC(Network Interface Card)라고 불리는 LAN 인터페이스부로, 시스템 버스(230)와 LAN 케이블(11)과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또, TV 장치(3)는 TV 장치(2)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D 레코더(4)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40)와, 메인 메모리(410)와, 입출력 채널부(427)와, 기록 재생부(440)와, 방송 수신부(420)와, 영상 출력부(421)와, 음성 출력부(424)와, 리모콘 수광부(425)와, 네트워크 접속부(426)와, 시스템 버스(430)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메모리(410) 및 입출력 채널부(427)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40)에 직접 접속되고, 방송 수신부(420), 영상 출력부(421), 음성 출력부(424), 리모콘 수광부(425) 및 네트워크 접속부(426)는, 시스템 버스(430)를 통하여 정보 처리 컨트롤러(4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채널부(427)에는, 기록 재생부(440)가 접속되어 있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40)는, 내부 버스(40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된 메인 프로세서(401), 서브 프로세서(402A∼402D), DMAC(403) 및 DC(Disc Controller)(407)를 갖는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40)의 메인 프로세서(401)는, 일시적인 워크 메모리로서의 LS(405)를 갖는다. 각 서브 프로세서(402A∼402D)도 또한, 각각 LS(406A∼406D)를 갖는다. DMAC(403)는 내부 버스(404)와 메인 메모리(410)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DC(407)는, 입출력 채널부(427)를 통하여 접속된 기록 재생부(440)에 액세스하는 것이다. 따라서, DC(407)는, 디스크 컨트롤러라고 칭하지만, 기록 재생부 컨트롤러이다. 또한, 정보 처리 컨트롤러(40)는, 후술하는 도 4의 멀티플레이어(5)의 개략 구성과 같이, 복수의 기록 재생부(440) 내의 유닛을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록 재생부(440)는, 도 3의 DVD 레코더(4)의 예에서는 DVD(DVD±RW(Digital Versatile Disc±ReWritable)) 유닛(440A)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기록 재생부(440)에 적용되는 기록 재생 수단으로서는, 각종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고정 디스크(하드디스크)라도 되고, 리무버블 디스크라도 되며, 또한 MO(Magneto Optical), CD±RW(Compact Disc±ReWritable) 등의 광 디스크, 메모리 디스크,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입출력 채널부(427)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DVD 유닛(440A)과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이 이루어진 포트이고, DC(407) 및 네트워크 접속부(426)를 통하여, LAN 케이블(1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입출력 채널부(427)도, 전술한 입력 채널(227)과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에 의해 각각 추상화되어 관리된다. 예를 들면 이 경우 입출력 채널부(427)는, 1개의 입력 채널(427A) 및 1개의 출력 채널(427B) 을 갖고 있다.
영상 출력부(421) 및 음성 출력부(424)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40)로부터 시스템 버스(430)에 송출된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지털 데이터 그대로,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DVD 레코더(4)의 외부로 송출하는 것이다. 또한, 네트워크 접속부(426)는 LAN 인터페이스부로, 시스템 버스(430)와 LAN 케이블(11)과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플레이어(5)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50)와, 메인 메모리(510)와, 입출력 채널부(527)와, 기록 재생부(540)와, 영상 출력부(521)와, 음성 출력부(524)와, 리모콘 수광부(525)와, 네트워크 접속부(526)와, 시스템 버스(530)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메모리(510) 및 입출력 채널부(527)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50)에 직접 접속되고, 영상 출력부(521), 음성 출력부(524), 리모콘 수광부(525) 및 네트워크 접속부(526)는, 시스템 버스(530)를 통하여 정보 처리 컨트롤러(5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출력 채널부(527)에는, 기록 재생부(540)가 접속되어 있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50)는, 내부 버스(50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된 메인 프로세서(501), 서브 프로세서(502A∼502D), DMAC(503) 및 DC(507)를 갖는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50)의 메인 프로세서(501)는, 일시적인 워크 메모리로서의 LS(505)를 갖는다. 각 서브 프로세서(502A∼502D)도 또한, 각각 LS(506A∼506D)를 갖는다. DMAC(503)는, 내부 버스(504)와 메인 메모리(510)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기록 재생부(540)는, 입출력 채널부(527)를 통하여 DC(507)에 접속되어 있고, 메모리 카드 유닛(540A) 및 HDD(Hard Disk Drive) 유닛(540B)의 2개의 유닛을 갖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기록 재생부(540)에 적용되는 기록 재생 수단으로서는, 각종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출력 채널부(527)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메모리 카드 유닛(540A) 및 HDD(Hard Disk Drive) 유닛(540B)과의 사이의 데이터의 입출력이 이루어진 포트로, DC(507) 및 네트워크 접속부(526)를 통하여, LAN 케이블(1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입출력 채널부(527)도, 소프트웨어에 의해 각각 추상화되어 관리된다. 예를 들면 이 경우 입출력 채널부(527)는, 2개의 입력 채널(527A, 527B), 및 2개의 출력 채널(527C, 527D)을 갖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레이어(5)는 입력 채널 및 출력 채널을 각각 2개 갖는다. 이들 4개의 채널을 상호 전혀 관련성이 없는 별개의 용도에 사용한 경우에는, 적어도 4개의 처리를, 멀티플레이어(5)라는 하나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서 동시에 또한 독립적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플레이어(5)는 4개의 서브 프로세서를 구비하기 때문에, 각 서브 프로세서에 처리를 할당함으로써 고속 실행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서브 프로세서는 내부 버스(504) 및 DMAC(503)를 통하여, 메인 메모리(510)와의 사이에서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의 DMA 전송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 채널을 통하여 입력한 데이터를, 2개의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2 단계의 처리를 실시한 후에 출력 채널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상정한다. 이 경우에는, 해당 2개의 서브 프로세서 사이에서 중간 단계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할 필요가 있지만, 메인 메모리(510)를 통한 데이터의 DMA 전송을 2회 행함으로써, 고속인 교환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채널을 통하여 입력한 데이터를, 리얼타임으로 출력 채널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부(526)는 LAN 인터페이스부로, 시스템 버스(530)와 LAN 케이블(11)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6)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60)와, 메인 메모리(610)와, 외부 기록부(640)와, 네트워크 접속부(626)와, 시스템 버스(630)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메모리(610) 및 외부 기록부(640)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60)에 직접 접속되고, 네트워크 접속부(626)는 시스템 버스(630)를 통하여 정보 처리 컨트롤러(60)에 접속되어 있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60)는, 내부 버스(604)를 통하여 상호 접속된 메인 프로세서(601), 서브 프로세서(602A∼602D), DMAC(603) 및 DC(607)를 갖는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60)의 메인 프로세서(601)는, 일시적인 워크 메모리로서의 LS(605)를 갖는다. 각 서브 프로세서(602A∼602D)도 또한, 각각 LS(606A∼606D)를 갖는다. DMAC(603)는, 내부 버스(604)와 메인 메모리(610)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외부 기록부(640)는, DC(50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기록 재생부(440, 540)와 같이, 이 외부 기록부(640)에 적용되는 기록 수단으로서는, 각종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접속부(626)는 LAN 인터페이스부로, 시스템 버스(630)와 LAN 케이 블(11)과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7)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70)와, 메인 메모리(710)와, ROM(Read Only Memory)(740)과, 표시 기능부(721)와, 조작 기능부(729)와, 네트워크 접속부(726)와, 시스템 버스(730)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메모리(710) 및 ROM(Read Only Memory)(740)은 정보 처리 컨트롤러(70)에 직접 접속되고, 표시 기능부(721), 조작 기능부(728) 및 네트워크 접속부(726)는, 시스템 버스(730)를 통하여 정보 처리 컨트롤러(70)에 접속되어 있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70)는, 내부 버스(704)를 통하여 상호 접속된 메인 프로세서(701), 서브 프로세서(702A∼702D), DMAC(703) 및 DC(707)를 갖는다.
정보 처리 컨트롤러(70)의 메인 프로세서(701)는, 일시적인 워크 메모리로서의 LS(705)를 갖는다. 각 서브 프로세서(702A∼702D)도 또한, 각각 LS(706A∼706D)를 갖는다. DMAC(703)는, 내부 버스(704)와 메인 메모리(710)와의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ROM(740)은, DC(70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기록 재생부(440, 540) 및 외부 기록부(640)와 같이, 이 ROM(740) 대신에(혹은 ROM(740) 외에 추가로), 각종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기능부(221)는, 전술한 영상이나 문자 정보 등을 표시 가능한 표시부(71) 및 처리 회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표시부(71)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LCD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조작 기능부(728)는, 전술한 사용자가 정보 입력 시에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72) 및 처리 회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조작부(72)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키보드 등으로 이루어진 조작 기기이다.
네트워크 접속부(726)는 LAN 인터페이스부로, 시스템 버스(730)와 LAN 케이블(11)과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각 정보 처리 장치(2∼5), 서버(6) 및 리모트 컨트롤러(7)의 구성은, 도 2∼도 6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브 프로세서의 수나 기록 재생부, 외부 기록부의 종류 등은 묻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TV 장치(2, 3)가 DVD 레코더(4) 등과 마찬가지로, 기록 매체에 대한 기록 재생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반대로, 예를 들면 DVD 레코더(4)나 멀티플레이어(5)가, TV 장치(2, 3) 등과 마찬가지로, 영상이나 음성의 표시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보유하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 정보의 송수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포맷을 갖는 제어 패킷인 소프트웨어 셀을 이용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임의의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메인 프로세서가, 커맨드, 프로그램 및 장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구성된 소프트웨어 셀을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하 도 7∼도 9에서는, 각 정보 처리 장치(2∼5)를 단순히 「정보 처리 장치」로서 설명을 해간다. 또한, 전술한 기록 재생부(440, 540), 외부 기록부(640) 및 ROM(740)에 대해서는, 단순히 「외부 기록부」라고 총칭하여 설명을 해 간다.
도 7은, 상기한 소프트웨어 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소프트웨어 셀은 전체적으로, 송신원 ID(801), 송신처 ID(802), 응답처 ID(803), 셀 인터페이스(804), DMA 커맨드(805), 프로그램(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811) 및 데이터(812)로 구성된다.
송신원 ID(801)에는, 소프트웨어 셀의 송신원인 정보 처리 장치의 IP 어드레스 및 그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정보 처리 장치 ID, 또한 그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가 구비하는 각 서브 프로세서의 식별자(서브 프로세서 ID)가 포함된다.
송신처 ID(802) 및 응답처 ID(803)에는, 각각 소프트웨어 셀의 송신처인 정보 처리 장치, 및 소프트웨어 셀의 실행 결과의 응답처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송신원 ID(801)와 동일한 정보가 포함된다.
셀 인터페이스(804)는, 소프트웨어 셀의 이용에 필요한 정보로, 글로벌 ID(804A), 필요한 서브 프로세서의 정보(804B), 샌드 박스 사이즈(804C) 및 전회의 소프트웨어 셀 ID(804D)로 구성된다.
글로벌 ID(804A)는, 네트워크 전체를 통해서 그 소프트웨어 셀을 일의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송신원 ID(801) 및 소프트웨어 셀의 작성 또는 송신의 일시(날짜 및 시각)에 기초하여 작성되도록 되어 있다.
필요한 서브 프로세서의 정보(804B)는, 그 소프트웨어 셀의 실행에 필요한 서브 프로세서의 수가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샌드 박스 사이즈(804C)는, 그 소프트웨어 셀의 실행에 필요한 메인 메모리내 및 서브 프로세서의 LS 내의 메모리량이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전회의 소프트웨어 셀 ID(804D)는, 스트리밍 데이터 등의 시퀀셜한 실행을 요구하는 1 그룹의 소프트웨어 셀 내의, 전회의 소프트웨어 셀의 식별자이다.
소프트웨어 셀의 실행 섹션(813)은, DMA(Direct Memory Access) 커맨드(805), 프로그램(811) 및 데이터(812)로 구성된다. DMA 커맨드(805)에는, 프로그램(811)의 기동에 필요한 일련의 DMA 커맨드가 포함되고, 프로그램(811)에는, 서브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여기서의 데이터(812)는, 이 서브 프로세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의해서 처리되는 데이터이다.
DMA 커맨드(805)에는, 로드 커맨드(806), 킥 커맨드(807),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808),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809), 기능 프로그램 실행 커맨드(810), 접속 정보 요구 커맨드(814), 접속 정보 회신 커맨드(815), 접속 변경 요구 커맨드(816) 및 접속 변경 회신 커맨드(817)가 포함된다.
로드 커맨드(806)는, 메인 메모리 내의 정보를 서브 프로세서 내의 LS에 로드하는 커맨드로, 로드 커맨드 자체의 이외에, 메인 메모리 어드레스(806A), 서브 프로세서 ID(806B) 및 LS 어드레스(806C)를 포함한다. 메인 메모리 어드레스(806A)는, 정보의 로드원인 메인 메모리 내의 소정 영역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서브 프로세서 ID(806B) 및 LS 어드레스(806C)는, 정보의 로드처인 서브 프로세서의 식별자 및 LS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킥 커맨드(807)는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하는 커맨드로, 킥 커맨드 자체 이외에, 서브 프로세서 ID(807A) 및 프로그램 카운터(807B)를 포함한다. 서브 프로세서 ID(807A)는, 킥 대상의 서브 프로세서를 식별하고, 프로그램 카운터(807B)는, 프로그램 실행용 프로그램 카운터를 위한 어드레스를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기능 프로그램 실행 커맨드(810)는, 임의의 정보 처리 장치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기능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구하는 커맨드이다. 기능 프로그램 실행 커맨드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는, 기능 프로그램 ID(810A)에 의해서, 기동해야 할 기능 프로그램을 식별하도록 되어 있다. 기능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도 9에 도시한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메인 메모리가 기억하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도에서 기능 프로그램에 카테고라이즈되는 프로그램이다. 기능 프로그램은 메인 메모리에 로드되어,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808)는, 송신처 ID(802)로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의 장치 정보를, 응답처 ID(803)로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 앞으로 송신 요구하는 커맨드이다. 또한,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809)는, 상기한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808)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가, 자신의 장치 정보를 그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808)에 포함되는 응답처 ID(803)로 나타내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응답하는 커맨드이다.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809)는, 실행 섹션의 데이터 영역에 장치 정보를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접속 정보 요구 커맨드(8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의 정보를 요구하는 커맨드이고, 접속 정보 회신 커맨드(815)는, 접속 정보 요구 커맨드(814)에 대한 응답을 하는 커맨드이다. 또한, 접속 변경 요구 커맨드(81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의 변경을 요구하는 커맨드이고, 접속 변경 회신 커맨드(817)는, 접속 변경 요구 커맨드(816)에 대한 응답을 하는 커맨드이다.
도 8은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809)의 데이터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808)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 즉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809)를 송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장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장치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 ID(821) 및 정보 처리 장치 종별 ID(822) 외에, 기본 정보부(830) 및 부가 정보부(850)로 구성된다.
기본 정보부(830)는, MS 스테이터스(831), 메인 프로세서 동작 주파수(832), 메인 프로세서 사용율(833), 서브 프로세서수(834), 서브 프로세서 ID(835), 서브 프로세서 스테이터스(836), 서브 프로세서 사용율(837), 메인 메모리 총 용량(838), 메인 메모리 사용량(839), 외부 기록부수(840), 외부 기록부 ID(841), 외부 기록부 종별 ID(842), 외부 기록부 총 용량(843) 및 외부 기록부 사용량(844)을 갖는다.
부가 정보부(850)는, IP 어드레스(851), 제품 번호(852), 소프트웨어 버전(853), 전원 정보(854), 입력 채널 정보(855) 및 출력 채널 정보(856)를 갖는다.
정보 처리 장치 ID(821)는,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809)를 송신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정보 처리 장치 ID(821)는, 전원 투입 시, 그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서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전원 투입 시의 일시, 정보 처리 장치의 IP 어드레스 및 정보 처리 장치 내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포함되는 서브 프로세서의 수 등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정보 처리 장치 종별 ID(822)에는, 그 정보 처리 장치의 특징을 나타내는 값이 포함된다. 정보 처리 장치의 특징이란,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경우, TV 장치, DVD 레코더, 멀티플레이어 등이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 종별 ID(822)는, 영상 음성 기록, 영상 음성 재생 등,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의 특징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값은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정보 처리 장치 종별 ID(822)에 기초하여, 그 정보 처리 장치의 특징이나 기능을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MS(마스터-슬레이브) 스테이터스(831)는, 후술한 바와 같이 각 정보 처리 장치가 마스터 장치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하나로서 동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MS 스테이터스가 0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 장치로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슬레이브 장치로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메인 프로세서 동작 주파수(832)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 내의 메인 프로세서의 동작 주파수를 나타낸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 사용율(833)은, 그 메인 프로세서에서 현재 실행 중인 모든 프로그램에 대한, 그 메인 프로세서에서의 사용율을 나타낸다. 메인 프로세서 사용율(833)은, 대상 메인 프로세서의 전체 처리 능력에 대한 사용 중인 처리 능력의 비율을 나타낸 값으로, 예를 들면 프로세서의 처리 능력 평가를 위한 단위인 MIPS(Million Instructions Per Second)를 단위로 하여 산출되거나, 혹은 단위 시간당 프로세서 사용 시간에 기초하여 산출되도록 되어 있다. 후술하는 서브 프로세서 사용율(83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하여 산출되도록 되어 있다.
서브 프로세서수(834)는, 그 정보 처리 컨트롤러가 구비하는 서브 프로세서의 수를 나타내고, 서브 프로세서 ID(835)는, 그 정보 처리 컨트롤러 내의 각 서브 프로세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다.
서브 프로세서 스테이터스(836)는, 각 서브 프로세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unused(미사용), reserved(예약 완료), busy(사용 중) 등의 상태가 있다. unused는, 그 서브 프로세서가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고, 사용의 예약도 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reserved는 현재는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예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usy는 현재 사용 중에 있는 것을 나타내게 되어 있다.
서브 프로세서 사용율(837)은, 그 서브 프로세서에서 현재 실행 중인, 혹은 그 서브 프로세서에서의 실행이 예약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그 서브 프로세서에서의 사용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서브 프로세서 사용율(837)은, 서브 프로세서 스테이터스(836)가 busy인 경우에는 현재의 사용율을 나타내고, 서브 프로세서 스테이터스(836)가 reserved인 경우에는, 후에 사용될 예정인 추정 사용율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서브 프로세서 ID(835), 서브 프로세서 스테이터스(836) 및 서브 프로세서 사용율(837)은, 1개의 서브 프로세서에 대하여 1조 설정되는 것으로, 1개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 내의 서브 프로세서 수의 조만큼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메인 메모리 총 용량(838) 및 메인 메모리 사용량(839)은, 각각 그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메인 메모리의 총 용량 및 현재 사용 중인 용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외부 기록부수(840)는, 그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기록부의 수를 나타낸다. 외부 기록부 ID(841)는, 그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기록부를 일의적으로 식별하는 정보이다. 외부 기록부 종별 ID(841)는, 그 외부 기록부의 종류(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CD±RW, DVD±RW, 메모리 디스크, SRAM, ROM 등)를 나타내게 되어 있다. 또한, 외부 기록부 총 용량(843) 및 외부 기록부 사용량(844)은, 각각 외부 기록부 ID(841)에 의해서 식별되는 외부 기록부의 총 용량 및 현재 사용 중인 용량을 나타낸다.
외부 기록부 ID(841), 외부 기록부 종별 ID(842), 외부 기록부 총 용량(843) 및 외부 기록부 사용량(844)은, 1개의 외부 기록부에 대하여 1조 설정되는 것으로, 그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 기록부수의 조만큼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IP 어드레스(851)는, 문자 그대로 각 정보 처리 장치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또한 제품 번호(852)도, 그 정보 처리 장치의 제품 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버전(853)은, 후술하는 각 정보 처리 장치가 보유하는 소프트웨 어인, 능력 교환 프로그램 및 MS 매니저의 소프트웨어 버전 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전원 정보(854)는, 각 정보 처리 장치의 전원이 ON인지 OFF인지의 정보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면 ON인 경우에는 1로, OFF인 경우에는 0으로 하는 등의 형태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입력 채널 정보(855) 및 출력 채널 정보(856)에는, 입력 채널 및 출력 채널의 수, 각각의 채널의 이용 상황이 사용 중인지 미사용인지, 및 각각의 채널의 속성 정보(예를 들면, 영상 출력이나 음성 입력 등)가 포함된다. 또한, 그 채널이 사용 중인 경우에는, 통신 상대인 접속처의 채널 정보 및 그 접속처의 채널을 구비하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821) 등도 포함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 전송되는 소프트웨어 셀의 구성예를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소프트웨어 셀의 구성예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추어서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도 14는, 도 1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각 장치가 보유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 도 9는 정보 처리 장치가 보유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는, 정보 처리 장치에 전원이 투입되기 전에는, 그 정보 처리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외부 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86)는, 기능 또는 특징에 따라, 제어 프로그램(87), 기능 프로그램(88)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89)로 분류된다.
제어 프로그램(87)은 정보 처리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을 갖고, 각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메인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프로그램(87)은, MS 매니저(871)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872)을 포함한다. MS 매니저(87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정보 처리 장치가 마스터 장치인지 슬레이브 장치인지 등의 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능력 교환 프로그램(872)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정보 처리 장치가 보유하는 장치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여기서,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 버전(853)에 의해, 이들 소프트웨어의 버전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능 프로그램(88)은, 각 정보 처리 장치에서의 처리 동작을 담당하는 기능을 갖고, 메인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로, 예를 들면 기록용 프로그램, 재생용 프로그램 및 소재 검색용 프로그램 등, 정보 처리 컨트롤러마다 그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른 것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89)는,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데이터 입출력(송수신)용 소프트웨어로, 예를 들면 방송 수신용 드라이버, 모니터 출력용 드라이버, 비트 스트림 입출력용 드라이버, 네트워크 입출력용 드라이버 등, 역시 정보 처리 컨트롤러마다 그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른 것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TV 장치(2)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장치(2)의 소프트웨어(26)는,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27)으로서 MS 매니저(271)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272)을 포함하고, 기능 프로그램(28)으로서 AV 처리용 프로그램(281)을 포함하고, 디바이스 드라이버(29)로서, 방송 수신용 드라이버(291), 영상 표시용 드라이버(292), 음성 표시용 드라이버(293) 및 네트워크 입출력용 드라이버(294)를 포함한다.
또한, TV 장치(3)는 TV 장치(2)와 마찬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DVD 레코더(4)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D 레코더(4)의 소프트웨어(46)는,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47)으로서 MS 매니저(471)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472)을 포함하고, 기능 프로그램(48)으로서, 영상 음성 기록용 프로그램(482), 영상 음성 재생용 프로그램(483), 소재 검색용 프로그램(484) 및 프로그램 녹화 예약용 프로그램(485)을 포함하고, 디바이스 드라이버(49)로서, 방송 수신용 드라이버(491), 영상 출력용 드라이버(492), 음성 출력용 드라이버(493), 기록 재생부 입출력용 드라이버(495) 및 네트워크 입출력용 드라이버(494)를 포함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멀티플레이어(5)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플레이어(5)의 소프트웨어(56)는,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57)으로서 MS 매니저(571)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572)을 포함하고, 기능 프로그램(58)으로서 영상 음성 재생용 프로그램(582)을 포함하고, 디바이스 드라이버(59)로서, 영상 출력용 드라이버(592), 음성 출력용 드라이버(593), 기록 재생부 입출력용 드라이버(595) 및 네트워크 입출력용 드라이버(594) 를 포함한다.
도 13은, 도 1에 도시한 서버(6)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6)의 소프트웨어(66)는,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67)으로서 MS 매니저(671)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672)을 포함하고, 기능 프로그램(68)으로서 서버 기능용 프로그램(686)을 포함하고, 디바이스 드라이버(69)로서 외부 기록부 입출력용 드라이버(695) 및 네트워크 입출력용 드라이버(694)를 포함한다.
도 14는, 도 1에 도시한 리모트 컨트롤러(7)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7)의 소프트웨어(76)는, 예를 들면 제어 프로그램(77)으로서 MS 매니저(771)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772)을 포함하고, 기능 프로그램으로서 입출력 기능용 프로그램(786)을 포함하고, 디바이스 드라이버(79)로서, 영상 표시용 드라이버(795), ROM 입출력용 드라이버(797) 및 네트워크 입출력용 드라이버(794)를 포함한다.
또, 도 9∼도 14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소프트웨어 구성예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목적과 용도에 맞추어서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는 도 1의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각 정보 처리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추상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2∼5)와, 서버(6)와의 사이를 LAN 케이블(11)이 접속되고,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7)가 무선 통신로(12)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상황으로 되어 있다.
도 15에서는, TV 장치(2)에 대해서는, 2개의 입력 채널(227A, 227B)과, 2개의 AV 처리 회로(222A, 222B)와, NIC(226)만을 나타내고, TV 장치(3)에 대해서는, 2개의 입력 채널(327A, 327B)과, 2개의 AV 처리 회로(322A, 322B)와, NIC(326)만을 나타내고 있다. DVD 레코더(4)에 대해서는, 1개의 입력 채널(427A) 및 1개의 출력 채널(427B)과, 1개의 DVD 유닛(440A)과, NIC(426)만을 나타내고, 멀티플레이어(5)에 대해서는, 2개의 입력 채널(527A, 527B)과, 2개의 출력 채널(527C, 527D)과 메모리 카드 유닛(540A)과, HDD 유닛(540B)과, NIC(526)만을 나타내고, 서버(6)에 대해서는 메인 메모리(610)만을 나타내고, 리모트 컨트롤러(7)에 대해서는, 표시부(71)와 조작부(72)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TV 장치(2)가 전술한 장치 정보(91A)로서, 정보 처리 장치 ID(821), 카테고리(정보 처리 장치 종별 ID(822)), 이름(제품 번호(852)), 전원(전원 정보(854)) 및 2개의 입력 채널의 정보(입력 채널 정보(855))를 보유하고, TV 장치(3)가 마찬가지로 장치 정보(91B)로서, 정보 처리 장치 ID, 카테고리, 이름, 전원 및 2개의 입력 채널의 정보를 보유하고, 또한 DVD 레코더(4)가 장치 정보(91C)로서, 정보 처리 장치 ID, 카테고리, 이름, 전원, 1개의 입력 채널의 정보 및 1개의 출력 채널의 정보(출력 채널 정보(856))를 보유하고, 멀티플레이어(5)가 장치 정보(91D)로서, 정보 처리 장치 ID, 카테고리, 이름, 전원, 2개의 입력 채널의 정보 및 2개의 출력 채널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보유하는 장치 정보(91A∼91D)를, 후술과 같이 서버(6)가 집약하여 전체 장치 정보(91)로서 관리하고 있는 상태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에서는,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구비하는 입출력 채널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 상황, 즉 논리적 접속의 일례(921∼923)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논리적 접속(921)은, 멀티플레이어(5)의 출력 채널(527C)로부터 DVD 레코더(4)의 입력 채널(427A)로 데이터가 송출되고, 논리적 접속(922)은, DVD 레코더(4)의 출력 채널(427B)로부터 TV 장치(3)의 입력 채널(327A)로 데이터가 송출되고, 논리적 접속(923)은, 멀티플레이어(5)의 출력 채널(527D)로부터 TV 장치(2)의 입력 채널(227B)로 데이터가 송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입력 채널(227A, 227B, 327A, 327B, 427A, 527A, 527B)은,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구비하는 입력 채널을 나타내고, 각각 각 정보 처리 장치 내의 AV 처리 회로(222A)와 NIC(226), AV 처리 회로(222B)와 NIC(226), AV 처리 회로(322A)와 NIC(326), AV 처리 회로(322B)와 NIC(326), DVD 유닛(440A)과 NIC(426), 메모리 카드 유닛(540A)과 NIC(526), HDD 유닛(540B)과 NIC(52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입력 채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능력 교환 프로그램)에 의해 추상화되어 관리되도록 되어 있다.
출력 채널(427B, 527C, 527D)는, 각 정보 처리 장치(2∼5)(본 실시예의 경우, DVD 레코더(4) 및 멀티플레이어(5))가 구비하는 출력 채널을 나타내고, 각각 각 정보 처리 장치 내의 DVD 유닛(440A)과 NIC(426), 메모리 카드 유닛(540A)과 NIC(526), HDD 유닛(540B)과 NIC(526)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출력 채널도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능력 교환 프로그램)에 의해 추상화되어 관리되도록 되 어 있다.
서버(6)가 구비하는 메인 메모리(6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6)가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이 서버의 메인 메모리(610) 내에, 전체 장치 정보(91)가 집약하여 관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7)가 구비하는 표시부(7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각적인 표시를 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조작부(72)도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NIC(226, 326, 426, 526)는, 전술한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구비하는 네트워크 접속부에 대응하여, 각 정보 처리 장치와 LAN 케이블(11)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고, 각 회로 유닛은 NIC을 통하여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NIC는 복수의 입력 채널 및 출력 채널 사이의 데이터 교환에 관하여 시분할 다중 처리 등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16은 도 1의 리모트 컨트롤러(7)의 표시부(71)에서의 일 표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시부(71)에는, 복수의 장치 오브젝트(711A∼711C)와, 가상 접속 라인(712)과, 커서(713)와, 비액티브 장치 오브젝트(714)와, 카테고리 윈도우(715A∼715B, 716A∼716B)와, 칩 인스펙트 윈도우(717)가 표시되어 있다.
장치 오브젝트(711A∼711C) 및 비액티브 장치 오브젝트(714)는, 각각 도 1의 각 정보 처리 장치(2, 4, 5, 3)를 추상화하여 표현한 것으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 그 자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장치 오브젝트(711A∼711C) 및 비액티브 장치 오브젝트(714)를 표시하는 아이콘은, 각각 각 장치 오브젝트 및 비액티브 장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보유하는 장치 정보 (91A∼91D)(예를 들면, 정보 처리 장치 ID(821)나 제품 번호(852), 정보 처리 장치 종별 ID(822)(예를 들면, TV 장치나 DVD 레코더, 멀티플레이어 등) 등)에 따라서, 사용자가 알기 쉽게 자유롭게 표시의 변경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상 접속 라인(712)은, 각 장치 오브젝트(711A∼711C)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장치(2, 4, 5)가 구비하는 입출력 채널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황을 추상화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한 선이다. 또한, 이 가상 접속 라인(712)은, 현재의 접속 상황에 따라서 리얼타임으로 표시되는 것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커서(713)를 이용하여 장치 오브젝트끼리를 연결함으로써, 실제의 정보 처리 장치(2, 4, 5)가 구비하는 입출력 채널 사이의 논리적인 접속에 반영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커서(713)는, 각 장치 오브젝트(711A∼711C)에 대응하는 아이콘이나 가상 접속 라인(712) 등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커서(713)는, 리모트 컨트롤러(7)가 구비하는 조작부(72)에 의한 조작이나, 표시부(71)를 직접 탭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비액티브 장치 오브젝트(714)는, 그 장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전원이 OFF인 것을 사용자가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한 액티브한 장치 오브젝트(711A∼711C)와는 시각적으로 구별하여 표시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 그 장치 오브젝트가 액티브한 것인지 비액티브한 것인지를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카테고리 윈도우(715A∼715B, 716A∼716B)는, 각 정보 처리 장치(2∼5)의 특 징(예를 들면 도 16 중 716A와 같이, 특징이 Display/Sound(화상 및 음성)(716A)인 카테고리(715A, 716B)와 같이, 특징이 Rec/Player(기록 및 재생)(716B)인 카테고리(715B) 등)에 따라서, 1 이상의 장치 오브젝트를 카테고라이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예를 들면 표시부(72)에 장치 오브젝트가 다수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도, 자신이 알기 쉽게 카테고라이즈하여 표시함으로써, 각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접속 상황을 보다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칩 인스펙트 윈도우(717)는, 커서(713)를 장치 오브젝트 위에 갖고 오는 것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그 장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상세한 정보, 즉 장치 정보(91A∼91D) 등을 열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상세한 정보란,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의 카테고리(정보 처리 장치 종별 ID(822)에 대응한다 ; 예를 들면, TV 장치나 DVD 레코더, 멀티플레이어 등), 이름(제품 번호(852)), 전원(전원 정보(854)), 각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입출력 채널의 접속 정보(입력 채널 정보(855) 및 출력 채널 정보(856)) 등이다.
또한, 이 칩 인스펙트 윈도우(717)에 표시되는 장치 정보는, 도 16의 일례에 도시된 정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그 정보 처리 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821), MS 스테이터스(831) 또는 IP 어드레스(851) 등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표시되는 장치 정보를 간이판과 상세판으로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의 구성의 결정, 및 각 정보 처리 장치가 보유하는 장치 정보의 취득에 관한 기본 동작(도 17 중 단계 S101∼S10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리모트 컨트롤러(7)의 표시부(71)에 시각적인 표시를 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입출력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리모트 컨트롤러(7),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는 서버(6),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TV 장치(2) 및 멀티플레이어(5)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TV 장치(3) 및 DVD 레코더(4)에 대한 흐름도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도 17 중 슬레이브 장치 A(TV 장치(2)) 및 슬레이브 장치 B(멀티플레이어(5))와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되기 때문에, 생략하고 있다. 이하, 후술하는 도 19 및 도 2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우선 처리의 개시로서, 상기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케이블의 삽입 등에 의해 서버(6) 및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주 전원이 투입되고, 전기적 및 기능적으로도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서버(6) 및 각 정보 처리 장치(2∼5)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의 메인 프로세서는, 제어 프로그램에 속하는 MS 매니저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속하는 각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에 로드한다.
로드 수순으로서는, 메인 프로세서는 우선, DC에 판독 명령을 실행시킴으로써, 외부 기록부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다음으로 DMAC에 기입 명령을 실행시 킴으로써, 그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에 기입한다.
여기서, 기능 프로그램에 속하는 각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필요할 때에 필요한 프로그램만을 로드하도록 구성해도 되거나, 혹은 상기한 제어 프로그램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속하는 각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주전원 투입 직후에 각 프로그램을 로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기능 프로그램에 속하는 각 프로그램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정보 처리 장치(2∼5)의 외부 기록부에 기록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어느 하나의 정보 처리 장치의 외부 기록부에 기록되어 있으면, 소프트웨어 셀을 이용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로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프로그램을 메인 메모리에 로드한 후, 서버(6), TV 장치(2), TV 장치(3), DVD 레코더(4) 및 멀티플레이어(5)는 각각, 이 MS 매니저(671, 271, 371, 471, 571)를 실행한다(단계 S101A∼S101C). MS 매니저는, 자신이 동작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면,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의 존재를 확인한다. 여기서의 「접속」 또는 「존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정보 처리 장치가 물리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전기적 및 기능적으로도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MS 매니저(671, 271, 371, 471, 571)가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또, 이하, 자신의 정보 처리 장치를 자장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를 타장치라고 칭하는 것으 로 한다.
MS 매니저(671, 271, 371, 471, 571)는, DMA 커맨드(805)가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808)이고, 송신원 ID(801) 및 응답처 ID(803)가 자장치에서, 송신처 ID(802)를 특정하지 않는 소프트웨어 셀을 생성하여, 그 정보 처리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 상에 송신하고, 네트워크 접속 확인용 타이머를 설정한다. 타이머의 타임아웃 시간은, 예를 들면 10분으로 한다.
네트워크 상에 타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그 타장치는, 상기한 DMA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인 소프트웨어 셀을 수신하고, 상기한 응답처 ID로 특정되는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를 송신한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하여, DMA 커맨드(805)가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809)에서, 또한 데이터로서 자신(그 타장치)의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셀을 송신한다. 이 DMA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인 소프트웨어 셀에는, 적어도 그 타장치를 특정하는 정보(정보 처리 장치 ID(821), 메인 프로세서에 관한 정보(832∼833) 및 서브 프로세서에 관한 정보(834∼837) 등) 및 그 타장치의 MS 스테이터스(831)가 포함된다.
DMA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인 소프트웨어 셀을 발행한 정보 처리 장치의 MS 매니저는, 상기한 네트워크 접속 확인용 타이머가 타임 아웃할 때까지, 그 네트워크 상의 타장치로부터 송신되는, DMA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인 소프트웨어 셀의 수신을 감시한다. 그 결과, MS 스테이터스=0(마스터 장치)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가 수신된 경우에는, 자장치의 장치 정보 테이블에서의 MS 스테이터스를 1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그 장치는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 능하도록 된다.
한편, 상기한 네트워크 접속 확인용 타이머가 타임아웃할 때까지의 동안에 DMA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인 소프트웨어 셀이 전혀 수신되지 않았던 경우, 혹은 MS 스테이터스=0(마스터 장치)을 나타내는 소프트웨어 셀이 수신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자장치의 장치 정보 테이블에서의 MS 스테이터스를 0으로 설정한다. 이에 의해, 그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된다.
즉, 어느 정보 처리 장치도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 또는 네트워크 상에 마스터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새로운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그 장치는 자동적으로 마스터 장치로서 설정된다. 한편, 네트워크상에 이미 마스터 장치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새로운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면, 그 장치는 자동적으로 슬레이브 장치로서 설정된다.
여기서,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MS 매니저는, 정기적으로 DMA 커맨드가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인 소프트웨어 셀을 네트워크 상의 타장치로 송신하여 스테이터스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타장치의 상황을 감시한다.
그 결과,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의 주 전원이 차단되거나,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가 분리됨으로써,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내에 특정한 타장치로부터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809)가 회신되지 않은 경우나, 네트워크에 새로운 정보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경우 등, 네트워크의 접속 상태에 변화가 있었던 경우에는, 그 정보를 능력 교환 프로그램에 통지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단계 S101에서, 서버(6)는 마스터 장치로서, TV 장치(2), TV 장치(3), DVD 레코더(4) 및 멀티플레이어(5)는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서버(6), TV 장치(2), TV 장치(3), DVD 레코더(4) 및 멀티플레이어(5)의 메인 프로세서(601, 201, 301, 401, 501)는, 자장치의 MS 매니저로부터, 네트워크 상의 타장치의 조회 및 자장치의 MS 스테이터스(831)의 설정 완료의 통지를 받으면, 능력 교환 프로그램(672, 272, 372, 472, 572)을 실행한다(단계 S102A∼S102C).
각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자장치가 마스터 장치인 경우에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타장치의 장치 정보, 즉 각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를 취득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서버(6)가 TV 장치(2), TV 장치(3), DVD 레코더(4) 및 멀티플레이어(5)의 장치 정보를 취득한다.
타장치의 장치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DMA 커맨드(805)가 스테이터스 요구 커맨드(808)인 소프트웨어 셀을 생성하여 타장치로 송신하고, 그 후 DMA 커맨드(805)가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809)이고, 또한 그 데이터로서 타장치의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셀을 타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취득된다.
여기서, 서버(6)의 능력 교환 프로그램(672)은, 마스터 장치인 자장치의 장치 정보 테이블 외에 추가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타장치, 즉 각 슬레이브 장치(TV 장치(2), TV 장치(3), DVD 레코더(4) 및 멀티플레이어(5))의 장치 정보를 일괄하여 기록하기 위한 영역을 메인 메모리(610)에 확보하고, 이들 정보를 타장치(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 테이블로서 기록한다.
이에 의해, 마스터 장치인 서버(6)의 메인 메모리(610)에는, 자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정보 처리 장치의 장치 정보(91)가, 장치 정보 테이블로서 집약하여 관리되도록 된다.
한편,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자장치가 슬레이브 장치인 경우에는,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타장치의 장치 정보, 즉 마스터 장치 및 자장치 이외의 각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를 취득하고, 이들 장치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ID(821) 및 MS 스테이터스(831)를, 자장치의 메인 메모리에 기록한다. 즉,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의 TV 장치(2)의 경우, 마스터 장치인 서버(6), 및 다른 슬레이브 장치인 TV 장치(3), DVD 레코더(4) 및 멀티플레이어(5)의 MS 스테이터스(831)를, 자장치의 메인 메모리(210)에 기록한다.
따라서, 슬레이브 장치의 메인 메모리에는, 자장치의 장치 정보가, 장치 정보 테이블로서 기록됨과 함께, 자장치 이외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마스터 장치 및 각 슬레이브 장치에 대한 정보 처리 장치 ID(821) 및 MS 스테이터스(831)가, 다른 장치 정보 테이블로서 기록된다. 이에 따라 각 슬레이브 장치도, 간이적이면서 타장치의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예를 들면 타장치가 마스터 장치인 것인지 슬레이브 장치인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상기한 바와 같이 MS 매니저로부터 새롭게 네트워크에 정보 처리 장치가 접속된 것이 통지되었을 때에는, 그 장치의 장치 정보를 취득하여, 전술된 바와 같 이 메인 메모리 내의 장치 테이블에 기록한다.
또한,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상기한 바와 같이 MS 매니저로부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처리 장치의 주 전원이 차단되거나,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정보 처리 장치가 분리된 것이 통지되었을 때에는, 그 정보 처리 장치의 장치 정보 테이블을 자장치의 메인 메모리로부터 삭제한다.
또한, 이 때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된 정보 처리 장치가 마스터 장치이었던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새롭게 마스터 장치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어 있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는, 각각 자장치 및 타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821)를 수치로 치환하여, 자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를 타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와 비교하여, 자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가 네트워크로부터 접속 해제되어 있지 않은 정보 처리 장치 중에서 최소인 경우, 그 슬레이브 장치는 MS 스테이터스를 0으로 설정하고,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타장치(각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를 취득하여, 자장치의 메인 메모리에 기록한다.
또, MS 매니저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메인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것으로는 한하지 않고, 어느 하나의 서브 프로세서에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MS 매니저 및 능력 교환 프로그램은, 정보 처리 장치의 주 전원이 투입되고 있는 동안에는 항상 동작하는 상주 프로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의 구성의 결정, 및 각 정 보 처리 장치가 보유하는 장치 정보의 취득에 관한 기본 동작이 종료한다.
다음으로 계속해서 도 17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하여 마스터 장치(본 실시예에서의 서버(6))의 메인 메모리(610) 내에 집약하여 관리되고 있는 전체 슬레이브 장치(본 실시 형태에서의 TV 장치(2), TV 장치(3), DVD 레코더(4) 및 멀티플레이어(5))의 장치 정보(91)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요구한 경우에 입출력 단말기(본 실시 형태에서의 리모트 컨트롤러(7))의 표시부에 각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동작(도 17 중 단계 S103∼S108)을 이하에 나타낸다.
우선, 리모트 컨트롤러(7)에 구비된 조작부(72)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논리적 접속 상황을 표시하고자 하는 요구(접속 정보 요구)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103), 리모트 컨트롤러(7)는 그 접속 정보 요구를 접수하여, 리모트 컨트롤러(7)의 메인 프로세서(701)는, 상술한 바와 같이 DMA 커맨드(805)가 접속 정보 요구 커맨드(814)인 소프트웨어 셀을 생성한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7)는, 생성한 소프트웨어 셀을 서버(6)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60)에 송신한다(단계 S104). 또한, 송신원의 정보 처리 장치, 송신처의 정보 처리 장치, 응답처의 정보 처리 장치는, 각각 소프트웨어 셀 내에 포함되는, 전술한 송신원 ID(801), 송신처 ID(802) 및 응답처 ID(803)에 의해서 식별된다.
다음으로, 이 소프트웨어 셀을 수신한 서버(6)의 정보 처리 컨트롤러(60)에 포함되는 메인 프로세서(601)는, 그 소프트웨어 셀을 메인 메모리(610)에 저장한다. 메인 프로세서(601)는 그 소프트웨어 셀을 판독하고, 그것에 포함되는 DMA 커 맨드를 해독 및 처리한다(단계 S105).
서버(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메모리(610)에 집약하여 관리하고 있는 전체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91)를 데이터로서 포함한, DMA 커맨드(805)가 접속 정보 회신 커맨드(815)인 소프트웨어 셀을 생성하여, 리모트 컨트롤러(7)에 송신한다(단계 S106). 접속 정보 회신 커맨드의 데이터(812)는, 도 8에 도시되는 스테이터스 회신 커맨드의 데이터(812)에 나타내는 1개의 정보 처리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가, 전체 슬레이브 장치분만큼 집합한 것이다.
리모트 컨트롤러(7)는 이 소프트웨어 셀을 수신하여, 해독 및 처리한다(단계 S107).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7)는 이 소프트웨어 셀의 데이터로서 포함되는 전체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91)에 기초하여, 각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황을 표시부(71)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고(단계 S108), 처리가 종료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은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7)의 표시부(71)에 표시되는 경우로 설명해 왔지만, 표시의 트리거는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서버(6)로부터 리모트 컨트롤러(7)에 정기적으로 전체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91)가 송신되고, 자동 갱신되도록 하는 등, 다른 방법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7)의 표시부(71) 상에서 시각적으로 설정한 각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논리적 접속을, 실제의 각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황에 반영시키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8은, 리모트 컨트롤러(7)의 표시부(71)에 서 설정한 접속을 반영시키는 경우의 동작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주요부 구성와 같이 추상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9는 리모트 컨트롤러(7)의 표시부(71)에서 설정한 접속을 반영시키는 처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도 18의 표시부(71) 상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TV 장치(2)와 멀티플레이어(5)와의 사이에서의 논리적 접속(923)을 요구하고, 표시부(71) 상에서 각각의 장치에 대응하는 장치 오브젝트(711A, 711C)의 아이콘끼리 가상 접속 라인(712)으로 연결한 경우에 설명한다.
또, 도 19에서는 도 17과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TV 장치(3) 및 DVD 레코더(4)에 대한 흐름도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19의 슬레이브 장치 A(TV 장치(2)) 및 슬레이브 장치 B(멀티플레이어(5))와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되기 때문에,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19에서의 처리는, 도 17에서의 시각적인 표시를 하는 처리의 후이며, 이미 리모트 컨트롤러(7)의 표시부(71) 상에는 현재의 각 정보 처리 장치(2∼5)의 논리적 접속 상황이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처리의 개시로서, 사용자로부터 논리적 접속 상황을 변경하고자 하는 요구(접속 변경 요구)의 조작이 있었던 경우(단계 S201), 리모트 컨트롤러(7)는 그 접속 변경 요구를 접수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7)의 표시부(71) 상의 장치 오브젝트(711A, 711C)의 아이콘끼리를 커서(713)를 이용하여 가상 접속 라인(712)으로 연결하고, 그 접속 변경 요구를 리모트 컨트롤러(7)가 접수한다. 커서(713)의 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7)가 구비하는 조작부(72)에 의한 조작이나, 표시부(71)를 직접 탭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의 접속 변경 요구는, 표시부(71) 상의 커서(713)에 의한 것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러(7)가 조작부(72)로서 키보드를 구비하는 경우, 키보드로부터의 입력에 의한 것 등, 다른 방법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수한 사용자로부터의 접속 변경 요구에 기초하여, 리모트 컨트롤러(7)는, 도 17에서의 처리에서 취득 완료한 해당하는 슬레이브 장치(본 실시예의 경우, TV 장치(2) 및 멀티플레이어(5))의 장치 정보에 포함되는 입력 채널 정보(855) 및 출력 채널 정보(856)를 변경하고(본 실시예의 경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장치(2)에서의 입력 채널(227B)의 입력 채널 정보 및 멀티플레이어(5)에서의 출력 채널(527D)의 출력 채널 정보), DMA 커맨드(805)가 접속 변경 요구 커맨드(816)인 소프트웨어 셀을 작성한다. 접속 변경 요구 커맨드의 데이터(812)는, 대상으로 되는 장치의 장치 정보 외에, 변경되는 입력 채널 정보(855) 및 출력 채널 정보(856)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러(7)는, 작성한 이 소프트웨어 셀을 도 18 중 경로 13과 같이 하여, 서버(6)에 송신한다(단계 S202).
서버(6)는 상기한 DMA 커맨드가 접속 변경 요구 커맨드인 소프트웨어 셀을 리모트 컨트롤러(7)로부터 수신하여, 해독 및 처리한다(단계 S203). 그리고, 서버(6)는 이 소프트웨어 셀 내의 장치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ID(821) 및 입력 채널 정보(855) 및 출력 채널 정보(856)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슬레이브 장치를 특정하고, 특정된 각 슬레이브 장치(본 실시예의 경우, TV 장치(2) 및 멀티플레이 어(5))로 분류하여 송신한다(단계 S204).
다음으로, 특정된 각 슬레이브 장치는 이 소프트웨어 셀을 수신하여, 데이터를 해독 및 처리를 한다(단계 S205A∼S205B). 이들의 각 슬레이브 장치는, 이 소프트웨어 셀 내의 장치 정보에 포함되는 입력 채널 정보(855) 및 출력 채널 정보(856)에 기초하여, 실제의 입력 채널 및 출력 채널(본 실시예의 경우, TV 장치(2)에서의 입력 채널(227B) 및 멀티플레이어(5)에서의 출력 채널(527D)) 사이의 논리적 접속을 변경하고(단계 S206A∼206B), 시각적으로 설정한 논리적 접속을 반영시키는 처리가 종료된다.
다음으로, 계속해서 도 18 및 도 20을 참조하면, 단계 S201∼S206A, S206B에서 반영된 접속을, 리모트 컨트롤러(7)의 표시부(71)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0은, 반영된 접속을 리모트 컨트롤러(7)의 표시부(71)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도 20에서는 도 17 및 도 19와 마찬가지로,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TV 장치(3) 및 DVD 레코더(4)에 대한 흐름도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20의 슬레이브 장치 A(TV 장치(2)) 및 슬레이브 장치 B(멀티플레이어(5))와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되기 때문에,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20에서의 처리는, 도 19에서 접속 변경 요구를 반영하는 처리의 다음으로, 이미 각 정보 처리 장치(2∼5)에서의 논리적 접속 상황의 변경이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6), TV 장치(2) 및 멀티플레이어(5)는, 능력 교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각 슬레이브 장치(본 실시예의 경우, TV 장 치(2) 및 멀티플레이어(5))가 보유하는, 입력 채널 정보(855) 및 출력 채널 정보(856)가 변경된 장치 정보를 교환한다. 그리고, 서버(6)는 그 변경된 TV 장치(2) 및 멀티플레이어(5)의 장치 정보를 메인 메모리(610)에 갱신하여 기록한다(단계 S210A∼S210C).
다음으로, TV 장치(2) 및 멀티플레이어(5)는, DMA 커맨드(805)가 접속 변경 회신 커맨드(817)인 소프트웨어 셀을 작성하여, 서버(6)에 송신한다(단계 S211A∼S211B). 접속 변경 회신 커맨드의 데이터(812)는, 대상으로 된 장치의 장치 정보 외에, 변경된 입력 채널 정보(855) 및 출력 채널 정보(856)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서버(6)는, 이 소프트웨어 셀을 수신하여, 해독 및 처리를 한다(단계 S212). 그리고 서버(6)는, 변경된 TV 장치(2) 및 멀티플레이어(5)의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이 소프트웨어 셀을 통합하여, 리모트 컨트롤러(7)에 송신한다(단계 S213).
리모트 컨트롤러(7)는, 이 소프트웨어 셀을 수신하여, 데이터를 해독 및 처리를 한다(단계 S214).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변경된 TV 장치(2) 및 멀티플레이어(5)의 장치 정보에 포함되는 입력 채널 정보(855) 및 출력 채널 정보(856)(본 실시예의 경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TV 장치(2)에서의 입력 채널(227B)의 입력 채널 정보 및 멀티플레이어(5)에서의 출력 채널(527D)의 출력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시각적인 표시를 갱신하고(단계 S215), 처리가 종료된다.
또 여기서, 각 정보 처리 장치(2∼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논리적 접속 상황의 변경 요구가 있었던 경우, 서버(6)로부터 송신된 소프트웨어 셀에 포함되는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채널 및 출력 채널 사이의 접속 경로를 결 정한다. 그리고, 그 후 사용자로부터 예를 들면 재생이나 녹화 등, 기능 프로그램(88)의 실행에 관하여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경우, 입출력 채널 사이에서 시분할된 데이터가 교환된다. 이하, 이 시분할된 데이터를 패킷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네트워크의 전송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AN 케이블(11)로, 공유화된 네트워크이다. 따라서,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구비하는 입출력 채널 사이에서 정확하게 복수의 패킷을 송수신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복수의 패킷에 송신처의 장치 정보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이하,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구비하는 입출력 채널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의 시분할 다중 처리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입출력 채널 사이에서 교환되는 데이터의 시분할 다중 처리의 동작을 정보 처리 시스템의 주요부 구성의 일부와 함께 추상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은, 도 15 및 도 18에서의 추상화하여 나타낸 도면의 일부만을 추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중, TV 장치(2) 및 멀티플레이어(5)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도면은 도 15 및 도 18에 도시한, 멀티플레이어(5)에서의 출력 채널(527D)과 TV 장치(2)에서의 입력 채널(227B)과의 논리적 접속(923) 외에 추가로, 멀티플레이어(5)에서의 출력 채널(527C)과 TV 장치(2)에서의 입력 채널(227A)과의 논리적 접속(924)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LAN 케이블(11)에서 데이터가 복수의 패킷(95A∼95D)으로서 시분할 다중 처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버(6)로부터 각 정보 처리 장치(2∼5)에 송신된 소프트웨어 셀에 포함되는 장치 정보에는, 입력 채널 정보(855) 및 출력 채널 정보 (856)로서, 그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입력 채널 및 출력 채널의 접속처가 명기되어 있다. 이 경우, 패킷의 출력을 행하는 것은 멀티플레이어(5)의 출력 채널(527C, 527D)이기 때문에, 멀티플레이어(5)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접속처인 TV 장치(2)의 입력 채널(227A, 227B)로 패킷을 송신한다.
우선, 서버(6)로부터 소프트웨어 셀을 수신한 멀티플레이어(5)는, 출력 채널 정보(856)에 기술되어 있는 접속처의 정보 처리 장치 ID(821) 및 그 정보 처리 장치의 입력 채널 번호로부터, 패킷의 헤더를 결정한다. 즉 이 경우, TV 장치(2)의 정보 처리 장치 ID(도 15 중 장치 정보(9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001」) 및 TV 장치(2)가 구비하는 2개의 입력 채널(227A, 227B)의 입력 채널 번호로부터, 패킷의 헤더를 결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예를 들면 재생이나 녹화 등, 기능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하여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경우, 출력 채널(527C, 527D)에 접속되어 있는 DVD 유닛(540A) 및 HDD 유닛(540B)으로부터 데이터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발생을 트리거로 하여, 각 출력 채널(527C, 527D)로부터 NIC(526)로 데이터가 흐르고, 이들의 데이터를 수취한 NIC(526)는, 데이터의 선두에, 접속처인 TV 장치(2)의 정보 처리 장치 ID와 입력 채널 번호를 부여하고, 또한 통상의 IP 헤더를 부가하여, 시분할된 패킷으로서 LAN 케이블(11)에 송신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플레이어(5)와 같이, 복수의 출력 채널(527C, 527D)을 구비하는 경우, 단일인 NIC(526)를 사용하고, 도 21과 같이 시분할로 다중화하여 상대편인 TV 장치(2)의 입력 채널(227A, 227B)로 복수의 패킷 (95A∼95D)을 송신한다. 이 경우의 데이터 플로우 제어에서는, 예를 들면 OSI 참조 모델에서의 트랜스포트층 및 네트워크층에서는 기존 기술의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플로우 제어를 이용하고, 물리층에서는 Ethernet(등록 상표)의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층에서는, 예를 들면 라운드 로빈 방식에 의한 전송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TV 장치(2)가 수신하는 복수의 패킷(95A∼95D)은, 동일한 LAN 케이블을 경유하여 도착한다. 즉, 도 21과 같이 TV 장치(2)는, 논리적 접속(923, 924)의 경로로 복수의 패킷(95A∼95D)을 수신한다. 여기서, TV 장치(2)가 구비하는 복수의 입력 채널(227A, 227B) 앞의 이들 복수의 패킷은, 모두 동일한 NIC(226)를 통하여 수신하기 때문에, NIC(226)는 각 패킷의 헤더를 해석하여 해당하는 입력 채널(227A, 227B) 및 이들에 연결되는 각 회로 유닛(AV 처리 회로(222A, 223B))을 특정하고, 복수의 패킷(95A∼95D)을 분류하는 작업을 행한다. 또한 이 때, 접속처가 자장치의 정보 처리 장치 ID(821)와 상이한 패킷인 경우는, NIC(226)는 그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로부터 기능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하여 어떠한 조작이 있었던 경우, 입출력 채널 사이에서 교환되는 복수의 패킷에 송신처의 장치 정보를 포함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구비하는 입출력 채널 사이에서 정확하게 복수의 패킷을 송수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 로서 기능하는 서버(6)가,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TV 장치(2), TV 장치(3), DVD 레코더(4), 멀티플레이어(5)가 보유하는 장치 정보(91A∼91D)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또한 이들을 리모트 컨트롤러(7)에 공급하고, 입출력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리모트 컨트롤러(7)는 이 장치 정보에 포함되는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논리적 접속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치 간 통신 상황을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입출력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리모트 컨트롤러(7)가,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TV 장치(2), TV 장치(3), DVD 레코더(4) 및 멀티플레이어(5)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황의 변경을 요구하는 변경 요구 조작을 접수하고,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는 서버(6)가 그 변경 요구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슬레이브 장치를 특정하여 그 변경 요구를 특정받은 슬레이브 장치로 분류하여 송신하고, 슬레이브 장치는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를 수신하고, 그 변경 요구에 기초하여 실제로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변경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을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설정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는 서버(6)와,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TV 장치(2), TV 장치(3), DVD 레코더(4) 및 멀티플레이어(5)와의 사이에서의 장치 정보의 송수신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교환하기 위한 소정의 포맷을 갖는 제어 패킷인, 소프트웨어 셀을 이용 하여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출력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리모트 컨트롤러(7)만을 조작함으로써, 다른 정보 처리 장치를 조작하지 않고, 정보 처리 시스템을 가상적인 1대의 장치로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예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논리적 접속 상황을 직감적이고 또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논리적 접속 상황의 설정 및 변경을 하는 수단도 제공되므로, 이들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우 편리성이 좋은 네트워크의 접속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특히, 종래와 같은 회사 내에서의 LAN 등의 네트워크의 관리가 아닌, 가정 내에서의 홈 네트워크 등과 같은 장면을 상정하면, 이하와 같이 여러가지 것이 가능해져서, 장점은 매우 크다.
우선, 종래, 각 기기끼리의 케이블 접속은 전용 단자가 준비되고, 또한 케이블도 전용의 것이 존재하였지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LAN 케이블(11)만을 접속하면 되어, 사용자는 헤맬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각 정보 처리 장치(2∼5)가 구비하는 입출력 채널은 추상화된 오브젝트로서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들 복수의 입출력 채널의 존재를 의식할 필요는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각 정보 처리 장치(2∼5)의 입출력 채널을 추상화하고, 이들 데이터 교환을 모두 단일의 네트워크로 실현함으로써, 번잡한 케이블 배선 등이 불필요해져, 케이블 배선 등에 의해서 야기되는 물리적인 위치적 제한도 완화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TV 장치(2)와 DVD 레코더(4)가 방 A에 존재하고, TV 장치(3)와 멀티플레이어(5)가 방 B에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방 B에 있을 때에도, 도 18 ∼도 20의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TV 장치(2)와 멀티플레이어(5)를 접속한다고 한 것이 가능해진다.
즉, 각 정보 처리 장치끼리의 네트워크 접속이나 데이터 경로를 시각적으로 표시 및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IP 어드레스나 네트워크 경로 등의 설정 등 전문적인 지식은 필요없고, 종래의 전용 케이블에 의한 접속(예를 들면, TV 장치와 비디오와의 콤포지트 단자에 의한 접속 및 S(Separate) 단자 등)과 마찬가지의 감각으로 각 정보 처리 장치끼리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와 이들을 관리하는 1개의 마스터 장치로 구성되어 있지만,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모든 정보 처리 장치를 슬레이브 장치만으로 구성하는 등, 다른 구성예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모든 슬레이브 장치가 모든 슬레이브 장치의 장치 정보에 대하여 기록 및 관리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슬레이브 장치와 입출력 단말기를 구별하여 설명해 왔지만, 항상 구별하여 구성되는 것은 아니고, 입출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슬레이브 장치이면, 입출력 단말기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모든 슬레이브 장치를 입출력 단말기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는 서버(6)도 화상의 표시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입출력 단 말기로서 기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도 16의 시각적인 표시의 예에서는, 표시부(71) 상에 입출력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리모트 컨트롤러(7) 자신이나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는 서버(6)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의 표시 형태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면 표시부(71) 상에 리모트 컨트롤러(7) 자신이나 서버(6)도 포함시켜, 정보 처리 시스템 전체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의 표시 및 설정은, 시각적(그래피컬 및 문자적)으로 행하고 있는 예를 들어 왔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시각적이지 않고, 음성에 의한 데이터의 입출력 등, 청각적인 것이어도 된다. 즉, 사용자가 네트워크의 접속 상황을 파악하여, 자유롭게 접속의 변경이 가능한 형태이면 다른 방법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의 정보 시스템의 구성예에서는, 서버(6) 및 각 정보 처리 장치(2∼5)는 단일의 LAN 케이블(11)로 서로 접속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LAN이 아니어도 다른 여러가지의 네트워크에 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라우터 등을 통하여,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장치와의 동작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입출력 단말기 및 입출력 단말기용 프로그램에 따르면, 논리적 접속 정보를 취득하고, 이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논리적 접속 상태를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 즉 어 떤 정보 처리 장치와 어떤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실제로 데이터 교환을 행할 수 있는(또는, 실제로 행해지고 있는) 것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즉, 특단의 네트워크 지식이 없는 사용자라도, 네트워크 내의 장치 간 통신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논리적 접속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는,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네트워크 내의 장치 간 통신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는 변경 요구 조작을 접수하도록 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내 통신 상황 제어에의 개입 수단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므로, 예를 들면 그와 같은 변경 요구 조작을 네트워크 내의 각 정보 처리 장치에 실제로 반영시키도록 하면, 네트워크 내의 통신 상황을 임의적으로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마스터 장치 및 마스터 전용 프로그램에 따르면, 논리적 접속 정보를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마스터 장치에 집약하여 관리함과 함께, 이 논리적 접속 정보를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도록 했기 때문에, 네트워크 내의 각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태를 마스터 장치에 의해서 일원 관리할 수가 있고, 또한 각 슬레이브 장치나 입출력 단말기에서 논리적 접속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입출력 단말기나 각 슬레이브 장치에 논리적 접속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으면, 네트워크 내의 통신 상황을 사용자가 아는 것도 가능해진다. 특히, 마스터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가 있었을 때에, 변경 대상으로 되는 슬레이브 장치를 특정하고, 그 변경 요구를 해당하는 슬레이브 장치로 송신하도록 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마스터 장치에 대해서만 그와 같은 변경 요구를 하면 되고, 각 슬레이브 장치에 대하여 개별로 변경 요구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각 슬레이브 장치에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기능이 있으면, 사용자로부터의 1개의 조작에 의해서만, 해당하는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현실의 논리적 접속 상태를 변경하는 것도 실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슬레이브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에 따르면,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보유하고, 그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도록 했기 때문에,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에 집약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네트워크 내의 각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태를 마스터 장치에 의해서 일원 관리하거나, 각 슬레이브 장치나 입출력 단말기에서 논리적 접속 정보를 공유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특히, 슬레이브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부터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이에 따라서 실제로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태를 변경하도록 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내의 통신 상황의 설정이나 변경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가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집하여 관리하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고, 입출력 단말기가 이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논리적 접속 상태를 표시하도록 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출력 단말기를 통하여,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치 간 통신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입출력 단말기가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 조작을 접수하고, 마스터 장치가 그 변경 요구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슬레이브 장치를 특정함과 함께 그 변경 요구를 특정된 슬레이브 장치로 분류하여 송신하고, 슬레이브 장치가 그 변경 요구를 수신함과 함께 그것에 기초하여 실제로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태를 변경하도록 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입출력 단말기를 통하여, 네트워크 내의 모든 장치 간 통신 상황의 설정이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24)

  1.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입출력 단말기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논리적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1 이상의 입출력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는, 하나의 정보 처리 장치의 각 입출력 채널과 다른 정보 처리 장치의 각 입출력 채널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논리적 접속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정보 처리 장치를 추상화한 복수의 장치 오브젝트와,
    논리적 접속 정보를 추상화한 장치 오브젝트 사이의 가상 접속 라인을 그래피컬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 외에 추가로,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식별 정보, 종류, 특징 및 전원 정보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부가 정보의 내용을 상기 장치 오브젝트와 함께 그래피컬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는 그래피컬인 변경 요구 조작을 접수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가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와 각 슬레이브 장치를 관리하는 마스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마스터 장치가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집한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수단은, 소정의 포맷의 데이터인 소프트웨어 셀을 사용하여,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단말기.
  10. 복수의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입출력 단말기에 적용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취득한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논리적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상기 입출력 단말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단말기용 프로그램.
  11.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각 슬레이브 장치를 관리하는 마스터 장치와,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을 갖는 입출력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마스터 장치로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접속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접속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과,
    상기 관리 수단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상기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접속 정보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1 이상의 입출력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는,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의 각 입출력 채널과 다른 슬레이브 장치의 각 입출력 채널과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접속 정보 공급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은, 소정의 포맷의 데이터인 소프트웨어 셀을 사용하여,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상기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단말기로 이루어진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슬레이브 장치를 특정하고, 그 변경 요구를 특정된 슬레이브 장치로 분류하여 송신하는 변경 요구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구 송신 수단은, 소정의 포맷의 데이터인 소프트웨어 셀을 사용하여,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장치.
  16.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각 슬레이브 장치를 관리하는 마스터 장치와,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을 갖는 입출력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마스터 장치에 적용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한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와,
    관리되고 있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상기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단계
    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장치용 프로그램.
  17.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 및 각 슬레이브 장치를 관리하는 마스터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슬레이브 장치로서,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보유하는 보유 수단과,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는 접속 정보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1 이상의 입출력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는, 자장치의 각 입출력 채널과 타장치의 각 입출력 채널과의 사이의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 송신 수단은, 소정의 포맷의 데이터인 소프트웨어 셀을 사용 하여,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송신된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한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에 기초하여 실제로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변경하는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소정의 포맷의 데이터인 소프트웨어 셀을 사용하여, 마스터 장치로부터 송신된 논리적 접속 상태의 변경 요구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장치.
  22.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 및 각 슬레이브 장치를 관리하는 마스터 장치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슬레이브 장치에 적용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보유하는 단계와,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
  23.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각 슬레이브 장치를 관리하는 마스터 장치와,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을 갖는 입출력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슬레이브 장치는,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보유하는 보유 수단과,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는 접속 정보 송신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접속 정보 수집 수단과,
    상기 접속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논리적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수단과,
    상기 관리 수단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상기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접속 정보 공급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입출력 단말기는,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장치 사이에서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4.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슬레이브 장치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각 슬레이브 장치를 관리하는 마스터 장치와,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을 갖는 입출력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입출력 단말기에서의 처리가,
    상기 슬레이브 장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논리적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터 장치에서의 처리가,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각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단계와,
    수집한 논리적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와,
    관리되고 있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상기 입출력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장치 중 적어도 한쪽에 공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슬레이브 장치에서의 처리가,
    자장치와 타장치와의 사이의 상호 논리적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논리적 접속 정보를 보유하는 단계와,
    상기 논리적 접속 정보를 마스터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KR1020050024111A 2004-03-24 2005-03-23 입출력 단말기, 마스터 장치, 슬레이브 장치, 정보 처리시스템 및 방법, 및 입출력 단말기용, 마스터 장치용 및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 KR200600446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6569 2004-03-24
JP2004086569A JP2005277655A (ja) 2004-03-24 2004-03-24 入出力端末、マスタ装置、スレーブ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入出力端末用、マスタ装置用およびスレーブ装置用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630A true KR20060044630A (ko) 2006-05-16

Family

ID=3485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111A KR20060044630A (ko) 2004-03-24 2005-03-23 입출력 단말기, 마스터 장치, 슬레이브 장치, 정보 처리시스템 및 방법, 및 입출력 단말기용, 마스터 장치용 및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23079A1 (ko)
EP (1) EP1580928A3 (ko)
JP (1) JP2005277655A (ko)
KR (1) KR20060044630A (ko)
CN (1) CN100377531C (ko)
TW (1) TW2005373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807B1 (ko) * 2008-10-16 2011-01-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01570A (zh) * 2003-06-02 2005-11-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执行主/从切换处理的设备,方法及程序
JP5009536B2 (ja) * 2006-01-25 2012-08-2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0258595A (ja) * 2009-04-22 2010-11-11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1748318B1 (ko) * 2010-11-22 2017-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JP5739182B2 (ja) 2011-02-04 2015-06-2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制御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31223B2 (ja) 2011-02-14 2015-06-10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異常検知装置、監視制御システム、異常検知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689333B2 (ja) 2011-02-15 2015-03-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異常検知システム、異常検知装置、異常検知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782791B2 (ja) * 2011-04-08 2015-09-24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管理装置、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4007889B (zh) * 2013-02-27 2018-03-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反馈方法和电子设备
CN113225595A (zh) * 2017-06-19 2021-08-06 西安全星智能电子有限责任公司 投影仪控制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9019051A1 (zh) * 2017-07-26 2019-01-31 深圳配天智能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从设备的输入输出控制方法、主控设备以及数控系统
KR102366699B1 (ko) * 2018-02-02 2022-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CN112911086B (zh) * 2021-01-29 2023-10-10 卡莱特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批量视频处理设备的分类控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2251A2 (en) * 1992-03-24 1993-09-29 Universities Research Association, Inc. Parallel data transfer network controlled by a dynamically reconfigurable serial network
JP3158364B2 (ja) * 1992-10-13 2001-04-23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EP0874367A3 (en) * 1992-11-13 2000-04-05 Sony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cassette
US5796951A (en) * 1995-12-22 1998-08-18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computer network including association devices with tasks performable on those devices
TW364083B (en) * 1996-06-21 1999-07-11 Sony Corp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devices monitoring and control with a topology map in a network
US7831930B2 (en) * 2001-11-20 2010-11-09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application
US6336138B1 (en) * 1998-08-25 2002-01-01 Hewlett-Packard Company Template-driven approach for generating models on network services
US20030158932A1 (en) * 1998-10-02 2003-08-21 Haruo Machida System for displaying connection condition of device provided on network
JP4137273B2 (ja) * 1999-03-26 2008-08-20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電子機器
JP2002189546A (ja) * 2000-12-20 2002-07-05 Canon Inc 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6826662B2 (en) * 2001-03-22 2004-11-3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synchronization for a computer architecture for broadband networks
KR100434270B1 (ko) * 2001-05-30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제어시스템
CN1176535C (zh) * 2001-12-30 2004-11-17 北京长信嘉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数字家电网络系统
US7546365B2 (en) * 2002-04-30 2009-06-09 Canon Kabushiki Kaisha Network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807B1 (ko) * 2008-10-16 2011-01-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7353A (en) 2005-11-16
JP2005277655A (ja) 2005-10-06
CN1674533A (zh) 2005-09-28
EP1580928A3 (en) 2008-03-19
TWI303772B (ko) 2008-12-01
EP1580928A2 (en) 2005-09-28
US20050223079A1 (en) 2005-10-06
CN100377531C (zh) 200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4630A (ko) 입출력 단말기, 마스터 장치, 슬레이브 장치, 정보 처리시스템 및 방법, 및 입출력 단말기용, 마스터 장치용 및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
US6493753B2 (en) Media manager for controlling autonomous media devices within a network environment and managing the flow and format of data between the devices
CA2257919C (en) Device control with topology map in a digital network
US7305680B2 (en) Listening module for asynchronous messages sent between electronic devices of a distributed network
TWI483581B (zh) 用以搜尋網路裝置之方法及設備
US7565427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structures between devices in a networking environment
CN103703738A (zh) 用于使用avb网络中的应用层结构管理音频/视频流的系统
WO2012156664A1 (en) A communications network and a network terminal
CN101540743A (zh) 信息处理单元、信息回放单元、以及方法、系统和程序
JP4882756B2 (ja) 視聴状況監視方法、視聴状況監視装置、視聴状況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視聴状況監視システム
US7284259B1 (en) Transmitting method, transmitting system and transmission control device
JPH11168489A (ja) データ通信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TWI461025B (zh) 提供設備事件以重現拓樸變化之系統、伺服器及其方法
JP5776346B2 (ja) 通信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の処理方法
CA2434263C (en) Graphical display of an animated data stream between devices on a bus
KR100911318B1 (ko) 홈 네트워크에서의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CA2583598C (en) Media manager for controlling autonomous media devices within a network environment and managing the flow and format of data between the devices
JPH10334024A (ja) データ配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