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807B1 -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807B1
KR101006807B1 KR1020080101469A KR20080101469A KR101006807B1 KR 101006807 B1 KR101006807 B1 KR 101006807B1 KR 1020080101469 A KR1020080101469 A KR 1020080101469A KR 20080101469 A KR20080101469 A KR 20080101469A KR 101006807 B1 KR101006807 B1 KR 10100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unit
indoor
monitoring
indo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2356A (ko
Inventor
정유식
박민호
박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8010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8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66Checking the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댁내 단말부; 상기 댁내 단말부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실배선 정보를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올바른 기배선 정보와 비교하는 배선 감시부; 및 상기 배선 감시부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 단말부를 관리하는 배선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자 측에서 댁내 배선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이를 통하여 배선 오류의 신속한 수정이 가능하다.
댁내 배선, 네트워크, 인터넷, 공유기, 홈 게이트웨이

Description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premises distribution monitor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댁내 배선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트랜드의 가속화에 따라 고객의 다양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으며 댁내 주거 환경의 변화와 고객 편리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고객의 엔터테인먼트와 실생활의 편리욕구와 연계된 새로운 댁내 상품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또한, 통신과 방송의 융합 트랜드에 맞추어 댁내 초고속 인터넷망 종단에 홈 게이트웨이를 설치하여 가정 내 정보단말과 가전기기를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고품질 VOD, 홈뷰어, 인터넷 전화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응용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 가정 내 정보단말과 가전기기는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응용서비스의 사용이 가능하나, 가정 내 정보단말과 가전기기 수의 증가로 인한 배선상의 문제로 상기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됨으로써 불편을 느끼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댁내에 설비되는 각종 기기들의 네트워크 연결 배선 상태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댁내 단말부; 상기 댁내 단말부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실배선 정보를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올바른 기배선 정보와 비교하는 배선 감시부; 및 상기 배선 감시부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 단말부를 관리하는 배선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Internet)망일 수 있으며, 상기 배선 감시부와 상기 배선 관리부의 통신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선 감시부는 상기 댁내 단말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선 감시부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댁내 단말부로 전송하고, 상기 댁내 단말부는 상기 전송된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선 감시부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홈 게이트웨이 또는 공유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배선 정보 및 기배선 정보는 적어도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선 감시부는 상기 배선 관리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댁내 단말부는 부팅시 또는 일정 주기마다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실배선 정보를 상기 댁내 감시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선 관리부는 상기 비교 결과를 배선 관리자에게 표시하거나, 상기 배선 관리부는 상기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배선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배선 관리부는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댁내 단말부로 전송하고, 상기 댁내 단말부는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선 관리부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감시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댁내 배선 감시 방법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댁내 단말부에서 배선 감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댁내 단말부의 배선 감시 요청과 상기 댁내 단말부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실배선 정보를 받은 배선 감시부에서 상기 실배선 정보와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올바른 기배선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댁내 단말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배선 관리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선 감시 요청 단계 이후에 상기 댁내 단말부의 배선 감시 요청을 받은 상기 배선 감시부에서 상기 실배선 정보의 전송을 상기 댁내 단말부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댁내 단말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댁내 단말부가 상기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댁내 단말부에 의한 배선 감시 요청이 부팅시 또는 일정 주기마다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댁내 단말부의 배선 감시 요청은 옵션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은 댁내 단말부의 실배선 정보를 올바른 네트워크 연결을 나타내는 기배선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댁내 단말부의 배선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를 통하여, 잘못된 배선 상태에 대한 용이한 조치가 가능해짐으로써 사용자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댁내 배선 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댁내 배선 감시 장치는 네트워크(100)에 연결되는 댁내 단말부(110), 상기 댁내 단말부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실배선 정보를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올바른 기배선 정보와 비교하는 배선 감시부(120) 및 상기 배선 감시부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 단말부를 관리하는 배선 관리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댁내 단말부(110)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TV, PC, 인터넷 전화기 등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가능한 각종 전기기기(이하, 단말기라 칭함)를 포함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연결에 요구되는 홈 게이트웨이, 공유기 등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술하였다.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구입시에는 일반적으로 해당 단말기와 관련된 판매업자, 생산업자, 서비스 제공업자의 설비기사가 사용자를 방문하여 직접 설치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의 최초 설치시에는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하다. 물론, 최초 설비시의 오류로 일정 시간 경과 후 네트워크 연결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사용자에 의한 배선 변경으로 인하여 발생된 네트워크 접속 오류에 포함되는 것으로 전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정상적으로 배선이 연결된 단말기를 추후 사용자가 배선을 변경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사를 하거나, 가정 내 가구 배치 등의 변 경시에 배선 연결을 변경할 수 있는 소지가 있으며, 이외에도 설비기사에 의한 설치가 제공되지 않는 단말기의 구입시, 또는 소정 목적에 의하여 배선을 변경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인터넷 등을 통하여 배선 연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는 경우가 늘어남에 따라 그 빈도는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에 의한 임의의 배선 변경으로 발생된 네트워크 접속 오류에 대해서, 상기 단말기의 판매업자, 생산업자, 네트워크 제공업자 또는 상기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업자(이하, 서비스 제공업자)는 위와 같은 사용자의 잘못으로 인한 네트워크 접속 오류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하는 환경에 처함으로써,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그러한 대책의 일환으로써, 현재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는 상기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에 사용되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미리 등록하여 두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단말기의 시리얼 번호 또한 등록하고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는 상기 등록된 MAC 주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 오류 신고시 상기 단말기가 설비된 댁내 단말부로 진입하여 MAC 주소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파악된 MAC 주소가 이미 등록된 MAC 주소와 다른 경우 다른 기기가 중간에 개입되었음을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를 방문한 설비기사에게 알려주어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만약, 파악된 MAC 주소가 이미 등록된 MAC 주소와 같은 경우 배선 상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는 본건에서 논외로 한다.
일예로, 도 10과 같이 댁내 단말부로서, 게이트웨이, PC, TV가 연결되는 셋탑박스, WiFi폰이 연결되는 070전용 AP(Access Point)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는 PC, 셋탑박스, 070전용 AP 각각의 MAC 주소를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파악하여 등록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 각 단말기의 시리얼 번호 또한 등록하게 된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하여 제공될 것이므로,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의 접근이 가능하므로,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PC, 셋탑박스, 070전용 AP와 같은 각 단말기의 MAC 주소의 파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사용자가 사설 공유기를 도 10의 홈 게이트웨이와 셋탑 박스 및 070전용 AP 사이에 임의로 설비한 경우를 살펴보도록 하자.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접속 오류 문의가 있는 경우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진입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각 단말기의 MAC 주소를 파악하게 된다. 물론, 각 단말기의 시리얼 번호도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시리얼 번호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하 별다른 언급은 배제하도록 한다.
상기 셋탑박스와 070전용 AP는 사설 공유기를 거쳐 홈 게이트웨이로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입장에서는 상기 사설 공유기의 MAC 주소를 받게 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는 상기 사설 공유기의 MAC 주소가 기존에 등록된 셋탑박스 및 070전용 AP의 MAC 주소와 다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를 방문한 설비기사에게 이와 같은 MAC 주소 파악 결과를 알림으로써 배선 연결이 올바르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 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진입하는 서비스 제공업자는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측에 배치되는 안내요원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홈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각 단말기의 MAC 주소와 기존에 정상적인 MAC 주소의 비교 또한 상기 안내요원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항상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에게 문의를 하여야 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안내요원과의 접촉에 통화 대기 등의 부가적인 요소가 요구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네트워크 오류 해소에 대한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측의 서비스에 대한 신뢰성이 높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별도의 안내요원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즉시 배선 연결 상태를 파악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는 상기 배선 감시부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배선 감시부(120)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배선 정보인 실배선 정보를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올바른 배선 정보인 기배선 정보와 비교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선 감시부는 기배선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미도시)가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댁내 단말부와 연결되어 실배선 정보를 받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실배선 정보 및 기배선 정보는 적어도 MAC 주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네트워크가 인터넷(Internet)망인 경우에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더 부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각 단말기의 시리얼 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배선 감시부에 대해서 몇가지 사항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상기 실배선 정보와 기배선 정보의 비교 수행 시기, 상기 비교 결과에 대한 처리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상기 실배선 정보와 기배선 정보의 비교 수행 시기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댁내 단말부의 각 요소의 부팅시 또는 일정 주기별로 비교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시기를 병합하여 비교를 수행할 수도 있다.
먼저 사용자의 요청시에 비교를 수행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문제 인지 후 상기 단말기에 할당된 특수 키 등의 조작을 수행하면, 기배선 정보와 실배선 정보를 비교하게 되는 경우이다. 사용자가 문제를 인지한 경우에만 상기 배선 감시부가 동작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자원의 낭비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특수 키 등을 조작하여야 하는 것은 단점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특수 키는 각 단말기와 관련된 리모콘이나, 홈 게이트웨이, 공유기, 각 단말기에 배치될 것이나, 평소에는 별 관심이 없는 부분이므로 사용에 어려움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결국에는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 측의 안내요원의 안내에 따라서 특수 키 조작을 수행하게 될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원래의 취지에서 벗어나는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조작의 불편함과 원래의 취지에서 벗어날 수 있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상기 댁내 단말부 각 요소의 부팅시에 비교를 수행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댁내 단말부에 새로운 요소가 부가되는 경우, 또는 문제가 발생된 경우 일반적으로 문제가 발생된 요소의 부팅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고려하여 부팅시에 상 기 배선 감시부가 동작하여 실배선 정보와 기배선 정보를 비교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기 배선 감시부가 동작하므로, 실질적으로 자동 감시에 해당하게 되나, 사용자가 부팅 완료 후 배선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대처가 곤란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일정 주기별로 비교를 수행하는 경우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댁내 단말부의 실배선 정보를 기배선 정보와 비교하게 되며, 일종의 자동 감시에 해당한다. 사용 중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배선을 변경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댁내 단말부로부터 실배선 정보를 받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 즉, 상기 댁내 단말부가 일정 주기별로 실배선 정보를 상기 배선 감시부로 송부하게 하거나, 상기 배선 감시부가 일정 주기별로 상기 댁내 단말부에 실배선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해야 한다. 일정 주기별로 비교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댁내 단말부에 새로운 요소가 부가된 경우, 상기 새로운 요소에 대한 배선 감시를 즉시 수행하지 못하고, 상기 일정 주기에 해당하는 시간에 맞춰서 실행하므로 새로운 요소에 대한 감시가 부족한 부분이 발생된다.
이상에서, 사용자의 요청시, 댁내 단말부 각 요소의 부팅시 및 일정 주기별로 상기 배선 감시부의 비교를 수행하는 예를 나타내었는데, 각각을 독립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임의 조합의 2개 또는 3개 모든 방식의 적용이 가능하다. 물론, 이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하여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배선 감시부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에 관 한 실배선 정보를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올바른 기배선 정보와 비교하게 되는데, 상기 비교 결과는 일반적으로 상기 댁내 단말부와 별개로 배치되는 상기 배선 관리부로 전송된다.
상기 배선 관리부(130)는 상기 배선 감시부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 단말부를 관리하는 요소로,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 측에 구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가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제반지식이 충분한 상태이거나, 설비기사가 사용자를 방문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점검하는 경우, 상기 배선 관리부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배선 관리부의 비교결과를 직접 댁내 배선부에서 확인하여 조치가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배선 관리부에서는 상기 댁내 배선부의 실배선 정보를 참조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상기 댁내 단말부에서 발생한 네트워크 오류가 잘못된 배선에 의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배선 감시부의 비교결과를 참조하여 조치를 취하더라도 해결이 안될 수가 있으므로, 상기 배선 감시부의 비교결과는 상기 배선 관리부로 전송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선 관리부는 배선 감시부에 의한 실배선 정보와 기배선 정보의 비교결과를 전송받아 검토한 후 상기 비교결과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오류 문의가 없는 경우라면, 최초 서비스 제공업자가 설비한 댁내 배선이 변경된 상태이지만 정상적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추후 오류 발생시에 참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댁내 단말부 내에 임의로 공유기 등을 설비한 경우라 하더라도 항상 네트워크 사용에 무리가 있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는 사용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댁내 배 선에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에는 별다른 관심을 갖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현재 사용 중인 댁내 배선 상태를 정상으로 인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 즉 댁내 배선이 변경되었지만 사용에 지장이 없는 경우, 상기 배선 관리부는 상기 댁내 배선부의 비교결과 외에 상기 댁내 단말부의 실배선 정보를 기배선 정보와 함께 저장해 놓고 추후 문제 발생시에 참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배선 관리부는 상기 배선 감시부를 통하여 상기 댁내 단말부의 실배선 정보를 추가로 받을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배선 감시부가 상기 배선 관리부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배선 관리부는 적어도 상기 댁내 단말부 내 요소 중 자신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활용하는 요소인 단말기에 대한 시리얼 번호, 실배선 정보, 가입 현황 등의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또는 데이터베이스부를 구비하여야 하며, 댁내 단말부의 관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배선 감시부 및 상기 댁내 단말부의 홈 게이트웨이에 접근할 수 있는 통신제어부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배선 관리부가 상기 배선 감시부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선 감시부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 전제되는데, 이 경우 도 1과 같이 별도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으나, 도 2에서와 같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사설 공유기가 홈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 사이에 설비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앞에서 설명한 도 12와는 다른 경우로서 근래 사이버 아파 트와 같이 단지 전체의 공용 공유기를 배설하여 각 댁내의 홈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를 중계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사설 공유기가 네트워크와 댁내 단말부 내의 홈 게이트웨이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댁내 단말부 각 요소의 MAC 주소를 서비스 제공업자가 등록하여 둔다고 해도, 배선 감시부는 상기 사설 공유기로 인하여 실배선 정보를 올바르게 받을 수 없게 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선 감시부가 올바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설 공유기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사설 공유기 설비자 또는 관리자와 서비스 제공업자 간의 기술협력 등을 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가 상기 사설 공유기를 관리할 필요성이 존재하는바, 이런 경우, 상기 사설 공유기는 앞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측-상기 서비스 제공업자가 네트워크 제공자인 경우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 측-에 포함되는 개념이 될 것이다.
위에서 잠시 언급했지만, 이하에서는 상기 배선 감시부의 위치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자.
상기 배선 감시부는 댁내 단말부와 상기 배선 관리부와 별개의 요소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사용 환경에 따라서, 상기 댁내 단말부 또는 배선 관리부에 포함시키는 것이 비용적, 공간활용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배선 감시부가 댁내 단말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홈 게이트웨이 또는 공유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홈 게이트웨이와 공유기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배선 감시부는 도 1에서 살펴보았듯이 네트워크 계층 상 단말기 측에 해당하는 댁내 단말부의 상위 개념이므로, 상기 댁내 단말부에 구비시킬 경우, 상기 댁내 단말부에서 최상위 요소인 홈 게이트웨이, 또는 경우에 따라서 공유기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양자 모두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선 감시부가 댁내 단말기에 구비된 경우, 배선 감시부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비하여 소형의 저렴한 요소에 해당하는 댁내 단말부, 구체적으로 홈 게이트웨이나 공유기의 특성상 대용량, 고속 처리에는 무리가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배선 감시부는 해당 댁내 단말부의 각 요소에 대한 기배선 정보로서 MAC 주소, 경우에 따라서는 IP 주소 및 시리얼 번호 포함하여 저장하여 둔 후, 상기 댁내 단말부의 각 요소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요소의 실배선 정보와 기배선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를 배선 관리부로 전송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요소로도 전송한다.
상기 댁내 단말부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댁내 단말부로 전송하고, 상기 댁내 단말부는 상기 전송된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앞에서도 잠시 언급했지만, 사용자가 배선에 대한 제반지식을 갖춘 경우, 또는 서비스 제공업자 측의 안내요원의 안내에 따르고 있는 경우나 설비기사가 방문한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비교 결과의 표시 방법은 상기 요청을 발신한 댁내 단말부의 요소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요청을 발신한 단말기가 TV인 경우에는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단말기가 전화기인 경우에는 음성 또는 전화기 액정화면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표시된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 또는 설비기사는 배선 상태를 기배선 정보에 부합하도록 바로잡을 수 있게 된다.
댁내 단말부에 배선 감시부가 구비된 경우에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댁내 단말부 각 요소의 요청이 없는 경우라도 부팅시 또는 일정 주기별로 실배선 정보와 기배선 정보를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배선 관리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배선 관리부에도 댁내 단말부의 배선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댁내 단말부 각 요소의 MAC 주소 등을 저장하고 있어야 하므로, 이중의 자원 낭비가 발생될 소지가 있다.
다음으로, 배선 감시부가 도 4에서와 같이 배선 관리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배선 관리부는 대용량 서버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배선 관리부를 직접 관리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다수의 댁내 단말부 각 요소의 MAC 주소, 경우에 따라서 IP 주소 및 시리얼 번호를 포함하여 저장해 둔 후, 상기 기배선 정보를 상기 배선 감시부와 배선 관리부가 공유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 게이트웨이 등의 배선 연결이 잘못된 경우에도 배선 감시가 가능하다. 배선 관리부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각 요소 중 최종 단말기 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기의 상위 개념인 홈 게이트웨이 또는 공유기에 대한 MAC 주소 등을 등록하여 둔 상태이므로, 상기 배선 감시부를 통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 또는 공유기의 감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댁내 단말부의 각 단말기의 요청에 대해서는 대응이 미비할 수 있지만, 일정 주기 동안 댁내 배선부로부터 실배선 정보가 전송되 지 않는 경우 배선 오류로 판단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배선 관리부는 상기 배선 감시부의 비교 결과를 배선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비교 결과가 산출된 즉시 배선 관리에게 표시할 수도 있으나, 수많은 댁내 단말부의 비교 결과를 모두 표시한다면, 배선 관리자는 관리에 어려움을 느끼게 될 수 있으므로,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배선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의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경우와 일정 주기별 또는 부팅시의 경우로 나눌 필요가 존재한다.
배선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댁내 단말부 내의 배선을 사용자 또는 설비기사가 직접 조작하여야 한다. 즉, 별도의 공유기 설비로 인한 배선 오류인 경우에는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배선을 제거하고, 공유기 설비 전 상태로 배선을 연결해야 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배선 오류에 해당하는 상기 배선 감시부의 비교 결과 불일치인 경우 상기 배선 관리부는 사용자에게 이와 같은 사실을 알려주어 배선을 바로잡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은 방안은 사용자가 네트워크 감시 요청, 즉 네트워크 연결에 이상이 발생되어 점검을 요청한 경우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다. 다른 의미로, 상기 배선 관리부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감시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댁내 배선이 궁극적으로 네트워크의 사용을 위한 것이므로 댁내 배선 연결이 서비스 제공업자 또는 배선 관리부 측에서 보았을 때 오류가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네트워크의 사용에 지장이 없는 경우 별다른 감시 요청을 의뢰하지 않는 사용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알리 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에게 댁내 배선이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것은 댁내 단말부로 비교 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댁내 단말부가 사용자에게 표시하면 되나, 댁내 배선 오류로 인한 네트워크 연결에 이상이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배선 관리부는 사용자의 요청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댁내 단말부 내 각 요소의 부팅시 또는 일정 주기별, 또는 양자 모두를 고려하여 댁내 단말부의 댁내 배선 상태인 실배선 정보와 기배선 정보의 비교 결과를 배선 감시부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비교 결과가 불일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배선 감시부를 댁내 단말부 또는 배선 관리부에 포함시키는 예를 살펴보았는데, 이 둘을 병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배선 감시부는 구체적으로 기배선 정보를 저장하여 두는 저장부(배선 관리부에 구비된 경우는 배선 관리부와 공유 가능), 댁내 단말부의 실배선 정보를 받아 상기 기배선 정보와 비교하고, 실배선 정보의 요청, 비교 결과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면 충분하므로, 용이하게 구성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도 5을 통하여 살펴보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댁내 단말부에서 배선 감시를 요청하면(S 510), 상기 댁내 단말부의 배선 감시 요청과 상기 댁내 단말부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실배선 정보를 받은 배선 감시부에서 상기 실배선 정보와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댁내 단말부 의 올바른 기배선 정보를 비교하게 되고(S 520),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댁내 단말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배선 관리부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댁내 단말부의 배선 감시 요청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팅시 또는 일정주기마다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세가지 방안이 적절히 병합되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 배선 관리부 또는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옵션 설정을 통하여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댁내 단말부는 배선 감시 요청시, 배선 감시 요청 신호 및 실배선 정보를 모두 전송할 수도 있으나, 배선 감시 요청 신호만을 전송할 수도 있는 바,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배선 감시 요청 단계 이후에 상기 댁내 단말부의 배선 감시 요청을 받은 상기 배선 감시부에서 상기 실배선 정보의 전송을 상기 댁내 단말부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자의 경우에도 실배선 정보의 재확인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실배선 정보의 추가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배선 감시부는 상기 댁내 단말부로부터 전송되어 온 실배선 정보를 기 저장되어 있던 기배선 정보와 비교한 후, 그 결과를 배선 관리부로 전송하게 되는데, 추가적으로, 상기 비교 결과를 댁내 단말부로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댁내 단말부는 전송되어 온 비교 결과를 사용자 또는 사용자를 방문한 설비기사에게 표시함으로써, 배선 오류의 해결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도 6 내지 9는 이상에서 설명된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댁내 단말부에 배선 감시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6은 댁내 단말부 내 배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최종 단말인 단말#1에는 PC, 070 전용 AP, TV를 포함한 셋탑 박스가 각각 공유기 겸용의 홈 게이트웨이인 단말#2에 연결되어 일종의 사설 IP망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사설 IP망 측으로는 각 단말#1에 할당할 사설 IP 블럭(block)을 포함하고 있는 일종의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서버가 된다. 그러나, 댁내 배선 관리 및 서비스 관리를 위하여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제공자인 서비스 제공업자에 의해 상기 단말#1에 부여되는 IP 및 네트워크상의 DHCP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게이트웨이의 공인 IP 모두 서비스 제공업자가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각 단말#1의 2계층에 해당하는 MAC 주소를 관리하게 된다. 도 6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업자는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이 해당하며, 상기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서비스 제공업자에 해당)에는 단말#1, 단말#2의 MAC 주소 및 고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사설 공유기 등의 추가 배치를 통하여 사설 IP망을 변경함으로써, 네트워크 연결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올바른 해결을 위해서 댁내 배선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상기 댁내 배선 상태의 파악은 위에서 설명한 배선 감시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부팅시 또는 일정주기마다 이루어지는 댁내 배선 상태 파악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사 용자가 전화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배선 상태 파악을 서비스 제공업자 측에 문의하는 종래의 경우를 배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를 살펴보자.
네트워크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각 단말#1의 특정 기능(배선 상태 조회)이나 리모콘의 특정키(배선 상태 조회)를 입력하게 되면-특정 이벤트 발생이 이루어지면- 단말#1에서는 단말#2로 댁내 배선 정보 조회를 요청하게 된다. 물론, 상기 요청과 함께 실배선 정보에 해당하는 단말#1의 MAC 주소, 시리얼 번호를 전송되어야 하므로, 상기 단말#1은 상기 요청과 함께 실배선 정보를 전송하거나, 상기 요청을 받은 단말#2의 재요청에 의해 실배선 정보를 단말#2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단말#2는 단말#1의 배선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배선 감시부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상기 배선 감시부에 의해 기배선 정보와 실배선 정보의 비교 결과를 도출하는 배선 정보 판단을 수행한다. 상기 비교 결과는 댁내 배선 정보로서 상기 단말#1으로 전송되며, 상기 단말#1은 사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현재의 배선 연결 상태를 인지시키게 된다. 사용자는 배선 상태를 인지하여 올바른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7의 경우에는 단말#1과 단말#2 사이에 별도의 기기가 부가된 경우의 배선 오류를 확인하는 것으로 한정되나, 실제 발생하는 대부분의 댁내 배선의 문제가 여기에 해당하므로 실효성이 크다. 구성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필요한 경우 빠르게 댁내 배선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는 하나,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지식을 습득하고 있어야 하는 점에 있어서는 불리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요청시에는 GUI, 안내 멘트 등의 수단을 통하여 사용방법을 알려주는 방법 이 강구될 수 있으며, 표시시에도 MAC 주소의 표시보다는 "셋탑 박스와 모뎀 사이에 별도의 장비가 설비되어 있습니다."와 같은 실생활적인 표현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배선 감시부는 비교 결과를 고개정보 관리 시스템에 해당하는 배선 관리부에 전송함으로써, 댁내 배선 상태를 파악하여 저장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사설 DHCP 서버로서 동작하는 단말#2에 해당하는 홈 게이트웨이의 DHCP 옵션 필드를 사용한 배선 상태 파악에 대해서 살펴보자.
DHCP 옵션 필드를 사용하여 부팅시 또는 일정 주기마다 DHCP 요청 명령어를 단말#1에서 단말#2로 요청할 때 배선 상태를 요청하도록 설정한 경우로, 마찬가지로 단말#1의 MAC 주소 및 시리얼 번호도 단말#2로 전송이 되어야 한다. 배선 감시부가 구비된 상기 단말#2에서는 단말#1로부터 전송된 DHCP 메시지의 옵션 필드를 분석하여 실배선 정보와 기배선 정보를 비교한 후, 비교 결과를 단말#1에 전송하고, 단말#1은 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배선 상태를 알리게 된다.
도 9는 도 7과 도 8의 경우를 병합한 것으로, 배선 관리부에 해당하는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이 부가되어 있다. 도 7에 해당하는 아랫 부분을 살펴보면, 일종의 자동 배선 파악이 되므로, 사용자에게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배선 파악 상태를 매번 표시하는 것이 사용자의 불편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도 9에서는 DHCP 옵션 필드 내에 댁내 배선 정보에 해당하는 비교 결과를 포함시켜 단말#1으로 전송하면, 단말#1에서 옵션 필드를 분석하여 비교 결과를 추출한 후,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에 고객 상태값(배선상태 화면 표시 여부 등) 요청(가입자 정보, MAC 주소, 시리얼 번호 등)하고 그에 대해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고객 상태값(배선 상태 노출 여부 등)을 전송함으로써 단말#1에서 배선 정보 표시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단말#1과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 간에는 배선 오류로 인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단말#2의 배선 감시부는 비교 결과 및 단말#1의 MAC 주소 등을 바로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고객정보 관리 시스템의 응답을 요구할 수 있으며, 상기 응답을 비교 결과에 포함시켜 단말#1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예는 댁내 단말부에서 최상위에 위치하는 홈 게이트웨이(단말#2)와 하위에 위치하는 각 단말#1 사이에 별도의 기기 부가로 인한 배선 변경이 발생된 경우의 오류를 파악하는 것을 중점으로 두고 있으나, 홈 게이트웨이 상위에 부가되는 기기의 경우에 발생되는 홈 게이트웨이 배선 오류 등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런 경우를 고려해서 앞에서는 배선 감시부를 댁내 배선부와 배선 관리부의 사이에 배치하거나, 배선 관리부에 구비하는 방안을 살펴본 바 있으므로, 비용적 측면과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댁내 배선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예로 앞에서는 배선 관리부를 서비스 제공업자 측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6 내지 9에서 설 명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업자를 거치지 않는 구성을 취할 경우, 상기 배선 관리부는 상기 배선 감시부가 배치된 단말, 또는 댁내 단말부 내 각 요소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선 관리부는 상기 배선 관리부의 비교 결과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비교 결과 판독부, 상기 비교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교 결과 판독부는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표시할지, 항상 표시할지 등을 사용자의 옵션 설정과 관련하여 지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가 접하는 최종 단말의 경우에는 음성 표시 수단, 영상 표시 수단을 갖추어야 하며, 홈 게이트웨이와 같은 상위 단말의 경우에는 음성 표시 수단 또는 영상 표시 수단을 이미 구비하고 있는 최종 단말로의 신호 출력 수단에 해당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3 및 4는 도 1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
도 5는 도 1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의 구체적인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 내지 9는 도 6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정상적인 댁내 배선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 및 12는 도 10의 댁내 배선에 오류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네트워크 110, 210...댁내 단말부
120, 220, 320...배선 감시부 130, 230...배선 관리부

Claims (18)

  1.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댁내 단말부;
    상기 댁내 단말부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실배선 정보를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올바른 기배선 정보와 비교하는 배선 감시부; 및
    상기 배선 감시부의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댁내 단말부를 관리하는 배선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 감시부와 상기 배선 관리부의 통신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인터넷(Internet)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감시부는 상기 댁내 단말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감시부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댁내 단말부로 전송하고,
    상기 댁내 단말부는 상기 전송된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감시부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홈 게이트웨이 또는 공유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배선 정보 및 기배선 정보는 적어도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감시부는 상기 배선 관리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9. 제 1 항, 제 4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단말부는 적어도 부팅시, 일정 주기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실배선 정보를 상기 댁내 감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관리부는 상기 비교 결과를 배선 관리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관리부는 상기 비교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배선 관리자에 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관리부는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댁내 단말부로 전송하고,
    상기 댁내 단말부는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관리부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감시 요청이 없는 경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조치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14.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댁내 단말부에서 배선 감시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댁내 단말부의 배선 감시 요청과 상기 댁내 단말부의 현재 네트워크 연결에 관한 실배선 정보를 받은 배선 감시부에서 상기 실배선 정보와 기저장되어 있는 상기 댁내 단말부의 올바른 기배선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댁내 단말부의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배선 관리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댁내 배선 감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감시 요청 단계 이후에 상기 댁내 단말부의 배선 감시 요청을 받은 상기 배선 감시부에서 상기 실배선 정보의 전송을 상기 댁내 단말부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를 상기 댁내 단말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댁내 단말부가 상기 비교 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단말부에 의한 배선 감시 요청이 적어도 부팅시, 일정 주기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댁내 단말부의 배선 감시 요청은 옵션 메뉴를 통하여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배선 감시 방법.
KR1020080101469A 2008-10-16 2008-10-16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00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69A KR101006807B1 (ko) 2008-10-16 2008-10-16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469A KR101006807B1 (ko) 2008-10-16 2008-10-16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356A KR20100042356A (ko) 2010-04-26
KR101006807B1 true KR101006807B1 (ko) 2011-01-10

Family

ID=4221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469A KR101006807B1 (ko) 2008-10-16 2008-10-16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8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70A (ko) * 2002-10-29 200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기 상태 표시 방법
KR20060044630A (ko) * 2004-03-24 2006-05-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입출력 단말기, 마스터 장치, 슬레이브 장치, 정보 처리시스템 및 방법, 및 입출력 단말기용, 마스터 장치용 및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
KR20060045123A (ko) * 2004-04-19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의 변동시 기기간의 정보 교환방법 및 그 방법을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70A (ko) * 2002-10-29 200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기 상태 표시 방법
KR100486502B1 (ko) * 2002-10-29 2005-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기 상태 표시 방법
KR20060044630A (ko) * 2004-03-24 2006-05-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입출력 단말기, 마스터 장치, 슬레이브 장치, 정보 처리시스템 및 방법, 및 입출력 단말기용, 마스터 장치용 및슬레이브 장치용 프로그램
KR20060045123A (ko) * 2004-04-19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의 변동시 기기간의 정보 교환방법 및 그 방법을위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356A (ko) 2010-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7311B2 (en) Multi-services application gateway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US11943351B2 (en) Multi-services application gateway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US20220385658A1 (en) Voice control of endpoint devices through a multi-services gateway device at the user premises
US20180198692A1 (en) Multi-services application gateway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US11783925B2 (en) Multi-services application gateway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1425002B1 (ko) 홈 디바이스들의 원격 활성화
US201202103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vailable iptv devices on a network
KR102084286B1 (ko) 분산 애플리케이션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위한 해결법
US202203943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virtual agent to provide consumer electronic device related technical support
US9774916B2 (en) Information concentrating center capable of making P2P connections with remote client devices
JP2007257328A (ja) 製品管理システム及び製品管理方法
US9106954B2 (en) Set top box with capability to support user identification
KR101006807B1 (ko) 댁내 배선 감시 시스템 및 방법
EP41932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chnical support and home appliance recommendations to a consumer
CN102859936A (zh) 用于控制家庭网络中包括的设备的功能的方法
KR101063619B1 (ko) 홈 네트워크 업무 관리 시스템 및 그 업무 흐름 관리 방법
KR20190050518A (ko) 청약 회선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1003110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