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558A -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이용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이용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558A
KR20060044558A KR1020050023638A KR20050023638A KR20060044558A KR 20060044558 A KR20060044558 A KR 20060044558A KR 1020050023638 A KR1020050023638 A KR 1020050023638A KR 20050023638 A KR20050023638 A KR 20050023638A KR 20060044558 A KR20060044558 A KR 20060044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inion
cover
dead cente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필제
Original Assignee
조필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4009816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60022629A/ko
Application filed by 조필제 filed Critical 조필제
Publication of KR2006004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5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00Hand rubbing apparatus
    • D06F3/02Rubb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커버 개폐장치는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랙에 치합되도록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며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라이딩 커버의 작동을 위한 구성공간을 최소화하여 휴대 단말기 전체의 두께를 축소하는 한편,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거리는 필요한 만큼 용이하게 늘릴 수 있으면서, 슬라이딩 커버의 다단 개폐와 양방향 개폐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휴대폰, 단말기, 슬라이딩, 피니언, 랙

Description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sliding type portable phone and portable phone using i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토션 스프링 방식의 슬라이딩부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토션 스프링 방식의 슬라이딩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에서 슬라이딩 폴더가 닫혀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서 슬라이딩 폴더가 열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한 와이드 키패드형 휴대 단말기의 제품 실사.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본체와 슬라이딩 커버의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조도.
도 8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투시도.
도 9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투시도.
도 10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의 결합사시도.
도 1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 분해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3 및 도 14는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1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한 양방향 커버 개폐식 휴대 단말기의 제품 실사.
도 16a 및 도 16b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참조도.
도 1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해사시도.
도 18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 분해사시도.
도 19a 내지 도 19c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0a 내지 도 20b는 변형된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1은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2실시예의 따른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한 다단 커버 개폐식 휴대 단말기의 제품 실사.
도 22는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23a 내지 도 23d는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4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5는 도 24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200 : 슬라이딩 커버
300 : 랙 400 : 피니언
500 : 피니언 구동수단 110 : 키패드
120 : 편심 방지편 510 : 튜브
520 : 슬라이딩 캠 530 : 액츄에이팅 캠
540 : 압축 스프링 550 : 정합용 샤프트
560 : 이탈방지편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딩 커버의 작동을 위한 구성공간을 최소화하여 휴대 단말기 전체의 두께를 축소하는 한편,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거리는 필요한 만큼 용이하게 늘릴 수 있으면서, 슬라이딩 커버의 다단 개폐와 양방향 개폐도 가능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단말기는 사무용이나 가정용 전화기가 대표적이고, 무선 통신 단말기는 PCS, 셀룰러폰 또는 PDA가 대표적인 예이다. 통상 무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휴대 및 이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그 종류는 크게 바형(bar type), 덮개를 구비한 플립형(flip type) 및 폴더형(folder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통화나 휴대시 폴더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 어져 바형 또는 플립형 휴대 단말기가 갖는 길이가 길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상부폴더와 하부폴더를 연결하는 힌지 부분이 손상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휴대 단말기 본체에 대해서 폴더가 슬라이딩 방식(sliding type)으로 반자동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딩형 휴대 단말기가 제시되고 있다. 슬라이딩형 휴대 단말기는 대부분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 본체에 대해서 커버를 반자동으로 슬라이딩시켜 개폐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슬라이드 힌지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드 힌지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20)와, 상기 커버(20)를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반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드 힌지모듈(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커버(20)를 위로 밀면 상기 커버(20)가 상기 본체(10)에 대해서 소정 위치까지 수동으로 이동되다가 소정의 위치를 지나면 슬라이드 힌지장치(30)의 토션스프링(36)에 축적된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커버(20)가 개방되도록 설계되어져 있다.
이러한 토션스프링 방식의 슬라이드 힌지모듈(30)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라이드 힌지모듈(30)은 본체(10)의 앞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31)과, 커버(20)의 뒷면에 설치되며 가이드 레일(31)에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31)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드부재(34)와, 가이드 레일(31)과 가이드부재(34) 사이에 연결되어 가이드부재(34)가 가이드 레일(31)을 따라서 반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36)으로 구성된다.
이때 가이드 레일(31)은 본체(10)의 앞면에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32)과, 상기 레일(32)의 중간 부분을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33)을 구비한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31)은 영문자 "H"자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커버(20)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레일(31)의 레일(32)은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34)의 양측에는 상기 레일(32)에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부(35)가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31)을 덮는 사각 판 형상이다.
상기 토션스프링(36)의 일단은 상기 중간 프레임(33)의 중심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일측의 레일(32)에 근접한 가이드부재(34)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34)가 상기 가이드 레일(31)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토션스프링(36)이 압축 및 인장을 반복하면서 커버(20)를 개폐하게 된다.
이하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종래의 토션스프링 방식의 슬라이드 힌지모듈(30)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커버(120)의 개폐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에서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휴 대 단말기에서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커버(20)를 닫는 방법과 여는 방법은 동작만 반대로 진행될 뿐 동일한 원리로 진행되기 때문에 커버(20)를 여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본체(10)에 커버(20)가 닫혀 있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1)의 중간 프레임(33)을 중심으로 아래에 가이드부재(34)가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커버(120)를 본체(10)에 대해서 위로 밀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31)을 따라서 가이드부재(34)가 위로 이동하여 커버(120)가 열리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커버(20)를 위로 밀어주면 토션스프링(36)이 압축되면서 가이드부재(34)가 가이드레일(31)을 따라서 이동한다. 이때 토션스프링(36)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이렇게 이동하다가 토션스프링(36)의 양단이 가장 압축되는 구간을 넘어서면, 토션스프링(36)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부재(34)가 자동적으로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커버(20)가 개방된다. 즉, 커버(20)를 토션스프링(36)의 양단이 수평을 이룰 때보다 조금 위쪽으로 수동으로 밀어주면, 그 이후에 커버(20)는 토션스프링(36)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위로 상승하여 열리게 된다.
반대로 커버(20)를 닫을 경우, 커버(20)를 토션스프링(36)의 양단이 수평을 이룰 때보다는 조금 아래쪽으로 당겨주면, 그 이후에 커버(20)는 토션스프링(36)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아래로 내려와 닫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토션스프링 방식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커버가 열 리고 닫히는 길이를 형성하기 위해서 본체와 커버 사이에 형성된 설치공간을 대부분 차지하게 된다. 이는 인쇄회로기판 등의 부품들을 본체에 내장할 때 상당한 공간상의 제약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딩 길이(피치)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토션스프링의 양단을 더 길게 해야만 하며, 이것은 슬라이드 힌지모듈이 차지하는 면적이 더 커짐을 의미하므로 소형화가 중요한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상 상당한 제약이 있다.
또한, 종래의 토션스프링 방식의 슬라이드 힌지모듈은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부재가 상호 결합되며 그 사이에 토션스프링이 삽입 고정되어 슬라이딩 작동을 수행하므로 휴대 단말기의 두께가 일반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비해서 두꺼워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커버의 작동을 위한 구성공간을 최소화하여 휴대 단말기 전체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거리를 필요한 만큼 용이하게 늘릴 수 있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커버의 다단 개폐와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로파일은 상사점, 하사점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소정거리 단위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과 열리는 방향으로 교번하여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로파일은 180° 주기로 상사점 및 하사점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고, 상기 천이시점은 슬라이딩 커버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두 번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좌우 양측에 각각 조작키 등으로 이루어진 제 1조작부 및 제 2조작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면서 상기 제 1조작부 및 제 2조작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중앙에서 좌우로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로파일은 상사점, 하사점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고, 상기 천이시점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좌우방향으로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한번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천이시점을 지난 직후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이동을 막는 스토퍼가 좌측편 또는 우측편 중 어느 한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중앙으로부터 소정거리 단위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과 열리는 방향으로 교번하여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로파일은 180° 주기로 상사점 및 하사점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고, 상기 천이시점은 좌방향 개폐시와 우방향 개폐시 각각 두 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모듈 베이스와, 상기 모듈 베이스에 접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듈 베이스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설치되는 모듈 커버와, 상기 모듈 커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모듈 베이스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모듈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모듈 베이스에 대향하여 접하도록 설치되며, 양측단 중 일측단에는 상기 랙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모듈 베이스에 배향하여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모듈 베이스에 설치된 피니언이 관통되어 전면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되며, 양측단 중 일측단에는 상기 랙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커버의 양측단 중 타측단에는 랙의 반대편에서 상기 피니언을 접촉 지지하는 편심 방지턱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베이스의 양측단에는 상기 모듈 커버의 양측단이 끼워져 안내되는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듈 베이스의 중앙에는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로파일은 상사점, 하사점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 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소정거리 단위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과 열리는 방향으로 교번하여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로파일은 180° 주기로 상사점 및 하사점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고, 상기 천이시점은 슬라이딩 커버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두 번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이 상호 정합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정합용 샤프트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이 상호 정합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정합용 샤프트와, 상기 액츄에이팅 캠, 슬라이딩 캠, 압축 스프링 및 정합용 샤프트를 내부에 수용하는 튜브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이 설치된 반대편에서 상기 피니언을 접촉 지지하는 편심 방지편이 더욱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 이에 치합되는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은 각각 복수개 구비되어, 좌우편에 대칭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을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피니언에 전달하는 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며,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우 양측에 각각 조작키 등으로 이루어진 제 1조작부 및 제 2조작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면서 상기 제 1조작부 및 제 2조작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며, 중앙에서 좌우로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모듈 베이스와, 상기 모듈 베이스에 마주 접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듈 베이스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설치되는 모듈 커버와, 상기 모듈 커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모듈 베이스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모듈 베이스에 설치되며,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로파일은 상사점, 하사점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이 상호 정합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정합용 샤프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
먼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한 와이드 키패드형 휴대 단말기의 제품 실사이고,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본체와 슬라이딩 커버의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00)에서 슬라이딩 커버(200)를 개폐하기 위해 랙(300)과 피니언(400)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작동을 위한 구성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 전체의 두께는 최소화하면서도 슬라이딩 커버(200)의 슬라이딩 거리는 상기 피니언(400)의 크기를 간단히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만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의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슬라이딩 거리를 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된 와이드형 키패드가 완전히 드러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투시도이고, 도 9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본체(100), 슬라이딩 커버(200), 랙(300), 피니언(400) 및 피니언 구동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전면에 키패드(110)가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는 상기 본체(100) 전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단,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100)의 키패드(110)가 외부로 노출되면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린 것으로, 반대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노출되었던 본체(100)의 키패드(110)가 숨겨지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힌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원활한 슬라이딩 개폐를 위해 상기 본체(100) 및 슬라이딩 커버(200)에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받기 위한 소 정의 가이드 편이 형성 및 설치된다.
상기 랙(300)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 후면의 좌편 또는 우편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랙(300)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이동되어야 할 거리를 고려하여 최소한 그 길이 이상의 것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랙(300)은 상기 피니언(400)이 설치되는 방향을 향해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400)과 치합된다. 상기 랙(300)의 소재는 가벼우면서 상기 피니언(400)과 상호작용시 마모가 심하지 않고 노이즈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합성수지 계열의 것이면 적당하다.
상기 피니언(400)은 상기 랙(300)에 치합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랙(300)과 피니언 구동수단(500) 사이에서 회전(자전)하면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차후 설명하겠지만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500)의 1행정시 상기 피니언(400)은 1회전(자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400)의 원주길이가 곧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개폐를 위한 편도 이동거리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이동거리를 고려한 적절한 크기의 피니언(400)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피니언(400) 역시 동일한 이유로 상기 랙(300)과 같은 소재의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500)은 상기 피니언(40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500)은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5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니언 구동수단(500)은, 튜브(510), 슬라이딩 캠(520), 액츄에이팅 캠(530), 압축 스프링(540) 및 정합용 샤프트(5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캠(520) 및 액츄에이팅 캠(530)은 상기 압축 스프링(540)의 탄성력을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피니언(400)에 전달하는 캠수단을 이루게 된다.
먼저,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50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체(100)에 삽입 고정되는 작은 크기의 튜브(510) 속 수용공간에 상기 슬라이딩 캠(520), 액츄에이팅 캠(530) 및 압축 스프링(540)이 밀집된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520,530,540)은 안정적인 동작 및 상호 정합을 위해 상기 정합용 샤프트(550)에 의해 관통되어 지지됨을 볼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튜브(5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관형 용기로서 피니언(400)과 접하는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상기 정합용 샤프트(550)의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이같은 튜브(510)는 몸체 대부분이 본체(100) 내에 삽입되어질 정도로 작지만 상기 슬라이딩 캠(520), 액츄에이팅 캠(530), 압축 스프링(540) 및 정합용 샤프트(550)가 간섭 없이 다른 부품들에 방해받지 않도록 보호하는 격리된 수용공간을 제공해준다.
상기 슬라이딩 캠(520)은 상기 튜브(510) 내에서 상기 피니언(400)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캠(520)은 직선운동은 가능하되 회전하지는 않도록 하기 위해 그 외주면 단면이 원형에서 약간 정도 모나게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520)이 왕복 이동하는 튜브(510) 내의 공간에는 상기 외주면 모난 부위에 걸쳐지는 소정의 단턱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캠(520)의 프로파일은 상사점(520b), 하사점(520c)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사점(520b)과 하사점(520c)을 연결하는 경사라인(520d)으로 형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팅 캠(530)은 상기 피니언(400)에 고정된 상태로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520)의 프로파일과 대향하여 접하도록 상기 튜브(510) 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팅 캠(530)의 프로파일은 상기 슬라이딩 캠(520) 프로파일의 상사점(520b), 하사점(520c) 및 경사라인(520d)과 정합 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상의 하사점(530c), 상사점(530b) 및 경사라인(530d)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액츄에이팅 캠(530)은 상기 슬라이딩 캠(520)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40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며, 이에 대해서는 차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팅 캠(530)은 제조시부터 상기 피니언(400)과 일체로 형성되어 부품수는 줄이면서 양자간에 결합은 더욱 안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축 스프링(540)은 상기 튜브(510)의 가장 안쪽에서 상기 정합용 샤프트(550) 외주면에 끼워진 채로 설치되어 자체 탄성력으로 상기 슬라이딩 캠(520)을 액츄에이팅 캠(530) 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로써 상기 압축 스프링(540)의 탄성 력은 캠수단을 이루고 있는 상기 슬라이딩 캠(520) 및 액츄에이팅 캠(530)을 거치면서 회전력으로 전환되어 상기 피니언(400)에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정합용 샤프트(550)는 상기 튜브(510) 내에서 상기 액츄에이팅 캠(530)과 슬라이딩 캠(520)이 상호 정합되도록 상기 피니언(400)을 비롯하여 액츄에이팅 캠(530), 슬라이딩 캠(520) 및 튜브(510)의 타단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액츄에이팅 캠(530), 슬라이딩 캠(520) 및 튜브(510)의 타단에는 상기 정합용 샤프트(550)의 관통을 용이하게 하는 통공(530a,92a,91a)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튜브(510)의 타단을 관통하여 돌출된 정합용 샤프트(550) 타단에는 상기 정합용 샤프트(550)의 이탈방지를 위한 이탈방지편(560)이 설치된다.
한편, 랙(300)이 설치된 반대편에서 상기 피니언(400)을 접촉 지지하는 편심 방지편(120)이 상기 본체(100)에 더욱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상기 편심 방지편(120)이 설치되면 상기 랙(300)과 피니언(400)의 치합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랙(300)과 피니언(400) 상호간에 동력전달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볼 때 상기 피니언(400)의 회전축(본 실시예에서는 정합용 샤프트(550))에 편심이 걸리면서 초래되는 기기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피니언(400) 및 피니언구동수단(500)은 본체(100)에 설치되어 있고, 랙(300)은 커버(200)에 설치되어 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피니언(400) 및 피니언구동수단(500)을 커버(200)에 설치하고, 랙(300)을 본체(1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먼저, 도 12a는 슬라이딩 커버(200)가 완전히 닫혀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때 상기 슬라이딩 캠(520) 및 액츄에이팅 캠(530)의 상사점(520b)과 하사점(530c), 하사점(520c)과 상사점(530b)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리는 상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이에 고정된 랙(300)이 상방향 이동하면서 치합된 피니언(40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400)에 고정된 액츄에이팅 캠(530)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캠(520)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상사점(530b)에 의해 슬라이딩 캠(520)을 밀어내게 된다. 그러면 압축 스프링(540)의 탄성력은 밀려오는 상기 슬라이딩 캠(520)을 저항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사용자의 힘에 반하여 열리지 않으려는 경향을 갖게 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는 압축 스프링(540)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여 도 12a와 같은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압축 스프링(540)의 저항을 극복하면서 사용자가 계속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액츄에이팅 캠(530)의 상사점(530b)은 상기 슬라이딩 캠(520)을 밀어내면서 상기 슬라이딩 캠(520)의 하사점(520c)으로부터 오르막 경사라인(520d)을 타고 그 상사점(520b)에 접하게 되어 도 12b의 상태에까지 이르게 된다.
도 12b는 상기 슬라이딩 캠(520) 및 액츄에이팅 캠(530)의 상사점(520b)과 상사점(530b)이 상호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때가 상기 압축 스프링(540)의 탄성력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히는 방향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변환되는 천이시점이 된다. 이러한 천이시점을 지나 상기 액츄에이팅 캠(530)의 상사점(530b)이 상기 슬라이딩 캠(520)의 반대편 내리막 경사라인(520d)을 타게 되면 상기 액츄에이팅 캠(530)은 오히려 압축 스프링(540)에 의한 탄성력의 도움으로 회전에 가속이 붙게 된다. 따라서 이때부터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는 상기 압축 스프링(540)의 도움으로 열리려는 경향을 갖게 되며 도 12c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캠(520) 및 액츄에이팅 캠(530)의 상사점(520b)과 하사점(530c), 하사점(520c)과 상사점(530b)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완전히 열려진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 완전히 열려진 상태에 이르기까지 슬라이딩 캠(520) 및 액츄에이팅 캠(530)은 1행정, 피니언(400)은 1회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려진 상태에서 닫혀진 상태로 되기 위해서는 도 12c의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닫히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힘이 가해지면 된다. 이때 상기 랙(300) 및 피니언(400)은 반대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하게 되며,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500)은 천이시점에 이르기까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를 닫으려는 힘을 저항하다가 천이시점이 지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를 닫으려는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슬라이딩 커버(200)가 열려질 때와 대동소이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랙(300), 이에 치합되는 피니언(400), 편심 방지편(120) 및 피니언 구동수단(500)이 각각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 및 본체(100) 좌우편에 대칭된 형태로 설치되는 변형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 같이 대칭된 형태로 변형된 구성을 취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의 이동시 좌우 한편에 치우치지 않고 양편에서 작용하는 힘의 균형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 2실시예]
도 15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한 양방향 커버 개폐식 휴대 단말기의 제품 실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16:9 비율의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커버와, 좌우편에 각각 키패드 또는 조작키 등의 제 1조작부 및 제 2조작부가 설치되어 역시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본체를 염두한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좌우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제 2실시예는 고화질의 영상과 CD수준의 음악을 이동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로 최근 각광받기 시작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동영상 및 MP3 등을 플레이할 수 있고 카메라 촬영도 가능한 다재다능한 멀티미디어 기기인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에 최적화된 구성이다. 아래에서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좌우 양측편에 각각 키패드 조작키 등으로 이루어진 제 1조작부(610a) 및 제 2조작부(610b)가 형성된 본체(600)에서 슬라이딩 커버(700)가 좌우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면서 제 1조작부(610a) 및 제 2조작부(610b)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6a는 키패드가 있는 본체의 제 1조작부(610a)가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커버(700)가 우측으로 열려진 상태이고, 도 16b는 조작키가 있는 본체의 제 2조작부(610b)가 노출되도록 슬라이딩 커버(700)가 좌측으로 열려진 상태이다. 이렇게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가 열려진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커버(700)에 설치된 제 3조작부(710)와 함께 제 1조작부(610a) 또는 제 2조작부(610b)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분해사시도이고, 도 18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에에 따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600), 슬라이딩 커버(700), 랙(300'), 피니언(400') 및 피니언 구동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제 2실시예의 경우 상기 본체(600) 전면 좌우편에 각각 키패드 및 조 작키들로 이루어진 제 1조작부(610a) 및 제 2조작부(610b)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에는 본체(600)의 가이드 편(630)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730)이 슬라이딩 커버(70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커버(700)가 본체(600) 상에서 한방향으로만 구속되지 않고 좌우 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랙(300')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 후면의 좌우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의 좌우 양방향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좌우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질 수 있는 길이의 것으로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400')은 원주길이가 곧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의 개폐를 위한 좌우 일방향의 편도 이동거리가 되도록 적절한 크기의 것으로 구비된다.
상기 피니언(40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800)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튜브(810), 슬라이딩 캠(820), 액츄에이팅 캠(830), 압축 스프링(840) 및 정합용 샤프트(8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세부적인 구성에서도 전술된 제 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먼저, 도 19a는 슬라이딩 커버(700)가 완전히 닫혀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때 상기 슬라이딩 캠(820) 및 액츄에이팅 캠(830)의 상사점(820b)과 하사점(830c), 하사점(820c)과 상사점(830b)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힘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에 우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이에 고정된 랙(300')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치합된 피니언(40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400')에 고정된 액츄에이팅 캠(830)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캠(820)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상사점(830b)에 의해 슬라이딩 캠(820)을 밀어내게 된다. 그러면 압축 스프링(840)의 탄성력은 밀려오는 상기 슬라이딩 캠(820)을 저항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가 사용자의 힘에 반하여 열리지 않으려는 경향을 갖게 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는 압축 스프링(840)의 탄성력에 의해 후퇴하여 도 19a와 같은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압축 스프링(840)의 저항을 극복하면서 사용자가 계속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액츄에이팅 캠(830)의 상사점(830b)은 상기 슬라이딩 캠(820)을 밀어내면서 상기 슬라이딩 캠(820)의 하사점(820c)으로부터 오르막 경사라인(820d)을 타고 그 상사점(820b)에 접하게 된다. 이때가 상기 압축 스프링(840)의 탄성력이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가 닫히는 방향에서 열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변환되는 천이시점이 된다. 이러한 천이시점을 지나 상기 액츄에이팅 캠(830)의 상사점(830b)이 상기 슬라이딩 캠(820)의 반대편 내리막 경사라인(820d)을 타게 되면 상기 액츄에이팅 캠(830)은 오히려 압축 스프링(840)에 의한 탄성력의 도움으로 회전에 가속이 붙게 된다. 따라서 이때부터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는 상기 압축 스프링(840)의 도움으로 열리려는 경향을 갖게 되며 도 19b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캠(820) 및 액츄에이팅 캠(830)의 상사점(820b)과 하사점(830c), 하사점 (820c)과 상사점(830b)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가 우측으로 완전히 열려진 상태가 되어 본체(600) 전면에 설치된 제 1조작부(610a)가 완전히 드러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슬라이딩 커버(200)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 완전히 열려진 상태에 이르기까지 슬라이딩 캠(820) 및 액츄에이팅 캠(830)은 1행정, 피니언(400')은 1회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19a의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에 좌측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이에 고정된 랙(300')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치합된 피니언(4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니언(400')에 고정된 액츄에이팅 캠(830)이 상기 피니언(400')과 같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캠(820)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는 상사점(830b)에 의해 슬라이딩 캠(820)을 밀어내게 된다. 이후, 한번의 천이시점을 거쳐 도 19c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캠(820) 및 액츄에이팅 캠(830)의 상사점(820b)과 하사점(830c), 하사점(820c)과 상사점(830b)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가 좌측으로 완전히 열려진 상태가 되어 본체(600) 전면에 설치된 제 2조작부(610b)가 완전히 드러나게 된다. 이처럼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슬라이딩 커버(700)가 좌우 양측으로 이동하여 열리면서 본체(600)의 제 1조작부(610a) 및 제 2조작부(610b)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게 된다.
도 20a 내지 도 20b는 변형된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딩 커버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변형 전과 비교하 여, 슬라이딩 커버(700)가 우측방향으로는 완전히 이동하여 열리지만(도 20a 참조) 좌측방향으로는 반 정도만 이동하여 열리는 것(도 20b 참조)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 랙(400') 또는 슬라이딩 커버(700)의 가이드 레일(730) 상에 작은 스토퍼(301, stopper)를 설치하기만 하면 된다. 상기 스토퍼(301)는 랙(300') 또는 가이드 레일(730) 상에 설치되되 좌측에서 우측으로 3/4 분기 조금 더 지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라이딩 커버(700)를 우측방향으로 열 때 천이시점을 조금 더 지나친 위치로 슬라이딩 커버(70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20a는 슬라이딩 커버(700)가 우측으로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변형전 제 2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름이 없다. 그러나, 도 20b는 좌측으로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액츄에이팅 캠(830)의 상사점(830b)이 슬라이딩 캠(820)의 상사점(820b)을 접촉하여 지나쳐서 경사라인(820d)에 접하고 있는 가운데 압축스프링(8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액추에이팅 캠(830) 및 피니언(400')이 슬라이딩 커버(700)가 더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성질을 갖고 있지만 스토퍼(301)가 상기 피니언(400')에 걸리면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가 좌측방향으로 반 정도만 열리도록 구성되면 제 2조작부(610b)의 설치영역이 제 1조작부(610a)에 비해 작은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1은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2실시예의 따른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한 다단 커버 개폐식 휴대 단말기의 제품 실사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슬라이딩 커버가 다단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은 제 2실시예에서 피니언 구동수단(800)의 간단한 변형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가 개폐시 각 방향에 대하여 단 한번의 천이시점을 갖는 것이 아니라 두 번의 천이시점을 가지도록 하여 중간에 한번 쉬는 휴지기를 갖게 하면 된다.
이에, 도 22는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2실시예에서는 슬라이딩 커버(700)가 개폐될 때 중간에 한번의 휴지기를 가질 수 있도록 피니언 구동수단(900)의 슬라이딩 캠(920) 및 액츄에이팅 캠(930)이 변형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캠(920) 및 액츄에이팅 캠(930)은 180° 주기로 상사점(920b,930b) 및 하사점(920c,930c)이 형성된 프로파일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캠(920) 및 액츄에이팅 캠(930)은 각각 두개의 상사점(920b,930b) 및 하사점(920c,930c)을 갖고, 상사점(920b,930b) 및 하사점(920c,930c)을 연결하는 경사라인(920d,930d)을 갖는다. 이같이 상기 슬라이딩 캠(920) 및 액츄에이팅 캠(930)에 180° 주기로 상사점(920b,930b) 및 하사점(920c,930c)이 반복 형성되면, 피니언(400')이 한바퀴를 돌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700)를 개폐하는 중간에 상기 슬라이딩 캠(920) 및 액츄에이팅 캠(930)의 상사점(920b,930b)끼리 접하는 천이시점을 두 번 갖게 되고, 상사점(920b,930b) 및 하사점(920c,930c)이 정합되면서 슬라 이딩 커버가 멈춰서는 휴지기도 갖게 된다.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900)은 상기 슬라이딩 캠(920) 및 액츄에이팅 캠(930)을 비롯하여 튜브(910), 압축 스프링(940) 및 정합용 샤프트(9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전술된 제 2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a 내지 도 23d는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슬라이딩 커버(700)가 닫힌 상태에서 우측으로 힘이 가해지면 슬라이딩 커버(700)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도 23a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700)가 우측으로 반 정도 열린 상태에서 멈춰선 휴지기에 이르게 된다. 이때는 상기 피니언(400') 및 액츄에이팅 캠(930)이 반바퀴를 돌아 180° 주기로 형성된 슬라이딩 캠(920) 및 액츄에이팅 캠(930)의 상사점(920b,930b) 및 하사점(920c,930c)이 정합된 상태로 이미 상사점(920b,920c)끼리 접하는 천이시점을 거친 시점이 된다.
상기 도 23a 상태에서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커버(700)에 더욱 힘이 가해지면 다시 한번의 천이시점을 거쳐 도 23b과 같이 슬라이딩 커버(700)가 우측방향으로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된다.
반대로, 슬라이딩 커버(700)가 닫힌 상태에서 좌측으로 힘이 가해지면 슬라이딩 커버(70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도 23c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700)가 좌측으로 반 정도 열린 상태에서 멈춰선 휴지기에 이르게 된다. 또한, 도 23c 상태에서 동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커버(700)에 더욱 힘이 가해지면 다시 한번의 천이시점을 거쳐 도 23d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700)가 좌측으로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피니언(400') 및 액츄에이팅 캠(93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외하면 슬라이딩 커버(700)가 우측으로 개폐될 때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커버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랙,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을 간단히 모듈화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조립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랙,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을 모듈화하기 위한 제 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실시예]
도 24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조작부(1110,1120)를 갖는 본체(1100), 디스플레이부(1210)를 갖는 슬라이딩 커버(1200)를 비롯, 상기 슬라이딩 커버(1200)를 본체(1100)에서 반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랙(1330), 피니언(1340) 및 피니언 구동수단(1350)을 구비한다. 하지만 모듈 베이스(1310) 및 모듈 커버(1320)가 더욱 구비되어 상기 랙(1330), 피니언(1340) 및 피니언 구동수단(1350)과 함께 하나의 팩키지로 모듈화된 슬라이딩 모듈(1300)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듈 베이스(1310) 및 모듈 커버(1320)는 상기 랙(1330), 피니언(1340) 및 피니언 구동수단(1350)을 감싸 수용하면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1100) 및 슬라이딩 커버(1200)에 각각 고정된다.
이 중 상기 모듈 베이스(1310)는 상기 본체(1100)에 형성된 안착홈(1130)에 안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모듈 베이스(1310)의 양측단에는 상기 모듈 커버(1320)의 양측단이 끼워져 안내되는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1313)이 "ㄷ"자 단면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같은 가이드 홈(1313)의 형성으로 상기 모듈 베이스(1310) 및 모듈 커버(1320)가 자연스럽게 상호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모듈 베이스(1310)의 중앙에는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1350)이 수용되는 수용부(1311)가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311) 역시 상기 본체(1100) 안착홈(1130)의 연장된 끼움부(1140)에 끼워져 안착된다.
상기 모듈 커버(1320)는 상기 모듈 베이스(1310)의 가이드 홈(1313)에 끼워지기 적당하고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도록 양측편의 끝단(1321)이 외측으로 향하는 "ㄱ"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모듈 커버(1320)는 상기 랙(1330)이 설치되므로 상기 모듈 베이스(1310)보다 다소 길게 형성된다. 상기 모듈 커버(1320)는 길이가 상기 모듈 베이스(1310)보다 길기 때문에 버튼 등의 조작부(1110,1120)가 있는 본체(1100)보다는 슬라이딩 커버(1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랙(1330)은 상기 모듈 커버(1320)의 좌우 한편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1340)은 상기 랙(1330)에 치합되도록 상기 모듈 베이스(1310)에 설치된다.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1350)은 상기 모듈 베이스(1310)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1340)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1350)은 슬라이딩 캠 (1352), 액츄에이팅 캠(1353), 압축 스프링(1354), 정합용 샤프트(1355) 및 이어링(1356)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듈 베이스(1310) 및 모듈 커버(1320)를 제외한 상기 랙(1330), 피니언(1340) 및 피니언 구동수단(1350)은 전술된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므로 구성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1350)의 슬라이딩 캠(1352) 및 액츄에이팅 캠(1353)의 프로파일 형상에 따른 슬라이딩 커버(1320)의 개폐동작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딩 캠(1352) 및 액츄에이팅 캠(1353)의 프로파일은 도시된 것처럼 180°주기로 상사점 및 하사점이 형성되는 경우, 피니언 구동수단(1350)의 1행정시 천이시점이 두 번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1200)가 열릴 때와 닫힐 때 상기 피니언(1340)이 1회전하도록 랙(1330) 및 피니언(1340)이 구성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1200)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천이시점이 두 번씩 형성되고 중간에 슬라이딩 커버(1200)가 정지되는 한번의 휴지기를 갖게 된다. 그러면 상기 휴지기를 중심으로 단말기 본체(1100)에 형성된 제 1조작부(1110) 및 제 2조작부(1120)의 노출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도 26a 내지 도 26c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개폐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26a는 슬라이딩 커버(1200)가 닫힌 상태, 도 26b는 슬라이딩 커버(1200)가 1차적으로 열려 제 1조작부(1110)가 노출된 상태, 도 26c는 슬라이딩 커버(1200)가 완전히 열린 상태이다. 이 중 도 26b의 상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1200) 가 중간에 멈춤 상태가 된 휴지기가 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1200)가 닫힌 상태에서 완전히 열린 상태가 되기까지 피니언(1340)이 1회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1350)이 상기 슬라이딩 커버(1200)의 개폐시 각각 1행정으로 동작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캠(1352) 및 액츄에이팅 캠(1353)의 프로파일은 상사점 및 하사점이 180°주기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도 26a에서 26b로 가는 중간에 한번, 26b에서 26c로 가는 중간에 한번 천이시점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천이시점 중간에 도 26b에 해당하는 휴지기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캠(1352) 및 액츄에이팅 캠(1353)의 프로파일이 하나의 상사점 및 하사점만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1350)의 1행정시 천이시점은 단지 한번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1200)가 열릴 때와 닫힐 때 상기 피니언(1340)이 1회전하도록 랙(1330) 및 피니언(1340)이 구성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1200)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한번씩의 천이시점만 형성되고 중간에 휴지기는 없다. 하지만 상기 슬라이딩 커버(1200)가 열릴 때와 닫힐 때 상기 피니언(1340)이 각각 2회전하도록 랙(1330) 및 피니언(1340)이 구성되면 상기 슬라이딩 커버(1200)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천이시점이 두 번씩 형성되고 중간에 슬라이딩 커버(1200)가 정지되는 한번의 휴지기를 갖게 된다. 이처럼, 상기 슬라이딩 캠(1352) 및 액츄에이팅 캠(1353)의 프로파일 형태와 더불어 상기 랙(1330) 및 피니언(1340)의 구성을 적절히 조합하면 슬라이딩 커버(1200)의 다양한 개폐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된 제 3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1200)의 개폐를 위한 부품들이 슬라이딩 모듈(1300)로 모듈화되면 본 발명의 조립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상기 슬라이딩 모듈(1300)만을 제품화하는 데 용이하게 된다.
물론, 제 3실시예와 같은 모듈 타입은 전술된 제 2실시예와 같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본체에서 슬라이딩 커버가 좌우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는 구성에서도 약간의 변형만을 통하여 그대로 적용시킬 수 있다.
[제 4실시예]
도 27은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7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모듈 베이스(1610) 및 모듈 커버(1620)가 더욱 구비되어 상기 랙(1630), 피니언(1640) 및 피니언 구동수단(1650)과 함께 하나의 팩키지로 모듈화된 슬라이딩 모듈(1600)을 이루며, 2부분의 조작부(1410,1420)를 갖는 본체(1400), 디스플레이부(1510)를 갖는 슬라이딩 커버(1500)를 포함한다.
하지만 제 3실시예의 경우 모듈 커버(1620)가 모듈 베이스(1610)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구성에서 모듈 커버(1620)가 모듈 베이스(1610)에 배향하여 설치되는 제 4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제 4실시예의 특징적 구성을 잘 나태내는 모듈 커버(1620)를 중심으로 설명하다.
상기 모듈 커버(1620)는 상기 모듈 베이스(1610)에 배향하여 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좌우 양측편의 끝단(1621)이 외측으로 향하는 "ㄴ"자 형태로 절곡 되어 상기 모듈 베이스(1610)의 가이드 홈(16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모듈 커버(1620) 전면의 좌우 양측단 중 일측단에는 길이방향으로 랙(1630)이 설치된다. 한편, 모듈 커버(1610)에는 상기 모듈 베이스(1610)에 설치되는 피니언(1640)이 전면에 위치하여 랙(1630)과 치합될 수 있도록 상기 피니언(1640)이 관통되는 절개부(1622)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622)는 슬라이딩 커버(1500)의 개폐시 피니언(1640)의 이동을 고려하여 상기 모듈 커버(162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같은 절개부(1622)의 형성으로 상기 모듈 커버(1620)의 전면에서 랙(1630)과 피니언(1640)이 서로 치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듈 커버(1620)의 양측단 중 타측단에는 랙(1630)의 반대편에서 상기 피니언(1640)을 접촉 지지하는 편심 방지턱(162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심 방지턱(1623)은 상기 피니언(1640)을 항상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상기 랙(1630)과 피니언(1640) 중 하나가 한편으로 치우치려할 때 상기 피니언(1640)을 지지하여 랙(1630)과 피니언(1640)의 치합된 상태가 느슨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 모듈 커버(1620)는 길이가 상기 모듈 베이스(1610)보다 길기 때문에 버튼 등의 조작부(1410,1420)가 있는 본체(1400)보다는 슬라이딩 커버(15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 베이스(1610), 랙(1630) 및 피니언(1640)의 구성은 제 3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또한, 피니언(164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1650)의 경우도 제 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캠(1652), 액츄에이팅 캠(1653), 압축 스프링(1654), 정합용 샤프트(1655) 및 이어링(1656)으로 구성되어 대동소이하므로 구성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a 내지 도 29c는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개폐동작을 보여주는 참조도이다.
도 29a는 슬라이딩 커버(1500)가 닫힌 상태, 도 29b는 슬라이딩 커버(1500)가 상방향으로 열려 제 1조작부(1410)가 노출된 상태, 도 29c는 슬라이딩 커버(1500)가 하방향으로 열려 제 2조작부(1420)가 노출된 상태이다. 이같은 슬라이딩 커버(1500)의 개폐동작은 제 2실시예의 좌우 양측으로 개폐되는 타입과 대동소이하므로 피니언 구동수단(1650)의 구성 및 동작과 같은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전술된 제 3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딩 커버(1500)의 개폐를 위한 부품들이 슬라이딩 모듈(1600)로 모듈화되어 휴대 단말기의 조립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딩 모듈(1600)만을 제품화하는 데 용이하다.
더 나아가,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모듈 커버(1620)가 상기 모듈 베이스(1610)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랙(1630)과 피니언(1640)이 모듈 커버(1620)의 전면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보다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본체와 슬라이딩 커버에 각각 설치되는 구성요소들의 위치가 서로간에 뒤바뀔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딩 커버의 작동을 위한 구성공간을 최소화하여 휴대 단말기 전체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적절한 크기의 피니언을 구비함으로서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거리를 필요한 만큼 용이하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커버가 다단 개폐 또는 양방향 개폐되도록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커버의 동작을 위하여 본체와 슬라이딩 커버 사이에 랙 및 피니언 정도만 설치되는 관계로 불필요한 유휴공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를 위해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을 바로 이용하지 않고 랙 및 피니언을 거치기 때문에 슬라이딩 커버가 급격하게 동작하지 않고 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좌우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커버가 개폐되기 때문에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PMP(Personal Multimedia Player)에 최적화된 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커버의 개폐를 위한 부품들이 하나로 모듈화되는 경우 조립 및 생산성이 향상되며, 모듈화된 부품들을 하나의 제품으로 판매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 커버가 모듈 베이스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슬라이딩 모듈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29)

  1.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로파일은 상사점, 하사점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소정거리 단위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과 열리는 방향으로 교번하여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로파일은 180° 주기로 상사점 및 하사점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고, 상기 천이시점은 슬라이딩 커버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두 번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6. 좌우 양측에 각각 조작키 등으로 이루어진 제 1조작부 및 제 2조작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면서 상기 제 1조작부 및 제 2조작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중앙에서 좌우로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 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로파일은 상사점, 하사점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고, 상기 천이시점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좌우방향으로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한번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천이시점을 지난 직후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이동을 막는 스토퍼가 좌측편 또는 우측편 중 어느 한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중앙으로부터 소정거리 단위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과 열리는 방향으로 교번하여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로파일은 180° 주기로 상사점 및 하사점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고, 상기 천이시점은 좌방향 개폐시와 우방향 개폐시 각각 두 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12.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딩 커버를 구비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모듈 베이스와;
    상기 모듈 베이스에 접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듈 베이스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설치되는 모듈 커버와;
    상기 모듈 커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모듈 베이스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모듈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모듈 베이스에 대향하여 접하도록 설치되며, 양측단 중 일측단에는 상기 랙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는, 상기 모듈 베이스에 배향하여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모듈 베이스에 설치된 피니언이 관통되어 전면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 가 형성되며, 양측단 중 일측단에는 상기 랙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커버의 양측단 중 타측단에는 랙의 반대편에서 상기 피니언을 접촉 지지하는 편심 방지턱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베이스의 양측단에는 상기 모듈 커버의 양측단이 끼워져 안내되는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듈 베이스의 중앙에는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18. 제 17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로파일은 상사점, 하사점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소정거리 단위로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과 열리는 방향으로 교번하여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로파일은 180° 주기로 상사점 및 하사점이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이 형성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고, 상기 천이시점은 슬라이딩 커버가 열릴 때와 닫힐 때 각각 두 번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21. 제 3항, 제 5항, 제 8항, 제 11항, 제 18항 및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이 상호 정합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정합용 샤프트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22. 제 3항, 제 4항, 제 8항 및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이 상호 정합되 도록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정합용 샤프트와,
    상기 액츄에이팅 캠, 슬라이딩 캠, 압축 스프링 및 정합용 샤프트를 내부에 수용하는 튜브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23. 제 1항, 제 6항 및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이 설치된 반대편에서 상기 피니언을 접촉 지지하는 편심 방지편이 더욱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24. 제 1항, 제 6항 및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랙, 이에 치합되는 피니언 및 피니언 구동수단은 각각 복수개 구비되어, 좌우편에 대칭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25. 제 2항, 제 4항, 제 7항, 제 10항, 제 17항 및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을 회전력으로 전환하여 상기 피니언에 전달하는 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26.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며,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27. 좌우 양측에 각각 조작키 등으로 이루어진 제 1조작부 및 제 2조작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면서 상기 제 1조작부 및 제 2조작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설치되며, 중앙에서 좌우로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28. 키패드가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전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커버와;
    상기 본체 또는 슬라이딩 커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모듈 베이스와;
    상기 모듈 베이스에 접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모듈 베이스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커버 또는 본체에 설치되는 모듈 커버와;
    상기 모듈 커버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랙과;
    상기 랙에 치합되도록 상기 모듈 베이스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모듈 베이스에 설치되며, 소정 거리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소정 거리 이외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피니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29. 제 26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수단은,
    상기 피니언의 축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로파일은 상사점, 하사점 및 원주방향을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을 연결하는 경사라인으로 형성 된 슬라이딩 캠과;
    프로파일이 상기 슬라이딩 캠의 프로파일과 대응하여 접하는 하사점, 상사점 및 경사라인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캠의 직선운동시 회전하면서 상기 피니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츄에이팅 캠과;
    상기 슬라이딩 캠을 액츄에이팅 캠이 설치된 방향으로 밀어주는 압축 스프링과;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이 상호 정합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팅 캠과 슬라이딩 캠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정합용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캠의 상사점 및 상기 액츄에이팅 캠의 상사점이 마주 접하는 순간을 상기 피니언에 다른 회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천이시점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20050023638A 2004-09-07 2005-03-22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0600445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1383 2004-09-07
KR1020040071383 2004-09-07
KR1020040085446 2004-10-25
KR20040085446 2004-10-25
KR1020040098161A KR20060022629A (ko) 2004-09-07 2004-11-26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20040098161 2004-11-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558A true KR20060044558A (ko) 2006-05-16

Family

ID=3714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638A KR20060044558A (ko) 2004-09-07 2005-03-22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이용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45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04B1 (ko) * 2005-08-29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304B1 (ko) * 2005-08-29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KR100661059B1 (ko) 휴대단말기슬라이드기구
JP4343817B2 (ja) スライディング及び回転タイプ携帯端末機のスライディング及び回転ヒンジ装置
KR100781996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 휴대 단말기
KR10071342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800843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KR20050095455A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100827112B1 (ko) 다중 토션 스프링 및 이를 채용한 반자동 슬라이딩 장치
KR100703151B1 (ko) 상하 및 좌우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060022629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060044558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용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068949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JP2009177343A (ja) ロータリアンドスライドタイプ携帯端末機用ヒンジ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端末機
KR1006192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
KR100703352B1 (ko) 돌출식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7499266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20035076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860678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12188B1 (ko)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1038930B1 (ko) 슬라이드타입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802554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프리스탑모듈
KR20037681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