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442A - Chopsticks - Google Patents

Chopstic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442A
KR20060044442A KR1020050022848A KR20050022848A KR20060044442A KR 20060044442 A KR20060044442 A KR 20060044442A KR 1020050022848 A KR1020050022848 A KR 1020050022848A KR 20050022848 A KR20050022848 A KR 20050022848A KR 20060044442 A KR20060044442 A KR 20060044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spoon
hinge
elastic memb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81909B1 (en
Inventor
소미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
Priority to PCT/KR2005/0009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004290A1/en
Publication of KR20060044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4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젓가락에 파지구를 부착하고, 그 상단부를 힌지로 연결한 젓가락에 있어서, 파지구는 링형상부재 또는 외측이 개방된 만곡된 호형상부재로 구성하고, 젓가락 상부의 힌지는 U자형 탄성 부재로 구성되거나, 탄성부재가 힌지 내부에 내재되어 젓가락이 탄성적으로 좌우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젓가락의 각각의 하단부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확장된 반쪽 숟가락 형상부재가 형성되어, 한 쌍의 젓가락을 서로 인접시키면 반쪽 숟가락 형상부재가 합쳐져서 숟가락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므로, 젓가락 용도와 아울러 숟가락 용도로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어서, 젓가락을 바꿔 잡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서, 사용성이 우수하고 교육효과도 탁월한 젓가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s, in which a chopstick is attached to a pair of chopsticks and hingedly connected to an upper end thereof, the gripper is composed of a ring-shaped member or a curved arc-shaped member of which the outside is opened. The hinge on the top of the chopsticks is composed of a U-shaped elastic member, or the elastic member is embedded in the hinge so that the chopsticks are elastically opened and closed, and each lower end of the chopsticks is formed with a half spoon-shaped member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When the pair of chopstick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half spoon-shaped members are combined to form a spoon, so that the chopsticks can be easily switched to a spoon as well as a spoon, thereby avoiding the trouble of changing the chopsticks. This excellent and educational effect can provide excellent chopsticks.

젓가락, 숟가락, 포크, 탄성부재, 교육 Chopsticks, spoon, fork, elastic member, education

Description

젓가락{CHOPSTICKS}Chopsticks {CHOPSTICK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by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힌지와 탄성부재의 구성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and the elastic member according to Figure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chopsti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chopsti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12, 21, 22, 23, 24, 25, 26 : 젓가락 11, 12, 21, 22, 23, 24, 25, 26: Chopsticks

13, 14, 15 : 파지구 16 : 힌지13, 14, 15: gripper 16: hinge

17a, 17b, 17c : 힌지 19, 19a : 탄성부재17a, 17b, 17c: hinge 19, 19a: elastic member

20 : 숟가락 형상부재 27 : 포크홈20: spoon shape member 27: fork groove

28 : 돌기 29 : 축28: projection 29: axis

30, 31 : 호형 돌출부재 32 : 돌출부30, 31: arc-shaped protrusion member 32: protrusion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젓가락, 숟가락 및 포크를 겸할 수 있고 각각의 젓가락을 파지하기 용이하고 조작이 간편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hopstick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opstick that can serve as a chopstick, a spoon and a fork, and is easy to hold and to hold each chopstick.

일반적으로 젓가락은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막대기 2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크기에 있어서는 어린이용으로 작은 것에서부터 튀김용으로 긴 것까지 그 크기 및 재료 등이 다양하다. 재료로는 금, 은, 스테인레스, 주석과 같은 금속에서부터 대나무, 능수버드나무 등이 나무 젓가락의 재료로 사용된다. In general, the chopsticks are generally composed of two round, oval square sticks. In addition, the size and materials vary from the small for children to the long for frying. The materials used are metals such as gold, silver, stainless, and tin, as well as bamboo and cane weeping wood.

예컨대, 2세 내지 3세 연령대의 유아들에게는 포크로 식사를 하도록 하고 그 이후에는 점차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하도록 해야 하지만, 대부분의 어린이들은 초등학교 취학전까지 포크를 사용하게 되며, 또한 그 이후에 젓가락을 사용한다고 하여도 외곡된 방법에 의해 젓가락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For example, children ages 2 to 3 should eat with a fork and gradually use chopsticks afterwards, but most children will use a fork until before elementary school, and then use chopsticks afterwards. Even if the chopsticks are used by the outgoing method in most cases.

실제 대림대 김필수 교수가 서울과 안양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만 21세~40세 성인남녀 252명(남자 131명, 여자 121명)을 대상으로 '젓가락질 능력'을 조사할 결과, 성인 중 62%가 젓가락질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fact, Professor Kim Pil-soo of Daelim University surveyed the chopsticking ability of 252 adult males (131 males and 121 females) aged 21-40 in Seoul and Anyang. Appeared to not do it correctly.

정상적으로 젓가락을 쓸 수 있는 성인은 38%에 불과했다. 성인의 절반 이상이 젓가락질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상태에서 어린아이들이 젓가락질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 지를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역시나, 같은 조사에서 초등생의 대다수가 젓가락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Only 38% of adults could use chopsticks. It's easy for anyone to know how young children are using chopsticks, with more than half of adults not having good chopsticks. Again, the same survey found that the majo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not using chopsticks properly.

김필수 교수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젓가락 사용법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20%의 어린이만이 젓가락질을 제대로 했고 80%에 이르는 어린이는 젓가락질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hen Kim Pil-soo conducted a survey on 50 students in 5th grade, he found that only 20% of children did chopsticks properly and 80% did not.

젓가락질은 손에 있는 64개의 근육과 30여개의 관절을 꾸준히 사용하게 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지능 발달은 물론 노년의 치매 예방에 이르기까지 요즘 웰빙 세대들이 추구하는 면모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홀대 받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젓가락문화는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차원에서라도 올바른 젓가락질을 다음 세대에게 전수해주어 지켜져야 하는 소중한 문화로 강조되고 있다. Chopsticks are being neglected today, despite the fact that well-being generations are pursuing today, from developing children's intelligence to preventing old age dementia by steadily using 64 muscles and 30 joints in their hands. However, most of all, chopsticks culture is emphasized as a precious culture that must be preserved by passing the correct chopsticks to the next generation, even in the inheritance of traditional cultur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아용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by chopsticks according to the prior art. 1 is developed to meet the above-mentioned need and described as follows.

젓가락(1, 2)에 파지구(3, 4, 5)를 부탁하고, 그 상단부를 힌지(6)로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젓가락(1, 2)의 파지구(3, 4, 5)에 손가락을 끼우고 흰지(4)를 중심으로 좌우 개폐되도록 구성하여, 올바른 자세로 젓가락(1, 2)을 파지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어린아이나 외국인 기타 젓가락 사용이 익숙하지 못한 사람들이 훈련용 또는 교정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The holding | gripping tools 3, 4, and 5 were attached to the chopsticks 1 and 2, and the upper end part was connected by the hinge 6, and it comprised. Accordingly, the fingers are inserted into the holding holes 3, 4, and 5 of the chopsticks 1 and 2, and the left and right openings and closings are made around the white paper 4, so that the chopsticks 1 and 2 can be held in the correct posture. By helping them, they are suitable for training or correctional use by young children, foreigners and those unfamiliar with the use of chopstick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젓가락(1, 2)은 파지구(3, 4, 5)가 링형상으로 제작 되므로, 손가락을 링형상 파지구(3, 4, 5)에 삽입하여 젓가락을 사용하다가 숟가락을 쥐기 위해 젓가락을 테이블에 내려 놓고자 하는 경우에, 손가락이 링형상의 파지구(3, 4, 5)에 끼워진 상태에서 잘 빠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hopsticks 1 and 2, since the grippers 3, 4, and 5 are manufactured in a ring shape, the chopsticks are inserted by inserting a finger into the ring shaped grippers 3, 4 and 5 while using a chopstick. In the case where the chopsticks are to be placed on the table for grasp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gers do not fall out well while being fitted into the ring-shaped grippers 3, 4 and 5.

따라서, 젓가락을 쥔 손만으로는 젓가락을 내려놓을 수 없어서, 다른 손으로 젓가락 몸체를 잡고 빼내게 되는 데, 이러한 동작은 번거롭다. 따라서 젓가락을 사용하면 숟가락의 사용을 꺼리게 되거나 또는 젓가락을 그대로 한 쪽 손가락에 낀 채로 다른 쪽 손, 예를 들어 오른손잡이의 경우에는 왼쪽 손으로 숟가락을 쥐고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최초의 의도와는 다르게 어린아이에게 반대쪽 손으로 숟가락을 쥐도록 하는 바람직스럽지 못한 버릇이 생기게 되는 등 교육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 hand holding the chopsticks alone can not put down the chopsticks, the other hand grasping the body of the chopsticks to take out, this operation is cumbersome. Therefore, the use of chopsticks may be reluctant to use the spoon, or the chopsticks may be held on one finger while the other hand, for example, the right hand, may be held with the left hand. Unlike the problem, it is difficult to achieve an educational purpose, such as an undesirable habit of causing a child to hold a spoon with the opposite han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젓가락을 사용하다가 숟가락을 쥐기 위해 젓가락을 내려놓을 필요없이 젓가락을 간단하게 숟가락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이 젓가락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 new structure that can be used to simply transform the chopsticks into spoons without having to put down the chopsticks to hold the spoon while using the chopsticks to provide chopsticks The purpose is to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젓가락의 파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젓가락을 용이하게 내려놓을 수 있고 아울러 젓가락이 적절한 탄성으로 좌우 개폐되므로 손가락 근육운동의 효과를 얻으면서도 젓가락이 손가락에서 잘떨어지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젓가락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easy to grasp the chopsticks, but also can easily put down the chopsticks, and chopsticks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with the right elasticity, so that the effect of finger muscle movement, the chopsticks do not fall well from the fingers It is in providing chopsticks.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젓가락, 숟가락 및 포크로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제작함으로써, 젓가락 하나만을 사용하여 포크 및 숟가락 모두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오른손 또는 왼손 등의 하나의 손을 이용하여 식사 및 간식시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젓가락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use as a chopsticks, spoons and forks, it is possible to utilize both fork and spoon using only one chopsticks, so that meals and snacks using one hand, such as right or left hand It is to provide the chopsticks that can be used for the city.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젓가락의 하부면, 또는 젓가락의 몸체 부분을 금속으로 하여 보다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고, 포크 및 숟가락으로 사용시에 보다 쉽게 찍고 떠 올릴 수 있도록 구성한 젓가락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opsticks configured to make the lower surface of the chopsticks, or the body portion of the chopsticks to be more durable, and to take and float more easily when using a fork and a spoon. It is.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젓가락에 파지구를 부착하고, 그 상단부를 힌지로 연결한 젓가락에 있어서, 파지구는 링형상부재 또는 외측이 개방된 만곡된 호형상부재로 구성하고, 젓가락 상부의 힌지는 U자형 탄성 부재로 구성되거나, 탄성부재가 힌지 내부에 내재되어 젓가락이 탄성적으로 좌우 개폐되도록 구성되며, 젓가락의 각각의 하단부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확장된 반쪽 숟가락 형상부재가 형성되어, 한 쌍의 젓가락을 서로 인접시키면 반쪽 숟가락 형상부재가 합쳐져서 숟가락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opsticks, in which a chopstick is attached to a pair of chopsticks and hingedly connected to an upper end thereof, the gripper is composed of a ring-shaped member or a curved arc-shaped member of which the outside is opened. The hinge on the top of the chopsticks is composed of a U-shaped elastic member, or the elastic member is embedded in the hinge so that the chopsticks can be opened and closed elastically, and each lower end of the chopsticks is formed with half spoon-shaped member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When the pair of chopstick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half spoon-shaped members are combined to form a spo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대략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은 필요한 경우에만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i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duplicate descriptions are made only when necessary.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도 2에 따른 힌지와 그 내부의 탄성부재의 구성을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보면, 한 쌍의 젓가락(11, 12)의 상단부를 힌지(16)로 서로 연결하여 이들 젓가락(11, 12)이 좌우 개폐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젓가락(11, 12)에는 파지구(13, 14, 15)를 삽입결합한다. 이 파지구(13, 14, 15)는 일측의 젓가락(12)에 삽입되는 제1 삽입링(17a)의 둘레에는 반원형, 즉 외측이 개방되어 만곡된 호형상으로 돌출시켜 구성된 검지용 파지구(13)가 돌출 구비된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and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and the elastic member ther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3B,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chopsticks 11 and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16 so that the chopsticks 11 and 12 are opened and closed. And the chopsticks (11, 12) is coupled to the holding grips (13, 14, 15). The grippers 13, 14, and 15 are semicircular, i.e., a gripper for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curved arc with the outer side being opened around the first insertion ring 17a inserted into the chopstick 12 on one side ( 13) is provided to protrude.

그리고, 제1 삽입링(17a)과 맞닿아 하부에 있으며, 별도로 움직이는 제2 삽입링(17b)의 둘레에는 원형의 중지용 파지구(14)가 돌출 구비된다. In addition, a circular stop gripper 14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insertion ring 17b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insertion ring 17a and moves downward.

타측의 젓가락(11)에 삽입되는 제3 삽입링(17c)의 둘레부에는 엄지용 파지구(15)가 외측이 개방되어 만곡된 호형상으로 돌출 구비된다. O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third insertion ring 17c inserted into the chopstick 11 on the other side, the thumb grip 15 for the thumb is opened to protrude in a curved arc shape.

호형상으로 도시된 검지용 파지구(13)와 검지용 파지구(15)는 손가락을 외측으로부터 이 파지구(13, 15)에 삽입하여 젓가락을 용이하게 젓가락(11, 12)으로부터 손가락을 분리할 수 있다. The detecting grippers 13 and the detecting grippers 15, which are shown in an arc shape, insert a finger into the grippers 13 and 15 from the outside to easily separate the fingers from the chopsticks 11 and 12. can do.

또한, 엄지용 파지구(15), 검지용 파지구(13) 및 중지용 파지구(14) 및 제1 내지 제3 삽입링(17a, 17b, 17c)은 각각 신축성을 갖는 합성고무 등의 고무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엄지용 파지구(15)와 이를 유지하는 제3 삽입링(17c) 또는 검지용 파지구(13) 및 중지용 파지구(14)를 지지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 삽입링(17a, 17b)중의 어느 한 쪽을 젓가락(11, 12)에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그 재질은 프라스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제1 및 제2 삽입링 (17a, 17b)은 검지용 파지구(13) 및 중지용 파지구(14)를 각각 유지하며, 또한, 검지용 파지구(13) 및 중지용 파지구(14)를 회전시켜 젓가락을 사용하는 사람의 손의 특성에 따라 손의 각도를 조절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엄지용 파지구(15)를 유지하는 제3 삽입링(17c)을 젓가락(11)에 고정시켜 구성하거나, 일체로 구성하여 보다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umb grip 15, the index finger grip 13, the stop grip 14, and the first to third insertion rings 17a, 17b, and 17c each have rubber materials such as synthetic rubber having elasticity. It can be configured as. Howev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rings 17a for supporting the thumb grip 15 and the third insertion ring 17c or the detection grip 13 and the stop grip 14 for holding the thumb 15 and the same. Since any one of 17b) can be integrally manufactured and fixed to the chopsticks 11 and 12, the material may be plastic.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rings 17a and 17b hold the detection gripping opening 13 and the stopping gripping opening 14, respectively, and further, the detection gripping opening 13 and the stopping gripping opening ( Since the angle of the hand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d of the person using the chopsticks by rotating 14), the third insertion ring 17c holding the thumb grip 15 is preferably fixed to the chopsticks 11. It can be made to be configured or integrally configured to improve the durability.

그리고, 각각의 제1 내지 제3 삽입링(17a, 17b, 17c)도 젓가락(11, 1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제1 내지 제3 삽입링(17a, 17b, 17c)이 고정되는 오목홈을 각각의 젓가락(11, 12)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의 제1 내지 제3 삽입링(17a, 17b, 17c)에 대응하게 일측에 구성하고 여기에 각각의 삽입링(17b, 17c, 17d)을 고정하여 삽입링(17a, 17b)이 회전하되 하부나 상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to third insertion rings 17a, 17b and 17c also has recessed grooves to which the first to third insertion rings 17a, 17b and 17c are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hopsticks 11 and 12, respective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opsticks (11, 12) of the first to third insertion ring (17a, 17b, 17c) corresponding to each side configured to fix the respective insertion ring (17b, 17c, 17d) Insertion ring (17a, 17b) is rotated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lower or upper.

한편, 젓가락(11, 12)의 힌지(16) 내측에는 탄성 스프링이 선스프링 또는 탄성합성수지부재 등으로 된 탄성부재(19)가 탄성적으로 개재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젓가락(11, 12)이 탄성부재(19)의 탄성력에 의해 적절하게 벌어지게 되며, 일정각도 이상은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파지구(13, 14, 15)에 끼워진 손가락이 탄성적으로 가압 밀착되므로 사용 중에 젓가락이 손가락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아울러, 손가락에 탄성력이 작용함으로 인해, 젓가락(11, 12)의 조작시에 탄성력에 반하는 힘으로 조작해야 하므로 손가락의 근육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어 아이들의 근육발달 및 이와 관련된 두뇌활동의 촉진 및 두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side the hinge 16 of the chopsticks 11 and 12, the elastic member 19, which the elastic spring is made of a line spring or an elastic synthetic resin member, is elastically interposed.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hopsticks 11 and 12 are properly ope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9, and is configured so as not to be open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refore, since the finger inserted into the grippers 13, 14, and 15 is elastically pressed closely, the chopsticks ar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fingers during use, and the elastic force acts on the fingers, thereby providing the chopsticks 11 and 12. Because of the manipulation of the force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operation of the muscles of the fingers will be naturally made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brain and the development of brain activity and related brain activity of children.

그리고, 젓가락(11, 12)의 하단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확장된 반쪽 숟가락 형상부재(20)가 구비된다. 이들 반쪽 숟가락 형상부재(20)는 젓가락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기능을 하지 않고, 도한 젓가락의 사용에 아무런 방해가 되지 않지만, 숟가락으로 사용하기 위해 이들 젓가락(11, 12)을 접어서 모으면, 합쳐서저 숟가락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숟가락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젓가락과 숟가락의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식사 중에 젓가락을 사용하다가 숟가락으로 바꿔 잡을 필요가 없게 되어 종래와 같이 숟가락으로 바꿔 잡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서, 젓가락 파지 훈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half spoon-shaped members 20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lower ends of the chopsticks 11 and 12 are provided. These half spoon-shaped members 20 do not perform any special functions when used for chopsticks, and do not interfere with the use of chopsticks. That spoon will form. Therefore, even without a separate spoon, can be used as a combination of chopsticks and spoon.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use the chopsticks during the meal while changing the spoon to avoid the hassle of switching to the spoon as in the prior art, chopstick grasp training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전술한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9)의 탄성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젓가락(11, 12)의 사용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젓가락(11, 12)이 손가락에 밀착되면서 적절한 정도의 손가락 근육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젓가락(11, 12)을 보관할 때, 한 쌍의 젓가락(11, 12)이 탄성부재(19)에 의해 서로 벌어져 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한 쌍의 젓가락(11, 12)이 서로 모이도록 접힌 상태에서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걸어 잠그는 별도의 잠금수단 또는 결속수단 등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19, the chopsticks 11 and 1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ingers while the chopsticks 11 and 1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exercise. In some cases, when the chopsticks 11 and 12 are stored, the pair of chopsticks 11 and 12 are arranged so that the pair of chopsticks 11 and 12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elastic member 19. Of course, it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locking means or binding means for locking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folded state to gather together.

내측의 탄성부재(19)의 중심부는 힌지(16)의 중심의 축(29)에 내삽되어 고정되고, 탄성부재의 양 다리부분은 축의 주면에 돌출된 각각의 호형 돌출부재(30, 31)가 형성하는 내측의 양 홈 내에서 이동한다. 즉, 손가락으로 힘을 가하여 젓가락(11, 12)을 하나로 합치면, 탄성부재(19)인 스프링의 한쪽 다리부분도 힌지(16)의 주변에 고정된 돌출부(32)에 걸려 내측으로 이완된다. 그리고 다시 손가락에 힘을 풀면, 젓가락(11, 12)을 모으고 있던 탄성부재(19)도 이완이 풀려 팽창하게 된 다. 그러나, 힌지(16)는 호형 돌출부재(29, 30)가 형성한 홈, 특히 하부에 형성된 홈의 내측에서만 이동하게 되므로, 그 동작범위는 홈의 각도 범위 내에서 동작하게 된다. 예컨대 홈의 범위는 10°도 내지 45° 범위 내에서 동작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30°로 유지한다.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elastic member 19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haft 29 of the center of the hinge 16, and both leg portions of the elastic member have respective arc-shaped protruding members 30 and 31 protruding from the main surface of the shaft. It moves in both grooves to form inside. That is, when the chopsticks 11 and 12 are joined together by applying a force with a finger, one leg of the spring, which is the elastic member 19, is also caught by the protrusion 32 fixed around the hinge 16 and relaxed inwardly. When the finger is released again, the elastic member 19, which was collecting chopsticks 11 and 12, is also loosened and expanded. However, since the hinge 16 is moved only inside the grooves formed by the arc-shaped protruding members 29 and 30, in particular, the groove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 operating range is operated within the angle range of the groove. For example, the range of the groove is allowed to operate within the range of 10 ° to 45 °, preferably maintained at 30 °.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일측의 젓가락(12)의 둘레에 구성된 제1 삽입링(17a)의 둘레의 일측에는 원형의 링형상으로 돌출시켜 구성된 검지용 파지구(13)가 돌출 구비된다. 그리고, 제2 삽입링(17b)의 둘레의 일측에는 원형의 링형상으로 된 중지용 파지구(14)가 돌출 구비된다. 타측의 젓가락(11)에 삽입되는 제3 삽입링(17c)의 둘레부에는 엄지용 파지구(15)가 원형의 링형상으로 돌출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ure 4,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insertion ring (17a) formed around the chopsticks 12 on one side is provided with a detecting grip 13 for protruding in a circular ring shape. Then, at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insertion ring 17b, a stopping gripping tool 14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ce of the third insertion ring 17c inserted into the chopstick 11 on the other side, the thumb grip 15 for the thumb is provided to protrude in a circular ring shap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opsti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숟가락 형상부재(20)의 각각의 내측의 단면부에 구성된 작은 원형의 돌기(28)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또는 작은 다수의 톱니모양의 돌기(28)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돌기들은 마찰력을 높여주어 젓가락으로 들어올리는 대상 음식물이 떨어지는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돌기(28)들은 젓가락(11, 12)이 합쳐져서 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숟가락 형상부재(20)들이 숟가락 모양을 형성하면, 숟가락의 결합력을 높여 주어 숟가락으로서의 역할도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small circular protrusions 28 formed on cross sections of each inner side of the spoon-shaped member 20 are formed to engage each other. Alternatively, a small number of jagged protrusions 28 may be configured to engage each other. The protrusions increase the friction and prevent the falling of foods that are lifted by the chopsticks. On the other hand, the projections 28, when the chopsticks (11, 12) is joined to each of the spoon-shaped member 20 formed at the end to form a spoon shape,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of the spoon to function as a spoon more effectively.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 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힌지(16)와 탄성부재(19) 대신에 "U"자형 탄성부재(19a)로 이루어져서, 젓가락(11, 12)이 이에 연결된 것이다. U자형 탄성부재(19a)가 중심이 되어 젓가락(11, 12)이 좌우 개폐될 수 있고, 이 U자형 탄성부재(19a)는 젓가락을 탄성적으로 좌우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도 2에서 설명한 힌지(16) 및 탄성부재(19)와 마찬가지로 일정각도 이상은 벌어지지 않도록 구성한다.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opsti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nstead of the hinge 16 and the elastic member 19 shown in FIGS. 2 to 3B, the U-shaped elastic member 19a is formed, and the chopsticks 11 and 12 are connected thereto. The U-shaped elastic member 19a is centered so that the chopsticks 11 and 12 can be opened and closed left and right, and the U-shaped elastic member 19a is to open and close the chopstick elastically. However, similarly to the hinge 16 and the elastic member 19 described in FIG.

상술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그 재질의 구성은 아이들이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힌지(16) 및 젓가락(11, 12)을 프라스틱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9a)이외의 구성은 도 2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In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the material is preferab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of the hinge 16 and the chopsticks 11 and 12 in consideration of children's use.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elastic member 19a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opsti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젓가락(21, 22)에서 힌지(16)를 제외한 부분을 금속 재질, 예컨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하고, 이를 힌지(16)로부터 확장된 부분에 구멍을 형성하고 끼워넣어 고정시켜 구성한다. 또는 젓가락(21, 22)을 힌지로부터 확장된 부분에 접착재 등으로 고정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젓가락(21, 22)의 단부는 합쳐져서 숟가락 형태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다시 그 각각의 젓가락(21, 22)의 단부가 각각 2개로 갈라지도록 포크홈(27)을 구성하여 젓가락(21, 22)을 합쳐 놓은 상태 또는 개별적으로도 포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러면, 젓가락 하나로 숟가락, 젓가락 및 포크의 모든 역할을 수 행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7, a portion of the chopsticks 21 and 22 except for the hinge 16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nd a hole is formed in the portion extended from the hinge 16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Configure. Alternatively, the chopsticks 21 and 22 may be fixed to an extended portion from the hinge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Then, the ends of the chopsticks 21 and 22 may be combined to form a spoon, and the fork groove 27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ends of each of the chopsticks 21 and 22 are divided into two, respectively. , 22) can be combined or individually to serve as a fork. The chopsticks can then perform all the roles of spoon, chopsticks and fork.

또한, 각각의 삽입링(17b, 17c, 17d)도 금속재질의 젓가락(21, 22)에 구성하고 금속재질의 젓가락(21, 22)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삽입링(17b, 17c, 17d)이 고정되는 오목홈을 젓가락(21, 22)의 외주면을 따라 구성한다. 또한, 젓가락의 외주면에 구성된 오목홈에 삽입링(17b, 17c, 17d)을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하여 삽입링(17a, 17b, 17c)이 회전하되 하부나 상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In addition, each of the insertion rings 17b, 17c, and 17d is formed in the metal chopsticks 21 and 22, and the insertion rings 17b, 17c, and 17d are fix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metal chopsticks 21 and 22. The recess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hopsticks 21 and 22. In addition, the insertion ring (17b, 17c, 17d) is fixed to the concave groov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opsticks to be rotatable so that the insertion ring (17a, 17b, 17c) rotates but does not escape to the bottom or top.

한편, 젓가락(11, 12)의 힌지(16) 내측에는 탄성 스프링이 선스프링 또는 탄성합성수지부재 등으로 된 탄성부재(19, 19a)가 탄성적으로 개재된다. 도면에서는 탄성부재(19)를 도시하였지만, 도 3에서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U자형 탄성부재(19a)로 사용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side the hinge 16 of the chopsticks 11 and 12, elastic members 19 and 19a, in which elastic springs are made of line springs or elastic synthetic resin members, are elastically interposed. Although the elastic member 19 is shown in the figure, it can be used as the U-shaped elastic member 19a as in the embodiment in FIG.

또한, 전술한 도 2 및 도 3에서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파지구(13, 14, 15)에 끼워진 손가락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밀착되도록 하고, 손가락의 힘이 작용하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부재(19, 19a)에 의해 반발력이 작용하므로 젓가락이 손가락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In addi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FIGS. 2 and 3, the fingers inserted into the grippers 13, 14, and 15 are elastically pressed to closely contact each other, and the elastic member ( The repulsive force is acted upon by 19, 19a) to prevent the chopsticks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fingers.

또한, 금속재질의 젓가락(21, 22)은 힌지(16)가 벌어지는 방향 이외에 유격이 발생하면 끝 부분의 숟가락 형상부재(20)에서는 포인트(point)가 맞지 않게 되어 완전한 숟가락을 형성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젓가락(21, 22)을 구성함에 있어서, 그 두께를 숟가락 형상부재(20)가 시작되기 전 또는 숟가락 형상부재(20)의 중간지점까지는 두껍게 구성하고 점차적으로 얇게 구성하여 약간의 유격이 발생해도 포인트가 맞아 숟가락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In addition, the metal chopsticks (21, 22) when the play occurs in the other than the hinge 16 opening direction, the point (point) does not fit in the spoon-shaped member 20 of the end is difficult to form a complete spoon. Therefore, in constructing the metal chopsticks 21 and 22, the thickness of the chopsticks 21 and 22 before the start of the spoon-shaped member 20 or to the middle point of the spoon-shaped member 20 is made thicker and gradually thinner to form a slight thickness. Even if a play occurs, the point is set so that a spoon can be formed.

또는 숟가락 형상부재(20)가 시작하는 부분을 깊게 구성하고 그 턱의 높이에 의해 걸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 Or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at the spoon-shaped member 20 may be configured to be deeply formed and caught by the height of the jaw.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hopsti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젓가락(23, 24, 26, 26)의 단부에 포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숟가락 형상부재(20)의 단부가 갈라지도록 구성하고, 또한, 재질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로 구성한다. 그러나,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다르게 힌지(16)로부터 삽입링(17b, 17c, 17d)을 수용하는 부분 및 바로 밑에까지 프라스틱 재질로 구성하고, 중간부분부터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로 구성하되, 삽입링(17b, 17c, 17d)을 수용하는 부분 밑에 끼워넣어 고정시키거나, 또는 접착재로 붙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8, as in the embodiment of FIG. 6, the end of the spoon-shaped member 20 is divided so that the end of the chopsticks 23, 24, 26, and 26 may be used as a fork. I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Figure 4 differently from the hinge 16 to the portion receiving the insertion ring (17b, 17c, 17d) and just below the plastic material, consisting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from the middle portion, the insertion The ring 17b, 17c, and 17d may be inserted under the portion for receiving and fixed, or may be bonded by an adhesive material.

삽입링(17a, 17b, 17c)이 젓가락(23, 24, 25, 26)의 프라스틱으로 구성된 젓가락 상부(23, 24)에 구성된 오목홈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한편,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파지구(13, 14, 15)가 프라스틱 부분에 구성되도록 한다. 프라스틱으로 구성된 젓가락 상부(23, 24)의 하부에 금속재질의 젓가락 하부(25, 26)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구를 구성한다. 그리고 프라스틱 젓가락(23, 24)의 하부에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로된 젓가락 하부(25, 26)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프라스틱 재질의 젓가락 상부(23, 24)에 젓가락 하부(25, 26)를 접착재로 고정시켜 구성한다. Insertion rings 17a, 17b, 17c are rotatably fixed to recesses formed in the chopsticks 23, 24 made of plastic of chopsticks 23, 24, 25, 26. As in the embodiment, the grippers 13, 14, 15 are configured in the plastic part. The lower portion of the chopsticks (23, 24) consisting of plastic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chopsticks (25, 26) of the metal material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the lower part of the plastic chopsticks (23, 24) by inserting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hopsticks (25, 26)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or the lower part of the chopsticks (25, 26) on the plastic chopsticks (23, 24) ) Is fixed with an adhesive.

그리고, 도 4에서의 구성에서와 같이 그 젓가락 하부(25, 26)의 단부는 합쳐 져서 숟가락 형상부재(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젓가락 하부(25, 26)의 단부가 각각 2개로 갈라지도록 포크홈(27)을 구성하여 젓가락 하부(25, 26)를 합쳐 놓은 상태 또는 개별적으로도 포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And, as in the configuration in Figure 4, the ends of the chopsticks bottom 25, 26 are joined to form a spoon-shaped member 20. Then, the fork groove 27 is configured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chopsticks lower portions 25 and 26 are divided into two, respectively, so that the lower portions of the chopsticks 25 and 26 are combined, or individually, to serve as forks.

또한, 각각의 삽입링(17b, 17c, 17d)도 금속재질의 젓가락 하부(25, 26)에 구성하고 금속재질의 젓가락 상부(23, 24)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삽입링(17a, 17b, 17c)이 고정되는 오목홈을 젓가락(21, 22)의 외주면을 따라 구성하여 여기에 삽입링(17a, 17b, 17c)을 고정하여 삽입링(17a, 17b, 17c)이 회전하되 하부나 상부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한다. In addition, each of the insertion rings 17b, 17c, and 17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etal chopsticks 25 and 26, and the insertion rings 17a, 17b, and 17c are not separat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etal chopsticks 23 and 24. The fixed concave groove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hopsticks 21 and 22 to fix the insertion rings 17a, 17b, and 17c therein so that the insertion rings 17a, 17b, and 17c rotate, but do not escape to the bottom or top. Don't let that happen.

한편, 젓가락(23, 24, 25, 26)의 힌지(16) 내측에는 탄성 스프링이 선스프링 또는 탄성합성수지부재 등으로 된 탄성부재(19, 19a)가 탄성적으로 개재된다. 도면에서는 탄성부재(19)를 도시하였지만, 도 3에서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U자형 탄성부재(19a)도 사용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side the hinge 16 of the chopsticks 23, 24, 25, 26, elastic members 19, 19a made of elastic springs such as line springs or elastic synthetic resin members are elastically interposed. Although the elastic member 19 is shown in the figure, the U-shaped elastic member 19a as in the embodiment in FIG. 3 can also be used.

또한, 금속재질의 젓가락(21, 22)은 힌지(16)가 벌어지는 방향 이외에 유격이 발생하면 끝 부분의 숟가락 형상부재(20)에서는 포인트(point)가 맞지 않게 되어 완전한 숟가락을 형성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금속재질의 젓가락(21, 22)을 구성함에 있어서, 그 두께를 숟가락 형상부재(20)가 시작되기 전 또는 숟가락 형상부재(20)의 중간지점까지는 두껍게 구성하고 점차적으로 얇게 구성하여 약간의 유격이 발생해도 포인트가 맞아 숟가락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In addition, the metal chopsticks (21, 22) when the play occurs in the other than the hinge 16 opening direction, the point (point) does not fit in the spoon-shaped member 20 of the end is difficult to form a complete spoon. Therefore, in constructing the metal chopsticks 21 and 22, the thickness of the chopsticks 21 and 22 before the start of the spoon-shaped member 20 or to the middle point of the spoon-shaped member 20 is made thicker and gradually thinner to form a slight thickness. Even if a play occurs, the point is set so that a spoon can be formed.

또는, 숟가락 형상부재(20)가 시작하는 부분을 깊게 구성하고 그 턱의 높이에 의해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spoon-shaped member 20 can be configured to be deeply formed and caught by the height of the jaw.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젓가락의 하단부에 반쪽 숟가락 형상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젓가락 용도와 아울러 숟가락 용도로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어서, 젓가락을 바꿔 잡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서, 사용성이 우수하고 교육효과도 탁월한 젓가락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having a half-spoon-shaped member at the lower end of the chopsticks, it is possible to easily switch between the use of chopsticks and spoons, to avoid the hassle of changing the chopsticks, and excellent in usability and education The effect can also provide excellent chopsticks.

또한, 본 발명은 검지용 파지구와 엄지용 파지구를 일측이 개방된 호형상부로 함으로써, 젓가락의 파지는 물론, 젓가락을 용이하게 내려 놓을 수 있으며, 아울러, 힌지부에 스프링작용을 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젓가락이 손가락에 적절하게 탄성 밀착되어 젓가락의 조작이 더욱 용이하고, 젓가락이 쉽게 손가락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손가락의 근육운동을 촉진하여 어린이들의 두뇌발달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olding the index finger grip and the thumb grip as an arc-shaped portion with one side open, the chopsticks can be easily held down, as well as an elastic member having a spring action on the hinge portion. By providing it, the chopsticks are properly elastic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fingers so that the chopsticks can be easily operated, and the chopsticks are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fingers. In addi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an promote the muscle movement of the finger can have a good effect on the brain development of children.

또한, 본 발명은 젓가락과 숟가락 및 포크 등을 하나로 구성하고, 숟가락을 형성하는 내측의 측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숟가락을 사용시에 숟가락이 잘 결합되어 숟가락으로서의 보다 효율적으로 기능하도록 하고, 또한, 마찰력을 높여 젓가락으로 잡은 음식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hopstick, a spoon, a fork and the like,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poon to form a spoon so that when the spoon is used, the spoon is well combined to function more efficiently as a spoon, Raise the chopsticks to prevent food from falling.

또한, 본 발명은 젓가락의 힌지 부분은 프라스틱으로 구성하고 젓가락의 몸체 부분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구성하여 포그 및 숟가락으로 사용시에 보다 얇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식사시에 먹을 것을 건지거나, 찍어 올릴 때에 효율적으로 건지거나 찍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portion of the chopsticks is made of plastic and the body portion of the chopsticks is made of metal such as stainless, so that it can be made thinner when used with a fog and a spoon, so that the food can be eaten at the time of eating or dipping more efficiently. When uploading, it can be effectively tucked or taken.

Claims (11)

상단부가 상호 연결된 한 쌍의 젓가락(11, 12)에 있어서, In a pair of chopsticks 11 and 12 whose upper ends are interconnected, 상기 젓가락(11)의 일측에 돌출하여 구성되는 원형의 엄지용 파지구(15)와; A circular thumb grip (15) configur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chopsticks (11); 상기 타측 젓가락(12)의 둘레에 돌출 구비되는 원형의 검지용 파지구(13) 및 상기 검지용 파지구(13)의 하부에 돌출 구비되는 원형의 중지용 파지구(14)와; A circular detecting gripping tool 13 protruding around the other chopstick 12 and a circular stopping gripping tool 14 protru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detecting gripping tool 13; 상기 젓가락(11, 12) 연결부의 힌지(16) 내부에 내재되어 젓가락(11, 12)이 탄성적으로 상기 힌지(16)의 동작 범위를 한정하여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개폐되도록 구성된 탄성부재(19)와; An elastic member 19 embedded in the hinge 16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hopsticks 11 and 12 so that the chopsticks 11 and 12 elastically limit the operating range of the hinge 16 to be opened and clos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Wow; 상기 젓가락(11, 12)의 각각의 하단부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한 쌍의 젓가락(11, 12)을 서로 인접시키면 숟가락을 형성하는 반쪽의 숟가락 형상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chopsticks (11, 12) extend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comprises a half-shaped spoon-shaped member 20 to form a spoon when the pair of chopsticks (11, 12) adjacent to each other Chopstick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젓가락(1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검지용 파지구(13)를 유지하는 제1 삽입링(17a)과; A first insertion ring (17a)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hopsticks (12) so as to be rotatable and holding the detection grip (13); 상기 젓가락(12)의 상기 제1 삽입링(17a)의 하부에 맞닿아 있고 삽입되어 있으며, 별도로 회동하며 상기 중지용 파지구(14)를 유지하는 제2 삽입링(17b)과;  A second insertion ring (17b) which is in contact with and is inserted in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ring (17a) of the chopstick (12) and rotates separately to hold the stopper (14); 상기 타측의 젓가락(12)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엄지용 파지구(15)를 유지하는 제3 삽입링(17c)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hird insertion ring (17c) is rotatably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other chopsticks (12) to hold the thumb grip (15).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의 힌지(16) 및 상기 탄성부재(19)를 대체하여 U자형 탄성부재(19a)를 이용하여 상기 젓가락(11, 12)을 연결하고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nnect and open and close the chopsticks (11, 12) using a U-shaped elastic member (19a) in place of the hinge (16) and the elastic member (19) of the connec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검지용 파지구(13) 및 엄지용 파지구(15)는 외측이 개방되어 만곡된 호형상으로 돌출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The detecting gripping tool 13 and the thumb gripping tool 15 are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is formed to protrude in a curved arc shap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검지용 파지구(13) 및 상기 중지용 파지구(14)와 이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 삽입링(17a, 17b)은 각각 신축성을 갖는 합성고무 등의 고무재질로 상기 젓가락(12)의 일측에 삽입하여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구성하고, 상기 엄지용 파지구(15)와 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타측의 젓가락(12)의 일측에 삽입 구성된 제3 삽입링(17c)은 상기 젓가락(11)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고정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The detecting gripping tool 13 and the stopping gripping tool 14 and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rings 17a and 17b holding the same are made of rubber material such as synthetic rubber having elasticity, respectively. Inserted to one side of the constituting the groov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third insertion ring (17c)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chopsticks (12) of the other side to maintain the thumb grip (15) for the chopsticks (11) ) And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grally manufactured and fixed.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젓가락(11, 12)은 프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 락. Chopsticks (11, 12) is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plastic material.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숟가락 형상부재(20)의 각각의 내측의 단면부에 구성된 작은 원형의 돌기(28)가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ll circular projections (28) formed on the inner cross-sectional portion of each of the spoon-shaped member 20 is formed to engage with each other.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힌지(16)로부터 확장된 부분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금속 재질의 젓가락(21, 22)을 끼워 넣어 고정시키거나 접착재로 고정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forming a hole in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hinge (16), the metal chopsticks (21, 22) is inserted into the hole or fixed with an adhesive material.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숟가락 형상부재(20)의 단부가 갈라지도록 포크홈(27)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fork groove 27 is configured so that the end of the spoon-shaped member 20 is divided.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금속재질의 젓가락(21, 22)은 그 두께를 숟가락 형상부재(20)가 시작되기 전 또는 숟가락 형상부재(20)의 중간지점까지는 두껍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Chopsticks (21, 22) of the metal material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 configuration before the start of the spoon-shaped member 20 or to the middle point of the spoon-shaped member (2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힌지(16)로부터 삽입링(17b, 17c, 17d)을 수용하는 부분까지 프라스틱 재질로 구성하고, 중간부터 금속재질로 삽입링(17b, 17c, 17d)을 수용하는 부분 밑에 끼워넣어 고정시키거나, 또는 접착재로 붙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The hinge 16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from the hinge portion 16b to the portion accommodating the insertion rings 17b, 17c, and 17d, and is inserted into the metal ring under the portion accommodating the insertion rings 17b, 17c, and 17d. , Or chopstick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bonded with an adhesive material.
KR1020050022848A 2004-03-31 2005-03-18 Chopsticks KR101081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0927 WO2006004290A1 (en) 2004-03-31 2005-03-30 Chopsti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346 2004-03-31
KR20040022346 200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442A true KR20060044442A (en) 2006-05-16
KR101081909B1 KR101081909B1 (en) 2011-11-09

Family

ID=3714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848A KR101081909B1 (en) 2004-03-31 2005-03-18 Chopstic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190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3328A (en) * 2013-08-01 2013-11-20 徐友新 Chopstick spoon
WO2018030782A1 (en) * 2016-08-12 2018-02-15 이근직 Tongs-shaped tool hand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73Y1 (en) 2012-07-13 2014-03-27 라온상사 주식회사 Hinge Device and Training Chopsticks having it
KR101339052B1 (en) * 2012-07-16 2013-12-10 주식회사 아이엔피 Chopsticks for child
KR101346822B1 (en) * 2012-07-16 2014-01-02 주식회사 아이엔피 Chopsticks for child
KR20140005315U (en) * 2013-04-04 2014-10-14 이원용 Integrated spo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3328A (en) * 2013-08-01 2013-11-20 徐友新 Chopstick spoon
WO2018030782A1 (en) * 2016-08-12 2018-02-15 이근직 Tongs-shaped tool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1909B1 (en)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1909B1 (en) Chopsticks
WO2006004290A1 (en) Chopsticks
US20080036226A1 (en) Tool for Catching and Supporting Food
US3795062A (en) Child{40 s hand trainer
JP3194983U (en) Training chopsticks
KR200420382Y1 (en) Chopsticks
KR102092594B1 (en) Chopsticks
CN211049026U (en) Children training chopsticks
CN204683239U (en) Food clamp device
KR101879436B1 (en) Easy-to-use chopsticks
KR200450867Y1 (en) Learning chopsticks
KR20140031605A (en) Chopstick for learning
KR200233444Y1 (en) Chopsticks for Pediatric Eating
JP7260136B2 (en) toy set
KR101012813B1 (en) A betterment type chopstics
KR100693015B1 (en) Chopsticks
CN209547714U (en) A kind of children for learning chopsticks
KR102035038B1 (en) Dining Tool integrated spoon and chopstick
TWM593215U (en) Children utensil
KR100362931B1 (en) Handgrip
KR20130105481A (en) Locking means having chopsticks
CN216418240U (en) Chopsticks for children
KR20110045457A (en) Glove to master the use of chopsticks
KR200419069Y1 (en) A health chopsticks
KR970005292Y1 (en) Chopsticks and spo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