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4221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4221A
KR20060044221A KR1020040092068A KR20040092068A KR20060044221A KR 20060044221 A KR20060044221 A KR 20060044221A KR 1020040092068 A KR1020040092068 A KR 1020040092068A KR 20040092068 A KR20040092068 A KR 20040092068A KR 20060044221 A KR20060044221 A KR 20060044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unction
manage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9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4221A/ko
Publication of KR20060044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2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관리방법은 a) 단문메시지 수신함에 저장된 단문메시지를 카테고리별로 볼 수 있는 카테고리별 보기 기능, b)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단문메시지를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개인 폴더를 추가할 수 있는 폴더 추가 기능, c)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 및 d) 수신된 단문메시지들의 발신 전화번호들 중 개인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되는 단문메시지의 발신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규칙 설정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름별 보기, 개인 폴더 추가, 검색 및 규칙 설정과 같은 옵션메뉴를 추가함으로써 수신된 단문 메시지 중 사용자가 원하는 단문 메시지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Short Messag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카테고리별 보기 기능의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카테고리별 보기 기능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개인 폴더 추가 기능의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개인 폴더 추가 기능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검색 기능의 순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검색 기능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규칙 설정 기능의 순서도이 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규칙 설정 기능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 외부신호형성부 220 : 메모리부
230 : 제어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디스플레이 구동부 260 : 무선주파수 처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률이 날로 증가되어 웬만한 사람이면 누구나 한 대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보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통상의 음성통화 서비스를 비롯하여, 날씨정보, 교통정보 등의 각종 생활정보서비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가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된 단문메시지들은 수신된 시간에 따라 자동적으로 정렬된다.
즉,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단문메시지가 수신되었다면 1번 단문 메시지가 가장 최근에 수신된 단문메시지이고, 4번 단문메시지가 가장 오래 전에 수신된 단문메시지이다.
이와 같은 정렬된 단문메시지들은 단문메시지의 일부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단문메시지 전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문메시지의 일부 내용을 보고 선택해야만 단문메시지의 전체 내용을 볼 수 있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단문메시지를 선택하면, 선택한 단문메시지의 전체 내용과 함께 수신된 시간, 메시지 내용, 연락받을 전화번호가 동시에 표시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은 수신된 전체 단문메시지들이 수신 시간에 따라 정렬되어 사용자에게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한 단문메시지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단문메시지를 하나하나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단문 메시지의 보안을 위하여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보기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볼 때 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신된 단문 메시지 중 사용자가 원하는 단문 메시지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관리방법은 a) 단문메시지 수신함에 저장된 단문메시지를 카테고리별로 볼 수 있는 카테고리별 보기 기능, b)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단문메시지를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개인 폴더를 추가할 수 있는 폴더 추가 기능, c)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 및 d) 수신된 단문메시지들의 발신 전화번호들 중 개인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되는 단문메시지의 발신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규칙 설정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신호형성부(210), 메모리부(220),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디스플레이 구동부(250) 및 무선주파수 처리부(260)를 포함한다.
외부신호형성부(210)는 키패드 또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단문메시지 수신함의 관리를 위한 각종 메뉴의 선택 및 각종 기능의 실행을 위한 외부신호를 형성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외부신호형성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한 카테고리(category)별 보기, 사용자의 개인 단문메시지를 보관하기 위한 개인 폴더의 추가,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검색 및 개인 폴더로의 단문메시지 이동을 위한 규칙 설정용 외부신호를 형성한다.
이 때, 카테고리별 보기는 수신된 단문메시지들이 발신자 이름의 철자순(ㄱ, ㄴ, ㄷ, ㄹ, ……, ㅎ 또는 a, b, c, d, ……, z)으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 폴더란 사적인 단문메시지나 보안이 필요한 단문메시지 등과 같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단문메시지를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폴더를 의미한다. 단문메시지의 검색이란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검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 폴더로의 단문메시지 이동을 위한 규칙 설정이란 수신된 단문메시지들의 발신 전화번호들 중 개인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되는 단문메시지의 발신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메모리부(220)는 파일영역 및 실행코드영역으로 구분되며, 파일영역에는 수신된 단문메시지, 수신된 문자발신자의 이름 및 해당 전화번호이 저장되며, 실행코드영역에는 본 발명을 위한 단문메시지 관리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110)로부터 출력된 외부신호에 따라 단문메시지 관리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카테고리별 보기, 개인 폴더의 추가,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검색 및 개인 폴더로의 단문메시지 이동을 위한 규칙 설정 과정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카테고리별 보기, 개인 폴더의 추가,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검색 및 개인 폴더로의 단문메시지 이동을 위한 규칙 설정 과정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카테고리별 보기, 개인 폴더의 추가, 수신된 단문메시지의 검색 및 개인 폴더로의 단문메시지 이동을 위한 규칙 설정 과정이 표시되도록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0)를 구동한다.
무선주파수 처리부(260)는 단문메시지가 실린 고주파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여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단문메시지를 제어부(230)로 전송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270은 보코더(vocorder)로서 데이터 패킷을 복호화하여 PCM(pulse code modulation) 음성 데이터 샘플로서 PCM코덱(미도시)으로 출력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80)로 출력하고, 마이크(290)와 PCM코덱(미도시)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PCM 음성 데이터 샘플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카테고리별 보기 기능의 순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카테고리별 보기 기능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입력된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로 하여금 단문메시지 수신함을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입력된 외부신호에 따라 도 4a와 같이 단문메시지 수신함에 대한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310).
이 때, 메뉴 항목은 단문메시지 수신함을 관리하기 위한 삭제, 모두 삭제, 전달 및 옵션 메뉴와 같은 항목이다. 메뉴 항목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설계 의도에 따라 더 늘어날 수도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옵션 메뉴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옵션메뉴 항목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320). 본 발명에서의 옵션메뉴 항목은 이름별 보기, 개인 폴더 추가, 검색 및 규칙 설정을 포함한다. 이 때, 이름별 보기는 단문메시지의 발신자의 이름 대신에 다른 카테고리별 보기로 대체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옵션 메뉴 중 이름별 보기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단문메시지 발신자의 이름을 읽어들여 철자순으로 정렬한 후 도 4c와 같이 철자순으로 정렬된 이름들이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330).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정렬된 이름들 중 특정 이름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도 4d와 같이 선택된 특정 이름으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메모리부(220)로부터 읽어들여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340).
이후,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선택된 특정 이름으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 중 특정 단문메시지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도 4e와 같이 선택된 특정 단문메시지 내용 전체를 메모리부(220)로부 터 읽어들여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를 제어한다(S35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카테고리별 보기 기능은 시간순으로만 정렬된 종래의 방법과는 다르게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별로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단문메시지를 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개인 폴더 추가 기능의 순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개인 폴더 추가 기능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230)는 S310 및 도 4a에서와 같이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입력된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단문메시지 수신함에 대한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510).
또한, 제어부(230)는 S320 및 도 4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옵션메뉴 항목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520).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옵션 메뉴 중 개인 폴더 추가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추가되는 개인 폴더의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530).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개인 폴더의 이름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230)는 입력된 이름에 해당하는 개인 폴더를 생성한다(S540). 예를 들어, 제어부(230)가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꾸러미’라는 개인 폴더의 이름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23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꾸러미’라는 메시지 수신함을 생성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생성된 개인 폴더의 잠금설정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하고 입력된 비밀번호를 메모리부(220)에 저장한다(S550).
이후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생성된 개인 폴더를 선택하기 위하여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S560) 일치할 경우에만 생성된 개인 폴더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S57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개인 폴더 추가 기능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특정 발신 전화번호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특정 발신 전화번호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보고자 할 때 전체 단문메시지를 볼 필요 없이 개인 폴더에 있는 단문메시지만을 보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검색 기능의 순서도이며,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검색 기능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230)는 S310 및 도 4a에서와 같이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입력된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단문메시지 수신함에 대한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710).
또한, 제어부(230)는 S320 및 도 4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옵션메뉴 항목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720).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옵션 메뉴 중 검색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검색어 및 검색 연산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730).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3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검색어 및 검색 연산자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230)는 도 8c와 같이 검색어와 검색 연산자에 해당하는 단문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수신함에서 검색하여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740).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검색 기능에 있어서, 사용되는 검색 연산자는 일치연산자 ‘ ’, and 연산자 & 및 or 연산자 띄어쓰기 이다.
예를 들어, ‘△△은행’이라는 검색 연산자와 검색어가 입력되면, △△은행이라는 검색어와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 단문메시지가 검색된다. 또한, △△&은행이라는 검색연산자와 검색어가 입력되면 △△과 은행이라는 검색어를 동시에 포함하는 단문메시지가 검색된다. 마지막으로 △△ 은행과 같이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인 △△과 은행 사이에 띄어쓰기가 이루어졌음으로 △△이나 은행 중 하나 이상 의 검색어가 포함된 단문메시지가 검색된다.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검색 기능은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에 비하여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단문메시지를 찾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규칙 설정 기능의 순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e는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규칙 설정 기능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230)는 S310 및 도 4a에서와 같이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입력된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단문메시지 수신함에 대한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910).
또한, 제어부(230)는 S320 및 도 4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옵션메뉴 항목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920).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옵션 메뉴 중 규칙 설정에 해당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30)는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이름과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50)를 제어한다(S930). 이 때,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이름과 전화번호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이름과 전화번호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230)는 외부신호형성부(210)로부터 표시된 이름과 전화번호 중 특정 이름 및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외부신호를 외부신호형성부(210)로 부터 입력받으면, 제어부(230)는 선택된 전화번호로부터 수신된 문자메시지를 단문메시지 수신함이 아닌 생성된 개인 폴더에 저장한다(S940).
예를 들어, 제어부(230)가 “강능률”이라는 이름을 선택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230)는 “강능률”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생성된 개인 폴더인 메시지 수신함:꾸러미에 이동시켜 저장하고 이후에 강능률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개인 폴더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중 규칙설정 기능은 사용자가 지정한 발신 전화번호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름별 보기, 개인 폴더 추가, 검색 및 규칙 설정과 같은 옵션메뉴를 추가함으로써 수신된 단문 메시지 중 사용자가 원하는 단문 메시지를 편리하고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방 법을 제공한다.

Claims (7)

  1. 단문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관리방법은,
    상기 단문메시지 수신함에 저장된 단문메시지를 카테고리별로 볼 수 있는 카테고리별 보기 기능,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특정 단문메시지를 별도로 보관하기 위한 개인 폴더를 추가할 수 있는 폴더 추가 기능, 입력된 검색어를 포함하는 단문메시지를 검색하는 검색 기능 및 수신된 단문메시지들의 발신 전화번호들 중 상기 개인 폴더로 이동되어 저장되는 단문메시지의 발신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규칙 설정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관리방법이 상기 카테고리별 보기 기능을 포함할 경우, 상기 카테고리별 보기 기능은 상기 단문메시지를 상기 단문메시지의 발신자 이름에 따라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관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관리방법이 상기 폴더 추가 기능을 포함할 경우, 상기 폴더 추가 기능은 사용자에 의하여 개인 폴더의 이름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관리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추가 기능은 상기 추가된 개인 폴더의 잠금 설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관리방법이 상기 검색 기능을 포함할 경우, 상기 검색 기능은 상기 검색어와 함께 검색 연산자를 입력하여 상기 검색어와 상기 검색 연산자와 일치하는 단문메시지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연산자는 일치 연산자, and 연산자 및 or 연산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관리방법이 상기 규칙 설정 기능을 포함할 경우, 상기 규칙 설정 기능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전화번 호 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전화번호가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특정 전화번호로부터 수신된 단문메시지를 상기 개인 폴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단문메시지관리방법.
KR1020040092068A 2004-11-11 2004-11-1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KR200600442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068A KR20060044221A (ko) 2004-11-11 2004-11-1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068A KR20060044221A (ko) 2004-11-11 2004-11-1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221A true KR20060044221A (ko) 2006-05-16

Family

ID=3714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068A KR20060044221A (ko) 2004-11-11 2004-11-1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42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418B1 (ko) * 2014-08-01 2016-02-01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지의 필터링 방법, 필터링 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 이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US9491281B2 (en) 2013-04-19 2016-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nchecked messages in a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1281B2 (en) 2013-04-19 2016-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nchecked messages in a terminal
KR101590418B1 (ko) * 2014-08-01 2016-02-01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지의 필터링 방법, 필터링 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 이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527B1 (ko) 전자 메시징 방법, 송신자 단말기, 수신자 단말기 및 전자메시징 시스템
US88985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application indicators on an electronic device
KR100689396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통화 내역 관리 장치 및 방법
US8341230B2 (en) Method for predicting messaging addresses for an electronic message composed on an electronic device
US8311511B2 (en) Data privacy 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P1324573A2 (en) Dynamic user menu
US8116745B2 (en) Method for displaying caller information of portable device
JPWO2006098012A1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216968A1 (en) A mobile device with enhanced telephone call information and a method of using same
KR100866229B1 (ko) 메시지 서비스에서 수신처 주소 입력 방법
WO2010013436A1 (ja) 携帯電話端末
EP1868092A1 (en) Mobile terminal
KR100621194B1 (ko)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KR2006004422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JP4860170B2 (ja) 情報通信端末、情報分類方法、及び、情報分類プログラム
CA2714529C (en) A method for predicting messaging addresses for an electronic message composed on an electronic device
KR10071334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폰북 데이터베이스에 전화번호를저장하는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11794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
KR20080038722A (ko) 전화번호 파싱 단말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60112563A (ko) 휴대폰에서의 일괄검색 서비스 방법
KR100650568B1 (ko) 성명검색발신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기
KR100662102B1 (ko) 메시지 전송 방법 및 메시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
KR2003007326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8006983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700280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수의 통화기록정보들 및 전화번호정보들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