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3133A - Throw-away tip and throw-away type rotary cutting tool - Google Patents

Throw-away tip and throw-away type rotary cutting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3133A
KR20060043133A KR1020050014937A KR20050014937A KR20060043133A KR 20060043133 A KR20060043133 A KR 20060043133A KR 1020050014937 A KR1020050014937 A KR 1020050014937A KR 20050014937 A KR20050014937 A KR 20050014937A KR 20060043133 A KR20060043133 A KR 20060043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tip
main cutting
tool
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28986B1 (en
Inventor
히사시 다이구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3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1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9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comb-type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높은 정밀도, 면 품위의 가공면을 얻는 동시에 절삭분이 잘 떨어지게 하여 한층 더 고속의 절삭을 꾀한다.A high precision, surface quality machining surface is obtained, and the cutting powder falls well, thereby achieving a higher speed cutting.

공구 본체 외주에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회전방향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는 팁의 주절삭날 (7) 을, 평면에서 보아 레이크면 (2) 의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볼록곡선형으로 하는 동시에, 플랭크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아도 그 일단 (7A) 에서 타단 (7B) 측을 향함에 따라 볼록굴곡되면서 착좌면측을 향하는 볼록 곡선형으로 하고, 공구 본체에 부착하는 상태에서, 레이크면 (2) 이 이루는 경사각을 일단 (7A) 에서 타단 (7B) 을 향하여 점차 작게 한 후에 커지도록 하고, 이 주절삭날 (7) 의 공구 회전축선 둘레 회전궤적의 투영선을, 그 중간부 (7C) 에서 이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 (P) 에 매끈하게 접하는 동시에 양단 (7A, 7B) 을 향함에 따라 이 원통면 (P) 의 내측을 향하는 볼록 원호형으로 한다.The main cutting edge 7 of the tip, which is attached to the tool body outer circumference so as to extend in the rearward direction in the rotational direction, has a convex curve that is convex outwardly of the rake surface 2 in plan view, and at the flank Even when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rake surface 2 is set to be convex curved toward the seating surface side while being convexly curved from one end 7A toward the other end 7B side. It becomes smaller gradually from one end 7A toward the other end 7B, and becomes large, and the projection line of the rotational track circumference of the tool rotation axis of this main cutting edge 7 is centered on this axis in the middle part 7C. The convex arc faces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surface P as it smoothly contacts the cylindrical surface P and faces both ends 7A and 7B.

Description

스로 어웨이 팁 및 스로 어웨이식 회전절삭 공구 {THROW-AWAY TIP AND THROW-AWAY TYPE ROTARY CUTTING TOOL}Throwaway Tips and Throwaway Rotary Cutting Tools {THROW-AWAY TIP AND THROW-AWAY TYPE ROTARY CUTTING TOOL}

도 1 은 본 발명의 팁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tip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팁의 측면도이다.FIG. 2 is a side view of the tip shown in FIG. 1. FIG.

도 3 은 도 1 및 도 2 에서의 ZZ 단면도이다.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ZZ in FIGS. 1 and 2.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단면도의 주절삭날 (7) 주변의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the periphery of the main cutting edge 7 of the cross-sectional view shown in FIG. 3.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팁을 부착한 본 발명의 회전절삭 공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It is a top view which shows one Embodiment of the rotary cutting tool of this invention with the tip shown in FIG.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회전절삭 공구의 측면도이다.FIG. 6 is a side view of the rotary cutting tool shown in FIG. 5. FIG.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회전절삭 공구의 정면도이다.FIG. 7 is a front view of the rotary cutting tool shown in FIG. 5. FIG.

도 8 은 도 1 에 나타내는 팁 부착상태에서의 주절삭날 (7) 의 회전궤적을 축선 (O) 을 포함하는 평면에 투영한 투영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figure which shows the projection line which projected the rotation trace of the main cutting blade 7 in the tip attachment state shown in FIG. 1 to the plane containing the axis line O. FIG.

도 9 는 도 6 에서의 (가) XX 단면, (나) YY 단면, (다) ZZ 단면에서의 팁 본체 (1) 의 단면도이다.FIG. 9: is sectional drawing of the tip main body 1 in (A) XX cross section, (B) YY cross section, and (C) ZZ cross section in FIG.

도 10 은 도 1 에 나타내는 팁을 부착한 회전절삭 공구에 의해 유효 절삭날 길이보다도 깊은 수직 가공면을 형성하는 경우, 주절삭날 (7) 의 회전궤적의 투영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projection line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main cutting edge 7, when the vertical cutting surface deeper than the effective cutting edge length is formed by the rotary cutting tool with the tip shown in FIG. 1.

도 11 은 도 1 에 나타내는 팁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분 (S) 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1 및 도 2 에서의 ZZ 단면에 상당하는 확대단면도이다.FIG. 11 shows the cutting powder S produced by the tip shown in FIG. 1, and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ZZ cross section in FIGS. 1 and 2.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팁 본체 2 : 레이크면1: tip body 2: rake surface

3 : 착좌면 (着座面) 4 : 플랭크3: seating surface 4: flank

4A : 제 1 플랭크 4B : 제 2 플랭크4A: First Flank 4B: Second Flank

4C : 구속면 4D : 제 3 플랭크4C: restraint plane 4D: third flank

5 : 부착구멍 6 : 코너칼날5: mounting hole 6: corner blade

7 : 주절삭날 7A : 주절삭날 (7) 의 일단7: Main cutting edge 7A: One end of the main cutting edge (7)

7B : 주절삭날 (7) 의 타단 7C : 주절삭날 (7) 의 중간부7B: other end of main cutting edge 7 7C: middle part of main cutting edge 7

8 : 부절삭날 9 : 오목면8: sub cutting edge 9: concave surface

11 : 공구 본체 13 : 팁부착자리11 tool body 13 tip mounting seat

C : 부착구멍 (5) 의 중심선 O : 공구 본체 (11) 의 회전축선C: center line of the attachment hole 5 O: axis of rotation of the tool body 11

P : 축선 (O) 둘레의 회전궤적에서 주절삭날 (7) 이 매끄럽게 접하는 원통면P: Cylindrical surface where the main cutting edge 7 smoothly contacts the rotational track around the axis O.

A : 주절삭날 (7) 의 투영선에서 일단 (7A) 이 원통면 (P) 에서 후퇴하는 후퇴량A: Retraction amount at which once 7A retreats from the cylindrical surface P on the projection line of the main cutting edge 7

B : 주절삭날 (7) 의 투영선에서 타단 (7B) 이 원통면 (P) 에서 후퇴하는 후퇴량B: Retraction amount at which the other end 7B retreats from the cylindrical surface P on the projection line of the main cutting edge 7

R : 주절삭날 (7) 의 투영선이 이루는 볼록원호의 반경R: Radius of the convex arc formed by the projection line of the main cutting edge 7

D : 회전절삭 공구의 절삭날 외경D: cutting blade outer diameter of rotary cutting tool

W : 레이크면 (2) 의 폭W: width of the rake face 2

α, β, γ: 레이크면 (2) 의 레이크각 (래이디얼 레이크각)α, β, γ: Rake angle of the rake face 2 (radial rake angle)

본 발명은 스로 어웨이식 회전절삭 공구 (이하, 간단히 회전절삭 공구라 함) 의 공구 본체에 부착되어 그 회전절삭 공구의 절삭날을 구성하는 스로 어웨이 팁 (이하, 간단히 팁이라 함) 및 이러한 팁을 부착한 회전절삭 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owaway tip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tip) attached to a tool body of a throwaway rotary cutting tool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rotary cutting tool) to constitute a cutting edge of the rotary cutting too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tached rotary cutting tool.

이러한 종류의 팁 및 회전절삭 공구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원통형 유지기 (공구 본체) 와 절삭 인서트 (팁) 를 갖는 회전식 밀링커터 (회전절삭 공구) 에 사용되는, 인서트의 레이크면과 플랭크 사이에 규정된 적어도 하나의 절삭가장자리 (주절삭날) 를 구비하고 있는 절삭 인서트에 있어서, 레이크면과 플랭크가 연속적으로 만곡되어, 그 결과 원통형 유지기에 관해 규정된 레이크각과 여유각, 즉 공구 본체에 부착하는 상태에서의 레이크각과 여유각이 절삭가장자리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불변인 절삭 인서트 및 회전식 밀링커터가 제안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발명자들도, 특허문헌 2 에서 레이크면의 각부(角部)에 형성된 노우즈(nose)부의 절삭날의 일단에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주절삭날이 노우즈부의 절삭날에 이어진 테이퍼 절삭날와, 그 테이퍼 절삭날의 노우즈부와 반대측 일단의 접합점에 이어진 완곡 절삭날을 가지며, 이 중 완곡 절삭날은 노우즈부를 선단 외측에 위치시키도록 그 팁을 공구 본체에 장착한 상태로 이 공구 본체의 회전축선을 중심축 선으로 하는 소정의 원통면 상에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테이퍼 절삭날은 이 완곡 절삭날로부터 노우즈부를 향함에 따라 원통면으로부터 그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팁, 및 그 팁을 장착한 회전절삭 공구를 제안하고 있다.As the tip and the rotary cutting tool of this kind, for example, the rake surface of the insert, which is used in a rotary milling cutter (rotary cutting tool) having a cylindrical holder (tool body) and a cutting insert (tip) in Patent Document 1, In a cutting insert having at least one cutting edge (major cutting edge) defined between the flanks, the rake face and the flank are continuously curved, resulting in a defined rake angle and clearance angle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retainer, ie the tool body. Cutting inserts and rotary milling cutters have been proposed in which the rake angle and the clearance angle in the attached state are substantially unaltered along the cutting edge length. Moreover, the inventors of this invention also have the taper cutting edge which the main cutting edge formed so that it may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utting edge of the nose part formed in the corner part of the rake surface in patent document 2, and A tool cutting edge connected to the junction of the opposite end of the tapered cutting edge, wherein the tool cutting edge has the tip of the tool body mounted on the tool body so that the nose portion is located outside the tip. The tapered cutting edge is formed so as to be included on a predetermined cylindrical surface having a central axis line, and the tip is formed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surface from the cylindrical cutting edge toward the nose, and the tip is mounted. A rotary cutting tool is proposed.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298414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298414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34716호[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334716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팁 및 회전절삭 공구에서는 상기 절삭가장자리가 만곡되고 또한 밀링커터에서의 인서트의 축방향 레이크각에 대응하는 각도에서 그 절삭가장자리의 회전표면을 구성하는 실린더에 교차되는 평면의 만곡측부 부분을 형성하게 되어 있어, 즉 회전절삭 공구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통면과 이것에 일정한 상기 축방향 레이크각을 이루어 교차되는 평면과의 교차능선 상에 위치하도록 주절삭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절삭날은 공구 본체가 부착된 상태에서 역시 일정한 상기 축방향 레이크각을 이루어 상기 평면을 따른 방향에서의 측면에서 보아 직선형을 나타내게 된다. 이 때문에, 주절삭날에 의해 생성된 절삭분은 레이크면에 달라붙으면서 흘러나오게 되어 절삭분이 잘 떨어지지 않아 절삭저항의 증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특히 알루미늄와 같은 연성이 높은 금속재료를 고속절삭하려고 하면, 주절삭날의 선단측 (특허문헌 2 에서의 노우즈부측) 에서 상기 원통면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재료가 잘 떨어지지 않는 절삭분에 당겨지듯이 뽑히게 됨으로써, 팁이 이 원통면을 넘어 외주측으로 들어가는 경향이 있어, 주절삭날의 회전궤적이 정확히 회전절삭 공구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통면이 되지 않고 오히려 가공면의 수직도를 손상시키는 결과가 된다.However, in the tip and rotary cutting tool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the cutting edge is curved and intersected with a cylinder constituting the rotating surface of the cutting edge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axial rake angle of the insert in the milling cutter. The main cutting edge is formed so as to form a curved side portion, i.e., the main cutting edge is positioned on an intersecting line between the cylindrical surface centered on the axis of rotation of the rotary cutting tool and the plane intersecting with this constant axial rake angle. As such, the main cutting edge is also linear in the axial rake angle which is also constant in the state where the tool body is attached, as viewed from the side in the direction along the plane. For this reason, the cutting powder produced by the main cutting edge flows out as it sticks to the rake surface, so that the cutting powder does not drop well, resulting in an increase in cutting resistance, and particularly when a high-speed cutting of a ductile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is performed. Since the material located outside the cylindrical surface is pulled out by the cutting powder, which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cylindrical surface at the tip side of the cutting edge (the nose portion side in Patent Document 2), the tip tends to ent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beyond the cylindrical surface,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main cutting edge is not exactly a cylindrical surface arou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rotary cutting tool, but rather results in damaging the perpendicularity of the machining surface.

그런데 이 점은,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팁 및 회전절삭 공구에 의하면, 상기 테이퍼절삭날이, 노우즈부를 향함에 따라 완곡 절삭날이 포함되는 상기 원통면으로부터 그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성이 높은 재료를 고속절삭하는 경우에도 팁 선단의 노우즈부에 대하여 외주측에 위치하는 재료가 다른 부분의 절삭분의 배출과 함께 당겨지듯이 뽑혀 칩 선단부가 외주측으로 들어가는 경향이 억제되어, 면 품위가 높은 수직 가공면을 절삭할 수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 2 에는 상기 완곡 절삭날을 공구 본체의 회전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하면서 노우즈부에서 떨어짐에 따라 팁 하면 (부착면) 과의 거리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기재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연성이 높은 금속에 대해서도 절삭분을 잘 제거하여 고속절삭할 수 있다.By the way, according to the tip and rotary cutting tool of patent document 2, since the said taper cutting edge is formed so that it may face inward from the said cylindrical surface containing a curved cutting edge as it faces a nose part, Even when cutting ductile materials at high speed, the material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with respect to the nose portion of the tip end is pulled out with the ejection of the cutting portion of the other portion, and the tendency of the chip tip to ent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is suppressed. High vertical machining surfaces can be cut. Moreover, this patent document 2 also describes that the said cutting edge is convex toward the rotation direction of a tool main body, and it forms so that distance from the tip part (adhering surface) may become small gradually as it falls from a nose part. The cutting powder can be removed well and the high speed cutting can be performed even on the highly ductile metal as described above.

그런데, 이들 특허문헌 1, 2 와 같이 회전절삭 공구의 공구 본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 상에 주절삭날이나 주절삭날 중 완곡 절삭날이 포함되도록 구성된 팁에서는, 예를 들어 그 팁이 공구 본체에 양호한 정밀도로 부착되지 않거나 하여 이 원통면 상에 완곡 절삭날이 정확하게 포함되지 않아, 완곡 절삭날의 상기 축선 둘레의 회전궤적을 이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투영한 투영선이, 그 완곡 절삭날이 포함되어야 할 원통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배치되면, 수직 가공면의 정밀도가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이렇게 하여 완곡 절삭날이 정확히 상기 원통면상에 포함되도록 배치되지 않으면, 예를 들어 주절삭날의 유효 절삭날 길이보다도 깊은 수직 가공면을 형성하는데 이 절삭날 길이분만큼 회전절삭 공구를 단계 적으로 그 회전축선방향 선단측으로 이동시켜 절삭하는 경우에는, 각 단에서 절삭되는 개개의 수직 가공면에는 높은 면 품위를 줄 수 있지만, 인접하는 수직 가공면끼리의 조인트에 단차가 눈에 띄게 되어, 절삭 후에 마무리 가공을 요하거나 하게 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절삭시에 공구 본체가 휘거나 하여 각 단의 절삭시에 완곡 절삭날이 포함되는 상기 원통면끼리가 일치하지 않게 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By the way, as for these patent documents 1 and 2, in the tip comprised so that a cutting edge of a main cutting edge or a main cutting edge may be included on the cylindrical surface centered on the tool main body rotation axis of a rotary cutting tool, for example, Since the circular cutting edge is not accurately included on the cylindrical surface without being adhered to the tool body with good precision, the projection line in which the rotational trajectory around the axis of the circular cutting edge is projected on the plane including this axis is the circular cutting. If the blade is disposed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surface to be included, there is a fear that the precision of the vertical machining surface is impaired. In particular, if the curving cutting edge is not arranged exactly on the cylindrical surface in this way, for example, it forms a vertical machining surface that is deeper than the effective cutting edge length of the main cutting edge. In the case of cutting by moving to the end side of the rotation axis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individual vertical machining surfaces cut at each end can be given high quality. However, the step is prominent in the joint between adjacent vertical machining surfaces. Later on, finishing or processing is required. This is also the case, for example, when the tool body is bent at the time of cutting and the cylindrical surfaces including the cutting edges at the time of cutting at each end do not coincide.

또한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팁에서는, 상기 완곡 절삭날과 테이퍼 절삭날이 그 접합점에서 각각의 접선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이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양 절삭날에 의해 형성된 절삭분이 접합점을 경계로 다른 방향으로 성장하여 서로 분리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완곡 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절삭분에 의해 노우즈부 외주측에 위치하는 재료가 한층 더 당겨지지 않게 할 수 있지만, 그 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완곡 절삭날이 정확히 상기 원통면에 포함되도록 배치되지 않거나 하면, 회전절삭 공구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절삭하였을 때 수직 가공면끼리의 조인트가 더 눈에 잘 띄게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 완곡 절삭날을 공구 본체의 회전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하면서 노우즈부에서 멀어짐에 따라 팁 하면 (부착면) 과의 거리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연성이 높은 금속에 대해서도 절삭분을 잘 제거하여 고속절삭하는 것도 특허문헌 2 에는 기재되어 있지만, 한층 더 고속으로 절삭할 수 있게 하기에는 추가적인 절삭분 제거의 향상이 기대된다.Further, in the tip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curved cutting edge and the tapered cutting edge are connected so that their tangents form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joint point, whereby the cutting powder formed by both cutting edges is in a different direction on the boundary of the joint point. It is easy to grow and separat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material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nose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further pulled out by the cutting powder formed by the curved cutting edge. If not disposed so as to be included in the cylindrical surface, there is a fear that the joint between the vertical processing surface is more noticeable when the rotary cutting tool is moved by cutting step by step. Also, by forming the curved cutting edge convex towar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ool main body,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surface (attachment surface) gradually decreases as the tip portion moves away from the nose portion. Patent Document 2 also discloses that the cutting powder is removed well and the high-speed cutting is performed. However, further improvement of the cutting powder removal is expected to enable cutting at a higher speed.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회 전절삭 공구를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깊은 수직 가공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개개의 가공면끼리의 조인트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고, 수직 가공면 전체로서 높은 정밀도나 면 품위를 얻을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절삭분 제거의 향상을 도모하여 한층 더 고속으로 절삭할 수 있는 팁 및 회전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under such a background, and even when the rotary cutting tool is moved in stages to form a deep vertical machining surface, the joints of the individual machining surfaces can be made inconspicuous, and the vertical machining is perform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p and a rotary cutting tool capable of achieving high precision and surface quality as a whole surface, further improving cutting removal and cutting at a higher speed.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팁은, 대략 다각형 평판상을 이루는 팁 본체의 일방의 다각형면에 레이크면이 형성되고, 이 레이크면의 각부에는 상기 일방의 다각형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호형을 이루는 코너칼날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코너칼날의 일단에 이어지는 상기 레이크면의 변릉(邊稜)부에는 상기 팁 본체의 측면을 플랭크로 하는 주절삭날이 형성되어 있고, 축선 둘레에 회전되는 공구 본체에, 상기 레이크면을 공구 회전방향을 향하게 하고, 상기 코너칼날을 상기 공구 본체의 선단 외주측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주절삭날이 그 공구 본체 외주에서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회전방향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는 스로 어웨이 팁으로서, 상기 주절삭날에 이어지는 레이크면은, 그 레이크면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한 착좌면이 되는 상기 팁 본체의 타방의 타단면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고, 그 상기 착좌면에 대한 경사각은, 그 주절삭날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는 한편, 상기 공구 본체에 부착하는 상태에서 그 레이크면이 이루는 레이크각을, 그 주절삭날 상기 일단에서 타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 후에 점차 커지게 되 어 있는 동시에, 상기 주절삭날은 상기 평면에서 보아 상기 레이크면의 외측에 볼록이 되는 볼록곡선 모양이 되는 동시에 상기 플랭크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아도 상기 코너칼날의 일단에 이어지는 일단에서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볼록굴곡되면서 상기 착좌면측을 향하는 볼록곡선 모양이 되고, 상기 부착상태에서, 이 주절삭날의 상기 축선 둘레 회전궤적의 투영선은, 그 중간부에서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에 매끄럽게 접하는 동시에 양단을 향함에 따라 이 원통면의 내측을 향하는 볼록원호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절삭공구는, 이러한 팁을,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공구 본체에, 상기 레이크면을 공구 회전방향을 향하게 하여 상기 코너칼날을 상기 공구 본체의 선단 외주측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주절삭날이 그 공구 본체 외주에서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회전방향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by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ti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ke surface is formed on one polygonal surface of the tip body forming a substantially polygonal flat plate shape, each of the rake surface is formed on the one polygonal surface Corner blades forming a substantially arc shape when viewed from opposite planes are formed, and a major cutting blade flanked by the side of the tip body is formed at the convex part of the rake surface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rner blade. The rake face in the tool rotational direction, the corner blade is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tip of the tool body, and the main cutting edge is the rear end side of the tool main body. A throwaway tip attached so as to extend toward the rear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oward the surface, wherein the rake surface following the main cutting edge is The inclined surface is directed toward the other end surface side of the tip main body, which is the seating surface with respect to the tool body, toward the inside of the large surface, and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is the other end from the one end of the main cutting edge. The rake angle formed by the rake surface in the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tool main body becomes gradually smaller as it faces toward the other end from the one end of the main cutting blade, and then gradually increases. The main cutting blade is convex curve shape that becomes convex on the outer side of the rake face when viewed in the plane and at the same time as seen from the side facing the flank, while being convexly curved toward one end from the one end of the corner blade. It becomes convex curve shape toward a seating surface side, and, in the said attachment state, of the said axis | shaft circumference rotational track of this main cutting blade The projection line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onvex arc shape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surface smoothly in contact with both ends thereof while smoothly contacting the cylindrical surface centered on the axis line at the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Moreover, the cutting tool of this invention places this tip in the tool main body rotated about an axis line, and makes the said rake surface face a tool rotation direction, and arrange | positions the said corner blade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front-end | tip of the said tool main body, and the said main cutt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de is attached so as to extend toward the rear side in the rotation direction as it faces the rear end side from the tool body outer periphery.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The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팁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 내지 도 9 는 이 실시형태의 팁을 부착시킨 본 발명의 회전절삭 공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팁은, 그 팁 본체 (1) 가 초경합금 등의 경질재료에 의해 개략 사각형,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로로 긴 개략 평행사변형의 평판상을 이루고, 그 일방의 평행사변형면의 외주측에 레이크면 (2) 이 형성되는 동시에 타방의 평행사변형면은 상기 회전절삭 공구의 후술하는 공구 본체에 대한 착좌면 (3) 이 되며, 또한 4개의 측면에는 플랭크 (4)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이크면 (2) 과 이들 플랭크 (4) 의 교차능선부에 절삭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쌍방의 평행사변형면의 중앙에는, 팁 본체 (1) 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단면이 원형인 부착구멍 (5) 이 개구되어 있고, 착좌면 (3) 은 이 부착구멍 (5) 의 중심선 (C) 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이 일치하는 평탄면이 되는 동시에, 팁 본체 (1) 자체는 이 중심선 (C) 둘레에 180°회전대칭형상으로 되어 있다.1 to 4 show one embodiment of the ti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9 show one embodiment of the rotary cutt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tip of this embodiment attached. As for the tip of this embodiment, the tip main body 1 is formed by the hard material, such as a cemented carbide, and forms the flat quadrangular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ogram more specifically, and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one parallelogram surface. While the rake surface 2 is formed, the other parallelogram surface becomes the seating surface 3 with respect to the tool body described later of the rotary cutting tool, and flanks 4 are formed on the four side surfaces, and the rake A cutting edge is formed in the cross ridge of the surface 2 and these flanks 4. Moreover, the attachment hole 5 which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which penetrates the tip main body 1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opened in the center of both parallelogram surfaces, and the seating surface 3 has the The surface extend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C becomes a flat plane coinciding with the tip body 1 itself, and the tip main body 1 itself has a 180 ° rotationally symmetrical shape around the center line C. As shown in FIG.

상기 레이크면 (2) 외주의 각부 중 상기 일방의 평행사변형면의 예각단부분에 위치하는 각부에는 상기 중심선 (C) 방향으로 이 일방의 평행사변형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 1/4 인 대략 볼록원호형을 이루는 코너칼날 (6) 이 상기 절삭날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코너칼날 (6) 의 일단 (6A) 에 이어지는 레이크면 (2) 의 변릉부에는 상기 일방의 평행사변형면의 긴 변 부분을 따르도록 하여 주절삭날 (7) 이 절삭날로서 형성되는 동시에, 코너칼날 (6) 의 타단 (6B) 에는 상기 일방의 평행사변형면의 짧은 변 부분을 따르도록 부절삭날 (8) 이 역시 절삭날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주, 부절삭날 (7, 8) 은 코너칼날 (6) 과 각각 그 양단 (6A, 6B) 에서 서로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이들 코너칼날 (6) 및 주, 부절삭날 (7, 8) 에는 각각의 절삭날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중심선 (C) 에 수직이 되는 폭이 매우 작은 랜드가 형성되어 있다.An angle part located at an acute end of the parallelogram surface of one of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rake surface 2 is shown in FIG. 1 as viewed in a plane opposite to this one parallelogram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C). An approximately convex arc-shaped corner blade 6, which is about 1/4, is formed as the cutting edge. The main cutting edge 7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rake surface 2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6A of the corner blade 6 so as to follow the long side portion of the one parallelogram surface. At the same time, at the other end 6B of the corner blade 6, the subcutting edge 8 is also formed as a cutting edge so as to follow the short side portion of the one parallelogram surface, and these main and subcutting edges 7, 8 is smooth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corner blades 6 and at both ends 6A and 6B, respectively. These corner blades 6 and the major and secondary cutting edges 7 and 8 are formed with lands having a very small width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C in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spective cutting edges.

여기서, 상기 부절삭날 (8) 의 코너칼날 (6) 의 타단 (6B) 에 이어지는 부분은, 상기 평면에서 보아 팁 본체 (1) 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직선형이 되는 동시에 코너칼날 (6) 과 함께 중심선 (C) 에 수직인 하나의 평면 상에 연장되게 되어 있다. 또, 이 부분과는 반대인 상기 일방의 평행사변형면의 둔각단부분에 위치하 는 각부를 향하는 부분은, 이 각부를 향함에 따라 상기 평면에서 보아 팁 본체 (1) 의 내측에 오목굴곡되도록 패인 후, 역시 팁 본체 (1) 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그 각부에 도달하게 되고, 또한 그 부절삭날 (8) 에 이어지는 플랭크 (4) 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아 이 둔각단각부(鈍角端角部)를 향해 상기 하나의 평면으로부터 볼록 곡선을 그리면서 착좌면 (3) 측을 향하도록 후퇴한 후, 그 둔각단각부 함께 이 하나의 평면보다도 착좌면 (3) 측에 위치하는 중심선 (C) 에 수직인 다른 하나의 평면상에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둔각단각부도 상기 평면에서 볼 때에는 약 1/4 의 대략 볼록원호형으로 되어 있다.Here, the part following the other end 6B of the corner blade 6 of the sub cutting edge 8 becomes a straight lin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p main body 1 in the plane and at the same time the corner blade 6 and Together it extends on one plane perpendicular to the centerline C. Moreover, the part facing the corner part located in the obtuse end part of the said parallelogram surface opposite to this part is recessed so that it may be concave-curved inside the tip main body 1 by planar view toward this corner part. Afterwards, the obtuse angle portion (鈍角 端) is also extended from the side facing the flank (4), which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p body (1) and reaches the subcutting edge (8). After retreating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side while drawing a convex curve from said one plane toward the back part, the centerline C located at the seating surface 3 side more than this one plane with the obtuse angle part. It extends on the other plane perpendicular to). In addition, this obtuse angle portion also has a substantially convex arc shape of about 1/4 when viewed in the plane.

한편, 상기 주절삭날 (7) 은, 상기 평면에서 보아 상기 레이크면 (2) 의 외측, 즉 팁 본체 (1) 의 외측에 볼록해지는 완만한 볼록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플랭크 (4) 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아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너칼날 (6) 의 일단 (6A) 에 이어지는 그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에서 상기 둔각단각부에 위치하는 타단 (7B) 측을 향함에 따라 완만하게 볼록굴곡되면서 착좌면 (3) 측을 향하는 볼록곡선형으로 되어 있다. 또, 이 주절삭날 (7) 의 임의의 한 점에서 그 주절삭날 (7) 이 평면에서 보아 이루는 볼록곡선의 곡률 반경은 주절삭날 (7) 이 측면에서 보아 이루는 볼록곡선의 이 한 점에서의 곡률 반경보다도 커져, 즉 주절삭날 (7) 은 어느 부분에서도 평면에서 본 볼록곡선이 측면에서 본 볼록곡선보다도 완만해지고, 또한 이들 곡률 반경은 상기 코너칼날 (6) 이 평면에서 보아 이루는 볼록원호의 반경보다도 충분히 크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utting edge 7 is formed in a smooth convex curve which is convex on the outer side of the rake face 2, that is, on the outer side of the tip main body 1 in the plan view, and at the same time the main cutting edge ( As shown in FIG. 2, in the side opposite to the flank 4 following 7), the obtuse angle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7A of the main cutting edge 7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6A of the corner blade 6. As it faces toward the other end 7B to be located, it becomes convexly curved, and becomes convex curve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side. Further, at any one point of the major cutting edge 7,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nvex curve formed by the main cutting edge 7 in plan view is one of the points of the convex curve formed by the main cutting edge 7 in the side view. Larg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at, i.e., the major cutting edge 7 becomes smoother than the convex curve seen from the side in the convex curve viewed from the plane at any part, and these curvature radii are the convex angles formed by the corner blade 6 in the plane view. It is larger than the radius of an arc.

그리고, 이들 코너칼날 (6) 및 주, 부절삭날 (7, 8) 에 이어지는 상기 레이크면 (2) 은, 평면에서 보아 레이크면 (2) 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좌면 (3) 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이 내측을 향하는 방향에서의 레이크면 (2) 의 착좌면 (3) 에 대한 경사각은 대략 일정하게 되며, 따라서 그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절삭날 (코너칼날 (6), 주, 부절삭날 (7, 8)) 에 교차하는 단면에서는, 레이크면 (2) 은 착좌면 (3) 측으로 경사진 대략 직선상을 나타내게 된다. 단, 이 중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레이크면 (2) 은 그 착좌면 (3) 에 대한 경사각이 그 주절삭날 (7) 의 상기 일단 (7A) 에서 타단 (7B) 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게 되어 있으며, 게다가 그 감소율은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에서 타단 (7B) 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 후 도중에 점차 커지게 되어 있다. 또, 팁 본체 (1) 의 표면 중 적어도 이 레이크면 (2),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방의 평행사변형면 전체에는 래핑 마무리가 실시되어 있다.And the said rake surface 2 connected to these corner blades 6 and the main and sub cutting edges 7 and 8 is shown to FIG. 3 and FIG. 4 as it goes inward of the rake surface 2 by planar view. As described above, the inclined surface is set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side,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ake surface 2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3 in the inwardly facing direction becomes substantially constant, and thus along the direction toward the inner side. In the cross section which intersects a cutting edge (corner blade 6, main cutting edge 7, 8), the rake surface 2 will show the substantially linear shape inclined to the seating surface 3 side. However, among these, the rake surface 2 which follows the main cutting edge 7 has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3 toward the other end 7B from the said one end 7A of the main cutting edge 7. It becomes smaller gradually, and furthermore, the reduction rate becomes smaller gradually as it goes down toward the other end 7B from the one end 7A of the main cutting blade 7, and becomes larger gradually on the way. Moreover, lapping finishing is given to at least this rake surface 2 of the surface of the tip main body 1, Preferably the said one parallelogram surface whole.

또, 이렇게 경사면으로 된 레이크면 (2) 의 더 내측에는, 단면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대략 직선형이 된 이 경사면으로부터,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경사면이 이루는 직선에 둔각으로 교차하여 그 경사면에 대하여 상기 착좌면 (3) 측에 오목한 단면 오목원호형의 오목면 (9)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면 (9) 은 평면에서 보아 레이크면 (2) 이 형성되는 팁 본체 (1) 의 상기 일방의 평행사변형면의 평면에서 본 외주형상을 대략 전체적으로 작게 한 형상치수로 레이크면 (2) 의 내측에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단면에서의 레이크면 (2) 과의 교점으로부터의 깊이가 대략 일정해지도록 절삭날의 중심선 (C) 방향에서의 요 철이나 레이크면 (2) 의 기복에 맞추어 둘레에 그 중심선 (C) 방향으로 기복되면서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Moreover, in this inward direction of the rake surface 2 which became the inclined surface, from this inclined surface whose cross section became substantially linear as mentioned above, as shown in FIG. 4, it crosses at an obtuse angle to the straight line which this inclined surface forms, and to the inclined surface. On the seating surface 3 side, a concave surface 9 of concave cross-sectional concave arc shape is formed. This concave surface 9 has a shape dimension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hape seen from the plane of the one parallelogram surface of the tip main body 1 in which the rake surface 2 is formed in plan view is made generally small. It is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ide, so that the depth from the intersection with the rake surface 2 in the cross section is approximately constant, so that the undulations of the unevenness and the rake surface 2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C of the cutting edge are fixed. It is formed so as to be continuous while undulating in the centerline (C) direction around it.

이러한 오목면 (9) 중 주절삭날 (7) 을 따른 부분은 그 주절삭날 (7) 과 대략 등간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이 오목면 (9) 과의 사이에 있는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레이크면 (2) 의 폭 (중심선 (C) 에 수직인 평면을 따른 폭 ; W) 은 양단 (7A, 7B) 주변을 제외하고 대략 일정해진다. 또, 이 주절삭날 (7) 을 따른 부분에서는 오목면 (9) 의 폭도 대략 일정해진다. 또한, 이 일정해진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레이크면 (2) 의 폭 (W) 은 0.5㎜∼0.8㎜ 정도로 좁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0.6㎜ 로 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코너칼날 (6) 및 여기에 이어지는 부분의 부절삭날 (8) 내측의 레이크면 (2) 및 오목면 (9) 의 폭은 주절삭날 (7) 의 내측부분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오목면 (9) 보다도 내측은 일단 융기된 후에 중심선 (C) 방향에서 주절삭날 (7) 의 양단 (7A, 7B) 사이에 위치하는 그 중심선 (C) 에 수직인 평면상의 보스면 (10) 으로 되어 있으며, 부착구멍 (5) 은 그 상기 일방의 평행사변형면측의 개구부가 이 보스면 (10) 내에 형성되어 있다.The part along the main cutting edge 7 of this concave surface 9 is formed to extend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with the main cutting edge 7, and thus the main cutting edge between the concave surface 9 ( The width of the rake face 2 (width along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C; W) following 7) becomes substantially constant except around both ends 7A and 7B. Moreover, in the part along this main cutting edge 7, the width | variety of the concave surface 9 also becomes substantially constant.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 of the rake surface 2 which follows this fixed main cutting edge 7 becomes narrow about 0.5 mm-0.8 mm, and is 0.6 mm in this embodiment. On the contrary, the width of the rake surface 2 and the concave surface 9 inside the corner cutting edge 6 and the subcutting edge 8 of the portion subsequent thereto is larger than the inner portion of the main cutting edge 7. Then, the inner side of the concave surface 9, once raised, is a planar boss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line C located between both ends 7A, 7B of the main cutting edge 7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C. The attachment hole 5 is formed in this boss surface 10 with an opening on one side of the parallelogram surface.

한편, 팁 본체 (1) 의 측면에 형성되는 플랭크 (4) 는 팁 본체 (1) 의 전체둘레에 걸쳐 상기 절삭날 (6∼8) 에서 착좌면 (3) 에 이르는 중간에 칩 본체 (1) 의 외측을 향해 경사지거나 볼록해지거나 하는 일이 없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중, 상기 코너칼날 (6) 및 부절삭날 (8) 에 이어지는 플랭크 (4) 는 팁 본체 (1) 의 둘레 방향에는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요철 굴곡 되는 이들 코너칼날 (6) 및 부절삭날 (8) 의 형상에 맞추어 요철굴곡되는 한편, 그 코너칼날 (6) 및 부절삭날 (8) 로부터 착좌면 (3) 을 향한 방향에서는 칩 본체 (1) 의 내측을 향해 점차 후퇴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lank 4 formed on the side of the tip main body 1 has the chip main body 1 in the middle from the cutting edges 6 to 8 to the seating surface 3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tip main body 1. It is a shape which does not incline or become convex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Among them, the flanks 4 connected to the corner blades 6 and the sub-cutting blades 8 are those corner blades 6 which are unevenly cur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p body 1 as described above when viewed in the plane. ) And uneven bending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sub cutting edge 8, and gradually toward the inside of the chip body 1 in the direction from the corner blade 6 and the sub cutting edge 8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It is the inclined surface which retreats.

이에 반하여, 상기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플랭크 (4) 에는, 그 주절삭날 (7) 측에 그 주절삭날에 이어져 착좌면 (3)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후퇴하도록 경사지는 제 1 플랭크 (4A) 와, 이 제 1 플랭크 (4A) 의 착좌면 (3) 측에 이어져 그 제 1 플랭크 (4A) 보다도 큰 경사각으로 점차 후퇴하도록 경사지는 제 2 플랭크 (4B) 가, 주절삭날 (7) 의 상기 일단 (7A) 에서 타단 (7B) 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 1, 제 2 플랭크 (4A, 4B) 에 의해 이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플랭크 (4) 의 주절삭날 (7) 측에는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좌면 (3) 측에 대하여 외주측으로 한 단 돌출되는 단부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이들 제 1, 제 2 플랭크 (4A, 4B) 는, 주절삭날 (7) 을 따른 방향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그 주절삭날 (7) 이 이루는 상기 완만한 볼록곡선에 맞춰 팁 본체 (1) 의 외측으로 완만하게 볼록해지는 볼록곡면상이 되고, 그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에서 타단 (7B) 을 향함에 따라 각 경사각이 점차 커지도록, 즉 일단 (7A) 측보다도 타단 (7B) 측이 보다 큰 경사로 착좌면 (3) 측을 향해 팁 본체 (1) 의 내측으로 후퇴하게 되어 있다.On the contrary, in the flank 4 which follows the said main cutting blade 7, the 1st which inclines so that it may retreat gradually on the main cutting blade 7 side to the seating surface 3 side following the main cutting blade. The flank 4A and the second flank 4B, which is connected to the seating surface 3 side of the first flank 4A and gradually retracts at an inclination angle larger than the first flank 4A, are the main cutting edges ( The main cutting edge of the flank 4 which is formed from the said one end 7A to the other end 7B of 7), and continues to this main cutting edge 7 by these 1st, 2nd flanks 4A and 4B. As shown in FIG.3 and FIG.4, the edge part which protrudes one step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3 side is formed in the (7) side. Here, these 1st, 2nd flanks 4A and 4B are the tip main body 1 according to the said gentle convex curve which the main cutting edge 7 forms by planar view in the direction along the main cutting edge 7 here. It becomes a convex curved surface which becomes smoothly convex to the outer side of, and each inclination-angle becomes gradually larger as it goes toward the other end 7B from one end 7A of the main cutting blade 7, ie, the other end 7B than one end 7A side. ) Side is retracted inward of the tip main body 1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side with larger inclination.

또, 이들 제 1, 제 2 플랭크 (4A, 4B) 는, 주절삭날 (7) 로부터 착좌면 (3) 을 향하는 방향에서는 각각 일정한 경사각으로 팁 본체 (1) 의 내측으로 점차 후퇴하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주절삭날 (7) 에 직교하는 단면에서는 도 3 이나 도 4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직선상을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이들 제 1, 제 2 플랭크 (4A, 4B) 의 폭 (중심선 C 방향의 폭) 은 각각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에서 타단 (7B) 에 걸쳐 대략 일정해지도록 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들 제 1, 제 2 플랭크 (4A, 4B) 도 주절삭날 (7) 과 마찬가지로 상기 측면에서 보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단 (7A) 에서 타단 (7B) 을 향함에 따라 볼록굴곡되면서 점차 착좌면 (3) 측을 향해 연장하게 된다.Moreover, these 1st, 2nd flanks 4A and 4B are set to retreat gradually inside the tip main body 1 at a fixed inclination angle in the direction from the main cutting blade 7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respectively, Therefore,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cutting edge 7 shows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3 or FIG. 4. And the width | variety (width of center line C direction) of these 1st, 2nd flanks 4A, 4B is set to become substantially constant from one end 7A of the main cutting blade 7 to the other end 7B, respectively, Therefore, these 1st, 2nd flanks 4A and 4B also become convexly curved as it goes toward the other end 7B from the one end 7A as shown in FIG. It extends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side.

게다가, 이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플랭크 (4) 의 착좌면 (3) 측은 상기 제 2 플랭크 (4B) 보다는 작은 일정한 경사각 (제 1 플랭크 (4A) 와 대략 동등한 경사각) 으로 착좌면 (3)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후퇴하는 경사평면으로 되어 있어, 즉 주절삭날 (7) 을 따른 방향으로도 곧바로 연장되는 평면으로 되어 있어, 후술하는 공구 본체에 부착할 때의 구속면 (4C) 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구속면 (4C) 의 주절삭날 (7) 측 가장자리부는 상기 측면에서 보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측에서 타단 (7B) 측을 향해 중심선 (C) 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착좌면 (3) 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되는 동시에, 타단 (7B) 측에 도달하는 도중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상기 일단 (7A) 에서 타단 (7B) 을 향함에 따라 볼록굴곡되면서 점차 착좌면 (3) 측을 향하는 제 2 플랭크 (4B) 의 착좌면 (3) 측 가장자리부에 교차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surface 3 side of the flank 4 subsequent to this main cutting edge 7 has a seating surface 3 with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an inclination angle approximately equal to the first flank 4A) smaller than the second flank 4B. It becomes the inclined plane which retreats gradually toward () side, ie, it is a plane which extends straight also in the direction along the main cutting edge 7, and is set as the restraint surface 4C at the time of attachment to the tool main body mentioned later. It is. Here, the main cutting edge 7 side edge part of this restraint surface 4C is center line toward the other end 7B side from the one end 7A side of the main cutting blade 7 as shown in FIG. While extending vertically to (C) (extending parallel to seating surface 3), while reaching the other end 7B side, as described above, from one end 7A to the other end 7B as viewed above. It is convex-convex as it turns to cross | intersect the edge part of the seating surface 3 side of the 2nd flank 4B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side gradually.

따라서, 이들 제 2 플랭크 (4B) 의 착좌면 (3) 측 가장자리부와 구속면 (4C) 의 주절삭날 (7) 측 가장자리부 사이에는 이들 가장자리부끼리의 교점보다도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측에, 측면에서 보아 이 일단 (7A) 측을 향함에 따라 중심 선 (C) 방향의 폭이 점차 넓어지는 간극 부분이 제 2 플랭크 (4B) 의 착좌면 (3) 측에 이어지도록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 간극 부분은 착좌면에 수직인 평면상이 되고, 본 실시형태에의 제 3 플랭크 (4D) 로 되어 있으며, 구속면 (4C) 은 그 상기 주절삭날 (7) 측 가장자리부에서 이 제 3 플랭크 (4D) 와 둔각으로 교차하게 되어 이 가장자리부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중심선 (C) 에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는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구속면 (4C) 과 제 3 플랭크 (4D) 는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에서 타단 (7B) 측을 향한 방향으로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게 된다.Therefore, between the edge of the seating surface 3 side of these 2nd flanks 4B, and the edge of the main cutting edge 7 side of the restraining surface 4C, the edge of the main cutting edge 7 rather than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se edge parts is therefore made. On the one side 7A side, a gap portion in which the width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line C gradually widens toward the one side 7A 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is followed by the seating surface 3 side of the second flank 4B. To form. And this clearance gap part becomes planar perpendicular | vertical to a seating surface, and becomes the 3rd flank 4D in this embodiment, and the restraint surface 4C is made into the edge part of the said main cutting edge 7 side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se restraint surfaces 4C and 3rd flank 4D are intersected at an obtuse angle with the three flanks 4D and the edges thereof extend perpendicularly to the center line C as described above. Are extend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from the one end 7A of the main cutting edge 7 to the other end 7B sid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팁은, 도 5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 본체 (11) 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본 실시형태의 회전절삭 공구를 구성한다. 이 공구 본체 (11) 는 강재 등에 의해 축선 (O) 을 중심으로 하는 개략원주상으로 형성되며, 그 후단측 (도 5 및 도 6 에서 상측) 이 공작기계의 주축 등에 파지되고 축선 (O) 둘레로 공구 회전방향 (T) 으로 회전되어 절삭에 사용된다. 여기에서, 이 공구 본체 (11) 의 선단부 외주에는, 그 선단면에 개구하고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팁포켓 (12) 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팁포켓 (12) 의 회전방향 (T) 측을 향한 벽면 선단측에는 팁부착자리 (13)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팁부착자리 (13) 에 상기 실시형태의 팁의 팁 본체 (1) 가 부착되어 있다. 또, 이 팁포켓 (12) 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 본체 (11) 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회전방향 (T) 를 향해 볼록굴곡되면서 회전방향 (T) 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tip of this embodiment comprised in this way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ol main body 11, as shown in FIGS. 5-7, and comprises the rotary cutting tool of this embodiment. The tool main body 11 is formed in a rough columnar shape centering on the axis O by steel, etc., and its rear end side (upper side in Figs. 5 and 6) is gripped by the main axis of the machine tool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axis O. It is rotated in the tool rotation direction T and used for cutting. Here, a tip pocket 12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tip end of the tool main body 11 and extends to the rear end side of the tool main body 11, and the tip pocket 12 faces the rotational direction T side. The tip attachment seat 13 is formed in the wall surface front end side, The tip main body 1 of the tip of the said embodiment is attached to this tip attachment seat 13. Moreover, this tip pocket 12 is formed so that it may extend to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T, while convexly bending toward the rotation direction T as it goes to the rear end side of the tool main body 11, as shown in FIG. .

상기 팁부착자리 (13) 는 팁포켓 (12) 의 상기 벽면에서 회전방향 (T) 의 후방측으로 한 단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 부분으로, 이 공구 회전방향 (T) 을 향해 공구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회전방향 (T) 후방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착좌면 (3) 과 대략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의 평면상의 부착자리바닥면 (13A) 과, 이 부착자리바닥면 (13A) 의 공구 후단측에 솟아 상기 벽면에 이어지도록 공구 선단측을 향하는 부착자리벽면 (13B) 및 부착자리바닥면 (13A) 의 공구 내주측에 솟아 공구 외주측을 향하는 부착자리벽면 (13C) 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착자리바닥면 (13A) 의 중앙에는 팁 본체 (1) 의 상기 부착구멍 (5) 에 삽입통과된 클램프나사 (14) 가 들어가는 나사구멍 (도시생략) 이 형성되는 동시에, 부착자리벽면 (13B, 13C) 의 형상 및 부착자리바닥면 (13A) 에 대한 경사각은 팁 본체 (1) 의 부절삭날 (8) 에 이어지는 플랭크 (4) 의 형상 및 착좌면 (3) 에 대한 경사각과,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플랭크 (4) 중 상기 구속면 (4C) 의 형상 및 착좌면 (3) 에 대한 경사각과 각각 맞춰져 있다.The tip attachment seat 13 is a concave portion formed in one step concave toward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T on the wall surface of the tip pocket 12, and toward the tool rear end side toward the tool rotation direction T. It rises on the plane of the mounting seat bottom surface 13A of the same size as the seating surface 3 which inclines so that it may incline toward the back direction of rotation (T), and the tool rear end side of this mounting seat bottom surface 13A. It consists of the attachment seat wall surface 13B which faces the tool tip side so that it may continue to a wall surface, and the attachment seat wall surface 13C which rises to the tool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attachment seat bottom surface 13A, and faces the tool outer peripheral side. Further, in the center of the attachment seat bottom surface 13A, a screw hole (not shown) is formed in which the clamp screw 14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hole 5 of the tip body 1 enters, and the attachment seat wall surface ( The shapes of the 13B and 13C and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seat bottom surface 13A include the shape of the flank 4 following the subcutting edge 8 of the tip body 1 and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3; It is matched with the shape of the said restraint surface 4C and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3 among the flanks 4 which follow the cutting edge 7, respectively.

이러한 팁 부착자리 (13) 에, 상기 팁 본체 (1) 는, 상기 레이크면 (2) 이 형성된 일방의 평행사변형면을 공구 회전방향 (T) 을 향하게 하여 착좌면 (3) 을 부착자리바닥면 (13A) 에 착좌시키고, 또한 하나의 부절삭날 (8) 에 이어지는 플랭크 (4) 를 부착자리벽면 (13B) 에, 이 하나의 부절삭날 (8) 에 코너칼날 (6) 을 사이에 두고 교차하는 하나의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플랭크 (4) 의 구속면 (4C) 을 부착자리벽면 (13C) 에 각각 맞대어 중심선 (C) 둘레의 회전을 구속한 다음, 상기 클램프나사 (14) 에 의해 고정되어 부착된다. 또, 상기 부착자리벽면 (13B, 13C) 이 교차하는 각부에는, 상기 하나의 주절삭날 (7) 과 부절삭날 (8) 이 교차하는 하나의 코너칼날 (6) 및 여기에 이어지는 플랭크 (4) 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오목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In this tip attachment seat 13, the tip main body 1 faces the seating surface 3 with the seating surface 3 with the parallelogram surface in which the said rake surface 2 was formed toward the tool rotation direction T. As shown in FIG. A flank (4) seated on (13A) and further connected to one sub cutting edge (8) on the attachment seat wall surface (13B) with the corner blade (6) interposed between the one sub cutting edge (8). The clamp screw 14 restrains the rotation around the centerline C by abutting the restraining surface 4C of the flank 4 subsequent to one intersecting main cutting edge 7 to the attachment seat wall surface 13C, respectively, and then It is fixed and attached by. Moreover, in each part where the said attachment seat wall surface 13B, 13C cross | intersects, one corner blade 6 which the said one main cutting blade 7 and the sub cutting blade 8 cross | intersects, and the flank 4 following this, The recessed part is formed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

따라서, 이렇게 하여 부착된 팁 본체 (1) 에서는, 상기 하나의 코너칼날 (6) 과는 반대의 코너칼날 (6) 이 공구 본체 (11) 의 선단 외주측에 위치되고, 또한 이 코너칼날 (6) 의 일단 (6A) 에 일단 (7A) 이 일치하는 주절삭날 (7) 이, 공구 본체 (11) 의 선단부 외주에서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회전방향 (T) 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된다. 또한, 이 코너칼날 (6) 의 타단 (6B) 에 이어지는 부절삭날 (8) 은, 공구 본체 (11) 의 축선 (O) 에 수직인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의 팁에서는, 이러한 공구 본체 (11) 에 부착하는 상태에서 이 공구 본체 (11) 선단부 외주로 연장되는 주절삭날 (7) 은, 그 상기 축선 (O) 둘레의 회전 궤적의 그 축선 (O) 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한 투영선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일단 (7A) 과 타단 (7B) 의 중간부 (7C) 에서 그 축선 (O) 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 (P) 에 매끈하게 접하는 동시에, 그 양단, 즉 일단 (7A) 과 타단 (7B) 을 각각 향함에 따라 이 원통면 (P) 의 내측을 향한 볼록원호형으로 되어 있다.Therefore, in the tip main body 1 attached in this way, the corner blade 6 opposite to the said one corner blade 6 is located in the tip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tool main body 11, and this corner blade 6 The main cutting blade 7 whose one end 7A coincides with the one end 6A of the () is attached so that it may extend to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T as it goes to the rear end si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ont end of the tool main body 11. In addition, the sub cutting edge 8 which follows the other end 6B of this corner blade 6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be located on the plane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axis line O of the tool main body 11. As shown in FIG. And in the tip of the said embodiment, the main cutting edge 7 extend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is tip of the tool main body 11 in the state attached to such a tool main body 11 has the rotational track | orbit around the said axis | shaft O. As shown in FIG. 8, the projection line with respect to the plane containing the axis O is the cylindrical surface P centering on the axis O at the intermediate part 7C of the one end 7A and the other end 7B. While contacting smoothly, the both ends, namely, one end 7A and the other end 7B, respectively, are convex arc-shaped toward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surface P. As shown in FIG.

즉, 상기 실시형태의 팁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팁 본체 (1) 를 상기 평면에서 보아 레이크면 (2) 의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볼록곡선형이 된 주절삭날 (7) 을 공구 본체 (11) 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회전방향 (T) 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여 팁 본체 (1) 를 부착함으로써, 이 주절삭날 (7) 을 특허문헌 1 의 절삭가장자리나 특허문헌 2 의 완곡 절삭날과 같이 축선 (O) 을 중심으로 한 원통면 (P) 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말해 그 투영선이 축선 (O) 을 포함하는 상기 평면에서 원통면 (P) 이 이루는 축선 (O) 에 평행한 직선과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면 (P) 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중간부 (7C) 에서 이 직선에 접하는 볼록원호를 이루게 되어 있다. 또, 이 주절삭날 (7) 의 투영선이 이루는 볼록원호의 반경 (R) 은 충분히 커지는 동시에, 이렇게 하여 볼록원호를 이루는 주절삭날 (7) 의 투영선 양단이 원통면 (P) 의 내측을 향하는 후퇴량은 그 주절삭날 (7) 의 상기 일단 (7A) 의 후퇴량 (A) 이 타단 (7B) 의 후퇴량 (B) 보다도 작아지게 되어 있어, 예를 들어 이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상기 레이크면 (2) 의 폭 (W) 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0.6㎜ 로 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퇴량 (B) 이 0.02㎜ 정도인데 반하여 후퇴량 (A) 은 0.01㎜ 정도로 약 1/2 정도로 되어 있다.That is, in the tip of the said embodiment, as mentioned above, the main cutting edge 7 which became the convex curve which becomes convex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rake surface 2 by seeing the tip main body 1 in the said plane is the tool main body 11 By arranging so as to exten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T as the rear end side of the head) and attaching the tip main body 1, the main cutting edge 7 is cut at the cutting edge of Patent Document 1 or the smooth cutting of Patent Document 2 It is not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cylindrical surface P about the axis O like a blade, but in other words, the projection line is formed in the axis O formed by the cylindrical surface P in the plane including the axis O. It does not coincide with a parallel straight line, but as shown in FIG. 8, the convex arc which contacts this straight line is formed in the said intermediate part 7C from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surface P.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radius R of the convex arc which the projection line of this main cutting edge 7 makes becomes large enough, and the both ends of the projection line of the main cutting edge 7 which forms a convex arc in this way face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surface P. In addition, in FIG. The retraction amount is such that the retraction amount A of the one end 7A of the main cutting edge 7 is smaller than the retraction amount B of the other end 7B.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which the width W of the subsequent rake surface 2 is 0.6 mm as described above, the retraction amount B is about 0.02 mm, whereas the retraction amount A is about 1/2 mm, about 1/2 mm. It is about.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의 팁에서는 이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레이크면 (2) 의 착좌면 (3) 에 대한 경사각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주절삭날 (7) 의 상기 일단 (7A) 에서 타단 (7B) 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게 되어 있지만, 그 감소율은 일단 (7A) 에서 타단 (7B) 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 후에 도중에 점차 커지게 되어 있고, 이러한 팁 본체 (1) 의 착좌면 (3) 이 공구 본체 (11) 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회전방향 (T) 의 후방측으로 경사진 팁부착자리 (13) 의 부착자리바닥면 (13A) 에 착좌되어 부착됨으로써, 이 부착상태에서 그 레이크면 (2) 이 이루는 레이크각은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에서 타단 (7B) 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 후에 점차 커지게 되어 있다. 즉, 도 9 에 단면을 나타내는 것처럼,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과, 양단 (7A, 7B) 의 대략 중간과, 타단 (7B) 에서의 레이크면 (2) 의 레이크각 (α, β, γ) 은 α>β<γ인 관계가 된다. 단, 이 도 9 에서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과 타단 (7B) 에서의 절삭날 외경은, 이 주절삭날 (7) 의 상기 투영선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볼록원호형을 이루고 있는 점에서, 각각 상기 후퇴량 (A, B) 의 2배분만큼 중간부 (7C) 에서의 외경 (D) 보다도 작아진다.And in the tip of the said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3 of the rake surface 2 which follows this main cutting blade 7 is the said one end 7A of the main cutting blade 7 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rate of decrease decreases gradually toward the other end 7B at, the decrease rate gradually decreases as it moves from one end 7A to the other end 7B, and then gradually increases on the way, and the seating of the tip body 1 is performed. The surface 3 is seated and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13A of the seat seat 13 of the tip mounting seat 13 inclin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T as it faces the rear end side of the tool main body 11, thereby providing this attachment state. The rake angle formed by the rake surface 2 is gradually decreased after the rake angle of the main cutting edge 7 toward the other end 7B toward the other end 7B. 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rake angle α of the one end 7A of the main cutting edge 7, approximately halfway between the both ends 7A and 7B, and the rake surface 2 at the other end 7B. , β, and γ) have a relationship of α> β <γ. However, in FIG. 9, the outer diameter of the cutting edge at one end 7A and the other end 7B of the main cutting edge 7 forms a convex arc shape as described above by the projection line of the main cutting edge 7. Since it exists, it become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 in the intermediate part 7C by 2 times of the said retreat amount A and B, respectively.

또, 본 실시형태의 회전절삭 공구에서는 공구 본체 (11) 선단부에 복수 개씩 (도면에서는 3개씩) 의 팁포켓 (12) 및 팁부착자리 (13) 가 둘레방향으로 등간격, 또한 축선 (O) 둘레에 회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팁부착자리 (13) 각각에 팁 본체 (1) 가, 그 절삭날 (코너칼날 (6), 주절삭날 (7) 및 부절삭날 (8)) 의 회전궤적을 서로 일치시키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공구 본체 (11) 에는 후단측으로부터 축선 (O) 을 따라 냉각제 공급구멍 (11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냉각제 공급구멍 (11A) 은 공구 본체 (11) 선단부에서 분기되어 팁 본체 (1) 의 상기 레이크면 (2) 을 향하도록 각 팁포켓 (12) 의 내벽면에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팁포켓 (12) 내벽면을 포함한 적어도 공구 본체 (11) 선단부 표면은, 선반가공, 연마 및 래핑에 의해 표면조도가 Ry 3.2㎛ 이하가 되며, 다시 Ni 등의 도금이나 DLC, WCC, MoS2, CrN, TiN, Al2O3 등의 윤활성 코팅이 실시되고 있다. 또, 공구 본체 (11) 의 외주면이나 선단면에는 상기 절삭날 외경 (D) 을 마스터 팁에 기초하여 측정한 치수를 레이저마킹 등의 마킹이나 각인 등에 의해 표시해도 된다.In the rotary cutting tool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p pockets 12 and the tip attachment seats 13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tip end of the tool main body 11 (three in the drawing), and the axis O is provided. Rotated symmetry is formed in the circumference, and a tip main body 1 is formed at each of these tip mounting positions 13 of the cutting edges (corner blades 6, major cutting edges 7, and secondary cutting edges 8). It is attached to match the rotation trajectory. Moreover, the coolant supply hole 11A is formed in the tool main body 11 along the axis O from the rear end side, and this coolant supply hole 11A is branched from the tip end part of the tool main body 11, and the tip main body 1 is carried out. It is open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each tip pocket 12 so that it may face the said rake surface 2 of the inside. The surface of at least the tip of the tool body 11, including the inner wall of the tip pocket 12, has a surface roughness of Ry 3.2 占 퐉 or less by lathe machining, polishing, and lapping, and furthermore, plating such as Ni, DLC, WCC, MoS 2, a lubricating coating, such as CrN, TiN, Al 2 O 3 being carried. Moreover, you may displa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r front end surface of the tool main body 11 the dimension which measured the said cutting blade outer diameter D based on the master tip by marking, marking, etc., such as laser marking.

이와 같이 구성된 팁 및 회전절삭 공구에서는, 그 주절삭날 (7) 이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 의 절삭가장자리나 특허문헌 2 의 완곡 절삭날과 같이 공구 본체 (11) 의 축선 (O) 을 중심으로 한 상기 원통면 (P) 상에 포함되는 일없이 이 축선 (O) 둘레의 회전궤적의 투영선이 양단 (7A, 7B) 을 향함에 따라 이 원통면 (P) 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볼록원호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록 팁 본체 (1) 가 상기 평면에서 보아 주절삭날 (7) 이 소정 위치에서 기울도록 공구 본체 (11) 에 부착되어도 그 경사가 상기 투영선이 이루는 볼록원호를 따른 방향이라면 그 투영선, 즉 주절삭날 (7) 의 회전궤적 자체가 크게 변화하지는 않아, 따라서 원하는 수직 가공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팁 본체 (1) 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부착구멍 (5) 에 클램프나사 (14) 를 통과시켜 공구 본체 (11) 에 밀어넣음으로써 고정되는 팁에서는, 상기 부착자리벽면 (13B, 13C) 이 닿음에도 불구하고 이 부착구멍 (5) 의 중심선 (C) 둘레에 팁이 경사져 부착되기 쉽지만, 이 경사는 대강 상기 투영선이 이루는 볼록원호를 따른 방향이 되기 때문에 수직 가공면의 정밀도가 현저하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tip and the rotary cutting too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cutting edge 7 is centered on the axis O of the tool body 11 like the cutting edge of Patent Document 1 and the cutting edge of Patent Document 2 described above. The projection line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around this axis O becomes convex arc shape inwardly from this cylindrical surface P as it is not included on the said cylindrical surface P toward both ends 7A, 7B. Even if the tip main body 1 is attached to the tool main body 11 so that the main cutting edge 7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viewed in the plane, the projection line thereof is inclined along the convex arc formed by the projection line. In other words, the rotational trajectory itself of the main cutting edge 7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so that a desired vertical machining surface can be formed. In particular, in the tip fixed by pushing the clamp screw 14 through the mounting screw 5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tip main body 1 in the tool main body 11 like this embodiment, the said mounting seat wall surface Although 13B and 13C touch, the tip is inclined around the centerline C of the attachment hole 5 and is easy to attach, but the inclination becomes roughly along the convex arc formed by the projection 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cision from being impaired significantly.

그리고, 이 주절삭날 (7) 의 유효 절삭날 길이 이상의 깊이를 갖는 수직 가공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공구 본체 (11) 를 그 축선 (O) 방향 선단측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수직 가공면을 차례로 파 내려가도록 절삭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구성의 팁 및 회전절삭 공구에 의해 형성되는 수직 가공면은 주절삭날 (7) 의 상기 투영선이 이루는 볼록원호를 축선 (O) 방향으로 움직여 전사한 형상이 된다. 따라서, 각 단의 수직 가공면끼리의 조인트 (Q) 는 앞의 절삭에서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측에 의해 형성된 상기 원통면 (P) 으로부터 그 내측으로 후퇴하는 부분과, 그 다음에 공구 본체 (11) 를 이동시킨 절삭에서 주절삭날 (7) 의 타단 (7B) 측에 의해 형성된 역시 원통면 (P) 으로부터 그 내측으로 후퇴하는 부분이 겹친 형상이 되어, 즉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원호끼리를 양쪽 사면으로 하는 단면 산형 형상을 나타내게 되는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주절삭날 (7) 의 투영선이 이루는 원호의 반경 (R) 을 충분히 크게 설정함으로써 이 단면이 이루는 산형 사면의 경사를 매우 완만하게 하여 그 높이를 억제해, 상기 원통면 (P) 을 따른 평탄면끼리를 연속시킨 것 같은 단면형상에 가깝게 할 수 있다.And when forming the vertical process surface which has a depth more than the effective cutting edge length of this main cutting edge 7, as described above, the tool main body 11 is moved to the front-end | tip side of the axis line O stepwise, The vertical machining surface is cut so that the vertical machining surface is sequentially cut down, and in this case, the vertical machining surface formed by the tip and the rotary cutting tool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rranged along the axis O direction of the convex arc formed by the projection line of the main cutting edge 7. Move to the shape transferred. Therefore, the joint Q between the vertical machining surfaces of each stage is a part which retracts inward from the cylindrical surface P formed by the one end 7A side of the main cutting edge 7 in the previous cutting, and Next, in the cutting which moved the tool main body 11, the part which retracts inward from the cylindrical surface P formed by the other end 7B side of the main cutting edge 7 becomes the overlapped shape, ie, in FIG. As shown, the cross-sectional mountain shape having concave arcs as both slopes is shown. As described above, the mountain-shaped slope formed by this cross section by setting the radius R of the circular arc formed by the projection line of the main cutting edge 7 sufficiently large. The inclination of can be made very smooth, and the height can be suppressed, and the flat surface along the said cylindrical surface P can be made close to the cross-sectional shape like having continued.

이 때문에, 상기 팁 및 회전절삭 공구에 의하면, 이렇게 해서 깊은 수직 가공면을 단계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각 단의 수직 가공면끼리의 조인트 (Q) 가 커져 공구 본체 (11) 의 이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줄이 형성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인트 (Q) 가 눈에 띄지 않는 면 품위가 높은 수직 가공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구나, 이렇게 해서 공구 본체 (11) 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킨 경우에, 절삭시의 부하 등에 의해 그 공구 본체 (11) 가 휘거나 함으로써 각 단의 절삭에서 상기 원통면 (P) 끼리 어긋나게 되어 엄밀하게 일치하지 않게 되거나 해도 상기 조인트 (Q)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단면 오목원호끼리가 겹친 형상 그대로이며 상기 산형의 높이나 사면의 경사가 현저하게 커지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이러한 공구 본체 (11) 가 휘더라도 조인트 (Q) 가 눈에 띄는 것을 막아 면 품위가 높은 고정밀도의 수직 가공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e said tip and a rotary cutting tool, even if it forms a deep vertical machining surface in steps in this way, the joint Q of the vertical machining surfaces of each stage becomes large and it extends in the feed direction of the tool main body 11,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tring from being formed, and to form a vertical processing surface with high surface quality in which the joint Q is not noticeable. Moreover, in the case where the tool main body 11 is moved in steps in this way, the tool main body 11 is bent due to the load at the time of cutting or the like, so that the cylindrical surfaces P are shifted in cutting at each end, so that they coincide strictly. Even if it does not, the said joint Q is a shape where the concave circular arcs as mentioned above overlap, and the height of the said hilltop shape and the inclination of a slope do not become remarkably large, Therefore, even if this tool main body 11 is bent, the joint ( By preventing Q) from becoming noticeable, it becomes possible to form a highly precise vertical machined surface with high quality.

게다가, 본 실시형태의 팁 및 회전절삭 공구에서는 이렇게 하여 상기 주절삭날 (7) 의 투영선에서 상기 원통면 (P) 으로부터 내측으로 후퇴하도록 된 그 양단 (7A, 7B) 중, 공구 본체 (11) 외주의 선단측에 배치되는 일단 (7A) 의 원통면 (P) 으로부터의 후퇴량 (A) 이, 후단측에 배치되는 타단 (7B) 의 후퇴량 (B) 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절삭된 수직 가공면의 바닥측 (공구 본체 (11) 의 선단측) 에, 주절삭날 (7) 에 코너칼날 (6) 을 통하여 이어지는 상기 부절삭날 (8) 에 의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수직 가공면에 직교하는 바닥면을 형성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코너칼날 (6) 이나 이 부절삭날 (8) 에 이어지는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원통면 (P) 으로부터 내측으로 후퇴하고 있으면, 이들 수직 가공면과 바닥면이 교차하는 코너부도 원통면 (P) 으로부터 내측으로 경사되는 것은 피할 수 없지만, 이 일단 (7A) 측에서의 주절삭날 (7) 의 후퇴량 (A) 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작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코너부가 원통면 (P) 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크기나 경사를 작게 억제하여 수직 가공면과 바닥면을 보다 직각으로 교차하는 상태에 가깝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렇게 하여 수직 가공면 바닥에 바닥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보다 고품위의 가공면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in the tip and the rotary cutting tool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ool main body 11 among the both ends 7A and 7B which is thus retracted inwardly from the cylindrical surface P at the projection line of the main cutting edge 7. The retraction amount A from the cylindrical surface P of one end 7A dispos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is smaller than the retraction amount B of the other end 7B disposed on the rear end side. By the way, to the sub-cutting edge 8 connected to the main cutting edge 7 through the corner blade 6 to the bottom side (the tip side of the tool main body 11) of the vertical processing surface cut as mentioned above. As shown in FIG. 10, when forming the bottom surface orthogonal to the perpendicular | vertical process surface, one edge 7A of the corner blade 6 or the main cutting edge 7 which follows this sub cutting edge 8 As mentioned above, if it retreats inwardly from cylindrical surface P, the corner part which these vertical processing surface and bottom surface cross also inclines inwardly from cylindrical surface P, However, in this one side 7A side, Since the retreat amount A of the main cutting edge 7 is small as described above, the corner portion has a smaller size and inclination toward the inner side from the cylindrical surface P, so that the vertical processing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are smaller. In a state that crosses at a right angle You can close it. For this reas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ven when a bottom surface is formed in the bottom of a vertical process surface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obtain a higher quality process surface.

한편, 상기 팁의 주절삭날 (7) 은, 상기 플랭크 (4) 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아 그 상기 일단 (7A) 에서 타단 (7B) 측을 향함에 따라 볼록굴곡되면서 착좌면 (3) 측을 향하는 볼록곡선형으로 되어 있고, 이 착좌면 (3) 이 착좌하는 팁부착자리 (13) 의 부착자리바닥면 (13A) 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주절삭날 (7) 이 공구 본체 (11) 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그 회전방향 (T) 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유효 절삭날 길이의 대략 전체를 사용하는 깊은 절삭시에 공구 후단측의 주절삭날 (7) 의 타단 (7B) 측에서 그 실제 레이크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깊은 절삭시에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되는 경우에도 절삭분을 빠르게 레이크면 (2) 으로부터 이간시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utting edge 7 of the tip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 side while being convexly curved as seen from the side facing the flank 4 toward the other end 7B side from the one end 7A. This main cutting edge 7 is a tool because it has a convex curve facing, and the seat bottom surface 13A of the tip mounting seat 13 on which the seating surface 3 sits is inclined as described above. It is attached so as to extend to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T as it goes to the rear end side of the main body 11. For this reason, since the actual rake angle can be enlarged at the other end 7B side of the main cutting edge 7 on the rear end side of the tool at the time of deep cutting using approximately the entire length of the effective cutting edge length, such deep cutting time Even when a wide cutting powder is formed, the cutting powder can be quickly separated from the rake surface 2 and processed.

그리고, 이와 같이 주절삭날 (7) 이 측면에서 보아 볼록곡선형이 됨에 따라 이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상기 레이크면 (2) 도 마찬가지로 회전방향 (T) 으로 볼록굴곡되는 볼록곡면상으로 형성되는 데 반하여, 상기 구성의 팁 및 회전절삭 공구에서는 이 주절삭날 (7) 이 상기 평면에서 보아 볼록곡선형으로 되어 있는 데다가 상기 투영선에서도 볼록곡선을 이루는 원호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주절삭날 (7) 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분은 주절삭날 (7) 의 양단 (7A, 7B) 측에 대하여 중간부 (7C) 측이 오목해지도록 크게 완곡된 단면오목상을 나타내게 된다. 즉, 상기 구성의 팁 및 회전절삭 공구에 의하면, 오목상에 의해 크게 만곡된 절삭분이 그 가장 많이 오목해진 부분을 볼록상의 레이크면 (2) 이 가장 많이 볼록해지는 부분을 따르도록 하여 그 레이크면 (2) 상에 흘러나오게 되기 때문에, 절삭분을 레이크면 (2) 에서 한층 더 잘 떨어뜨릴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타단 (7B) 측에서 실제 레이크각을 크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비록 깊은 절삭ㆍ고속절삭에서도 절삭분으로 막히거나 씹히거나 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이들에 의해 절삭 효율의 추가적인 향상을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the main cutting edge 7 becomes a convex curve as viewed from the side, the rake surface 2 following the main cutting edge 7 is likewise convexly cur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 On the other hand, in the tip and the rotary cutting tool of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main cutting edge 7 is convex in the plan view, and also in the projection line, it is an arc that forms a convex curve. The cutting powder produced by (7) exhibits a cross-sectional concave shape that is largely curved so that the middle portion 7C side is concave with respect to the both ends 7A, 7B side of the main cutting edge 7. That is, according to the tip and the rotary cutting tool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utting portion largely curved by the concave image causes the concave rake surface 2 to follow the portion where the convex rake surface 2 is most convex. 2) because it flows out on the cutting surface, the cutting powder can be dropped further from the rake surface 2, and thus, with the fact that the actual rake angle can be increased on the other end 7B side as described above, Even in deep cutting and high speed cutting,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clogging or chewing with the cutting powd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urther improve cutting efficiency.

그리고, 이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레이크면 (2) 은, 그 내측을 향해서도 착좌면 (3) 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레이크면 (2) 의 래이디얼 레이크각도 정각측(正角側)에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깊은 절삭ㆍ고속절삭시에도 절삭저항의 저감을 꾀할 수 있어, 이러한 절삭저항에 의해 공구 본체 (11) 가 휘거나 흔들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이 레이크면 (2) 의 폭 (W) 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작은 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절삭저항의 저감을 더욱 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사면으로 된 레이크면 (2) 이 그 내측을 향하여 이루는 경사각은, 착좌면 (3) 에 대해서는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으로부터 타단 (7B) 을 향해 점차 작아지게 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레이크각 (래이디얼 레이크각) 이 공구 선단측의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과 후단측의 타단 (7B) 에서 현저하게 달라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된 절삭분의 생성에 의한 원활한 절삭을 촉진시킬 수 있다.And the rake surface 2 which continues this main cutting edge 7 becomes the inclined surface which faces the seating surface 3 side also toward the inner side, and by this, the radial rake angle of the rake surface 2 is also right angle. Since it can be set on the si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utting resistance even at the deep cutting and the high speed cutting as described above, and the cutting body can bend or shake due to the cutting resistance. You can prevent it. Moreover, since the width W of this rake surface 2 also becomes small width as mentioned above in this embodiment, reduction of cutting resistance can be aimed at further. Incidentally,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rake face 2 formed as the inclined surface toward the inside thereof becomes smaller gradually from the one end 7A of the main cutting edge 7 toward the other end 7B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3. Therefore, the rake angle (radial rake angle) is prevented from being significantly changed at one end 7A of the main cutting edge 7 on the tool tip side and the other end 7B on the rear end side, thereby producing stable cutting powder. It is possible to promote smooth cutting by.

그리고, 그 한편으로 이 레이크면 (2) 의 경사각은 팁 본체 (1) 를 공구 본체 (11) 에 부착시킨 상태에서는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 (7A) 에서 타단 (7B) 을 향하여 레이크각 (α) 에서 일단 점차 작아지게 되어 레이크각 (β) 이 되고, 그 후에 점차 커지게 되어 타단 (7B) 에서 레이크각 (γ) 이 되게 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안정된 절삭분의 생성을 꾀하면서도 이 레이크면 (2) 의 내측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볼록굴곡되는 그 레이크면 (2) 을 주절삭날 (7) 의 양단 (7A, 7B) 의 내측보다도 그 사이 부분의 내측이 보다 크게 볼록해지도록 만곡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투영선이 볼록원호형을 이루는 주 절삭날 (7) 에 의해 보다 오목형으로 생성된 절삭분이 내측을 향하여 보다 크게 볼록형으로 만곡된 레이크면 (2) 상을 흐르게 되기 때문에, 절삭분 제거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연성이 높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료를 고속절삭하는 경우에도 우수한 절삭처리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레이크각이 가장 작아지는 위치가 주절삭날 (7) 의 투영선의 상기 원통면 (P) 과 접하는 중간부 (7C) 와 일치되어 있다면 더욱 효과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rake surface 2 is the rake angle (from the one end 7A toward the other end 7B in the state where the tip main body 1 is attached to the tool main body 11) as shown in FIG. At α), it becomes gradually smaller and becomes the rake angle β, and after that, it becomes larger and becomes the rake angle γ at the other end 7B, thus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stable cutting powder as described above. On the inside of the rake surface 2, the rake surface 2 which is convexly curved as described above is more convex than the inside of the both ends 7A and 7B of the main cutting edge 7. It can be curved to terminate. Therefore, since the cutting powder produced more concave by the main cutting edge 7 of which the projection line forms a convex arc flows on the inside of the rake surface 2 which is curved more convexly toward the inside, the cutting powder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and obtain excellent cutting processability even when high-speed cutting of metal materials such as ductile aluminum. Moreover, it is more effective if the position where this rake angle becomes the smallest coincides with the intermediate portion 7C in contact with the cylindrical surface P of the projection line of the main cutting edge 7.

또, 여기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레이크면 (2) 의 더 내측에, 그 레이크면 (2) 이 이루는 상기 경사면에서 착좌면 (3) 측으로 오목한 단면 오목원호형의 오목면 (9) 이 레이크면 (2) 의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면 (9) 은 주절삭날 (7) 의 내측에서는 상기 평면에서 보아 주절삭날 (7) 과 대략 등간격으로 그 주절삭날 (7) 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레이크면 (2) 상을 흘러나온 절삭분 (S) 은 이 오목면 (9) 에 이르렀을 때 강제적으로 레이크면 (2) 으로부터 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한층 더 확실하게 절삭분 제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오목면 (9) 이 레이크면 (2) 의 내측에 상기 일방의 평행사변형면의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코너칼날 (6) 이나 부절삭날 (8) 에 의해 생성되는 절삭분에 대해서도 우수한 절삭분 분리를 촉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cave surface 9 of the concave arc-shaped cross section concave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side from the inclined surface formed by the rake surface 2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ake surface 2. It is formed over the whol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surface 2, This recessed surface 9 is the main cutting edge 7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with the main cutting edge 7 in the said planar view inside the main cutting edge 7. It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refor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cutting powder S which flowed out on the said rake surface 2 is forcibly separated from the rake surface 2 when it reaches this recessed surface 9, it becomes more reliably. Cutting removal can be improved. Moreover, especially in this embodiment, such concave surface 9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rake surface 2 over the whole circumference of the said parallelogram surface, Therefore, the corner blade 6 and the sub cutting edge 8 are It is also possible to urge excellent cutting powder separation to the cutting powder produced by this.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는 플랭크 (4) 에서, 그 주절삭날 (7) 측에 그 주절삭날 (7) 에 이어지며 착좌면 (3) 측을 향함에 따라 작은 경사각으로 점차 후퇴하도록 경사하는 제 1 플랭크 (4A) 와, 이 제 1 플랭크 (4A) 의 착좌면 (3) 측에 이어져 그 제 1 플랭크 (4A) 보다도 큰 경사각으로 점차 후퇴하도록 경사하는 제 2 플랭크 (4B) 가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주절삭날 (7) 의 칼끝측에서는 경사가 작게 되어 여유각도 작아지는 상기 제 1 플랭크 (4A) 에 의해 칼끝각을 확보할 수 있고, 특히 본 실시형태와 같이 레이크면 (2) 이 내측을 향함에 따라 착좌면 (3) 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이 칼끝 부분에 결손 등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이 칼끝에서 떨어진 측에서는 크게 경사하는 제 2 플랭크 (4B) 에 의해 충분한 플랭크량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수직 가공면과의 이른바 2번째 부딪힘에 의해 절삭저항이 증대하거나 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이들 제 1, 제 2 플랭크 (4A, 4B) 는 주절삭날 (7) 과 마찬가지로 상기 측면에서 보아 이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에서 타단 (7B) 측을 향함에 따라 볼록굴곡되면서 착좌면 (3) 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플랭크 (4A, 4B) 의 주절삭날 (7) 로부터의 폭을 이 주절삭날 (7) 의 전체길이에 걸쳐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제 1 플랭크 (4A) 가 부분적으로 폭이 넓어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번째 부딪힘이 생기거나 또는 반대로 제 1 플랭크 (4A) 가 부분적으로 폭이 좁아져 결손이 생기기 쉬운 등의 사태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in the flank 4 which follows the said main cutting blade 7, it is connected to the main cutting blade 7 side to the main cutting blade 7 side, and faces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side. The first flank 4A inclined so as to retreat gradually at a small inclination angle, and the first inclined so as to be gradually retracted at an inclination angle larger than the first flank 4A, which is connected to the seating surface 3 side of the first flank 4A. The second flank 4B is formed, and thus, the first end flank 4A, in which the inclination becomes small and the marginal angle also becomes small at the knife tip side of the main cutting blade 7, can secure the knife tip angle, and in particular with the present embodiment Similarly, when the rake surface 2 is inclined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side toward the inner side, defects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t the cutting edg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ufficient flank amount can be ensured by the second inclined flank 4B on the side away from the knife ti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tting resistance from increasing due to the so-called second collision with the vertical machining surface. have. Moreover, these first and second flanks 4A, 4B are convex as seen from the side as in the main cutting edge 7 toward the other end 7B side from one end 7A of this main cutting edge 7. Since it is curved and formed to face the seating surface 3 side, as shown in FIG. 2, the width | variety from the main cutting edge 7 of the 1st, 2nd flanks 4A and 4B is this main cutting edge 7 Can be made substantially constant over the entire length, so that, for example, the first flank 4A is partially widened, resulting in a second bump as described above, or vice versa. This narrows the width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defects are likely to occur.

또, 이러한 팁 본체 (1) 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초경합금 등으로 형성할 때에는, 상기 플랭크 (4) 는 프레스 금형의 다이측에 형성되는 캐비티 내주면을 이 플랭크 (4) 에 따른 형상으로 해 두고 캐비티에 충전된 초경합금 등의 원료분말을 상하 펀치에 의해 압축한 분말성형체를 소결함으로써 성형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플랭크 (4) 가 상기 제 1, 제 2 플랭크 (4A, 4B) 를 구비하여 외주측으로 한 단 돌출하는 단부가 플랭크 (4) 의 주절삭날 (7) 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원료분말을 압축할 때 이 단부를 형성하는 캐비티 내주면의 제 2 플랭크 (4B) 에 대응한 부분과 레이크면 (2) 에 대응한 상부 펀치의 펀치면 사이에서 원료분말이 보다 밀도가 높게 압축되게 된다. 따라서, 그렇게 압축된 분말성형체를 소결하면, 이렇게 하여 밀도가 높게 압축된 주절삭날 (7) 주변의 단부에서는 소결에 의한 변형이 억제되어 원하는 치수, 형상의 주절삭날 (7) 을 구비한 팁 본체 (1) 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특히 이 주절삭날 (7) 에 높은 정밀도를 갖는 팁을 제공할 수 있어 그 주절삭날 (7) 에 의한 상기 서술한 효과를 한층 더 확실하게 나타낼 수 있다.Moreover, when forming this tip main body 1 from cemented carbide etc. as mentioned above, the said flank 4 makes the cavity inner peripheral surface formed in the die side of a press die into the shape according to this flank 4, and the cavity It is molded by sintering a powder compact obtained by compressing a raw material powder such as cemented carbide filled with upper and lower punches, but the flank 4 is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lanks 4A and 4B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end which protrudes at one end is formed in the main cutting blade 7 side of the flank 4, when the said raw material powder is compressed,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2nd flank 4B of the cavity inner peripheral surface which forms this end, and The raw material powder is more densely compressed between the punch faces of the upper punch corresponding to the rake face 2. Therefore, when the compacted compact is sintered, the deformation caused by sintering is suppressed at the end around the main cutting blade 7 which is compressed in such a way so that the tip having the main cutting blade 7 of the desired size and shape. Since the main body 1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tip which has especially high precision can be provided especially to this main cutting blade 7, and the above-mentioned effect by the main cutting blade 7 is further improved. It can be shown with certainty.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절삭날 (7) 의 상기 일단 (7A) 측에서 이와 같이 단부형으로 형성된 제 1, 제 2 플랭크 (4A, 4B) 의 착좌면 (3) 측에 큰 경사각 (여유각) 으로 경사하는 제 2 플랭크 (4B) 에 이어져 착좌면 (3) 에 수직으로 된 제 3 플랭크 (4D)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3 플랭크 (4D) 와 착좌면 (3) 까지의 사이가 착좌면 (3) 측을 향함에 따라 팁 본체 (1) 내측으로 후퇴하도록 경사되는 구속면 (4C) 으로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주절삭날 (7) 의 타단 (7B) 측과 같이 제 2 플랭크 (4B) 에 구속면 (4C) 이 직접 이어져 있는 것에 반하여, 이들 제 1, 제 2 플랭크 (4A, 4B) 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부의 바로 아래에서 팁 본체 (1) 에 큰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주절삭날 (7) 의 일단 (7A) 측이나 여기에 이어지는 코너칼날 (6) 주변은, 팁 본체 (1) 를 공구 본체 (11) 에 부착하 는 상태에서 그 회전방향 (T) 측에 위치하여 주절삭날 (7) 중에서 최초로 가공물에 달라붙게 되기 때문에, 이렇게 달라붙었을 때 충격적 부하가 작용하여 치핑이나 결손 등이 생기기 쉽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그러한 부분에 팁 본체 (1) 의 두께를 확보함으로써 이러한 충격적 부하에 대해서도 충분한 강도를 얻는 것이 가능해져, 이로 인해 팁 수명의 연장을 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플랭크 (4) 는 제 1, 제 2 플랭크 (4A, 4B) 및 구속면 (4C) 이 착좌면 (3) 측을 향하게 하여 팁 본체 (1) 의 내측으로 후퇴하는 경사면이 되는 동시에, 상기 제 3 플랭크 (4D) 도 착좌면 (3) 에 수직으로 되어 있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팁 본체 (1) 의 전체둘레에 걸쳐 절삭날 (6∼8) 로부터 착좌면 (3) 에 이르는 동안 팁 본체 (1) 의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거나 볼록해지거나 하지 않는 형상이 되고, 즉 이른바 언더커팅부를 갖지 않는 측면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 금형에 의해 분말성형체를 프레스 성형하여 해당 팁을 제조한 경우에도 확실하고 비교적 간략한 금형에 의해 프레스 성형이 가능하다는 이점도 얻어진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free angle) which is large in the seating surface 3 side of the 1st, 2nd flanks 4A, 4B formed in the end shape in this way in the said one end 7A side of the main cutting blade 7 is as follows. 3rd flank 4D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3 is formed following the 2nd flank 4B which inclines to (3), and between this 3rd flank 4D and the seating surface 3 is seated. It is the restraint surface 4C which inclines so that it may retreat inward toward the tip main body 1 as it goes to the surface 3 side, For example, it is the 2nd flank (like the other end 7B side of the main cutting blade 7). While the restraint surface 4C is directly connected to 4B, a large thickness can be ensured in the tip main body 1 directly under the end formed by these first and second flanks 4A and 4B. . By the way, the one end 7A side of this main cutting blade 7 and the periphery of the corner blade 6 which follow this are the rotation direction T in the state which attaches the tip main body 1 to the tool main body 11, and is attached. Since it is located on the side and sticks to the workpiece for the first time among the main cutting edges 7, the impact load acts easily when chipping,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p main body (1) Securing the thick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obtain sufficient strength against such an impact load, thereby prolonging the tip life. In addition, the flank 4 becomes an inclined surface which retracts the inside of the tip main body 1 with the first and second flanks 4A, 4B and the restraining surface 4C facing the seating surface 3 side, The third flank 4D is also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3, and as described above, while reaching from the cutting edges 6 to 8 to the seating surface 3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tip body 1. Since it becomes a shape which does not incline or become convex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tip main body 1, that is, has a side shape which does not have a so-called undercutt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wder molded body is press-molded by a press mold and Even when the tip is manufactured, the advantage of being press-molded by a reliable and relatively simple mold is also obtained.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팁 본체 (1) 를 평면에서 보아 개략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평판형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레이크면이 형성되는 면이 코너칼날이 형성되는 각부와 이것에 이어져 주절삭날이 형성되는 변릉부를 적어도 하나씩 갖는 다각형면이라면,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또 상기 제 1, 제 2 플랭크 (4A, 4B) 를, 착좌면 (3) 측을 향하여 팁 본체 (1) 의 내측으로 후퇴하도록 형성해도 되고, 주절삭날 (7) 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팁 본체 (1) 의 외측으로 볼록굴곡되면서 착좌면 (3) 측을 향함에 따라 후퇴하는 볼록곡면형으로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회전절삭 공구에서는 공구 본체 (11) 선단부 외주에 형성된 팁포켓 (12) 이, 상기 부착상태에서의 팁의 주절삭날 (7) 을 측면에서 보는 형상과 마찬가지로 회전방향 (T) 측으로 볼록굴곡되면서 공구 본체 (11)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회전방향 (T) 의 후방을 향하도록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이 주절삭날 (7) 에 의해 절삭분이 잘 떨어지게 생성된 절삭분을 공구 본체 (11) 의 후단측에 효율적이고 빠르게 배출할 수 있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유효 절삭날 길이 이상의 깊이의 수직 가공면을 절삭하는 경우나 또는 그 회전절삭 공구에 의해 홈 가공을 하는 경우에도 절삭분의 체류에 의한 씹힘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tip main body 1 is formed in planar view which forms rough parallelogram by planar view, the surface in which the rake surface is formed is connected with the corner part in which a corner blade is formed, and the main cutting edge is formed in this. If it is a polygonal surface which has at least one edge, it may be another shape. Further, the first and second flanks 4A and 4B may be formed so as to retreat to the inside of the tip main body 1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side, and the tip main body at a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cutting edge 7. It may be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that retreats toward the seating surface 3 side while being convexly curved to the outside of (1). In the rotary cutting tool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p pocket 12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tal end of the tool main body 11 has a rotational direction T similar to the shape in which the main cutting edge 7 of the tip in the attached state is viewed from the side. Since it is convexly curved toward the back side and curved toward the rear end side of the tool body 11 toward the rear end side, the cutting powder generated by the main cutting blade 7 so that the cutting powder falls well It can be discharged efficiently and quickly to the rear end side of the main body 11, and it cuts even when cutting the vertical processing surface of depth more than the effective cutting edge length as mentioned above, or when grooving by the rotary cutting tool.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chewing etc. by retention of minutes beforehand.

이와 같이, 주절삭날이, 회전절삭 공구의 공구 본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한 원통면상에 포함되는 일없이 이 축선 둘레 회전궤적의 투영선 (그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한 투영선) 이, 그 양단을 향함에 따라 중간부가 매끈하게 접한 원통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볼록원호형이 되도록 평면에서 보아 볼록곡선형으로 형성된 팁 및 회전절삭 공구에서는, 주절삭날이 소정 위치에서 기울도록 팁이 공구 본체에 부착되더라도 그 경사가 상기 투영선이 이루는 볼록원호를 따른 방향이라면 절삭되는 수직 가공면에 전사되는 이 투영선 자체는 변화하는 일이 없다. 그 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회전절삭 공구를 축선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이동시켜 절삭하는 경우의 가공면끼리의 조인트는, 이 볼록원호형의 투영선을 축선방향으로 움직여 겹친 것을 전사한 단면 산형 형상이 되지만, 그 투영선이 이루는 원호의 반경을 충분히 크게 설정함으로써 그 높이를 억제하여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게 되는 동시 에 개개의 가공면도 보다 평탄에 가까운 수직면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이렇게 하여 단계적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상기 원통면끼리가 공구 본체의 휨 등에 의해 일치하지 않아도 조인트가 커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고정밀도이고 조인트가 눈에 띄지 않는 높은 면 품위의 수직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projection line (projection line with respect to the plane including the axis line)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is axis is not included on the cylindrical surface centered on the tool body axis of rotation of the rotary cutting tool. In the case of the tip and rotary cutting tools formed in a convex curve in plan view so that the intermediate portion becomes a convex arc facing inward from the smoothly contacted cylindrical surface, even if the tip is attached to the tool body so that the main cutting edg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f the inclination is in the direction along the convex arc formed by the projection line, the projection line itself transferred to the vertical machining surface to be cut does not change.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joints of the machining surfaces in the case of cutting by rotating the rotary cutting tool in the axial direction step by step move the projection line of the convex arc in the axial direction to form a cross-sectional mountain shape in which the overlap is transferred. By setting the radius of the circular arc formed by the projection line sufficiently large, the height can be suppressed and made inconspicuous, while the individual machining surfaces can also be made into a vertical plane closer to flatness. In addition, the joints do not become large even when the cylindrical surfaces at the time of stepwise movement do not coincide due to the bending of the tool body, etc., resulting in a high-precision vertical machining surface with high precision and inconspicuous joints. You can get it.

또, 상기 주절삭날은 플랭크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아 그 상기 일단에서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볼록굴곡되면서 착좌면측을 향하는 볼록곡선형으로 되어 있고, 이와 함께 그 주절삭날에 이어지는 레이크면도 마찬가지로 볼록굴곡되는 볼록곡면상으로 형성되는 데 더하여, 이 주절삭날의 상기 투영선이 볼록원호형을 이루도록 평면에서 보아도 주절삭날이 볼록곡선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주절삭날에 의해 수직 가공면을 절삭할 때에는 상기 투영선을 전사한 오목형에 의해 크게 만곡된 절삭분이 볼록굴곡된 레이크면 상으로 흘러나오게 된다. 따라서, 절삭분을 보다 더 레이크면에서 분리되기 쉽게 하여 빨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한층 더 고속으로 절삭을 촉구하여 절삭효율이 현저한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일단에서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볼록굴곡되면서 착좌면측을 향하는 주절삭날이, 공구 본체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그 회전방향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기 때문에, 이 주절삭날의 타단측, 즉 깊게 절삭할 때 사용되는 공구 후단측에서 그 실제 레이크각을 크게 할 수 있고, 이렇게 깊게 절삭할 때 폭이 넓은 절삭분이 생성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절삭분 분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utting edge is convexly curved toward the seating surface side while being convexly curved toward the other end side from the one end from the side facing the flank, and the rake surface following the main cutting edge is convex as well. In addition to being formed on the curved convex surface, since the main cutting edge is convex curve even in plan view so that the projection line of the main cutting edge forms a convex arc shape, the vertical cutting surface is cut by this main cutting edge. In this case, the cutting powder largely curved by the concave shape transferring the projection line flows out on the convexly curved rake surface. Therefore, the cutting powder can be more easily separated from the rake surface, so that the cutting powder can be processed more quickly, and the cutting efficiency can be urged to be cut at a higher speed, resulting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utting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the main cutting edge facing toward the seating surface side while being convexly curv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ide in this way is attached so as to extend to the rear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oward the rear end side of the tool body, The actual rake angle can be increased at the other end of the cutting edge, that is, at the rear end of the tool used for deep cutting, and excellent cutting separation can be maintained even when a wide cutting powder is generated during deep cutting. .

그리고, 본 발명의 팁에서는, 상기 주절삭날에 이어지는 레이크면이, 그 레이크면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착좌면측을 향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회전 절삭 공구에서 이러한 팁을 공구 본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의 그 레이크면이 주절삭날에 대하여 이루는 레이크각 (래이디얼 레이크각) 을 정각측에 설정할 수 있어, 절삭저항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이 경사면이 된 레이크면이 팁 본체의 착좌면에 대한 경사각을 주절삭날의 상기 일단에서 타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게 하는 한편, 이 부착상태에서 그 레이크면이 이루는 레이크각을, 그 주절삭날 상기 일단에서 타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 후에 점차 커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공구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회전방향 후방으로 기울어진 주절삭날의 상기 레이크각이 공구 선단측의 일단과 후단측의 타단에서 현저히 달라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레이크면의 내측에서는 주절삭날의 양단보다도 사이 부분이 보다 볼록해지도록 그 경사면을 주절삭날을 따라 만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좋은 절삭분 분리의 향상을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tip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ke surface following the main cutting edge is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seating surface side toward the inside of the rake surface, and the tip is attached to the tool body in the rotary cutting tool. The rake angle (radial rake angle) formed by the rake surface with respect to the main cutting edge can be set on the right angle side, whereby the cutting resistance can be reduced. At this time, the inclined rake surface of the tip body gradually decreases as the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of the tip main body is directed from the on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main cutting edge, while the rake angle formed by the rake surface in this attached state is adjusted. The rake angle of the main cutting edge inclined to the rea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s increased since the main cutting edge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from the one end to the other end. Since the inclined surface can be curved along the main cutting edge so that the part between the ends of the main cutting edge becomes more convex than the both ends of the main cutting edge, while preventing the remarkably different from one end of the tool tip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rear end side.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eparation of the cutting powder.

또, 여기에서 예를 들어 상기 수직 가공면의 바닥측에 이것과 직교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주절삭날 투영선의 양단이 상기 원통면의 내측을 향하는 후퇴량을, 그 주절삭날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공구 본체 외주 후단측에 위치하는 그 주절삭날의 타단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이 바닥면측의 수직 가공면이 상기 원통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는 크기도 작아지기 때문에, 이들 수직 가공면과 바닥면이 교차하는 코너부의 주위를 보다 직각교차에 가까운 상태로 형성할 수 있어, 한층 고품위인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이 된 상기 레이크면의 내측에, 그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착좌면측에 오목한 단면 오목원호형의 오목면을 상기 평면에서 보아 상기 주절삭날과 대략 등간격으로 상기 레 이크면의 전제 둘레에 걸쳐 형성하면, 레이크면 상을 흘러나온 절삭분이 이 오목면에 이르렀을 때 보다 확실하게 절삭분을 제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forming the bottom surface orthogonal to this at the bottom side of the said vertical process surface, for example here, the retraction amount which the both ends of the said main cutting-edge projection line face inward of the said cylindrical surface is the main cutting edge Since the vertical machining surface on the bottom side is smaller in size from the cylindrical surface toward the inner side by making it smaller than the other end of the main cutting edge located on the tool body outer circumferential rear end side at the one end of the tool body, these vertical machining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The periphery of this intersecting corner part can be formed in a state closer to the perpendicular crossing, and a higher quality processed surfac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n the plane of the rake surface which is inclined surface as described above, a concave surface of a concave arc-shaped cross section concave from the inclined surface to the seating surface side is viewed in the plane, and at approximately equal intervals from the main cutting blade, the lake surface If it forms over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cutting powder which flowed out on the rake surface can be removed more reliably than when this cutting surface reached this concave surface.

한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주절삭날에 이어지는 상기 플랭크는, 그 주절삭날에 이어져 상기 착좌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후퇴하도록 경사되는 제 1 플랭크와, 이 제 1 플랭크의 상기 착좌면측에 이어져 그 제 1 플랭크보다도 큰 경사각에서 점차 후퇴하도록 경사하는 제 2 플랭크를 구비한 것으로 하고, 이들 제 1, 제 2 플랭크를 상기 측면에서 보아 상기 주절삭날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볼록굴곡되면서 상기 착좌면측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특히 레이크면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경사면으로 한 경우에는 여유각이 작아지는 상기 제 1 플랭크에 의해 주절삭날의 칼끝각을 확보하여 결손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주절삭날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직 가공면 사이의 플랭크량은 제 1 플랭크보다 여유각이 커지는 제 2 플랭크에 의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더구나 이들 제 1, 제 2 플랭크가 주절삭날과 마찬가지로 측면에서 보아 볼록굴곡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절삭날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제 1, 제 2 플랭크의 폭을 대략 일정하게 하여 부분적으로 플랭크량이 부족한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팁은 일반적으로 플랭크의 형상에 맞춘 내주면을 갖는 프레스금형의 다이에 레이크면 및 착좌면의 형상에 각각 맞춘 펀치면을 갖는 상하 펀치를 삽입하고, 이들 다이의 내주면과 펀치면에 의해 구획형성되는 캐비티 내에서 초경합금 등의 팁 원료분말을 압축하고 압분체를 성형하여 이것을 소결함으로써 제조되지만, 이 때 상기 플랭크에 이러한 제 1, 제 2 플랭크를 형성해 두면, 압분체의 제 2 플랭크를 성형하 는 다이의 내주면 부분과 레이크면을 성형하는 상부 펀치의 펀치면 외주측 부분에서 원료분말이 밀도가 높게 압축되게 되고, 이렇게 하여 성형된 압분체를 소결하였을 때의 주절삭날 부분의 소결변형을 억제하고, 특히 이 주절삭날의 정밀도가 높은 팁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도 얻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flank following the main cutting edg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lank is inclined so as to retreat gradually toward the seating surface side after the main cutting blade, and is connected to the seating surface side of the first flank The second flank is inclined so as to retreat gradually at an inclination angle larger than the first flank, and the first and second flanks are convexly curved from one end of the main cutting edge toward the other end as viewed from the side. By forming the seat surface toward the seating surface side, especially when the rake surface is set to the inclined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lank whose clearance angle becomes small can ensure the knife tip angle of the main cutting blad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and the like. At the same time, the flank amount between the vertical working surfaces formed by the main cutting edge is the second flank whose clearance angle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flank. It can be sufficiently secured by the stroke, and furthermore, since these first and second flanks are formed to be convexly curved from the side like the main cutting edge, the first and second flanks of the first and second flanks By making the width substantially consta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ituation where the flank amount is partially insufficient. In addition, such a tip inserts an up-and-down punch having a punch surface respectively adapted to the shape of a rake face and a seating surface into a die of a press mold having an inner circumferential face adapted to the shape of a flank, and is partition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face and the punch face of these dies. It is manufactured by compressing a tip raw material powder such as cemented carbide and forming a green compact in the cavity to be formed and sintering it. At this time, if the first and second flanks are formed on the flank, the second flank of the green compact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ortion of the die and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punch surface of the upper punch for forming the rake surface, the raw material powder is densely compressed, thereby suppressing the sintering deformation of the main cutting edge portion when the formed green compact is sintered. In particular,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a tip with high precision of the main cutting edge can be obtained.

그리고, 다시 이렇게 하여 주절삭날에 이어지는 플랭크에 이러한 제 1, 제 2 플랭크를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주절삭날의 적어도 상기 일단측에서 다시 제 2 플랭크의 상기 착좌면측에 이어져 그 착좌면에 수직으로 된 평면상의 제 3 플랭크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이 제 2 플랭크로부터 착좌면에 걸쳐 단순히 착좌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후퇴하는 플랭크로 한 경우에 비하여, 제 2 플랭크의 바로 착좌면측에서 팁 본체측면에 의해 큰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공구 본체에 부착하는 상태에서 그 회전방향측에 위치하여 주절삭날 중 최초로 가공물에 달라붙게 되는 상기 주절삭날의 일단측에 특히 높은 절삭날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이렇게 달라붙을 때의 충격에 의해 이 주절삭날 일단측이나 이것에 이어지는 코너칼날에 결손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n, when the first and second flanks are formed in the flank subsequent to the main cutting edge in this way, at least from one end side of the main cutting blade to the seating surface side of the second flank again and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By forming a planar third flank of the tip, the tip body at the seating surface side of the second flank, for example, as compared to a flank that gradually retreats from the second flank simply toward the seating surface side over the seating surface. Large thickness can be ensured by the side surfa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sure a particularly high cutting edge strength at one end side of the main cutting edge which is positioned on the rotational side in the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tool main body and is first stuck to the workpiece among the main cutting edges. The impact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on the one end side of the main cutting edge or the corner blades following the main cutting edge.

Claims (6)

대략 다각형 평판상을 이루는 팁 본체의 일방의 다각형면에 레이크면이 형성되고, 이 레이크면의 각부에는 상기 일방의 다각형면에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원호형을 이루는 코너칼날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코너칼날의 일단에 이어지는 상기 레이크면의 변릉부에는 상기 팁 본체의 측면을 플랭크로 하는 주절삭날이 형성되어 있고, 축선 둘레에 회전되는 공구 본체에, 상기 경사면을 공구 회전방향을 향하게 하고, 상기 코너칼날을 상기 공구 본체의 선단 외주측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주절삭날이 그 공구 본체 외주에서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회전방향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는 스로 어웨이 팁으로서, A rake surface is formed on one polygonal surface of the tip main body forming a substantially polygonal flat plate shape, and corner portions of the rake surface forming a substantially arcuate shape in a plane opposite to the one polygonal surface are formed. The cutting edge of the rake surface which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rner blade is formed with a main cutting blade flanked by the side of the tip body, the tool body rotated around the axis, the inclined surface facing the tool rotation direction, As a throwaway tip which is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tip of the tool body and is extended so that the main cutting blade extends to the rear sid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toward the rear end of the tool main body, 상기 주절삭날에 이어지는 레이크면은, 그 레이크면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한 착좌면이 되는 상기 팁 본체의 타방의 타단면측을 향하는 경사면이 되고, 그 상기 착좌면에 대한 경사각은, 그 주절삭날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는 한편, 상기 공구 본체에 부착한 상태에서 그 레이크면이 이루는 레이크각은, 그 주절삭날 상기 일단에서 타단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 후에 점차 커지게 되어 있는 동시에, The rake surface following the main cutting edge becomes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other end surface side of the tip body, which is a seating surface with respect to the tool body as it faces the inner side of the rake surface, and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seating surface. Silv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one end of the main cutting edge toward the other end, while the rake angle formed by the rake surface in the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tool main body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end of the main cutting edge toward the other end. After getting smaller, it becomes bigger, 상기 주절삭날은 상기 평면에서 보아 상기 레이크면의 외측에 볼록이 되는 볼록곡선 모양이 되는 동시에 상기 플랭크에 대향하는 측면에서 보아도 상기 코너칼날의 일단에 이어지는 일단에서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볼록굴곡되면서 상기 착좌면측을 향하는 볼록곡선 모양이 되고, The main cutting blade is convexly cur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rake surface as seen from the plane and at the same time as seen from the side facing the flank, while being convexly curved toward one end from the one end of the corner blade. It becomes the convex curve shape toward the seating surface side, 상기 부착상태에서, 이 주절삭날의 상기 축선 둘레 회전궤적의 투영선은, 그 중간부에서 그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면에 매끄럽게 접하는 동시에 양단을 향함에 따라 이 원통면의 내측을 향하는 볼록원호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In the attached state, the projection line of the rotational axis around the axis of the main cutting edge is convex arc-shaped toward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surface as it faces both ends smoothly in contact with the cylindrical surface centered on the axis at its middle portion. A throwaway tip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날의 투영선의 양단이 상기 원통면의 내측을 향하는 후퇴량은, 그 주절삭날의 상기 일단에서 상기 공구 본체 외주후단측에 위치하는 그 주절삭날의 타단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The retraction amount of both ends of the projection line of the main cutting edge toward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surface is larger than the other end of the main cutting edge located at the tool body outer circumferential rear end side of the main cutting edge. A throwaway tip characterized by being smal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경사면이 된 상기 레이크면의 내측에는, 그 경사면에서 상기 착좌면측으로 오목해지는 단면 오목원호형의 오목면이, 상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주절삭날과 대략 등간격으로 상기 레이크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The concave surface of the concave arc-shaped cross section which is concave from the inclined surface to the said seating surface side in the inside of the said rake surface which became an inclined surface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said main cutting edge in the said planar view. A throwaway tip,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rake surface at interval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날에 이어지는 플랭크는, 그 주절삭날에 이어져 상기 착좌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후퇴하도록 경사진 제 1 플랭크과, 이 제 1 플랭크의 상기 착좌면측에 이어져 그 제 1 플랭크보다도 큰 경사각으로 점차 후퇴하도록 경사하는 제 2 플랭크를 구비하고, 이들 제 1, 제 2 플랭크는 상기 측면에서 보아 상기 주절삭날의 일단에서 타단측을 향함에 따라 볼록굴곡되면서 상기 착좌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4. The flan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lanks following the main cutting edge are inclined to retreat gradually along the main cutting edge toward the seating surface side, and the flanks of the first flank A second flank inclined so as to retreat at an inclination angle larger than the first flank to the seating surface side, and these first and second flanks are directed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side of the main cutting edge as viewed from the side; A throwaway ti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vexly curved to face the seating surface si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절삭날의 적어도 상기 일단측에서는 상기 제 2 플랭크의 더욱 상기 착좌면측에 이어져 그 착좌면에 수직이 된 평면상의 제 3 플랭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 팁.The throwaway tip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planar third flank is formed on at least one end side of the main cutting edge further to the seating surface side of the second flank and perpendicular to the seating surfac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로 어웨이 팁이,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공구 본체에, 상기 레이크면을 공구 회전방향을 향하게 하여 상기 코너칼날을 상기 공구 본체의 선단 외주측에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주절삭날이 그 공구 본체 외주에서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회전방향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 어웨이식 회전절삭 공구.The throwaway tip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corner blade is positioned on the tip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tool main body with the rake surface facing the tool rotational direction in the tool main body rotated about an axis. And the main cutting blade is attached so as to exten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rotation direction as the main cutting blade faces the rear end side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ool main body.
KR1020050014937A 2004-04-06 2005-02-23 Throw-away tip and throw-away type rotary cutting tool KR10102898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2078 2004-04-06
JP2004112078 2004-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133A true KR20060043133A (en) 2006-05-15
KR101028986B1 KR101028986B1 (en) 2011-04-12

Family

ID=3506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937A KR101028986B1 (en) 2004-04-06 2005-02-23 Throw-away tip and throw-away type rotary cutting too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8986B1 (en)
CN (1) CN100503107C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7018B (en) * 2009-03-24 2014-04-23 日立工具股份有限公司 Cutting tip replacement type rotary tool
JP5773085B2 (en) * 2012-09-27 2015-09-02 株式会社タンガロイ Cutting insert and cutting edge exchangeable rotary cutting tool
EP2939780B1 (en) * 2012-12-27 2021-06-16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insert and rotary cutting tool with replaceable blade edge
US9527142B2 (en) * 2013-02-19 2016-12-27 Iscar, Ltd. High speed milling tool and tangential ramping milling insert therefor
AT14069U1 (en) * 2014-02-20 2015-04-15 Ceratizit Austria Gmbh Indexable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US10350687B2 (en) * 2014-10-16 2019-07-16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insert having outwardly inclined side surface and inwardly inclined lower surface, and rotary cutting tool
TWI508805B (en) * 2014-12-23 2015-11-21 Hsin Tien Chang Discarded milling cutter
US10549358B2 (en) * 2015-02-26 2020-02-04 Kyocera Corporation Insert, dri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 same
JP6559506B2 (en) * 2015-08-27 2019-08-14 株式会社Lixil Toilet se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S2926902T3 (en) * 2016-10-27 2022-10-31 Pramet Tools Sro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KR101901755B1 (en) * 2017-03-30 2018-09-28 한국야금 주식회사 High feed single-sided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for mounting the same
EP3616814A4 (en) * 2017-04-25 2021-01-20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Cutting insert
US11207741B2 (en) * 2017-07-26 2021-12-28 Kyocera Corporatio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JP6990245B2 (en) * 2017-07-27 2022-01-12 京セラ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for cutting inserts, cutting tools and cutting materials
CN107350530B (en) * 2017-08-31 2024-01-23 炎陵欧科亿数控精密刀具有限公司 Indexable insert for large feed milling
US10525539B2 (en) * 2018-01-08 2020-01-07 Kennametal Inc. Compression milling cutter with indexable cutting inserts
JP6507355B1 (en) * 2018-06-19 2019-05-08 株式会社タンガロイ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JP6744599B1 (en) * 2019-03-01 2020-08-19 株式会社タンガロイ Cutting insert
CN113573834A (en) * 2019-03-27 2021-10-29 住友电工硬质合金株式会社 Cutting insert
CN111408770A (en) * 2020-04-21 2020-07-14 江苏博安工具有限公司 High-strength twist dril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0721C2 (en) * 1993-01-27 1994-08-15 Sandvik Ab Cut with twisted chip surface
SE506679C2 (en) * 1995-06-21 1998-01-26 Seco Tools Ab Cutting tools, preferably for milling
SE520997C2 (en) * 2001-01-09 2003-09-23 Sandvik Ab Reversible cutter with grooved coupling surface against the holder and central material portion for faste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986B1 (en) 2011-04-12
CN1680062A (en) 2005-10-12
CN100503107C (en)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986B1 (en) Throw-away tip and throw-away type rotary cutting tool
US7040844B1 (en) Throwaway insert and throwaway-type rotary cutting tool
EP1584390B1 (en) Throwaway insert and throwaway-type rotary cutting tool
JP4710857B2 (en) Insert detachable rolling tool
JP6853442B2 (en) Cutting inserts and cutting tools with replaceable cutting edges
CN102548694B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and cut workpiece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me
US7201543B2 (en) Twist drill and method for producing a twist drill which method includes forming a flute of a twist drill
KR101184162B1 (en) Throw-away tip for radius cutter and throw-away radius cutter having the same
JP4603550B2 (en) Cutting insert for high speed feed face milling
JP5853613B2 (en) Cutting insert
CN103328142A (en) End mill for cutting of high-hardness materials
CN109641293B (en) Cutting insert and indexable insert type rotary cutting tool
CN109862981B (en)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t product
EP3260225B1 (en) Turning insert
US20110097976A1 (en) Twist drill and method for producing a twist drill which method includes forming a flute of a twist drill
EP2636472B1 (e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t product using same
KR20130115362A (e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ut product using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JP5218673B2 (en) Cutting inserts and cutting tools
JP4710858B2 (en) Insert detachable rolling tool
JP4816723B2 (en) insert
JPS625726B2 (en)
JP3483859B2 (en) Indexable insert and milling tool to which indexable insert is attached
JP7417137B2 (en) Cutting inserts and indexable ball end mills
JP7464877B2 (en) Cutting inserts and indexable cutting tools
JP6086180B1 (en) Replaceable blade cutting tool and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