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0508A -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0508A
KR20060040508A KR1020040090141A KR20040090141A KR20060040508A KR 20060040508 A KR20060040508 A KR 20060040508A KR 1020040090141 A KR1020040090141 A KR 1020040090141A KR 20040090141 A KR20040090141 A KR 20040090141A KR 20060040508 A KR20060040508 A KR 20060040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ot
level
pixel
image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0508A/ko
Publication of KR20060040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5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87Multi-toning, i.e. converting a continuous-tone signal for reproduction with more than two discrete brightnesses or optical densities, e.g. dots of grey and black inks on white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은 연속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속 영상을 다수 개의 계조를 가지는 픽셀들로 구성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로 변환하는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 단계 및 픽셀에 상응하는 영상 매트릭스의 계조에 기반하여, 픽셀 상에 도트를 출력하는 도트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도트 출력 단계는, 도트가 출력되는 픽셀을 소정 개수의 부분 도트 영역으로 분할하는 픽셀 분할 단계 및 분할된 부분 도트 영역이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에 상응하는 계조를 가지도록 부분 도트를 출력하는 부분 도트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 단계는, 부분 도트의 개수 및 영상의 계조 레벨에 기반하여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부분 도트 출력 단계는, 기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들의 중심점을 설정하는 중심점 설정 단계 및 중심점으로부터 최근점으로부터 개시하여 부분 도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멀티 레벨 계조를 가지는 영상을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partial dots representing multi-level gray level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진 영상 생성 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멀티 레벨 영상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의 제1 픽셀에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의 제2 픽셀에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의 제3 픽셀에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의 제4 픽셀에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e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의 제6 픽셀에 부분 도 트가 인쇄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f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 전체에 부분 도트들이 인쇄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여러 레벨의 계조를 표현하는 인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픽셀을 다수개의 부분 도트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도트 영역에 부분 도트를 인쇄함으로써, 표현할 수 있는 계조를 증가시킨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및 스캐너 등의 보급에 힘입어, 디지털 영상 정보가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디지털 영상 정보는 아날로그 영상 정보에 비하여 에러 보정 및 압축이 용이하며 디지털 장비를 이용하여 고속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연속적인 디지털 영상 정보는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이진 영상으로 변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진 영상 생성 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영상 정보는 순서 디더링(ordered dithering), 오차 확산법(error diffusion), 블루 노이즈 마스킹(blue noise masking) 및 직접 이진 검색(DBS, direct binary search) 등의 방법을 조합하여 이진 영상으로 변환된다. 순서 디더링은 기설정된 임계 행렬을 이용하여 화소의 이진값을 결정하며 고속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저 해상도의 프린터에서는 고정된 임계값을 사용하기 때문에 시각에 거슬리는 규칙적인 패턴에 의한 화질의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순서 디더링에는 인쇄되는 도트들의 클러스터를 형성하게 하는 클러스터 도트 순서 디더링(clustered dot ordered dither) 방법과 도트들이 확산되도록 인쇄하는 확산 도트 순서 디더링(dispersed dot ordered dither) 방법이 있다. 오차 확산법은 픽셀의 이진화로 인한 양자화 오차(quantization error)를 해당 픽셀에 인접하는 픽셀로 확산시키는 방법이다. 오차 확산을 통하여 에지 부분이 명료하고 우수한 화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오차 확산법은 저속으로 동작하며,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에 벌레 모양의 패턴(worm-like pattern)이 나타나는 단점을 가진다. 오차 확산법에는 색상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양자화 오차를 확산하는 스칼라 오차 확산법과 각각의 색상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벡터 칼라 공간상에서 양자화 오차를 확산하는 벡터 오차 확산법이 있다.
하프톤으로 처리된 영상은 흑색과 백색으로만 표현이 된다. 그러나 인간이 하프톤 영상을 보면 시각과 뇌의 작용에 의해 공간적으로 적분이 일어나게 되어 마치 저역 통과 필터를 거친 것과 같은 효과가 나서 연속 계조의 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하프토닝은 저 해상도의 프린터에서 고화질의 출력 영상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하프톤 영상은 다양한 회색 음영효과를 내기 위해 흑색과 백색 점의 패턴과 밀도가 변화되는, 디더링이라는 처리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계조가 오직 0과 1의 값으로만 표현되는 이진 레벨 하프톤 방법과는 다르게 멀티 레벨 하프토닝은 0과 1이외에도 여러 개의 레벨의 계조를 더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다. 구현되는 계조가 증가될수록 인쇄되는 영상의 품질은 향상된다. .
따라서, 프린터에서 구현할 수 있는 계조의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한 멀티 레벨 구현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픽셀을 다수 개의 부분 도트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도트 영역에 다수 개의 부분 도트를 인쇄함으로써, 세분화된 부분 도트를 통해 전체 영상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멀티 레벨 계조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멀티 레벨 구현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도, 다양한 레벨의 계조를 구현할 수 있는 프린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연속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속 영상을 다수 개의 계조를 가지는 픽셀들로 구성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로 변환하는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 단계 및 픽셀에 상응하는 영상 매트릭스의 계조에 기반하여, 픽셀 상에 도트를 출력하는 도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도트 출력 단계는, 도트가 출력되는 픽셀을 소정 개수의 부분 도트 영 역으로 분할하는 픽셀 분할 단계 및 분할된 부분 도트 영역이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에 상응하는 계조를 가지도록 부분 도트를 출력하는 부분 도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 단계는, 부분 도트의 개수 및 영상의 계조 레벨에 기반하여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부분 도트 출력 단계는, 기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들의 중심점을 설정하는 중심점 설정 단계 및 중심점으로부터 최근점으로부터 개시하여 부분 도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프린터 장치는 연속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속 영상을 다수 개의 계조를 가지는 픽셀들로 구성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로 변환하는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부 및 픽셀에 상응하는 영상 매트릭스의 계조에 기반하여, 픽셀 상에 도트를 출력하는 인쇄부로서, 도트가 출력되는 픽셀을 소정 개수의 부분 도트 영역으로 분할하는 픽셀 분할부 및 분할된 부분 도트 영역에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에 상응하는 계조를 가지도록 부분 도트를 출력하는 부분 도트 출력부를 포함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부는, 부분 도트의 개수 및 영상의 계조 레벨에 기반하여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부분 도트 출력부는, 기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들의 중심점을 설정하고, 설정된 중심점으로부터 최근점으로부터 개시하여 부분 도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부는, 디더링(dithering), 오차 확산법(error diffusion), 블루 노이즈 마스킹(blue noise masking) 및 직접 이진 검색(DBS, direct binary search)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부분 도트 출력부는,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하여 부분 도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멀티 레벨 계조를 가지는 영상을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멀티 레벨 영상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영상 정보가 수신된다(S210).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정보에 구현할 계조에 상응하도록 부분 도트의 개수를 결정한다(S220). 부분 도트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구현할 수 있는 계조의 개수도 증가된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한 멀티 레벨 영상 출력 방법에서는, 레이저 프린터의 기술적인 특징을 최대로 고려하여 최적화된 이진 레벨 입력 영상을 기초로 하여 하나의 픽셀을 1/P 크기를 가지는(P : 부분 도트의 개수) 부분 도트로 세분화하 여 멀티 레벨 하프톤 영상을 구현한다.
부분 도트의 개수(P)가 결정되면, 영상의 계조 및 부분 도트의 개수의 기반하여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를 구성한다(S230).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는 수신된 영상 정보의 계조를 확장한 영상 매트릭스이다.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는 디더링(dithering), 오차 확산법(error diffusion), 블루 노이즈 마스킹(blue noise masking) 및 직접 이진 검색(DBS, direct binary search)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블루 노이즈 마스킹은 오차 확산법과 순서 디더링을 결합한 것으로서, 픽셀값의 비교만으로 하프토닝 처리된 결과 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블루 노이즈 마스크는 공간 주파수에서 고주파 영역에서 평탄한 대역을 가지게 되며 블루 노이즈 특성을 가지는 이진 패턴을 생성하는 2차원의 마스크이다. 여기에서 블루 노이즈란 공간 주파수 상에서 고주파 성분을 뜻한다. 블루 노이즈 특성은 인간 시각에 있어서 아주 좋은 패턴을 나타내며 주기적 패턴이 나타나는 저주파수 특성과는 상반되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 직접 이진 검색 방법은 검색 기반의 하프토닝 방법으로서, 오차 확산법보다 우수한 하프톤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직접 이진 검색을 이용할 경우 토글(toggle) 및 스워핑(swap)을 이용하여 최상의 하프톤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영상 처리 방법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그러면, 구성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에 상응하여 각각의 픽셀에 부분 도트를 인쇄한다. 부분 도트 인쇄 단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최초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40). 만일 현재 인 쇄되는 부분 도트가 최초 부분 도트일 경우에는 영상 매트릭스의 중심을 중심점으로 설정한다(S260). 중심점은 부분 도트의 인쇄 순서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최초의 부분 도트의 경우 이전에 인쇄된 부분 도트가 없기 때문에 영상 매트릭스의 중심에서부터 인쇄를 수행한다.
만일, 사전에 인쇄된 부분 도트가 존재한다면, 기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을 고려하여 새로운 중심점을 연산한다(S250). 그리하여, 새로이 연산된 중심점으로부터 근접한 순서대로 해당 픽셀의 부분 도트들을 인쇄한다(S270). 부분 도트들을 중심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순서대로 인쇄하는 것은 전자 사진 방식 프린터 장치의 특징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부분 도트의 인쇄가 종료되면 인쇄된 부분 도트가 해당 픽셀의 최후 부분 도트인지 여부가 판단되고(S280), 최후 부분 도트일 경우 종료한다.
부분 도트를 인쇄하는 순서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는 각각 1 내지 156의 번호가 부여된 16 개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픽셀들에 부여된 번호는 해당 픽셀이 인쇄될 순서를 나타낸다. 인쇄된 픽셀들의 계조값이 상호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픽셀들을 동시에 인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의 제1 픽셀에 부분 도 트가 인쇄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의 각 픽셀들은 각각 3개의 부분 도트 영역들로 분할된다. 부분 도트 영역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음은 명백하다.
도 4a에 도시된 제1 픽셀은 3개의 부분 도트 영역들(311, 312, 313)로 분할되고, 분할된 부분 도트 영역들(311, 312, 313) 각각의 인쇄 순서는 1, 2, 3으로 표시된다. 부분 도트가 최초로 인쇄되기 때문에, 제1 픽셀의 중심에 위치된 부분 도트 영역(312)을 중심점으로 결정하고 부분 도트들을 인쇄한다.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의 제2 픽셀에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픽셀은 각각 3개의 부분 도트 영역들(321, 322, 323)로 분할된다. 그러면, 분할된 부분 도트 영역들에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우선, 기 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들의 중심점을 연산한다. 제2 픽셀 이전에 인쇄된 제1 픽셀의 부분 도트 영역을 고려하여 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의 중심점을 연산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픽셀의 3개의 부분 도트 영역들(도 4a의 311, 312, 313)이 인쇄되었으므로, 그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 도트 영역(도 4a의 312)이 중심점으로 유지된다. 그러면, 연산된 중심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부분 도트 영역(321)으로부터 부분 도트가 인쇄된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분 도트 영역(321, 322, 323)들은 우측 방향으로 인쇄된다.
도 4c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의 제3 픽셀에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제3 픽셀은 각각 3개의 부분 도트 영역들(331, 332, 333)로 분할된다. 그러면, 기 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들의 중심점을 연산한다. 제3 픽셀 이전에 인쇄된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부분 도트 영역을 고려하여 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의 중심점을 연산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픽셀 및 제2 픽셀의 총 6개의 부분 도트 영역들(도 4a의 311, 312, 313 및 도 4b의 321, 322, 323)이 인쇄되었으므로, 그 중심에 해당하는 부분 도트 영역이 중심점으로 유지된다. 그러면, 연산된 중심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부분 도트 영역(331)으로부터 부분 도트가 인쇄된다. 도 4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분 도트 영역(331, 332, 333)들은 우측 방향으로 인쇄된다.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의 제4 픽셀에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에 도시된 제4 픽셀은 3개의 부분 도트 영역들(341, 342, 343)로 분할된다. 기 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들(311, 312, 313, 321, 322, 323, 331, 332, 333)을 고려하여 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들의 중심점이 연산된다. 그러면, 연산된 중심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부분 도트 영역(341)으로부터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다. 도 4d에 도시된 부분 도트 영역들(341, 342, 343)은 부분 도트 영역(341)부터 개시하여 좌측 방향으로 인쇄되는 것이 도 4c에 도시된 부분 도트 영역(331, 332, 333)의 경우와 상이하다.
도 4e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의 제6 픽셀에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e에 도시된 제6 픽셀은 3개의 부분 도트 영역들(351, 352, 353)로 분할되고, 기 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들을 고려하여 연산된 중심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부분 도트 영역(351)으로부터 부분 도트가 인쇄되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다. 도 4e에 도시된 부분 도트 영역들(351, 352, 353)은 부분 도트 영역(351)부터 개시하여 우측 방향으로 인쇄된다.
도 4f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 전체에 부분 도트들이 인쇄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f는 도 3에 도시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300) 중 제14 픽셀 및 제16 픽셀에 부분 도트가 인쇄된 순서를 도시한다.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4 픽셀에 포함되는 부분 도트 영역들(361, 362, 363)은 부분 도트 영역(40)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인쇄되고, 제 16 픽셀에 포함되는 도트 영역들(371, 372, 373)은 부분 도트 영역(46)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인쇄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부분 도트 영역이 모두 인쇄된 후에는 새로운 중심점이 연산되고, 후속 픽셀은 연산된 중심점을 이용하여 부분 도트를 인쇄한다. 그러므로, 전 단계 및 다음 단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지금까지 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의 전체 중심점과 앞으로 인쇄될 부분 도트 영역들 중 가장 가까운 부분 도트 영역이 인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4*4의 크기를 가지는 이진 레벨 영상의 경우 구현할 수 있는 계조는 모두 16개이지만, 각각의 픽셀을 P 개의 부분 도트 영역으로 분할하 면, 구현할 수 있는 계조의 개수가 16*P 만큼 증가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의 기술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부분 도트들이 클러스터링(clustering)하도록 부분 도트들을 인쇄한다. 레이저 프린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픽셀을 세분화하여 표현함으로써 하나의 픽셀을 인쇄하는 것보다 많은 부분 도트들을 인쇄할 수 있으며 부분 도트들이 클러스터링 하도록 성장되므로 결과물이 안정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인쇄 장치(500)는 영상 정보 수신부(510),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부(530), 인쇄 제어부(550) 및 인쇄부(590)를 포함한다.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부(530)는 영상 정보 수신부(510)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멀티 레벨의 계조값을 가지는 영상 매트릭스로 변환한다. 변환된 영상 매트릭스는 각각 다수 개의 계조값을 가지는 다수 개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부(530)에서 생성된 영상 매트릭스는 인쇄 제어부(550)로 전송된다. 인쇄 제어부(550)는 픽셀 분할부(540) 및 부분 도트 출력부(560)를 포함한다.
픽셀 분할부(540)는 수신된 영상 매트릭스에 포함되는 각각의 픽셀들을 다수 개의 부분 도트 영역으로 분할한다. 한 픽셀 당 분할되는 부분 도트 영역들의 개수는 예를 들면 3개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한 픽셀을 다수 개의 부분 도트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부분 도트 영역이 분할되면 부분 도트 출력부(560)가 수신된 영상 매트릭스에 상응하도록 부분 도트 영역에 부분 도트를 출력한다. 부분 도트 출력부(560)가 부분 도트를 출력하는 순서는 기존에 인쇄된 부분 도트 영역들의 중심점으로부터 가장 근거리에 위치된 부분 도트 영역부터 가장 원거리에 위치된 부분 도트 영역까지 인쇄되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다.
인쇄부(590)는 다양한 인쇄 방식에 따라서 인쇄를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전자사진방식의 인쇄 장치에 포함되는 인쇄부를 도시한다. 따라서, 인쇄부(590)에는 현상부(592), 전사부(594), 정착부(596) 및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598)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인쇄 제어부(550)는 생성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에 상응하도록 픽셀을 분할하고, 분할된 픽셀에 부분 도트를 출력하도록 구동부(598)를 제어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에에서, 부분 도트 출력부(560) 및 픽셀 분할부(540)는 인쇄 제어부(550)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구성에 불과하다. 따라서, 부분 도트 출력부(560) 및 픽셀 분할부(540)는 인쇄 제어부(550)와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부(530) 및 인쇄 제어부(550) 모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인쇄 장치(5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어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전자 사진 방식의 인쇄부가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종류의 다른 인쇄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인쇄부도 포함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하나의 픽셀을 다수 개의 부분 도트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부분 도트 영역에 다수 개의 부분 도트를 인쇄함으로써, 세분화된 부분 도트를 통해 전체 영상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멀티 레벨 계조 구현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별도의 멀티 레벨 구현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도, 다양한 레벨의 계조를 구현할 수 있는 프린터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5)

  1. 연속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속 영상을 다수 개의 계조를 가지는 픽셀들로 구성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로 변환하는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 단계 및
    상기 픽셀에 상응하는 상기 영상 매트릭스의 계조에 기반하여, 상기 픽셀 상에 도트를 출력하는 도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출력 단계는,
    상기 도트가 출력되는 상기 픽셀을 소정 개수의 부분 도트 영역으로 분할하는 픽셀 분할 단계 및
    분할된 상기 부분 도트 영역이 상기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에 상응하는 계조를 가지도록 부분 도트를 출력하는 부분 도트 출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 단계는,
    상기 부분 도트의 개수 및 상기 영상의 계조 레벨에 기반하여 상기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4.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연속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연속 영상을 다수 개의 계조를 가지는 픽셀들로 구성된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로 변환하는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 생성부 및
    상기 픽셀에 상응하는 상기 영상 매트릭스의 계조에 기반하여, 상기 픽셀 상에 도트를 출력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프린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는,
    상기 도트가 출력되는 상기 픽셀을 소정 개수의 부분 도트 영역으로 분할하는 픽셀 분할부 및
    분할된 상기 부분 도트 영역에 상기 멀티 레벨 영상 매트릭스에 상응하는 계조를 가지도록 부분 도트를 출력하는 부분 도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프린터 장치.
KR1020040090141A 2004-11-06 2004-11-06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및장치 KR200600405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141A KR20060040508A (ko) 2004-11-06 2004-11-06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141A KR20060040508A (ko) 2004-11-06 2004-11-06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508A true KR20060040508A (ko) 2006-05-10

Family

ID=37147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141A KR20060040508A (ko) 2004-11-06 2004-11-06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05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0644B2 (en) Tone dependent plane dependent error diffusion halftoning
US5321525A (en) Clustered halftoning with dot-to-dot error diffusion
US5325211A (en) Error diffusion with output and input based feedback
EP0833499A2 (en) Inter-separation color image processing using error diffusion
JPH08279920A (ja) フルカラー画像を再生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H05252386A (ja) エラーフィードバックおよび画像依存エンハンスメントによるハーフトーン処理
US5917951A (en) Clustered aperiodic mask
US5434672A (en) Pixel error diffusion method
US7948659B2 (en) Halftoning device and halftoning method and laser printer including the same
US7136189B2 (en) Color halftoning using a multi-level successive-filling halftone screening algorithm
EP0817466B1 (en) Edge enhanced error diffusion
US59300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or halftoning using different halftoning techniques for halftoning different dot planes
US5598204A (en) Image halftoning system capable of producing additional gradations
US6844941B1 (en) Color halftoning using a single successive-filling halftone screen
US6753978B1 (en) Higher order error diffusion of digital halftoning
JPH08265590A (ja) ハーフトーンカラー画像処理方法
US20060119894A1 (en)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O2006135810A2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multilevel halftone screens using spot functions
US6791718B1 (en) Halftone printing with dither matrices generated by using cluster filters
EP0772934B1 (en) Image display using evenly distributed intensity clusters
US8159720B2 (en) Color error diffusion
US20040090654A1 (en) FM screening with sub-dot phase modulation
US20040085553A1 (en) Multitoning a digital image having at least one group of similar colors channels
KR100708468B1 (ko) 멀티레벨 하프토닝 장치 및 방법
KR20060040508A (ko) 멀티 레벨 계조를 구현하기 위한 부분 도트 인쇄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