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820A -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820A
KR20060039820A KR1020040089053A KR20040089053A KR20060039820A KR 20060039820 A KR20060039820 A KR 20060039820A KR 1020040089053 A KR1020040089053 A KR 1020040089053A KR 20040089053 A KR20040089053 A KR 20040089053A KR 20060039820 A KR20060039820 A KR 20060039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packet
received
cells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9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9820A/ko
Publication of KR20060039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6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etermining packet size, e.g. maximum transfer unit [MTU]
    • H04L47/365Dynamic adaptation of the packet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0Packet switch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witching fabric construction
    • H04L49/104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switching fab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 스위칭 방식에서 셀 분할 및 정합에 관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패킷을 셀로 분할하여 전송할 시에 분할된 셀이 해당 패킷의 처음, 중간, 끝, 셀 순서 등을 나타내는 필드들을 사용하는 대신에 셀 순서와 패킷의 끝을 나타내는 필드만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에서 패킷 전송시 네트워크 장비간의 부하를 줄이고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셀 스위칭, 프레임 스위칭, 랜 스위칭, 패킷 스위칭

Description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ORWARDING PACKE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셀 스위칭 방식에서 패킷 분할 방식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셀 스위칭 방식을 설명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분할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재정합 처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분할 방식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분할 처리부의 제어부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재정합 처리부의 제어부의 흐름도.
본 발명은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 스위칭(Cell Switching)방식에서 셀 분할 및 정합에 관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위칭(Switching)이란, 여러 개의 통신 채널을 병렬적으로 연결하여 동시에 여러 네트워크 장비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리고, 기존의 이더넷(Ethernet) 또는 토큰링(Token-Ring)과 같은 공유 매체 LAN과 다르게 전용 매체 교환 기술을 이용하며, 스위치(Switch)에 연결된 모든 스테이션(Station)이 동시에 데이터를 송출 할 수 있어 모든 사용자들이 10 Mbps 이더넷으로 음성과 화상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스위칭의 이점은 시스템 수행능력의 증가, 감소된 충돌, 저렴한 설비 증가 비용, 개선된 안전성 등을 들 수 있다.
스위치는 중소 규모의 워크 그룹 LAN(Local Area Network) 대역폭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등장했다. 기존에 투자한 LAN 카드, 허브, 케이블 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스위치는 기존의 이더넷 같은 공유 매체 LAN과 다르게 전용 매체 교환 기술을 사용한다.
논리적인 측면에서 보면 스위치는 브리지(Bridge : 데이터 링크 계층)와 상당히 유사한 방식으로 트래픽을 처리한다. 덩치가 큰 로컬 네트워크를 작은 세그먼트로 불리시켜, 각 세그먼트가 다른 세그먼트의 트래픽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완전한 접속성을 유지한 채로 총 대역폭을 증가시켜 준다.
현재 백본(Backbone) 네트워크에서 운용충인 스위칭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것은 프레임 스위칭(LAN 스위칭)과 셀 스위칭 방식이다. 프레임 스위칭은 라우터(Router) 포트(port)를 소모하지 않으며, 새로운 NIC(Network Interface Card)를 요구하지도 않고, LAN 세그먼트(Segment)의 성능을 향상시켜 준다. 스위칭의 포트가 LAN에 추가되는 대로 전체 처리율(Throughput)이 증가하며 네트워킹의 성능도 향상된다. 프레임 스위칭은 공유 메모리 또는 내부 버스를 통해 패킷을 전송하는 브리지와 달리 고속 스위칭 구조를 주변에 만든다. 이에 따라 프레임 스위칭은 낮은 처리율, 낮은 레이턴시(Latency), 포트당 저렴한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프레임 스위칭은 네트워크 주변에서 LAN 성능을 향상 시켜 주며, 백본의 혼잡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프레임 스위칭은 LAN의 속도와 아키텍쳐(Architecture)에 따라 제한을 받는다. 또한 멀티미디어 전송에는 제한을 받는다. 하지만 멀티미디어와 같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100Mbps 이상의 속도로 스위칭이 이루어져야 한다. 여기에 제공될 수 있는 기술적인 방법이 고정 크기의 데이터 형식을 사용하는 셀 스위칭(Cell Switching)이다. 셀 스위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위칭을 위하여 표준 프로토콜 형식의 데이터를 주어진 특정 장비 업체의 셀 형식으로 변환해 주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셀 스위칭 방식에서 패킷 분할 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패킷 분할 방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먼저 전송하려고 하는 패킷(100)을 일정한 크기의 셀(Cell)(102,104,...106)들로 분할한다. 참조부호 102인 셀은 상기 전송 패킷(100)을 분할했을 경우의 처음 셀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04인 셀은 상기 패킷(100)을 분할했을 경우 두 번째 셀을 나타내며, 참조부호 106인 셀은 상기 패킷(100)을 분할했을 경우 마지막 셀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대로 셀 스위칭에서는 송신 측에서 패킷을 고정크기로 나누어 각각을 셀로 분할하는데, 수신측에선 상기 셀들을 재정합하기 위해 수신된 셀이 패킷의 처음인지 마지막인지 표시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셀 헤더에는 패킷의 시작을 알리는 SOP(Start Of Packet), 패킷의 중간을 알리는 MOP(Middle Of Packet), 패킷의 끝을 알리는 EOP(End Of Packet)와 셀의 순서를 표시하기 위한 SN(Sequence Number) 등을 표시해 주는 필드를 할당한다.
상기 도 1을 예를 들자면, SOP(1)(108)은 상기 패킷(100)의 셀 중 첫 번째 셀(102)임을 의미하고, MOP(0)(110)은 전체 패킷(100)의 셀 중 가운데 셀이 아님을 의미하고, EOP(0)(112)는 전체 패킷(100)중 상기 셀(102)이 마지막 셀이 아님을 의미하고, SN(0)(114)는 상기 셀(102)이 첫 번째 셀 임을 의미한다.
참조부호 116인 부분은 상기 패킷(100)을 셀로 분할하여 전송할 때 각 셀마다 패킷의 목적지의 주소 및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참조부호 118인 셀 페이로드는 상기 패킷(100)의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또한, 두 번째 셀(104)의 SOP(0)(120)은 상기 셀(104)이 첫 번째 셀임을 의미하며, MOP(1)은 상기 셀(104)이 가운데 셀 임을 의미하는 부분이며, EOP(0)(124) 는 상기 셀(104)이 마지막 셀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며, SN(1)(126)는 상기 셀(104)이 상기 패킷(100)의 두 번째 셀임을 의미한다.
상기 패킷(100)의 마지막 셀(106)의 SOP(0)(128)는 상기 셀(106)이 첫 번째 셀이 아님을 의미하며, MOP(0)(130)은 상기 셀(106)이 중간의 셀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며, EOP(1)은 상기 셀(106)이 상기 패킷(100)의 마지막 셀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만일 분할된 셀이 0부터 k까지라고 한다면, SN(k)(134)는 상기 셀(106)이 k+1번째 셀임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패킷 시작(SOP), 패킷 중간(MOP), 패킷 끝(EOP)을 표시하기 위해 각각 1비트를 할당하고, 순서 번호(SN)을 위해 N 비트를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N은 클수록 연속된 셀 손실을 식별해 낼 수 있는 능력은 커지지만, 그만큼의 오버헤드(Overhead)가 커져서 대역폭 효율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셀 손실은 집중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Burst error), 연속된 셀 손실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N 값이 적당히 커야 한다.
그런데, 보통 시스템 내부는 16비트 또는 32비트 단위로 동작한다. 그렇기 때문에 셀 수신측에게 제어 메시지를 보내거나 기타 필요한 요청을 하기 위해 헤더에 추가되는 1 비트로 인하여 16비트나 32비트에 해당하는 대역폭이 낭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에서 패킷 전송시 네트워크 장비간의 부하 를 줄이고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셀 분할 및 정합에 관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패킷 스위칭을 사용하는 셀 스위칭 방식에서 외부에서 수신된 패킷을 셀로 분할하여 스위치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된 패킷을 일정 크기의 셀로 분할하고 상기 셀에 헤더를 첨부하는 패킷 처리부와, 상기 수신된 패킷과 상기 일정 크기로 분할된 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일정 크기로 분할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셀을 상기 스위치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송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된 패킷을 셀로 분할하여 특정한 헤더를 첨부하여 상기 스위치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패킷 스위칭을 사용하는 셀 스위칭 방식에서 외부에서 수신된 패킷을 셀로 분할하여 스위치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을 고정크기의 셀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셀의 헤더에 전송 및 재정합에 필요한 정보를 첨부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셀을 네트워크나 스위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 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사항 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기지국 1(200)은 상기 패킷(100)을 송신하는 송신단이며, 상기 기지국 1(200)은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202)를 통하여 기지국 3(204)으로 상기 패킷(100)을 전송한다. 이때 상기 도 1에서 전술한 바대로 전송하려는 상기 패킷(100)은 상기 기지국 1(200)의 패킷 분할 처리부(206)에서 일정 크기의 셀들(102, 104,...106)로 분할하고, 상기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202)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 3(204)으로 전송된다.
상기 기지국 3(204)은 상기 분할 된 셀들(102, 104,...106)을 패킷 재정합 처리부(208)에서 재정합 하여 원하는 패킷을 복원한다.
그러면, 상기한 패킷 분할 처리부(206)와 상기 패킷 재정합 처리부(208)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분할 처리부(206)의 구성도로서,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먼저, 외부에서 패킷이 수신 인터페이스부(306)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3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입력된 패킷을 패킷 처리부(304)에서 고정된 셀 단위로 나누어 각 셀들의 헤더에 각 셀들의 정보를 첨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302)는 상기 헤더들이 첨부된 셀들을 메모리(300)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300)에 저장된 셀들을 순서대로 송신 인터페이스부(306)를 통해 네트워크나 스위치(202)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패킷 재정합 처리부(208)의 구성도로서,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먼저, 수신 인터페이스부(406)는 외부 망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 측에서 분할된 셀들을 입력받고, 제어부(402)는 입력된 셀들을 셀 헤더 처리부(404)를 통해 원래 패킷으로 재정합한다. 메모리(400)는 상기 입력된 셀들이 저장되며, 상기 셀 헤더 처리부(404)에 의해 재정합된 패킷이 저장되기도 한다. 상기 메모리(400)에 재정합된 패킷은 송신 인터페이스부(406)를 통해 외부망 또는 상위 계층으로 전송된다.
그러면 이하에서 앞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송신측에서 패킷을 분할하고, 다시 수신측에서 상기 분할된 패킷을 재정합하는 과정을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셀 스위칭 방식을 사용하는 패킷 분할 처리부(206)에서의 패킷 분할 방식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의 패킷 분할 방식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먼저 외부에서 전해진 패킷(500)을 고정 크기의 셀 크기(502, 504,...506)에 맞추어 분할한다. 분할된 각 세그먼트들은 하나씩 셀로 변환되는데, 각 셀마다 추가되는 셀 헤더에 현재 셀의 종류를 표시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타입이 존재한 다.
각 타입은 비트 표현(Bit representation)을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가지 타입을 함께 가진 셀을 나타내도록 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도 5에서 패킷 분할 처리부(206)가 패킷을 셀들로 분할 할 시에 상기 각 셀들의 헤더에 셀들의 순서를 표시하는 SN(Sequence Number)와 해당 셀이 패킷의 마지막 부분임을 표시하는 EOP(End Of Packet)를 표시한다.
예를 들자면, 첫 번째 셀(502)의 EOP(0)(508)은 상기 패킷(500) 중 마지막 셀이 아님을 의미하고, SN(0)(510)은 전체 셀 중 첫번째 셀임을 의미한다.
참조부호 512인 부분은 상기 패킷(500)을 셀로 분할하여 전송할 때 각 셀마다 패킷의 목적지의 주소 및 제어 정보를 저장한다. 참조부호 514인 셀 페이로드는 상기 패킷(100)의 실제 데이터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두 번째 셀(504)의 EOP(0)(516)은 상기 패킷(500) 중 마지막 셀이 아님을 의미하고, SN(1)(518)은 전체 셀 중 두 번째 셀임을 의미한다.
마지막 셀(506)의 EOP(1)(520)은 상기 패킷(500) 중 마지막 셀임을 의미하며, 만일 분할된 셀이 0부터 k까지라고 한다면, SN(k)(134)는 상기 셀(106)이 k+1번째 셀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 1에서 상술했던 SOP 와 MOP 필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부가적인 제어정보가 필요할 시에 여유롭게 다른 여유 필드를 사용하여 여유롭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럼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부의 패킷 분할 처리부(206)와 수신부의 패킷 재정합 처리부(208)의 동작 흐름도를 살펴보기로 하겠으며, 각각의 동작은 상기 도 3과 도 4에서 설명된 구성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분할 처리부(206)의 동작 흐름도이다.
600단계에서 상기 패킷 분할 처리부(206)의 제어부(302)는 수신 인터페이스부(306)를 통해 외부망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600단계에서 패킷이 수신된다면, 상기 제어부(302)는 6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패킷 처리부(304)를 통해 상기 수신된 패킷을 고정 크기의 셀들로 분할한다.
60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패킷 처리부(304)를 통해 마지막 셀 까지 SN 필드에 분할된 셀 순서대로 표시하며, EOP 필드에는 0을 표시한다. 상기 604단계에서 분할된 셀 순서대로 SN 필드의 넘버링이 끝나면, 606단계에서 상기 제어부(302)는 전송되기 전에 마지막 셀의 EOP필드에 상기 패킷 처리부(304)로 하여금 "1"을 표시하게 한다.
반면 상기 606단계에서 마지막 셀이 아닌 셀들은 상기 604단계에서 설정된 방법으로 상기 제어부(302)가 송신 인터페이스부(306)로 하여금 상기 셀들을 스위치나 네트워크로 송신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킷 재정합 처리부(208)의 동작 흐름도이다.
700단계에서 상기 패킷 재정합 처리부(206)의 제어부(402)는 수신 인터페이스부(406)를 통해 외부망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셀이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700단계에서 셀이 수신된다면, 상기 제어부(402)는 7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셀 헤더 처리부(404)를 통해 상기 수신된 셀의 SN 필드가 "0"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70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2)는 수신된 셀의 SN 필드가 "0"이라면, 704단계로 진행하여 EOP 필드가 "1"인지를 검사한다. 반면, 상기 702단계에서 SN 필드가 "0"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402)는 분할된 패킷의 첫 셀이 아니기 때문에 71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셀을 폐기한다.
상기 70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2)는 EOP 필드가 "1"이 아니라면, 분할된 패킷의 마지막 셀이 아니기 때문에 706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셀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반면, 상기 704단계에서 EOP 필드가 "1"이라면, 상기 분할된 패킷의 마지막 셀 까지 수신되었기 때문에 72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2)가 수신된 셀들로 패킷을 재정합한다.
상기 706단계에서 수신된 셀을 메모리에 저장하면, 70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2)는 수신 인터페이스부(406)를 통해 외부망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새로운 셀이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708단계에서 새로운 셀이 수신되면, 7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2)는 SN에 맞게 수신되었는지 검사하여 아니라면, 정상적으로 수신된 셀이 아니기 때문에 71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셀을 폐기한다. 반면, 상기 710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2)는 수신된 셀이 SN순서대로 수신되었다면, 상기 704단계로 진행하여 EOP 필드가 "1"인지를 검사한다.
상기 712단계에서 SN 순서에 맞지 않게 수신된 셀을 폐기한 상기 제어부(402)는 714단계로 진행하여 새로운 셀이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714단계에서 새로운 셀이 수신되는지 검사하는 이유는 상기 710단계에서 SN에 맞지 않는 셀이 수신되면 해당 패킷의 마지막 셀까지 수신하여 폐기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71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02)는 새로운 셀이 수신된다면, 7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셀의 EOP 필드가 "1"인지 검사하여 마지막 셀인지의 여부를 알수 있다.
상기 716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셀 중 EOP 필드가 "1"인 셀이 수신될 때까지 검사하여 EOP 필드가 "1"이 아닌 셀들은 상기 7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셀을 폐기한다. 또한, 상기 716단계에서 EOP 필드가 "1"이라면, 상기 제어부(402)는 SN 순서에 맞지 않게 수신된 에러 셀들이 마지막까지 수신되었음을 인지하여 718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셀을 폐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하면, 패킷을 전달하는 셀 스위칭 기반의 시스템에서 셀 수신측에게 제어 메시지를 보내거나 기타 필요한 요청을 하기 위해 헤더에 추가되는 1 비트로 인하여 16비트나 32비트에 해당하는 대역폭이 낭비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서 패킷 전송시 네트워크 장비간의 부하를 줄이고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Claims (9)

  1. 패킷 스위칭을 사용하는 셀 스위칭 방식에서 외부에서 수신된 패킷을 셀로 분할하여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송신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된 패킷을 일정 크기의 셀로 분할하고 상기 셀에 헤더를 첨부하는 패킷 처리부와,
    상기 수신된 패킷을 임시 저장하고, 상기 패킷이 상기 일정 크기로 분할된 셀들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셀을 상기 스위치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송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된 패킷을 셀로 분할하여 특정한 헤더를 첨부하여 상기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는 패킷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제어부는,
    상기 분할된 셀에 상기 헤더를 첨부할 시 상기 헤더에 패킷의 마지막을 알리는 정보와 해당 셀의 순서를 알리는 정보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장치.
  3. 패킷 스위칭을 사용하는 셀 스위칭 방식에서 외부의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셀들을 패킷으로 재정합하여 외부망이나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나 네트워크로부터 셀들을 수신하는 수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된 셀들의 헤더에 첨부된 정보를 분석하는 셀 헤더 처리부와,
    상기 수신된 셀들을 임시로 저장하며, 상기 수신된 셀들을 재정합한 패킷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재정합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을 외부 또는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송신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수신된 셀들의 헤더를 분석한 후 재정합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패킷을 송신하거나 또는 폐기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패킷 재정합 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셀 헤더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셀들에 첨부된 정보를 근거로, 분할된 셀들의 순서에 맞게 수신되었는지를 검사하여 순서에 맞지 않는다면 폐기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셀 헤더 처리부는,
    분할된 패킷의 마지막 셀인지의 여부를 검사하고, 마지막 셀까지 모두 수신됨을 확인하면, 패킷을 재정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장치.
  6. 패킷 스위칭을 사용하는 셀 스위칭 방식에서 외부에서 수신된 패킷을 셀로 분할하여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을 고정크기의 셀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셀의 헤더에 전송 및 재정합에 필요한 정보를 첨부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셀에 상기 헤더를 결합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셀을 네트워크 또는 스위치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셀의 헤더에 정보를 첨부하는 과정은,
    상기 패킷의 분할된 셀 순서와 상기 패킷의 마지막 셀인지의 여부를 알리는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방법.
  8. 패킷 스위칭을 사용하는 셀 스위칭 방식에서 외부의 스위치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셀들을 패킷으로 재정합하여 외부망이나 상위 계층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셀들의 헤더에 포함된 셀 순서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정합될 패킷의 첫 번째 셀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첫 번째 셀인 경우, 상기 수신된 셀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셀들의 헤더에 포함된 정보가 상기 정합될 패킷의 마지막 셀인지 검사하는 과정과,
    마지막 셀인 경우, 상기 수신된 셀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마지막 셀까지 수신되면 수신된 셀들을 패킷으로 재정합을 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셀 헤더에 있는 정보를 검사하여 셀 순서에 맞지 않는 정보일 경우 상기 수신된 셀을 폐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방법.
KR1020040089053A 2004-11-03 2004-11-03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60039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053A KR20060039820A (ko) 2004-11-03 2004-11-03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053A KR20060039820A (ko) 2004-11-03 2004-11-03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820A true KR20060039820A (ko) 2006-05-09

Family

ID=37146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053A KR20060039820A (ko) 2004-11-03 2004-11-03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98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5339B2 (en) Network congestion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US69704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frame ordering across aggregated links supporting a plurality of quality of service levels
US869949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network node,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US917883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Bridge hop-by-hop compression and frame aggregation
US7136356B2 (en) Packet data transfer method and packet data transfer apparatus
EP15221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virtual hierarchial local area network
US7609702B2 (en) Interworking between cell and packet based networks
US6018530A (en) Method for transmitting using a modified transport control protocol
JP4893581B2 (ja) 多重化通信システム、送信処理装置、受信処理装置、多重化通信方法、送信処理方法、および受信処理方法
US7602809B2 (en) Reducing transmission time for data packets controlled by a link layer protocol comprising a fragmenting/defragmenting capability
US74179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frame relay and ethernet service interworking
US20100189105A1 (en) Efficiency Improvement For Shared Communications Networks
JP2013513290A (ja) 802.11無線インタフェースによる逆多重化
US9197438B2 (en) Packet forwarding node
US83741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payload information in radio transmission
US20220407742A1 (en) Time-sensitive transmission of ethernet traffic between endpoint network nodes
US82952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frames over physical communication links
KR20060039820A (ko)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60054546A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CN115442238A (zh) 业务处理方法、网络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065734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芯片
JP2004088718A (ja) パケット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