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616A - 기능성 복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복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616A
KR20060039616A KR1020040088786A KR20040088786A KR20060039616A KR 20060039616 A KR20060039616 A KR 20060039616A KR 1020040088786 A KR1020040088786 A KR 1020040088786A KR 20040088786 A KR20040088786 A KR 20040088786A KR 20060039616 A KR20060039616 A KR 20060039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thane film
silver
middle layer
body portion
layer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호
조영애
Original Assignee
박진호
조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호, 조영애 filed Critical 박진호
Priority to KR102004008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9616A/ko
Publication of KR2006003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63Accessories for dressings comprising medicaments or additives, e.g. odor control, PH control, debriding,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34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a property
    • A61F13/01038Flexibility, stretchability or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61F5/34Pressure pads filled with air or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부와 외각밴드로 형성하여 몸체부의 중앙부에는 공기공간부를 형성하여, 공기주입구로 공기를 주입시키면 상, 하로만 신축되게 하고, 상기 몸체부 외각밴드에는 은이 코팅된 면이 합지된 기능성복대에 관한 것이다.
기능성 복대. 우레탄필름. 은코팅스판텍스

Description

기능성 복대 및 그 제조방법{Functional Girth }
도1 및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 분해 조립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 중앙부 단면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 분해 후면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의 공기출입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내측 우레탄필름(1),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2'), 제3중간층우레탄필름 (4,4'), 외측우레탄필름(5), 고리(6), 외각밴드(7), 공기주입구(9), 고정구(11), 결착구(화스너)(12), 은코팅스판텍스(40,40'), 공기공간부(60), 몸체부(100), 가열압착부(101).
본 발명은 몸체부와 외측밴드로 형성하여 몸체부의 중앙부에는 공기공간부를 형성하여, 공기주입구로 공기를 주입시키면 상, 하로만 신축되게 하고, 상기 몸체부 외각밴드에는 은이 코팅된 스판텍스가 합지된 기능성복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환자들이 요추부를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해서는 상체를 견인해 줌으로써 요추압박으로 인한 고통을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요추보호 및 치료 목적의 보조로 사용되는 복대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몸체와 이 몸체 좌우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는 암수 구조의 벨크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몸체 내부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압박하여 상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신축관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신축관은 고무재질로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면 부풀어 오르면서 상하 신장됨과 동시에 허리를 압박하여 사용자의 상체가 견일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복대를 이용하여 디스크환자들의 요추부를 교정하거나 치료하는 복대를 이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종래 복대를 상하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탄력밴드가 필요할 뿐 아니라 이러한 탄력밴드는 구조적으로 복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공정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이에 따라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2001-152호에는 공기신축관이 내부에 설치되고 그 외부에 보강밴드가 설치된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에 있어서, 상기 복대의 외측면에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땀흡수용 면부재를 탁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복대 또는 보강밴드와 땀흡수용 면부재에 상호 대응되는 결착수단을 설치한 요추보호 및 치료용복대가 기술되어 있고,
동 공보 공고번호 20-148412호에는 자력선과 찜질효과를 얻기 위한 열선을 내장하고 상기 때 내부에 매직테이프를 고정시키고 있는 띠와 상기 띠의 내부에 지압을 하기 위한 다수개의 안마기와, 상기 디의 외주연부에는 인체에 부착시 밀착이 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튜브를 구비한 복대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제20-222965호에는 일면에 천재질의 외피를 구비한 우레탄 재질의 두 내피를 상호 접착하여 공기 주입구와 연통된 공기 유로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공기 유로에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수직공기관이 형성된 복대에 있어서, 두 내피가 상호 접착되는 수직공기관 사이의 접착부 내측에 소정길이의 신축부재를 신장시킨 상태에서 내설하여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복대가 수직으로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는 복대가 기재되어 있으며, 기타 동 공보 20-170276호에는 공기주입식복대, 동 공보 20-176860호에는 디스크보호 및 치료용 복대, 동 공보 20-240777호에는 이중 기밀이 가능한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가 공개되어 있고,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1401호에는 복대의 후면부와 양측면부, 체결수단이 구비된 전면부로 구분, 형성한 다음, 상기 후면부와 전면부에만 소정의 형태로 공기신축관을 배치시키고, 후면부와 양측면부에 소정 형상의 공기신축관을 각각 독립되게 설치하며, 상기 복대의 후면부에, 공기 신축관을 설치하고 복대의 전면부에 지지편을 설치한 요추 보호 및 치료용 복대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특1998-377호 에는 좌측은 축관으로, 우측은 확관으로 연결부를 갖는 T형 연결관의 각각을 축관이 확관된 부분에 끼워지면서 중첩된 부분을 연결밴드로 결합하여 일정 길이로 되는 공기주입관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주입관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연결관의 하방으로 타측으로만 일정한 폭으로 봉재부가 형성 되면서 막힌 공기 팽창관을 삽입연결하고 이와 같이 삽입연결된 공기 팽창관의 일측으로 팽창 보조관을 중첩한 연결밴드로 결합된 압박복대가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사용시 상하 신축에 원만하지 못하고, 사용시 땀등에 의해 불쾌감을 갖어 내의의 상부에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탄력성 있는 우레탄필름 및 은코팅스판택스를 이용하여 상하로 신축 및 인장되도록 하여 사용자 신체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하며, 외부에는 은코팅된 면으로 합지하여 허리를 보호하면서 항균탈취효과가 있으며 인체에 직접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복대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부와 외측밴드가 우레탄필름으로 형성하여 몸체부의 중앙부에는 공기공간부를 형성하여, 공기주입구로 공기를 주입시키면 상, 하로만 신축되게 하고, 상기 몸체부 외각밴드에는 은이 코팅된 면이 합지된 기능성복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는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하부에 외각밴드를 추가로 형성하여 구성된 기능성 복대로서,
몸체부는 외부가 은코팅스판택스와, 내측 우레탄필름와, 다수개의 또다른 우레탄 시트와 상기 우레탄필름 사이에 탄성유지층을 위치시켜 프레스에 의해 가열 접착시키면, 중앙부에 공기튜브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공기 주입구에 공기를 주입시키면, 사용자의 허리를 압박하여 상체를 견인하도록 구성되는 기능성 복대인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상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몸체부와 외각밴드를 탄력성 있는 탄력성 있는 신축부재인 우레탄필름로 형성하여 복대 사용시 상기한 복대가 상,하 신축되게 하고, 상기 우레탄필름 및 탄력유지층은 얇은 시트 형상이며, 최외부에는 은이 코팅된 은코팅스판택스가 합지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우레탄필름과 은코팅스판택스는 신축시 상하로 신축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형상은 일정한 형태로 굴곡 성형되기 때문에 사용시 구형의 울퉁 불퉁한 상태로 부풀어오르게 한다.
몸체부의 상부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우레탄필름의 한쪽에는 별도의 펌핑기구를 통하여 공기튜브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게 하는 공기주입구가 형성 되고, 중간부를 형성하는 제3중간부층 우레탄필름(4,4')사이에 공기공간층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인체에 접촉되는 내측에는 다수의 자석이나, 옥등을 부착하여 신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위치하여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역활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은은 이 지구상에서 가장 안정성이 높은 항균 금속으로 높이 평가를 하고 있다. 은에 접촉되어 6분간 살아 남는 병균이나 바이러스가 이 지구상에 없다고 보고되고 있다. 은은 인체에 아무런 해를 주지 않고 모든 병균을 살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은을 항균효과를 한국원사시험연구원등에 ppm 단위로 수지 등에 합성시켜 항균검사를 실험해보면 은 함유량이 50PPM 함유되어도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녹초균, 폐렴균, 대장균 등이 99.9% 항균 처리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은용액은 은 200g를 용해조에 넣고 1N 질산 200g를 첨가시키면서 80℃ 정도의 열을 주면서 은(銀)을 용해시킨 후, 탄산카리(K2CO3)(pH12)를 1000g첨가시키면서 서서히 교반하면서 아질산 가스를 날려보내고 pH5 가 되게 한 후, 건조시키면 작은 입자의 은염이 생성되며, 상기 제조된 은염 100g을 물 200g에 용해한 후 분말 산화철(Fe2O3)(약50매시) 30g를 합성시켜 1시간 교반하여 침지시키면 은용액에 함유된 질산염이 산화철에 침지되어 부식상태로 침전물이 생성되면, 여과하여 여과된 침전물 150g를 소량의 탄산칼슘 분말을 투입하여 pH 8.5를 유지시켜 빙초산으로 pH 7로 중화시켜 여과한 은용액 100g를 물 400g로 희석하여 제조된 은용액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공정(은코팅 스판택스제조)
은 200g를 용해조에 넣고 1N 질산 200g를 첨가시키면서 80℃ 정도의 열을 주면서 은(銀)을 용해시킨 후, 탄산카리(K2CO3)(pH12)를 1000g첨가시키면서 서서히 교반하면서 아질산 가스를 날려보내고 pH5 가 되게 한 후, 건조시키면 작은 입자의 은염이 생성되며, 제조된 은염 100g를 물 200g에 용해한 후 분말 산화철(Fe2O3)(약50매시) 30g를 합성시켜 1시간 교반하여 침지시키면 함유된 질산염이 산화철에 침지되어 부식상태로 침전물이 생성되면, 여과하여 여과된 침전물 150g를 소량의 탄산칼슘 분말을 투입하여 pH 8.5를 유지시켜 빙초산으로 pH 7로 중화시켜 여과한 은용액 100g를 물 400g로 희석하여 희석된 은용액을 500g 준비한 후에,
은용액 500g에 약 30분 침지시킨 후에 혼합 교반시킨 후에, 침지된 면시트를 건조기로 이송시켜, 건조기 내에 설치된 열풍기를 이용하여 90℃ 의 열풍으로 2 ~4시간 동안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처리하여 은이 코팅된 은코팅면시트를 제조 한 다음, 스판택스의 일측면에 상기 은코팅면시트를 위치시켜, 프레스로 열압착하 여, 복대 형상으로 절단하여 은코팅스판택스(40,40')를 준비한 후에,
제2공정(몸체부제조공정)
상기 준비된 양단 끝에 결착장치인 결착구(화스너)(12)가 구비된 은코팅스판택스(40)를 작업대에 안치시킨 후에 상하로 인장시켜 통상의 고정장치(고정구)로 고정시킨 후에, 그 상부에 내측우레탄 시트(1)를 작업대에 안치시킨 후에 상하로 인장시켜 통상의 고정장치(고정구)로 고정시킨 다음,
그 상부에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를 위치시킨 후에 상기와 같이 상하로 잡아당겨 고정시킨 후에, 상기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의 상부에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를 안치시킨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상하로 늘려 고정시킨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그 상부에 공기 유출통공이 형성된 다른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 그 상부에 형성된 공기 유출통공이 형성된 다른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와, 그 상부에 공기유출통공이 형성된 외측우레탄필름(5)과, 그 상부에 공기주입구(9)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은코팅스판택스(40')를 차례로 안치시켜 상하로 인장시켜 고정시킨 후에, 프레스로 가열압착시켜, 테두리 부분과 몸체부(100)의 중간부를 가열압착된 가열압착부(101)에 의해 일체화 및 밀폐 고정시키고, 몸체부(100)에 가열압착부(10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100)를 제조한 다음, 고정장치(고정구)에서 탈리시키면 인장시킨 길이 만큼 수축된 상태로 되며, 돌출된 외부를 가공하여 매끄럽게 함과 동시에, 몸체부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고리(6)를 통상의 방법(박음질등)으로 형성하고, 몸체부의 중앙부의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구(11)를 통상의 방법으로 설치하여, 상기 다수개의 시트를 일정간격 고정 시키게 한 다음,
제3공정(몸체부와 외각밴드연결공정)
상기 제1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은코팅면시트가 합지된 외각밴드(7)는 통상의 양단 끝에 결착장치인 결착구(화스너)(12)가 구비된 탄성밴드를 사용하여 몸체부(100)의 외부에 형성된 고리(6)에 끼워 위치하도록 하여 기능성 복대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기능성 복대의 사용은 기능성 복대를 몸체부와 외측밴드를 허리에 감싼 다음,
공기주입구(9)를 통해 펌프로 공기를 주입시키면, 공기는 공기통공이 형성된 은코팅스판택스(40'), 외측우레탄필름(5),다른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 및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어 중간부에 공기중간층(60)에 유입되어 부풀어 상하로 인장되어 허리를 압박하는 것이다,
상기와는 반대로 해체는 공기주입구(9)를 이용하여 공기를 제거하면, 공기공간층(6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몸체부(100)가 원상복귀 되기 때문에 몸체부(100)는 주름진 상태로 수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는 은코팅스판텍스(40,40')가 일체로 합지되어 있으며, 몸체부(100)의 일체화된 가열압착부(101)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로 인장시켜 제조된 우레탄 필름에 의해 좌우로 늘어나지 않고 상하로만 신축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 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 분해 조립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 중앙부 단면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 분해 후면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의 공기출입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내측 우레탄필름(1),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2'),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4'), 외측우레탄필름(5), 고리(6), 외각밴드(7), 공기주입구(9), 내측밴드(10), 고정구(11), 결착구(화스너)(12), 은코팅스판텍스(40,40'), 공기공간부(60), 몸체부(100), 가열압착부(101)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복대형상이며, 중앙부가 약간 넓고, 좌우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좌우 끝단에는 결착구(화스너)(12)가 구비되며, 외측상부 일측에 다수개의 고리(6)가 형성되며, 테두리부분과 중간부에 다수개 이격되어 형성된 가열압착부(101)로 구비된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고리(6)를 관통하여 밴드 형상의 외각밴드(7)가 위치되며, 내측 하부 일측에는 고정구에 의해 몸체부(100)에 일체화된 구조이며,
상기 몸체부(1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코팅면시트가 합지된 은코팅스판택스(40)와, 상기 은코팅스판택스(40)의 상부에 형성된 내측 우레탄필름(1)와, 상기 내측 우레탄필름(1)의 상부에 형성된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와, 상기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의 상부에 형성된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와, 상기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의 상부에 형성되며 공기 유출통공이 형성된 다른 제3중간층우레탄필름 (4')와, 상기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의 상부에 형성되며 공기 유출통공이 형성된 다른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와 상기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의 상부에 형성되며 공기 유출통공이 형성된 외측우레탄필름(5)과, 상기 외측우레탄필름(5)의 상부에 형성되고 공기주입구(9)가 구비되며 은코팅면시트가 합지된 은코팅스판택스 (40')로 구성되며,
상기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와 다른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공간부(60)와, 상기 외측우레탄필름(5)와 다른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 및 다른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의 일측 일부가 관통되며 관통된 부분에 형성된 공기주입구(9)로 구성된 기능성 복대의 구조인 것이다.
실험예 1
아래의 표는 본 발명에 따른 은콜로이드용액의 코팅된 은코팅스판텍스에 대한 세균에 대한 항균 성능 시험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1.
비 고 대조군 실험군
10ppm 나트륨초산 일반 직물 은코팅 면 시트
15분 2분 10분 2.5분 10분
이 콜리(E. Coli NIHJ) 62100 61500 60250 90 3
이 아에로 제네(E. aerogenes) 45260 40250 39980 58 1
비프리오 플루비아리 (Vibrio fluvialis) 56700 52340 50760 76 0
- 대조군 : 10ppm 나트륨초산염 용액으로 15분간 처리한 후 자란 세균 군락수
- 실험군 : 일반직물과 실시예1에 따라 제조된 은콜라이드용액이 코팅 된 은항균 폴리에스테르사 원료칩에 의해 직조된 직물에 각 세균을 2.5분, 10분간 처리후의 세균 군락수
실험예 2(관능검사)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복대를 사용한 디스크환자를 30~40대 남녀 각 10명씩을 패널요원으로 무작위 추출하여 기능성 복대를 사용한 압박감(A), 착용감(B), 인체접촉이질감(C) 에 관한 관능검사 결과는 표2과 같다.
표2 관능테스트 결과
구 분 A B C
본 발명 95 96 95
타사제품1 90 91 90
타사제품2 89 88 85
타사제품3 89 90 84
아주 좋다 10점, 좋다8~9점, 보통6~7점, 나쁘다 4~5,
아주 나쁘다 3점이하.
이상의 본 발명의 기능성 복대는 타사제품과 비교하여 압박감(A), 착용감(B), 인체접촉이질감(C)이 현저하게 개량된 것으로 검사되어, 복대의 기능을 많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탄력성 있는 우레탄필름 및 탄성유지층을 이용하여 상하로 신축 및 인장 되도록 하여 사용자 신체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하며, 외부에는 은코팅된시트로 합지된 은코팅스판택스에 의해 허리를 보호하면서 항균탈취효과가 있으며 인체에 직접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기능성복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공정(은코팅 스판택스제조)
    은 200g를 용해조에 넣고 1N 질산 200g를 첨가시키면서 80℃ 정도의 열을 주면서 은(銀)을 용해시킨 후, 탄산카리(K2CO3)(pH12)를 1000g첨가시키면서 서서히 교반하면서 아질산 가스를 날려보내고 pH5 가 되게 한 후, 건조시키면 작은 입자의 은염이 생성되며, 제조된 은염 100g를 물 200g에 용해한 후 분말 산화철(Fe2O3)(약50매시) 30g를 합성시켜 1시간 교반하여 침지시키면 함유된 질산염이 산화철에 침지되어 부식상태로 침전물이 생성되면, 여과하여 여과된 침전물 150g를 소량의 탄산칼슘 분말을 투입하여 pH 8.5를 유지시켜 빙초산으로 pH 7로 중화시켜 여과한 은용액 100g를 물 400g로 희석하여 희석된 은용액을 500g 준비한 후에,
    은용액 500g에 약 30분 침지시킨 후에 혼합 교반시킨 후에, 침지된 면시트를 건조기로 이송시켜, 건조기 내에 설치된 열풍기를 이용하여 90℃ 의 열풍으로 2 ~4시간 동안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처리하여 은이 코팅된 은코팅면시트를 제조 한 다음, 스판택스의 일측면에 상기 은코팅면시트를 위치시켜, 프레스로 열압착하여, 복대 형상으로 절단하여 은코팅스판택스(40,40')를 준비한 후에,
    제2공정(몸체부제조공정)
    상기 준비된 양단 끝에 결착장치인 결착구(화스너)(12)가 구비된 은코팅스판택스(40)를 작업대에 안치시킨 후에 상하로 인장시켜 통상의 고정장치(고정구)로 고정시킨 후에, 그 상부에 내측우레탄 시트(1)를 작업대에 안치시킨 후에 상하로 인장시켜 통상의 고정장치(고정구)로 고정시킨 다음,
    그 상부에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를 위치시킨 후에 상기와 같이 상하로 잡아당겨 고정시킨 후에, 상기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의 상부에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를 안치시킨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상하로 늘려 고정시킨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그 상부에 공기 유출통공이 형성된 다른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 그 상부에 형성된 공기 유출통공이 형성된 다른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와, 그 상부에 공기유출통공이 형성된 외측우레탄필름(5)과, 그 상부에 공기주입구(9)가 구비되며 상기 제1공정에서 제조된 은코팅스판택스(40')를 차례로 안치시켜 상하로 인장시켜 고정시킨 후에, 프레스로 가열압착시켜, 테두리 부분과 몸체부(100)의 중간부를 가열압착된 가열압착부(101)에 의해 일체화 및 밀폐 고정시키고, 몸체부(100)에 가열압착부(101)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부(100)를 제조한 다음, 고정장치(고정구)에서 탈리시키면 인장시킨 길이 만큼 수축된 상태로 되며, 돌출된 외부를 가공하여 매끄럽게 함과 동시에, 몸체부의 외측에 일정간격 이격하여 고리(6)를 통상의 방법(박음질등)으로 형성하고, 몸체부의 중앙부의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구(11)를 통상의 방법으로 설치하여, 상기 다수개의 시트를 일정간격 고정시키게 한 다음,
    제3공정(몸체부와 외각밴드연결공정)
    상기 제1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은코팅면시트가 합지된 외각밴드(7)는 통상의 양단 끝에 결착장치인 결착구(화스너)(12)가 구비된 탄성밴드를 사용하여 몸체부(100)의 외부에 형성된 고리(6)에 끼워 위치하도록 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대의 제조방법.
  2. 통상의 복대형상이며, 중앙부가 약간 넓고, 좌우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좌우 끝단에는 결착구(화스너)(12)가 구비되며, 외측상부 일측에 다수개의 고리(6)가 형성되며, 테두리부분과 중간부에 다수개 이격되어 형성된 가열압착부(101)로 구비된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고리(6)를 관통하여 밴드 형상의 외각밴드(7)가 위치되며, 내측 하부 일측에는 고정구에 의해 몸체부(100)에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기능성 복대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는 은코팅면시트가 합지된 은코팅스판택스(40)와, 상기 은코팅스판택스(40)의 상부에 형성된 내측 우레탄필름(1)와, 상기 내측 우레탄필름 (1)의 상부에 형성된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와, 상기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의 상부에 형성된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와, 상기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의 상부에 형성되며 공기 유출통공이 형성된 다른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와, 상기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의 상부에 형성되며 공기 유출통공이 형성된 다른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와 상기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의 상부에 형성되며 공기 유출통공이 형성된 외측우레탄필름(5)과, 상기 외측우레탄필름(5)의 상부에 형성되고 공기주입구(9)가 구비되며 은코팅면시트가 합지된 은코팅스판택스(40')로 구성되며,
    상기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와 다른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공간부(60)와, 상기 외측우레탄필름(5)와 다른 제3중간층우레탄필름(4') 및 다른 제2중간층 우레탄필름(2')의 일측 일부가 관통되며 관통된 부분에 형성된 공기주입구(9)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복대.
KR1020040088786A 2004-11-03 2004-11-03 기능성 복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396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786A KR20060039616A (ko) 2004-11-03 2004-11-03 기능성 복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786A KR20060039616A (ko) 2004-11-03 2004-11-03 기능성 복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616A true KR20060039616A (ko) 2006-05-09

Family

ID=3714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786A KR20060039616A (ko) 2004-11-03 2004-11-03 기능성 복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96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777B1 (ko) * 2008-08-25 2009-02-09 문상호 복대
CN105380740A (zh) * 2015-11-02 2016-03-09 俞怡辉 一种充气式牵引器的制作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777B1 (ko) * 2008-08-25 2009-02-09 문상호 복대
CN105380740A (zh) * 2015-11-02 2016-03-09 俞怡辉 一种充气式牵引器的制作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7327A2 (en) Sacroiliac belt and composite structure
WO1999030607A2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dically treat soft tissue damage, lymphedema and edema
JP2015521866A (ja) 患者に着用される治療用サポーター
CN110062613A (zh) 躯干护具以及具有该躯干护具的衣物
KR20060039616A (ko) 기능성 복대 및 그 제조방법
JP2018008004A (ja) 腰プロテクター及びその使用方法
CN204335887U (zh) 双拉紧远红外磁性护腰紧身带
CN209827955U (zh) 一种可替换新型芒硝外敷带
CN209899681U (zh) 一种肾内科康复理疗腰带
CN212465049U (zh) 一种配合精索静脉曲张治疗用内裤
CN215303219U (zh) 一种吸湿透气功能纤维层合医疗短裤
CN216168284U (zh) 一种胸外科用术后创口保护装置
CN213099231U (zh) 一种新型便捷式护腰带
CN210697922U (zh) 一种糖尿病磁疗治疗带
CN214712983U (zh) 一种医用约束带
CN217448171U (zh) 一种用于脚踝扭伤的固定装置
CN218280494U (zh) 一种高透气性髌骨带
CN218684561U (zh) 一种淋巴水肿和静脉溃疡治疗带
CN215025134U (zh) 一种中药外敷装置
CN220327594U (zh) 一种术后绑带
KR200148412Y1 (ko) 복대
CN220572290U (zh) 一种中医康复护理带
CN211884348U (zh) 一种心血管介入术后护理舒缓装置
CN221013604U (zh) 一种收腹带
CN211067299U (zh) 一种疝气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