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327A -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327A
KR20060039327A KR1020040088469A KR20040088469A KR20060039327A KR 20060039327 A KR20060039327 A KR 20060039327A KR 1020040088469 A KR1020040088469 A KR 1020040088469A KR 20040088469 A KR20040088469 A KR 20040088469A KR 20060039327 A KR20060039327 A KR 20060039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oming call
call
call processing
list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민홍
김도형
김선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88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9327A/ko
Publication of KR2006003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내부에 호처리 관련 리스트(허용 리스트, 거절 리스트)를 미리 저장해두고, 착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추출한 발신지 전화번호와 상기 호처리 관련 리스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착신호를 선택적으로 처리(호 연결 허용, 호 연결 거절)함으로써, 무선통신망에 연결하지 않고 스마트폰 상에서 간편히 착신호 연결을 허용하거나 거절할 수 있도록 한,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착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호처리 제어수단에 착신호 수신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통신용 제어수단; 상기 무선통신용 제어수단으로부터 착신호 수신 메세지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착신호로부터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지 전화번호와 호처리 리스트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허용 전화번호 또는 거절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착신호를 처리(착신호 허용 또는 착신호 거절)하기 위한 상기 호처리 제어수단; 선택적 호처리를 위한 호처리 리 스트(허용 리스트 또는 거절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호처리 리스트 저장수단; 및 상기 호처리 제어수단과 상기 무선통신용 제어수단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에 이용됨.
선택적 호처리, 호처리 리스트, 착신호 허용, 착신호 거절, 스마트폰

Description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Smartphone and method for handling incoming call selectively}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마트폰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선택적 착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선택적 착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응용부 211 : 호처리 제어부
212 :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 220 : 무선통신용 모듈
221 : 무선통신용 제어부 222 : RF 신호 처리부
230 : 인터페이스부
본 발명은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 내부에 호처리 관련 리스트(허용 리스트, 거절 리스트)를 미리 저장해두고, 착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추출한 발신지 전화번호와 상기 호처리 관련 리스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착신호를 선택적으로 처리(호 연결 허용, 호 연결 거절)함으로써, 이동통신망에 연결하지 않고 스마트폰 상에서 간편히 착신호 연결을 허용하거나 거절할 수 있도록 한,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이란, 이동통신 단말기(개인 휴대통신 단말기(PCS) 포함)와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의 장점을 합친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기능(음성호 관련 기능 등)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합시킨 단말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착신호란, 스마트폰이 외부 발신지로부터 수신하는 모든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통화를 위한 음성호뿐만 아니라 단문 메세지(SMS)나 멀티 메세지(MMS) 등의 문자 메세지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이동통신 가입자들이 이동통신망에서 통화를 거절 또는 허용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호처리 관련 부가 서비스에 가입해 야 했다.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망에서 이루어지는 호처리 관련 부가 서비스를 살펴보면 크게 특정호 전화번호로 전환하는 호 전환 서비스(Call Forwarding Service), 모든 착신호의 연결을 거절하는 호 거절 서비스(DND: Do-Not-Disturb), 선택된 호만 허용하는 선택적 호 허용 서비스 (Selective Call Acceptance Service), 선택된 호만 거절하는 선택적 호 거절 서비스(Selective Call Refusal Service) 등의 4가지로 나누어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망에서 이루어지는 호처리 관련 부가 서비스는 대부분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에서 처리를 했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들을 사용하는 가입자 각각에 대한 전환, 허용, 거절에 대한 전화번호 리스트를 유지해야 하는 추가적인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또한, 가입자가 상기 서비스들을 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동통신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호처리 관련 부가 서비스에 등록해야 한다는 부담이 발생하며, 전환, 허용, 거절에 대한 리스트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매번 이동통신망과 통신해야하므로 불필요한 망 자원이 사용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망에서 이루어지는 호처리 관련 부가 서비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위치한 메모리에 호 거절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RF 수신부에 수신되는 착신 정보에서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호 거절 전화번호와 비교함으로써, 거절 리스트에 해당하는 호일 경우 호를 거절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와 휴대폰의 기능이 결합된 스마트폰에서는 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마트폰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인 스마트폰은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응용부(110), 이동통신망과 연동하여 착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착신호의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이동통신용 모듈(120), 및 응용부(110)와 이동통신용 모듈(120) 사이에서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응용부(110)는 스마트폰이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할 때 응용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파일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와 응용부(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저장부는 응용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보관하는 저장장치로서 램(RAM) 또는 롬(ROM) 모두 사용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스마트폰이 전화 걸기 프로그램, 문자 송수신 프로그램, 개인정보 관리 프로그램, 워드 편집기, 미디어 플레이어 등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때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을 제어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용 모듈(120)은 MSM 및 RF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MSM은 전화 걸기 프로그램이나 문자 송수신 프로그램과 같은 호처리 기능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이 호처리 기능을 요청하면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이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RF 신호 처리부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아날로그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스마트폰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위한 이동통신용 모듈(120) 내의 MSM과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의 기능을 위한 응용부(110) 내의 제어부 즉, 2개의 독립된 제어기능을 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스마트폰에서는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응용부(110)가 아닌 이동통신용 모듈(120)에서 수행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스마트폰의 이동통신용 모듈(120)은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스마트폰 자체에서 선택적으로 착신호를 거절하거나 허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스마트폰 내부에 호처리 관련 리스트(허용 리스트, 거절 리스트)를 미리 저장해두고, 착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추출한 발신지 전화번호와 상기 호처리 관련 리스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착신호를 선택적으로 처리(호 연결 허용, 호 연결 거절)함으로써, 무선통신망에 연결하지 않고 스마트폰 상에서 간편히 착신호 연결을 허용하거나 거절할 수 있도록 한,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착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호처리 제어수단에 착신호 수신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통신용 제어수단; 상기 무선통신용 제어수단으로부터 착신호 수신 메세지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착신호로부터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지 전화번호와 호처리 리스트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허용 전화번호 또는 거절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착신호를 처리(착신호 허용 또는 착신호 거절)하기 위한 상기 호처리 제어수단; 선택적 호처리를 위한 호처리 리스트(허용 리스트 또는 거절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호처리 리스트 저장수단; 및 상기 호처리 제어수단과 상기 무선통신용 제어수단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스마트폰에서의 선택적 착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착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기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착신호 연결을 하용하고,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기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한 착신호로부터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제 1 착신호 처리 단계;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 와 기등록된 허용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허용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상기 허용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착신호 연결을 허용하고, 상기 허용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착신호 연결을 거절하는 제 2 착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스마트폰에서의 선택적 착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착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모든 착신호를 거절하기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모든 착신호를 거절하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착신호 연결을 거절하고, 모든 착신호를 거절하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수신한 착신호로부터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제 1 착신호 처리 단계;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와 기등록된 거절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거절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상기 거절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착신호 연결을 거절하고, 상기 거절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착신호 연결을 허용하는 제 2 착신호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 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은 크게 응용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PDA 기능을 하며, 외부기기로부터의 착신호를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거절하기 위한 응용부(210), 외부로부터의 착신호를 전달받아 신호처리하고 착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호 수신 메세지를 상기 응용부(210)에 전달하기 위한 무선통신용 모듈(220), 및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하여 상기 응용부(210)와 상기 무선통신용 모듈(220) 사이의 신호 및 데이터 등을 상호 전달해주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응용부(210)와 상기 무선통신용 모듈(220)을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응용부(210)는 호처리 제어부(211), 및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용 모듈(220)은 무선통신용 제어부(221), 및 RF 신호 처리부(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호처리 제어부(211)는 상기 응용부(2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음성 통화 송수신, 메세지 송수신, 데이터 통신 설정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호처리 제어부(211)는 상기 무선통신용 제어부(221)로부터 착신 호 수신 메세지를 전달받음에 따라 착신호로부터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지 전화번호와 상기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허용 전화번호 또는 거절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착신호를 처리(착신호 연결을 허용 또는 착신호 연결을 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스마트폰이 선택적 착신호 허용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호처리 제어부(211)는 상기 착신호로부터 추출한 발신지 번호와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에 저장되어 있는 허용 전화번호 리스트를 비교하여 동일한 전화번호가 있으면 착신호를 연결하고 동일한 전화번호가 없으면 착신호를 거절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스마트폰이 선택적 착신호 거절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호처리 제어부(211)는 상기 착신호로부터 추출한 발신지 번호와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에 저장되어 있는 거절 전화번호 리스트를 비교하여 동일한 전화번호가 있으면 착신호를 거부하고 동일한 전화번호가 없으면 착신호를 연결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호처리 제어부(211)는 미리 설정된 스마트폰의 모드에 따라 착신호 관련 리스트와 추출된 발신지 번호를 비교하여 그에 따라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이 선택적 착신호 허용 모드이거나 선택적 착신호 거절 모드인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거나 거절하는지를 판별하는 과정을 먼저 거쳐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거나 거절하지 않는 경우에 선택적 착신호 허용 또는 거절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이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거나 거절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 우에는 착신호로부터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과정과 발신지 전화번호와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비교하는 과정 즉, 선택적 호처리 과정은 생략되고 바로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여 연결하거나 모든 착신호를 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호처리 제어부(211)는 착신호를 완전히 종료시키거나 착신호를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착신호를 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가지의 방법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착신호 연결을 거절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착신호 연결 거절 방법은 상기의 두 가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두 가지 방법 이외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착신호 연결을 거절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호처리를 하기 위하여 기등록한 호처리 리스트(허용 리스트, 거절 리스트)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에는 허용 리스트만 저장되거나 거절 리스트만 저장될 수 있고, 허용 리스트와 거절 리스트 모두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렇게,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에 저장하는 리스트의 종류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는 것이며, 이는 허용 리스트만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인 경우에는 선택적 허용 모드로만 동작 가능하고, 거절 리스트만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인 경우에는 선택적 거절 모드로만 동작 가능하며 허용 리스트와 거절 리스트 모두가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는 선택적 허용 모드와 선택적 거절 모드의 두 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드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세 가지 모드로 모두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상황에 맞추어 모드를 설정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무선통신용 제어부(221)는 스마트폰에 착신호가 전달됨에 따라 상기 호처리 제어부(211)에 착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호 수신 메세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라고, 상기 RF 신호 처리부(222)는 송수신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외부기기와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선택적 착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스마트폰이 선택적 착신호 허용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스마트폰이 선택적 착신호 허용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착신호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허용하기 위한 모드로 미리 스마트폰을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의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에는 선택적 착신호 연결을 위한 허용 리스트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먼저, 스마트폰이 외부로부터의 착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호처리 제어부(211)로 착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호 수신 메세지를 전달한다(310).
이후, 상기 스마트폰이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기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320).가
상기 판단 결과(320),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스마트폰은 착신호 연결을 허용하여 통화 상태가 되도록 한다(350).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320),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기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수신된 착신호로부터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한다(330).
이후, 상기 스마트폰은 허용 리스트에 상기 추출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340).
상기 판별 결과(340), 허용 리스트에 상기 추출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스마트폰은 착신호 연결을 허용하여 통화 상태로 설정하고(350), 허용 리스트에 상기 추출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착신호 연결을 거절한다(360).
이 때, 상기 착신호를 거절하는 방법으로는 착신호를 완전히 종료시키거나 착신호를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가지의 방법 중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방법에 따라 착신호 연결을 거절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착신호 연결 거절 방법은 상기의 두 가지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두 가지 방법 이외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착신호 연결을 거절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에서 선택적 착신호 처리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로서, 스마트폰이 착신호 거절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스마트폰이 착신호 거절 모드로 동작한다는 것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착신호를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거절하기 위한 모드로 미리 스마트폰을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의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에는 선택적 착신호 거절을 위한 거절 리스트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먼저, 스마트폰이 외부로부터의 착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호처리 제어부(211)로 착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착신호 수신 메세지를 전달한다(410).
이후, 상기 스마트폰이 모든 착신호를 거절하기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420).
상기 판단 결과(420), 모든 착신호를 거절하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스마트폰은 착신호 연결 거절한다(450).
그러나, 상기 판단 결과(420), 모든 착신호를 거절하기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수신된 착신호로부터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한다(430).
이후, 상기 스마트폰은 거절 리스트에 상기 추출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440).
상기 판별 결과(440), 거절 리스트에 상기 추출된 발신지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상기 스마트폰은 착신호 연결을 거절하고(450), 허용 리스트에 상기 추출된 발 신지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착신호 연결을 허용하여 통화 상태로 설정한다(460).
이 때, 상기 착신호 연결 거절 방법은 스마트폰이 착신호 허용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서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에서는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에 허용 리스트 또는 거절 리스트만을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 스마트폰이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호처리 리스트 저장부(212)에 허용 리스트와 거절 리스트 모두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착신호 선택적 허용 또는 거절의 두 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미리 저장해둔 호처리 리스트를 이용하여 외부기기로부터의 착신호를 처리함으로써, 무선통신망에 접속할 필요 없이 간편히 착신호를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수신하고자 하는 착신호만 선택적으로 허용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사용자가 수신을 원하지 않는 착신호만 선택적으로 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에 착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호처리 제어수단에 착신호 수신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한 무선통신용 제어수단;
    상기 무선통신용 제어수단으로부터 착신호 수신 메세지를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착신호로부터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발신지 전화번호와 호처리 리스트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허용 전화번호 또는 거절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착신호를 처리(착신호 허용 또는 착신호 거절)하기 위한 상기 호처리 제어수단;
    선택적 호처리를 위한 호처리 리스트(허용 리스트 또는 거절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상기 호처리 리스트 저장수단; 및
    상기 호처리 제어수단과 상기 무선통신용 제어수단 사이에서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수단
    을 포함하는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 리스트 저장수단은,
    상기 스마트폰이 선택적 착신호 허용 모드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신호를 허용하기 위한 허용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 제어수단은,
    상기 스마트폰이 선택적 착신호 허용 모드임에 따라, 상기 발신지 전화번호로부터 추출한 전화번호가 상기 호처리 리스트 저장수단의 허용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비교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착신호를 연결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착신호를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 제어수단은,
    착신호 연결을 종료하는 방식 또는 착신호를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착신호를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 리스트 저장수단은,
    상기 스마트폰이 선택적 착신호 거절 모드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착신호를 거절하기 위한 거절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 제어수단은,
    상기 스마트폰이 선택적 착신호 거절 모드임에 따라, 상기 발신지 전화번호로부터 추출한 전화번호가 상기 호처리 리스트 저장수단의 거절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비교하여, 저장되어 있으면 착신호를 거절하고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착신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 제어수단은,
    착신호 연결을 종료하는 방식 또는 착신호를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착신호를 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8. 스마트폰에서의 선택적 착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착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기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착신호 연결을 하용하고, 모든 착신호를 허용하기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수신한 착신호로부터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제 1 착신호 처리 단계;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와 기등록된 허용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허용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상기 허용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착신호 연결을 허용하고, 상기 허용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착신호 연결을 거절하는 제 2 착신호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서의 선택적 착신호 처리 방법.
  9. 스마트폰에서의 선택적 착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착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모든 착신호를 거절하기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모든 착신호를 거절하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착신호 연결을 거절하고, 모든 착신호를 거절하기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수신한 착신호로부터 발신지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제 1 착신호 처리 단계;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와 기등록된 거절 리스트를 비교하여 상기 거절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결과, 상기 거절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착신호 연결을 거절하고, 상기 거절 리스트에 상기 추출한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착신호 연결을 허용하는 제 2 착신호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에서의 선택적 착신호 처리 방법.
KR1020040088469A 2004-11-02 2004-11-02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 KR20060039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469A KR20060039327A (ko) 2004-11-02 2004-11-02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469A KR20060039327A (ko) 2004-11-02 2004-11-02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327A true KR20060039327A (ko) 2006-05-08

Family

ID=37146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469A KR20060039327A (ko) 2004-11-02 2004-11-02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93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200B1 (ko) * 2006-12-11 2009-04-16 허기행 인터넷 사이트 간의 자료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200B1 (ko) * 2006-12-11 2009-04-16 허기행 인터넷 사이트 간의 자료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381B1 (en) Virtual telephony assistant
KR101125515B1 (ko) 이동-대-이동 비디오 능력을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EP3285472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ellular networks for call routing
WO2014144263A1 (en) Handling multiple voice calls in multiple sim mobile phone
JP2001306564A (ja) 自動翻訳機能付き携帯端末
US2010008142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Utilizing Multiple Accounts Through A Single Mobile Device
US8050677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handover method
US20120033607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01493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mmunication network selection by recipient
KR10139090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전환 장치 및 방법
US20080273673A1 (en) Handling of telephone calls
KR20050114021A (ko)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전환방법
KR101065560B1 (ko) 착신 전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39327A (ko) 선택적 착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
JP2003087395A5 (ko)
JP2003087395A (ja) 文字メッセージ送信機能付き移動体通信装置
KR2006003765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설정 방법
US20070105596A1 (en)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CN101175274A (zh) 在移动终端中处理连接请求的方法及移动终端
KR10089789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영상 통화 서비스 가입 정보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12238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574656B1 (ko) 그룹 착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0590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전환 방법
KR20040075511A (ko) 단축다이얼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34347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음성/문자 메시지 관리시스템 및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