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183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183A
KR20060039183A KR1020040088266A KR20040088266A KR20060039183A KR 20060039183 A KR20060039183 A KR 20060039183A KR 1020040088266 A KR1020040088266 A KR 1020040088266A KR 20040088266 A KR20040088266 A KR 20040088266A KR 20060039183 A KR20060039183 A KR 20060039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bracket
base
cabine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상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8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9183A/ko
Publication of KR2006003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1Arrangements for transporting, moving, or setting washing machines; Protective arrangements for use during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베이스에 장착된 브래킷에서 레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얇은 평판일때보다 강도가 증대되고, 세탁기의 진동으로 인한 공진현상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의 하부에 복수개의 레그가 구비된 브래킷을 장착하고,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베이스를 장착함으로써, 장착부의 두께가 증대되어 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브래킷의 두께를 조절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설계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세탁기, 베이스, 레그, 브래킷, 단차

Description

세탁기 {Washing Machin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그 어셈블리가 구비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레그 어셈블리가 구비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레그 어셈블리가 확대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레그 어셈블리가 구비된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세탁기 52: 캐비닛
52a: 절곡부 54: 베이스
54a: 플랜지부 54b: 나사홀
60: 레그 어셈블리 62: 제 1레그 어셈블리
64: 제 2레그 어셈블리 66: 제 1브래킷
68: 제 1레그 70: 제 2브래킷
72: 제 2레그 74: 볼트
78: 스토퍼 80: 장착부
80a: 관통홀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그 어셈블리의 브래킷에서 레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강도가 증대되고 세탁기의 진동으로 인한 공진현상이 저감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수에 회전수류를 형성하여 세탁물을 세탁시키는 전자동 세탁기와, 세탁물을 일정 높이까지 끌어올려 떨어지도록 하여 세탁물을 세탁시키는 드럼세탁기로 나뉘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레그 어셈블리가 구비된 세탁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2)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각종 부품이 설치된 캐비닛(4)과, 상기 캐비닛(4)의 하부에 설치 되어 상기 세탁기(2)의 저면부를 이루는 베이스(6)와, 상기 베이스(6)의 저면 네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세탁기(2)를 지지하는 레그 어셈블리(10)가 설치된다.
상기 레그 어셈블리(10)는 상기 세탁기(2)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바, 상기 베이스(6)의 저면에 장착된 지지브래킷(12)과, 상기 지지브래킷(12)에 의해 상기 베이스(6)에 나사결합되는 레그(14)와, 상기 레그(14)에 나사결합되어 세탁기(2)의 작동중에 상기 레그(14)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스토퍼(1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래킷(12)은 상기 베이스(6)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레그(14)가 관통되는 관통홀(12a)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6)에는 상기 레그(14)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홀(6a)이 형성되는 바, 상기 나사홀(6a)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그(14)에는 상기 암나사부를 따라 승강 운동할 수 있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베이스(6)의 저면 네 모서리에 상기 레그 어셈블리(10)를 각각 설치되는 바, 먼저, 상기 캐비닛(4)의 하부에 상기 베이스(6)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의 저면에 상기 레그 어셈블리(10)를 결합시키는 바, 상기 베이스(6)에 상기 지지브래킷(12)에 결합시킨 후, 상기 레그(14)를 상기 지지브래킷(12)의 관통홀을 관통시킨 후, 상기 베이스(6)의 나사홀(6a)에 나사결합시킨 다.
이후, 상기 세탁기(2)의 수평을 맞추거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레그(14)를 회전시키면, 상기 레그(14)가 상기 베이스(6)의 나사홀(6a)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그(14)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상기 세탁기(2)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수평을 맞출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는 상기 지지브래킷(12)은 두께가 얇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도가 매우 약할 뿐만 아니라, 세탁기(2)의 작동시 세탁기(2)의 진동에 의해 공진현상이 발생되어 진동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4)에 상기 베이스(6)를 직접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 바, 상기 베이스(6)의 두께가 매우 얇은 반면에 상기 캐비닛(4)과 세탁기 내부의 부품을 지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6)의 강도가 매우 약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그가 장착되는 브래킷의 형상을 변경하여 강도를 증대시키고 진동을 저감시킴과 아울러, 캐비닛과 베이스 사이에 브래킷을 결합시킴으로써, 베이스의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의 하부에 장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장착된 레그로 이루어진 레그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레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장착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장착된 레그로 이루어진 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결합되어 세탁기의 저면부를 이루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레그 어셈블 리가 구비된 세탁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레그 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50)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52)과, 상기 캐비닛(52)의 하부가 고정되고 상기 세탁기(50)의 저면부를 이루는 베이스(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52)의 내부에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미도시)의 내측에 설치되어 피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미도시)과, 상기 드럼( 미도시)을 회동시키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터브(미도시)의 내부로 세제 또는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미도시)와, 상기 터브내의 세탁수를 상기 캐비닛(52)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52)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54)에 맞대어져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52a)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54)는 상기 절곡부(52a)에 맞대어지도록 둘레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된 플랜지부(54a)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52)의 절곡부(52a)와 베이스(54)의 플랜지부(54a)는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54)의 하부에는 세탁기(50)를 지지하고 세탁기(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레그 어셈블리(60)가 장착된다.
상기 레그 어셈블리(60)는 상기 캐비닛(52)의 하부 좌우측 또는 전후측에 2개가 배치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 캐비닛(52)의 하부 좌측에 배치되는 제 1레그 어셈블리(62)와, 상기 캐비닛(52)의 하부 우측에 배치되는 제 2레그 어셈블리(64)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레그 어셈블리(62)는 상기 베이스(54)의 하면 좌측에 맞대어지도록 길게 형성된 제 1브래킷(66)과, 상기 제 1브래킷(66)에 장착되는 제 1레그(68)로 구성되고, 상기 제 2레그 어셈블리(64)는 상기 베이스(54)의 하면 우측에 맞대어지도록 우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 2브래킷(70)과, 상기 제 2브래킷(70)에 장착되는 제 2레그(7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2브래킷(66)(70)은 상기 베이스(54)의 하부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7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체결홀(76)이 형성된다.
상기 제 1,2레그(68)(72)는 상기 제 1,2브래킷(66)(70)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장착되어, 상기 베이스(54)의 하부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된다.
한편, 상기 제 1,2브래킷(66)(70)은 프레스 성형되는 바, 상기 제 1,2레그(68)(72)가 장착되는 장착부(80)는 가압되어 원형 형상을 이루고 하측을 향해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장착부(80)는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2레그가(68)(72) 관통되도록 관통홀(80a)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54)의 하면에는 상기 제 1,2브래킷(66)(70)을 관통한 상기 제1,2레그(68)(72)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홀(54b)이 형성된다.
상기 제 1,2레그(68)(72)는 상기 나사홀(54b)에 나사결합되어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사부(72a)와, 상기 나사부(72a)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볼트머리(72b)와, 상기 볼트머리(72b)에 부착되어 상하방향 진동을 완충시키는 방진패드(72c)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진부재(72c)는 진동을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2레그(68)(72)에는 상기 제 1,2브래킷(66)(70)에 결합된 상기 제 1,2레그(68)(72)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스토퍼(78)가 나사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의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캐비닛(52)의 하부에 상기 베이스(54)를 볼트, 너트를 이용해 체 결 고정시킨다.
상기 제 1,2레그(68)(72)가 결합된 상기 제 1,2브래킷(66)(70)을 상기 베이스(54)의 하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시키고, 상기 제 1, 2레그(68)(72)의 나사부(72a)를 상기 베이스(54)의 나사홀(54b)에 나사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제1,2레그(68)(72)의 나사부(72a)가 상기 나사홀(54b)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제 1,2레그(68)(72)가 승강하게 되므로, 세탁기(5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2브래킷(66)(70)에서 상기 장착부(80)가 단차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 1,2레그(68)(72)가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80)의 강도가 증대되고, 세탁기(50)의 작동시 세탁기(50)의 진동으로 인한 공진 형상이 감쇠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레그 어셈블리가 도시된 세탁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90)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92)과, 상기 캐비닛(92)의 하부에 장착되어 세탁기(90)를 지지하는 레그 어셈블리(100)와, 상기 레그 어셈블리(10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캐비닛(92)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9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92)의 내부에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터브(미도시)와, 상기 터브( 미도시)의 내측에 설치되어 피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미도시)과, 상기 드럼(미도시)을 회동시키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터브(미도시)의 내부로 세제 또는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장치(미도시)와, 상기 터브(미도시)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92)의 하부는 상기 레그 어셈블리(100)가 맞대어져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9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 어셈블리(100)는 상기 캐비닛(92)의 하부 좌우측 또는 전후측에 2개가 배치되는 바, 여기서는 상기 캐비닛(92)의 하부 좌측에 배치되는 제 1레그 어셈블리(110)와, 상기 캐비닛(92)의 하부 우측에 배치되는 제 2레그 어셈블리(120)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제 1레그 어셈블리(110)는 상기 캐비닛(92)의 하부 좌측에 형성된 절곡부(92a)에 맞대어지도록 상기 절곡부(92a)를 따라 길게 형성된 제 1브래킷(112)과, 상기 제 1브래킷(112)에 결합되는 제 1레그(114)로 구성되고, 상기 제 2레그 어셈블리(120)는 상기 캐비닛(92)의 하부 우측에 형성된 절곡부(92a)에 맞대어지도록 상기 절곡부(92a)를 따라 길게 형성된 제 2브래킷(122)과, 상기 제 2브래킷(122)에 결합되는 제 2레그(1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2레그(114)(124)는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장착되어, 상기 제 1,2레그(114)(124)는 상기 캐비닛(92)의 하부 네 모서리 부분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캐비닛(92)의 하부에는 상기 제 1,2레그(114)(124)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홀(92b)이 형성된다.
상기 제 1,2레그(114)(124)는 상기 나사홀(92b)에 나사결합되어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나사부(124a)와, 상기 나사부(124a)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볼트머리(124b)와, 상기 볼트머리(124b)에 부착되어 상하방향 진동을 완충시키는 방진패드(124c)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진패드(124c)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2레그(114)(124)에는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에 결합된 상기 제 1,2레그(114)(124)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스토퍼(126)가 나사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은 상기 캐비닛(92)의 절곡부(92a)에 톡스(tox)체결되는 바,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위치(116)에서 톡스 체결된다.
여기서, 톡스(tox)체결방법은 판금 접합 공법이고, 두 개의 얇은 판부재를 서로 맞댄 후 일부분을 특수 공구로 가압하여 일측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은 프레스 성형되고, 상기 제 1,2레그(114)(124)가 장착되는 장착부(130)는 가압되어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측을 향해 단차진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장착부(130)은 하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2레그(114)(124)가 관통되도록 관통홀(130a)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94)는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의 하부에 장착되는 바,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의 하부에 맞대어져 결합되도록 좌우측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플랜지부(96)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96)에는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와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128)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체결홀(96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에도 상기 플랜지부(96)의 체결홀(96a)에 대응되는 체결홀(122a)이 복수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96)는 상기 캐비닛(92)의 하부 네 모서리 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제 1,2레그(114)(124)와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레그 어셈블리의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 1,2레그(114)(124)가 결합된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을 상기 캐비닛(92)의 하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시키고, 상기 제 1,2레그(114)(124)의 나사부(124a)를 상기 캐비닛(92)의 나사홀(92a)에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제 1,2브래킷(112)(122)과 캐비닛(92)의 하부는 톡스(tox)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베이스(94)를 상기 캐비닛(92)의 하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베이스(94)의 플랜지부(96)를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에 체결부재(128)를 이용해 체결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 1,2레그(114)(124)는 상기 베이스(94)에서 플랜지부(96)가 형성되지 않는 네 모서리부분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게 되고, 상기 제 1,2레그(114)(124)를 회전시켜 승강시키면서 세탁기(9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92)과 베이스(94)사이에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이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캐비닛(92)과 제 1,2브래킷(112)(122), 베이스(94)의 결합부분의 강도가 증대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2브래킷(112)(122)의 두께를 호환성 있게 조절하여 설계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베이스에 장착된 브래킷에서 레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얇은 평판일때보다 강도가 증대되고, 세탁기의 진동으로 인한 공진현상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그 어셈블리는 캐비닛의 하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제 1,2레그 어셈블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2어셈블리의 제 1,2브래킷에는 레그가 각각 두 개씩 결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지지되어 강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캐비닛의 하부에 복수개의 레그가 구비된 브래킷을 장착하고,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베이스를 장착함으로써, 장착부의 두께가 증대되어 강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브래킷의 두께를 조절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설계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캐비닛에 브래킷이 톡스 체결되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캐비닛의 하부에 장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장착된 레그로 이루어진 레그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레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장착된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장착된 레그로 이루어진 레그 어셈블리와;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결합되어 세탁기의 저면부를 이루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의 하측 좌우 또는 전후에 각각 배치된 제 1,2레그 어셈블리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톡스(tox)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레그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맞대어져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브래킷의 하부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길이는 상기 브래킷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40088266A 2004-11-02 2004-11-02 세탁기 KR20060039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266A KR20060039183A (ko) 2004-11-02 2004-11-02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266A KR20060039183A (ko) 2004-11-02 2004-11-02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183A true KR20060039183A (ko) 2006-05-08

Family

ID=3714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266A KR20060039183A (ko) 2004-11-02 2004-11-02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91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84B1 (ko) * 2006-10-31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84B1 (ko) * 2006-10-31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689B1 (ko) 세탁기용 받침대
US7921679B2 (en) Washing/drying machine
KR100748526B1 (ko) 댐퍼지지구를 구비한 세탁기
KR20080010588A (ko) 세탁기의 높이조절구조
KR20110020366A (ko) 세탁기
KR20060039183A (ko) 세탁기
JP2004073823A (ja) ドラム洗濯機
KR100441099B1 (ko) 세탁기의 렉 브래킷 장착구조
JP2006204497A (ja) 洗濯機
KR20060085812A (ko) 세탁기의 배수펌프 지지구조
KR100829192B1 (ko) 세탁기
KR100867278B1 (ko) 세탁기
US11732397B2 (en) Foam plug for reducing noise in a washing machine appliance
KR20020051705A (ko) 드럼세탁기의 패널 고정 구조
KR20040011972A (ko) 드럼세탁기와 설치대 조립구조
KR20040011974A (ko) 드럼세탁기 설치대 및 드럼세탁기와 설치대 조립구조
CN211658080U (zh) 一种洗碗机的减振结构
CN219280293U (zh) 一种缓冲减振的斜桶支撑结构
KR20060004127A (ko) 세탁기의 레그
US11414805B2 (en) Washing machine
KR200454752Y1 (ko) 비데 워터펌프의 방진구조
KR20110082767A (ko) 높이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85517A (ko) 세탁기용 받침대
KR101084118B1 (ko) 드럼세탁기의 가스켓 조립구조
KR20040046914A (ko) 드럼세탁기의 노이즈 필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