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519A - Skateboard with a power pedal - Google Patents

Skateboard with a power ped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519A
KR20060037519A KR1020040086481A KR20040086481A KR20060037519A KR 20060037519 A KR20060037519 A KR 20060037519A KR 1020040086481 A KR1020040086481 A KR 1020040086481A KR 20040086481 A KR20040086481 A KR 20040086481A KR 20060037519 A KR20060037519 A KR 20060037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heel
pedal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4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계희
Original Assignee
류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계희 filed Critical 류계희
Priority to KR1020040086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7519A/en
Publication of KR20060037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5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의 상단 전면에 설치된 전방페달;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 후면에 설치된 후방페달;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면 전후쪽에 각각 형성된 휠축; 상기 각 휠축의 중앙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후륜; 및 상기 전방 및 후방페달과 구동휠 사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휠기어의 결합으로 형성되되 전방 및 후방페달을 각각 상하로 밟을 경우 휠기어가 연속 회전되어 휠이 가속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메인프레임의 전후로 한 쌍의 가속페달을 구비하고 전후 페달을 번갈아가며 상하로 밟음에 따라 가속 성능을 발휘함과 아울러 가속페달과 휠축 사이에 다단의 휠기어를 설치함에 따라 충분한 가속력과 추진력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스케이트보드 또는 킥보드에 가속페달을 구비함에 따라 평지와 오르막에서 추진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스케이트보드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pedal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of the main frame; A rear pedal installed at the top rear of the mainframe; Wheel shafts respectively formed at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At least one front and rear wheel coupled to the center or both sides of each of the wheel shafts and rotatably coupled by a bearing;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med by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wheel gears between the front and rear pedals and the driving wheel, wherein the wheel gears are continuously rotated when the front and rear pedals are stepped up and down, respectively, to accelerate the wheels. It is equipped with a pair of accelerator pedals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frame, and it exhibits acceleration performance by stepping up and down the pedals alternately, and secures sufficient acceleration and propulsion by installing a multi-stage wheel gear between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wheel axle. Skateboards with accelerator pedals can be easily gained on flat and uphill as well as accelerators on skateboards or kickboards, and can be easily accessed by beginners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skateboards. To provide.

Description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SKATEBOARD WITH A POWER PEDAL} Skateboard with accelerator pedal {SKATEBOARD WITH A POWER PEDAL}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eneral skateboar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kateboard with an accelerator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의 외관 평면도이다.3 is an external plan view of a skateboard having an accelerator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력전달수단을 각각 도시한 세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4A to 4C are detailed side views and plan views respectively showing a power transmiss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스케이트보드 101: 메인프레임100: skateboard 101: mainframe

105: 풋브레이크 111,115: 휠축105: foot brake 111, 115: wheel axle

112,116: 전륜 및 후륜 120: 전방페달112,116: Front and rear wheels 120: Front pedal

123: 힌지축 125: 탄성부재123: hinge axis 125: elastic member

130: 후방페달 133: 힌지축130: rear pedal 133: hinge axis

135: 탄성부재 140,150,160,170: 동력전달수단135: elastic member 140,150,160,170: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제 1 동력전달수단 141: 제 1 트리거부재140: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141: first trigger member

142,146: 힌지축 145: 제 1 링크142, 146: hinge axis 145: first link

150: 제 2 동력전달수단 151: 제 1 트리거부재150: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51: first trigger member

152,156: 힌지축 155: 제 2 링크152,156: hinge axis 155: second link

160: 동력단속수단 161: 제 1 클러치160: power control means 161: first clutch

162: 제 2 클러치 163: 일방향클러치162: second clutch 163: one-way clutch

164,165: 스프링 167: 구동기어164,165: spring 167: drive gear

170: 휠구동수단 171: 제 1 피동기어170: wheel driving means 171: first driven gear

172,176: 회전축 173: 제 1 종속기어172, 176: axis of rotation 173: first slave gear

175: 제 2 피동기어 177: 제 2 종속기어175: second driven gear 177: second slave gear

179: 축기어 180: 하우징179: shaft gear 180: housing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전후 발판(이하, 페달이라 칭함)을 상하로 밟음에 따라 가속 성능을 발휘하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ate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kateboard having an accelerator pedal that exerts an acceleration performance by stepping up and down a pair of front and rear ped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dal).

일반적으로 스케이트보드는 유선형의 평판으로 형성된 보드의 하면 양단부측에 롤러를 장착시킨 것으로 사용시에는 양발을 보드의 상면의 적당한 위치에 올려놓고 중심을 잡으며 주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회전시에는 몸의 중심을 좌측 또는 우 측으로 쏠리도록 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In general, skateboards are equipped with rollers on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a board formed of a streamlined flat plate. When using the skateboard, the skateboards are driven with the fe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It is rotated by pointing it to the right sid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스케이트보드(10)는 상면에 사용자가 양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단이 소정량 상향 절곡된 판상의 발판부재(12)와, 상기 발판부재(12)의 저면 앞,뒤쪽에는 각각 복수개의 스크류로 고정 구비되는 고정부재(14, 14')와, 상기 고정부재(14, 14')에 그 중앙부가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하여 각각 고정 구비되는 휠축(16, 16')과, 상기 휠축(16, 16')의 양단에 각각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휠(18, 18')로 이루어진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general skateboard, the skateboard 10 is a plate-shaped scaffold member 12 is bent upwards by a predetermined amount so that the user can put both feet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caffold member A fixing member (14, 14 ') fix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of the (12) by a plurality of screws,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14, 14') is provided via a bolt and a nut, respectively Wheels 16 and 16 'and wheels 18 and 18' which are rotatably provided by bearings at both ends of the wheel shafts 16 and 16 ', respectively.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스케이트보드는, 사용자가 발판부재의 상면에 한쪽 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차면서 스케이트보드가 어느 정도 속도가 붙으면 양발을 모두 발판부재에 올려놓고 상기 스케이트보드를 즐기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skateboard made in this way, if the user puts one foo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caffold member and kicks the ground with the other foot, the skateboard has a certain speed and enjoys the skateboard with both feet on the scaffold memb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케이트보드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비해 다리의 운동량이 작고, 하향 경사면에서의 주행은 안정적이면서도 스피드를 만끽할 수 있는 반면에 평지나 상향 경사면에서의 주행성이 인라인 스케이트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skateboa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maller amount of motion of the legs than inline skating, while driving on a downhill slope is stable and satisfactory speed while running on a flat or upward slop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inline skating. There was this.

따라서, 평지에서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무리하게 몸을 뒤틀거나 지면을 발로 박차야 하므로 매우 힘든 스포츠기구였으며, 숙달된 숙련자들조차도 30분 이상 타는 것이 힘들 정도로 매우 격렬하여 보편화가 상당히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obtain propulsion in the flat force was very difficult to twist the body or kicking the ground, it was a very difficult sports equipment, even a skilled skilled to ride for more than 30 minutes had a very difficult generaliz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프레임의 전후로 한 쌍의 가속페달을 구비하고 전후 페달을 번갈아가며 상하로 밟음에 따라 가속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kateboard having a pair of accelerator pedals before and after the mainframe and an accelerator pedal capable of exerting acceleration performance by stepping up and down alternately before and after the peda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속페달과 휠축 사이에 다단의 휠기어를 설치함에 따라 충분한 가속력과 추진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ateboard having an accelerator pedal capable of securing sufficient acceleration force and propulsion force by installing a multi-stage wheel gear between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wheel shaft.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동기어와 피동기어 간의 직경비를 달리함에 따라 동력전달이 용이한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ateboard having an accelerator pedal which is easy to transmit power by varying the diameter ratio between the drive gear and the driven gea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메인프레임(101)의 상단 전면에 설치된 전방페달(120); 상기 메인프레임(101)의 상단 후면에 설치된 후방페달(130); 상기 메인프레임(101)의 저면 전후쪽에 각각 형성된 휠축(111, 115); 상기 각 휠축(111, 115)의 중앙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소정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후륜(112, 116); 및 상기 전방 및 후방페달(120, 130)과 구동휠(116) 사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휠기어의 결합으로 형성되되 전방 및 후방페달(120, 130)을 각각 상하로 밟을 경우 휠기어가 연속 회전되어 휠이 가속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140∼1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ont pedal 120 is installed on the top front of the main frame 101; A rear pedal 130 installed at an upper rear side of the main frame 101; Wheel shafts 111 and 115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frame 101, respectively; Front and rear wheels (112, 116) are installed at least one or more in the center or both sides of each of the wheel shaft (111, 115) rotatably coupled by a predetermined bearing; And at least two wheel gears coupl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pedals 120 and 130 and the driving wheel 116, and the wheel gears are continuously rotated when the front and rear pedals 120 and 130 are stepped up and down,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to 170 to accelerate the wheel.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페달(120) 및 후방페달(130)은 전단 일측이 메인프레 임(101)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하며, 상기 전방페달(120)과 메인프레임(101) 및 후방페달(130)과 메인프레임(101) 사이에 각각 탄성부재(125, 135)가 설치되어 각 페달이 메인프레임(10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In detail, the front pedal 120 and the rear pedal 130 are hinged to one side of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main frame 101 is rotated up and down around the hinge axis, the front pedal 120 and the main frame 101 The elastic members 125 and 135 are respectively installed between the rear pedal 130 and the main frame 101 so that each pedal ha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frame 101.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140∼170)은, 상기 전방페달(120)에 결합되어 페달의 상하 각운동에 따라 수평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1 동력전달수단(140); 상기 후방페달(130)에 결합되어 페달의 상하 각운동에 따라 수평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2 동력전달수단(150); 상기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140, 150)과 결합되며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140, 150)의 수평 운동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단속수단(160); 상기 동력단속수단(160)과 휠축(115) 사이에 다단의 기어로 형성되어 동력단속수단(16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연동되어 가속비를 변경하여 구동휠(116)을 회전시키는 휠구동수단(170);으로 이루어져 있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to 170, coupled to the front pedal 120,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horizontal motion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angular movement of the pedal;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50) coupled to the rear pedal (130) for converting the horizontal motion into vertical motion according to vertical movement of the pedal; A power interrupting means (160)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150) and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150); Wheel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drive wheel 116 by changing the acceleration ratio is formed of a multi-stage gear between the power control means 160 and the wheel shaft 115 is link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power control means 160 (170);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동력전달수단(140)은 전방페달(120)의 후단 저면에 힌지 결합되며 페달의 상하 회동에 따라 페달의 저면에서 전후로 수평 이동되는 제 1 트리거부재(141); 및 상기 제 1 트리거부재(141)의 힌지축의 타측에 결합되어 트리거부재의 전후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 1 링크(145);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150)은 후방페달(130)의 후단 저면에 힌지 결합되며 페달의 상하 회동에 따라 페달의 저면에서 전후로 수평 이동되는 제 2 트리거부재(151); 및 상기 제 2 트리거부재(151)의 힌지축의 타측에 결합되어 트리거부재의 전후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 2 링크(155);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동력단속수단(160)은 상기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140, 15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140, 150)의 왕복 수평이동에 따라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일방향클러치(163); 및 상기 일방향클러치(163)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기어(167);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휠구동수단(170)은, 상기 동력단속수단(160)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 1 피동기어(171); 상기 제 1 피동기어(171)와 동일 회전축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제 1 종속기어(173); 상기 제 1 종속기어(173)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 2 피동기어(175); 상기 제 2 피동기어(175)와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제 2 종속기어(177); 및 상기 제 2 종속기어(177)와 맞물리되 휠축(115)에 형성되어 후륜(116)을 회전시키게 되는 축기어(179);로 이루어져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140 is hinged to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pedal 120, the first trigger member 141 horizontally moved back and forth on the bottom of the pedal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rotation of the pedal; And a first link 145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inge shaft of the first trigger member 141 and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igger member.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50 includes a rear pedal 130. A second trigger member 151 which is hinged to the rear end of the bottom and horizontally moved back and forth on the bottom of the pedal according to the vertical rotation of the pedal; And a second link 155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inge shaft of the second trigger member 151 and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trigger member. The power control means 160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links. A one-way clutch 163 coupled to one sid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and 150 and rotating only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and 150; And a drive gear 167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one-way clutch 163 to generate a driving force, wherein the wheel driving unit 170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ower control unit 160. 1 driven gear 171; A first slave gear 173 installed on the same rotation shaft as the first driven gear 171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 second driven gear 175 engaged with the first slave gear 173 and rotating; A second subordinate gear 177 installed on the same rotation shaft as the second driven gear 175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a shaft gear 179 meshed with the second subordinate gear 177 and formed on the wheel shaft 115 to rotate the rear wheel 116.

아울러, 상기 일방향클러치(163)는, 구동기어(167)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동력전달수단(140)에 의한 동력을 구동기어(167)로 전달하는 제 1 클러치(161); 및 구동기어(167)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 2 동력전달수단(150)에 의한 동력을 구동기어(167)로 전달하는 제 2 클러치(16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일방향클러치(163)는 래칫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ne-way clutch 163, the first clutch 161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e gear 167 to transfer the power by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to the drive gear 167; And a second clutch 162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drive gear 167 to transfer the power by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50 to the drive gear 167, wherein the one-way clutch 163 is a ratchet. It is a gea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의 외관 평면도로서, 메인프레임(101), 휠축(111, 115), 전후륜(112, 116), 전방페달(120), 후 방페달(130) 및 동력전달수단들(140∼170)로 이루어져 있다.Figure 2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 skateboard having an accelerator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ternal plan view of a skateboard having an accelerator ped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frame 101, the wheel shaft 111 , 115), the front and rear wheels 112 and 116, the front pedal 120, the rear pedal 130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to 170).

상기 전방페달(120)은 메인프레임(101)의 상단 전면에 설치되어 있고, 후방페달(130)은 메인프레임(101)의 상단 후면에 설치되어 있고, 휠축(111, 115)은 메인프레임(101)의 저면 전후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전후륜(112, 116)은 휠축(111, 115)의 중앙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한개 이상 설치되어 소정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동력전달수단(140∼170)은 페달(120, 130)과 구동휠(116) 사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휠기어의 결합으로 형성되되 전후방 페달(120, 130)을 상하로 밟을 경우 휠기어가 연속 회전되어 후륜(116)이 가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ront pedal 120 is installed on the upper front of the main frame 101, the rear pedal 130 is installed on the upper rear of the main frame 101, the wheel shaft (111, 115) is the main frame 101 The front and rear wheels 112 and 116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center or both sides of the wheel shafts 111 and 115, and are rotatably coupled by a predetermined bearing,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 140 to 170 are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two wheel gears between the pedals 120 and 130 and the driving wheels 116, but when the front and rear pedals 120 and 130 are stepped up and down, the wheel gears are continuously rotated to rear wheels 116. ) Is configured to accelerate.

상기 각 페달(120, 130)과 메인프레임(101) 사이에 탄성부재(125, 135)를 설치하되 탄성부재(125, 135)는 페달(120, 130)이 메인프레임(10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페달을 밟지 않을 경우 즉, 페달에 체중을 실지 않을 경우 탄성력에 의해 페달은 메인프레임(10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The elastic members 125 and 135 are installed between the pedals 120 and 130 and the main frame 101, but the elastic members 125 and 135 are spaced apart from the main frame 101 by the pedals 120 and 130. By configuring to have an elastic force, the pedal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frame 101 by the elastic force when the pedal is not stepped, that is, when the weight is not put on the pedal.

상기 페달(120, 130)의 상하 회동에 따라 동력전달수단(140∼170)은 회전력을 발생하여 전후륜(112, 116)을 구동시키게 되는 데, 상기 동력전달수단(140∼170)은, 상기 전방페달(120)에 결합되어 페달의 상하 각운동에 따라 수평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1 동력전달수단(140)과, 상기 후방페달(130)에 결합되어 페달의 상하 각운동에 따라 수평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2 동력전달수단(150)과, 상기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140, 150)과 결합되며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140, 150)의 수 평 운동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단속수단(160)과, 상기 동력단속수단(160)과 휠축(115) 사이에 다단의 휠기어로 형성되어 동력단속수단(16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가속비를 변경하여 구동휠(116)을 회전시키는 휠구동수단(170)으로 이루어져 있다.As the pedals 120 and 130 rotate up and dow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to 170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to drive the front and rear wheels 112 and 116.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to 170 is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unit 140 is coupled to the front pedal 120 to convert the horizontal m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angular movement of the pedal, and the rear pedal 13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m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angular movement of the pedal. It is coupled to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50 and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150)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mo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150) It is formed between the power control means 160, and the power control means 160 and the wheel shaft 115 of the multi-step wheel gear to change the acceleration ratio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power control means 160 drive wheel ( It consists of a wheel driving means 170 for rotating the 116.

상기 제 1 동력전달수단(140), 제 2 동력전달수단(150), 동력단속수단(160) 및 휠구동수단(170)으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140∼170)은 도 4a 내지 도 4c의 세부 단면도 및 평면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to 170 consisting of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50, the power control means 160, and the wheel driving means 170 are detailed in FIGS. 4A to 4C. It is comprised as sectional drawing and top view.

즉, 제 1 동력전달수단(140)은 전방페달(120)의 후단 저면에 힌지(142) 결합되며 페달의 상하 회동에 따라 페달의 저면에서 전후로 수평 이동되는 제 1 트리거부재(141), 및 상기 제 1 트리거부재(141)의 힌지축(142)의 타측에 결합(146)되어 제 1 트리거부재(141)의 전후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 1 링크(145)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2 동력전달수단(150)도 마찬가지로 후방페달(130)의 후단 저면에 힌지(152) 결합되며 페달의 상하 회동에 따라 페달의 저면에서 전후로 수평 이동되는 제 2 트리거부재(151), 및 상기 제 2 트리거부재(151)의 힌지축(152)의 타측에 결합(156)되어 제 2 트리거부재(151)의 전후 이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 2 링크(155)로 이루어져 있다.That is,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is hinged to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pedal 120, the first trigger member 141 is horizontally moved back and forth from the bottom of the pedal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rotation of the pedal, and the It is composed of a first link 145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inge shaft 142 of the first trigger member 141 and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irst trigger member 141,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The means 150 is likewise hinged 152 to the rear bottom of the rear pedal 130, the second trigger member 151 horizontally moved back and forth from the bottom of the pedal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rotation of the pedal, and the second trigger member ( The second link 155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inge shaft 152 of the 151 and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econd trigger member 151.

상기 동력단속수단(160)은, 상기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140, 150)의 각 링크(145, 155)와 결합되되 각 링크의 왕복 수평이동에 따라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일방향클러치(163), 및 상기 일방향클러치(163)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기어(167)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링크(145)와 제 2 링크 (155)는 일방향클러치(163)에 180ㅀ간격으로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일방향클러치(163)는 구동기어(167)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동력전달수단(140)에 의한 동력을 구동기어(167)로 전달하는 제 1 클러치(161), 및 상기 구동기어(167)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 2 동력전달수단(150)에 의한 동력을 구동기어(167)로 전달하는 제 2 클러치(162)로 이루어져 있다.The power control unit 160 is coupled to each of the links 145 and 155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s 140 and 150, but the one-way clutch rotates in only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horizontal movement of each link ( 163, and a drive gear 167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one-way clutch 163 to generate a driving force, wherein the first link 145 and the second link 155 are connected to the one-way clutch 163. The one-way clutch 16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rive gear 167 and is transmitted to the drive gear 167 by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140. The second clutch 162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lutch 161 and the driving gear 167 to transmit the power by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150 to the driving gear 167.

또한, 휠구동수단(170)은, 상기 구동기어(167)와 맞물려 연동되는 제 1 피동기어(171)와, 상기 제 1 피동기어(171)와 동일 회전축(172)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제 1 종속기어(173)와, 상기 제 1 종속기어(173)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 2 피동기어(175)와, 상기 제 2 피동기어(175)와 동일한 회전축(176)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제 2 종속기어(177), 및 상기 제 2 종속기어(177)와 맞물리되 휠축(115)에 형성되어 구동륜(116)을 회전시키게 되는 축기어(179)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동일축에 형성된 제 1 피동기어(171)와 제 1 종속기어(173)의 직경비는 대략 1:2 내지 1:3 정도로 형성하며, 제 2 피동기어(175)와 제 2 종속기어(177)의 직경비도 1:2 내지 1:3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heel driving means 170, the first driven gear 171 meshed with the drive gear 167 and the first driven gear 171 is installed on the same rotation shaft 172 and interlocked with the first driven gear 171 Second slave gear interlocked with the subordinate gear 173, the second driven gear 175 meshed with the first subordinate gear 173, and the same rotation shaft 176 as the second driven gear 175. And a first gear formed on the same shaft, the gear 177 and the shaft gear 179 meshing with the second subordinate gear 177 and formed on the wheel shaft 115 to rotate the driving wheel 116. The diameter ratio of the gear 171 and the first slave gear 173 is about 1: 2 to 1: 3, and the diameter ratio of the second driven gear 175 and the second slave gear 177 is also about 1: 2 to 1. It is preferable to form about 1: 3.

상기 휠구동수단(170)은 후방페달(130)의 하단측에 설치하는 데, 휠구동수단(170)을 설치할 경우 각 기어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80)내에 내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heel driving means 170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pedal 130. When the wheel driving means 170 is installed, the wheel driving means 170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80 so that the rotation shaft of each gear is rotatable.

아울러, 상기 휠축(115)에 설치된 축기어(179)는 축기어(179)와 휠축(115) 사이에 래칫 베어링을 설치하여 축기어(179)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haft gear 179 installed on the wheel shaft 115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atchet bearing between the shaft gear 179 and the wheel shaft 115 to allow the shaft gear 179 to rotate in only one dir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케이트보드는 사용자가 전방페달(120) 및 후방페달(130) 위에 올라서서 전방페달(120)과 후방페달(130)에 번갈아가며 체중을 실으면서 밟을 경우 휠구동수단(170)에 의해 구동휠(116)이 회전되어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The skateboa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he user to climb on the front pedal 120 and the rear pedal 130 alternately to the front pedal 120 and the rear pedal 130 to put on the weight while stepping on the wheel driving means 170 The driving wheel 116 is rotated to move forward.

이와 같이 스케이트보드를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몸을 무리하게 뒤틀거나 지면을 발로 박차지 않아도 스케이트보드 위에서 전후방의 페달에 체중을 이동시켜 주거나 상하로 춤을 추듯이 가볍게 뛰어만 주어도 가속기어를 통하여 충분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As you configure your skateboard like this, even if the user does not twist the body excessively or spurs the ground with his feet, he or she may move the weight to the pedals forward and backward on the skateboard or dance lightly as if dancing up and down. Can be obtained.

아울러, 상기 일방향클러치(163)는 구동기어(167)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클러치(161, 162)로 이루어진 복식클러치이며, 복식클러치(161, 162)는 제 1 링크(145)와 제 2 링크(155)에 각각 180ㅀ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데, 전방페달(120)과 후방페달(130)을 동시에 밟을 경우를 대비하여 회전력이 강한 쪽의 동력을 전달하고 상대적으로 약한 쪽의 동력은 클러치(161 또는 162)와 스프링(164, 165)의 작용으로 구동기어(167)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제 1 링크(145) 또는 제 2 링크(155)에 의한 동력만 택일하여 전달하도록 제 1 및 제 2 클러치(161, 16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ne-way clutch 163 is a double clutch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clutches 161 and 16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gear 167, and the double clutch 161 and 162 is the first link ( 145 and the second link 15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shape of facing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180 ㅀ, and in order to step on the front pedal 120 and the rear pedal 130 at the same time to apply the power of the side with the strongest rotational force The power of the weaker side, which is transmitted and relatively weak, is disengaged from the drive gear 167 by the action of the clutches 161 or 162 and the springs 164 and 165, so that the power by the first link 145 or the second link 155 is reduce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first and second clutches 161, 162 to transfer alternatively.

그리고, 이와 같은 동력전달구조 이외에도 메인프레임(101)의 후단 즉, 후방페달(130)의 뒤쪽에 풋브레이크(105)를 설치하여 풋브레이크(105)를 밟을 경우 후륜(116)이 제동되어 가속에 따른 안전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the rear wheel 116 is braked when the foot brake 105 is stepped by installing the foot brake 105 at the rear end of the main frame 101, that is, behind the rear pedal 130. It is desirable to strengthen the safety function accordingly.

즉, 본 발명은 두 페달(120, 130)을 각기 독립되게 구동하거나 동시에 구동 하여도 강한 쪽의 동력만을 우선하여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상대적으로 약한 쪽의 동력은 축에서 이탈되도록 일방향 이중클러치(163; Double Clutch)를 채용하여 일방향회전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구동원리로써 강한 쪽의 동력만이 우선하여 단일한 동력전달기어(170)를 통하여 후륜축(115)에 전달되고, 동력이 약한 페달쪽은 이중클러치(163)에서 이탈되어 자유로워짐으로써 즉시 새로운 동력을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돌려 준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전술한 연속구동방식에 의해서 더욱 속력을 배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transmits only the power of the strong side even if the two pedals 120 and 130 are driven independently or simultaneously, and the one side of the double clutch 163 is separated from the shaft. Double Clutch) allows one-way rotation. By this driving principle, only the power of the strong side is preferentially transmitted to the rear axle 115 through a single power transmission gear 170, and the pedal of the weak power is immediately released by being released from the double clutch 163. Return the power to a state where it can be generated. Therefore,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speed can be further increased by the above-described continuous driving method.

이와 같이 구성된 스케이트보드의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Looking at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skateboar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전방페달(120)을 밟을 경우 전방페달(120)의 전단이 메인프레임(101)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힌지축(123)을 중심으로 전방페달(120)이 상하로 각회전하게 되며, 상기 전방페달(1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전방페달(120)의 후단 저면에 힌지 결합된 제 1 트리거부재(141)가 전방페달(120)의 하단에 접촉되면서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First, when stepping on the front pedal 120, the front end of the front pedal 120 is hinged to the main frame 101, so that the front pedal 120 is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hinge axis 123, respectively, As the front pedal 120 moves up and down, the first trigger member 141 hinged to the bottom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pedal 120 is horizontally moved forwar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ront pedal 120.

상기 제 1 트리거부재(141)가 전방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제 1 트리거부재(14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제 1 링크(145)도 연동되어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As the first trigger member 141 is moved horizontally forward, the first link 145 hinged to one side of the first trigger member 141 is also linked to move horizontally forward.

상기 제 1 링크(145)가 전방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제 1 링크(145)와 결합된 일방향클러치(163)의 제 1 클러치(161)는 정방향이므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클러치(161)와 결합된 구동기어(167)도 회전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 제 1 클러치(161)의 회전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거나 무동력이 인가되는 제 2 클러치(162)는 마찰 원심력에 의해 스프링(165)이 수축되어 구동기어(167)로부터 이탈되어 제 1 링크(145)에 의한 동력만 구동기어(167)로 전달된다.As the first link 145 horizontally moves forward, the first clutch 161 of the one-way clutch 163 coupled with the first link 145 rotates because it is the forward direction, and thus the first clutch 161 is rotated. Drive gear 167 coupled with the also rotates. Of course, in this case, the second clutch 162, which is relatively weak or non-powered relativ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clutch 161, is contracted by the spring 165 by the friction centrifugal force and is separated from the driving gear 167. Only power by one link 145 is transmitted to the drive gear 167.

상기 구동기어(167)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기어(167)와 기어가 맞물린 제 1 피동기어(17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1 피동기어(171)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피동기어(171)와 동일 회전축(172)에 있는 제 1 종속기어(173)도 제 1 피동기어(17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s the drive gear 167 rotates, the first driven gear 171 in which the drive gear 167 and the gear mesh with each other rotates, and the first driven gear 171 as the first driven gear 171 rotates. The first subordinate gear 173 on the same rotation shaft 172 as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driven gear 171.

상기 제 1 종속기어(173)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종속기어(173)와 기어가 맞물린 제 2 피동기어(175)도 회전하고, 제 2 피동기어(175)가 회전함에 따라 제 2 피동기어(175)와 동일 회전축(176)에 있는 제 2 종속기어(177)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s the first subordinate gear 173 rotates, the second driven gear 175 meshing with the first subordinate gear 173 also rotates, and the second driven gear 175 rotates as the second driven gear 175 rotates. The second subordinate gear 177 on the same rotation shaft 176 as the 175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제 2 종속기어(177)가 회전함에 따라 휠축(115)에 형성된 축기어(179)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스케이트보드는 전진하게 된다.As the second subordinate gear 177 rotates, the shaft gear 179 formed on the wheel shaft 115 rotates forward to move the skateboard forward.

상기 구동기어(167)부터 축기어(179)까지 기어를 다단으로 두는 이유는 전방페달(120)의 상하 이동에 따른 적절한 가속비를 얻기 위함이며, 상기 구동기어(167)와 종속기어(173, 177)는 피동기어(171, 175)와 축기어(179)보다 기어직경이 대략 2:1 내지 3:1 정도로 크도록 형성하여 동력전달 및 기어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reason why the gears are multistage from the driving gear 167 to the shaft gear 179 is to obtain an appropriate acceleration ratio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ront pedal 120. The driving gear 167 and the slave gear 173, 177 is formed to have a larger gear diameter of about 2: 1 to 3: 1 than the driven gears 171 and 175 and the shaft gear 179 to facilitate power transmission and rotation of the gear.

이어, 사용자의 체중이 전방페달(120)에서 후방페달(130)로 옮겨가면, 전방페달(120)은 탄성부재(125)에 의해 전방페달(120)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데, 전방페달(120)이 원위치로 복귀될 때 제 1 트리거부재(141)가 전방페달(120)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이격되며, 이때 제 1 트리거부재(141)는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 1 링크(145)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s weight is moved from the front pedal 120 to the rear pedal 130, the front pedal 120 is the front pedal 1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member 125, the front pedal ( When the 1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first trigger member 141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in the front pedal 120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rst trigger member 141 moves horizontally to the rear, and thus the first The link 145 moves backwards.

이때, 기어가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력단속수단(160)으로 일방향클러치(163)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전방페달(120)이 원위치로 복귀하더라도 일방향클러치(163)가 동력을 단속함에 따라 구동기어(167)로 동력을 전달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one-way clutch 163 is used as the power control means 160 to prevent the gear from rotating in reverse. That is, even when the front pedal 1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one-way clutch 163 does not transmit power to the drive gear 167 as the one-way clutch 163 intercepts the power.

이어, 사용자가 후방페달(130)을 밟을 경우 후방페달(130)의 전단이 메인프레임(101)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힌지축(133)을 중심으로 후방페달(130)이 상하로 각회전하게 되며, 상기 후방페달(1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후방페달(130)의 후단 저면에 힌지 결합된 제 2 트리거부재(151)가 후방페달(130)의 하단에 접촉되면서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steps on the rear pedal 130, the front end of the rear pedal 130 is hinged to the main frame 101, so that the rear pedal 130 rotates up and down about the hinge axis 133.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rear pedal 130, the second trigger member 151 hinged to the rear end bottom of the rear pedal 130 is horizontally moved forwar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rear pedal 130.

상기 제 2 트리거부재(151)가 전방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제 2 트리거부재(151)의 일측에 힌지 결합된 제 2 링크(155)도 연동되어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As the second trigger member 151 horizontally moves forward, the second link 155 hinged to one side of the second trigger member 151 is also interlocked to move horizontally forward.

상기 제 2 링크(155)가 전방으로 수평이동함에 따라 제 2 링크(155)와 결합된 일방향클러치(163)는 정방향이므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일방향클러치(163)의 제 2 클러치(162)와 결합된 구동기어(167)도 회전하게 된다. As the second link 155 horizontally moves forward, the one-way clutch 163 coupled with the second link 155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us the second clutch 162 of the one-way clutch 163 is rotated. The combined drive gear 167 also rotates.

상기 구동기어(167)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기어(167)와 기어가 맞물린 제 1 피동기어(171)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1 피동기어(171)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피동기어(171)와 동일 회전축(172)에 있는 제 1 종속기어(173)도 제 1 피동기어(171)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s the drive gear 167 rotates, the first driven gear 171 in which the drive gear 167 and the gear mesh with each other rotates, and the first driven gear 171 as the first driven gear 171 rotates. The first subordinate gear 173 on the same rotation shaft 172 as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irst driven gear 171.

상기 제 1 종속기어(173)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종속기어(173)와 기어가 맞물린 제 2 피동기어(175)도 회전하고, 제 2 피동기어(175)가 회전함에 따라 제 2 피동기어(175)와 동일 회전축(176)에 있는 제 2 종속기어(177)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s the first subordinate gear 173 rotates, the second driven gear 175 meshing with the first subordinate gear 173 also rotates, and the second driven gear 175 rotates as the second driven gear 175 rotates. The second subordinate gear 177 on the same rotation shaft 176 as the 175 also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제 2 종속기어(177)가 회전함에 따라 휠축(111)에 형성된 축기어(179)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스케이트보드는 전진하게 된다.As the second subordinate gear 177 rotates, the shaft gear 179 formed on the wheel shaft 111 rotates forward to move the skateboard forward.

따라서, 상기 전방페달(120)과 후방페달(130)을 번갈아가며 밟음에 따라 스케이트보드는 전방으로 전진하게 된다.Therefore, as the front pedal 120 and the rear pedal 130 alternately step on, the skateboard moves forward.

또한, 전륜(112)은 조향성을 위하여 1개의 바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후륜(116)은 균형과 안정성을 위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의 바퀴를 사용할 수 있는 데, 후륜(116)은 사용자의 숙달 정도에 따라 1개 이상을 임의로 채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후륜(116)을 세개의 바퀴로 구성할 경우 세개의 바퀴 중 중앙의 바퀴는 축에 항상 부착 고정되어 사용될 것이고, 좌우의 후륜은 숙달정도에 따라 탈착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ront wheel 112 preferably uses one wheel for steering, the rear wheel 116 may use at least two or more wheels for balance and stability, the rear wheel 116 to the degree of mastery of the user Therefore, one or more may be arbitrarily adopt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when the rear wheel 116 is composed of three wheels, the center wheel of the three wheels will always be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shaft, and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are preferably designed to be detachabl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stery.

그리고, 메인프레임(101)의 중량과 견고성, 및 조향성을 위하여 고강도 알루미늄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및 강탄성 실리콘 등의 재질을 부위별로 임의 선택하여 견고성과 조향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weight, robustness, and steering of the mainframe 101, materials such as high strength aluminum, engineering plastics, and rigid elastic silicon may be arbitrarily selected for each part to secure both robustness and steering.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킥보 드나 롤러보드, 자전거 등에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a kick board, a roller board, a bicycle, and the like.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should fall within the claims appended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메인프레임의 전후로 한 쌍의 가속페달을 구비하고 전후 페달을 번갈아가며 상하로 밟음에 따라 가속 성능을 발휘함과 아울러 가속페달과 휠축 사이에 다단의 휠기어를 설치함에 따라 충분한 가속력과 추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accelerator pedals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main frame, and the acceleration performance is exhibited by stepping up and down alternately between the front and rear pedals, and a sufficient acceleration force is provided by installing a multi-stage wheel gear between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wheel shaft. And there is an advantage to secure the driving force.

또한, 스케이트보드 또는 킥보드에 가속페달을 구비함에 따라 평지와 오르막에서 추진력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스케이트보드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n accelerator pedal on the skateboard or kickboard,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the driving force on the flat and uphill as well as easy access even for beginne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skateboard.

Claims (9)

메인프레임의 상단 전면에 설치된 전방페달;A front pedal installed at the top front of the mainframe;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 후면에 설치된 후방페달;A rear pedal installed at the top rear of the mainframe; 상기 메인프레임의 저면 전후쪽에 각각 형성된 휠축;Wheel shafts respectively formed at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of the main frame; 상기 각 휠축의 중앙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후륜; 및At least one front and rear wheel coupled to the center or both sides of each of the wheel shafts and rotatably coupled by a bearing; And 상기 전방 및 후방페달과 구동휠 사이에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어의 결합으로 형성되되 전방 및 후방페달을 각각 상하로 밟을 경우 기어가 연속 회전되어 휠이 가속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Accel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at least two gears between the front and rear pedals and the driving wheel,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he gear is continuously rotated when the front and rear pedals stepped up and down respectively; Skateboard with pedals.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전방페달과 메인프레임 및 후방페달과 메인프레임 사이에 각각 탄성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탄성부재는 각 페달이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An elastic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front pedal and the main frame and the rear pedal and the main frame, respectively,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configured to hav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each pedal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frame. .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전방페달에 결합되어 페달의 상하 각운동에 따라 수평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1 동력전달수단; 상기 후방페달에 결합되어 페달의 상하 각운동에 따라 수평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2 동력전달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과 결합되며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의 수평 운동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력단속수단; 및 상기 동력단속수단과 휠축 사이에 다단의 기어로 형성되어 동력단속수단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연동되어 가속비를 변경하여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휠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coupled to the front pedal to convert the horizontal mo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up and down angular movement of the pedal; A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coupled to the rear pedal and converting into horizontal motion according to vertical movement of the pedal; A power interrupting mean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generating rotational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a wheel driving means formed by a gear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between the power control means and the wheel shaft and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power control means to rotate the driving wheel by changing the acceleration ratio. A skateboard.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동력단속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제 1 및 제 2 동력전달수단의 왕복 수평이동에 따라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일방향클러치; 및 상기 일방향클러치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The power control means may include a one-way clutch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rotates in only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And a drive gear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one-way clutch to generate a driving force.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일방향클러치는, 구동기어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동력전달수단에 의 한 동력을 구동기어로 전달하는 제 1 클러치; 및 구동기어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 2 동력전달수단에 의한 동력을 구동기어로 전달하는 제 2 클러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The one-way clutch, the first clutch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rive gear to transfer the power by the first power transmission means to the drive gear; And a second clutch installed at the other side of the drive gear to transfer the power by the second power transmission means to the drive gear.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휠구동수단은, 상기 동력단속수단의 구동에 따라 연동되는 제 1 피동기어; 상기 제 1 피동기어와 동일 회전축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제 1 종속기어; 상기 제 1 종속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 2 피동기어; 상기 제 2 피동기어와 동일한 회전축에 설치되어 연동되는 제 2 종속기어; 및 상기 제 2 종속기어와 맞물리되 휠축에 형성되어 휠을 회전시키게 되는 축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The wheel driv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driven gear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of the power control means; A first subordinate gear installed and interlocked on the same rotation shaft as the first driven gear; A second driven gear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first subordinate gear; A second subordinate gear installed and interlocked on the same rotation shaft as the second driven gear; And an axis gear meshed with the second subordinate gear and formed on a wheel shaft to rotate the wheel.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동일축에 형성된 피동기어와 종속기어의 상호 직경비는 대략 1:2 내지 1:3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Skateboard having an accelerator ped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mutual diameter of the driven gear and the slave gear formed on the same axis is approximately 1: 2 to 1: 3. 청구항 6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축기어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래칫 베어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The shaft gear is a skateboard having an accelerator ped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atchet bearing rotating only in one direction.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후륜 구동휠은 후방페달의 하단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을 설치하되 사용자의 숙련정도에 따라 중앙의 한 개의 휠을 제외한 나머지 휠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페달을 구비한 스케이트보드.The rear wheel drive wheel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pedal at least one skateboard having an accelerator ped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removable except the one wheel in the center according to the user's skill.
KR1020040086481A 2004-10-28 2004-10-28 Skateboard with a power pedal KR200600375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481A KR20060037519A (en) 2004-10-28 2004-10-28 Skateboard with a power ped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481A KR20060037519A (en) 2004-10-28 2004-10-28 Skateboard with a power ped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519A true KR20060037519A (en) 2006-05-03

Family

ID=3714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481A KR20060037519A (en) 2004-10-28 2004-10-28 Skateboard with a power ped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75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0048A (en) * 2011-11-08 2012-02-15 太仓市车中宝休闲用品有限公司 Standing type pedal skate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0048A (en) * 2011-11-08 2012-02-15 太仓市车中宝休闲用品有限公司 Standing type pedal skateboard
CN102350048B (en) * 2011-11-08 2013-05-15 太仓市车中宝休闲用品有限公司 Standing type pedal skate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111B2 (en) Scooter and pedal drive assembly
CN101801778B (en) Mini bike having pedal as a power generator
US7487987B2 (en) User-propelled riding toys with simultaneous pedal recovery system
RU2529587C1 (en) Push cycle with pedal drive
KR20100057684A (en) Human powered vehicle with two reciprocal pedals
CA2391581A1 (en) Bicycle moved by front and rear drive method of pedal
US20050236801A1 (en) Body weight-activated scooter
US20140300078A1 (en) Device for the propulsion and eccentric braking of a vehicle
KR100932682B1 (en) Foot bike
KR20060037519A (en) Skateboard with a power pedal
KR100642140B1 (en) Quick-Board for possible rotation running
TWM260487U (en) Drivable scooter with footstools
KR200365357Y1 (en) Quick board with bicycle
KR20070080633A (en) Inline-bicycle
US6695331B2 (en) Kinetic energy generating mechanism
KR100947919B1 (en) Ex-board
WO2004108231A1 (en) Motorized skateboard
KR102578355B1 (en) Skateboard having structure for converting linear reciprocating motion to rotational motion
KR20160054824A (en) A front-wheel drive step bicycle
WO2007043035A1 (en) Body weight-activated scooter
KR100553134B1 (en) Kickboard with self power generating apparatus
CN200981631Y (en) Manpower snowfield pulley
KR200395612Y1 (en) Scooter with pedals for physical exercise
WO2005073067A1 (en) Torque pedal
KR20080017218A (en) Dumbling B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