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752A -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752A
KR20060036752A KR1020040085855A KR20040085855A KR20060036752A KR 20060036752 A KR20060036752 A KR 20060036752A KR 1020040085855 A KR1020040085855 A KR 1020040085855A KR 20040085855 A KR20040085855 A KR 20040085855A KR 20060036752 A KR20060036752 A KR 20060036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water supply
guid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8262B1 (ko
Inventor
안병환
조흥명
정보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262B1/ko
Publication of KR2006003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7Arrangements of water soften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정 기구의 급수유로 상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필터 케이싱과, 상기 필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유동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 케이싱의 내부 저면에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필터가 올림 고정된 고정 가이드와, 상기 고정 가이드에 올림 고정된 필터의 상면과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을 필터의 측면으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구조가 단순하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소형화와 콤팩트(compact)화가 실현되는 이점이 있다.
세탁기, 식기세척기, 급수장치, 급수밸브, 급수호스, 정수장치

Description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clean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에 설치된 정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드럼 세탁기 2: 캐비닛
4: 스프링 5: 댐퍼
6: 터브 8: 드럼
10: 리프터 12: 모터
14: 캐비닛 커버 16: 도어
18: 탑 플레이트 20: 급수장치
22: 급수호스 24: 급수밸브
26: 세탁박스 28: 호스 커넥터
30: 배수장치 32: 배수호스
34: 배수펌프 40: 정수장치
41: 필터 케이싱 42: 케이싱 본체
42a: 유출구 43: 캡
43a: 유입구 44: 필터
45: 유동 가이드 46: 상측 가이드부
47: 외측 가이드부 48: 고정 가이드
49: 하측 가이드부 50: 내측 가이드부
52: 제 1 씨일링 54: 제 2 씨일링
100: 식기세척기 102: 캐비닛
104: 도어 106: 세척조
108: 선반 110: 노즐
112: 섬프 114: 세척펌프
116: 연수장치 117: 송풍장치
118: 가이드 터브 120: 급수장치
122: 급수호스 124: 급수밸브
126: 급수통로 128: 호스 커넥터
130: 배수장치 132: 배수호스
134: 배수펌프 136: 배수통로
140: 정수장치
본 발명은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와 같이 물을 사용하여 세정 작용을 수행하는 세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정 기구의 급수 유로 상에 정수장치를 설치하여 세정 기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정 기구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 등에 의해 세정하고자 하는 물건을 깨끗하게 세탁 또는 세척하는 기구로서, 세탁기 및 식기세척기 등이 대표적이다.
세탁기는 물과 세제의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칭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통해 세탁물 을 세정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방식에 따라 크게 교반식(agitator type)과 와류식(pulsator type) 및 드럼식(drum type) 세탁기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교반식은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을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하게 되고, 상기 와류식은 세탁조 하부에 형성된 원판 모양의 날개를 좌우로 회전시켜서 물과 포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게 되며, 상기 드럼식은 터브의 내부에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포를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하게 된다.
상기 세탁기에는 외부의 수원(水原)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급수장치가 구비되는 바, 상기 급수장치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조 또는 터브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호스와, 상기 급수호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호스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급수장치의 일측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세탁조 또는 터브의 내부로 급수되는 물과 함께 세제가 투입된다.
식기세척기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접시와 그릇 등(이하, 식기라 칭함)에 묻은 음식물 찌꺼기를 세척하는 장치로서, 세척방식에 따라 크게 샤워식과 초음파식이 있다.
상기 샤워식 식기세척기는 선반에 수납된 식기에 세제를 녹인 냉수 또는 온 수를 강하게 뿜어서 세척하게 되고, 상기 초음파식 식기세척기는 물 속에 식기를 넣고 초음파로 물을 진동시켜 식기 표면에 캐비테이션(cavitation, 작은 기포모양의 저압공간)을 발생시켜 그 힘으로 세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샤워식 식기세척기는 주로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바, 캐비닛의 내측에 세척조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는 식기가 올려지는 선반이 배치되며,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식기의 세척에 사용되는 물이 담겨지는 섬프(sump)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의 물을 펌핑시키는 세척펌프가 상기 세척조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펌프에 의해 펌핑된 물을 선반으로 분사시키는 노즐이 상기 선반의 하측에 세척펌프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식기세척기에는 외부의 수원(水原)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급수장치가 구비되는 바, 상기 급수장치는 외부 수원으로부터 식기세척기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호스와, 상기 급수호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호스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급수밸브와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급수통로와 연결되어 상기 섬프 측으로 급수되는 물을 안내하는 급수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는 상기 급수장치에 의해 세탁물의 세탁 또는 식기의 세척에 사용되는 물이 급수되나, 외부 수원이 오염된 경우에는 상기 급수장치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오염된 상태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의 내부로 공급되므로, 세탁기와 식기세척기의 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세 탁물 또는 식기가 급수된 물에 의해 재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급수장치를 통해 공급된 물에 오염 물질이 포함되어 세탁물과 식기가 재오염되면, 세탁기의 세탁 또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시 사용되는 세제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정 기구의 급수유로 상에 정수장치가 설치되어 급수되는 물의 수질이 개선됨으로서, 상기 세정 기구의 세정 세탁 성능이 향상되고, 세제 사용량도 저감될 수 있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는 세정 기구의 급수유로 상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필터 케이싱과, 상기 필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유동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 케이싱의 내부 저면에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필터가 올림 고정된 고정 가이드와, 상기 고정 가이드에 올림 고정된 필터의 상면과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을 필터의 측면으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는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에 내부의 중공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고정 가이드는 상기 필터 케이싱의 내부 저면에 안착되고 상기 필터가 올림되며 상기 필터의 중공부와 유출구가 연통되도록 유출홀이 형성된 하측 가이드부와, 상기 하측 가이드부에서 유출홀과 연통되게 상향 돌출되고 상기 필터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를 고정하는 내측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측 가이드로부터 관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내주면에서 상기 유출홀로 물이 유동되도록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필터의 상면에 덮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을 상기 필터의 외주면으로 안내하는 상측 가이드부와, 상기 상측 가이드부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필터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필터의 외주면으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통로가 형성된 외측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을 가장자리 측으로 안내함과 아울러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측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구와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면에 간극 형성 리브가 돌출된다.
상기 간극 형성 리브는 상기 상측 가이드부의 상면에 방사 형상으로 복수개가 돌출된다.
상기 세정 기구는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내측에 설치되어 스프링(4)과 댐퍼(5)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6)와, 상기 터브(6) 내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8)과, 상기 드럼(8)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8)의 회전시 세탁물을 끌어올린 후 일정 높이에서 세탁물을 중력에 의해 낙하시키는 리프터(10)와, 상기 터브(6)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8)과 회전축이 연결된 모터(12)와,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장착되고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4)와, 상기 캐비닛 커버(14)의 세탁물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 커버(14)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2)의 상면에는 탑 플레이트(18)가 올림 장착되고, 상기 탑 플레이트(18)의 하측에는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터브(6)로 물 및 세제를 공급하기 위해 급수호스(22)와 급수밸브(24) 및 세제박스(26)로 구성된 급수장치(20)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호스(22)는 상기 급수밸브(24)와 외부 수원 사이에 연결된 제 1 급 수호스(22a)와, 상기 급수밸브(24)와 세탁박스(26) 사이에 연결된 제 2 급수호스(22b)와, 상기 세탁박스(26)와 급수밸브(24) 사이에 연결된 제 3 급수호스(22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터브(6)의 하측에는 세탁 및 헹굼 등에 사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수 호스(32)와 배수펌프(34)로 구성된 배수장치(3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급수장치(20)의 일측에는 상기 터브(6)의 내부로 오염된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외부수원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장치(40)가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정수장치(40)는 상기 급수장치(20) 중 세제박스(26) 이전에 설치되되, 상기 급수밸브(24)와 급수호스(22)의 연결부위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장치(40)는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급수밸브(24)의 전방과 후방에 모두 설치 가능하나, 상기 급수밸브(24)의 후방에 설치되면 상기 드럼 세탁기(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정수장치(40)가 외관에 드러나지 않아 미관이 향상되고, 상기 급수밸브(24)의 전방에 설치되면 상기 드럼 세탁기(1)의 외부에 배치되어 설치성 및 정비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수장치(40)가 급수밸브(24)의 이전에 설치된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정수장치(40)는 일측이 상기 급수밸브(24)에 연통되게 조립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 1 급수호스(22a)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스 커넥터(28)가 연통되게 조립된다.
상기 호스 커넥터(28)는 상기 정수장치(40)와 제 1 급수호스(22a)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로서, 상기 제 1 급수호스(22a)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급수호스(22a)의 장착시 연결부위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정수장치(40)와 제 1 급수호스(22a)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작동 및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도어(16)가 개방되어 드럼(8)의 내부로 세탁물이 투입되고, 상기 급수장치(20)의 세제박스(26)에 적정량의 세제가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6)가 밀폐된 후 드럼 세탁기(1)가 작동되면, 상기 드럼(8)에 투입된 세탁물의 포량에 따라 세탁 코스와 수위 등을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장치(20)의 급수밸브(24)가 개방되어 상기 급수밸브(24)와 급수호스(22)를 통해 외부 수원으로부터 터브(6)로 물이 급수된다.
이때, 상기 급수밸브(24)와 급수호스(22)의 사이에 연통되게 설치된 정수장치(40)에 의해 물에 포함된 오염 물질이 거름되고, 상기 정수장치(40)에 의해 정화된 물은 세제박스(26)를 거치면서 세제와 용해되어 상기 터브(6)의 내부로 공급된다.
상기 터브(6)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급수밸브(24)가 폐쇄되어 급수가 중단되고, 상기 드럼(8)이 모터(12)에 의해 회전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드럼 세탁기(1)의 세탁 행정이 완료되면, 상기 터브(6) 내의 세탁에 사용된 물은 배수장치(30)에 의해 외부로 배수되고, 상기 급수장치(20)에 의해 깨끗한 물이 재급수된 후 상기 드럼(8)이 회전되어 세탁물의 헹굼 행정이 실시된다.
물론, 상기와 같이 헹굼에 사용되는 물도 정수장치(40)에 의해 깨끗하게 정화된 상태로 상기 터브(6) 내부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세탁 행정과 헹굼 행정은 일정 횟수 동안 반복적으로 실시되어 상기 드럼(8)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정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에 설치된 정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정수장치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장치(20)의 급수밸브(24)와 제 1 급수호스(22a) 사이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물이 출입되는 유입구(43a)와 유출구(42a)가 각각 형성된 필터 케이싱(41)과, 상기 필터 케이싱(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43a)로 유입된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44)와, 상기 필터(44)와 유입구(43a)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43a)로 유입된 물을 상기 필터(44)의 외주면으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45)와, 상기 필터 케이싱(41)의 내부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44)를 고정하 고 상기 필터(44)에 의해 정화된 물을 상기 유출구(42a)로 안내하는 고정 가이드(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싱(41)은 상기 필터(44)에 의해 여과된 물이 상기 급수밸브(24)로 유출되도록 상기 급수밸브(24)에 연결되는 유출구(42a)가 하부에 형성된 케이싱 본체(42)와, 상기 케이싱 본체(42)의 개구된 상면에 체결 조립되고 상기 제 1 급수호스(22a)로부터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제 1 급수호스(22a)와 연결되는 유입구(43a)가 상부에 형성된 캡(4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43)은 상기 케이싱 본체(42)의 상면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고, 외측면에는 수작업으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43b)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즉, 상기 캡(43)의 하부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 본체(42)의 상부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43b)는 체결 작업시 상기 캡(43)의 파지가 보다 원활하도록 걸림감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캡(43)의 둘레를 따라 동일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43a)는 상기 캡(43)의 상부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호스 커넥터(28)의 일단이 연결된다. 즉, 상기 호스 커넥터(28)는 일단에는 유입구(43a)의 수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1 급수호스(22a)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 본체(42)는 상기 캡(43)이 나사 체결되는 부위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제 1 씨일링(seal ring,52)이 장착되고, 상기 급수밸브(24)가 연 결되는 유출구(42a)를 통해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유출구(42a)에는 제 2 씨일링(54)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유출구(42a)는 상기 케이싱 본체(42)의 하부 중앙에 상향 돌출되고, 상기 급수밸브(24)의 일단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와 체결되도록 내주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44)는 내부가 중공된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42a)에 중공부(44a)가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싱(4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필터(44)는 상기 드럼 세탁기(1)에 사용되는 물의 오염 상태에 따라 최적의 정화성능을 가지도록, 다양한 재질과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유동 가이드(45)는 상기 유입구(43a) 하측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43a)로 유입된 물을 상기 캡(43)의 내측면 측으로 안내하는 상측 가이드부(46)와, 상기 상측 가이드부(46)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필터(44)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물이 통과되는 통로(47a)가 형성된 외측 가이드부(4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가이드부(46)는 상기 필터(44)의 상면에 덮힘된 판형 부재로서, 상기 캡(43)과의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43a)로 유입되는 물을 가장자리 측으로 유동시키게 된다.
상기 상측 가이드부(46)는 상기 유입구(43a)로부터 유입된 물이 가장자리측으로 보다 원활하게 안내됨과 아울러 강도가 보강될 수 있도록, 상면 중앙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46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측 가이드부(46)는 중앙이 하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보다 평탄한 구조의 강도가 우수하고, 상기 평탄하게 형성된 구조보다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구조의 강도가 우수하다.
상기와 같이 볼록부(46a)가 상기 유입구(43a)의 하측에 배치되면, 상기 유입구(43a)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볼록부(46a)를 따라 상기 상측 가이드부(46)의 가장자리로 유동되고, 상기 상측 가이드부(46) 및 상기 캡(43)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유동된다.
또한, 상기 상측 가이드부(46)가 상기 캡(43)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유입구(43a)가 막히지 않도록, 상기 상측 가이드부(46)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간극 형성 리브(46b)가 돌출된다.
상기 복수개의 간극 형성 리브(46b)는 상기 상측 가이드부(46)의 상면과 상기 캡(43)의 상부 사이에 일정 크기의 간극(G)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유입구(43a)로 유입된 물은 간극(G)을 통해 상기 필터 케이싱(41)의 내부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간극 형성 리브(46b)는 상기 상측 가이드부(46)의 상면에 방사 형상으로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간극 형성 리브(46b)는 상측 가이드부(46)의 상면을 따라 유동되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측 가이드부(46)의 상면을 따라 가장자리 측으로 유동되는 물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가이드부(47)는 상기 필터(44)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 기 상측 가이드부(46)의 하면으로부터 관형상으로 하향 돌출되고, 상기 상측 가이드부(46)에 의해 안내된 물이 상기 필터(44)의 외주면으로 유동되도록 복수개의 통로(47a)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통로(47a)는 상기 외측 가이드부(47)의 둘레를 따라 상하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 형성된 홀이다.
상기 고정 가이드(48)는 상기 필터 케이싱(41)의 내부 저면에 안착되어 상기 필터(44)가 올림되는 하측 가이드부(49)와, 상기 하측 가이드부(49)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상기 필터(44)의 중공부(44a)로 삽입되는 내측 가이드부(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측 가이드부(49)는 상기 케이싱 본체(42)의 내측 저면에 안착되는 판형 부재로서, 상기 케이싱 본체(42)의 유출구(42a)가 관통되게 삽입되도록 중앙에는 유출홀(49a)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49a)과 중공부(44a)가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44)가 상면에 올림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가이드부(50)는 상기 유출홀(49a)과 연통되도록 상기 하측 가이드부(49)로부터 관형상으로 상향 돌출되고, 상기 필터(44)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상기 필터(44)의 중공부(44a)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내측 가이드부(50)는 상기 필터(44)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직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44)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유출구(42a)로 물이 유동되도록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통로(50a)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50a)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홀이고, 상기 내측 가이드부(50)의 둘레를 따라 이격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동 가이드(45)와 고정 가이드(48) 사이에 상기 필터(44)가 위치되는 바, 상기 유동 가이드(45)는 필터(44)의 상면과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48)은 필터(44)의 하면과 내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정수장치에 대한 작동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드럼 세탁기(1)의 급수시 급수장치(20)를 통해 외부 수원으로부터 드럼 세탁기(1)의 내부로 급수가 실시되면, 제 1 급수호스(22a)를 따라 유동되는 물은 상기 필터 케이싱(41)의 캡에 형성된 유입구(43a)를 통해 정수장치(4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구(43a)를 통해 유입된 물은 유동 가이드(45)의 상측 가이드부(46)로 유동된 후 상기 상측 가이드부(46)에 의해 상기 캡(43)의 내면 측으로 유동되고, 상기 상측 가이드부(46)와 캡(43)의 사이공간을 통해 케이싱 본체(42)와 외측 가이드부(47) 사이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43a)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상측 가이드부(46)의 볼록부(46a)로 유동되고, 상기 볼록부(46a)의 굴곡된 면을 따라 상기 상측 가이드부(46)의 가장자리로 유동된다. 동시에, 상기 유입구(43a)로 유입되는 물은 상측 가이드부(46)의 상면에 형성된 간극 형성 리브(46b)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 물의 유동이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싱 본체(42)와 외측 가이드부(47) 사이로 유동된 물은 상기 외측 가이드부(47)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로(47a)를 지나 상기 필터(44)의 외주면으로 유입되고, 상기 필터(44)의 내부를 통과한 물은 필터(44)의 내주면을 통해 유출된다.
이때, 상기 필터(44)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물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 및 오염 성분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44)에 의해 정화된 물은 고정 가이드(48)의 내측 가이드부(50)에 형성된 통로(50a)를 지나 상기 내측 가이드부(50)의 중공된 내부로 유동되고, 상기 내측 가이드부(50)의 내부로 유동된 물은 하측 가이드부(49)의 유출홀(49)에 관통되게 삽입된 케이싱 본체(42)의 유출구(42a)를 통해 상기 급수밸브(24)로 유출된다.
상기 급수밸브(24)로 유출된 깨끗한 물은 세제박스(26)를 거쳐 터브(6)의 내부로 급수된다.
한편, 상기 정수장치(40)의 조립 및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고정 가이드(48)의 내측 가이드부(50)가 필터(44)의 중공부(44a)에 끼움되도록 상기 하측 가이드부(49)의 상면에 필터(44)가 올림 고정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48)에 고정된 필터(44)의 상면과 외주면을 덮도록 상기 유동 가이드(45)가 씌움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유동 가이드(45)와 고정 가이드(48) 및 필터(44)는 케이싱 본체(42)의 저면에 올림되되, 상기 케이싱 본체(42)의 유출구(42a)는 상기 고정 가이드(48)의 하측 가이드부(49)에 형성된 유출홀(49a)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내측 가이드부(50)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 본체(42)의 상면에 상기 캡(43)이 체결되어 상기 정수장치(4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 본체(42)와 캡(43)은 체결 부위에 제 1 씨일링(52)이 설치된 상태로 체결 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정수장치(40)는 상기 급수밸브(24)와 연통되도록 상기 급스밸브(24)에 유출구(42a)가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정수장치(40)의 유입구(43a)에는 호스 커넥터(28)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후, 상기 호스 커넥터(28)의 타단에 제 1 급수호스(22a)가 연결되어 상기 정수장치(4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정수장치(40)는 유출구(42a)에 제 2 씨일링(54)이 배치된 상태로 상기 급수밸브(24)에 결합된다.
만약, 상기 급수밸브(24)가 온수 밸브와 냉수 밸브로 구성되면, 상기 정수장치(40)는 온수밸브와 냉수 밸브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온수밸브에 설치된 정수장치(40)는 고온에 견딜 수 있도록 내열성 재료로 필터 케이싱(41), 필터(44), 유동 가이드(45), 고정 가이드(48) 등이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102)과, 상기 캐비닛(102)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104)와, 상기 캐비닛(102)의 내부에 설치되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일 정 크기의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세척조(106)와, 상기 세척조(106)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되는 선반(108)과, 상기 선반(108)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어 분사홀(110a)을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110)과, 상기 세척조(106)의 하부에 형성되어 물이 모아지는 섬프(sump,112)와, 상기 섬프(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110)로 물을 펌핑하는 세척펌프(114)와, 상기 세척조(106)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섬프(112)로 물을 급수하기 위해 급수호스(122)와 급수밸브(124) 및 급수통로(126)로 구성된 급수장치(120)와, 상기 세척조(106)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섬프(112)로부터 물을 배수하기 위해 배수호스(132)와 배수펌프(134) 및 배수통로(136)로 구성된 배수장치(130)와, 상기 급수통로(126)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물을 연수로 바꾸는 이온수지 저장탱크와 이온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소금 저장탱크가 일체로 형성된 연수장치(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102)과 세척조(106) 사이에는 상기 급수통로(126) 및 배수통로(136)의 일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건조 행정시 상기 도어(104)에 설치된 송풍장치(117)에 의해 상기 세척조(106) 내부의 증기가 배출됨에 따라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유로(117a)가 구획 형성된 가이드 터브(11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장치(120)의 일측에는 상기 세척조(106)의 내부로 오염된 물이 급수되지 않도록 외부 수원으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장치(140)가 연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정수장치(140)는 상기 급수장치(120) 중 급수통로(126) 이전에 설치되 되, 상기 급수밸브(124)와 급수호스(122)의 연결부위에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급수호스(122)는 상기 급수밸브(124)와 외부 수원 사이에 연결된 제 1 급수호스(122a)와, 상기 급수밸브(124)와 급수통로(126) 사이에 연결된 제 2 급수호스(122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정수장치(140)는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급수밸브(124)의 전방과 후방에 모두 설치 가능하나, 상기 급수밸브(124)와 제 2 급수호스(122b)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면 상기 식기세척기(100)의 내부에 정수장치(140)가 배치되어 상기 정수장치(140)로 인한 외관 저하가 방지되고, 상기 급수밸브(124)와 제 1 급수호스(122a)의 연결 부위에 설치되면 상기 식기세척기(100)의 외부에 배치되어 설치성 및 정비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수장치(140)가 급수밸브(124)의 이전에 설치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정수장치(140)는 일측이 상기 급수밸브(124)에 연통되게 조립되고, 타측에는 상기 급수호스(122)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호스 커넥터(128)가 연통되게 조립된다.
상기 호스 커넥터(128)는 상기 정수장치(140)와 제 1 급수호스(122a)의 연결을 원활하게 하는 연결 부재로서, 상기 제 1 급수호스(122a)와는 용이하게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급수호스(122a)와의 연결부위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급수호스(122a)와 밀봉되게 연결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식기세척기의 정수장치(140)는 앞서 기재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 및 작동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작동 및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식기세척기가 작동되면, 상기 급수장치(120)의 급수밸브(124)가 개방되어 급수호스(122)와 급수밸브(124) 및 급수통로(126)를 따라 외부 수원으로부터 물이 섬프(112)로 공급되고, 세척펌프(114)에 의해 물이 펌핑되어 노즐(110)의 분사홀(110a)을 통해 선반(108)으로 분사되면서 상기 선반(108)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호스(122)의 제 1 급수호스(122a)를 통해 외부 수원으로부터 상기 급수밸브(124)로 물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급수밸브(124)와 제 1 급수호스(122a) 사이에 설치된 정수장치(140)에 의해 물에 포함된 오염 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상기 정수장치(140)에 의해 정화된 물은 상기 급수밸브(124)로 유입된다.
상기 급수밸브(124)로 유입된 깨끗한 물은 제 2 급수호스(122b)와 급수통로(126)를 통해 유동되고, 상기 급수통로(126)를 통해 유동되는 물은 연수장치(116)의 이온수지와 연수 반응되어 경수성분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식기세척기(100)의 지속적인 세척 작업으로 인해 이온수지가 고갈되면, 세척행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이온수지에 소금물이 투입되어 상기 이온수지를 재생시키게 된다.
상기 이온수지가 소금물에 의해 재생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급수밸브(124)가 개방되어 상기 이온수지 저장탱크로 물이 급수되고, 급수된 물에 의해 재생시 발생된 경수성분과 공급된 소금물은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세정 기구는 세탁기와 식기 세척기에 한정되지 않고, 물을 이용하여 세정 작용을 하는 다양한 기구의 급수유로 상에 정수장치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는 필터 케이싱과 필터 및 고정 가이드와 유동 가이드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와 유동 가이드에 의해 필터가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필터 케이싱의 내부 유로가 형성되므로, 상기 정수장치는 구조가 단순하게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소형화와 콤팩트(compact)화가 실현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관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의 상면과 외주면에 유동 가이드가 밀착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필터의 하면과 내주면에 고정 가이드가 밀 착되게 배치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와 고정 가이드에는 상기 필터의 외주면으로 물이 유입된 후 상기 필터의 내주면으로 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통로가 각각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와 물이 통과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상기 정수장치의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의 상측 가이드부는 중앙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서, 상기 필터 케이싱의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물이 상측 가이드부의 가장자리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되고, 아울러 상기 상측 가이드부의 강도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측 가이드부는 상면에 복수개의 간극 형성 리브가 돌출됨으로서, 상기 상측 가이드부와 유입구 사이에는 물이 유동되기 위한 일정 크기의 간극이 확보되고, 상기 상측 가이브부의 볼록부에 의해 상기 유입구가 막힘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간극 형성 리브는 방사형으로 상측 가이드부의 상면에 형성됨으로서, 상기 상측 가이드부의 가장자리 측으로 물의 유동이 안내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세정 기구의 급수유로 상에 연통되게 설치되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필터 케이싱과;
    상기 필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유출구로 유동되는 물을 정화시키는 필터와;
    상기 필터 케이싱의 내부 저면에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필터가 올림 고정된 고정 가이드와;
    상기 고정 가이드에 올림 고정된 필터의 상면과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을 필터의 측면으로 안내하는 유동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에 내부의 중공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필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가이드는 상기 필터 케이싱의 내부 저면에 안착되고 상기 필터가 올림되며 상기 필터의 중공부와 유출구가 연통되도록 유출홀이 형성된 하측 가이드부와, 상기 하측 가이드부에서 유출홀과 연통되게 상향 돌출되고 상기 필터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를 고정하는 내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가이드부는 상기 필터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측 가이드로부터 관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필터의 내주면에서 상기 유출홀로 물이 유동되도록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필터의 상면에 덮힘되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을 상기 필터의 외주면으로 안내하는 상측 가이드부와, 상기 상측 가이드부에서 하향 돌출되어 상기 필터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필터의 외주면으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복수개의 통로가 형성된 외측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물을 가장자리 측으로 안내함과 아울러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구와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면에 간극 형성 리브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 형성 리브는 상기 상측 가이드부의 상면에 방사 형상으로 복수개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기구는 세탁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기구는 식기세척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20040085855A 2004-10-26 2004-10-26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0808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855A KR100808262B1 (ko) 2004-10-26 2004-10-26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855A KR100808262B1 (ko) 2004-10-26 2004-10-26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752A true KR20060036752A (ko) 2006-05-02
KR100808262B1 KR100808262B1 (ko) 2008-02-29

Family

ID=3714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855A KR100808262B1 (ko) 2004-10-26 2004-10-26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7384A (zh) * 2011-09-30 2014-05-28 株式会社东芝 洗涤设备用的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7558B2 (ja) * 1992-11-17 1999-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
KR200166228Y1 (ko) * 1997-07-15 2000-01-15 구자홍 세탁기용 이물질 여과장치
KR19990030772U (ko) * 1997-12-30 1999-07-26 전주범 세탁기용 급수밸브
KR20000009811U (ko) * 1998-11-12 2000-06-05 전주범 세탁기용 급수호스의 결합구조
KR20000009812U (ko) * 1998-11-12 2000-06-05 전주범 세탁기용 급수필터
KR20020093160A (ko) * 2001-05-18 2002-12-16 주식회사 거산 세탁기용 급수필터
KR100443465B1 (ko) * 2001-10-20 2004-08-09 노현범 세탁기의 염소 제거 및 살균 장치
KR100463529B1 (ko) * 2002-09-26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급수밸브의 필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7384A (zh) * 2011-09-30 2014-05-28 株式会社东芝 洗涤设备用的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262B1 (ko) 2008-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561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1332286B1 (ko) 세탁기
US4730630A (en) Dishwasher with power filtered rinse
US9339167B2 (en) Dishwasher
US20080276658A1 (en) Tub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drum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050106259A (ko) 배수 케이싱을 구비한 세탁기
KR101238135B1 (ko) 식기 세척기
KR101241871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808260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0808262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0794346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070026923A (ko) 드럼 세탁기
KR100686118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100808261B1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20060036750A (ko) 정수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또는 식기세척기
US8622065B2 (en) Dish washer
KR20060036751A (ko) 세정 기구의 정수장치
KR100640796B1 (ko) 식기 세척기의 구동부
KR100454054B1 (ko) 초음파 세척기
KR20140100072A (ko) 식기세척기
JP7113171B2 (ja) 食器洗い機
KR20110013059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40002845A (ko) 식기세척기
KR101052965B1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CN117306172A (zh) 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