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676A - 광학 부재,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가지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부재,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가지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676A
KR20060036676A KR1020040085744A KR20040085744A KR20060036676A KR 20060036676 A KR20060036676 A KR 20060036676A KR 1020040085744 A KR1020040085744 A KR 1020040085744A KR 20040085744 A KR20040085744 A KR 20040085744A KR 20060036676 A KR20060036676 A KR 20060036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member
binder
beads
diffusion
diffus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미
이정환
최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6676A/ko
Publication of KR2006003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having particles on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정전기의 발생을 감소시킨 광학 부재,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광학 부재는 제 1 면 및 제 1 면과 마주보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 및 제 1 면 상에 배치된 바인더와 바인더에 의하여 고정되며,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확산 비드들을 갖는 확산층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학 부재를 포함하고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광학 부재는 정전기 발생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표시 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킨다.
광학 부재, 확산층, 확산 비드, 대전 방지, 바인더

Description

광학 부재,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표시 장치{OPTICAL MEMBER, BACK LIGHT ASSEMBLY HAVING THE OPTICAL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BACK LIGHT ASSEMBLY}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2에 도시한 광학 부재에 발생한 정정기가 소멸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베이스 몸체 300 : 광학 부재
330 : 제 1 확산층 331, 351 : 바인더
333a, 333b : 제 1 확산 비드 350 : 제 2 확산층
353 : 제 2 확산 비드
본 발명은 광학 부재,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정전기 발생을 감소시킨 광학 부재 및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은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서 광의 투과율을 변경시키는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함께 갖는다.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Liquid Crystal, LC)의 전기-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액정은 스스로 광을 생성하지 못하는 수동소자이기 때문에 어두운 곳에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액정 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학 필름(Optical Film)들을 포함한다. 광학 필름들은 광원에서 발생한 광을 확산, 집광, 굴절 및 회절 등을 시켜 광의 광학 특성 및 광의 경로를 제어한다. 광학 필름의 일종인 확산 필름(Diffuser Film)은 입사된 광을 굴절 및 산란시켜 확산된 광을 출사한다.
광학 필름은 대부분 합성수지, 예를 들면, 고분자 합성수지를 원재료로 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광학 필름과 다른 물질의 마찰 등에 기인하여 광학 필름은 정전 기가 발생하기 쉽다. 이로 인해, 광학 필름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흡착되어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표시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정전기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광학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광학 부재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상기 광학 부재를 가지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광학 부재는 제 1 면 및 제 1 면과 마주보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 및 제 1 면 상에 형성된 바인더와 바인더에 의하여 고정되며,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제 1 확산 비드들을 갖는 제 1 확산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제 1 면 및 제 1 면과 마주보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 및 제 1 면 상에 형성된 바인더와 바인더에 의하여 고정되며,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제 1 확산 비드들을 갖는 제 1 확산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광학 부재에 광을 제공하는 램프 및 광학 부재와 램프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마주보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 및 제 1 면상에 형성된 바인더와 바인더에 의하여 고정되며,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확산 비드들을 갖는 확산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광학 부재에 광을 제공하는 램프 및 광학 부재와 램프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광을 제공 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광학 부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에 의하면, 광학 부재에 흡착되는 이물질이 감소하여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휘도 저하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광학 부재
실시예 1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100)는 베이스 몸체(110) 및 확산층(130)을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110) 는 제 1 면(111) 및 제 1 면(111)과 마주보는 제 2 면(113)을 포함한다.
확산층(130)은 바인더(131) 및 확산 비드(133)들을 포함한다. 바인더(131)는 베이스 몸체(110)의 제 1 면 상에 형성되고, 확산 비드(133)들은 베이스 몸체(110) 의 제 1 면상에 배치되며 바인더(131)에 의해 고정된다. 확산 비드(133)들은 바인더(131)에 의해 매립되거나 확산 비드(133)의 일부는 바인더(131)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확산 비드(133)들은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투명하여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율이 높은 합성 수지, 예를 들어, PMMA(Polymethylmethacrylate) 계열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확산층(130)은 비 전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확산층(130)에 정전하가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확산층(130)은 대략 1010(Ωcm) 이하의 표면저항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100)는 확산층(130)의 표면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확산 비드(133)들에는 대전 방지제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대전 방지제는 확산 비드(133)에 혼합된다. 이와 다르게, 대전 방지제는 확산 비드(133)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대전 방지제는 확산 비드(133)에 혼합 및 확산 비드(133)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대전 방지제에 의하여 확산 비드(133)들에 서의 정전기 발생은 크게 억제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광학 부재(100)의 표면에 발생하는 정전기는 광학 부재(100)와 외부 물질과의 마찰 또는 접촉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 따라서, 광학 부재(100)로부터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광학 부재(100)의 표면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광학 부재(100)의 표면에 발생한 정전기를 순간적으로 제거, 중화 또는 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c는 도 2에 도시한 광학 부재에 발생한 정전기가 소멸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확산 비드(133)들포함에 포함된 대전 방지제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모두 포함한다. 소수성기는 확산 비드의 표면 아래에 집중되어 있고 친수성기는 표면에 노출되어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한다. 대전 방지제에 의해 흡수되어 확산 비드의 표면에 분포하는 물 분자는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확산층(130)표면에 축적된 정전하는 분산되어 소멸되고, 이로 인해 정전기로 인한 광학 부재(10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빈도는 현저하게 감소된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광학 부재는 확산층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광학 부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200)는 베이스 몸체(210) 및 확산층(230)을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210)는 제 1 면(211) 및 제 1 면(211)과 마주보는 제 2 면(213)을 포함한다.
확산층(230)은 바인더(231) 및 확산 비드(233)들을 포함한다. 바인더(231)는 베이스 몸체(210) 의 제 1 면(211) 상에 형성되고 확산 비드(233)들은 베이스 몸체(210)의 제 1 면(211) 상에 배치되며 바인더(231)에 의해 고정된다.
확산 비드(233)들은 메인 비드(233a)들 및 메인 비드(233a)들의 사이에 배치된 서브 비드(233b)들을 포함한다. 메인 비드(233a)들은 일부가 바인더(231)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서브 비드(233b)들은 바인더(231)에 매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200)는 확산층(230)의 표면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확산 비드(233)들에는 대전 방지제가 포함된다. 대전 방지제에 의하여 확산 비드(233)들에서의 정전기 발생은 크게 억제된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는 베이스 몸체 및 바인더가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고 확산층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의 광학 부재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부재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참조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300)는 베이스 몸체(310), 제 1 확산층(330) 및 제 2 확산층(350)을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310)는 제 1 면(311) 및 제 1 면(311)과 마주보는 제 2 면(313)을 포함한다.
제 1 확산층(330)은 바인더(331) 및 제 1 확산 비드(333)들을 포함한다. 제 1 확산층(330)은 베이스 몸체(310)를 통하여 외부로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고 베이스 몸체(310)를 보호한다.
바인더(331)는 베이스 몸체(310)의 제 1 면(311) 상에 형성되고 제 1 확산 비드(333)들은 베이스 몸체(310)의 제 1 면(311) 상에 배치되며 바인더(331)에 의해 고정된다.
제 1 확산 비드(333)들은 메인 비드(333a)들 및 메인 비드(333a)들의 사이에 배치된 서브 비드(333b)들을 포함한다. 메인 비드(333a)들은 일부가 바인더(331)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서브 비드(333b)들은 바인더(331)에 매립될 수 있다.
제 1 확산층(330)에 정전하가 축적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 1 확산 비드(333)들은 대전 방지제를 포함한다.
또한, 또한, 제 1 면(311)에 배치된 바인더(331)의 표면 중 제 1 확산 비드(333)들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는 부분에도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바인더(331)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확산층(350)은 바인더(351) 및 제 2 확산 비드(353)들을 포함한다. 제 2 확산층(350)은 외부로부터 베이스 몸체(310)로 입사되는 광을 확산시키고 베이스 몸체(310)를 보호한다.
바인더(351)는 베이스 몸체(310)의 제 2 면(313) 상에 형성되고 제 2 확산 비드(353)들은 바인더(351)에 의해 고정된다. 제 2 확산 비드(353)들은 제 1 확산 비드(333)들에 비하여 비교적 크기가 균일하며 바인더(351)에 매립될 수 있다..
제 2 확산층(350)도 비 전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확산층(350)에 정전하가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제 2 확산층(350)의 표면을 이루는 바인더(351)는 제 1 확산층(330)이 포함하는 바인더(331)와 마찬가지로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확산 비드(353)들이 바인더(351)에 의해 완전히 매립되지 못하거나 바인더(351)가 마모되어 제 2 확산 비드(353)의 일부가 바인더(351)로부터 노출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제 2 확산 비드(353)들도 제 1 확산 비드(333)들과 마찬가지로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확산 비드(333)들 및 제 2 확산 비드(353)들은 광학 부재(300)가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을 가지도록 밀도를 달리하여 제 1 확산층(330) 및 제 2 확산층(350)에 각기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확산 비드(333)들 및 제 2 확산 비드(353)들은 제 2 확산층(350)의 헤이즈값(haze value)보다 제 1 확산층(330)의 헤이즈값이 높도록 각각 제 1 확산층(330) 및 제 2 확산층(350)에 분포된다.
헤이즈값은 입사광이 확산투과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하기와 같은 식으로 정의된다.
Figure 112004049062414-PAT00001
상기 식에서, 확산투과량은 입사되어 투과된 광 중에서 확산된 광의 양을 의미하고, 전체 투과량은 입사되어 투과된 전체 광의 양을 의미한다.
제 1 및 제 2 확산 비드(333, 353)들은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제 1 및 제 2 확산 비드(333, 353)들이 높은 밀도로 분포되면 헤이즈값이 높고, 낮은 밀도로 분포되면 헤이즈값이 낮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 부재(300)는 제 1 확산층(330)과 제 2 확산층(350)의 헤이즈값을 달리하기 위하여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제 1 확산 비드(333) 및 제 2 확산 비드(353)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인더(331, 351), 제 1 확산 비드(333)들 및 제 2 확산 비드(353)들이 포함하는 대전 방지제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모두 포함한다. 소수성기는 바인더(331, 351), 제 1 확산 비드(333)들 및 제 2 확산 비드(353)들의 표면 아래에 집중되어 있고, 친수성기는 바인더(331, 351), 제 1 확산 비드(333)들 및 제 2 확산 비드(353)들 표면에 노출되어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한다. 대전 방지제에 의해 흡수되어 바인더(331, 351), 제 1 확산 비드(333)들 및 제 2 확산 비드(353)들의 표면에 분포하는 물 분자는 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표면에 축적된 정전하는 분산되어 소멸되고, 이로 인해 정전기에 기인하는 이물질의 흡착이 부착되는 빈도는 현저히 감소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실시예 4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400)는 광학 부재(300), 램프(410) 및 수납용기(430)를 포함한다.
광학 부재(300)는 도 3에 도시한 광학 부재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 및 명칭을 부여하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램프(410)는 광을 발생하여 광 확산부재(300)로 제공한다. 수납 용기(430)는 바닥면에 램프(410)를 수납하고 측벽에 형성된 단턱에 광학 부재(300)를 수납한다.
램프(410)로부터 광학 부재(300)로 입사되는 광은 제 2 확산층(350)에서 반사 및 확산된다. 광학 부재(300)를 투과하는 광은 제 1 확산층(330)을 투과하면서 다시 반사 및 확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400)는 램프(410)와 광학 부재(300) 사이에 확산판(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는(400) 광학 부재(300), 램프(510), 램프 리플랙터(530), 도광판(550) 및 수납용기(570)를 포함한다.
광학 부재(300)는 도 3에 도시한 광학 부재(3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램프(510)는 광을 발생하고 램프 리플랙터(530)는 램프(510)의 주위를 감싸 고 램프(510)가 발생한 광을 일 측으로 반사한다. 도광판(550)은 일 측면을 통해 램프(510) 및 램프 리플랙터(530)로부터 광을 입사 받아 광학 부재(300)의 제 2 확산층(350)으로 출사한다.
수납용기(570)는 도광판(550)을 수납하고 도광판(550)과 수납용기(570)의 측벽의 사이에 램프(510) 및 램프 리플랙터(530)를 수납한다.
광학 부재(300)는 도광판(550) 상에 안착된다. 도광판(550)으로부터 광학 부재(300)로 입사되는 광은 제 2 확산층(350)에서 반사 및 확산된다. 광학 부재(300)를 투과하는 광은 제 1 확산층(330)을 투과하면서 다시 반사 및 확산된다. 여기서, 제 2 확산층(350)보다 제 1 확산층(330)의 헤이즈 값이 높기 때문에 광학 부재(300)를 투과하는 광은 점차적으로 광학 부재(300)의 전면에 걸쳐 균일한 휘도의 광으로 변한다.
광학 부재(300)에는 광학 부재(300)와 도광판(550)이나 수납용기(570)의 마찰 또는 접촉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500)에서 광학 부재(300)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확산 비드(333, 353)들을 포함하므로 광학 부재(300)에 축적된 정전하는 순간적으로 제거, 중화, 또는 누설되어 소멸한다. 따라서, 정전기에 기인하는 이물질의 흡착, 정전기의 방전에 의한 부품의 손상이 방지된다.
표시 장치
실시예 6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400) 및 표시 패널(610)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400)는 프리즘 시트(4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한 백라이트 어셈블리(4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프리즘 시트(450)는 광학 부재(300)의 제 1 확산층(330)을 투과하면서 확산된 광을 다시 집광하여 광 경로의 방향성이 대략 정면을 향하도록 변경한다. 프리즘 시트(450)는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에 따라 1 매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600)는 프리즘 시트(450) 상에 배치되어 프리즘 시트(450)를 보호하는 보호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610)은 프리즘 시트(450)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공 받아 영상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광으로 변경한다.
실시예 7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00)는 백라이트 어셈블리(600) 및 표시 패널(730)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프리즘 시트(5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에 도시한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프리즘 시트(590)는 광학 부재(300)의 제 1 확산층(330)을 투과하면서 확산된 광을 다시 집광하여 광 경로의 방향성이 대략 정면을 향하도록 변경한다. 프리즘 시트(590)는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에 따라 1 매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700)는 프리즘 시트(590) 상에 배치되어 프리즘 시트(590)를 보호하는 보호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730)은 프리즘 시트(590)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공 받아 영상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광으로 변경한다.
상술한 표시 장치에 따르면, 광학 부재(300)는 대략 1010 (Ωcm) 이하의 균일한 표면 저항값을 가져 정전기 발생에 기인하는 이물질의 흡착 등이 억제되어 표시품질이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학 부재에 따르면, 광학 부재는 대략 1010 (Ωcm) 이하의 균일한 표면 저항값을 가져 정전하의 축적이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따르면, 광학 부재에 정전기의 발생이 감소되어 이물질의 흡착이 감소하고 그 결과 휘도의 감소가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에 따르면, 광학 부재에 정전기의 발생이 감소되어 표시품질이 향상된다.

Claims (11)

  1.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마주보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제 1 면상에 형성된 바인더와 상기 바인더에 의하여 고정되며,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제 1 확산 비드들을 갖는 제 1 확산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확산 비드들은 메인 비드 및 상기 메인 비드들의 사이에 배치된 서브 비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비드들은 제 1 헤이즈값을 갖고, 상기 서브 비드들은 상기 제 1 헤이즈값보다 낮은 제 2 헤이즈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비드들은 상기 바인더의 상부로 돌출 되고, 상기 서브 비드들은 상기 바인더에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상에는 상기 바인더, 상기 바인더에 매설되어 고정되며, 상기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제 2 확산 비드들을 갖는 제 2 확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 대전 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대전 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8.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마주보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제 1 면상에 형성된 바인더 및 상기 바인더에 의하여 고정되며,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제 1 확산 비드들을 갖는 제 1 확산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상기 광학 부재에 광을 제공하는 램프; 및
    상기 광학 부재 및 상기 램프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면상에는 상기 바인더, 상기 바인더에 매설되어 고정되며, 상기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제 2 확산 비드들을 갖는 제 2 확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부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와 마주보고 상기 램프로부터 입사된 광을 가이드하여 상기 광 확산부재로 출사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1.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마주보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몸체 및 상기 제 1 면상에 형성된 바인더와 상기 바인더에 의하여 고정되며,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확산 비드들을 갖는 확산층을 포함하는 광학 부재, 상기 광학 부재에 광을 제공하는 램프 및 상기 광학 부재 와 상기 램프를 수납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광을 제공 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040085744A 2004-10-26 2004-10-26 광학 부재,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가지는 표시 장치 KR20060036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744A KR20060036676A (ko) 2004-10-26 2004-10-26 광학 부재,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가지는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744A KR20060036676A (ko) 2004-10-26 2004-10-26 광학 부재,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가지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676A true KR20060036676A (ko) 2006-05-02

Family

ID=3714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744A KR20060036676A (ko) 2004-10-26 2004-10-26 광학 부재,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가지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66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531B1 (ko) * 2006-05-09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산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1053808B1 (ko) * 2007-09-28 2011-08-0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0865481A (zh) * 2018-08-28 2020-03-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531B1 (ko) * 2006-05-09 2008-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확산판을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1053808B1 (ko) * 2007-09-28 2011-08-0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0865481A (zh) * 2018-08-28 2020-03-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11143905B2 (en) 2018-08-28 2021-10-12 Beijing Boe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CN110865481B (zh) * 2018-08-28 2021-10-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20273B1 (en) Optical film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4294992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20010078303A (ko) 광학 필름
US6888595B2 (en) Reflector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7871680B2 (en) Optical film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US6882474B2 (en) Optical path changing polarizer
TW201314303A (zh) 背光模組結構
KR20010062553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91519A (ko) 직하광식 및 감입광식 백라이트 모듈용 광산란 필름
KR20170013696A (ko) 광학산 렌즈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표시장치
KR101740194B1 (ko) 표시 패널 유닛 및 표시 장치
JP2010210882A (ja) 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585000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8060013A (ja) 面光源装置、透過型表示装置
KR20060036676A (ko) 광학 부재,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가지는 표시 장치
JP4953517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4259630A (ja) 面光源装置及び反射型液晶表示装置
KR101069934B1 (ko) 집광기능을 부여한 확산 시트
JP2010122707A (ja) 光学フィルム
KR20060057194A (ko) 반사시트,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가지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가지는 표시 장치
KR20090130644A (ko) 광학 특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JP4462514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50031935A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KR20070066638A (ko) 자외선 차단 필름이 구비된 백라이트 장치
JP2011175299A (ja) 光路変換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