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104A -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절차 - Google Patents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절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104A
KR20060036104A KR1020067001732A KR20067001732A KR20060036104A KR 20060036104 A KR20060036104 A KR 20060036104A KR 1020067001732 A KR1020067001732 A KR 1020067001732A KR 20067001732 A KR20067001732 A KR 20067001732A KR 20060036104 A KR20060036104 A KR 20060036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or
frequency
signal
correlation function
corr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르만 에프. 크라스너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36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3Testing, monitoring, correcting or calibrating of receiver elements
    • G01S19/235Calibration of receiver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6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 H04B1/28Circuits for superheterodyne receivers the receiver comprising at least on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30Circuits for homodyne or synchrodyne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신된 신호는 다운 변환된다.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수신된 신호로부터 유도된다.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각각 제1 및 제2 시간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은 제1 및 제2 상관 기능으로부터 유도된다.

Description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절차{PROCEDURE FOR ESTIMATING A FREQUENCY SHIFT PARAMETER OF AN OSCILLATOR}
본 발명은 발진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발진기의 주파수 정성을 보장하거나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절차에 관한 것이다.
RF 수신기에서, 하나 이상의 국부 발진기는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역 또는 기저대역 부근 주파수로 다운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직접 변환 수신기에서, 수신된 신호의 반송 주파수로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단일 국부 발진기는 다운 변환 프로세스를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수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제1 국부 발진기는 수신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다운 변환하는데 사용되며, 제1 국부 발진기는 수신된 신호를 기저 대역 또는 기저대역 부근 신호로 다운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제1 국부 발진기의 주파수는 반송파 주파수와 중간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의 차로 설정된다. 제2 국부 발진기의 주파수는 중간 주파수로 설정된다.
여러 번, 하나 이상의 국부 발진기는, 파워 온/오프 조건, 전압 동요 등으로 인해, 주파수 불안정 및 급속한 주파수 편이를 경험할 수 있다. 응용예에 따라, 이러한 주파수 변화는 다운 변환된 신호를 프로세싱하는데 상당한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GPS 위치 결정 시스템에서, 다운 변환을 실행하는데 사용된 하나 이상의 국부 발진기에 의해 겪게 되는 주파수 편이는 다운 변환된 신호에서 위상 변화로서 그 자체로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위상 변화는 코히어런트한 통합 시간의 크기를 한정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이는 차례로 GPS 위치 결정 시스템의 감도 및 약한 GPS 위성 신호를 검출하는 능력을 제한한다.
몇몇 경우에, 국부 발진기는 선형 주파수 속도의 변화를 겪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선형 주파수 속도의 변화는 Hz/sec 단위로 스위프 속도(k)로 표현될 수도 있다. 위상이 주파수의 적분이므로, 스위프 속도(k)는 그 자체로 위상의 변화의 제곱 속도, 즉 k2 차수로서 명백하다. 만일 이러한 스위프 속도가 알려지면, 이는 제어되고 수정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가입자국과 같은 대량 소비 시장 전자 장치의 경우, 파라미터(k)의 모든 가능한 가정을 체크하는 최대 가능성 접근을 사용하여 k를 추정하는 것은 대단히 비용 및 시간 소모적이다. 다른 가능한 기술은 호모다인 스펙트럼 분석과 같은 다른 가능한 기술이 많은 GPS 위성 전송을 특성화하는 낮은 SNR에서 효율적이다.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이 설명된다. 수신된 신호는 발진기를 사용하여 다운 변환된다.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다운 변환된 신호로부터 유도된다.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각각 제1 및 제2 시간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은 제1 및 제2 상관 기능으로부터 유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순환적으로 상호 상관된다.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가 위치하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은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의 위치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는 스위프 속도이고, 제1 및 제2 시기는 델타 값에 의해 서로로부터 치환된다. 이러한 예에서, 스위프 속도는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 및 델타 값의 피크의 위치로부터 추정된다.
제2 실시예에서, 수신된 신호는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를 나타내는 합성 신호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기능은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의 각각에 대해 다운 변환된 신호로부터 유도된다.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각각 제1 및 제2 시기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제1 상관 기능은 제1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SNR과 같은 신호 측정 규준의 품질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합성된다. 하나 이상의 제2 상관 기능은 제2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다시 신호 규준의 품질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합성된다.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은 제1 및 제2 합성 상관 기능으로부터 유도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는 관련된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특징 및 상세한 설명의 컴토시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모든 이러한 부가적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있으며, 첨부한 청구항에 의해 보호된다.
도면의 구성 요소는 일정한 비율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시 강조되었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번호는 도면 전체를 통해 대응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도1은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를 추정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2는 위치 결정 시스템에서 국부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3은 위치 결정 시스템에서 가입자국에 의해 생성된 바와 같은 2차원 상관 기능의 예이다.
도4는 도3의 2차원 상관 기능의 단면으로부터 유도된 1차원 상관 기능이며, 다양한 코드 위상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도5는 도3의 2차원 상관 기능의 단면으로부터 유도된 1차원 상관 기능이며, 다양한 도플러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도6a는 각각 제1 및 제2 시기에 다양한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내고, 50Hz/sec 스위프 속도를 가정한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의 예이다.
도6b는 도6a의 제1 및 제2 상관 기능으로부터 유도된 순환 상호 상관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a는 각각 제1 및 제2 시기에 다양한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내고 100Hz/sec의 스위프 속도를 가정한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의 예이다.
도7b는 도7a의 제1 및 제2 상관 기능으로부터 유도된 순환 상호 상관 기능을 도시한다.
도8은 다양한 입력 신호 레벨 및 추정된 스위프 속도에 대해 스위프 속도 추정에서 예상된 RMS 에러를 나타낸 일련의 도면이다.
도9는 가입자국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10은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11은 수신된 신호가 다수의 신호 소스를 나타내는 합성 신호에서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며, 다양한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다수의 상관 기능이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합성된다.
도12는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약", "대략적으로", "실질적으로" 및 "부근"과 같은 용어는 수학적인 정확성에서 다소의 편차가 거래에서 수용가능한 공차를 설명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1% 내지 20% 또는 그 이하의 범위에서 "약", "대략적으로", "실질적으로" 또는 "부근"과 같은 용어에 의해 변경된 값보다 이상 또는 이하인 소정의 편차는 설명된 값의 사상 내에서 정확한 것으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소프트웨어"라는 용어는 소스 코드, 어셈블리 언어 코드, 이진 코드, 펌 웨어, 매크로 명령, 마이크로 명령 등, 또는 이들 의 두 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메모리"라는 용어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RAM, ROM, EPROM, PROM, EEPROM,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CD-ROM, DVD 등, 또는 두 개 이상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를 의미하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일련의 소프트웨어 명령들이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또는 "CPU"라는 용어는 일련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소정의 장치를 의미하며, 제한 없이, 범용- 또는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 유한 상태 기계, 제어기, 컴퓨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등을 포함한다.
"로직" 이라는 용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소정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서 기능의 실행을 의미한다.
"GPS 위성"이라는 표현은 우주 비행체(SV)를 포함한다.
"위치 결정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소정의 시스템을 의미하며,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 위치하거나 이에 통합되는 위치 결정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들은 GPS, 모바일 지원 GPS, GLONASS, GALILEO, 모바일 기반, 네트워크 기반 강화 개선된 도달 시간차 측위(EOTA), 및 도달 업링크 시간 위치 결정 시스템을 포함한다.
"가압자국"이라는 용어는 이동국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IS-95(CDMA), CDMA2000, WCDMA, GSM, 및 GPRS 시스템과 같은 소정의 다중 액세스 모드 또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1은 발진기(106)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신호는 안테나(102)를 통해 수신된다. 다운 변환기(110)가 발진기(106)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다운 변환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다운 변환기(110)는 발진기(106)와 결합된 믹서(104)를 포함하지만, 다른 구성이 가능함을 인식해야 한다. 로직(108)은 다운 변환된 신호(112)로부터 제1 및 제2 기능을 유도한다.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각각 제1 및 제2 시기에 하나 이상의 가정 주파수 파라미터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로직(108)은 제1 및 제2 상관 기능으로부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테나(102)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를 나타내는 합성 신호를 포함한다. 다운 변환기(110)는 신호를 다운 변환시키고, 로직(108)은 각각의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에 대해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을 유도한다.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또한 각각 제1 및 제2 시기에 하나 이상의 가정 주파수 파라미터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로직(108)은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에 대해 제1 및 제2 상관 기능으로부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한다.
일 구현예에서, 로직(108)은 제1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1 상관 기능을 합성하고, 제2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2 상관 기능을 합성한다. 로직(108)은 제1 및 제2 합성 상관 기능으로부터 주파수 편이 추정치를 유도한다. 일 예에서, 로직(108)은 제1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SNR과 같은 신호 규준의 품질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1 상관 기능을 선택적으로 합성하고, 제2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SNR과 같은 신호 규준의 품질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제2 상관 기능을 합성한다.
도2는 위치 결정 시스템에서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한 시스템의 실시예(200)를 도시한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시스템은 GPS 위치 결정 시스템의 일부인 가입자국에 포함되거나 통합되지만,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 시스템(200)은 두 가지 모드, 즉 표준 모드 및 조정 모드로 기능한다. 표준 모드는 조정 모드에 앞서 우선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신호는 안테나(202)를 통해 수신된다. 수신된 신호는 가입자국에 가시적인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 신호를 나타내는 합성 신호이다. 설명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는 잡음이 존재하는 가입자국의 수신기에 가시적인 각각의 GPS 위성(204a, 204b, 및 204c)이지만,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각각의 위성들은 위성을 유일하게 식별하는 1023 칩의 반복 PN 코드로 마킹된 신호를 전송한다. 위성에 대한 PN 코드는 다른 하나의 편이된 버젼이다. 1023 칩은 밀리초마다 반복한다. 신호는 또한 데이터 비트를 사용하여 변조되지만, 각각의 데이터 비트는 변조된 신호에서 20ms의 기간을 갖는다.
수신된 신호는 다운 변환기(206)에 의해 중간 주파수로 다운 변환된다. 도시된 특정 예에서, 다운 변환기(206)는 국부 발진기(210)와 조합한 믹서를 포함하며, 국부 발진기(210)의 주파수는 수신된 신호와 중간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차로 설정된다.
다운 변환된 신호(212)는 다운 변환된 신호(212)의 고계도 성분은 소거하기 위해 저역 통과 필터(214)로 통과되고, A/D 변환기(216)에 의해 디지털화된다.
디지털화된 신호(218)는 직교 복조기(228)로 통과되는데, 이는 디지털화된 신호(218)를 동위상(I) 및 직교(Q) 성분으로 분리시킨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직교 변조기(228)는 믹서(220), 국부 발진기(222), 90°위상 편이기(224), 및 믹서(226)를 포함하지만, 다른 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국부 발진기(222)의 주파수는 복조기(228)가 신호(218)를 기저대역 또는 기저대역 부근 주파수로 다운 변환시키도록 대략 신호의 중간 주파수로 설정된다.
믹서(220)는 국부 발진기(222)의 출력을 사용하여 신호(218)를 기저대역 또는 기저대역 부근 주파수로 다운 변환시키고, 저역 통과 필터(230)는 I 성분(234)을 형성하기 위해 이러한 신호의 고계도 성분을 필터링한다. 믹서(226)는 국부 발진기(222)의 출력의 90°위상 편이된 버젼을 사용하여 신호(218)를 기저대역 또는 기저대역 부근 주파수로 다운 변환시키며, 저역 통과 필터(223)는 Q 성분(236)을 형성하기 위해 이러한 신호의 고계도 성분을 필터링한다.
PN 발생기(238)는 하나의 위성에 대한 PN 코드를 생성한다. XOR 게이트(240 및 242)는 I 및 Q 신호(234, 236)를 각각 PN 코드와 XOR 연산한다. 그 효과로 I 및 Q 성분을 대역환원한다.
대역환원된 성분은 각각 신호 프로세싱 로직(244)으로 입력된다. 신호 프로세싱 로직(244)은 각각의 성분의 Nc 연속 값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코히어런트하게 적분하고, 상관 값(C)을 형성하기 위해 M 연속 코히어런트 적분을 비코히어런트하게 합성한다.
연속한 상관 값(C)은 마이크로프로세서(246)로 제공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신호 프로세싱 회로(244)로부터 제공된 상관 값(C)으로부터 2차원 상관 기능을 형성한다. 가상선(248)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탐색 윈도우(W)내에서 특정 위성에 대한 PN 코드를 편이시키기 위해 PN 발생기(238)를 제어한다. 가상선(250 및 25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또한 다수의 개별 주파수 빈을 통해 국부 발진기(210 및 222)에 의해 제공된 주파수를 변환시키기 위해 발진기(210 및 222)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제어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러한 두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초래되는 상관 값들을 관련시킴으로써 상관 기능을 형성한다.
도3은 이러한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는 2차원 상관 기능의 예이다. 이러한 상관 기능의 특정 형태는 실행 의존적이며, 이러한 특정예에서 어떠한 것도 제한요소로 취급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정 예에서 상관 기능은 탐색 윈도우(W)를 통한 코드 위상의 변이, 즉, 1/2 칩 증가에서 PN 코드 편이에 의해, 그리고 다수의 개별 도플러 주파수 빈을 통해 국부 발진기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의해 제공된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초래되는 dB단위의 에너지이다. 가능한 코드 위상의 변화는 코드 위상 축 또는 디멘존(302)을 한정하며, 가능한 도플러 주파수의 변화는 도플러 주파수 축 또는 디멘존(304)을 한정한다. 코드 위상 디멘존인 축(4-4)을 따라, 상관 기능은 세 개의 로브(306b, 308a, 및 308b)를 각각 한정한다. 도플러 주파수 디멘존인 축(5-5)을 따라, 상관 기능은 또한, 세 개의 로브(306a, 306b, 306c)를 각각 한정한다.
도4는 축(4-4)을 따르는 상관 기능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3의 세 개의 로브(306b, 308a, 308b)는 도4에서 피크(402a, 402b, 402c)로 각각 명확하다. 피크(402a)는 위치 결정 목적을 위해 중요한 피크이다. 도5는 축(5-5)을 따르는 상관 함수의 단면을 도시한다. 세 개의 로브(306a, 306b, 306c)는 도5에서 피크(502a, 502b, 502c)로 명확하다. 피크(502a)는 위치 결정 목적을 위해 중요한 피크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코드 위상 및 도플러 주파수 빈 디멘존을 따라 상관 기능의 피크를 위치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코드 위상 디멘존을 따라 피크위 위치로부터 위성에 대한 도달 시간의 추정치를 획득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도플러 주파수 빈 디멘존을 따라 피크의 위치로부터 (가입자국과 위성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소정의 도플러 주파수 편이의 추정치를 획득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추가의 위성에 대해 PN 코드를 제공하기 위해 PN 발생기(238)를 제어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추가의 위성에 대한 상기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이러한 프로세스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세 개 이상의 위성에 대해 도달 측정치의 세 개 이상의 시간을 획득한다.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각각의 위성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알마낵(alamac)(미도시)을 액세스(또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 액세스를 가짐)한다.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공지된 삼변 측량술 또는 삼각법을 이용하여 상기한 정보로부터 가입자국의 위치를 추정(또는 네트워크 엔티티 추정을 가짐)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네 개 이상의 시간 또는 도달 측정치를 필요로 하며, 이는 가입자국 및 시스템 시간(t)의 위치의 x, y, 및 z 좌표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마이크로프로세 서(246)는 또한 가입자국과 하나 이상의 위성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소정의 도플러 주파수 편이를 추정하거나 또는 추정했다.
조정 모드 동작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축(304)이 더이상 가정된 도플러 주파수 빈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관 기능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대신에, 축(304)는 도2의 I 및 Q 신호(234 및 236)에 대한 가정된 주파수를 나타낸다. 국부 발진기(210, 22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원치않는 주파수 시프트 또는 변화 속도에 민감한 것으로 간주되며, 동작의 특정 조정 모드의 목적은 소정의 이러한 편이 또는 변경의 속도를 소거하는 것이다.
전술한 프로세스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특정 위성에 대한 2차원 상관 기능을 형성한다.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2차원 상관 기능으로부터 소정의 디멘존을 따라 1차원 상관 기능을 유도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4를 참조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메인 로브(402a)의 피크와 관련된 코드 위상을 위치시킴으로써 1차원 상관 기능을 유도하며, 주파수 디멘존을 따라 이러한 코드 위상에서 1차원 상관 기능을 유도한다. 일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코드 위상 디멘존을 따라 상관 기능의 보간되지 않은 피크를 위치시키고, 이어 알려진 직교 보간 기술을 사용하여 이러한 피크를 정교하게 한다. 1차원 상관 기능은 시간(t1)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또한 동일한 위성에 대해 제2의 1차원 상관 기능을 유도하기 위해 동일할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이러한 제2 상관 기능은 델타 값만큼 시간(t1)으로부터 이격된 시간(t2)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1차원 상관 기능 모두는 하나 이상의 개별 주파수 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개별 상관 값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제1 및 제2 시간(t1 및 t2)에 대응하는 1차원 상관 기능을 순환적으로 상호 상관시킨다. 이어, 이러한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의 위치가 위치설정된다. 일 예에서, 보간되지 않은 피크가 위치되며, 공지된 직교 보간 기술이 이러한 피크의 위치를 정밀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어 하나 이상의 국부 발진기(210, 222)에 대한 스위프 속도가 이러한 피트의 위치 및 시간(t1 및 t2)을 분리시키는 델타 값으로부터 추정된다. 일 예에서, 스위프 속도 추정은 시간(t1 및 t2)을 분리시키는 델타 값에 의해 나뉘어진 피크 위치의 비율(주파수로 표현됨)로부터 획득된다. 결과는 Hz/sec 단위의 스위프 속도의 추정치이다.
도6a-6b, 7a-7b는 스위프 속도를 추정하는 프로세스의 두 예를 도시한다. 두 예 모두 -130dBm 입력 신호, 3dB 잡음 특성, 및 2dB 실행 손실을 가정한다. 도6a는 시간(t1 및 t2)에 각각 대응하며 "602" 및 "604"로 표시된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을 도시하는데, t2는 t1의 1초 후이다. 도6b는 순환적으로 기능(602 및 604)을 상호 상관시킴으로써 초래되는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을 도시한다. 각각의 주파수 빈이 25Hz에 대응하는 것을 가정하면, 주파수 축인 2를 따르는 피크(606)의 위치(608)는 50Hz로서, 50Hz/sec의 추정된 스위프 속도와 일치한다.
도7a는 시간(t1 및 t2)에 각각 대응하며 "702" 및 "704"로 표시된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을 도시하는데, t2 는 t1의 1초 후이다. 도7b는 순환적으로 기능(702 및 704)을 상호 상관시킴으로써 초래되는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을 도시한다. 다시 각각의 주파수 빈이 25Hz에 대응하는 것을 가정하면, 주파수 축인 4를 따르는 피크(706)의 위치(708)는 100Hz로서, 100Hz/sec의 추정된 스위프 속도와 일치한다.
도8은 입력 신호 레벨 및 추정된 스위프 속도의 상이한 값에 대한 스위프 속도 추정치의 예상된 RMS 에러를 도시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144dBm의 입력 신호 레벨 및 100Hz/sec의 추정된 스위프 속도를 가정하면, 스위프 속도의 추정치에서 예상된 RMS 에러는 4Hz/sec이다.
일단 스위프 속도가 추정되었다면, 추정치는 저장되고 조정 모드는 종료될 수도 있다. 이어 시스템(200)은 표준 모드 동작으로 진입 또는 재시작하도록 허용될 수도 있다. 표준 모드에서, 추정된 스위프 속도로 설정된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이어 스위프 속도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국부 발진기(210, 22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제어할 수도 있다. 특히, 두 개의 발진기는 가상선(250, 25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246)의 제어하에 가변 주파수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유효 스위프 속도가 0이 되거나 예정된 양으로 감소될 때까지 이러한 국부 발진기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해 추정된 스위프 속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시스템(200)이 조정 모드 동작에 있는 동안, 마이크로프로 세서(246)는 하나 이상의 GPS 위성 각각에 대해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을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제1 상관 기능은 시간(t1)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내며, 제2 상관 기능은 t1으로부터 델타 값만큼 이격된 시간(t2)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하나 이상의 GPS 위성에 대한 제1 및 제2 상관 기능으로부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획득한다.
일 구현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제1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상관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합성하고, 제2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상관 기능 중 하나 이상을 합성하며, 이어 제1 및 제2 함성 상관 기능으로부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2 구현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46)는 SNR과 같은 신호 규준의 품질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상관 기능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SNR의 차수를 낮추면서 제1 상관 기능을 정렬시킬 수도 있으며, 보간되지 않은 피크가 제1 파형의 피크와 +/- 1빈 이상 상이한 소정의 파형을 폐기할 수도 있다. 이어, 잔여 상관 기능의 가중된 합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소정의 파형에 적용된 가중은 파형의 SNR 사이의 차로 결정(예를 들어, SNR에서 3dB 차는 2:1 가중을 수반함)된다. 동일한 프로세스는 제2 상관 기능을 선택적으로 결합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어, 제1 및 제2 합성 상관 기능은 순환적으로 상호 상관될 수도 있으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으로부터 유도된다.
시스템(200)은 가입자국에 포함 또는 통합될 수도 있다. 도9는 시스템(200)이 통합 또는 포함될 수도 있는 가입자국의 블록도이다. 무선 송수신기(906)는 RF 반송파로 음성 또는 데이터와 같은 기저대역 정보를 변조하고, 기저대역 정보를 얻기 위해 변조된 RF 반송파를 복조하도록 구성된다. 안테나(190)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변조된 RF 반송파를 전송하고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변조된 RF 반송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기저대역 프로세서(908)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한 전송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916) 내의 입력 장치로부터 기저대역 정보를 송수신기(906)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기저대역 프로세서(908)는 또한 기저대역 정보를 송수신기(906)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916) 내의 출력 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916)는 음성 또는 데이터와 같은 사용자 정보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해 다수의 장치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 포함된 장치는 키보드, 디스플레이 스크린,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를 포함한다.
GPS 수신기(912)는 GPS 위성 전송을 수신 및 다운 변환하도록 구성되며, 다운 변환된 정보를 상관기(918)로 제공한다. 상관기(918)는 GPS 수신기(912)에 의해 제공된 정보로부터 GPS 상관 기능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이를 CPU(902)에 제공한다. 소정의 PN 코드에 대해, 상관기(920)는 코드 위상 디멘존 및 주파수 디멘존을 통해 한정된 상관 기능을 생성한다. 표준 모드 동작에서, 주파수 디멘존은 도플러 주파수 가정을 반복한다. 조정 모드 동작에서, 주파수 디멘존은 GPS 수신 기(912)에 의해 다운 변환된 기저대역 또는 기저대역 부근 신호의 가정된 주파수를 나타낸다. 코드 위상 디멘존에서, 상관 기능은 탐색 윈도우(W)를 한정하는 코드 위상의 범위에 걸쳐 한정된다. 주파수 디멘존에서, 상관 기능은 다수의 주파수 빈에 걸쳐 한정된다. 각각의 개별 상관은 한정된 코히어런트 및 비코히어런트 적분 파라미터(Nc, M)에 따라 실행된다. 상관기(918)는 송수신기(906)에 의해 제공된 파일럿 신호와 관련한 정보로부터 파일럿 관련 상관 기능을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는 무선 통신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해 가입자국에 의해 사용된다.
채널 디코더(920)는 기저대역 프로세서(908)에 의해 제공된 채널 심볼을 하부의 소스 비트로 디코딩하도록 구성된다. 채널 심볼이 합성곱되게 엔코딩된 심볼인 일 예에서, 채널 디코더(920)는 비터비 디코더이다. 채널 심볼이 합성곱 코드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인 제2 예에서, 채널 디코더(920)는 터보 디코더이다.
메모리(904)는 CPU(902)에 의한 실행에 대해 소프트웨어 명령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명령의 실행을 통해, CPU(902)는 상관기(908)에 의해 생성된 상관 기능으로부터 시간 및 주파수 측정치를 획득한다. 도9에서, 블록(902, 904, 912, 및 918)은 도2의 시스템(200)을 통합 또는 포함한다.
도10은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1000)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단계(1002)는 발진기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다운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04)는 다운 변환된 신호로부 터 제1 및 제2 상관 함수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각각 제1 및 제2 시간에 하나 이상의 가정된 주파수 파라미터의 가능성을 반복한다. 단계(1006)는 제1 및 제2 상관 기능으로부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은 GPS 위치 결정 시스템과 같은 위치 결정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가입자국에서 실행된다. 이러한 구현에서, 수신된 신호는 가입자국의 수신기에 가시적인 GPS 위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 신호 소스를 나타내는 합성 신호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현에서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예를 들어, GPS 위성과 같은 동일한 위치 결정 신호 소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하나 이상의 가정된 주파수 파라미터는 하나 이상의 개별 가정된 주파수 빈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유도 단계는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을 순환적으로 상호 상관하고,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를 위치설정하고,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의 위치로부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발진기는 가입자국에서 수신기 내의 다운 변환기의 국부 발진기일 수도 있다. 일 구성에서, 발진기는 가변 주파수를 갖는다. 조정 모드 동작 동안, 추정된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는 결정되고 저장된다. 표준 모드 동작 동안, 발진기의 주파수는 발진기에 의해 초래된 주파수 편이 또는 스위프 속도의 효과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어하도록 저장된 추정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제어가능하게 변화된다.
일 예에서, 제1 및 제2 시간은 서로로부터 델타 값만큼 이격되며, 추정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는 스위프 속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유도 단계는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 및 델타 값의 피크의 위치로부터 발진기의 스위프 속도를 추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수신된 신호는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를 나타내는 합성 신호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 각각에 대해,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다운 변환된 신호로부터 유도된다.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각각 제1 및 제2 시간에서 하나 이상의 가정된 주파수 파라미터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이어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는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에 대해 제1 및 제2 상관 기능으로부터 유도된다.
일 구현예에서, 방법은 가입자국에서 실시되며,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는 잡음의 존재시 가입자국의 수신기에 대해 가시적인 GPS 위성이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유도 단계는 제1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 각각에 대해 제1 상관 기능을 합성하고, 제2 합성된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에 대응하는 제2 상관 기능을 합성하고, 이어 제1 및 제2 합성 상관 기능으로부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11은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의 일 구현예(1100)의 흐름도이다. 단계(1102)는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를 나타내는 함성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를 다운 변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1104)는 각각 제1 및 제2 시간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의 각각에 대해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을 유도 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1106)는 신호 규준의 품질을 사용하여 제1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의 제1 상관 기능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1108)는 신호 규준의 품질을 사용하여 제2 합성된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2 신호 소스의 제2 상관 기능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1110)는 제1 및 제2 합성 상관 기능으로부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을 합성하는데 사용된 신호 규준의 품질은 SNR이다. 이러한 예에서,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SNR의 차수를 감소시키는데에 각각 정렬될 수도 있다. 보간되지 않은 피크가 초기 파형의 피크와 +/- 1이상 상이한 상기 파형은 배제된다. 잔여한 제1 상관 기능은 가중된 평균 접근방식을 통해 합성되는데, 여기서 다른 파형과 관련하여 파형에 제공된 상대적인 가중은 두 개의 파형 사이의 SNR의 차에 의존한다. 잔여 제2 상관 기능은 동일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합성된다.
유도 단계는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제1 및 제2 합성 상관 기능을 순환적으로 상호 상관시키고,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를 위치시키고, 피크의 위치로부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제1 및 제2 시간은 서로로부터 델타 값만큼 이격되며, 추정된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는 스위프 속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유도 단계는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의 위치 및 델타 값으로부터 발진기의 스위프 속도를 추정하는 것 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메모리는 소정의 전술한 방법, 실시예, 구현예 또는 제안된 이들의 예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을 유지한다. 이러한 메모리는 도12에 설명된 바와 같은 시스템의 일부일 수도 있다. 도12에서, 시스템(1200)은 프로세서(1202) 및 도면에서 "1204"로 표기된 전술한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프로세서(1202)는 메모리(1204)를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며, 메모리에 유지된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한다.
다양한 실시예, 구현예, 및 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더 많은 실시예, 구현예 및 예들이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을 제외하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50)

  1.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발진기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다운 변환시키는 다운 변환기; 및
    상기 다운 변환된 신호로부터 제1 및 제2 상관 기능들을 유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들로부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들은 각각 제1 및 제2 시간에서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위치 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가입자국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GPS 위치 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가입자국에 대해 가시적인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 신호 소스를 나타내는 합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는 각각 GPS 위성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들은 하나 이상의 주파수 빈(bin)들로 표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 각각은 상기 동일한 GPS 위성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가변 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로직은 상기 추정된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가 예정된 값으로 설정되기까지 상기 발진기의 상기 주파수를 제어가능하게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은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을 순환적으로 상호 상관시키고, 상기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 의 피크를 위치시키고, 상기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상기 피크의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국부 발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간은 델타 값만큼 시간적으로 이격되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는 스위프 속도이고, 상기 로직은 상기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의 위치 및 상기 델타 값으로부터 상기 발진기의 스위프 속도의 추정치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13.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발진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들을 나타내는 합성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를 다운 변환시키는 다운 변환기; 및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들 각각에 대해, 상기 다운 변환된 신호로부터의 제1 및 제2 상관 기능들을 유도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신호 소스들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들로부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로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각각 제1 및 제2 시간에서 하나 이상의 주 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위치 결정 시스템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가입자국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시스템은 GPS 위치 결정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소스들은 GPS 위성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은 제1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들 각각에 대해 제1 상관 기능을 합성하고, 제2 합성된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상기 신호 소스들 각각에 대해 제2 상관 기능을 합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합성 상관 기능으로부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상기 추정치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은 신호 규준의 품질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상기 제1 상관 기능을 선택적으로 합성하고, 신호 규준의 품질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상기 제2 상관 기능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다수의 신호들에 대한 상기 신호 규준의 품질은 SN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은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합성 상관 기능을 순환적으로 상호 상관시키고, 상기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를 위치시키고, 상기 피크의 위치로부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상기 추정치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국부 발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소스들은 위치 결정 신호 소스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간은 델타 값만큼 서로로부터 시간적으로 이격되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는 스위프 속도이고, 상기 로직은 상기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의 상기 위치 및 상기 델타 값으로부터 상기 발진기의 스위프 속도의 추정치를 유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25.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발진기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다운 변환하는 단계;
    상기 다운 변환된 신호로부터 제1 및 제2 상관 기능들을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들로부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각각 제1 및 제2 시간에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위치 결정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가입자국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시스템은 GPS 위치 결정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가입자국에 대해 가시적인 하나 이상의 위치 결정 신호 소스를 나타내는 합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는 각각 GPS 위성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31.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은 하나 이상의 개별 주파수 빈(bin)들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상기 동일한 GPS 위성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가변 주파수를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추정된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가 예정된 값으로 설정되기까지 상기 발진기의 주파수를 제어가능하게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34.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단계는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을 순환적으로 상호 상관시키는 단계, 상기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의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35.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국부 발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간은 델타 값만큼 서로로부터 시간적으로 이격되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는 스위프 속도이며, 상기 유도 단계는 상기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의 위치 및 상기 델타 값으로부터 상기 발진기의 상기 스위프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37.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발진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신호 소스를 나타내는 합성 신호를 포함하는 수신된 신호를 다운 변환시키는 단계;
    하나 이상의 상기 신호 소스 각각에 대해, 상기 다운 변환된 신호로부터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을 유도하는 단계;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신호 소스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으로부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각각의 제1 및 제2 시간에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위치 결정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가입자국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시스템은 GPS 위치 결정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소스는 각각 GPS 위성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단계는 제1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각각의 신호 소스들 각각에 대해 제1 상관 기능들을 합성하는 단계, 제2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신호 소스들 각각에 대해 제2 상관 기능들을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합성 상관 기능들로부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신호 규준의 품질을 사용하여, 상기 제1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제1 상관 기능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단계, 및 신호 규준의 품질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합성 상관 기능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제2 상관 기능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규준의 품질은 SN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45.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단계는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합성 상관 기능들을 순환적으로 상호 상관시키는 단계, 상기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피크의 위치로부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상기 추정치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46.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기는 국부 발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간은 델타 값만큼 서로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는 스위프 속도이며, 상기 유도 단계는 상기 순환적 상호 상관 기능의 피크의 위치 및 상기 델타 값으로부터 상기 발진기의 스위프 속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방법.
  48. 청구항25항 내지 47항의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49. 프로세서 및 제48항에 따른 메모리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를 액세스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시스템.
  50.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발진기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를 다운 변환시키는 제1 수단;
    상기 다운 변환된 신호로부터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을 유도하는 제2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으로부터 상기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의 추정치를 유도하는 제3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상관 기능은 각각 제1 및 제2 시간에 하나 이상의 주파수 가정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시스템.
KR1020067001732A 2003-07-28 2004-05-14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절차 KR2006003610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082103P 2003-07-28 2003-07-28
US60/490,821 2003-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104A true KR20060036104A (ko) 2006-04-27

Family

ID=3419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732A KR20060036104A (ko) 2003-07-28 2004-05-14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절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60036104A (ko)
BR (1) BRPI0413053A (ko)
IL (1) IL173264A (ko)
WO (1) WO20050180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19715D0 (en) 2000-08-10 2000-09-27 Pa Consulting Services Device for delivering physiologically active agent in powdered form
US20120183023A1 (en) * 2011-01-14 2012-07-19 Qualcomm Incorporated Implementations for wireless signal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6712A (en) * 1981-05-22 1984-01-1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orrelation system for global position rece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18087A2 (en) 2005-02-24
BRPI0413053A (pt) 2006-10-17
IL173264A0 (en) 2006-06-11
IL173264A (en) 2010-12-30
WO2005018087A3 (en)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37252B (zh) 全球導航衛星系統接收機的相關器、編碼產生器與全球衛星導航系統接收機的關聯方法
US6909738B2 (en) Method in a receiver and a receiver
KR101398719B1 (ko) 조합된 내비게이션 신호의 처리 방법
JP5595944B2 (ja) 関数の局所極大又は極小のパラメータを推定するための手順
CN1409904A (zh) 增强处理弱扩展频谱信号能力的强信号消除方法
EP1321774B1 (en) A method for performing reacquisition in a positioning receiver,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US75485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ding frequency estimation
JP2020512560A (ja) 全地球航法衛星システム(gnss)信号追跡
US7242731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a receiver, a system, and an electronic device
EP2006706A2 (en) Coherent integration enhancement method, positioning method, storage medium, coherent integration enhancement circuit, positioning circuit, and electronic instrument
EP1051810A1 (en) Receiver for ds-cdma signals in satellite navigation systems
KR20170004900A (ko) 서브캐리어 트래킹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 비모호 판별기를 계산하는 gnss 수신기
JP2006084330A (ja) L2c信号追尾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gps受信機
JP2002350526A (ja) 情報エレメントの境界を決定する方法、システム、及び電子装置
CN101109802B (zh) 决定资讯单位边界的方法以及应用该方法的装置
JP4777353B2 (ja) Gps測位方法及びgps測位装置
US8175136B2 (en) Noise cancellation method, receiver circuit, and electronic instrument
JP5607606B2 (ja) マルチパス検出装置およびgnss受信装置
KR20060036104A (ko) 발진기의 주파수 편이 파라미터를 추정하는 절차
JP2007228424A (ja) 同期タイミング検出装置および受信機
Meng Low-power GPS receiver design
CN110441798B (zh) 基于乘法累积积分与选星辅助的北斗rdss微弱信号捕获方法
CN101576612B (zh) 估计gps信号载噪比的方法和gps接收机
US20090180520A1 (en) Positioning apparatus
Zhang et al. Multi-correlator structures for tracking Galileo signals with CBOC and SinBOC (1, 1) reference receivers and limited front-end bandwidt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