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346A -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5346A
KR20060035346A KR1020040084803A KR20040084803A KR20060035346A KR 20060035346 A KR20060035346 A KR 20060035346A KR 1020040084803 A KR1020040084803 A KR 1020040084803A KR 20040084803 A KR20040084803 A KR 20040084803A KR 20060035346 A KR20060035346 A KR 20060035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ler
main power
mai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1440B1 (ko
Inventor
김종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440B1/ko
Priority to US11/244,198 priority patent/US7516337B2/en
Priority to EP05109593A priority patent/EP1650856A3/en
Publication of KR2006003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전원공급장치는, 주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주전원 스위칭부, 보조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보조전원 스위칭부, 및 주전원이 미인가되면 주전원 스위칭부를 개방시키고 보조전원 스위칭부를 단락시켜 보조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컨트롤러 공급전원을 절환하고, 과방전된 배터리가 전원공급에 이용되지 않도록 하며, 컨트롤러의 리셋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게 된다.
주배터리, 보조배터리, 전원공급제어, 리셋제어

Description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ing power to controller}
도 1은 종래의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도2 의 전원공급 제어부의 상세블럭도,
도 4는, 도2 의 리셋제어부의 상세블럭도, 그리고,
도 5는, 본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주배터리 120 : 정전압 생성부
130 : 주전원 스위칭부 140 : 보조전원 스위칭부
150 : 보조배터리 160 : 전원공급 제어부
162 : 주전원 감지부 164 : 주전원 스위칭 제어부
166 :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 168 : 보조전원 감지부
170 : 리셋제어부 172 : 주전원 충전부
174 : 보조전원 충전부 176 : 리셋신호 생성부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공급원으로서 주배터리와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전자기기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는 소자로서, 전자기기내에서 가장 핵심적 요소이다. 컨트롤러는 전자기기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즉, 전자기기가 파워-오프된 경우)에도, 동작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전자기기 파워-오프시에도, 사용자가 설정한 시각을 유지하기 위해, 컨트롤러가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에, 전자기기가 파워-오프된 경우에도, 컨트롤러에는 전원이 항시 공급되어야 한다. 한편,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자기기의 경우, 컨트롤러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2개의 배터리를 이용하고 있다. 이 경우, 평상시에는 주배터리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지만, 주배터리가 미장착되거나 방전된 경우에는 보조배터리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는 주배터리(10), 보조배터리(20), 및 스위칭소자의 일종인 다이오드(30)를 구비한다.
주배터리(10)가 장착된 경우는, 주배터리(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컨트롤러로 인가되고 보조배터리(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다이오드(30)에 의해 차단되어 컨트롤러로 인가되지 않는다.
반면, 주배터리(10)가 장착되지 않았거나 방전된 경우는, 보조배터리(30)에 서 공급되는 전원이 컨트롤러로 인가되개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는 컨트롤러 공급전원을 절환함에 있어서 다이오드(30)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공급전원 절환동작이 비교적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보조배터리(20)가 충분히 충전되지 않은 경우(즉, 보조배터리(20)의 전위가 다이오드(30)의 전위장벽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주배터리(10)가 방전되었다 하더라도 주배터리(10)를 통해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방전된 배터리를 전원공급에 무리하게 사용하면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바, 상기한 경우에는 주배터리(10)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주배터리(10)와 보조배터리(20)간의 보다 안정적인 컨트롤러 공급전원 절환방안과, 주배터리(10)가 방전되면 전원공급에 이용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컨트롤러의 리셋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도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안정적으로 컨트롤러 공급전원을 절환하고, 과방전된 배터리가 전원공급에 이용되지 않도록 하며, 컨트롤러의 리셋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주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주전원 스위칭부;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보조전원 스위칭부; 및 상기 주전원이 미인가되면, 상기 주전원 스위칭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부를 단락시켜, 상기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는, 인가되는 상기 주전원이 소정 레벨 미만이면, 상기 주전원 스위칭부를 개방시켜 상기 주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미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부를 단락시켜 상기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는, 상기 주전원과 상기 보조전원이 모두 인가되면,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부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미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주전원 스위칭부를 단락시켜 상기 주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는, 상기 주전원이 인가되면, 주전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주전원 감지부; 상기 주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주전원 감지신호가 미출력되면, 상기 주전원 스위칭부를 개방시켜 상기 주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미공급되도록 하는 주전원 스위칭 제어부; 상기 보조전원이 인가되면, 보조전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보조전원 감지부; 및 상기 주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주전원 감지신호가 미출력되고 상기 보조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보조전원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부를 단락시켜 상기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하는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전원 감지부는, 인가되는 상기 주전원이 소정 레벨 미만이면, 상기 주전원 감지신호를 미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주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주전원 감지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보조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보조전원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부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미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주전원 및 상기 보조전원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면 리셋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인가하되, 상기 주전원과 상기 보조전원이 동시에 인가되면 상기 주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리셋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인가하는 리셋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셋제어부는, 상기 주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주전원 충전부;
상기 보조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전원 충전부; 및 상기 주전원 충전부의 충전량인 주전원 충전량 및 상기 보조전원 충전부의 충전량인 보조전원 충전량 중 어느 하나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리셋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인가하는 리셋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전원 충전부의 충전속도는 상기 보조전원 충전부의 충전속도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주전원 충전부의 시정수는 상기 보조전원 충전부의 시정수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전원은 주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이고, 상기 보조전원은 보조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는 정전압 생성부(120), 주전원 스위칭부(130), 보조전원 스위칭부(140), 전원공급 제어부(160), 및 리셋제어부(170)를 구비한다.
본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에는 주배터리(110)와 보조배터리(150)가 장착가능하며, 보조배터리(150)는 주배터리(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전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정전압 생성부(120)는 주배터리(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일정한 크기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배터리(110)에서 공급되는 전원'과 '정전압 생성부(12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주전원'으로 약칭하여 표기하기로 한다.
주전원 스위칭부(130)는 주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스위칭소자이다. 주전원 스위칭부(130)가 단락(스위칭 ON)되면 주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된다. 반면, 주전원 스위칭부(130)가 개방(스위칭 OFF)되면 주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지 않는다.
보조전원 스위칭부(140)는 '보조배터리(150)에서 공급되는 전원'(이하, '보조전원'으로 약칭)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스위칭소자이다. 보조전원 스위칭부(140)가 단락(스위칭 ON)되면 보조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된다. 반면, 보조전원 스위칭부(140)가 개방(스위칭 OFF)되면 보조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지 않는다.
전원공급 제어부(160)는 주전원 스위칭부(130)와 보조전원 스위칭부(140)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여, 컨트롤러로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를 결정한다. 즉, 전원공급 제어부(160)는 주전원과 보조전원이 선택적으로 컨트롤러에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 제어부(160)는 주전원이 미인가되면(즉, 주배터리(110)가 미장착되면), 주전원 스위칭부(130)를 개방시키고 보조전원 스위칭부(140)를 단락시켜, 보조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한다.
주전원이 미인가되는 경우 뿐만아니라 주전원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예를 들면, 주전원이 3.0V 미만으로 방전된 경우)에도, 전원공급 제어부(160)는 주전원 스위칭부(130)를 개방시켜 주전원이 컨트롤러로 미공급되도록 하고, 보조전원 스위칭부(140)를 단락시켜 보조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는, 주배터리(110)가 소정 레벨 미만으로 방전된 경우에는 컨트롤러 전원공급에 이용되지 않도록 하여, 주배터리(110)의 수명단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밖에, 전원공급 제어부(160)는 주전원과 보조전원이 모두 인가되면, 보조전원 스위칭부(140)를 개방시켜 보조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주전원 스위칭부(130)를 단락시켜 주전원만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외, 전원공급 제어부(16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리셋제어부(170)는 컨트롤러의 리셋개시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리셋제어부(170)는 주전원과 보조전원 모두가 인가되지 않다가, 어느 하나라도 인가되면 리셋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로 인가함으로서, 컨트롤러가 리셋동작을 개시하도록 한다.
특히, 리셋제어부(170)는 전원 미인가상태에서, i) 주전원과 보조전원이 동시에 인가되는 경우 또는 ii) 주전원이 인가되면 보조배터리(150)가 충전됨으로 인해, 주전원과 보조전원이 동시에 인가되는 경우에는, 주전원을 이용하여 리셋신호를 생성한다. 리셋제어부(170)가 주전원에 기초하여 컨트롤러의 리셋개시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것은, 컨트롤러 및 이외의 다른 소자들이 주전원에 의해 셋업완료되어 안정화상태에 도달한 후에 리셋동작이 개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외, 리셋제어부(17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전원공급 제어부(160)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전원공급 제어부(160)의 상세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공급 제어부(160)는 주전원 감지부(162), 주전원 스위칭 제어부(164),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166), 및 보조전원 감지부(168)를 구비한다.
주전원 감지부(162)는 주전원이 인가되면(즉, 주배터리(110)가 장착되면), 주전원 감지신호를 주/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164/166)로 출력한다. 반면, 주전원이 미인가되면(즉, 주배터리(110)가 미장착되면), 주전원 감지부(162)는 주전원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주전원 감지부(162)는 주전원이 소정 레벨 미만인 경우(예를 들면, 주전원이 3.0V 미만인 경우)에도, 주전원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주전원 스위칭 제어부(164)는 주전원 감지부(162)로부터 주전원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주전원 스위칭부(130)를 단락시켜 주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한다. 반면, 주전원 감지부(162)로부터 주전원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주전원 스위칭부(130)를 개방시켜 주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보조전원 감지부(168)는 보조전원이 인가되면(즉, 보조배터리(150)가 주배터리(110)에 의해 충분히 충전되면), 보조전원 감지신호를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166)로 출력한다. 반면, 보조전원이 미인가된 경우(즉, 보조배터리(150)가 주배터리(110)에 의해 충분히 충전되지 않은 경우), 보조전원 감지부(168)는 보조전원 감지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166)는 주전원 감지부(162)에서 주전원 감지신호가 미출력되고 보조전원 감지부(168)에서 보조전원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보조전원 스위칭부(140)를 단락시켜 보조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166)는 주전원 감지부(162)에서 주전원 감지신호가 출력되고 보조전원 감지부(168)에서 보조전원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보조전원 스위칭부(140)를 개방시켜 보조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리셋제어부(170)에 대해, 도 4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리셋제어부(170)의 상세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셋제어부(170)는 주전원 충전부(172), 보조전원 충전부(174), 및 리셋신호 생성부(176)를 구비한다.
주전원 충전부(172)는 정전압 생성부(120)로부터 공급되는 주전원에 의해 충 전되며, 보조전원 충전부(174)는 보조전원 감지부(168)로부터 공급되는 보조전원에 의해 충전된다.
주전원 충전부(172)의 시정수는 보조전원 충전부(174)의 시정수 보다 작다. 따라서, 주전원 충전부(172)의 충전속도는 보조전원 충전부(174)의 충전속도보다 빠르다.
리셋신호 생성부(176)는 주전원 충전부(172)의 충전량인 '주전원 충전량'과 보조전원 충전부(174)의 충전량인 '보조전원 충전량' 중 어느 하나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리셋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로 인가한다. 주전원 충전부(172)의 충전속도는 보조전원 충전부(174)의 충전속도보다 빠르다. 따라서, 주전원과 보조전원이 모두 인가된다면, 리셋신호 생성부(176)는 충전속도가 빠른 주전원 충전부(172)에 의해 리셋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의 구체적인 회로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와 도 5을 비교하면, 도 2의 주/보조전원 스위칭부(130/140)는 도 5에서 각각 제1/제2 트랜지스터(Q1/Q2)로 구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과 도 5을 비교하면, 도 3의 주/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164/166)는 도 5에서 각각 제3/제4 트랜지스터(Q3/Q4)와 이들에 바이어스 전원을 인가하는 제3/제4 저항(R3/R4)으로 구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와 도 5을 비교하면, 도 4의 주/보조전원 충전부(172/174)는 도 5에서 각각 제1/제2 저항(R1/R2)과 제1/제2 커패시터(C1/C2)를 연결하여 구현되었고, 도 4의 리셋신호 생성부(176)는 도 5에서 OR 게이트로 구 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1/제2 트랜지스터(Q1/Q2)는 게이트단과 소스단의 전압차가 'Low'상태인 경우에 '턴-온'되는 트랜지스터 소자이고, 제3/제4 트랜지스터(Q3/Q4)는 게이트단과 소스단의 전압차가 'High'상태인 경우에 '턴-온'되는 트랜지스터 소자이다.
이하에서, 본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의 회로적 동작에 대해, i) 주전원과 보조전원이 모두 인가된 경우의 전원공급와, ii) 보조전원만이 인가된 경우의 전원공급, iii) 컨트롤러의 리셋개시동작 제어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i) 주전원과 보조전원이 모두 인가된 경우의 전원공급에 대해 설명한다.
주전원이 인가되었기에, 주전원 감지부(162)는 주전원 감지신호로서 논리레벨 'High'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주전원 감지부(162)는 생성된 논리레벨 'High'신호를, 주전원 스위칭 제어부(164)에 마련된 제3 트랜지스터(Q3)의 게이트단과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166)에 마련된 제4 트랜지스터(Q4)의 소스단으로 출력한다.
한편, 보조전원이 인가되었기에, 보조전원 감지부(168)는 보조전원 감지신호로서 논리레벨 'High'신호를 생성하여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166)에 마련된 제4 트랜지스터(Q4)의 게이트단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게이트단에 논리레벨 'High'신호가 인가되고 소스단이 접지된 제3 트랜지스터(Q3)는 '턴-온'되고, 그 결과 주전원 스위칭부(130)인 제1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단이 접지된다. 그에 따라, 게이트단과 소스단의 전압차가 'Low'상태인 제1 트랜지스터(Q1)는 '턴-온'되고, 그 결과 정전압 생성부(120)애서 출력되 는 주전원이 컨트롤러로 인가되게 된다.
반면, 게이트단과 소스단 모두에 논리레벨 'High'신호가 인가된 제4 트랜지스터(Q4)는 '턴-오프'되고, 그 결과 보조전원 스위칭부(140)인 제2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단과 소스단의 전압차가 'High'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제2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되고, 그 결과 보조배터리(150)에서 공급되는 보조전원이 컨트롤러로 인가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ii) 보조전원만이 인가된 경우의 전원공급에 대해 설명한다.
주전원이 인가되지 않았기에, 주전원 감지부(162)는 주전원 미감지신호로서 논리레벨 'Low'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주전원 감지부(162)는 생성된 논리레벨 'Low'신호를, 주전원 스위칭 제어부(164)에 마련된 제3 트랜지스터(Q3)의 게이트단과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166)에 마련된 제4 트랜지스터(Q4)의 소스단으로 출력한다.
한편, 보조전원이 인가되었기에, 보조전원 감지부(168)는 보조전원 감지신호로서 논리레벨 'High'신호를 생성하여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166)에 마련된 제4 트랜지스터(Q4)의 게이트단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게이트단에 논리레벨 'Low'신호가 인가되고 소스단이 접지된 제3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되고, 그 결과 주전원 스위칭부(130)인 제1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단과 소스단의 전압차가 'High'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Q1)는 '턴-오프'되고, 그 결과 정전압 생성부(120)애서 출력되는 주전원이 컨트롤러로 인가되지 않게 된다.
반면, 게이트단에 논리레벨 'High'신호가 인가되고 소스단에 논리레벨 'Low'신호가 인가된 제4 트랜지스터(Q4)는 '턴-온'되고, 그 결과 보조전원 스위칭부(140)인 제2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단이 접지된다. 그에 따라, 게이트단과 소스단의 전압차가 'Low'상태인 제2 트랜지스터(Q2)는 '턴-온'되고, 그 결과 보조배터리(150)에서 공급되는 보조전원이 컨트롤러로 인가되게 된다.
그 다음, iii) 본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의 컨트롤러의 리셋동작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를 위해, 주전원과 보조전원 모두가 인가되지 않다가(즉, 주배터리(110)가 미장착되고, 장착된 보조배터리(150)가 방전된 상태에 있다가), 주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즉, 주배터리(110)가 장착되는 경우)를 상정하기로 한다.
주전원이 공급되면, 주전원 충전부(172)에 마련된 제1 커패시터(C1)는 제1 저항(R1)을 통해 유입되는 주전원에 의해 충전된다.
그리고, 보조배터리(150)는 주전원에 의해 충전되므로, 보조전원이 보조전원 충전부(174)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보조전원 충전부(174)에 마련된 제2 커패시터(C2)는 제2 저항(R2)을 통해 유입되는 보조전원에 의해 충전된다.

한편, 주전원 충전부(172)의 시정수(즉, 제1 커패시터(C1)와 제1 저항(R1)에 의한 시정수)는 보조전원 충전부(174)의 시정수(즉, 제2 커패시터(C2)와 제2 저항(R2)에 의한 시정수) 보다 작다. 따라서, 제1 커패시터(C1)의 충전속도는 제2 커패시터(C2)의 충전속도보다 빠르다. 그 결과, 제1 커패시터(C1)의 충전량이 기설 정된 소정치를 초과하면, 리셋신호 생성부(176)인 OR 게이트는 리셋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로 인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안정적으로 컨트롤러 공급전원을 절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과방전된 배터리가 전원공급에 이용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의 리셋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1)

  1. 주전원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주전원 스위칭부;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되는 경로상에 위치하는 보조전원 스위칭부; 및
    상기 주전원이 미인가되면, 상기 주전원 스위칭부를 개방시키고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부를 단락시켜, 상기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는,
    인가되는 상기 주전원이 소정 레벨 미만이면, 상기 주전원 스위칭부를 개방시켜 상기 주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미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부를 단락시켜 상기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는,
    상기 주전원과 상기 보조전원이 모두 인가되면,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부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미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주전원 스위칭부를 단락시켜 상기 주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는,
    상기 주전원이 인가되면, 주전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주전원 감지부;
    상기 주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주전원 감지신호가 미출력되면, 상기 주전원 스위칭부를 개방시켜 상기 주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미공급되도록 하는 주전원 스 위칭 제어부;
    상기 보조전원이 인가되면, 보조전원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보조전원 감지부; 및
    상기 주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주전원 감지신호가 미출력되고 상기 보조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보조전원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부를 단락시켜 상기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되도록 하는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감지부는,
    인가되는 상기 주전원이 소정 레벨 미만이면, 상기 주전원 감지신호를 미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 제어부는,
    상기 주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주전원 감지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보조전원 감지부에서 상기 보조전원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보조전원 스위칭부를 개방시켜 상기 보조전원이 상기 컨트롤러로 미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및 상기 보조전원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면 리셋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인가하되, 상기 주전원과 상기 보조전원이 동시에 인가되면 상기 주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리셋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인가하는 리셋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셋제어부는,
    상기 주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주전원 충전부;
    상기 보조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보조전원 충전부; 및
    상기 주전원 충전부의 충전량인 주전원 충전량 및 상기 보조전원 충전부의 충전량인 보조전원 충전량 중 어느 하나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리셋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로 인가하는 리셋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충전부의 충전속도는 상기 보조전원 충전부의 충전속도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충전부의 시정수는 상기 보조전원 충전부의 시정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은 주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이고,
    상기 보조전원은 보조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20040084803A 2004-10-22 2004-10-22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 KR100841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803A KR100841440B1 (ko) 2004-10-22 2004-10-22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
US11/244,198 US7516337B2 (en) 2004-10-22 2005-10-06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controller
EP05109593A EP1650856A3 (en) 2004-10-22 2005-10-14 Power suppl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803A KR100841440B1 (ko) 2004-10-22 2004-10-22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346A true KR20060035346A (ko) 2006-04-26
KR100841440B1 KR100841440B1 (ko) 2008-06-25

Family

ID=35429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803A KR100841440B1 (ko) 2004-10-22 2004-10-22 컨트롤러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16337B2 (ko)
EP (1) EP1650856A3 (ko)
KR (1) KR1008414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089A (ko) * 2013-10-15 2015-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채용한 전자 시스템
KR20150141239A (ko) * 2014-06-09 2015-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전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7382A1 (ja) * 2008-02-27 2009-09-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これを備えた各種装置
JP6135333B2 (ja) * 2013-06-28 2017-05-31 ソニー株式会社 電源切替回路、電子機器および電源切替回路の制御方法
CN106159936B (zh) * 2016-08-30 2018-08-31 合肥为民电源有限公司 一种采用双路输入的风机控制器及其供电方法
US20230396087A1 (en) * 2022-06-01 2023-12-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ower supply including control of a thermal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7473A (en) * 1984-01-03 1986-10-14 Intersil, Inc. CMOS backup power switching circuit
US5306961A (en) * 1989-05-15 1994-04-26 Dallas Semiconductor Corporation Low-power integrated circuit with selectable battery modes
US5608273A (en) 1991-11-25 1997-03-04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Battery back-up for electronic circuits
KR940011272B1 (ko) 1992-04-02 1994-12-03 주식회사 금성사 가시광 반도체 레이저의 이중접합구조 제조방법
KR100276860B1 (ko) 1993-03-26 2001-01-15 박병엽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교체시 시간보정 방법
US5914538A (en) 1993-04-27 1999-06-22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power supply device therefor
US5609273A (en) * 1995-03-03 1997-03-11 Allergan, Inc. Barrier packaging and materials therefor
JPH08289483A (ja) * 1995-04-18 1996-11-01 Rohm Co Ltd 電源回路
US5684384A (en) * 1995-10-31 1997-11-04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and charging a multiple battery arrangement
US5783964A (en) * 1996-11-18 1998-07-21 Waferscale Integration, Inc. Backup battery switch with first power up control
KR100632633B1 (ko) 2000-05-12 2006-10-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내 알람기능을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JP2002354707A (ja) * 2001-05-21 2002-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3854175B2 (ja) * 2002-03-01 2006-12-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電気機器、コンピュータ装置、コントローラ、電池切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642750B1 (en) * 2002-04-15 2003-1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quencing circuit for applying a highest voltage source to a chi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089A (ko) * 2013-10-15 2015-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전원 공급 장치 및 그를 채용한 전자 시스템
KR20150141239A (ko) * 2014-06-09 2015-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 전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16337B2 (en) 2009-04-07
KR100841440B1 (ko) 2008-06-25
EP1650856A2 (en) 2006-04-26
EP1650856A3 (en) 2006-07-12
US20060090089A1 (en) 200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5228B1 (ko) 이차전지 보호 회로, 이차전지 보호 장치, 전지 팩 및 이차전지 보호 회로의 제어 방법
US6534953B2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battery pack and method for charging secondary battery
KR20030089456A (ko) 충전장치 및 충전방법
JP2001245437A (ja) 放電制御回路
KR100486017B1 (ko) 충전기
CN109904886B (zh) 控制电路模块及其控制方法
US7516337B2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controller
KR100445860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20110066872A (ko)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JP2020198773A (ja) 二次電池保護回路、二次電池保護装置、電池パック及び二次電池保護回路の制御方法
KR20010096535A (ko) 차량용 발전기의 전압제어장치
JP3232739B2 (ja) スイッチ投入検出回路
JP4048723B2 (ja) 太陽電池の充電回路とそれを搭載した半導体装置
KR1014211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KR100191168B1 (ko) 밧데리의 충전회로
KR101177554B1 (ko) 전원장치의 기동회로
JPH06197462A (ja) 蓄電池の過放電防止回路
JP2018182816A (ja) バッテリ電源装置、シャットダウン回路、及びシャットダウン方法
JP2002176731A (ja) 二次電池の保護方法およびその回路
KR200289720Y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JPH08275404A (ja) 充電回路
JP2021150938A (ja) 電源遮断起動制御装置
KR870001556B1 (ko) 부동충전용 축전지 충전장치
US8823328B2 (en) Charging apparatus that can recharge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without overcharging them
JPH11234911A (ja) 保護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