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157A - Out signal output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of method - Google Patents

Out signal output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of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157A
KR20060034157A KR1020040083312A KR20040083312A KR20060034157A KR 20060034157 A KR20060034157 A KR 20060034157A KR 1020040083312 A KR1020040083312 A KR 1020040083312A KR 20040083312 A KR20040083312 A KR 20040083312A KR 20060034157 A KR20060034157 A KR 20060034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3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3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4157A/en
Priority to CNA2005100663655A priority patent/CN1764219A/en
Publication of KR2006003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1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운드 출력을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 및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감지하여, 출력부로 상기 사운드 신호를 보내주는 사운드 신호 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운드 출력 방법에 있어서, 외부 사운드 신호가 사운드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단계, 사운드 신호 감지부에서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사운드기기에 저장된 음원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지 않고, 곧바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음원파일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사운드 출력장치로 재생됨에 따라 상기 사운드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원파일을 다수의 사람이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ernal signal output device and a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sound,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as sound, and a sound for detecting a sound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sending the sound signal to an output unit It includes a signal detector. In addition, the sound out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teps of inputting an external sound signal from the sound input unit, detecting whether the sound signal is input from the sound signal detector, and outputting the sound signal as sou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mediately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file stored in the portable sound device without sto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as the sound source file is reproduced by the sound output devic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plurality of people can listen to the sound source file reproduced by the sound device.

이동통신 단말기, 사운드, 출력장치, 외부신호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und, output device, external signal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장치 및 그 방법{Out Signal Output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of Method}External signal output device and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ut Signal Output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Julia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부신호 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ternal signal out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안테나부 12 : 송수신부10: antenna unit 12: transceiver

14 : 음성신호처리부 16 : 마이크14: voice signal processor 16: microphone

18 : 사운드 출력장치 20 : 사운드 신호 입력부18: sound output device 20: sound signal input unit

22 : 사운드 신호 감지부 24 : 디지털신호처리부22: sound signal detection unit 24: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6 : 중앙제어부 28 : 입력부26: central control unit 28: input unit

110 : 표시부 32 : 저장부110: display unit 32: storage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 기에서 외부신호 출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ernal signal output device and a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근래에 들어 MP3 플레이어나 CD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사운드기기를 통하여 음악청취나 라디오방송을 청취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상기 휴대용 사운드기기를 보유하고 있다.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common to listen to music or listen to radio broadcasts through portable sound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CD players, and most people have the portable sound devices.

그러나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지털 방식이 채용되고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 및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간의 음성통화 뿐만 아니라 지상파 방송의 청취나 영화관람 등 각종 멀티미디어 기능까지 그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다.In recent years, however, digital technologies have been adopte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echnologies related to storage unit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sound output devices for outputting sounds have been developed. Functions can be utilized.

그리고 특히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사운드 출력장치는 원음에 가까운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외장형 사운드 출력장치가 구비되어 폴더의 개폐유무에 상관없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파일을 재생하여 일정한 사운드을 들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스테레오 사운드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In particular, the above-described sound output devic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external sound output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sound close to the original sound, regardless of whether the folder is opened or closed to play the sound source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hear a certain sou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ereo sound function.

그러나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부는 한정된 용량을 가짐으로 인해 저장되는 음원파일 역시 한정된 용량만이 저장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재생되는 음원 역시 한정된 시간동안만 재생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torage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 limited capacity, only a limited capacity of the sound source files to be stored can be stored, and thus, a sound source to be played can be played only for a limited time.

또한, 상기 휴대용 사운드기기에는 거의 외장형 사운드 출력장치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상기 휴대용 사운드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원파일을 다수의 사람이 청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ortable sound device has almost no external sound output device, so a number of people cannot listen to the sound source file played by the portable sound devi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사운드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여 사운드기기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출력장치로 출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a variety of sound device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that can output the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device to the sound out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roviding a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외부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사운드 신호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put unit to which an external sound signal is input; A sound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sound signal as sound; And a sound signal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n external sound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set a path to the sound output unit.

또한, 상기 입력부로부터 받은 상기 사운드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 신호를 보내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ier which amplifies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and sends a signal to the sound output unit.

여기서, 상기 증폭부는 게인(Gain) 값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mplification unit adjusts a gain value.

또한, 상기 사운드 신호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사운드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und signal may be input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put unit.

또한, 상기 사운드기기는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및 사운드 출력이 나오는 장치 중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ound device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an MP3 player, a CD player, and a sound output device.

여기서, 상기 사운드기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케이블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ound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eferably connected by a cable.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방법에 있어서, 외부 사운드 신호가 사운드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단계; 사운드 신호 감지부에서 상기 사운드 신호가 입 력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an external signal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external sound signal is input from a sound input unit; Detecting whether the sound signal is input by a sound signal detector; Setting a path for outputting the input sound signal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And amplifying the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set path.

또한, 상기 사운드 신호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사운드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ound signal may be input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put uni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장치 및 그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ternal signal output device and a method thereof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외부신호 출력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external signal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10), 송수신부(12), 음성신호처리부(14), 마이크(16), 사운드 출력장치(18), 사운드 신호 입력부(20), 사운드 신호 감지부(22), 디지털신호처리부(24), 중앙제어부(26), 입력부(28), 표시부(110) 및 저장부(32) 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antenna unit 10, the transceiver 12, the voice signal processor 14, the microphone 16, the sound output device 18, the sound signal input unit 20, the sound signal detector 22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4, a central control unit 26, an input unit 28, a display unit 110, and a storage unit 32.

이하, 각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p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안테나부는(1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공중파로 전파를 발진하도록 하는 송단이거나 공중파로 전파되는 전파를 수신하도록 하는 수단이다.The antenna unit 10 is a means for receiving a radio wave propagated in the air or the air wave to oscillate radio waves in the air communication terminal.

송수신부(1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파를 공중파로 송신 또는 공중파로 수신되는 전파를 수신하는 부분을 담당한다.The transceiver 12 is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 radio wave in the air or receiving the radio wave received in the air wav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음성 신호 처리부(14)는 변복조된 음성 신호를 분리하여 마이크(16) 또는 사운드 출력장치(18)로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이다.The voice signal processor 14 is a part that separates the modulated demodulated voice signal and processes the voice signal by the microphone 16 or the sound output device 18.

마이크(16)는 인간의 음성을 마이크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부분이다.The microphone 16 converts a human voice into an analog voice signal using a microphone.

사운드 출력장치(18)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리시버를 이용하여 인간이 청취할 수 있는 음성으로 변환하는 부분이다.The sound output device 18 converts an analog voice signal into a voice that can be heard by a human using a receiver.

사운드 신호 입력부(20)는 외부의 사운드기기로부터 음원파일의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 부분이다.The sound signal input unit 20 is a portion in which a sound signal of a sound source file is input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여기서 외부의 사운드기기는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및 사운드 출력이 나오는 장치 중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Here, the external sound device may use one or more of an MP3 player, a CD player, and a device with a sound output.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외부 사운드기기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이 된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external sound device is connected using a cable.

사운드 신호 감지부(22)는 외부의 사운드기기로부터 사운드 신호가 입력이 되었는지 감지하는 부분이다.The sound signal detector 22 detects whether a sound signal is input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증폭부(24)는 사운드 신호 감지부(22)에서 들어오는 사운드 신호를 증폭시키며, 사용자가 의도하는 출력만큼 나오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The amplifier 24 amplifies the sound signal coming from the sound signal detection unit 22, and is a portion to adjust the output so that the user intended.

디지털 신호 처리부(26)는 음성 신호를 제외한 데이터를 뽑아내기 위한 부분이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6 is a part for extracting data except for an audio signal.

중앙제어부(28)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부분이다.The central control unit 28 is a part for processing digital data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저장부(30)는 전화번호부관리 또는 메시지관리 같은 프로그램들에서 사용될 데이터가 저장된 부분이다.The storage unit 30 is a part storing data to be used in programs such as phone book management or message management.

입력부(32)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성된 숫자입력이나 방향입력 버튼을 구성하는 부분이다.The input unit 32 is a part constituting a numeric input or direction input button configu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표시부(34)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생성된 이미지, 숫자 또는 문자를 인간이 이해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장치이다.The display unit 34 is a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numbers, or letters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humans can understand them.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ternal signal out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a) 단계에서 외부 사운드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을 한다.As shown, in step (a)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sound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ia a cable.

(b) 단계에서 외부의 사운드기기에서 사운드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운드 입력부(20)를 통하여 사운드 신호가 입력이 된다. 이때, 외부 사운드기기는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및 사운드 출력이 나오는 장치 중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In step (b), the sound signal is input from the external sound device through the sound input unit 2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the external sound device may use one or more of an MP3 player, a CD player, and a device for outputting sound.

(c) 단계에서, 사운드 신호 감지부(22)에 외부에서 사운드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력이 되었는지를 감지하며, 증폭부(24)쪽으로 사운드 신호가 들어가도록 경로(Path Line)를 형성해 준다.In step (c), the sound signal detecting unit 22 detects whether the sound signal i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outside, and forms a path (Path Line) to enter the sound signal toward the amplifier 24.

(d) 단계에서, 상기 형성된 경로를 통해 사운드 신호 입력부(20)에 들어온 사운드 신호를 증폭시키며, 사용자가 의도하는 출력만큼 나오도록 조절을 할수 있도록 한다.In step (d), the amplified sound signal entered into the sound signal input unit 20 through the formed path,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o come out as intended.

(e) 단계에서, 증폭부(24)를 통해 나온 사운드 신호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운드 출력장치(18)를 통하여 밖으로 출력한다.In step (e), the sound signal from the amplifier 24 is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device 18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사운드기기에 저장된 음원파일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하지 않고, 곧바로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mediately reproducing the sound source file stored in the portable sound device without sto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상기 음원파일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사운드 출력장치로 재생됨에 따라 상기 사운드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원파일을 다수의 사람이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s the sound source file is reproduced by the sound output devic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plurality of people can listen to the sound source file reproduced by the sound device.

Claims (8)

외부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An input unit to which an external sound signal is input; 상기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사운드 출력부; 및A sound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sound signal as sound; And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외부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사운드 신호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장치.And a sound signal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n external sound signal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and set a path to the sound output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입력부로부터 받은 상기 사운드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사운드 출력부로 신호를 보내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장치.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and sending a signal to the sound output uni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증폭부는 게인(Gain) 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장치.The amplifying unit is an external signal output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gain (Gain) valu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운드 신호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사운드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sound signal is input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put unit.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사운드기기는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및 사운드 출력이 나오는 장치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장치.The sound device is an external signal output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device, such as an MP3 player, a CD player and a sound output.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사운드기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케이블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장치.The sound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n external signal output de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y a cable.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운드 출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sound out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외부 사운드 신호가 사운드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단계;An external sound signal is input from a sound input unit; 사운드 신호 감지부에서 상기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whether the sound signal is input by a sound signal detector;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Setting a path for outputting the input sound signal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And 상기 설정된 경로를 통하여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방법.Amplifying a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set path; External signal output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사운드 신호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사운드기기로부터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외부신호 출력방법.And the sound signal is input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input unit.
KR1020040083312A 2004-10-18 2004-10-18 Out signal output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of method KR2006003415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312A KR20060034157A (en) 2004-10-18 2004-10-18 Out signal output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of method
CNA2005100663655A CN1764219A (en) 2004-10-18 2005-04-22 External signal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312A KR20060034157A (en) 2004-10-18 2004-10-18 Out signal output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of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157A true KR20060034157A (en) 2006-04-21

Family

ID=3674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312A KR20060034157A (en) 2004-10-18 2004-10-18 Out signal output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of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34157A (en)
CN (1) CN1764219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4219A (en)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1399B (en) Headset with ambient sound
US97489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voice signal through headset
KR101731714B1 (en) Method and headset for improving sound quality
US798680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ersonal hands-free accessory with audio disable
CN107509153B (en) Detection method and device of sound play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JP6497986B2 (en) Audio system, audio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audio signal control method
TW200847739A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KR200800385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udio volume to prevent hearing loss or damage
US20130003990A1 (en)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15711A5 (en)
CN101467431A (en) Audio processing in communication terminals
CN102104815A (en) Automatic volume adjusting earphone and earphone volume adjusting method
JP4569414B2 (en) Audio output device
US20190387307A1 (en) Automatic keyword pass-through system
KR20060034157A (en) Out signal output apparatu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of method
JP5661948B2 (en) Portable audio playback device
JP2003125481A (en) Voice reproducer
KR100972159B1 (en) Device for controling audio signal i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strument
JP4915466B2 (en) Audio output device
US20050271228A1 (en) Handheld device with hearing aid function
US20220256278A1 (en) Automatic keyword pass-through system
CN209746534U (en) Small-size portable headset K sings effect enhancer and K sings system
KR100631612B1 (en) Sound pressure adjusting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30458Y1 (en) Hands-free set used with music playing and singing program of mobile phone
KR10111412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udio input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