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808A -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 Google Patents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808A
KR20060033808A KR1020067001507A KR20067001507A KR20060033808A KR 20060033808 A KR20060033808 A KR 20060033808A KR 1020067001507 A KR1020067001507 A KR 1020067001507A KR 20067001507 A KR20067001507 A KR 20067001507A KR 20060033808 A KR20060033808 A KR 20060033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pressure discharge
pulse
starting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르트 지세거
Original Assignee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333729A external-priority patent/DE10333729A1/de
Application filed by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filed Critical 파텐트-트로이한트-게젤샤프트 퓌어 엘렉트리쉐 글뤼람펜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33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8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881Load circuits; Control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회로는 부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회로는 고압 방전 램프(La)용 단자 및 상기 고압 방전 램프에서 가스 방전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 펄스 시동 장치의 시동용 변압기(starting transformer)(T1)의 2차 권선(L1b)용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상기 부하 회로 내에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C1)가 배치되고 상기 커패시터는 펄스 시동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시동용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커패시터가 실질적으로 펄스 시동 장치에 의해 발생한 시동 펄스에 대한 단락을 나타내고, 고압 방전 램프(La)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된 후 2차 권선(L1b)을 통해 램프 전류가 흐르면 시동용 변압기(T1)의 인덕턴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CIRCUIT FOR OPERATING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방식의 회로는 예컨대 Michael Gulko와 Sam Ben-Yaakov의 논문, "A MHz Electronic Ballast For Automotive-Type HID Lamps"(IEEE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erence, PESC-97, 39-45p., St. Louis, 1997)에 기술되어있다. 상기 공개 문헌에는 고압 방전 램프가 접속되어 있는 부하 회로에 변압기를 통해 고주파 AC 전압을 인가하는 전류 공급 푸쉬-풀 컨버터(Push-Pull Converter)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하 회로 내에는 고압 방전 램프 내에 가스 방전을 개시하기 위한 시동 전압(starting voltage)을 발생시키는 시동 장치(starting device)의 시동용 변압기(starting transformer)의 2차 권선이 접속된다.
공개 공보 WO 98/18297은 변압기를 통해 부하 회로 및 상기 부하 회로의 분리된 펄스 시동 장치에 고주파 AC 전압을 인가하는 푸쉬-풀 컨버터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펄스 시동 장치는 시동 단계 동안 고압 방전 램프의 보조 시동 전극에 고전압 펄스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실 출력이 더 적은 범용형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술된다.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부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회로는 고압 방전 램프용 단자 및 상기 고압 방전 램프에서 가스 방전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된 펄스 시동 장치의 시동용 변압기(starting transformer)의 2차 권선용 단자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상기 부하 회로 내에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가 배치되고 상기 커패시터는 펄스 시동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시동용 변압기의 2차 권선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커패시터가 실질적으로 펄스 시동 장치에 의해 발생한 시동 펄스에 대한 단락을 나타내고, 고압 방전 램프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된 후 2차 권선을 통해 램프 전류가 흐르면 시동용 변압기의 인덕턴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램프 전류가 흐르는 시동용 변압기의 2차 권선의 인덕턴스가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됨으로써, 부하 회로 내에서 상기 인덕턴스로 인해 야기된 전압 강하가 요구되는 레벨까지 감소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전압 컨버터의 부품들 내에서, 특히 상기 전압 컨버터의 반도체 스위치 및 상기 전압 컨버터의 전압 출력에 있는 변압기 내에서의 전력 손실이 감소된다.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는 시동용 변압기 2차 권선(L1b)의 현존하는 인덕턴스, 상기 시동용 변압기 2차 권선의 요구 유효 인덕턴스(Ldes) 및 상기 전압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f) 또는 AC 램프 전류의 주파수로부터 하기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6004873934-PCT00001
높은 시동 인덕턴스(L1b)는 전압 컨버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 회로의 높은 증폭비(magnification factor)를 야기하며, 상기 증폭비가 증가함에 따라 램프 전류가 이상적인 사인파형을 취한다. 그 결과 회로의 전자기적 호환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방전 매체 내에서의 음향 공진이 단지 낮은 강도로만 여기된다.
전술한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는 고압 방전 램프의 펄스 시동 장치의 구성 부품으로도 설계될 수 있으며, 상기 펄스 시동 장치 자체는 다시 고압 방전 램프의 램프 베이스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소위 커패시터 및 시동용 변압기의 2차 권선으로 형성된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는, 램프가 그의 음향 공진 위에서 구동될 수 있도록 하고 공간적으로 컴팩트한 시동 장치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500 킬로헤르츠보다 더 높다. 또한, 램프 구동시 구동 주파수가 약 300 킬로헤르츠가 되는 시점부터 2차 권선의 인덕턴스가 특히 장애를 일으킨다.
램프가 보통 500 킬로헤르츠 이상의 고주파수로 구동되는 동안 시동용 변압기에서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커패시터를 통한 보상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시동용 변압기의 2차 권선의 인덕턴스가 최대한 작아야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덕턴스가 500 μH 미만이어야 한다.
하기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약 35와트의 전기 소비전력을 갖는 무수은 할로겐 금속증기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및 펄스 시동 장치이다.
도 1에는 전술한 무수은 할로겐 금속증기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추가로, 도면들에 펄스원(pulse source)으로 표시된, 상기 무수은 할로겐 금속증기 고압 방전 램프에서의 가스 방전을 개시하기 위한 펄스 시동 장치도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펄스 시동 장 치는 램프 베이스 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로는 자동차의 배터리 또는 제너레이터로 형성된 DC 전압원, 인덕터(L3), 제어 가능한 반도체 스위치(S3), 상기 반도체 스위치(S3)에 병렬로 접속된 다이오드(D3) 및 상기 다이오드(D3)와 상기 스위치(S3)에 병렬로 배치된 커패시터(C3)를 포함한다. 상기 소자들(L3, S3, D3 및 C3)은 전류공급형(current-fed) 클래스 E 컨버터의 형태로 서로 접속된다. 상기 소자들은 회로의 구동부를 형성한다. 상기 커패시터(C3)는 고압 방전 램프(La) 및 펄스 시동 장치를 위한 단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부하 회로가 연결되어 있는 전술한 컨버터의 전압 출력을 형성한다. 펄스 시동 장치는 시동용 변압기(T1)를 포함하며, 상기 시동용 변압기의 2차 권선(L1b)은 부하 회로에 접속된다.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2차 권선(L1b)에 직렬로 커패시터(C1)가 접속되고, 상기 커패시터(C1)는 고압 방전 램프(La)의 시동 단계가 끝난 후 램프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의 설계에 따라 램프 전류가 흐르는 2차 권선(L1b)의 인덕턴스의 부분 보상을 야기한다. 여기서 구동부와 시동부는 차폐 동축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 커패시터(C1)는 펄스 시동 장치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며, 램프 베이스 내에 장착된다. 2차 권선(L1b)을 포함하는 상기 시동용 변압기(T1) 및 상기 커패시터(C1)의 설계를 표로 작성하였다.
도 2에는 전술한 무수은 할로겐 금속증기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추가로, 도면들에 펄스원(pulse source)으로 표시된, 상기 무수은 할로겐 금속증기 고압 방전 램프에서의 가스 방전을 개시하기 위한 펄스 시동 장치도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펄스 시동 장 치는 램프 베이스 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회로는 자동차의 배터리 또는 제너레이터로 형성된 DC 전압원, 인덕터(L4), 커패시터(C4), 제어 가능한 2개의 반도체 스위치(S41, S42), 상기 반도체 스위치들에 각각 병렬 접속된 다이오드(D41, D42) 및 2개의 1차 권선 및 1개의 2차 권선을 갖는 변압기(T4)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S41, S42)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s)로서 형성되고, 상기 다이오드(D41, D42)는 상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S41, S42) 내에 집적된 소위 바디 다이오드(body diode)이다. 상기 인덕터(L4), 커패시터(C4), 반도체 스위치(S41, S42), 상기 반도체 스위치의 다이오드(D41, D42) 및 상기 변압기(T4)는 위에서 인용한 종래 기술에 기술된 것과 같은 전류공급형 푸쉬-풀 컨버터의 형태로 서로 접속된다. 램프(La)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되면, 극성이 일치하는 변압기(T4)의 두 1차 권선 사이의 센터 탭 (center tap)에 인덕터(L4)에 의해 거의 일정한 전류가 인가된다. 반도체 스위치(S41, 42)가 교대로 스위칭됨에 따라, 항상 상기 두 스위치(S41, 42) 중 하나가 폐쇄된다. 전술한 회로 소자들은 하우징 내에 램프(La)와 분리되어 배치된 램프 구동부를 형성한다. 변압기(T4)의 2차 권선에는 상기 무수은 할로겐 금속증기 고아 방전 램프(La)용 단자들 및 펄스 시동 장치용 단자들을 구비하는 부하 회로가 연결된다. 펄스 시동 장치는 시동용 변압기(T1)를 포함하며, 상기 시동용 변압기의 2차 권선(L1b)은 부하 회로에 접속된다.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2차 권선(L1b)에 직렬로 커패시터(C1)가 접속되고, 상기 커패시터(C1)는 고압 방전 램프(La)의 시동 단계가 끝난 후 램프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의 설계에 따라 램프 전류가 흐르는 2차 권선(L1b)의 인덕턴스의 부분 보상을 야기한다. 여기서 구동부와 시동부는 차폐 동축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 커패시터(C1)는 펄스 시동 장치의 부품으로서 형성되며, 램프 베이스 내에 장착된다.
도 3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회로는, 변압기(T4)의 2차 권선에 병렬 접속되는 추가의 직렬 공진 회로 소자(C5, L5)에 있어서만 제 2 실시예의 회로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서 동일한 소자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커패시터들(C1, C5)과 인덕턴스(L5)가 함께 직렬 공진 회로를 형성하며, 이 직렬 공진 회로는 고압 방전 램프(La)의 시동 단계 동안 펄스 시동 장치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펄스 시동 장치의 전압 입력은 램프(La)의 시동 단계 동안 직렬로 접속된 커패시터들(C1, C5)에 병렬로 접속된다. 시동 단계가 끝나면, 고압 방전 램프(La)의 방전로(discharge path)에 병렬 접속된, 상기 직렬 공진 회로의 소자들(C5, L5)이 이제 도전성을 갖는 램프(La)의 방전로를 통해 단락되고, 상기 변압기(T1)의 2차 권선(L1b)에 직렬로 접속된 커패시터(C1) 및 전술한 2차 권선(L1b)으로 형성된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에 근접할 정도로 전류공급형 푸쉬-풀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가 증가된다. 상기 커패시터(C1)는 시동 단계가 끝난 후 램프가 구동되는 동안 램프 전류가 흐르는 시동용 변압기(T1)의 2차 권선(L1b)의 인덕턴스의 부분 보상을 야기하며, 그 결과 푸쉬-풀 컨버터의 반도체 스위치(S41, S42) 및 변압기(T4)에서의 전력 손실이 감소된다. 제 2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소자들의 설계를 표로 작성하였다.
고압 방전 램프(La)의 시동 단계 동안 전계효과 트랜지스터(S41, S42)는 예 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로서 형성된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교대로 350 킬로헤르츠의 스위칭 주파수로 스위칭되고, 상기 스위칭 주파수는 직렬 공진 회로(L5, C5, C1)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한다. 그럼으로써 변압기(T4)의 2차 권선에 동일한 주파수의 AC 전압이 발생하고, 상기 AC 전압으로부터 전술한 직렬 공진 회로를 사용하여 공진으로 인해 증가된 약 2500볼트의 AC 전압이 발생한다. 따라서 커패시터들(C5, C1)의 직렬 회로에 펄스 시동 장치를 위해 상응하는 크기의 입력 전압이 제공되며, 이 입력 전압은 펄스 시동 장치의 시동 커패시터(도시되지 않음)에 정류기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 및 충전 저항(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펄스 시동 장치의 불꽃 갭(spark gap)(도시되지 않음)의 항복 전압을 부과하기에 충분하다. 불꽃 갭의 파괴시 시동 커패시터는 시동용 변압기(T1)의 1차 권선(L1a)을 통해 방전되고, 상기 시동용 변압기의 2차 권선(L1b)에서는 고압 방전 램프(La)의 가스 방전의 개시를 위해 30000볼트 이하의 고전압 시동 펄스가 발생한다. 고압 방전 램프(La)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되면 직렬 공진 회로(L5, C5)가 현재 도전성을 갖는 램프(La)의 방전로에 의해 단락되고, 그 결과 공진 커패시터(C5)에 제공된 펄스 시동 장치용 입력 전압은 시동 커패시터에 불꽃 갭의 항복 전압을 부과하기에 더 이상 충분치 못하게 된다. 고압 방전 램프(La)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된 후, 푸쉬-풀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는 550 킬로헤르츠까지 증가된다. 램프의 이러한 구동 단계, 소위 스타트업 단계 또는 소위 파워 스타트업 단계 동안에는 고압 방전 램프(La)의 방전 매체의 충전 요소들(filling components)이 신속하게 증발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램프(La)의 완전한 발광이 최대한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램프(La)에 증가된 전력이 공급된다. 전술한 파워 스타트업 단계가 끝나면, 35와트의 램프 공칭 출력에서의 구동이 보증되도록 하기 위해, 램프 교류의 주파수가 715 킬로헤르츠까지 증가한다. 램프 전류가 흐르는 2차 권선(L1b)에 직렬로 접속된 커패시터(C1)는 상기 주파수에서 상기 2차 권선(L1b)의 인덕턴스의 부분 보상을 야기하고, 반도체 스위치(S41, S42) 및 변압기(T4)에서의 전력 손실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두 가지 유형과 다른 전압 컨버터와 관련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2개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두 실시예 모두, 램프(La)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되기 전에 시동용 변압기(T1)의 2차 권선(L1b)의 인덕턴스의 부분 보상에 사용되는 커패시터(C1 또는 C51)에 DC 전압이 인가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상기 DC 전압은 램프의 시동 단계 동안 펄스 시동 장치에 의해 발생한 시동 펄스에 추가로 상기 램프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커패시터(C1 또는 C51)로부터 램프로의 에너지 송출은 램프(La)의 방전로가 시동 펄스에 의해 저 저항값을 가지게 된 후에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동용 변압기(T1)의 2차 권선(L1b)의 인덕턴스로 인해 시동 장치에 의해 발생한 시동 펄스의 기간보다 더 긴 소정의 시간 영역에 걸쳐서 이루어진다. 그 결과 램프(La) 방전로의 저 저항 상태가 상기 시간 영역에 걸쳐서 유지되고, 안정기(Q) 또는 도 5에 따른 클래스 E 컨버터에 의한 승계(takeover) 확률, 즉 두 램프 전극 사이의 방전 플라즈마 내 도전 채널이 파괴되지 않을 확률이 증가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면부호 Q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트용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안정기를 나타낸다. 커패시터(C1), "펄스원"이라고 표시된 펄스 시동 장치, 시동용 변압기(T1) 및 램프(L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커패시터(C1)는 램프(La)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되기 전에 스위치(S), 다이오드(D) 및 저항(R)을 통해 충전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안정기(Q)의 무부하 전압이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S)는 높은 오프 상태 전압(off-state voltage)을 갖는 IGBT 또는 MOSFET으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클래스 E 컨버터와 펄스 시동 장치의 조합을 표현한 것이다. 소자들(L52, S51, D51, C52)은 제 1 실시예에 도시된 것들과 유사하게 클래스 E 컨버터로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52), 저항(R52), 불꽃 갭(FS), 시동 커패시터(C53) 및 시동용 변압기(T1)로 형성된 펄스 시동 장치는 램프(La)의 시동 단계 동안 단권변압기(autotransformer)(L52)의 제 2 권선부(L52b)를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램프(La)의 시동 단계 이전에 상기 단권변압기(autotransformer)(L52)의 제 2 권선부(L52b), 다이오드(D53), 저항(R53) 및 제너 다이오드(D54)를 통해 커패시터(C51)에 DC 전압이 인가된다. 이 DC 전압은 시동용 변압기에 의해 발생한 시동 펄스(들)과 함께 램프 내에서의 가스 방전을 개시한다. 또한, 커패시터(C51) 내에 저장되어 있던 에너지가 램프(La)의 시동 단계 동안 상기 램프(La)로 전달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커패시터가 바람직하게 300볼트보다 큰 DC 전압으로 충전된다. 불꽃 갭(FS)이 파괴되기 전에 이미 커패시터(C51)가 요 구된 DC 전압으로 충전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RC 소자(RC element) "R52, C53"의 시간 상수가 RC 소자 "R53, C51"의 시간 상수보다 더 크다. 가스 방전이 개시된 후 램프 구동 단계 동안의 커패시터(C51)의 충전 차단은 램프 구동 단계 동안 권선부(L52b)에서의 전압 강하가 감소됨으로써 보증되며, 그런 다음 상기 전압이 제너 다이오드(D54)를 통과하면서 완전히 강하됨으로써 소자들(D53, R53 및 D54)을 통해 감지(지각)할 수 있을 정도의 직류가 흐를 수 없게 된다.
C4 1.0 nF, FKP1 (WIMA)
C5 35 pF
C1 570 pF
L4 60 μH, RM5, N49에서 권수(turns): 20 (EPCOS)
L5 4.6 mH, EFD15, N49, 권수: 300 (EPCOS)
T4 EFD25, N59, 에어갭 없음, 2차 권수: 40 2개의 1차 권선 각각의 권수: 8
T1 1차 권수: 1, 2차 권수: 37
L1b 150 μH
S41 (& D41) IRF740, 파워 MOSFET (International Rectifier)
S42 (& D42) IRF740, 파워 MOSFET (International Rectifier)
La 무수은 할로겐 금속증기 고압 방전 램프, 공칭 35와트, 45볼트
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회로 소자들의 설계

Claims (15)

  1.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부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 회로는 고압 방전 램프(La)용 단자 및 상기 고압 방전 램프에서 가스 방전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펄스 시동 장치(pulse starting device)의 시동용 변압기(starting transformer)(T1)의 2차 권선(L1b)용 단자를 포함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부하 회로 내에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C1)가 배치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펄스 시동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2차 권선(L1b)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커패시터가 실질적으로 상기 펄스 시동 장치에 의해 발생한 시동 펄스에 대한 단락을 나타내고, 상기 고압 방전 램프(La)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된 후 상기 2차 권선(L1b)을 통해 램프 전류가 흐르면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인덕턴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구동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C1) 및 상기 2차 권선(L1b)으로 형성된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500 킬로헤르츠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구동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L1b)의 인덕턴스가 500 μH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구동 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정상 상태(steady state) 램프 구동 동안 상기 전압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가 500 킬로헤르츠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구동 회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2차 권선의 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커패시터가 DC 전압으로 충전되고, 상기 DC 전압은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시동 펄스(들)과 함께 상기 램프 내에서의 가스 방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구동 회로.
  6.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로서,
    상기 회로는 부하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 하 회로는 고압 방전 램프(La)용 단자 및 상기 고압 방전 램프에서 가스 방전을 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펄스 시동 장치의 시동용 변압기(starting transformer)(T1)의 2차 권선(L1b)용 단자를 포함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부하 회로 내에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C1)가 배치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펄스 시동 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2차 권선(L1b)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커패시터가 실질적으로 상기 펄스 시동 장치에 의해 발생한 시동 펄스에 대한 단락을 나타내고, 상기 커패시터(C51)는 상기 램프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되기 전에 DC 전압으로 충전되고, 상기 DC 전압은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시동 펄스(들)과 함께 상기 램프 내에서의 가스 방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구동 회로.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C1; C51)는 상기 램프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되기 전에 300볼트보다 큰 DC 전압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구동 회로.
  8. 시동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시동용 변압기(T1)를 구비한 고압 방전 램프용 펄스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 장치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C1)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2차 권선(L1b)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커패시터가 실질적으로 상기 펄스 시동 장치에 의해 발생한 시동 펄스에 대한 단락을 나타내고, 상기 고압 방전 램프(La)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된 후 상기 2차 권선(L1b)을 통해 램프 전류가 흐르면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인덕턴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용 펄스 시동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C1) 및 상기 2차 권선(L1b)으로 형성된 직렬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500 킬로헤르츠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용 펄스 시동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L1b)의 인덕턴스가 500 μH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용 펄스 시동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L1b)을 통해 흐르는 램프 전류의 주파수가 500 킬로헤르츠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용 펄스 시동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2차 권선의 보상을 위해 사용되는 커패시터가 DC 전압으로 충전되고, 상기 DC 전압은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시동 펄스(들)과 함께 상기 램프 내에서의 가스 방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용 펄스 시동 장치.
  13. 시동 펄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시동용 변압기(T1)를 구비한 고압 방전 램프용 펄스 시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 장치는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C1)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2차 권선(L1b)에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커패시터(C1)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커패시터가 실질적으로 상기 펄스 시동 장치에 의해 발생한 시동 펄스에 대한 단락을 나타내고, 상기 커패시터(C51)는 상기 램프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되기 전에 DC 전압으로 충전되고, 상기 DC 전압은 상기 시동용 변압기(T1)의 시동 펄스(들)과 함께 상기 램프(La) 내에서의 가스 방전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용 펄스 시동 장치.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C1; C51)는 상기 램프(La) 내에서 가스 방전이 개시되기 전에 300볼트보다 큰 DC 전압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용 펄스 시동 장치.
  15. 램프 베이스 내에 배치된, 제 8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따른 펄스 시동 장치를 구비한 고압 방전 램프.
KR1020067001507A 2003-07-23 2004-07-23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KR200600338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33729A DE10333729A1 (de) 2003-07-23 2003-07-23 Vorschaltgerät für mindestens eine Hochdruckentladungslampe, Betriebsverfahren und Beleuchtungssytem für eine Hochdruckentladungslampe
DE10333729.6 2003-07-23
DE102004020500.0 2004-04-26
DE10420500 2004-04-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808A true KR20060033808A (ko) 2006-04-19

Family

ID=3714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1507A KR20060033808A (ko) 2003-07-23 2004-07-23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38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0399B2 (en) Ballast for at least one fluorescent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method for operating said lamp and lighting system comprising said lamp
US7656099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and operating method for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US5932976A (en) Discharge lamp driving
US6975077B2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ballast apparatus
US20090039798A1 (en) Pulsed igniting device comprising a piezoelectric transformer for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US7164239B2 (en) Discharge lamp ballast circuit
CA2232850C (en) Circuit for starting an hid lamp
US20090085492A1 (en) Device for operating or starting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lamp socket and illumination system wtih such a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TW200908800A (en) Circuit arrangement for igniting and operating a discharge lamp
US7221103B2 (en) Circuit for operating high-pressure discharge lamps
US6194844B1 (en)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one high-pressure discharge lamp
JP2010512630A (ja) 高圧放電ランプ用の点弧装置および点弧装置を備えた高圧放電ランプ
US7170235B2 (en) Circuit arrangement with a separate resonant igniter for a high-pressure discharge lamp
US20070145905A1 (en) Driver device for a gas discharge lamp and igniter
US614416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on of a high-pressure gas discharge lamp on alternating current
JP2008521181A (ja) 高圧放電ランプの作動用回路装置
KR100729875B1 (ko) 스위칭 장치
KR20060033808A (ko) 고압 방전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US7084580B2 (en) Discharge lamp lighting circuit
US6597128B2 (en) Remote discharge lamp ignition circuitry
US20070164685A1 (en)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US7456583B2 (en) Electrical circuit with dual stage resonant circuit for igniting a gas discharge lamp
US7075246B2 (en) Discharge lamp illumination circuit
JPH11329769A (ja) 自動車のヘッドライトのための放電ランプ用電源装置
JPH11504758A (ja) 高圧ガス放電ランプの点弧用回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