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182A - A swivel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shafts hinge to control swing angle of lcd part - Google Patents

A swivel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shafts hinge to control swing angle of lcd pa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182A
KR20060033182A KR1020040082151A KR20040082151A KR20060033182A KR 20060033182 A KR20060033182 A KR 20060033182A KR 1020040082151 A KR1020040082151 A KR 1020040082151A KR 20040082151 A KR20040082151 A KR 20040082151A KR 20060033182 A KR20060033182 A KR 20060033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in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1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22248B1 (en
Inventor
홍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248B1/en
Publication of KR2006003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1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블(Swivel)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LCD부의 스위블링 시에 LCD부의 모서리가 본체의 키패드를 눌러 오류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axis hinge for preventing an error signal from being input by pressing the keypad of the main body at the edge of the LCD when swiping the LCD unit.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수직하게 위치한 2개의 회전축을 갖는 힌지에 의해 LCD부(103)가 본체(105)에 대해 접히거나 펴지는 방향으로 선회하며 LCD부(103)가 회전하는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제1 회전축(210)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해 위치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본체(105)에 고정되는 힌지몸체(230)와, 힌지몸체(230)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제1 회전축(210)의 일부가 노출되는 제1 홈(231)과, 제1 홈(231)의 개방부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233)와, 제1 홈(231)에 위치하며 제1 회전축(210)을 관통해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LCD부(103)에 고정되는 제2 회전축(220)과, 제1 회전축(210)과 제2 회전축(220)이 관통하며 제1 홈(210)에 위치하는 회전블록(240)과, 제2 회전축(220)에 고정되어 제2 회전축(220)과 함께 회전하며 오목부(233)와 정합되거나 또는 오목부(233)에서 분리되는 볼록부(261)가 형성된 스토퍼(2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ivot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CD unit 103 is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5 by a hinge having two rotational axe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LCD unit 103 rotates. In the swivel-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hinge body 230 and the hinge body 230 which is rotatably positioned and fixed to the main body 105 in a state where the first rotating shaft 210 penet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iddle of the hinge body 230. A first groove 231 formed in the portion and exposing a part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10, a recess 23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first groove 231, and a position in the first groove 231. The second rotary shaft 220 and the first rotary shaft 210 and the second rotary shaft 220 are fixed to the LCD unit 103 and rotatably positioned to penetrate the first rotary shaft 210. Rotating block 240 positioned at 210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220 is fixed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220 and matched with the recess 233 or Or including the recess 233, the stopper 260, the projections 261 are formed to be separated from it by the technical features that are configured.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LCD부가 본체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며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스토퍼가 힌지몸체에 걸 리면서 LCD부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게 않게 된다. 따라서 LCD부가 선회하여 키패드를 눌러 오류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한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rotated 90 degrees, so that the stopper is caught by the hinge body so that the LCD does not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LCD unit has a merit that it blocks in advance that an error signal is generated by pressing the keypad.

2축 힌지,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 회전블록, 힌지블록, 스토퍼2-axis hinge, swive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otary block, hinge block, stopper

Description

엘시디부의 선회각도 제어가 가능한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A Swivel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Shafts Hinge to Control Swing Angle of LCD Part}A swivel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shafts hinge to control swing angle of LCD part}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1A and 1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a swive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LCD부가 선회하여 키패드를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1C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CD unit of the swivel-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1B rotates to press a keypad.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2축 힌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2A and 2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biaxial h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힌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body shown in Figures 2a and 2b,

도 4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힌지블록을 나타낸 상세도이고,Figure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e hinge block shown in Figures 2a and 2b,

도 5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2축 힌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rotational axis and a second rotational axis of the biaxial hinge shown in FIGS. 2A and 2B;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회전축을 나타낸 상세도이며,FIG. 6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rotation axis illustrated in FIG. 5;

도 7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2축 힌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biaxial hinge shown in FIGS. 2A and 2B.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통신단말기 103 : LCD부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3: LCD

105 : 본체 200 : 2축 힌지105: main body 200: 2-axis hinge

210 : 제1 회전축 220 : 제2 회전축210: first rotating shaft 220: second rotating shaft

230 : 힌지몸체 231 : 홈230: hinge body 231: home

233 : 오목부 240 : 회전블록233: recess 240: rotation block

260 : 래치 260 : 스토퍼260: latch 260: stopper

261 : 볼록부 270 : 힌지블록261: convex portion 270: hinge block

본 발명은 스위블(Swivel)형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LCD부의 스위블링 시에 LCD부의 모서리가 본체의 키패드를 눌러 오류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an error signal from being input by pressing the keypad of the main body at the edge of the LCD unit when swiveling the LCD unit.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면서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자인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초기 모델인 스틱형에서 플립형, 그리고 폴더형으로 변천하였으며, 최근에는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가 개발되었다.As various functions are ad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desig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lso changing. The initial mod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changed from a stick type to a flip type and a folder type. Recently, a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een developed.

이와 같은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두 회전축을 갖는 힌지가 결합되어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이 LCD부가 본체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선회하면서 동시에, LCD부가 그 길이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Such a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hinge having two rotation shafts coupled to it so that the LCD unit can be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s in the conventional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the LCD unit rotates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of rotation. Has the ability to do

도면에서,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LCD부가 선회하여 키패드를 누르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A and 1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a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FIG. 1C is a state in which the LCD unit of the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hown in FIG. Schematic shown.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10)는 LCD모듈(21)이 장착된 LCD부(20)와 키패드(31)가 장착된 본체(30)를 포함하며, LCD부(20)와 본체(30)는 두 개의 회전축(41R, 41S)을 갖는 힌지(40)에 의해 결합된다.1A and 1B, the swivel-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cludes an LCD unit 20 on which an LCD module 21 is mounted and a main body 30 on which a keypad 31 is mounted. The part 20 and the main body 30 are joined by a hinge 40 having two rotary shafts 41R and 41S.

따라서 LCD부(20)는 힌지(40)를 중심으로 본체(30)에 대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선회하며, 상기 선회운동과 함께 LCD부(20) 길이방향의 회전축(41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힌지(40)의 기능을 통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부(20)가 본체(30)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LCD부(20)가 90도 회전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본체(30) 측면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LCD부(20)의 화면을 보면서 촬영한다.Accordingly, the LCD unit 20 pivots about the hinge 40 to be unfolded or folded about the main body 30, and is rotatable about the rotary shaft 41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CD unit 20 together with the pivoting movement. . As shown in FIG. 1B through the function of the hinge 40 as described above, the LCD unit 20 is position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0, and the LCD unit 20 is rotated by 90 degrees. Can be. In this state, the user takes a picture while viewing the screen of the LCD unit 20 using a camera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30.

도 1b와 같이, LCD부(20)가 본체(30)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며 90도 회전한 상태를 아래에서는 편의상 '수직상태'라 한다. As shown in FIG. 1B, the LCD unit 20 is vertical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30 and rotated 90 degrees. Hereinafter, the LCD unit 20 is referred to as a "vertical state" for convenience.

하지만, LCD부(20)가 수직상태에서 펼쳐지거나 접히는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기 때문에, 도 1c에 보이듯이, LCD부(20)가 하향으로 선회하여 LCD부(20)의 모서리가 본체(30)의 상면 즉 키패드(31)의 키버튼(33)을 누르게 된다.However, since the LCD unit 20 is pivotable in the unfolded or folded direction in a vertical state, as shown in FIG. 1C, the LCD unit 20 pivots downward so that the corners of the LCD unit 20 are formed in the main body 30. The upper button, that is, the key button 33 of the keypad 31 is pressed.

이와 같이 LCD부(20)가 선회하면서 오류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키신호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가 작동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입력된 신호를 취소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As such, when the LCD unit 20 rotates and inputs an error sig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perates according to the input key signal, which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ancel the input signal.

일반적인 키패드(31)의 구조를 살펴보면, 힌지(40) 쪽에 가까운 키패드의 상단부에 네비게이션 키(33N) 및 각종 기능키(33F)가 위치한다. 이와 같은 키패드(31) 구조에서, LCD부(20)의 선회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오류신호는 네비게이션 키(33N)와 기능키(33F)에서 발생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general keypad 31, the navigation key 33N and various function keys 33F ar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keypad near the hinge 40 side. In the structure of the keypad 31 as described above, an error signal that can be input through the turning of the LCD unit 20 is generated in the navigation key 33N and the function key 33F.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LCD부와 본체가 수직상태로 위치한 경우에 LCD부가 하향으로 선회하여 본체의 키패드를 눌러 오류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수직상태에서는 LCD부가 하향으로 선회하지 않게 구성한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block the occurrence of an error signal by pressing the keypad of the main body by turning the LCD unit downward when the LCD unit and the main body is located in a vertical st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axis hinge that is configured so that the LCD does not turn downward in the vertical stat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수직하게 위치한 2개의 회전축을 갖는 힌지에 의해 LCD부가 본체에 대해 접히거나 펴지는 방향으로 선회하며 상기 LCD부가 회전하는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제1 회전축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해 위치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힌지몸체와, 상기 힌지몸체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부가 노출되는 제1 홈과, 상기 제1 홈의 개방부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제1 홈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전축을 관통해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LCD부에 고정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이 관통하며 상기 제1 홈에 위치하는 회전블록과, 상기 제2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오목부와 정합되거나 또는 오목부에서 분리되는 볼록부가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ve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LCD unit pivot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CD unit is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y a hinge having two rotational shafts locat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hinge body fixed to the main body and rotatably positioned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penet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groove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hinge body to expose a portion of the first rotating shaft, A reces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first groove, a second rotation shaft positioned in the first groove and rotatably penetrating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fixed to the LCD unit,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 rotating block penetrating the rotating shaft and positioned in the first groove, and fixed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ng shaft to be aligned with the concave portion; or And the convex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neck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opper formed as a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회전블록을 관통한 상기 제2 회전축의 단부에는 래치가 고정되는데, 상기 래치는 가장자리에 90도의 원호만큼의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록에는 상기 제2 홈 안쪽에 접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이 90도만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a latch is fixed to an end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penetrating the rotating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second groove as much as 90 degrees arc, the rotating block inside the second groove The contacting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rotation axis is rotatable only by 90 degree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홈의 마주하는 두 내측면에서 한 쪽 내측면에는 상기 제1 회전축이 중심선을 따라 관통하는 힌지블록이 위치하여 상기 회전블록의 측면에 체결된다.In addition, a hinge block in which the first rotating shaft penetrates along a center line is positioned at one inner surface of two opposing inner surfaces of the first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astened to a side of the rotating block.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힌지블록은, 상호 접하는 면에 캠 곡면이 각각 형성된 제1 블록과 제2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제1 블록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회전블록에 체결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탄성체와 제1, 제2 블록을 관통한다.In addition, the hing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each having a cam curved surface form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 elastic body for pressing the second block toward the first block, the first block is It is fastened to the rotary block, the first rotating shaft passes through the elastic body and the first, second blocks.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홈의 마주하는 두 내측면에서 한 쪽 내측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개방부에는 볼이 위치하며, 상기 홀의 안쪽에는 상기 볼을 밀어내는 코일스프링이 위치하고, 상기 회전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제1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의 원주를 따라 160도의 원호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는 다수 개의 반구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볼과 정합 또는 분리된다.In addition, a hole is formed on one inner surface of two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ll is positioned at an opening of the hole, and a coil spring for pushing the ball is located inside the hole. A slot is formed in a side of the rotary block with a circular arc of 16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rotation shaft passes, and the slo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grooves to match or separate with the ball moving along the slot. do.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슬롯에는 3개의 반구형 홈이 형성되며, 3개의 반구형 홈은 상기 슬롯을 따라 0도, 90도, 160도의 지점에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three hemispherical grooves are formed in the slo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ree hemispherical grooves are formed at points of 0 degrees, 90 degrees, and 160 degrees along the slots,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 회전축이 관통하는 상기 회전블록의 양면에는 링 모양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각각에는 와셔스프링이 위치하여 탄성력을 상기 회전블록의 외측으로 가한다.In addition, ring-shaped grooves a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rotary block through which the second rotary shaft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and a washer spring is positioned in each of the grooves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rotary block.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LCD부의 선회각도 제어가 가능한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wivel-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axis hinge capable of controlling the turning angle of the LC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2축 힌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힌지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힌지블록을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2축 힌지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회전축을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7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2축 힌지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2A and 2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biaxial hi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body shown in FIGS. 2A and 2B, and FIG. 4 is a view of FIGS. 2A and 2B. FIG. 5 is a detailed view of the hinge block shown in FIG. 2B,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axis and a second axis of rotation of the biaxial hinge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and FIG. 6 is a second axis of rotation shown in FIG. 5.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biaxial hinge shown in FIGS. 2A and 2B.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100)는 2축 힌지(200)에 의해 LCD부(103)와 본체(105)가 결합된다. 2축 힌지(200)는, LCD부(103)가 본체(105)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제1 회전축(210)과, 상기 제1 회전축(210)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여 회전하며 제1 회전축(210)과 LCD부(103)를 연결하는 제2 회전축(2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2a and 2b, the swivel-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upled to the LCD unit 103 and the main body 105 by a two-axis hinge (200). The biaxial hinge 200 includes a first rotating shaft 210 in which the LCD unit 103 pivot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5, and rotates while being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tating shaft 210. It includes a second rotary shaft 220 for connecting the rotary shaft 210 and the LCD unit 103.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5)에 체결되는 2축 힌지(200)의 힌지몸체(230)는 그 중간부에 홈(231)이 형성되고, 힌지몸체(230) 의 길이방향으로 제1 회전축(210)이 삽입되어 위치한다. 이와 같이 힌지몸체(23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한 제1 회전축(210)의 중간부가 상기 홈(231)에서 일부 노출되며, 제2 회전축(220)이 상기 홈(231)에서 제1 회전축(210)을 관통한 상태로 위치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2A and 3, the hinge body 230 of the biaxial hinge 200 fastened to the main body 105 has a groove 231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nd the hinge body ( The first rotation shaft 210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230. As such,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10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inge body 230 is partially exposed from the groove 231,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220 is dispos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210 in the groove 231. Located in the state penetrating).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LCD부(103)가 본체(105)에 대해 수직한 상태에서, 제2 회전축(220)에 대응하는 홈(231)의 개방부 양측에는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오목부(233)가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33)의 기능에 대해서는, 2축 힌지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을 마친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In such a configur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LCD unit 103 is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105, the concave portion 233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radius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groove 231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220. ) Is formed. The function of the concave portion 23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fter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biaxial hinge.

한편, 도 4에 보이듯이, 힌지몸체(230)의 홈(231)에는 회전블록(240)이 위치하는데, 회전블록(240)에 형성된 관통공(241)을 제1 회전축(210)이 관통한 상태로, 회전블록(240)은 제1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홈(231)에 위치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rotation block 240 is located in the groove 231 of the hinge body 230, the first rotating shaft 210 through the through hole 241 formed in the rotary block 240 In the state, the rotation block 240 is positioned in the groove 231 to be freely rotatable about the first rotation shaft 210.

이런 상태에서 제2 회전축(220)은 회전블록(240)의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하여 회전블록(240)의 하면으로 돌출되며, 회전블록(240)의 하면으로 돌출된 제2 회전축(220)의 단부에 래치(250)가 고정된다. 래치(250)는 회전블록(240) 하면에 돌출된 돌기(243)와 간섭되어 90도만큼만 회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보이듯이, 래치(250)의 가장자리에는 90도의 원호만큼의 홈(251)이 형성되고, 홈(251)의 안쪽에는 회전블록(240)의 돌기(243)가 위치한다. 따라서 래치(250)가 회전하게 되면 돌기(243)가 홈(251)의 양단부에 간섭되면서 래치(250)의 회전을 막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래치(250)와 돌기(243)에 의해 제2 회전축(220)은 결국, 래치(250) 의 홈(251)이 형성하고 있는 90도의 각도만큼만 회전한다.In this state, the second rotary shaft 220 penetrat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block 24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ry block 240 and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ry block 240. The latch 250 is fixed to the end. The latch 250 may rotate only by 90 degrees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protrusion 243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on block 24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 90 degrees of arcs 251 are formed at the edges of the latch 250, and protrusions 243 of the rotation block 240 are positioned inside the grooves 251. Therefore, when the latch 250 rotates, the protrusion 243 interferes with both ends of the groove 251 to prevent rotation of the latch 250. By the latch 250 and the protrusion 243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rotation shaft 220 eventually rotates only by an angle of 90 degrees formed by the groove 251 of the latch 250.

한편, 제2 회전축(220)에는 LCD부(103)의 선회 방지를 위한 스토퍼(260)가 고정되어 회전블록(240)의 상면에 위치한다. 스토퍼(260)의 구조는 직사각형의 평판 구조에서 양 세로변이 상기 오목부(233)의 곡률반경과 동일한 곡률반경으로 볼록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스토퍼(260)는 제2 회전축(220)에 고정된 상태로 오목부(233)와 대응하도록 힌지몸체(230)의 홈(231) 내에 위치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opper 260 for preventing the turning of the LCD unit 103 is fixed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22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block 240. The structure of the stopper 260 is configured such that both sides of the rectangular flat structure are convex with a radius of curvature equal to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cess 233. The stopper 260 is positioned in the groove 231 of the hinge body 230 to correspond to the recess 233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220.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블록(240)에 있어서, 힌지몸체(230)의 홈(231) 내측면과 마주하는 두 측면 중에서 어느 한 측면에는 제1 회전축(210)이 관통하는 관통공(241)의 원주를 따라 160도의 원호로 슬롯(245)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245)에는 3개의 반구형 홈(247)이 형성되는데, 0도와 90도 그리고 160도의 지점에 각각 형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in the rotary block 240,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rotating shaft 210 passes through any one of two sides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231 of the hinge body 230 Along the circumference of 241 a slot 245 is formed with an arc of 160 degrees. Three hemispherical grooves 247 are formed in the slot 245, and are formed at points of 0 degrees, 90 degrees, and 160 degrees, respectively.

이와 같이 형성된 슬롯(245)에 대응하여 홈(231)의 내측면에는 홀(235)이 형성되고, 홀(235)에는 코일스프링(239)이 위치하며, 홀(235)의 개방부에는 볼(237)이 위치한다. 볼(237)은 코일스프링(239)의 탄성력에 의해 홀(235)의 개방부로 돌출되어 회전블록(240)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245)에 일부가 끼워진 상태로 위치한다. 따라서 제2 회전축(220)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블록(240)이 회전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볼(237)은 슬롯(245)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제2 회전축(220)이 0도, 90도, 180도만큼 선회하였을 때에 반구형 홈(247)에 각각 정합한다. 이와 같이 볼(237)이 반구형 홈(247)에 정합하면 회전블록(240)의 회전이 멈추게 되며, 코일스프링(239)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제2 회전축(220)에 작용하면 볼(237)이 반구형 홈 (247)에서 이탈하면서 회전블록(240)이 회전하게 된다. 즉 볼(237)이 반구형 홈(247)에서 이탈하면서 볼(237)에 탄성력을 가하던 코일스프링(239)이 수축되어 볼(237)이 반구형 홈(247)에서 이탈하게 된다.The hole 235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231 corresponding to the slot 245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oil spring 239 is positioned in the hole 235, and the ball ( 237 is located. The ball 237 protrudes to the opening of the hole 23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239 and is located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ball 237 is inserted into the slot 245 formed on the side of the rotation block 240. Therefore, when the second rotating shaft 220 is rotated, the rotating block 240 is rotated, the ball 237 is relatively moved along the slot 245 while the second rotating shaft 220 is 0 degrees, 90 degrees, When turning by 180 degrees, the hemispherical grooves 247 are respectively matched. As such, when the ball 237 is matched to the hemispherical groove 247,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lock 240 is stopped, and when a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239 acts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220, the ball 237. The rotating block 240 rotates while leaving the hemispherical groove 247. That is, while the ball 237 is separated from the hemispherical groove 247, the coil spring 239 that applies the elastic force to the ball 237 is contracted so that the ball 237 is separated from the hemispherical groove 247.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블록(240)에 있어서, 슬롯(245)이 형성된 측면의 반대쪽 측면에는 힌지블록(270)이 체결된다. 힌지블록(270)은 그 중심선을 따라 제1 회전축(210)이 관통해 위치하며, 좌측 블록(271)과 우측 블록(273)으로 분할되고, 좌측 블록(271)과 우측 블록(273)이 접하는 면은 캠 곡면이 형성되어 상호 접해 위치한다. 그리고 우측 블록(273)의 뒤쪽에는 코일스프링(275)이 위치하여 우측 블록(273)을 좌측 블록(271) 쪽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회전축(210)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블록(240)에 체결된 좌측 블록(271)이 회전하게 되면서 우측 블록(273)은 캠 곡면을 따라 제1 회전축(210)을 따라 우측으로 후진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in the rotating block 240, the hinge block 270 is fasten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slot 245 is formed. The hinge block 270 is positioned to penetrate the first rotation shaft 210 along a center line thereof, and is divided into a left block 271 and a right block 273, and a left block 271 and a right block 27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urfaces are locat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cam cam surfaces formed. A coil spring 275 is positioned behind the right block 273 to press the right block 273 toward the left block 271.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rotation shaft 210 rotates, the left block 271 coupled to the rotation block 240 rotates, and the right block 273 is right along the first rotation shaft 210 along the cam curved surface. To reverse.

그리고 다시 좌측 블록(271)의 캠 곡면과 우측 블록(273)의 캠 곡면이 대응하게 위치하면, 코일스프링(275)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게 되면서 좌측 블록(271)과 우측 블록(273)의 캠 곡면이 정합한다. 여기에서 캠 곡면은 LCD부(103)가 본체(105)에 대해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의 각도인 160도를 기준으로 사인(Sin)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된다.When the cam curved surface of the left block 271 and the cam curved surface of the right block 273 are located correspondingly, the cams of the left block 271 and the right block 273 are advanc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275. The surfaces match. Here, the cam curved surfac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in curve with respect to 160 degrees, which is an angle between the LCD unit 103 in an unfolded state and a fol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5.

한편, 회전블록(240)의 상하면과 이에 대응하는 스토퍼 및 래치의 일면 각각에는 링 모양의 홈(249)이 형성되며, 와셔 스프링이 제2 회전축(220)을 감싼 상태로 상기 링 모양의 홈(249)에 안착된다. 와셔스프링이 링 모양의 홈(249)에 위치하 면서, 와셔스프링의 탄성력은 회전블록(240)과 래치(250), 그리고 회전블록(240)과 스토퍼(260)를 상호 밀어내는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제2 회전축(220)이 LCD부(103)의 무게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a ring-shaped groove 249 is form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otary block 240 and one surface of the stopper and the latch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ring-shaped groove (with the washer spring wrapped around the second rotating shaft 220). 249). As the washer spring is located in the ring-shaped groove 249, the elastic force of the washer spring acts to push the rotation block 240 and the latch 250 and the rotation block 240 and the stopper 260 mutually. The second rotation shaft 220 is prevented from rotating freely by the weight of the LCD unit 103.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2축 힌지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such a two-axis hinge.

도 6의 (a)는 이동통신단말기의 LCD부가 본체에 접혀 있는 상태의 힌지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b)는 LCD부가 본체와 수직하게 90도 펼쳐진 상태이며, 도 6의 (c)는 도 6의 (b)의 상태에서 LCD부가 90도 회전한 수직상태이다.FIG. 6 (a) shows the hinge of the LCD par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lded in the main body, and FIG. 6 (b) shows the LCD part unfolded 90 degrees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and FIG. 6 (c) In the state of FIG. 6B, the LCD unit is rotated 90 degrees in a vertical state.

LCD부(103)가 도 6의 (a)상태에서 도 6의 (b)상태로 90도 펼쳐짐에 있어서, 제2 회전축(220)이 90도 선회하면서 제1 회전축(210)은 힌지몸체(230) 내에서 90도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블록(240) 또한 제2 회전축(220)을 따라 90도 선회한다. 이와 같이 회전블록(240)이 90도 선회하면서 볼(237)은 3개의 반구형 홈(247) 중에서 90도에 위치한 반구형 홈에 정합하게 된다. 볼(237)이 반구형 홈(247)에 정합하면서 제2 회전축(220)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한다.When the LCD unit 103 is extended 90 degrees from the state (a) of FIG. 6 to the state (b) of FIG. 6, the first rotation shaft 210 is the hinge body 230 while the second rotation shaft 220 is rotated 90 degrees. ) Rotates by 90 degrees, so that the rotary block 240 also rotates 90 degrees along the second axis of rotation (220). As the rotary block 240 rotates 90 degrees, the ball 237 is matched to the hemispherical groove located at 90 degrees among the three hemispherical grooves 247. As the ball 237 fits into the hemispherical groove 247, the second axis of rotation 220 is positioned as shown in FIG. 6B.

이때 스토퍼(260)는 힌지몸체(230)에 형성된 홈(231)의 상단 즉 오목부(233)와 대응하여 위치하되, 스토퍼(260)의 가로변이 오목부(233)와 대응한 상태로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6의 (c)와 같이 LCD부(103)를 90도 회전하면 LCD부(103)를 따라 제2 회전축(220)이 90도 회전하면서 스토퍼(260) 또한 90도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260)가 90도 회전하면서 스토퍼(260)의 볼록부(261)는 홈(231)의 오목부(233) 안쪽으로 진입해 들어간다.In this case, the stopper 26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of the groove 231 formed in the hinge body 230, that is, the recess 233, and the horizontal side of the stopper 260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recess 233. .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6C, when the LCD unit 103 is rotated 90 degrees, the stopper 260 also rotates 90 degrees while the second rotation shaft 220 is rotated 90 degrees along the LCD unit 103. As the stopper 260 rotates 90 degrees in this manner, the convex portion 261 of the stopper 260 enters into the recess 233 of the groove 231.

이와 같은 스토퍼(260)의 볼록부(261)와 홈(231)의 오목부(233)가 정합한 상태에서, 제2 회전축(220)은 역회전으로 90도만 회전 가능할 뿐, 상하방향으로 선회하지 못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convex portion 261 of the stopper 260 and the concave portion 233 of the groove 231 are matched, the second rotation shaft 220 can rotate only 90 degrees in reverse rotation and does not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 can't.

따라서 LCD부(103)가 본체(105)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LCD부(103)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지 않기 때문에, LCD부(103)의 모서리가 본체(105)의 키패드 부에 접하지 않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LCD unit 103 does not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tate where the LCD unit 103 is rotated 90 degrees while being perpendicular to the main body 105, the corners of the LCD unit 103 are formed in the main body 105. Will not touch the keypad.

이와 같은 상태에서 LCD부(103)를 본체(105)에 대해 펼쳐진 상태로 위치하거나 또는 접히도록 위치하기 위해서는, 도 6의 (c)에서 (b)의 상태로 LCD부(103)를 90도 역회전하여 스토퍼(260)의 볼록부(261)가 홈(231)의 오목부(233)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그리고 LCD부(103)를 상하방향으로 선회하게 되면, 제2 회전축(220)은 제1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선회하면서 펼쳐지거나 접히게 된다.In this state, in order to position the LCD unit 103 in an unfolded or folded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5, the LCD unit 103 is inverted 90 degrees in the state of FIG. 6C to FIG. 6B. The convex portion 261 of the stopper 260 is separated from the concave portion 233 of the groove 231 by rotation. When the LCD unit 103 is pivo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rotation shaft 220 is unfolded or folded while pivoting about the first rotation shaft 210.

한편, 제2 회전축(220)에는 중공(도 2b의 221)이 형성되어 본체(105)와 LCD부(103)를 연결하는 FPCB가 지나가는 통로를 형성한다.Meanwhile, a hollow (221 in FIG. 2B) is formed in the second rotation shaft 220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PCB connecting the main body 105 and the LCD unit 103 passes.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LCD부가 본체에 대해 수직하게 위치하며 90도 회전한 수직상태에서는, 스토퍼가 힌지몸체에 걸림으로써 LCD부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게 않게 된다. 따라서 LCD부가 선회하여 키패드를 눌러 오류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한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wivel-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two-axis hin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LCD unit position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rotated 90 degrees. You will not turn. Therefore, the LCD unit has a merit that it blocks in advance that an error signal is generated by pressing the keypad.

또한, 본 발명의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는 힌지에 있어 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하나로 조립되며, 힌지블록 또한 힌지의 한 조립체 구성요소로서 구성되어 구성이 간단하며 조립 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킨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wivel-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axis hin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tary shaft and the second rotary shaft is assembled as one in the hinge, the hinge block is also configured as one assembly component of the hinge, the configuration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in improving workability during assemb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swive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axis hing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not for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상호 수직하게 위치한 2개의 회전축을 갖는 힌지에 의해 LCD부가 본체에 대해 접히거나 펴지는 방향으로 선회하며 상기 LCD부가 회전하는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In a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LCD unit pivot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CD unit is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by a hinge having two rotation shaft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1 회전축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해 위치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힌지몸체와,A hinge body fixed to the main body and rotatably position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rotating shaft penetr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힌지몸체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의 일부가 노출되는 제1 홈과,A first groove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hinge body and exposing a part of the first rotation shaft; 상기 제1 홈의 개방부 양측에 형성된 오목부와,Recess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of the first groove; 상기 제1 홈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전축을 관통해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LCD부에 고정되는 제2 회전축과,A second rotation shaft positioned in the first groove and rotatably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fixed to the LCD unit;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이 관통하며 상기 제1 홈에 위치하는 회전블록과,A rotating block penetrating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and positioned in the first groove; 상기 제2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제2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오목부와 정합되거나 또는 오목부에서 분리되는 볼록부가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And a stopper having a convex portion which is fix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is aligned with or is separated from the reces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회전블록을 관통한 상기 제2 회전축의 단부에는 래치가 고정되는데, 상 기 래치는 가장자리에 90도의 원호만큼의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록에는 상기 제2 홈 안쪽에 접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이 90도만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A latch is fixed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penetrating the rotating block. The latch has a second groove having an arc of 90 degrees at an edge thereof, and a protrusion formed in the rotating block in contact with the second groove. Swive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axis hi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rotation axis is configured to rotate only 90 degre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홈의 마주하는 두 내측면에서 한 쪽 내측면에는 상기 제1 회전축이 중심선을 따라 관통하는 힌지블록이 위치하여 상기 회전블록의 측면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A swivel having a two-axis hinge,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block through which the first rotating shaft penetrates along a center line is positioned on one inner surface of two opposing inner surfaces of the first groove and fastened to a side of the rotating block.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힌지블록은, The hinge block, 상호 접하는 면에 캠 곡면이 각각 형성된 제1 블록과 제2 블록 및, 상기 제2 블록을 상기 제1 블록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each having a cam curved surface form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 elastic body for pressing the second block toward the first block, 상기 제1 블록은 상기 회전블록에 체결되고, 상기 제1 회전축은 탄성체와 제1, 제2 블록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The first block is fastened to the rotary block, the first rotating shaft is a swivel-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axis hinge, characterized in that penetrating through the elastic body and the first, second block.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1 홈의 마주하는 두 내측면에서 한 쪽 내측면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개방부에는 볼이 위치하며, 상기 홀의 안쪽에는 상기 볼을 밀어내는 코일 스프링이 위치하고,Holes are formed in one inner surface of two opposing inner surfaces of the first groove, a ball is located in the opening of the hole, and a coil spring for pushing the ball is located in the hole. 상기 회전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제1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의 원주를 따라 160도의 원호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는 다수 개의 반구형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볼과 정합 또는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 A slot is formed in a side of the rotary block with a circular arc of 160 degre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rotation shaft passes, and the slo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grooves to match or separate with the ball moving along the slot. Swivel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wo-axis hinge, characterized in tha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슬롯에는 3개의 반구형 홈이 형성되며, 3개의 반구형 홈은 상기 슬롯을 따라 0도, 90도, 160도의 지점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 And three hemispherical grooves are formed in the slots, and the three hemispherical grooves are formed at points of 0 degrees, 90 degrees, and 160 degrees along the slots, respectivel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2 회전축이 관통하는 상기 회전블록의 양면에는 링 모양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각각에는 와셔스프링이 위치하여 탄성력을 상기 회전블록의 외측으로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힌지를 구비한 스위블형 이동통신단말기.Ring-shaped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block through which the second rotary shaft penetrates, and each of the grooves has a washer spring positioned to apply elas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rotary block.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40082151A 2004-10-14 2004-10-14 A Swivel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Shafts Hinge to Control Swing Angle of LCD Part KR100622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151A KR100622248B1 (en) 2004-10-14 2004-10-14 A Swivel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Shafts Hinge to Control Swing Angle of LCD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151A KR100622248B1 (en) 2004-10-14 2004-10-14 A Swivel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Shafts Hinge to Control Swing Angle of LCD Pa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182A true KR20060033182A (en) 2006-04-19
KR100622248B1 KR100622248B1 (en) 2006-09-19

Family

ID=3714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151A KR100622248B1 (en) 2004-10-14 2004-10-14 A Swivel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Shafts Hinge to Control Swing Angle of LCD Pa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248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619A (en) * 2001-10-12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phone
KR20040040033A (en) * 2002-11-06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Stop apparatus of folder type mobile phone
KR100841306B1 (en) * 2002-12-26 200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multip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248B1 (en)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97862A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7016944A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hinge device
KR2004010045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KR100493102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with sub housing stopper
TW201306717A (en) Electrical device
EP1523155B1 (en) Swivel-type mobile terminal apparatus
JP2006220198A (en) Hinge device as well as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KR100686095B1 (en) Mobile phone and hinge module thereof
KR100622248B1 (en) A Swivel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wo Shafts Hinge to Control Swing Angle of LCD Part
EP1897233B1 (en) Portable terminal
JP4105119B2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HINGE DEVICE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JP2006332331A (en) Portable machine
JP2005023958A (en) Hinge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hinge unit
US20080092336A1 (en) Hinge mechanism and portable terminal
KR100474633B1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KR20050090202A (en) Key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465227B1 (en) Cover hinge mechanism of cellular phone
EP1897234B1 (en) Portable terminal
EP1887763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KR100650984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an electronic equipment
JP2005291384A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323293Y1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ommunication machine
WO201002966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96945B1 (en) 2 click hinge apparatus of folder type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