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202A - Key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Key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202A
KR20050090202A KR1020040015457A KR20040015457A KR20050090202A KR 20050090202 A KR20050090202 A KR 20050090202A KR 1020040015457 A KR1020040015457 A KR 1020040015457A KR 20040015457 A KR20040015457 A KR 20040015457A KR 20050090202 A KR20050090202 A KR 20050090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key
pin
fo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4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식
송현명
김홍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202A/en
Publication of KR2005009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20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4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adapted to operate on crane or bridge structure of particular configuration, e.g. on reinforced concrete girders of rectangular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28Cranes on rails or on 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메뉴 및 작동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키를 신속하게 선택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키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휠 하우징과, 상기 휠 하우징에 상, 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휠 키와, 상기 휠 키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휠 축을 제공하고, 상기 휠 키를 상기 휠 하우징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휠 샤프트와, 상기 휠 키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휠 하우징에서 상기 휠 키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차단하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그 핀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단말기의 메뉴 및 작동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키를 신속하게 선택 및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포그 핀을 구비하여 회전에 따른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promptly select and confirm keys for performing menu and operation mode functions of the termina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keys. A wheel housing having a connection terminal, a wheel key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housing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to rotate about a wheel axis, and penetra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a center of the wheel key to provide the wheel axis; And a wheel shaft configured to rotate the wheel key in the wheel housing and a lengthwise direction in the wheel key, the wheel ke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erminal as the wheel key is rotated in the wheel housing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nsists of at least one fog pin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to turn on or off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quickly select and confirm the keys for performing the menu and operation mode functions of the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product as well as providing a feeling of clicking due to a fog pi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mproved.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KEY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Key input device of mobile terminal {KEY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메뉴 및 작동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키를 신속하게 선택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한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input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key input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to promptly select and confirm a key for performing a menu and an operation mode function of the terminal.

통상적으로, 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무선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무선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들은 필수적으로 안테나 장치, 데이터 입출력 장치,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 물론,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는 주로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데이터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터치 패드나 터치 스크린이 사용되기도 한다.Typically, a bar-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a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and a flip-type wireless terminal means that a flip or cover is rotatably configured by a hinge device in a bar-type housing, and a folder-type By wireless terminal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s configured in a folding manner by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to a single bar-shaped housi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essentially have an antenna device, a data input / output device, and a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Of course, the data input device is commonly used as a keypad for inputting data mainly by a finger pressing operati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is also used.

기본적으로 데이터 입력을 위해서는 사용하는 키패드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키들은 통화시작버튼인 센드(SND) 키, 취소 키, 수정 키(CLR), 숫자 키, 문자 키, 엔드(END) 키, 기능 키, 전원(PWR) 키 등으로 구성된다.Basically, the keypad used for data input consists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These keys are composed of a call start button (SND) key, a cancel key, a modification key (CLR), a numeric key, a letter key, an end (END) key, a function key, a power (PWR) key, and the like.

상기 키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본체(1)와 폴더(2)로 나누어진다. 상기 본체(1)에는 키버튼(1a)과 4방향 조정키(1b) 및 마이크(1c)가 장착된다. 상기 폴더(2)에는 액정표시부(2a)와 스피커(2b)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1)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와 폴더(2)사이에 힌지 장치(3)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1) 상단에는 안테나(4)가 제공된다.Looking at the structur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key, as follows. 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conventional foldable portable terminal is divided into a main body 1 and a folder 2. The main body 1 is equipped with a key button 1a, a four-way adjustment key 1b and a microphone 1c. The folder 2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2a and a speaker 2b. A hinge device 3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folder 2 so as to be rotatable upward from the main body 1. An antenna 4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body 1.

상기 키버튼(1a)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하좌우 형태로 이루어진 4방향 조정키(1d)가 구비되어 있다.Four-way adjustment key (1d)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to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with the key button (1a) is provided.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키버튼과 4방향 조정키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메뉴의 다양한 작동 모드 기능에 따라 선택에서 확인까지 복잡하게 이루어진 버튼을 찾아서 누르는 동작 과정이 쉽지 않을뿐아니라, 또한 신속하게 변경할 경우에는 버튼이 제공된 위치로 이동하여 눌려야 함으로 동작이 느리고, 신속한 기능 전환의 조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key button and the four-way control key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main body is not only an easy operation process for finding and pressing a complicated button from selection to confirmation according to various operation mode functions of the menu. In the case of quick change, the operation is slow because the button has to be moved to a provided positio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of the quick function switching is impossible.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의 메뉴에서 작동 모드 기능의 선택 및 확인 까지의 신속한 모드 전환이 어렵고, 이로인해 키버튼 기능에 따른 빠른 모바일 인터넷 검색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quickly switch the mode from the menu of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to the selection and confirmation of the operation mode function, and thu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ast mobile Internet search is not possible according to the key button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상, 하 회전이 가능한 휠 키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의 메뉴 및 작동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키의 이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wheel key that can be rotated up and down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key of performing the menu and operation mode functions of the termin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so as to move quick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상, 하 회전이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돔 스위치를 구비하여 좌,우 운동을 할 수 있는 휠 키를 구성함으로써, 키의 작동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key capable of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key by configuring a wheel key capable of up and down rotation and having at least one dome switch for left and right movement. It is to provide a key input device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using a key,

다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휠 하우징;A wheel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상기 휠 하우징에 상, 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휠 키;A wheel key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housing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to rotate about a wheel axis;

상기 휠 키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휠 축을 제공하고, 상기 휠 키를 상기 휠 하우징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휠 샤프트; 및A wheel shaft longitudinally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wheel key to provide the wheel shaft, the wheel shaft being rotatable in the wheel housing; And

상기 휠 키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휠 하우징에서 상기 휠 키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차단하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그 핀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At least one fog pin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 key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to generate or block an electrical signal as the wheel keys are rotated in the wheel housing;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13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10)는 휠 하우징(20)과, 휠 키(30)와, 휠 샤프트(4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그 핀(50)으로 이루어져 있다.2 to 13, the key input device 10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wheel housing 20, a wheel key 30, a wheel shaft 40, and at least one fog pin 50. .

상기 휠 하우징(20)은 상기 각각의 포그 핀(50)에 구비된 다수의 접속단자(51a)(52a)(53a)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단말기 본체(1)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됨)에 인가하도록 다수의 연결단자(25)를 구비하고 있다. The wheel housing 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51a, 52a, 53a provided in each fog pin 50, and at the same time, an electrical signal is pri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terminal body 1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ng terminals 25 to apply to (not shown).

상기 휠 키(30)는 휠 축(A1)을 중심으로 상, 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휠 하우징(20)에 결합되어 있다.The wheel key 30 is coupled to the wheel housing 20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about the wheel axis A1.

상기 휠 샤프트(40)는 상기 휠 축(A1)을 제공하고, 상기 휠 키(30)를 상기 휠 하우징(20)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휠 키(30)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결합되어 있다.The wheel shaft 40 provides the wheel shaft A1 and is longitudinally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wheel key 30 so that the wheel key 30 is rotatable in the wheel housing 20. .

상기 각각의 포그 핀(50)은 상기 휠 키(30)를 휠 축(A1)에 의해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2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차단하도록 상기 휠 키(30)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Each of the fog pins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25 as the wheel key 30 is rotated by the wheel shaft A1 to generate or block an electrical signal. 30)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휠 하우징(20)의 양일단에는 그 사이에 상기 휠 키(30)를 결합시킴됨과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맞주보게 한쌍의 사이드 결합부(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side coupling portions 2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heel housing 20 so as to engage the wheel key 30 therebetween and to engage with each other to be rotatable.

또한, 상기 각각의 사이드 결합부(21)의 중심부에는 상기 휠 샤프트(40)에 형성된 회전돌기(41)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홀(2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rotation hole 22 is formed at the center of each side coupling portion 21 so as to be rotatably coupled with the rotation protrusion 41 formed on the wheel shaft 40.

또한, 상기 회전홀(22)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25)를 구비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홀(23)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23 are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hole 22 to include the respective connection terminals 25.

또한, 상기 각각의 단자홀(23) 사이에는 상기 각각의 포그 핀(50)에 구비된 다수의 접속단자(51a)(52a)(53a)를 이탈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착탈홈(2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etachable grooves 24 are provided between the respective terminal holes 23 so that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51a, 52a, 53a provided in the respective fog pins 50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Is formed.

또한, 상기 각각의 사이드 결합부(21)의 하단면에는 각각의 돔 스위치(70)와 접촉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돌기(26)가 더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26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side coupling part 21 to be in contact with each dome switch 70.

또한,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은 상기 착탈홈(24)에서 상기 다수의 접속단자(51a)(52a)(53a)가 이탈 및 결합시 딸깍되어 상기 휠 키(30)의 회전감을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detachable grooves 24,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51a, 52a, 53a in the detachable groove 24 is clicked when detached and coupled to feel the rotation of the wheel key 30. It is supposed to be.

또한, 상기 다수의 단자홀(23) 및 착탈홈(24)은 상기 회전홀(22)의 원주 둘레를 따라서 등각도 간격으로 제공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erminal holes 23 and the removable grooves 24 are provided at equi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hole 22.

상기 휠 키(30)는 휠측 관통홀(31)과, 핀 홀(32)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 홈(33)(34)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wheel key 30 includes a wheel side through hole 31, a pin hole 32, and at least one pin groove 33 and 34.

상기 휠측 관통홀(31)은 상기 휠 샤프트(40)를 관통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휠 키(3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wheel side through hole 3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heel key 30 so as to penetrate the wheel shaft 40.

상기 핀 홀(32)은 상기 제 1 포그 핀(51)과 관통 결합되도록 상기 휠 키(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휠측 관통홀(31)의 원주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The pin hole 3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 key 30 so as to penetrate with the first fog pin 51 and is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side through hole 31.

상기 제 1, 2 핀 홈(33)(34)은 상기 제 2 ,3 포그 핀(52)(53)과 결합되도록 상기 휠 키(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휠측 관통홀(31)의 원주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pin grooves 33 and 34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 key 30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52 and 53, and at the same time, the wheel side through holes 31 are formed. It is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또한, 상기 핀 홀(32) 및 상기 제 1, 2 핀 홈(33)(34)은 상기 휠측 관통홀(31)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에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in holes 32 and the first and second pin grooves 33 and 34 are provid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heel-side through hole 31.

상기 제 1, 2 핀 홈(33)(34)은 상기 휠 키(3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어 있다.The first and second pin grooves 33 and 34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 key 30.

또한, 상기 제 1, 2 핀 홈(33)(34)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3 포그 핀(52)(53)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칸막이(60)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artition 6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n grooves 33 and 34 to separate 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52 and 53 from each other.

상기 포그 핀(50)은 제 1, 2, 3 포그 핀(51)(52)(53)과, 포그 스프링(54)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fog pin 50 includes first, second and third fog pins 51, 52 and 53 and a fog spring 54.

상기 제 1 포그 핀(51)은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서 이탈되어 상기 연결단자(2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차단하도록 상기 휠 키(30)의 핀 홀(32)에 관통 결합되어 있다.The first fog pin 51 is detached from each of the detachable grooves 24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25 or coupled to each of the detachable grooves 24 to block the electric signal. It is penetrated by the pin hole 32 of 30.

상기 제 1 포그 핀(51)의 양일단에는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서 이탈 및 결합되도록 한쌍의 제 1 접속단자(51a)가 구비되어 있다.A pair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51a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og pin 51 so as to be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the respective detachable grooves 24.

상기 제 2 ,3 포그 핀(52)(53)은 상기 연결단자(25)와 접속에 따른 신호의 인가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2 핀 홈(33)(34)에 결합되어 서로 분리되고,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서 이탈 및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52 and 53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pin grooves 33 and 34 so as to prevent the application of a signal according to the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25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to be separated and coupled to each of the removable grooves 24.

상기 제 2, 3 포그 핀(52)(53)의 일단에는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서 이탈 및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접속단자(52a)(53a)가 구비되어 있다.One end of 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52 and 53 is provided with second connection terminals 52a and 53a to be detached from and coupled to the respective detachable grooves 24.

상기 포그 스프링(54)은 상기 휠 키(3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접속단자(51a)(52a)(53a)를 상기 휠 축(A1)방향으로 좌, 우 이동시켜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서 이탈 및 결합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각각의 포그 핀(50)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The fog spring 54 moves the connection terminals 51a, 52a, 53a left and right in the direction of the wheel axis A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key 30. Each of the fog pins 5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to provide elastic force so as to be detachable from and coupled thereto.

또한, 상기 휠 하우징(20)의 하부 좌, 우측에는 좌, 우운동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돔 스위치(70)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dome switch 70 is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heel housing 20 to enable left and right movements.

또한, 상기 휠 키(30)의 외곽 둘레에는 상기 휠 키(3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휠 키(3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엠보싱 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mbossing protrusions 35 are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heel key 3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 key 30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wheel key 30.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key input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3 as follows.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10)는 휠 하우징(20)과, 휠 키(30)와, 휠 샤프트(4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그 핀(50)으로 이루어진다.2 to 3, the key input device 10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wheel housing 20, a wheel key 30, a wheel shaft 40, and at least one fog pin 50.

이 상태에서, 상기 휠 하우징(20)의 양일단에는 상기 휠 키(30)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맞주보게 한쌍의 사이드 결합부(21)가 돌출 형성된다.In this state, at both ends of the wheel housing 20, a pair of side coupling portions 21 protrude from each other so as to engage the wheel keys 30 and to be rotatable at the same time.

상기 한쌍의 사이드 결합부(21)의 중심부에는 상기 휠 샤프트(40)와 결합되는 회전홀(2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홀(22)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25)를 구비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홀(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다수의 단자홀(23)내로 상기 연결단자(25)를 끼워 결합한다.The center of the pair of side coupling portion 21 is formed with a rotation hole 22 is coupled to the wheel shaft 40,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ry hole 22 is provided with the respective connecting terminal 25 Since 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23 are formed, the connection terminals 25 are fitted into the plurality of terminal holes 23.

이 때, 상기 각각의 단자홀(23) 사이에는 상기 각각의 포그 핀(50)에 구비된 다수의 접속단자(51a)(52a)(53a)를 이탈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착탈홈(24)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detachable grooves 24 are provided between the terminal holes 23 so as to detach and couple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51a, 52a, 53a provided in the respective fog pins 50. ) Is formed.

이 상태에서, 상기 휠 하우징(20)의 사이드 결합부(21) 사이에 상기 휠 키(3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In this state, the wheel key 30 is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side engaging portions 21 of the wheel housing 20.

이때, 상기 휠 키(30)의 중심부에는 상기 휠 키(3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휠 축(A1)을 제공하는 휠 샤프트(40)가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wheel shaft 40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wheel key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 key 30 to provide the wheel shaft A1.

상기 휠 샤프트(40)는 상기 휠 키(30)의 중심부에 형성된 휠측 관통홀(31)에 관통 결합된다.The wheel shaft 40 is penetrated through the wheel side through hole 3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heel key 30.

이 상태에서, 상기 휠 샤프트(40)의 양일단에는 상기 각각의 사이드 결합부(21) 중심부에 형성된 회전홀(22)에 결합되도록 회전돌기(4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돌기(41)를 상기 회전홀(22)에 끼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다.In this state, both ends of the wheel shaft 40, the rotary protrusion 41 is form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rotary hole 22 formed in the center of each side coupling portion 21, the rotary protrusion 41 Is coupled to the rotatable hole 22 to be rotatable.

이때, 상기 휠 키(30)에는 상기 핀 홀(32) 및 상기 제 1, 2 핀 홈(33)(34)이 상기 휠 키(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pin hole 32 and the first and second pin grooves 33 and 34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 key 30 in the wheel key 30.

상기 핀 홀(32)에는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서 이탈되어 상기 연결단자(2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서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차단하는 제 1 포그 핀(51)이 관통 결합된다.The first hole pin (32) is separated from each of the removable grooves 24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25 or coupled to each of the removable grooves 24 to block electrical signals. 51 is through-coupled.

상기 제 1 포그 핀(51)의 양일단에는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서 이탈 및 결합되도록 제 1 접속단자(51a)가 구비된다.Both ends of the first fog pin 51 are provided with first connection terminals 51a to be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the respective detachable grooves 24.

상기 제 1, 2 핀 홈(33)(34)에는 상기 제 2, 3 포그 핀(52)(53)이 끼워 결합된다.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52 and 53 are fit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pin grooves 33 and 34.

이때, 도 5와 같이, 상기 제 2 ,3 포그 핀(52)(53)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단자(2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속단자(52a)(53a)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단자(25)와 전기적으로 접속시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 1, 2 핀 홈(33)(34)사이에 형성된 칸막이(60)에 의해 막을 수 있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5, one end of 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52 and 53 is provided with second connection terminals 52a and 53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25.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when the terminal 2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25 may be prevented by the partition 60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n grooves 33 and 34.

상기 제 2 접속단자(52a)(53a)는 상기 제 2, 3 포그 핀(52)(53)의 일단에 구비된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52a and 53a are provided at one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52 and 53.

이 상태에서, 상기 휠 키(30)를 상기 휠 하우징(20)의 사이드 결합부(21) 사이에 결합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2, 3, 포그 핀(51)(52)(53)의 제 1, 2 접속단자(51a)(52a)(53a)를 상기 착탈홈(24)에 결합한다.In this state, the wheel key 30 is engaged between the side engaging portions 21 of the wheel housing 20,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second, third, fog pins 51, 52, 53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51a, 52a, 53a of the coupling to the removable groove 24.

여기서, 상기 휠 하우징(20)의 착탈홈(24) 및 연결단자(25)와 상기 휠 키(30)의 제 1 접속단자(51a)와의 전기적 접속 신호의 순서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 the order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signal between the detachable groove 24 and the connection terminal 25 of the wheel housing 20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1a of the wheel key 3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7 및 9와 같이, 상기 휠 하우징(20)에 구비된 각각의 연결단자(25)의 접지신호가 ①, ②, ③, ④라 가정하고, 상기 휠 키(30)를 상기 휠 축(A1)을 중심으로 하측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휠 하우징(20)의 착탈홈(24)에서 상기 휠 키(30)의 제 1 접속단자(51a)가 이탈됨과 동시에 상기 휠 하우징(20)의 연결단자(2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7 and 9, it is assumed that the ground signals of the respective connection terminals 25 provided in the wheel housing 20 are ①, ②, ③, ④, and the wheel key 30 is the wheel shaft A1. Rotation in the lower direction around the center,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51a of the wheel key 30 is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groove 24 of the wheel housing 20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ng terminal of the wheel housing 2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25).

도 8과 같이, 전기적 접속신호는 ① → ② → ③ → ④ → ① 순서로 이동한다. As shown in Fig. 8, the electrical connection signal is moved in the order of ① → ② → ③ → ④ → ①.

이때, 상기 제 1 접속단자(51a)가 회전하여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 결합되면, 전기적 신호는 차단된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1a is rotated and coupled to each of the removable grooves 24, the electrical signal is blocked.

이와 같이, 상기 휠 키(30)의 제 1 접속단자(51a)는 상기 휠 하우징(20)의 착탈홈(24)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연결단자(2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착탈홈(24)에 결합되면, 상기 전기적 신호를 차단한다.As su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1a of the wheel key 30 is detached from the detachable groove 24 of the wheel housing 2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25, and the detachable groove 24 is provided. ), The electrical signal is blocked.

또한, 도 7 및 11과 같이, 상기 휠 키(30)를 역으로 상기 휠 축(A1)을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0과 같이, 상기 제 1 접속단자(51a)와 상기 휠 하우징(20)의 각각의 연결단자(25)와의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이 전기적 접속신호는 ① → ④ → ③ → ② → ① 순서로 이동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and 11, when the wheel key 30 is rotated in an upward direction about the wheel axis A1 in reverse,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1a and the wheel hous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connection terminal 25 of (20), this electrical connection signal is moved in the order ① → ④ → ③ → ② → ①.

이와 같이 상기 휠 키(30)의 회전방향에 따른 상기 제 1 포그 핀(51)의 제 1 접속단자(51a)와 휠 하우징(20)의 연결단자(25)와의 전기적 접속신호를 단말기본체(1)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됨)으로 인가하고, 이때,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1)의 작동 모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terminal body 1 receives an electrical connection signal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51a of the first fog pin 51 and the connecting terminal 25 of the wheel housing 2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wheel key 30. Is appli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wherein the user can select an operation mode function of the terminal body 1.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휠 하우징(20)의 하부 좌, 우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돔 스위치(7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휠 하우징(20)의 좌, 우운동을 하여 누르면, 상기 돔 스위치(70)내에 구비된 접점부(미도시 됨)가 접속되어 접점 동작에 의한 전기적 신호를 마찬가지로 상기 단말기 본체(1)내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됨)으로 인가한다. 12 and 13, since at least one dome switch 70 is provid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heel housing 20,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wheel housing 20 are pressed to press the dome. A contact portion (not shown) provided in the switch 70 is connected to apply an electrical signal by contact operation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in the terminal body 1 as well.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제 1 포그 핀(51)의 제 1 접속단자(51a)는 상기 휠 키(30)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서 이탈되어 상기 연결단자(2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다수의 착탈홈(24)에 결합될 경우 상기 전기적 접속이 끊긴 상태가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1a of the first fog pin 51 is detached from each of the detachable grooves 24 as the wheel key 30 rotates, and thus the connection terminal 25 is used. )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when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etachable grooves 24,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lost.

이와 같이, 상기 제 1 접속단자(51a)가 상기 다수의 착탈홈(24)에서 이탈 및 결합시 딸깍거리는 느낌을 주어 상기 휠 키(30)의 회전감을 상승시킨다.As suc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51a gives a feeling of a click when detached from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detachable grooves 24 to increase the rotational feeling of the wheel key 30.

이때, 상기 휠 키(30)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제 1 포그 핀(51)의 맞은편에 구비된 제 2 ,3 포그 핀(52)(53)도 마찬가지로 상기 휠 키(30)의 휠 축(A1)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한다.At this time, as the wheel key 30 rotates, 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52 and 53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fog pin 51 also have the wheel shaft of the wheel key 30 ( Rotate together around A1).

이때, 상기 제 2, 3 포그 핀(52)(53)의 일단에는 제 2 접속단자(52a)(53a)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접속단자(52a)(53a)는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서 이탈되어 상기 휠 하우징(20)의 연결단자(2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In this cas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52a and 53a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52 and 53,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52a and 53a are respectively detachable grooves ( Departure from the 24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erminal 25 of the wheel housing (20).

이때, 상기 제 2, 3 포그 핀(52)(53)은 상기 휠 키(30)의 제 2, 3 핀 홈(33)(34) 사이에 형성된 칸막이(60)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상기 제 2 접속단자(52a)(53a)와 상기 연결단자(25)와의 전기적 접속에 따른 신호 전달을 막을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52 and 5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artition 60 form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pin grooves 33 and 34 of the wheel key 30. Signal transmission due to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52a and 53a and the connection terminal 25 can be prevented.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3 포그 핀(52)(53)의 제 2 접속단자(52a)(53a)는 상기 착탈홈(24)에서 이탈 및 결합되어 상기 휠 키(30)의 회전감을 증진시킨다.Here to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s 52a and 53a of 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52 and 53 are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the detachable groove 24 to enhance the rotational feeling of the wheel key 30.

도 5와 같이, 상기 각각의 포그 핀(50)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휠 키(30)의 회전에 따라서 각각의 상기 접속단자(51a)(52a)(53a)를 상기 휠 축(A1)방향으로 좌, 우 이동시켜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시커거나 상기 각각의 착탈홈(24)에서 이탈 및 결합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포그 스프링(54)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5, each of the connection terminals 51a, 52a, 53a in the direction of the wheel axis A1 is disposed in the body of each fog pin 5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key 30. A fog spring 54 is provided to move left and right to electrically connect with each of the connection terminals or to provide elastic force to be detachable from and coupled to each of the detachable grooves 24.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key input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예를 들어, 본 발명을 폴더형 단말기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휴대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o a foldable terminal, and can be applied to all portable terminal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에 의하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ey input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단말기에 상, 하방향으로 회전 및 좌, 우 운동이 가능한 휠 키를 구비함으로써, 단말기의 메뉴 및 작동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키를 신속하게 선택 및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포그 핀을 구비하여 회전에 따른 클릭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wheel key that can be rota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quickly select and confirm a key that performs the menu and operation mode functions of the terminal,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for use of the product. In addition to having a fog pi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click feeling according to the rotation.

도 1은 종래의 휴대 단말기 중에서 폴더형 단말기의 폴더가 열린 상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er of a folder-type terminal is open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의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ey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의 구성 중 휠 하우징과 휠 키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before coupling of a wheel housing and a wheel key of a key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의 구성 중 휠 하우징과 휠 키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a wheel housing and a wheel key in a key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의 구성 중 휠 키와 포그 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사시도,5 is a cu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wheel key and a fog pin in a key inpu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의 구성 중 휠 하우징의 착탈홈에 휠 키의 포그 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사시도,6 is a cu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g pin of a wheel key is coupled to a detachable groove of a wheel housing of a key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의 구성 중 휠 하우징과 연결단자에 휠 키의 포그 핀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절단된 사시도,7 is a cut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og pin of a wheel key is connected to a wheel housing and a connection terminal of a key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의 구성 중 휠 키를 하방향으로 회전시 연결 동작순서를 나타낸 도면,8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operation sequence when the wheel key is rotated downward in the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의 구성 중 휠 키를 하방향으로 회전시 연결 동작순서를 나타낸 측면도,9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operation sequence when the wheel key is rotated downward in the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의 구성 중 휠 키를 상방향으로 회전시 연결 동작순서를 나타낸 도면,10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operation sequence when the wheel key is rotated upward in the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의 구성 중 휠 키를 상방향으로 회전시 연결 동작순서를 나타낸 측면도,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operation sequence when the wheel key is rotated upward in the configuration of a key inpu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에 돔 스위치를 구비한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dome switch in a key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를 적용한 폴더의 열린 상태 사시도.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 state of a folder to which a key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laims (10)

키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In the data inpu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key, 다수의 연결단자를 구비한 휠 하우징;A wheel housing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상기 휠 하우징에 상, 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휠 키;A wheel key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housing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to rotate about a wheel axis; 상기 휠 키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 결합되어 상기 휠 축을 제공하고, 상기 휠 키를 상기 휠 하우징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휠 샤프트; 및A wheel shaft longitudinally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wheel key to provide the wheel shaft, the wheel shaft being rotatable in the wheel housing; And 상기 휠 키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휠 하우징에서 상기 휠 키를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차단하는 다수의 접속단자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그 핀으로 구성되어짐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At least one fog pin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 key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to generate or block an electrical signal as the wheel keys are rotated in the wheel housing; Key inpu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 하우징의 양일단에는 그 사이에 상기 휠 키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회전가능하도록 서로 맞주보게 한쌍의 사이드 결합부가 돌출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2. The key input device of claim 1, wherein a pair of side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heel housing so as to engage the wheel keys with each other and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사이드 결합부의 중심부에는 상기 휠 샤프트에 형성된 회전돌기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홀이 형성되고,The rotat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each side coupling portion to be rotatably coupled with the rotating projection formed on the wheel shaft, 상기 회전홀의 원주 둘레에는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를 구비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자홀이 형성되며,A plurality of terminal holes are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hole to include the respective connecting terminals. 상기 각각의 단자홀 사이에는 상기 포그 핀에 구비된 각각의 접속단자를 이탈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착탈홈이 형성되고,A plurality of detachable grooves are formed between each terminal hole so as to separate and couple each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fog pin. 상기 각각의 사이드 결합부의 하단면에는 각각의 돔 스위치와 접촉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At least one contact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side coupling portion to be in contact with each dome switc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자홀 및 착탈홈은 상기 회전홀의 원주 둘레를 따라서 등각도 간격으로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4. The key input device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terminal holes and the removable grooves are provided at equal angle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h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 키는, 상기 키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휠 샤프트를 관통 결합시키는 휠측 관통홀과,The wheel-side through hole of claim 1, wherein the wheel key comprises: a wheel-side through hol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key to penetrate the wheel shaft; 상기 휠측 관통홀의 원주 둘레에 상기 휠 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포그 핀과 관통 결합되는 핀 홀과, A pin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 key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side through hole and penetratingly coupled to the fog pin; 상기 휠측 관통홀의 원주 둘레에 상기 휠 키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그 핀과 결합되는 제 1, 2 핀 홈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And a first and second pin groove form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side through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 key and engaged with the fog pi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 홀 및 제 1, 2 핀홈은 상기 휠측 관통홀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에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The key input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pin holes and the first and second pin grooves are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heel-side through ho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핀 홈의 사이에는 상기 포그 핀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칸막이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6. The key input device of claim 5, wherein a partition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n grooves to separate the fog pins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 핀은, 상기 휠 키의 핀 홀에 관통 결합되고 상기 착탈홈에서 이탈되어 상기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나 상기 착탈홈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차단하는 제 1 포그 핀과,The first fog pin of claim 1, wherein the fog pin is penetrated through the pin hole of the wheel key and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groov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and coupled to the detachable groove to block an electrical signal. and, 상기 휠 키의 제 1, 2 핀 홈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단자와 접속시 신호의 인가를 막을 수 있도록 상기 칸막이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제 2, 3 포그 핀과,Second and third fog pin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pin grooves of the wheel key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artition to prevent the application of a signal when the connection terminal is connected; 상기 각각의 포그 핀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휠 키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접속단자를 좌, 우 이동시켜 상기 각각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거나 상기 착탈홈에서 이탈 및 결합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포그 스프링으로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Is provided inside the respective fog pin body to move the respective connection terminals left and right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key to electrically connect to each of the connection terminals or to be detachable and coupled to the detachable groove Key input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fog spring providing.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그 핀의 양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홈에서 이탈 및 결합되는 한쌍의 제 1 접속단자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air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which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og pin to be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removable groove, 상기 제 2, 3 포그 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홈에서 이탈 및 결합되는 제 2 접속단자로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and third fog pins to be separated from and coupled to the detachable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휠 하우징의 하부 좌, 우측에는 상기 휠 하우징의 좌, 우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돔 스위치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The key input device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dome switch is provided at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heel housing to enable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wheel housing.
KR1020040015457A 2004-03-08 2004-03-08 Key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500902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457A KR20050090202A (en) 2004-03-08 2004-03-08 Key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457A KR20050090202A (en) 2004-03-08 2004-03-08 Key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202A true KR20050090202A (en) 2005-09-13

Family

ID=37272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457A KR20050090202A (en) 2004-03-08 2004-03-08 Key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202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973B1 (en) * 2006-03-31 2007-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Wheel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four-way key stroke in portable terminal
KR100764296B1 (en) * 2006-08-23 2007-10-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wheel key
US7996050B2 (en) 2006-02-28 2011-08-0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13472B1 (en) * 2007-11-13 201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5939500A (en) * 2016-06-12 2016-09-14 东莞茂强电子科技有限公司 Rotatable combined soundbox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6050B2 (en) 2006-02-28 2011-08-09 Lg Electronics Inc.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55973B1 (en) * 2006-03-31 2007-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Wheel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four-way key stroke in portable terminal
KR100764296B1 (en) * 2006-08-23 2007-10-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wheel key
KR101413472B1 (en) * 2007-11-13 2014-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generating sig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105939500A (en) * 2016-06-12 2016-09-14 东莞茂强电子科技有限公司 Rotatable combined soundbox
CN105939500B (en) * 2016-06-12 2022-05-06 东莞精恒电子有限公司 Rotatable combined sound box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8940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6784384B2 (en) Rotation ke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EP2395732B1 (en) Rotatable user interface
KR100486611B1 (en) A personal mobile telephone haivng a LCD apparatus being capable of rotating
KR100938055B1 (en) Key inputting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403370B1 (en) User's interfacing unit for pda/telephone combination device
US20050124387A1 (en) Portable apparatus user interface
KR100790105B1 (en) Mobile phone having decoration cover used to key input apparatus
JP2002150895A (en) Switch equipment
KR100350493B1 (en) Portable folding-type radiotelephone with cone-type hinge means
US6670563B1 (en) Rotation ke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762635B1 (en) Key inputting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90202A (en) Key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30068684A (en) Key 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telephone
KR100834611B1 (en) Key input device for mobile phone
EP1843557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651523B1 (en) Direction key device for terminal
KR101042818B1 (en) Sliding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JP2002091680A (en) Switch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KR20040110827A (en) Key buttom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75653Y1 (en) Folder type Mobile phone
KR20090006599A (en) Side key input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0015391A (en) Electricity control system of liquid crystal display in Mobile phone
JP2002245902A (en) Rotating and pressing operation type electronic component with side switch
KR20050020250A (en) Navigation ke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