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614A - Ventilating system - Google Patents

Ventila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614A
KR20060032614A KR1020060026569A KR20060026569A KR20060032614A KR 20060032614 A KR20060032614 A KR 20060032614A KR 1020060026569 A KR1020060026569 A KR 1020060026569A KR 20060026569 A KR20060026569 A KR 20060026569A KR 20060032614 A KR20060032614 A KR 20060032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ct
indoor
exhaust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6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87315B1 (en
Inventor
이주연
김경환
김정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6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315B1/en
Publication of KR2006003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6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3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1Grilles fixed to walls, doors, or windows; Grilles moving with doors or windows; Walls formed as grilles, e.g. claustra
    • E06B2009/015Mount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공기 혹은, 실내오염공기를 이용하여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청정장치를 별도의 장소에 구비하지 않고, 환기시스템과 일체화시킴으로써, 종래 공기청정창치를 구비하기 위한 장소를 줄이는 것과 더불어 부가적 기능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도록 한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place to provide a conventional air cleaning window by integrating with the ventilation system, without having an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fresh air indoors using outdoor air or indoor pollution air in a separate place.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n air purifier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that can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to users by installing additional func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실외와 실내 사이에 구비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덕트; 실내와 실외 사이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급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 상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급기팬과 배기팬; 상기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급기와 배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실내공기가 실내로 재공급되는 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 사이에 구비되는 순환덕트; 및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기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supply duct is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and indoor to supply the outdoor air to the indoor; An exhaust duct provided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to exhaust indoor air to the outside; An air supply fan and an exhaust fan provided on each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air exhaust duct to generate air flow; A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uct and the air exhaust duct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supply and the air exhaust; A circulation duct provided between the exhaust duct and the air supply duct to form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supplied back to the room; And an air cleaning unit provided on the circulation passage to purify the indoor air.

환기시스템, 공기청정장치, 집진필터 Ventilation system, air cleaner, dust filter

Description

환기시스템{ventilating system}Ventilating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전열교환 방식 환기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electrothermal exchange ventilation syste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수단이 구비된 환기시스템의 전열환기 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at transfer ventil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having an air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환기 시, 공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flows during the heat transfer venti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수단이 구비된 환기시스템의 공기청정 환기 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ir cleaning ventil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provided with an air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환기 시, 실내오염공기가 순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ndoor polluted air is circulated during air cleaning venti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공기를 이용한 공기청정 환기 시, 공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flows during the air cleaning ventilation using outdoor 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환기 시, 실내오염공기가 순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ndoor polluted air is circulated during air cleaning ventil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 급기덕트 11: 급기 흡입구10: Air supply duct 11: Air supply inlet

13: 급기 배출구 15: 급기팬13: Air supply outlet 15: Air supply fan

20: 배기덕트 21: 배기 흡입구20: exhaust duct 21: exhaust inlet

23: 배기 배출구 25: 배기팬23: exhaust outlet 25: exhaust fan

100: 순환덕트 210: 제1댐퍼100: circulation duct 210: first damper

220: 제2댐퍼 310: 보조팬220: second damper 310: auxiliary fan

320: 집진부 321: 집진필터320: dust collector 321: dust filter

322: 광촉매 323: 활성탄322: photocatalyst 323: activated carbon

330: 산소 발생기 340: 향 발생기330: oxygen generator 340: fragrance generator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공기를 이용하거나 실내오염공기를 이용하여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system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that can provide fresh air to the room using outdoor air or indoor polluted air.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주어야 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환기시스템이다.The air in an enclosed space increases the carbon dioxide content over time due to the breathing of living things, which interferes with the breathing of living things. Therefore, if many people stay in a narrow space such as an office or a vehicle,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replace the indoor air with fresh air. At this time, a commonly used ventilation system.

종래에 알려진 대부분의 환기시스템은 하나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 기만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송풍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강제로 배출시킬 경우, 실내의 냉기 또는 열기가 여과 없이 외부로 배출됨과 더불어 실외의 공기가 문이나 창틈 등을 통해 열교환 없이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를 난방 및 냉방시키는데 드는 경비가 불필요하게 많이 들게 되었다.Most conventional ventilation systems adopt a method of forcibly discharging only indoor air to the outside using a single blower. However, in the case of forcibly discharging only the indoor air by using one blower,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out filtration and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without heat exchange through the door or the window gap, thereby heating and cooling the room. The cost of cooling was unnecessarily high.

또한, 갑작스런 냉기 및 열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그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특히 실내의 창문이나 문틀이 닫혀진 상태에서 실내공기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산소결핍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기의 습도조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환기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In addition, due to the sudden inflow of cold air and heat from inside to outside people suddenly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interior people there is unpleasant feelings, especially in the state that the indoor window or door frame closed to discharge only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In this case, the inflow of fresh air may be blocked and oxygen deficiency may occur, and the humidity of the indoor air is not controlled at all, and a problem of failing to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despite the ventilation system is provided. there wa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외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먼저 열교환시킨 다음 실내로 공급하는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시스템이 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otal heat exchange ventilation system is proposed in which outdoor air is first heat-exchanged with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n supplied to indoors.

도 1은 일반적인 전열교환 방식 환기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general electrothermal exchange ventilation system.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박스형태의 케이스(1) 내부에 실외공기가 실내로 안내되는 급기덕트(10)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10)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배기덕트(2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an air supply duct 10 is provided in the box-shaped case 1 to guide outdoor air to an interior, intersects with the air supply duct 1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indoor air is outdoors. Guided exhaust ducts 20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는 전열교환기(5)가 구비된다.In addition, an electric heat exchanger (5) is provided in which the outdoor air that is supplied at the point where the air supply duct 10 and the exhaust duct 20 intersect with the indoor air that is exhausted is heat-exchanged.

이 때, 상기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는 케이스(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3)에 의해 서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air supply duct 10 and the exhaust duct 20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by the partition 3 partitioning the inside of the case 1 up and down.

상기 급기덕트(10)의 일단에 실외와 연통되는 급기 흡입구(11)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급기 배출구(13)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덕트(20)의 일단에 실내와 연통되는 배기 흡입구(21)가 형성되고 타단에 실외와 연통되는 배기 배출구(23)가 형성된다.An air supply inlet 1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air supply duct 1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nd an air supply outlet 13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room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n air exhausted to communicate with the room at one end of the exhaust duct 20. An intake port 21 is formed and an exhaust outlet 23 is formed at the oth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s.

상기 급기덕트(10)의 급기 배출구 측에 실외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급기팬(15)이 구비되고, 상기 배기덕트(20)의 배기 배출구 측에 실내공기를 강제 배출하는 배기팬(25)이 구비된다.An air supply fan 15 for forcibly sucking outdoor air is provided on the air supply outlet side of the air supply duct 10, and an exhaust fan 25 for forcibly discharging indoor air is provided on the air outlet side of the exhaust duct 20. do.

한편, 상기 전열교환기(5)는 상하 모서리가 케이스(1)에 의해 지지되고 좌우 모서리가 격벽(3)에 의해 지지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그 내부에 급기덕트(10)와 연통되는 다수의 급기통로(미도시)와 상기 급기통로와 이웃하며 배기덕트(20)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통로(미도시)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eat exchanger (5) has a cube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dges are supported by the case (1) and the left and right edges are supported by the partition wall (3), and a plurality of air supply passages communicating with the air supply duct (10) therein.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exhaust passages (not shown) which are adjacent to the air supply passage and communicate with the exhaust duct 20.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급기통로와 배기통로의 경계부분에는 열전도 효율이 뛰어난 열교환막이 구비된다.Although not shown, a heat exchange membrane having excellent heat conduction efficiency is provid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이와 같이 구성된 전열교환 방식 환기시스템의 작용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total heat exchange ventila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실내공기가 어느 정도 오염되었을 때 배기팬(2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실내공기가 배기 흡입구(21)를 통해 배기덕트(20)로 유입된 다음, 전열교환기의 배기통로(5b)를 지나 배기 배출구(2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First, when indoor air is contaminated to some extent, power is supplied to the exhaust fan 25, and indoor air flows into the exhaust duct 20 through the exhaust inlet 21, and then passes through the exhaust passage 5b of the total heat exchanger.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outlet 23.

이와 동시에, 급기팬(1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신선한 실외공기가 급기 흡입구(11)를 통해 급기덕트(10)로 유입된 다음, 전열교환기의 급기통로를 지나 급기 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At the same time, the fresh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duct 10 through the air supply inlet 11 while power is supplied to the air supply fan 15, and then passes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of the heat exchanger 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outlet 13. Inflow.

이 때, 상기 전열교환기(5)를 지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열교환막을 통해 열교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5) exchange heat through the heat exchange membrane.

이 과정을 상술하면, 상기 전열교환기(5)에서 일어나는 열교환은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 사이에 일어나는 현열교환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 중 고온의 공기가 노점온도(dew point temp.) 이하의 상태가 되면서 생성된 응축수에 의한 잠열교환으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heat exchange occurring in the total heat exchanger 5 includes sensible heat exchange occurring between the outdoor air to be supplied and the indoor air to be exhausted, and the hot air of the indoor or outdoor air is dew point temp. It becomes the latent heat exchange by the condensate produced | generated while being in the following states.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 방식 환기시스템의 경우 실내가 냉방 또는 난방 분위기일 때 급기되는 실외공기가 실내공기와 1차적으로 열교환된 다음 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실내온도의 급격한 상승이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total heat exchange ventilation system, the outdoor air supplied when the room is in a cooling or heating atmosphere is primarily heat-exchanged with the indoor air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room, thereby preventing a sudden rise or fall of the room temperature. Can be.

그러나, 종래 환기시스템의 일반환기 시, 실외공기가 실내로 공급될 경우, 실내공기와 다른 온도의 실외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실내의 냉방 혹은, 난방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general ventilation of the conventional ventilation system, when the outdoor air is supplied to the roo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door air cooling or heating effect is lowered by the inflow of outdoor air at a temperature different from the indoor air.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내오염공기를 가지고 환기를 요하는 공기청정장치(미도시)가 별도로 실내에 구비해야만 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air cleaning device (not shown) that requires ventilation with indoor polluted air had to be provided separately in the room.

이로 인해, 상기 공기청정장치가 구비되는 공간이 불필요하게 제공됨과 더불어 설치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provided with the air cleaning device is unnecessarily provided and the installation cost is high.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실외공기 혹은, 실내오염공기를 이용하여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청정장치를 별도의 장소에 구비하지 않고, 환기시스템과 단순히 일체화시킴으로써, 종래 공기청정창치를 구비하기 위한 장소를 줄이는 것과 더불어 부가적 기능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도록 한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by simply integrating with the ventilation system without having an air cleaning device for providing fresh air indoors using outdoor air or indoor polluted air in a separate place. 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that can create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the user by additionally installing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reducing the place for the conventional air cleaning wind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실외와 실내 사이에 구비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덕트; 실내와 실외 사이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덕트; 상기 급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 상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급기팬과 배기팬; 상기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급기와 배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실내공기가 실내로 재공급되는 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 사이에 구비되는 순환덕트; 및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기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supply duct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and the indoor to supply the outdoor air to the indoor; An exhaust duct provided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to exhaust indoor air to the outside; An air supply fan and an exhaust fan provided on each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air exhaust duct to generate air flow; A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uct and the air exhaust duct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supply and the air exhaust; A circulation duct provided between the exhaust duct and the air supply duct to form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supplied back to the room; And an air cleaning means provided on the circulation passage to purify the indoor air.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 2 내지 7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referring an accompanying drawing.

참고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과 일치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종래 도면부호를 그대로 인용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prior to describ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of the prior art reference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referred to.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수단이 구비된 환기시스 템의 전열환기 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열환기 시, 공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First,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othermal ventil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provided with the air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re-heating venti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ate which air flows.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수단이 구비된 환기시스템의 공기청정 환기 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환기 시, 실내오염공기가 순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Next,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ir cleaning ventilation of the ventilation system equipped with an air clean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air cleaning venti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indoor polluted air is circulated.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공기를 이용한 공기청정 환기 시, 공기가 유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 환기 시, 실내오염공기가 순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And,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flows when the air cleaning ventilation using outdoor 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air cleaning ventil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indoor polluted air is circulated.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은 크게 급기덕트(10), 배기덕트(20), 열교환기로서 특히 전열교환기, 순환덕트(100), 개폐수단 그리고, 공기청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air cleaning device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the air supply duct 10, exhaust duct 20, heat exchanger, especially heat exchanger, circulation duct ( 100), opening and closing means, and air cleaning means.

상기 급기덕트(10)는 실외와 실내 사이에 구비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급기덕트는 일단이 실외에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실내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The air supply duct 10 is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and the indoor to perform the function of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indoor.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air supply duct is installed outdoors,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indoor.

여기서, 상기 급기덕트(10)의 실외측 부위에는 실외공기를 급기통로로 공급하는 급기 흡입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실내측과 연통된 부위에는 상기 급기통로에 공급된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 배출부(13)가 형성된다.Here, the air supply suction part 11 for supplying outdoor air to the air supply passage is formed in the outdoor side portion of the air supply duct 10, and the outdoor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passage in the indoor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side The air supply discharge part 13 which supplies is formed.

또한, 상기 급기덕트(10) 상에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급기팬(15)가 구비되며, 상기 급기팬은 보다 구체적으로 실외공기를 실내로 강제 흡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an air supply fan 15 is provided on the air supply duct 10 to flow air, and the air supply fan more specifically performs a function of forcibly suck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상기 배기덕트(20)는 실내와 실외 사이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기덕트는 일단이 상기 실내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실외에 설치되어 상기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물론, 여기서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는 오염된 실내공기인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The exhaust duct 20 is provided between the indoor and the outdoor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More specifically, the exhaust duct is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oom,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to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the outside. Of course,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will be most of the contaminated indoor air.

여기서, 상기 배기덕트(20)와 상기 실내와 연통된 부위에는 상기 실내오염공기를 배기통로로 배출하는 배기 흡입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덕트(20)의 실외측 부위에는 상기 배기통로로 배출된 상기 실내오염공기를 상기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 배출구(23)가 형성된다.Here, the exhaust duct 20 and the part in communication with the room is formed with an exhaust suction portion 21 for discharging the indoor polluted air into the exhaust passage, the outdoor side of the exhaust duct 20 is the exhaust passage An exhaust outlet 23 for discharging the indoor polluted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또한, 상기 배기덕트(20) 상에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배기팬이 구비될 것이며, 상기 배기팬은 보다 구체적으로 실내오염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an exhaust fan for flowing air may be provided on the exhaust duct 20, and the exhaust fan more specifically performs a function of forcibly discharging indoor polluted air to the outside.

상기 열교환기(5)는 상기 급기덕트(10)로 공급되는 실외공기와 상기 배기덕트(20)로 배출되는 실내오염공기간의 열교환을 위해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에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는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열교환기임이 바람직하다.The heat exchanger 5 is provided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outdoor air supplied to the air supply duct 10 and the indoor pollution air discharged to the exhaust duct 20. The heat exchanger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uct 10 and the exhaust duct 20. More specifically, the heat exchanger may be provided at a point where the air supply duct 10 and the exhaust duct 20 cross each other. Here, the heat exchanger is preferably a total heat exchanger in order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그리고, 상기 순환덕트(100)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실내 측의 배기덕트 및 급기덕트 사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순환덕트의 유로 길이를 줄임과 동시에 열교환기를 거치는 과정에서의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circulation duct 100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exhaust duct and the air supply duct of the room side based on the heat exchanger. That is, to reduce the energy loss in the process of go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while reducing the flow path length of the circulation duct.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덕트(100)은 일단은 상기 급기 배출구측의 급기덕트(1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타단은 배기 흡입구측의 배기덕트(2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실내오염공기가 상기 급기덕트(10)와 배기덕트(20)를 통해 다시 실내로 재 공급되도록 구비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circulation duct 100 is connected at one en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supply duct 10 on the air supply outlet sid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air exhaust duct 20 on the exhaust inlet port side. Through the air supply duct 10 and the exhaust duct 20 is provided to be supplied back to the room.

이 때, 상기 실내오염공기가 순환덕트(100)를 통하여 실내로 재 공급되도록 함과 더불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 및 실내오염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상기 순환덕트(100)의 양측 부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door polluted air is re-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circulation duct 1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utdoor air flow into the room and the indoor pollu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the circulation duct (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in both site | parts of 100).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은 제1댐퍼(210)와 제2댐퍼(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cludes a first damper 210 and a second damper 220.

여기서, 상기 제1댐퍼(210)는 상기 배기덕트(20)와 상기 순환덕트(100)가 연통된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20) 혹은, 순환덕트(1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Here, the first damper 210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exhaust duct 20 and the circulation duct 1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exhaust duct 20 or the circulation duct 100.

그리고, 상기 제2댐퍼(220)는 상기 급기덕트(10)와 상기 순환덕트(100)가 연통된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급기덕트(10) 혹은, 순환덕트(100)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The second damper 220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air supply duct 10 and the circulation duct 1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air supply duct 10 or the circulation duct 100.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청정수단이 상기 순환덕트(100) 상에 구비된 것이 제시된다.In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hat the air cleaning means is provided on the circulation duct (100).

여기서, 상기 공기청정수단은 보조팬(310)과 집진부(320)로 이루어진다.Here, the air cleaning means is composed of an auxiliary fan 310 and the dust collector 320.

상기 보조팬(310)은 상기 순환덕트(100)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실내오염공기의 급기량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써, 쾌속한 공기 청정 환기 시, 사용된다.The auxiliary fan 310 is provided to be able to change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indoor polluted ai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duct 100, it is used during rapid air clean ventilation.

그리고, 상기 집진부(320)는 실내 오염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집진필터(321)와, 광촉매(322)와, 활성탄(323)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dust collecting unit 320 is provided to purify the indoor polluted air, and is composed of a dust collecting filter 321, a photocatalyst 322, and activated carbon 323.

여기서, 상기 집진부(320)는 집진필터(321)와, 광촉매(322)와, 활성탄(323)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dust collecting part 320 is composed of a dust collecting filter 321, a photocatalyst 322, and activated carbon 323.

여기서, 상기 집진필터(321)는 상기 실내오염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을 걸러내기 위해 구비된 것이고, 상기 광촉매(322) 및 활성탄(323)은 강한 흡착성을 지닌 탄소질의 물질로써, 상기 실내오염공기에 포함된 냄새 등을 흡수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Here, the dust collecting filter 321 is provided to filter the dust contained in the indoor polluted air, the photocatalyst 322 and activated carbon 323 is a carbonaceous material having a strong adsorption, the indoor polluted air It is provided to absorb the smell contained in.

그리고,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집진필터(321)로 집진 성능이 좋은 헤파, 혹은 울파 필터가 사용되는 것이 제시된다.In addition, in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that the HEPA or WULPA filter having good dust collection performance is used as the dust collecting filter 321.

여기서, 상기 헤파(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or: HEPA)필터 자체의 정화효율은 0.3마이크론 보다 크거나 같은 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입자를 99.97% 제거할 수 있다.Here, the purification efficiency of the HEPA filter itself may remove 99.97% of particles such as dust, bacteria, and viruses greater than or equal to 0.3 micron.

또한, 이보다 한 단계 높은 울파(Ultra Low Penetration Absolute: ULPA)필터 헤파필터의 0.3마이크론(micron) 집진 효능 범위에 비교해볼 때, 울파필터의 효 능범위는 0.1~0.01마이크론으로 까지 규정된 것으로써, 미세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비듬, 곰팡이, 꽃가루, 라돈 붕괴산물, 각종 매연 등의 입자를 99.999% 정도까지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mpared to the 0.3 micron dust collection efficiency range of the Ultra Low Penetration Absolute (ULPA) filter HEPA filter, the efficiency range of the ULPA filter is defined to 0.1 to 0.01 micron. It can remove up to 99.999% of particles such as fine dust, viruses, bacteria, dandruff, mold, pollen, radon decay products and various soot.

그러므로 인하여, 상기 헤파 혹은, 울파필터를 사용하여 상기 실내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urify the indoor polluted air using the HEPA or WULPA filter.

또한, 상기 공기청정수단(300)에는 상기 실내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산소 발생기(3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ir cleaning means 30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oxygen generator 330 for supplying oxygen to the room.

이는, 상기 실내에 산소 부족 현상이 발생될 경우, 상기 산소 발생기(330)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에 부족분의 산소를 공급해주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When the oxygen shortage occurs in the room, the oxygen generator 330 is provided to supply the oxygen of the shortage to the room.

또한, 상기 공기청정수단(300)에는 상기 실내에 향을 공급해주는 향 발생기(3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ir cleaning means 30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ragrance generator 340 for supplying incense to the room.

이는, 상기 실내에 향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This is provided to supply incense to the room.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전열환기 시, 공기청정 환기 시로 나누어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air cleaning device-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by dividing each into electri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leaning ventilation.

먼저, 여름 혹은, 겨울철인 상기 실외공기와 실내 공기의 온도차가 큰 계절에 사용되는 전열환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Firs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heat transfer ventilation used in the season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in summer or winter is large as follows.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환기시에는 상기 급기덕트(10) 상에 구비된 제2댐퍼(220)를 개방하여, 외부공기를 상기 급기덕트(10)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during the heat transfer ventilation, the second damper 220 provided on the air supply duct 10 is opened to supply external air 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duct 10. .

이 때, 급기 덕트를 개방한 제2댐퍼(220)는 상기 급기덕트(10)와 연통된 순환덕트(100)의 일측을 차단하여, 실외공기가 순환덕트(100) 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damper 220 which opens the air supply duct blocks one side of the circulation duct 100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pply duct 10, thereby preventing outdoor air from flowing onto the circulation duct 100. .

이 때, 상기 급기덕트(10) 상에 구비된 급기팬(15)이 가동된다.At this time, the air supply fan 15 provided on the air supply duct 10 is operated.

이와 더불어, 상기 실내로 공급된 상기 실외공기가 상기 실내에서 유동된 후, 실내오염공기로 변했을 경우, 상기 배기덕트(20)를 통하여 상기 실내오염공기를 상기 실외로 배출시킨다.In addition, after the outdoor air supplied to the room is flowed in the room, when the indoor air is changed into indoor polluted air, the indoor pollu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through the exhaust duct 20.

이 때, 상기 제1댐퍼(210)는 배기덕트(20)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순환덕트(100)를 차단하여, 실내오염공기가 상기 순환덕트(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first damper 210 blocks the circulation duct 100 while the exhaust duct 20 is open, thereby preventing indoor pollution air from entering the circulation duct 100.

이 때, 상기 배기덕트(20) 내에 구비된 배기팬(25)이 가동된다.At this time, the exhaust fan 25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20 is operated.

여기서, 상기 배기덕트(20)와 급기덕트(10)가 교차되는 부위에 구비된 전열교환기(5)로부터 급기덕트(10)를 통해 공급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덕트(20)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오염공기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Here, the indoor pollution discharged through the outdoor air and the exhaust duct 20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duct 10 from the total heat exchanger 5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exhaust duct 20 and the air supply duct 10.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takes place.

이와 같이하여, 상기 공기청정장치 일체형 환기시스템의 전열환기 시,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In this way, during the heat transfer ventilation of the air cleaning device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the operation is made.

다음, 실내오염공기를 이용한 공기청정 환기 시,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Next, when the air cleaning ventilation using indoor polluted air, the operation proces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 환기 시에는 상기 실내오염공기가 실내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순환덕트(100)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일반환기 시, 차단되었던 제1댐퍼(210)를 개방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5, during the air cleaning ventilation, the indoor pollut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room, so that the flow to the circulation duct 100, the first damper 210 was blocked during the general ventilation, Open).

이 때, 상기 순환덕트(100)를 개방한 제1댐퍼(210)는 상기 배기덕트(20)를 차단하여, 상기 실내오염공기가 상기 배기덕트(2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first damper 210 which opens the circulation duct 100 blocks the exhaust duct 20 to prevent the indoor polluted ai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exhaust duct 20.

이와 더불어, 일반환기 시, 상기 급기덕트(10)와 연통된 순환덕트(100) 부위를 차단하였던 제1댐퍼(210)를 개방하여, 상기 실내오염공기가 실내로 재 공급되도록 하고, 순환덕트(100)를 개방시킨 제1댐퍼(210)는 급기덕트(10)를 차단하여, 상기 실내오염공기가 급기덕트(10) 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during the general ventilation, by opening the first damper 210, which cut off the circulating duct 100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pply duct 10, the indoor pollution air is supplied back to the room, the circulation duct ( The first damper 210 having the opening 100 blocks the air supply duct 10 to prevent the indoor pollution air from flowing onto the air supply duct 10.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변경이 되면, 상기 순환덕트(100) 상으로 상기 실내오염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공기청정수단을 걸쳐 실내로 재 순환된다.When the configuration is changed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polluted air flows into the circulation duct 100 and is recirculated into the room over the air cleaning means.

이 때, 상기 순환유로(200)로 유동된 실내오염공기는 상기 집진부(320)의 집진필터(321), 광촉매(322), 활성탄(323)을 지나면서 깨끗한 공기로 변화되어 상기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indoor polluted air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200 is changed into clean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filter 321, the photocatalyst 322, and the activated carbon 323 of the dust collecting part 320 and supplied to the room. will be.

한편, 상기 사용자가 공기청정 시, 쾌속 환기를 원할 경우, 상기 공기청정수단(300)에 구비된 보조팬(310)을 작동시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 량을 조절할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rapid ventilation during air cleaning, by operating the auxiliary fan 310 provided in the air cleaning means 30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room.

또한, 상기 실내의 공기 상태에 따라, 상기 실내에 산소가 부족할 경우, 상기 산소 발생기(330)를 가동하여 상기 실내에 산소를 공급해준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door air condition, when oxygen is insufficient in the room, the oxygen generator 330 is operated to supply oxygen to the room.

또한, 상기 실내에 쾌적한 냄새를 제공해주기 위해, 상기 향 발생기(340)를 가동하여 상기 실내에 향을 공급해준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pleasant smell to the room, the fragrance generator 340 is operated to supply the fragrance to the room.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and 7 illustrat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청정수단이 상기 급기 흡입구측의 급 기덕트(10) 상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leaning means is provided on the air supply duct 10 of the air supply inlet sid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동일 내용의 설명은 재차 피하기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ntents described above in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avoided again.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청정수단이 상기 순환덕트(100) 상에 구비되는 것이 제시됐으나,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수단이 상기 급기 흡입구측의 급기덕트(10) 상에 구비되는 것이다.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leaning means is provided on the circulation duct 100, but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air cleaning means is the air supply It is provided on the air supply duct 10 on the suction port side.

이는, 상기 공기청정수단이 상기 급기덕트(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공기를 이용한 공기청정 환기를 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실내오염공기를 이용한 공기청정 환기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air cleaning means is provided on the air supply duct 10 to allow air cleaning ventilation using the outdoor air, and to enable air cleaning ventilation using the indoor polluted ai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공기를 이용한 공기청정 환기 시에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air cleaning ventilation using outdoor 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 환기 시에는 상기 급기덕트(10)와 순환덕트(100)가 연통된 부위에 구비된 제2댐퍼(220)를 개방하여, 외부공기를 상기 급기덕트(10)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6, during the air cleaning ventilation, the second air damper 220 provided in the site where the air supply duct 10 and the circulation duct 100 is in communication, the outside air is supplied to the air supply Supply to the room through the duct (10).

이 때, 급기 덕트를 개방한 제2댐퍼(220)는 상기 급기덕트(10)와 연통된 순환덕트(100)의 일측을 차단하여, 실외공기가 순환덕트(100) 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damper 220 which opens the air supply duct blocks one side of the circulation duct 100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supply duct 10, thereby preventing outdoor air from flowing onto the circulation duct 100. .

이 때, 상기 급기덕트(10) 상에 구비된 급기팬(15)이 가동된다.At this time, the air supply fan 15 provided on the air supply duct 10 is operated.

이와 더불어, 상기 실내로 공급된 상기 실외공기가 상기 실내에서 유동된 후 , 실내오염공기로 변했을 경우, 상기 배기덕트(20)를 통하여 상기 실내오염공기를 상기 실외로 배출시킨다.In addition, after the outdoor air supplied to the room flows in the room, when the indoor air is changed into indoor polluted air, the indoor pollu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through the exhaust duct 20.

이 때, 상기 제1댐퍼(210)는 배기덕트(20)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순환덕트(100)를 차단하여, 실내오염공기가 상기 순환덕트(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first damper 210 blocks the circulation duct 100 while the exhaust duct 20 is open, thereby preventing indoor pollution air from entering the circulation duct 100.

이 때, 상기 배기덕트(20) 내에 구비된 배기팬(25)이 가동된다.At this time, the exhaust fan 25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20 is operated.

여기서, 상기 배기덕트(20)와 급기덕트(10)가 교차되는 부위에 구비된 전열교환기(5)로부터 급기덕트(10)를 통해 공급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덕트(20)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오염공기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진다.Here, the indoor pollution discharged through the outdoor air and the exhaust duct 20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duct 10 from the total heat exchanger 5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exhaust duct 20 and the air supply duct 10.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takes place.

상기 열교환이 이루어진 상기 실외공기는 상기 공기청정수단을 지나면서 신선하고 깨끗한 공기로 정화되어 상기 실내로 공급된다.The outdoor air that has undergone the heat exchange is purged with fresh and clean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air cleaning means and supplied to the room.

이 때도, 상기 사용자가 공기청정 환기 시, 쾌속 환기를 원할 경우, 상기 공기청정수단(300)에 구비된 보조팬(310)을 작동시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가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rapid ventilation during the air cleaning ventilation, by operating the auxiliary fan 310 provided in the air cleaning means 30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room.

또한, 상기 실내의 공기 상태에 따라, 상기 실내에 산소가 부족할 경우, 상기 산소 발생기(330)를 가동하여 상기 실내에 산소를 공급해준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indoor air condition, when oxygen is insufficient in the room, the oxygen generator 330 is operated to supply oxygen to the room.

또한, 상기 실내에 쾌적한 냄새를 제공해주기 위해, 상기 향 발생기(340)를 가동하여 상기 실내에 향을 공급해준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pleasant smell to the room, the fragrance generator 340 is operated to supply the fragrance to the room.

다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오염공기를 통한 공기청정 환기 시는 상기 일 실시예에서 제시된 방법과 동일하며, 그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Next, the air cleaning ventilation through the indoor polluted 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method presented in the embodiment, the structure is as shown in FI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환기시스템과 일체로 공기청정수단이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위치에 공기청정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전열환기 및 공기청정 환기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ir cleaning means integrally with the ventilation system,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electively perform the heat transfer ventilation and air cleaning ventilation, without having to install an air cleaning device in a separate position.

즉, 단순히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교환하는 환기시스템이 아닌 교환되는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에너지 손실을 절감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열교환 환기시스템과 일체로 공기청정장치가 구비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두 가지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exchanged air instead of simply the ventilation system for exchanging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reduces the energy loss, and is provided with an air cleaning device integrated with the heat exchange ventilation system that can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he system has the effect of combining two functions.

상기 환기시스템에 상기 공기청정수단이 구비됨에 따른 효과를 제시하면 이하와 같다.Presenting the effect of the air cleaning means is provided in the ventilation system as follows.

먼저, 상기 공기청정수단이 상기 환기시스템에 구비됨으로써, 종래 공기청정장치를 실내에 별도록 설치하기 위한 불필요한 공간이 확보되는 효과를 가진다.First, since the air cleaning means is provided in the ventilation system, an unnecessary space for separately installing the conventional air cleaning device is secured.

또한, 상기 공기청정수단에 구비된 집진필터를 헤파(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or: HEPA)필터, 혹은 울파 (Ultra Low Penetration Absolute: ULPA)필터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실내오염공기 즉, 미세 먼지, 바이러스, 박테리아, 비듬, 곰팡이, 꽃가루, 라돈 붕괴산물, 각종 매연 등을 99%이상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by using the dust collection filter provided in the air cleaning means as a HEPA filter or Ultra Low Penetration Absolute (ULPA) filter, the indoor pollution air, that is, fine dust, viruses, bacteria It has the effect of purifying 99% or more of dandruff, mold, pollen, radon decay products, and various soot.

그리고, 상기 공기청정수단에 상기 보조팬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집진필터를 통과하는 실내오염공기의 급기량을 조절 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쾌속한 환기를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nd, by providing the auxiliary fan in the air cleaning mean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ir supply amount of the indoor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filter, and has the effect of performing rapid ventilation.

마지막으로, 상기 공기청정수단에 산소발생기가 구비됨으로써, 실내에 부족한 산소를 제공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공기청정수단에 향 발생기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실내에 향을 공급해 줄 수도 있다.Finally, by providing the oxygen generator in the air cleaning means, it can have an effect that can provide insufficient oxygen in the room, by being provided with a fragrance generator in the air cleaning means,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fragrance to the room.

Claims (9)

실외와 실내 사이에 구비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덕트;An air supply duct provided between the outdoor and the indoor to supply outdoor air to the indoor; 실내와 실외 사이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덕트;An exhaust duct provided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to exhaust indoor air to the outside; 상기 급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 상에 각각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급기팬과 배기팬;An air supply fan and an exhaust fan provided on each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air exhaust duct to generate air flow; 상기 급기덕트 및 배기덕트와 연결되어 급기와 배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A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uct and the air exhaust duct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supply and the air exhaust; 상기 실내공기가 실내로 재공급되는 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급기덕트 사이에 구비되는 순환덕트; 및 A circulation duct provided between the exhaust duct and the air supply duct to form a circulation passage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is supplied back to the room; And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환기시스템.And an air cleaning unit provided on the circulation passage to purify the indoor ai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And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provided on the circulation passage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irculation passag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개폐수단은,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순환덕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댐퍼; 및A first damper to selectively block the exhaust duct and the circulation duct; And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순환덕트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댐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And a second damper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air supply duct and the circulation duc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청정수단은 상기 순환덕트 상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And said air cleaning means is provided on said circulation duc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순환덕트는 상기 열교환기를 기준으로 실내 측의 배기덕트 및 급기덕트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The circulation duct is provided between the exhaust duct and the air supply duct on the indoor side with respect to the heat exchang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의 일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And the heat exchanger is provided in a case in which a part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are forme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는 전열교환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The heat exchanger is a venti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exchanger provided at the point where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cros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청정수단은,The air cleaning means, 상기 순환유로 상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보조팬; 및An auxiliary fan provided on the circulation passage to cause air to flow; And 상기 실내 오염공기를 정화시키는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Ventilation system comprising a dust collecting unit for purifying the indoor polluted ai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청정수단은 산소발생기 또는 향 발생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시스템.And said air cleaning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oxygen generator and a scent generator.
KR1020060026569A 2006-03-23 2006-03-23 ventilating system KR1005873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569A KR100587315B1 (en) 2006-03-23 2006-03-23 ventil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6569A KR100587315B1 (en) 2006-03-23 2006-03-23 ventilat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356A Division KR100587313B1 (en) 2004-02-09 2004-02-09 air cleaning system with venti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614A true KR20060032614A (en) 2006-04-17
KR100587315B1 KR100587315B1 (en) 2006-06-08

Family

ID=3714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6569A KR100587315B1 (en) 2006-03-23 2006-03-23 ventila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31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344B1 (en) * 2011-11-16 2013-10-23 김상동 Method for controlling ventilation unit
CN105953352A (en) * 2016-05-18 2016-09-21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Total heat exchanger,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air-conditioning system
KR20200066935A (en)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ter box for ventilator and ventilator comprising the same
KR102126978B1 (en) * 2019-12-09 2020-06-25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and indoor air cleaning
KR102517416B1 (en) * 2022-10-19 2023-03-31 박경훈 Hybrid air cleaning system of ventil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448B1 (en) * 2008-09-09 2010-12-13 (주) 남양엔지니어링 A wind passing device the building
KR101387998B1 (en) 2013-10-24 2014-04-22 한국기계연구원 Fine particle reduction equipment for subway tunnel
KR102205212B1 (en) * 2020-05-15 2021-01-19 이찬세 Access Control and Monitoring Matche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344B1 (en) * 2011-11-16 2013-10-23 김상동 Method for controlling ventilation unit
CN105953352A (en) * 2016-05-18 2016-09-21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Total heat exchanger,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air-conditioning system
KR20200066935A (en)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ter box for ventilator and ventilator comprising the same
KR102126978B1 (en) * 2019-12-09 2020-06-25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Air purifier for ventilation and indoor air cleaning
KR102517416B1 (en) * 2022-10-19 2023-03-31 박경훈 Hybrid air cleaning system of ventil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315B1 (en)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813B1 (en) Ventilator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KR100617079B1 (en) Ventilation system with air-cleaner
KR100539566B1 (en) air cleaning system with ventilator
KR100587315B1 (en) ventilating system
KR100617082B1 (en) Thin-type ventilating device
CN214370713U (en) Ventilation system with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CN107202396A (en) A kind of double circulation VMC and new blower fan
KR100587359B1 (en) air cleaning system with ventilator
KR101967279B1 (en) A Indoor air clean ventilation system
KR100686024B1 (en) Ventilation system with air cleaning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08302685B (en) Air circulation system having internal air circulation, discharge and suction functions
CN204285721U (en) A kind of VMC
KR100617081B1 (en) Ventilation system with air-cleaner
KR100577252B1 (en) Ventilation system with air cleaning
KR100577206B1 (en) Ventilation Systems
KR100640799B1 (en) Ventilation system with air cleaning
KR101904041B1 (en) Heat Exchange Air Circulation Apparatus with Air Supply and Cleaning of Kitchen
KR20100005319A (en) Air conditioner with plasma generator & peltier element
KR100587314B1 (en) ventilating system
KR100587313B1 (en) air cleaning system with ventilator
KR200407836Y1 (en) Air cleaning system using ventilation unit
CN209431606U (en) A kind of new blower of bidirectional flow Two-way Cycle
KR100577215B1 (en) Ventilation Systems
KR20180003341U (en) heat exchange ventilation unit
KR101851676B1 (en) A ventilator for waste heat re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